KR102579781B1 -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및 확정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및 확정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781B1
KR102579781B1 KR1020207035721A KR20207035721A KR102579781B1 KR 102579781 B1 KR102579781 B1 KR 102579781B1 KR 1020207035721 A KR1020207035721 A KR 1020207035721A KR 20207035721 A KR20207035721 A KR 20207035721A KR 102579781 B1 KR102579781 B1 KR 102579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terminal
bandwidth partial
instruction information
time do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856A (ko
Inventor
야차오 량
펑 하오
지엔 리
쥔펑 장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0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및 확정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를 개시하고,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은: 원 대역폭 부분 자원 및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에 따라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의 수를 확정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원 대역폭 부분 자원과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은 각각 단말이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전후에 사용하는 대역폭 부분 자원이고; 상기 스위칭 타임 슬롯 수 및 기본 타임 슬롯 편차에 따라,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전송 지시 정보에 운반되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에 따라 확정된다.

Description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및 확정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및 확정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 년 5 월 11 일에 중국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1810449607.6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해당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5세대이동통신(5th Generation, 5G) 기술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의 개념을 인입하였다. 기지국은 먼저 UE를 위해 한 그룹의 BWP를 구성하고, 그 다음 기지국은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BWP를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UE에 지시할 수 있다. UE가 원래 BWP에서 타겟(target) BWP로 스위칭을 완료하는데는 일정한 시간이 걸리므로, 기지국은 시간 영역 자원 할당을 수행할 때 충분한 BWP 스위칭 시간을 보장해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UE의 BWP 스위칭이 실패하게 된다. 그러나, 관련 방안은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스위칭이 발생한 후의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지시하기 위해,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설정해야 하므로, 스위칭 발생 여부에 관계없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는 항상 하나 이상의 스위칭 전용 지시행이 존재한다. 하지만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행 수는 제한되어 있고,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설정하게 되면, 기타 전송에 대한 지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는 행이 줄어들어, 기타 전송의 지시 정보에 대한 전송을 어느 정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및 확정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는, 주로 현 단계에 제안된 기지국이 BWP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설정하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경우의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지시하는 방안은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많은 행을 점유하게 되어, 기타 전송의 지시 정보의 전송을 제한하며, 자원의 최적화 구성에 불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 대역폭 부분 자원 및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에 따라 금번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원 대역폭 부분 자원과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은 각각 단말이 금번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전후에 사용하는 자원임-;
상기 스위칭 타임 슬롯 수 및 기본 타임 슬롯 편차에 따라,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전송 지시 정보에 포함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에 따라 확정됨-;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금번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이후 전송에 사용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 및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지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 대역폭 부분 자원 및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에 따라 금번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스위칭 확정 유닛-상기 원 대역폭 부분 자원과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은 각각 단말이 금번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전후에 사용하는 대역폭 부분 자원임-;
상기 스위칭 타임 슬롯 수 및 기본 타임 슬롯 편차에 따라,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상기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전송 지시 정보에 포함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에 따라 확정됨-; 을 포함하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금번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이후 전송에 사용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스위칭 확정 유닛;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 및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지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지시 전송 유닛; 을 포함하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장치 및 통신 버스를 포함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통신 버스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프로세서와 통신 장치 사이의 접속 및 통신을 실현하도록 설정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어느 한 항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을 구현하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장치 및 통신 버스를 포함하는 단말에 있어서;
통신 버스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프로세서와 통신 장치 사이의 접속 및 통신을 실현하는데 사용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어느 한 항의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을 구현하는 단말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프로그램 및 시간 영역 자원 확정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어느 한 항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을 실현하고; 시간 영역 자원 확정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어느 한 항의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을 실현하는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및 확정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BWP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설정하면, 기타 전송 지시 정보의 전송을 쉽게 제한하여, 자원의 최적화 구성에 불리한 기술적 문제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방안에서, 단말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대역폭 부분 자원에 대해 대역폭 부분 자원을 스위칭할 필요가 있을 경우, 기지국은 스위칭 후 전송에 사용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하고,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인텍스 식별자가 포함된 전송 지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및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따라 금번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할 수 있고; 스위칭 타임 슬롯 수 및 기지국에 의해 지정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통해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안에서, 대역폭 부분 자원이 스위칭되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하고,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는 기본 타임 슬롯 편차에 관련된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할 수 있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 중의 스위칭 전용 지시행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안에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스위칭 전용 지시행으로서 하나 이상의 행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의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점유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기타 전송 지시 정보를 위해 보다 많는 전송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원의 최적화 구성을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한편,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 중의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통해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지시하는 방안은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보류해야 하며, 이로 인해 자원 낭비가 크게 발생하므로, 현 단계에서 제안된 방안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안은 자원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기타 특징 및 대응하는 유익한 효과는 명세서의 아래 부분에서 설명되고, 적어도 일부 유익한 효과는 본 출원의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되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과정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상호 작용 다이어그램(interaction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되는 단말의 블라인드 검출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되는 단말이,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및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따라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공되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공되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공되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제공되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제공되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의 다른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 제공된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 제공되는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본 출원에 대한 한정이 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1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과 사용자의 통신 수요의 증가에 따라, 더 높고 빠르며 새로운 통신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5G 기술은 미래 네트워크 개발의 추세로 되었다. 기존의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과 비교할 때, 5G는 여러 측면에서 대응하는 개량을 진행하였다. 예를 들어, 통신 과정에서 UE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5G에서 UE는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대응하는 BWP를 선택할 수 있어 기존 LTE 기술에서 UE의 모든 전송이 동일한 대역폭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단말이 전송하기 전에 기지국은 UE를 위해 업 링크에 사용되는 BWP와 다운 링크에 사용되는 BWP를 포함하는 한 그룹의 BWP를 구성하고,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UE를 위해 4개의 다운 링크 BWP와 4개의 업 링크 BWP를 구성한다. 서브 캐리어 간격(SCS), 대역폭 및 주파수 영역 위치 등은 상이한 BWP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즉 상이한 BWP는 상이한 구성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기지국은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전송에 사용되는 BWP를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UE에 지시하고, UE는 상이한 전송 요구에 따라 적절한 BWP에 스위칭할 수 있으므로, 전송 중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BWP 스위칭은 현재 사용중인 BWP(설명 편의상 "원 BWP"라고 함)에서 새로운 BWP(설명 편의상 "타겟 BWP"라고 함)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수신된 DCI에 따라 BWP 스위칭의 필요성을 판단하여 타겟 BWP로 스위칭하는 과정에서 UE는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다. BWP 스위칭이 완료되어야만 UE는 타겟 BWP에서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수 있다.
BWP 스위칭은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며, 기지국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을 수행할 때 UE를 위해 충분한 스위칭 시간을 확보할 수 없으면, UE의 BWP 스위칭은 실패하게 됨을 이해해야 한다. UE가 충분한 스위칭 기간을 갖도록 하기 위해, 현 단계에서 제안된 방안은 기지국이 BWP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BWP 스위칭을 위해 특별히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설정하고, 기지국이 스위칭 전용 지시행에서 대응하는 스위칭 후의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지시하고, 해당 타겟 타임 슬롯 편차는 기지국에 의해 계산되어 획득되며, UE가 충분한 스위칭 시간을 갖도록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기지국이 UE를 위해 4개의 다운 링크 BWP를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면, 각각의 BWP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는 모두 3개의 스위칭 전용 지시행이 포함되고, 이들은 각각 기타 3개의 BWP로부터 해당 BWP로 스위칭되는 시나리오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다운 링크의 4개의 BWP가 각각 A, B, C, D인 경우, A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는, B에서 A 로의 스위칭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 C에서 A 로의 스위칭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 D에서 A 로의 스위칭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지시하기 위해 3개의 스위칭 전용 지시행이 설정된다. B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도, A에서 B로의 스위칭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 C에서 B로의 스위칭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 및 D에서 B로의 스위칭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지시하기 위해 3개의 스위칭 전용 지시행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C와 D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도 비슷하다. 따라서 기지국이 양자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BWP를 D에서 B로 스위칭하도록 단말에 지시해야 하는 경우, 기지국은 원래 BWP, 즉 D를 통해 DCI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고, 기지국은 해당 DCI 정보를 통해 단말(UE)이 타겟 BWP, 즉 B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UE에 송신된 DCI 정보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도메인을 운반하고,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 중의 어느 행에따라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는 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UE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조회하여, D에서 B로 스위칭한 후에 대응하는 타겟 시간 영역 자원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행 수는 제한되어 있으며, 무한하게 확장할 수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행 수는 DCI 정보에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자 도메인이 차지하는 비트 수와 관련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행 수는 2n이며, 여기서 n은 DCI 정보에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자 도메인이 차지하는 비트 수이다. 예를 들어, n=2 인 경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은 4 개의 행을 가질 수 있고, n=3 인 경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은 8 개의 행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각 스위칭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전용 스위칭 지시행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은 나머지 행을 사용하여 기타 전송 정보를 운반할 수밖에 없다. 계속하여 기지국이 UE를 위해 4개의 다운 링크 BWP를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이 4개의 행을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은 나머지 1 개의 행만 사용하여 기타 전송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이 8개의 행을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은 나머지 5개의 행을 사용하여 기타 전송 지시 정보를 적재할 수 있다. 이는 기타 지시 정보의 전송을 엄중하게 제한한다. 심지어, DCI 정보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도메인이 1bit만 차지하더라도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은 2개의 행만 있기 때문에,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은 필요한 모든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커버할 수 없다.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안에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점유하여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설정하므로 기타 지시 정보의 전송에 엄중한 제한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 및 시간 영역 자원을 확정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은 기지국 측에서 수행할 수 있고,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은 단말 측에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기지국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을 수행하고 단말이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을 실행하여 시간 영역 자원 할당 과정의 상호 작용을 구현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단계(S102)에서, 기지국은 스위칭 후 전송에 사용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한다.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양자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유형은 지속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일부 데이터에 대해서는 비교적 큰 대역폭 자원이 필요하지만 기타 데이터는 대역폭 자원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측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에 의한 소비전력을 저감하고 대역폭 자원을 합리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기지국은 현재 전송될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단말을 위해 구성된 각 대역폭 부분 자원에서 현재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하나 이상을 합리적으로 선택한다. 기지국이 재 선택한 대역폭 부분 자원과 현재 사용중인 대역폭 부분 자원이 상이한 경우,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를 수행해야 하므로,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은 실제로 현재 사용중인 "원 대역폭 부분 자원"으로부터 새로운 "타겟 대역폭 자원"으로 스위칭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언급된 "대역폭 부분 자원"은 실제로 연속되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자원을 의미하며, BWP 자원으로도 칭한다.
기지국이, 단말과의 사이에서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 자원을 스위칭해야 한다고 확정하는 경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에 대한 인덱스 식별자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다운 링크 데이터 전송이 곧 진행되려고 하는데, 이때 기지국은 현재 사용중인 대역폭 부분 자원 A가 적합하지 않고, 대역폭 부분 자원C를 사용해야 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기지국은 C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으로 확정하고, 따라서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Index)로서 "c"를 획득한다.
단계(S104)에서 기지국은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인덱스 식별자 및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지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한 후, 기지국은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를 운반하는 전송 지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지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기 때문에, 일부 예에서는, 기지국은 대역폭 부분 자원A를 사용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에서는, 전송 지시 정보는 DCI, 즉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 지시 정보에는 단말에 지정된 기본 타임 슬롯 편차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으며,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단말 측에서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계산한 후,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기지국은 전송 지시 정보(예를 들어, DCI 정보) 중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도메인을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로 사용할 수 있고,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도메인은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과 협동하여 단말에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지시한다. 기지국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구성한 후, 단말은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고,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는 적어도 두 개의 기본 타임 슬롯 편차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본 타임 슬롯 편차로부터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는 것을 단말에 알리기 위해, 기지국은 DCI 정보에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도메인을 운반하며,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통해, 단말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지정된 하나의 기본 타임 슬롯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는 16개의 행이 포함되고, 상기 16개의 행은 모두 기본 타임 슬롯 편차로 구성되며, 상기 16개의 행 중 각 행의 고유 식별자는 각각 숫자 "0", "1" ... "15"이다. 기지국이 단말에 송신한 전송 지시 정보에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도메인에 대응하는 값이 "2"인 경우,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지정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고유 식별자 "2"임을 나타낸다.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기지국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대한 구성이 상이함에 따라, 단말이 획득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도 상이함을 이해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 사이는 항상 현재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 즉 가장 새로 구성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사용하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함을 이해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기지국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에 의해 구성되고,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의 스위칭 기간과는 무관한 시간 영역 자원 위치이며,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경우,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할 뿐만 아니라,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어느 한 대역폭 부분 자원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이 단말에 시간 영역 자원을 할당할 경우에도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통해 수행된다. 이 경우 기지국에서 지정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어느 하나의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실제로 타겟 타임 슬롯 편차이다. 따라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단말이 충분한 스위칭 기간을 갖도록 보장할 필요가 없다.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구성할 때, 기지국은 대역폭 부분 자원의 스위칭이 있는지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일반적인 시간 영역 자원 구성 방식에 따라 구성하면 된다. 따라서, 현 단계에서 검토된 방안에서, 기지국에 의해 스위칭 전용 지시행에 구성된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시나리오 전용 타겟 타임 슬롯 편차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구성하는 것이 더 간단하며,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으로 인한 시간 제약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업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 또는 다운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포함하며, 여기서 업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K2에 대응하고, 다운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K0에 대응한다. 현재 기지국이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경우, 기지국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단말을 위해 지정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다운 링크에 대한 다운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 즉 K0이고;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현재 기지국이 수신하는 경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사용하여 단말을 위해 지정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업 링크에 대한 업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 즉 K2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은 여전히 대역폭 부분 자원을 단위로 설정된 것이며, 즉 각 대역폭 부분 자원은 모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이 존재한다.
단계(S106)에서, 전송 지시 정보에 따라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해야 한다고 확정하는 경우, 단말은 인덱스 식별자에 따라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후 전송에 사용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한다.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운반되는 인덱스 식별자에 따라, 단말은 현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고, 여기서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를 "a"라고 가정한다.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 단말은 기지국이 원 대역폭 부분 자원 A를 통해 송신한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가 운반된다.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와 전송 지시 정보에 포함된 인덱스 식별자의 일치 여부를 비교함으로써 단말은 현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양자가 일치하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단말은 기지국이 자체로 다른 대역폭 부분 자원으로 스위칭하여 기지국과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확정한다. 이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이 어느 것인 지를 더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예와 같은 경우, 기지국이 전송 지시 정보에서 운반하는 인덱스 식별자는 "c"이고, "c"는 블라인드 검출 대상인 원 대역폭 부분 자원A의 인덱스 식별자 "a"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단말은 기지국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자신에게 지시하고, 스위칭 후에 사용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은 인덱스 식별자가 "c"인 C임을 알 수 있다.
이하, 단말이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업 링크 또는 다운 링크에 관계없이, 공유 채널의 매핑 유형은 일반적으로 매핑 유형(1)( "매핑 유형 A"라고도 함) 및 매핑 유형(2)( "매핑 유형 B"라고도 함)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현재 표준 38.331에서는 두 가지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구성을 보다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지국 상위 계층이 매핑 유형 A와 매핑 유형 B에 대해 상호 독립적인 DMRS 구성을 사용하고 있다. 즉, 매핑 유형 A의 DMRS 구성 파라미터는 매핑 유형 B의 DMRS 구성 파라미터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운 링크의 경우, DMRS 구성 파라미터의 DMRS 유형(구체적으로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DL-DMRS-config-type"일 수 있음) 및 DMRS의 최대 길이(구체적으로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DL-DMRS-max-len"일 수 있음)는 기지국이 단말에 송신하는 전송 지시 정보의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송 지시 정보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업 링크의 경우, DMRS 구성 파라미터의 DMRS 유형(구체적으로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UL-DMRS-config-type"일 수 있음), DMRS의 최대 길이(구체적으로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UL-DMRS-max-len"일 수 있음) 및 PUSCH-tp 인에이블 값은 기지국이 단말에 송신하는 전송 지시 정보의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송 지시 정보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의심할 여지없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은 기지국이 매핑 유형 A를 사용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지, 매핑 유형 B를 사용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지를 알수 없으므로, 단말은 전송 지시 정보의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를 확정할 수 없고, 따라서 전송 지시 정보의 크기를 확정할 수 없다. 이 경우, 단말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는 경우, 블라인드 검출의 크기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 지시 정보의 크기보다 작으면 단말은 블라인드 검출에 실패한다. 블라인드 검출에 실패한 후, 단말은 동일한 타임 슬롯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재차 수행해야 하며, 이는 단말의 블라인드 검출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이하 두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1): 단말은 두 가지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에 관계없이, 항상 전송 지시 정보의 안테나 포트 도메인 크기의 최대 값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한다.
표 1은 다운 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DMRS 구성 파라미터 및 안테나 포트 도메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DL-DMRS-config-type DL-DMRS-max-len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
1 1 4
1 2 5
2 1 5
2 2 6
표 1에 따르면, 다운 링크의 경우, 안테나 포트 도메인 크기의 최대 값은 6이므로, 단말은 안테나 포트 지시자 도메인 6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검출하면, 기지국이 어떤 매핑 유형을 사용하여 송신하여도, 전송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한 번에 검출될 수 있다.
표 2는 업 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DMRS 구성 파라미터 및 안테나 포트 도메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UL-DMRS-config-type UL-DMRS-max-len PUSCH-tp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
1 1 enable 2
1 2 enable 4
1 1 disable 3
1 2 disable 4
2 1 disable 4
2 2 enable 5
따라서 업 링크의 경우, 안테나 포트 도메인 크기의 최대 값은 5이고, 단말은 안테나 포트 지시자 도메인 5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검출하면, 기지국이 어떤 매핑 유형을 사용하여 송신하여도, 전송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한 번에 검출될 수 있다.또한 단말은 방법(2)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기 바란다.단계(S202)에서, 매핑 유형(1) 및 매핑 유형(2)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를 각각 조회한다.
기지국의 상위 계층은 공유 채널의 각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구성 파라미터를 구성한 후, 단말 측은 공유 채널 매핑 유형 A의 구성 파라미터와 공유 채널 매핑 유형 B의 구성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고; 공유 채널 매핑 유형 A의 구성 파라미터 및 공유 채널 매핑 유형 B의 구성 파라미터에는 모두 DMRS 구성 파라미터가 포함되므로, 단말은 매핑 유형 A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 및 매핑 유형 B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를 조회하여 확정할 수 있다.
단계(S204)에서, 단말은 두 가지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동일한 지를 판단한다.
판정 결과가 "예" 이면 단계(S206)으로 이동하고, "아니요"이면 단계(S208)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다운 링크의 경우,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DMRS 유형과 DMRS의 최대 길이를 포함한다. 업 링크의 경우,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DMRS 유형, DMRS의 최대 길이 및 PUSCH-tp 인에이블 값을 포함한다.
단계(S206)에서, 두 가지 매핑 유형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 크기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블라인드 검출한다.
단말은 두 매핑 유형에 해당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동일하다고 판단하면, 이때 단말은 매핑 유형 A 또는 매핑 유형 B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S208)에서, 두가지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 중 크기가 더 큰 것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블라인드 검출한다.
단말이 두 가지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예를 들어, 단말이 조회한 다운 링크 공유 채널 매핑 유형 A에 대응하는 DL-DMRS-config-type=1, DL-DMRS-max-len=2이고; 다운 링크 공유 채널 매핑 유형 B에 대응하는 DL-DMRS-config-type=1, DL-DMRS-max-len=1 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이때 기지국이 매핑 유형 A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송신하면, 전송 지시 정보 중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는 5이여야 하고, 매핑 유형 B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송신하면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는 4여야 한다. 이때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전송 지시 정보 중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가 5인지 4인지 판단할 수 없지만, 전송 지시 정보를 한 번에 검출하기 위해, 단말은 두 가지 매핑 유형에서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 크기가 큰 것에 따라 검출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예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 5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S108)에서, 단말은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및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따라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한다.
모든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기간은 동일한 것이 아니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이 동일하더라도 상이한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서 스위칭하는 경우, 필요한 스위칭 기간이 다를 수 있고; 마찬가지로,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이 동일하더라도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이 상이한 경우, 필요한 스위칭 기간 또한 상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및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이 모두 상이한 스위칭 시나리오인 경우는 더 말할나위가 없다. 따라서, 상이한 스위칭 시나리오는 상이한 스위칭 기간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 시나리오는 주로 원 대역폭 부분 자원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 사이의 관계에 따라 확정된다: 하나의 스위칭 시나리오에서, 원 대역폭 부분 자원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사이는 동일한 대역폭 크기(Bandwidth, BW)를 가지지만 양자의 중심 주파수는 상이하고; 다른 스위칭 시나리오에서, 원 대역폭 부분 자원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사이는 동일한 중심 주파수를 가지지만 양자의 대역폭 크기는 상이하다. 현 단계의 기존 표준 회의에서는 이하 네 가지 스위칭 시나리오가 정의된다:
시나리오(1)에서, 재구성은 BWP의 중심 주파수를 변경하고, BW를 변경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고, SCS의 변경을 포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The reconfiguration involves changing the center frequency of the BWP without changing its BW. The reconfiguration may or may not involve changing the SCS.) 간단히 말하면, 시나리오 1은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과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을 비교할 때, 서브 캐리어 간격의 동일 여부에 관계없이, 중심 주파수가 상이하고 BW가 동일한 대역폭 부분 자원의 스위칭 시나리오를 의미한다.
시나리오(2)에서, 재구성은 BWP의 BW를 변경하고, 중심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고, SCS의 변경을 포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The reconfiguration involves changing the BW of the BWP without changing its center frequency. The reconfiguration may or may not involve changing the SCS.) 시나리오 2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과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을 비교할 때, 서브 캐리어 간격의 동일 여부에 관계없이, BW가 상이하고 중심 주파수가 동일한 대역폭 부분 자원의 스위칭 시나리오를 의미한다.
시나리오(3)에서, 재구성은 BW와 BWP의 중심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고, SCS의 변경을 포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The reconfiguration involves changing both the BW and the center frequency of the BWP. The reconfiguration may or may not involve changing the SCS.) 시나리오 3은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과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을 비교할 때, 서브 캐리어 간격의 동일 여부에 관계없이, BW와 중심 주파수가 모두 상이한 대역폭 부분 자원의 스위칭 시나리오를 의미한다.
시나리오(4)에서, 재구성은 오직 SCS의 변경을 포함하고, 여기서 BWP의 중심 주파수와 BW는 그대로 유지된다.(The reconfiguration involves changing only the SCS, where the center frequency and BW of the BWP remain unchanged.) 시나리오 4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과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을 비교할 때, BW와 중심 주파수가 모두 동일하지만 서브 캐리어의 간격이 상이한 대역폭 부분 자원의 스위칭 시나리오를 의미한다.
도 3은 단말이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및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따라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단계(S302)에서,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 및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스위칭 시나리오를 확정한다.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시나리오는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와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구성 파라미터 사이의 관계와 관련이 있으므로, 단말이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하면,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과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를 통해 현재 스위칭 시나리오가 상기 여러 시나리오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지를 확정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대역폭 부분 자원를 구성한 후, 단말 측이 각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물론, 본 실시예의 일부 기타 예들에서, 단말 측이 각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를 저장하지 않아도, 기지국은 전송 지시 정보를 통해 단말에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C는 원 대역폭 부분 자원 A에 비해, 전송 대역폭 자원이 동일한 BW을 가지지만 양자의 중심 주파수가 상이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단말은 양자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필요한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시나리오 1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속한다고 확정할 수 있다.
단계(S304)에서, 미리 저장된 스위칭 시나리오와 스위칭 기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현재 스위칭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스위칭을 확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은 스위칭 시나리오와 스위칭 기간의 매핑 관계를 미리 저장하고, 각 스위칭 시나리오는 모두 대응하는 스위칭 기간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기타 예들에서, 스위칭 기간은 스위칭 시나리오와 관련될 뿐만 아니라,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에 사용되는 캐리어의 주파수 레벨 및 단말의 성능과도 관련된다. 예를 들어, 일 예시에서, 단말은 시나리오-시간 매핑 관계 테이블을 저장하고, 이하 표 3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주파수 레벨 시나리오 유형 1의 스위칭 기간(us) 유형 2의 스위칭 기간(us)

1
시나리오 1 600 2000
시나리오 2 600 2000
시나리오 3 600 2000
시나리오 4 400 950

2
시나리오 1 600 2000
시나리오 2 600 2000
시나리오 3 600 2000
시나리오 4 400 950
주파수 레벨 열에서 "1"은 캐리어 주파수가 6GHz 미만인 시나리오를 나타내고 "2"는 캐리어 주파수가 6GHz 이상인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유형 1의 스위칭 기간"은 각종 스위칭 시나리오에서 능력이 높은 단말의 스위칭 기간에 대응하고, "유형 2의 스위칭 기간"은 각종 스위칭 시나리오에서 능력이 낮은 단말의 스위칭 기간에 대응한다.
단말은 현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시나리오를 확정한 후, 자체 통신에 의해 사용되는 캐리어 주파수 대역과 자체 성능에 따라 대응하는 스위칭의 기간을 확정할 수 있다. 어느 단말이 성능이 높고 레벨 1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하며, 현재 시나리오 1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한다고 가정하면, 표 3을 조회하여 해당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대해 단말은 600us의 스위칭 기간이 필요하다고 확정할 수 있다.
단계(S306)에서, 스위칭 기간 및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한다.
단말은 스위칭 기간을 확정한 후, 스위칭 기간을 스위칭 타임 슬롯 수로 환산해야 한다. 스위칭 타임 슬롯 수는 스위칭 기간에 관련될 뿐만 아니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도 관련됨을 이해해야 한다. 단말은 먼저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하는 타임 슬롯의 길이를 확정한 후, 스위칭 기간과 단일 타임 슬롯의 길이의 비율 값을 계산하고, 그 비율 값을 반올림하여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단계(S110)에서, 단말은 스위칭 타임 슬롯 수와 기본 타임 슬롯 편차에 따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한다.
단말은 스위칭 타임 슬롯의 개수를 계산한 후, 상기 스위칭 타임 슬롯의 수에 기반하여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의 타겟 타임 슬롯 편차의 값, 즉 타겟 시간 영역 자원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송신된 전송 지시 정보에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단말은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에 따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결합하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지시 정보가 DCI 정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DCI 정보에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도메인이 포함되고,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도메인은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행을 지정하는데 사용되며, 즉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 내의 두 개 기본 타임 슬롯 편차 중 하나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단말은 기본 타임 슬롯 편차와 스위칭 타임 슬롯 수의 합을 구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대응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할 수 있다.
단말이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는 것은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타임 슬롯 위치를 확정하기 위해서이며, 따라서 단말이 상기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도 상기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알아야 함을 이해할 수 있다. 양자가 타겟 타임 슬롯 편차에 대응하는 타겟 시간 영역 자원 위치에서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이 확정한 타겟 타임 슬롯 편차가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 측도 단말 측과 동일한 방식으로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계산해야 하며, 이는 기지국과 단말이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여 현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속하는 스위칭 시나리오를 확정하고, 동일한 스위칭 시나리오와 스위칭 기간의 매핑관계(예를 들어, 기지국도 표 3을 저장함)를 저장해야 하며, 이밖에도 기지국은 단말의 성능 등을 알아야 한다.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한 후, 단말은 타겟 타임 슬롯 편차에 대응하는 타겟 시간 영역 자원 위치에서 기지국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타겟 타임 슬롯 편차는 업 링크 타겟 타임 슬롯 편차 및/또는 다운 링크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단말에서 확정된 타겟 타임 슬롯 편차가 다운 링크 타겟 타임 슬롯 편차라고 가정하면, 단말은 대응하는 타겟 시간 영역 자원 위치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단말이 확정한 타겟 타임 슬롯 편차가 업 링크 타겟 타임 슬롯 편차이면, 단말은 대응하는 타겟 시간 영역 자원 위치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 및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에서, 단말은 원 대역폭 부분 자원과 타겟 대역폭 자원을 통해 현재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자체로 확정하고, 더 나아가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은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위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일부러 설정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전용 지시행이 설정되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이 기타 전송 지시 정보의 전송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관련 방안에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항상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필요없는 시나리오에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공간을 낭비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이는 자원 전송을 최적화하고 자원의 이용률을 향상키는데 도움이 된다.
더 나아가, 기지국은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구성할 때, 단말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 기간에 구성된 전송 타임 슬롯이 충족하는지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 작업이 더 간단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 및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을 구체적인 예와 결합하여 계속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시기 바란다:
단계(S402)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BWP에 대해 BWP 스위칭을 수행해야 할 때 타겟 BWP를 확정한다.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지국은 여러 경우에 단말을 제어하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t1 시점 전에 기지국과 단말 간의 다운 링크 데이터는 대역폭에 대한 요구나 높지 않지만, t1 시점에 기지국은 단말에 대량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해야하므로, 단말 측에서 사용자의 영상 시청 체험을 보장하기 위해, 기지국은 단말을 제어하여 더 큰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 부분 자원으로 스위칭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해야 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을 위해 미리 구성한 대역폭 부분 자원 중에서 전송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하나를 선택하여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으로 할 수 있다.
단계(S404)에서: 기지국은 원 BWP를 통해 DCI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고, BWP 스위칭을 지시한다.
타겟 BWP를 확정한 후, 기지국은 DCI 지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할 수있고, 상기 DCI 지시 정보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지시 작용을 한다: 우선, 상기 DCI 정보는 단말에 현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해야 함을 확정할 수 있고; 이밖에도, 상기 DCI 정보로부터 어느 타겟 BWP에 스위칭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DCI 정보는 또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은 DCI 정보 중의 BWP 지시자 도메인을 통해 단말에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알릴 수 있고, 예를 들어, 기지국은 타겟 BWP의 인덱스 식별자를 DCI 정보의 BWP 지시자 도메인으로 운반하고, 단말은 DCI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DCI 정보의 BWP 지시자 도메인 중 인덱스 식별자가 현재 사용하는 BWP의 인덱스 식별자와 일치한지를 비교하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확정한다. 양자가 일치하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하고; 양자가 일치하지 않으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며, 한편 단말은 스위칭 후의 타겟 BWP이 어느 것인 지를 확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 1에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 및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자 도메인을 통해 단말에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지정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기에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단말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알기 전에 단말은 현재 사용 중인 BWP 에만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므로,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DCI 정보를 수신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원 BWP를 통해 DCI 정보를 전송한다.
기지국이 전송 지시 정보로서 DCI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 후, 기지국은 단말과 타겟 BWP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타겟 시간 영역 자원 위치, 즉 타겟 타임 슬롯 편차의 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기지국이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계산하는 과정은 단말이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계산하는 과정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과정은 실시예 1의 설명 또는 후속 설명를 참조하시기 바란다.
이하, 단말 측의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도 5에 도시된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의 흐름도를 참조하시기 바란다.
단계(S502)에서, 단말은 원 BWP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은 원 BWP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지만, 실제로 단말이 이 때 스위칭의 발생 여부를 알지 못하므로, 단말에 대해 원 BWP는 현재 사용 중인 BWP에 지나지 않는다. 단말은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 기지국이 상기 원 BWP을 통해 송신한 DCI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블라인드 검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실시예 1의 설명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S504)에서, 단말은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 검출된 DCI 정보에 운반된 인덱스 식별자와 블라인드 검출 대상으로 되는 원 BWP의 인덱스 식별자의 일치 여부를 확정한다.
DCI 정보를 검출한 후, 단말은 먼저 DCI 정보에 운반된 Index와 현재 블라인드 검출의 대상으로 되는 원 BWP의 Index의 일치 여부를 확정하고, 일치하면, 현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하고, 단계(S506)으로 이동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기지국은 자체로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이미 지시한 것을 의미하고, 단계(S508)으로 이동한다.
단말은 현재 사용 중인 BWP의 Index를 알고 있으며, DCI 정보에 운반된 Index의 경우, 선택적으로, 단말은 검출된 DCI 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DCI 정보의 BWP 지시자 도메인에서 획득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단계(S506)에서, DCI 정보에서 지정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타겟 타임 슬롯 편차로 사용한다.
단말이 DCI 정보에 운반된 Index가 원 BWP의 Index와 일치하다고 확정하면, 단말은 현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확정하고, 직접 DCI 정보 중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자 도메인에 기반하여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결합하여, 기지국이 자신을 위해 할당한 시간 영역 자원, 즉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직접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 중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자 도메인에 의해 지정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타겟 타임 슬롯 편차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지정된 타임 슬롯 크기를 "기본 타임 슬롯 편차" 라고 하고,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필요하지 않은 시나리오의 경우, DCI에서 지정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이므로, 기지국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하지 않았다고 단말이 확정하면, 직접 DCI에서 지정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타겟 타임 슬롯 편차로 칭할 수 있다.
이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간략하게 소개하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다시피,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행 수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자 도메인이 DCI 정보에서 차지하는 비트 수와 관련되고, 여기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자 도메이는DCI 정보에서 3 비트를 차지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은 8행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 행에 각각 하나의 유일한 식별자 "0", "1", "2" ... "7"을 할당하며, 즉 "0"은 테이블의 첫 번째 행에 대응하고, "1"은 테이블의 두 번째 행에 대응하며 "7"은 테이블의 8번째 행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테이블은 3 개의 열을 포함하고, 첫 번째 열은 다운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업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다운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와 업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은 독립적이며, 즉 다운 링크를 위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는 다운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만 구성되고, 업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운반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업 링크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는, 업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만 운반되고, 다운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운반되지 않는다. 다운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일반적으로 "K0"으로 특성화되고, 업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일반적으로 "K2"로 특성화된다.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두 번째 열은 타임 슬롯에서 심볼 할당 지시 정보를 운반하는데 사용되고, 세 번째 열은 시간 영역 할당 매핑 유형을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은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자 도메인과의 통합에 의해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지시하고,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자 도메인에서 운반되는 것은 특정 행의 고유 식별자이므로, 기지국은 단말에 어느 행의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지정하려고 할 경우, 해당 행의 고유 식별자를 DCI 정보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표시 도메인에서 운반할 수 있다.
단계(S508)에서, 단말은 타겟 BWP를 확정한다.
단말이 DCI 정보에 운반되는 Index가 원 BWP의 Index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확정하면, 단말은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디고 확정하므로, 단말은 DCI 정보에 운반되는 Index에 기반하여, 타겟 BWP가 어느 것인지를 확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CI 정보에 운반되는 Index가 "d"라고 가정하면, 타겟 BWP가 D임을 의미한다.
단계(S510)에서, 단말은 타겟 BWP 및 원 BWP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현재 스위칭 시나리오를 확정한다.
단말은 타겟 BWP를 확정한 후, 타겟 BWP의 구성 파라미터를 확정하고, 동시에 원 BWP의 구성 파라미터도 확정하며, 본 실시예에서 단말 측에는 기지국이 이를 위해 구성한 각 BWP의 구성 파라미터가 저장되고, 단말은 두 개의 BWP 사이의 구성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현재 스위칭 시나리오를 확정할 수 있다.
단계(S512)에서, 단말은 시나리오-시간 매핑관계 테이블을 조회하여 현재 스위칭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스위칭 기간을 확정한다.
스위칭 시나리오를 확정한 후, 단말은 시나리오-시간 매핑 관계 테이블을 조회하여 현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스위칭 기간을 확정할 수 있으며, 시나리오-시간 매핑 관계 테이블은 실시예 1에서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S514)에서, 단말은 스위칭 기간을 타겟 BWP에 대응하는 스위칭 타임 슬롯의 수로 환산한다.
단말은 스위칭 기간을 스위칭 타임 슬롯의 수로 환산할 때, 타겟 BWP의 구성 파라미터에 결합해야 한다: 단말이 타겟 BWP의 서브 캐리어 간격(SCS)을 먼저 확정한 다음, 계속하여 타겟 BWP의 SCS에 기반하여 타겟 BWP에서 타임 슬롯(slot)의 타임 슬롯 길이를 확정한다. 그리고, 스위칭 기간에 포함된 타임 슬롯 수를 계산하며, 여기서 스위칭 기간에 기반하여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계산하는 공식을 제공한다:
여기서, 오프셋(offset)은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나타내고, T는 단말이 시나리오-시간 매핑 관계 테이블에 기반하여 조회하여 얻은 스위칭 기간을 나타낸다.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 인 경우, 대응하는 타임 슬롯 길이는 1ms이고;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 인 경우, 대응하는 타임 슬롯 길이는 0.5ms이고; 서브 캐리어 간격이 60KHz 인, 경우 대응하는 타임 슬롯 길이는 0.25ms이고, 즉, u와 서브 캐리어 간격 사이의 관계는: (KHz)를 충족한다. 표 4는 몇 가지 전형적인 서브 캐리어 간격과 이에 대응하는 u 값을 나타낸다.
u 서브 캐리어 간격(KHz)
0 15
1 30
2 60
··· ···
상기 offset을 계산하는 공식을 간략화하여 다음의 공식을 얻을 수 있다:
표 5는 다양한 스위칭 기간과 u및 스위칭 타임 슬롯 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며, 여기서 첫 번째 행의 두 번째 열부터 다양한 전형적인 스위칭 기간을 나타내고, 첫 번째 열의 두 번째 행부터 u의 다양한 값을 나타낸다.
스위칭 기간
(us)
u

400

600

950

2000
0 1 1 1 2
1 1 2 2 4
2 2 3 4 8
3 4 5 8 16
4 7 20 16 32
··· ··· ··· ··· ···
따라서 전술한 표 3에 기반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의 스위칭 기간을 확정하고, 표 4에 기반하여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에 대응하는 u 값을 조회하여 얻은 후, 표 5에 기반하여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직접 조회하여 얻을 수 있다. 조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 3, 표 4, 표 5의 내용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통합된 하나의 표를 얻고, 단말은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표에 기반하여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단계(S516)에서, 단말은 스위칭 타임 슬롯 수와 DCI 정보에서 지정된 기본 시간 슬롯의 편차의 합을 구하여 타겟 시간 슬롯 편차를 얻는다.
단말은 스위칭 타임 슬롯의 수를 계산한 후, 스위칭 타임 슬롯 수와 타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조회한 기본 타임 슬롯 편차의 합을 구하여,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할 수 있고, 즉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후, 자신과 기지국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타겟 시간 영역 자원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단계(S506)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 및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은 기지국이 단말에 시간 영역 자원을 할당할 때, 단말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방안에 기반하여 야기되는 추가적인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피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지국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구성할 때의 우려를 감소시킴으로써 기지국이 시간 영역 자원을 할당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장치는 기지국 측에 배치되어 전술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장치(60)는 스위칭 확정 유닛(602) 및 전송 지시 유닛(6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위칭 확정 유닛(602)는 단말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대역폭 부분 자원에 대한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해야 할 경우, 스위칭 후 전송에 사용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전송 지시 유닛(604)은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인덱스 식별자 및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지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인덱스 식별자는 단말이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하는데 사용되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과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전에 사용되는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기반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하며, 스위칭 타임 슬롯 수와 기본 타임 슬롯 편차에 기반하여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고,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를 통해 확정한다.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양자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유형은 지속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일부 데이터의 경우, 비교적 큰 대역폭 자원이 필요하고 다른 데이터는 대역폭 자원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측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의한 소비전력을 저감하고 대역폭 자원을 합리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장치(60)의 스위칭 확정 유닛(602)은 현재 전송될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단말을 위해 구성된 각 대역폭 부분 자원 중 하나 이상을 합리하게 선택하여, 현재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한다. 기지국이 재선택한 대역폭 부분 자원이 현재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 자원과 상이한 경우,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해야 하므로,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은 실제로 현재 사용중인 "원 대역폭 부분 자원"로부터 새로운 "타겟 대역폭 자원"으로 스위칭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대역폭 부분 자원"은 실제로 연속되는 RB 자원을 의미하고 BWP 자원이라고도 한다.
스위칭 확정 유닛(602)이 자신과 단말 사이에서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해야 한다고 확정하는 경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다운 링크 데이터 전송이 인차 진행되는데, 이때 스위칭 확정 유닛(602)은 현재 사용 중인 대역폭 부분 자원 A가 적합하지 않고, 대역폭 부분 자원C를 사용해야 한다고 발견할 경우, 스위칭 확정 유닛(602)은 C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으로 확정하고, 따라서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Index)로서 "c"를 획득한다.
스위칭 확정 유닛(602)이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한 후, 전송 지시 유닛(604)은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를 운반하는 전송 지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지시 유닛(604)은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단말에 상기 전송 지시 정보를 전송하므로, 일부 예들에서, 전송 지시 유닛(604)은 대역폭 부분 자원A를 사용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에서, 전송 지시 정보는 DCI, 즉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전송 지시 유닛(604)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 지시 정보에는 단말에 지정하는 기본 타임 슬롯 편차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단말 측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계산한 후,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전송 지시 유닛(604)은 전송 지시 정보(예를 들어, DCI 정보) 중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도메인을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로 사용할 수 있고,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도메인은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과 통합하여 단말에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지정한다. 기지국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구성한 후, 단말은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고,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는 적어도 두 개의 기본 타임 슬롯 편차가 구성될 수 있고, 기본 타임 슬롯 편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지를 단말에 알리기 위해, 기지국은 DCI 정보에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도메인을 운반하며,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도메인은, 단말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로부터 기지국이 지정한 하나의 기본 타임 슬롯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는 16개의 행이 포함되고, 상기 16개의 행은 모두 기본 타임 슬롯 편차이며, 상기 16개의 각 행의 고유 식별자는 각각 숫자 "0", "1"···"15"이다. 전송 지시 유닛(604)이 단말에 송신한 전송 지시 정보에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도메인에 대응하는 값이 "2"인 경우, 전송 지시 유닛(604)이 단말을 위해 지정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고유 식별자 "2"에 대응함을 나타낸다.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기지국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대한 구성이 상이함에 따라, 단말이 획득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도 상이함을 이해할 수 있다. 전송 지시 유닛(604)과 단말 사이는 항상 현재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 즉 가장 새로 구성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사용하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함을 이해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기지국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에 의해 구성되고,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의 스위칭 기간과는 무관한 시간 영역 자원 위치이며, 대역폭 부분 자원의 스위칭 경우,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할 뿐만 아니라,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어느 한 대역폭 부분 자원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는 과정에서 전송 지시 유닛(604)이 단말에 시간 영역 자원을 할당할 경우에도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통해 수행된다. 이 경우 전송 지시 유닛(604)에서 지정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어느 하나의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실제로 타겟 타임 슬롯 편차이다. 따라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단말이 충분한 스위칭 기간을 갖도록 보장할 필요가 없다.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구성할 때, 기지국은 대역폭 부분 자원의 스위칭이 있는지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일반적인 시간 영역 자원 구성 방식에 따라 구성하면 된다. 따라서, 현 단계에서 검토된 방안에서, 기지국에 의해 스위칭 전용 지시행에 구성된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시나리오 전용 타겟 타임 슬롯 편차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구성하는 것이 더 간단하며,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으로 인한 시간 제약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업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 또는 다운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포함하며, 여기서 업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K2에 대응하고, 다운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K0에 대응한다. 현재 기지국이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경우, 전송 지시 유닛(604)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단말을 위해 지정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다운 링크에 대한 다운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 즉 K0이고;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현재 기지국이 수신하는 경우, 전송 지시 유닛(604)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사용하여 단말을 위해 지정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업 링크에 대한 업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 즉 K2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은 여전히 대역폭 부분 자원을 단위로 설정된 것이며, 즉 각 대역폭 부분 자원은 모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이 존재한다.
기지국에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장치가 배치될 경우, 스위칭 확정 유닛(602)의 기능은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전송 지시 유닛(604)의 기능은 기지국의 프로세서 및 통신 장치에 의해 공동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장치는 스위칭 전에 사용된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을 통해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인덱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지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고, 단말에 전송 지시 정보의 인덱스 식별자에 기반하여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하고, 그리고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및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기반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하며, 계산하여 얻은 스위칭 타임 슬롯 수 및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에 따라 지정된 기본 타임 슬롯 편차에 기반하여 타겟 시간 슬롯 편차를 확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대해 전용 지시를 수행하는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설정하는 관련 방안을 배제하고,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공간을 절약하는데 유리하기 위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이 기타 전송 지시 정보를 더 많이 운반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스위칭 기간 요구를 충족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지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지국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는 단말 측에 배치되어 전술한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를 참조하기 바란다: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는 스위칭 확정 유닛(702) 및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704)을 포함한다. 원 대역폭 부분 자원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해야 한다고 확정하는 경우,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는 전송 지시 정보가 운반하는 인덱스 식별자에 기반하여 대역폭 부분 자원의 스위칭 후 전송에 사용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할 수 있고, 그 다음 스위칭 확정 유닛(702)은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및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기반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할 수 있으며;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704)은 스위칭 타임 슬롯 수에 기반하여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운반되는 인덱스 식별자에 따라, 현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고, 여기서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를 "a"라고 가정한다.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는 기지국이 원 대역폭 부분 자원 A를 통해 송신한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가 운반된다.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와 전송 지시 정보에 포함된 인덱스 식별자의 일치 여부를 비교함으로써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는 현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양자가 일치하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는 기지국이 자체로 다른 대역폭 부분 자원으로 스위칭하여 기지국과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확정한다. 이 경우,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는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이 어느 것인 지를 더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예와 같은 경우, 기지국이 전송 지시 정보에서 운반하는 인덱스 식별자는 "c"이고, "c"는 블라인드 검출 대상인 원 대역폭 부분 자원A의 인덱스 식별자 "a"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는 기지국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자신에게 지시하고, 스위칭 후에 사용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은 인덱스 식별자가 "c"인 C임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는 스위칭 확정 유닛(702) 및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704)을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지시 검출 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업 링크 또는 다운 링크에 관계없이, 공유 채널의 매핑 유형은 일반적으로 매핑 유형(1)("매핑 유형 A"라고도 함) 및 매핑 유형(2)("매핑 유형 B"라고도 함)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현재 표준 38.331에서는 두 가지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구성을 보다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지국 상위 계층이 매핑 유형 A와 매핑 유형 B에 대해 상호 독립적인 DMRS 구성을 사용하고 있다. 즉, 매핑 유형 A의 DMRS 구성 파라미터는 매핑 유형 B의 DMRS 구성 파라미터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운 링크의 경우, DMRS 구성 파라미터의 DMRS 유형(구체적으로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DL-DMRS-config-type"일 수 있음) 및 DMRS의 최대 길이(구체적으로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DL-DMRS-max-len"일 수 있음)는 기지국이 단말로 송신하는 전송 지시 정보의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송 지시 정보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업 링크의 경우, DMRS 구성 파라미터의 DMRS 유형(구체적으로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UL-DMRS-config-type"일 수 있음), DMRS의 최대 길이(구체적으로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UL-DMRS-max-len"일 수 있음) 및 PUSCH-tp인에이블 값은 기지국이 단말에 송신하는 전송 지시 정보의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송 지시 정보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의심할 여지없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지시 검출 유닛(700)은 기지국이 매핑 유형 A를 사용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지, 매핑 유형 B를 사용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지를 알수 없으므로, 지시 검출 유닛(700)은 지시 정보의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를 확정할 수 없고, 따라서 전송 지시 정보의 크기를 확정할 수 없다. 이 경우, 지시 검출 유닛(700)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는 경우, 블라인드 검출의 크기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 지시 정보의 크기보다 작으면 블라인드 검출에 실패한다. 블라인드 검출이 실패한 후, 지시 검출 유닛(700)은 동일한 타임 슬롯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재차 수행해야 하며, 이는 블라인드 검출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다음 같은 두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1): 지시 검출 유닛(700)은 두 가지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에 관계없이, 항상 전송 지시 정보의 안테나 포트 도메인 크기의 최대 값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한다.
전술한 표 1은 다운 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DMRS 구성 파라미터 및 안테나 포트 도메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냈고, 표 1에 따르면, 다운 링크의 경우, 안테나 포트 지시자 도메인 크기의 최대 값은 6이므로, 지시 검출 유닛(700)은 안테나 포트 지시자 도메인 6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검출하면, 기지국이 어떤 매핑 유형을 사용하여 송신하여도, 전송 지시 정보는 지시 검출 유닛(700)에 의해 한 번에 검출될 수 있다.
표 2는 업 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DMRS 구성 파라미터 및 안테나 포트 도메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표 2에 따르면, 업 링크의 경우, 안테나 포트 지시자 도메인 크기의 최대 값은 5이고, 지시 검출 유닛(700)은 안테나 포트 지시자 도메인 5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검출하면, 기지국이 어떤 매핑 유형을 사용하여 송신하여도, 전송 지시 정보는 지시 검출 유닛(700)에 의해 한 번에 검출될 수 있다.
지시 검출 유닛(700)은 방법(2)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지시 검출 유닛(700)은 매핑 유형(1) 및 매핑 유형(2)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를 각각 조회하고, 그 다음 두 가지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동일한 지를 판단한다. 동일한 경우, 지시 검출 유닛(700)은 두 가지 매핑 유형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 크기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블라인드 검출한다. 상이한 경우, 지시 검출 유닛(700)은 두가지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 중 크기가 더 큰 것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한다.
기지국의 상위 계층은 공유 채널의 각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구성 파라미터를 구성한 후, 단말 측은 공유 채널 매핑 유형 A의 구성 파라미터와 공유 채널 매핑 유형 B의 구성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고; 공유 채널 매핑 유형 A의 구성 파라미터 및 공유 채널 매핑 유형 B의 구성 파라미터에는 모두 DMRS 구성 파라미터가 포함되므로, 지시 검출 유닛(700)은 매핑 유형 A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 및 매핑 유형 B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를 조회하여 확정할 수 있다.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다운 링크의 경우, 지시 검출 유닛(700)이 조회 가능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DMRS 유형과 DMRS의 최대 길이를 포함한다. 업 링크의 경우, 지시 검출 유닛(700)이 조회 가능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DMRS 유형, DMRS의 최대 길이 및 PUSCH-tp 인에이블 값을 포함한다.
지시 검출 유닛(700)은 두가지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예를 들어, 지시 검출 유닛(700)이 조회한 다운 링크 공유 채널 매핑 유형 A에 대응하는 DL-DMRS-config-type=1, DL-DMRS-max-len=2이고; 다운 링크 공유 채널 매핑 유형 B에 대응하는 DL-DMRS-config-type=1, DL-DMRS-max-len=1 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이때 기지국이 매핑 유형 A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송신하면, 전송 지시 정보 중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는 5이여야 하고, 매핑 유형 B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송신하면 전송 지시 정보 중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는 4여야 한다. 이때 지시 검출 유닛(700)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전송 지시 정보 중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가 5인지 4인지 판단할 수 없지만, 전송 지시 정보를 한 번에 검출하기 위해, 지시 검출 유닛(700)은 두 가지 매핑 유형에서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 크기가 큰 것에 따라 검출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예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 5에 따라 전송 지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는 전송 지시 정보가 운반하는 인덱스 식별자에 기반하여 대역폭 부분 자원의 스위칭 후 전송에 사용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한 후, 스위칭 확정 유닛(702)은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과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전에 사용된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기반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할 수 있다.
모든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기간은 동일한 것이 아니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이 동일하더라도 상이한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서 스위칭하는 경우, 필요한 스위칭 기간이 다를 수 있고; 마찬가지로,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이 동일하더라도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이 상이한 경우, 필요한 스위칭 기간 또한 상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및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이 모두 상이한 스위칭 시나리오인 경우는 더 말할나위가 없다. 따라서, 상이한 스위칭 시나리오는 상이한 스위칭 기간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 시나리오는 주로 원 대역폭 부분 자원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구성 파라미터 사이의 관계에 따라 확정된다: 하나의 스위칭 시나리오에서, 원 대역폭 부분 자원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사이는 동일한 대역폭 크기(Bandwidth, BW)를 가지지만 양자의 중심 주파수는 상이하고; 다른 스위칭 시나리오에서, 원 대역폭 부분 자원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사이는 동일한 중심 주파수를 가지지만 양자의 대역폭 크기는 상이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이미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의 네 가지 스위칭 시나리오에 대해 설명하였고,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한 후, 스위칭 확정 유닛(702)은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와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현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시나리오가 상기 여러 시나리오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을 위해 대역폭 부분 자원을 구성한 후, 단말 측은 각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물론, 본 실시예의 일부 기타 예들에서, 단말 측이 각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를 저장하지 않아도, 기지국은 전송 지시 정보를 통해 스위칭 확정 유닛(702)에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C는 원 대역폭 부분 자원 A에 비해, 전송 대역폭 자원이 동일한 BW을 가지지만 양자의 중심 주파수가 상이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스위칭 확정 유닛(702)은 양자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필요한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시나리오 1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속한다고 확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는 스위칭 시나리오와 스위칭 기간의 매핑 관계를 미리 저장하고, 각 스위칭 시나리오는 모두 대응하는 스위칭 기간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기타 예들에서, 스위칭 기간은 스위칭 시나리오와 관련 될뿐만 아니라,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에 사용되는 캐리어의 주파수 레벨 및 단말의 능력과도 관련된다. 예를 들어, 일 예시에서,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는 시나리오-시간 매핑 관계 테이블을 저장하고, 실시예 1의 표 3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표 3의 주파수 레벨 열에서 "1"은 캐리어 주파수가 6GHz 미만인 시나리오를 나타내고 "2"는 캐리어 주파수가 6GHz 이상인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유형 1의 스위칭 기간"은 각종 스위칭 시나리오에서 능력이 높은 단말의 스위칭 기간에 대응하고, 반면에 "유형 2의 스위칭 기간"은 각종 스위칭 시나리오에서 능력이 낮은 단말의 스위칭 기간에 대응한다.
스위칭 확정 유닛(702)은 현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시나리오를 확정한 후, 자체 통신에 의해 사용되는 캐리어 주파수 대역과 자체 능력에 따라 대응하는 스위칭의 기간을 확정할 수 있다. 어느 단말이 성능이 높고 레벨 1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하며, 현재 시나리오 1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한다고 가정하면, 스위칭 확정 유닛(702)은 표 3을 조회하여 해당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대해 600us의 스위칭 기간이 필요하다고 확정할 수 있다.
스위칭 확정 유닛(702)은 스위칭 기간을 확정한 후, 스위칭 기간을 스위칭 타임 슬롯 수로 환산해야 한다. 스위칭 타임 슬롯 수는 스위칭 기간에 관련될 뿐만 아니라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도 관련됨을 이해해야 한다. 스위칭 확정 유닛(702)은 먼저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하는 타임 슬롯의 길이를 확정한 후, 스위칭 기간과 단일 타임 슬롯의 길이의 비율 값을 계산하고, 그 비율 값을 반올림하여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스위칭 확정 유닛(702)은 스위칭 타임 슬롯의 수를 계산한 후,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704)은 상기 스위칭 타임 슬롯의 수에 기반하여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의 타겟 타임 슬롯 편차의 값 즉 타겟 시간 영역 자원이 위치한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에 송신된 전송 지시 정보에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704)은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결합하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지시 정보가 DCI 정보인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DCI 정보에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도메인이 포함되고,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도메인은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행을 지정하는데 사용되며, 즉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 내의 두 개 기본 타임 슬롯 편차 중 하나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704)은 기본 타임 슬롯 편차와 스위칭 타임 슬롯 수의 합을 구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대응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할 수 있다.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704)이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는 것은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타임 슬롯 위치를 확정하기 위해서이며, 따라서 단말 측의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가 상기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도 상기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알아야 함을 이해할 수 있다. 양자가 타겟 타임 슬롯 편차에 대응하는 타겟 시간 영역 자원 위치에서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과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704)이 확정한 타겟 타임 슬롯 편차가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 측도 단말 측과 동일한 방식으로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계산해야 하며, 이는 기지국과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704)이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여 현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속하는 스위칭 시나리오를 확정하고, 동일한 스위칭 시나리오와 스위칭 기간의 매핑관계(예를 들어, 기지국도 표 3을 저장함)를 저장해야 하며, 이밖에도 기지국은 단말의 성능 등을 알아야 한다.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한 후, 단말은 타겟 타임 슬롯 편차에 대응하는 타겟 시간 영역 자원 위치에서 기지국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타겟 타임 슬롯 편차는 업 링크 타겟 타임 슬롯 편차 및/또는 다운 링크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704)에서 확정된 타겟 타임 슬롯 편차가 다운 링크 타겟 타임 슬롯 편차라고 가정하면, 단말은 대응하는 타겟 시간 영역 자원 위치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704)이 확정한 타겟 타임 슬롯 편차가 업 링크 타겟 타임 슬롯 편차이면, 단말은 대응하는 타겟 시간 영역 자원 위치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가 단말에 배치되는 경우,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 중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70), 스위칭 확정 유닛(702) 및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704)의 기능은 모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지시 검출 유닛(700)의 기능은 단말의 프로세서와 통신 유닛에 의해 공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에서, 단말측의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는 원 대역폭 부분 자원과 타겟 대역폭 자원을 통해 현재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하고, 더 나아가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은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위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일부러 설정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전용 지시행이 설정되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이 기타 전송 지시 정보의 전송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관련 방안에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항상 스위칭 전용 지시행을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필요없는 시나리오에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공간을 낭비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이는 자원 전송의 최적화하고 자원의 이용률을 향상키는데 도움이 된다.
더 나아가, 기지국은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을 구성할 때, 단말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 기간에 구성된 전송 타임 슬롯이 충족하는지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 작업이 더 간단하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하고, 컴파일하여 실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 매체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프로그램 및 시간 영역 자원 확정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실시예 2 에서 설명된 어느 하나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의 단계를 실현할 수 있다. 시간 영역 자원 확정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실시예 2 에서 설명된 어느 하나의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또한 기지국을 제공하고, 도 9에 도시된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를 참조하시기 바란다:
기지국(9)은 제1 프로세서(91), 제1 메모리(92), 제1 통신 장치(93) 및 제1 통신 버스(94)를 포함한다. 제1 통신 버스(94)는 제1 메모리(92), 제1 통신 장치(93) 및 제1 프로세서(91) 사이의 통신 연결을 각각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제1 메모리(92)는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일 수 있고, 제1 프로세서(91)는 제1 메모리(92)에 저장된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컴파하여 실행할 수 있고, 제1 통신 장치(93)의 협력하에 실시예1 및 실시예 2에서 설명된 어느 하나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단말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대역폭 부분 자원에 대해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해야 한다고 확정되는 경우, 제1 프로세서(91)는 스위칭 후 전송에 사용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하고, 제1 통신 장치(93)를, 스위칭 전에 사용되는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을 통해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 인덱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지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전송 지시 정보의 인덱스 식별자는 단말에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결정하고,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과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기반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전송 지시 정보에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가 더 포함되고, 단말은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에 따라 기지국(9)이 지정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고, 그리고,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결합하면,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할 수 있다.
기지국(9)의 제1 프로세서(91)가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전술한 각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고, 도 10은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단말(1)은 제2 프로세서(11), 제2 메모리(12), 제2 통신 장치(13), 제2 프로세서(11)및 제2 메모리(12), 제2 프로세서(11)와 제2 통신 장치(13)를 연결하기 위한 제2 통신 버스(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메모리(12)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일 수 있다. 제2 프로세서(11)는 제2 메모리(12)에 저장된 시간 영역 자원 확정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컴파일하여 실행함으로써, 제2 통신 장치(13)와 협력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설명된 어느 하나의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13)는 제2 프로세서(11)의 제어하에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프로세서(11)는 제2 통신 장치(13)가 수신한 전송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정할 수있다.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을 수행해야 한다고 확정한 경우, 제2 프로세서(11)는 전송 지시 정보가 운반하는 인덱스 식별자에 기반하여 대역폭 부분 자원의 스위칭 후 전송에 사용되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확정하고,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과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기반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한다. 이어서, 제2 프로세서(11)는 스위칭 타임 슬롯 수 및 전송 지시 정보 중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가 지정한 기본 타임 슬롯 편차에 기반하여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한다.
단말(1)의 제2 프로세서(11)가 시간 영역 자원 확정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 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라고,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는, 단말은 자체로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하고, 더 나아가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할 수 있으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 중의 스위칭 전용 지시행에 의존할 필요가 없고,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이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 대한 점유를 대폭 줄이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의 공간을 절약하며, 기타 전송 지시 정보에 보다 많는 전송 기회를 제공하며 자원의 최적화 구성을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본 분야 당업자는,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는 5G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미래의 모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분야 당업자에게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모듈 또는 각 단계는 일반적인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들은 단일 컴퓨팅 장치에 집중되거나 복수 개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분포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이들은 컴퓨터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이들은 컴퓨터 저장 매체(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특정 경우에 따라, 여기와 다른 순서로 표시되거나 설명된 단계들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개별 집적 회로 모듈로 가각 제작되거나, 이들 중 복수 개의 모듈 또는 단계는 단일 집적 회로 모듈로 제작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특정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이러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간단한 추론 또는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단말이 기지국이 송신한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전송 지시 정보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 및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를 포함함-;
    상기 단말이 원 대역폭 부분 자원 및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에 기반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의 수를 확정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원 대역폭 부분 자원과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은 각각 상기 단말이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전후에 사용하는 대역폭 부분 자원이고,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은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운반된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에 따라 확정됨-;
    상기 단말이 상기 스위칭 타임 슬롯 수 및 기본 타임 슬롯 편차에 기반하여,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타겟 타임 슬롯 편차는 상기 단말이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에 사용되고, 상기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운반된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확정됨-;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기지국이 송신한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전송 지시 정보 중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가 최대 값인 경우에 따라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 수행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1);
    상기 단말이 매핑 유형(1) 및 매핑 유형(2)에 대응하는 복조 기준 신호(DMRS)의 구성 파라미터를 각각 조회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매핑 유형(1) 및 상기 매핑 유형(2)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매핑 유형(1) 및 상기 매핑 유형(2)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매핑 유형(1) 및 상기 매핑 유형(2)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상이한 경우, 두 가지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 중의 크기가 큰 매핑 유형에 따라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2);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원 대역폭 부분 자원 및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에 기반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의 수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원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 및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현재 스위칭 시나리오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미리 저장된 스위칭 시나리오와 스위칭 기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현재 스위칭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스위칭 기간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스위칭 기간 및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스위칭 기간 및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대응하는 타임 슬롯의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스위칭 기간과 상기 타임 슬롯의 길이의 비율 값에 대해 반올림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 수를 얻는 단계; 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자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자 도메인은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적어도 2개의 기본 타임 슬롯 편차 중 하나를 지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스위칭 타임 슬롯 수 및 기본 타임 슬롯 편차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기 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자 도메인에 지시에 기반하여 시간 영역 자원 할당 테이블에서 상기 기지국이 지정한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현재 데이터 수신을 수행해야 되는 경우, 상기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DMRS의 유형 및 DMRS의 최대 길이를 포함하고;
    현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해야 되는 경우, 상기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DMRS의 유형, DMRS의 최대 길이 및 PUSCH-tp의 인에이블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업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 또는 다운 링크 기본 타임 슬롯 편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
  7.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지시 정보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
  8. 정보 획득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전송 지시 정보 중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가 최대 값인 경우에 따라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 수행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1);
    상기 단말이 매핑 유형(1) 및 매핑 유형(2)에 대응하는 복조 기준 신호(DMRS)의 구성 파라미터를 각각 조회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매핑 유형(1) 및 상기 매핑 유형(2)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매핑 유형(1) 및 상기 매핑 유형(2)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매핑 유형(1) 및 상기 매핑 유형(2)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상이한 경우, 두 가지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 중의 크기가 큰 매핑 유형에 따라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2);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기지국이 송신한 전송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획득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현재 데이터 수신을 수행해야 되는 경우, 상기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DMRS의 유형 및 DMRS의 최대 길이를 포함하고;
    현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해야 되는 경우, 상기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DMRS의 유형, DMRS의 최대 길이 및 PUSCH-tp의 인에이블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획득 방법.
  10. 기지국이 송신한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지시 검출 유닛-여기서 상기 전송 지시 정보는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 및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를 포함함-;
    원 대역폭 부분 자원 및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에 기반하여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에 필요한 스위칭 타임 슬롯의 수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스위칭 확정 유닛-여기서, 상기 원 대역폭 부분 자원과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은 각각 단말이 금번의 대역폭 부분 자원 스위칭 전후에 사용하는 대역폭 부분 자원이고,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은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운반된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의 인덱스 식별자에 따라 확정됨-;
    상기 스위칭 타임 슬롯 수 및 기본 타임 슬롯 편차에 기반하여, 타겟 타임 슬롯 편차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타겟 타임 슬롯 확정 유닛-여기서 상기 타겟 타임 슬롯 편차는 상기 단말이 상기 타겟 대역폭 부분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에 사용되고, 상기 기본 타임 슬롯 편차는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운반되는 상기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확정됨-; 을 포함하고,
    여기서, 지시 검출 유닛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전송 지시 정보 중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가 최대 값인 경우에 따라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 수행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1);
    상기 단말이 매핑 유형(1) 및 매핑 유형(2)에 대응하는 복조 기준 신호(DMRS)의 구성 파라미터를 각각 조회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매핑 유형(1) 및 상기 매핑 유형(2)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매핑 유형(1) 및 상기 매핑 유형(2)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매핑 유형(1) 및 상기 매핑 유형(2)에 대응하는 DMRS 구성 파라미터에서, 안테나 포트 도메인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상이한 경우, 두 가지 매핑 유형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도메인 중의 크기가 큰 매핑 유형에 따라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2);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원 대역폭 부분 자원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전송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을 통해 기지국이 송신한 전송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영역 자원 확정 장치.
  11.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장치 및 통신 버스를 포함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버스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통신 장치 사이의 연결 및 통신을 실현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간 영역 자원 확정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13.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장치 및 통신 버스를 포함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버스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통신 장치 사이의 연결 및 통신을 실현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제8 항 또는 제 9항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8 항 또는 제 9항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15. 삭제
KR1020207035721A 2018-05-11 2019-05-09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및 확정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 KR102579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49607.6 2018-05-11
CN201810449607.6A CN110475347B (zh) 2018-05-11 2018-05-11 时域资源分配、确定方法、装置、基站、终端及存储介质
PCT/CN2019/086087 WO2019214657A1 (zh) 2018-05-11 2019-05-09 时域资源分配、确定方法、装置、基站、终端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856A KR20210008856A (ko) 2021-01-25
KR102579781B1 true KR102579781B1 (ko) 2023-09-18

Family

ID=6846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721A KR102579781B1 (ko) 2018-05-11 2019-05-09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및 확정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470590B2 (ko)
EP (1) EP3793290A4 (ko)
JP (1) JP7291155B2 (ko)
KR (1) KR102579781B1 (ko)
CN (2) CN117939649A (ko)
SG (1) SG11202011095TA (ko)
WO (1) WO2019214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2001B2 (en) 2018-04-05 2021-06-08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parameter management for bandwidth part switching
CN117939649A (zh) * 2018-05-11 2024-04-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获取信息的方法、终端及存储介质
WO2021114142A1 (zh) * 2019-12-11 2021-06-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场景切换方法、装置、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3329495B (zh) * 2020-02-29 2022-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1953549A (zh) * 2020-08-21 2020-11-17 上海海事大学 一种用于海事边缘节点的在线优化资源管理办法
CN113453361B (zh) * 2021-06-28 2022-07-05 中信科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时域资源指示方法及系统
CN113825240B (zh) * 2021-09-15 2024-04-05 杭州阿里云飞天信息技术有限公司 资源分配方法及基站设备
CN116419408A (zh) * 2021-12-28 2023-07-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参考信号端口指示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4466226B (zh) * 2022-01-28 2023-12-08 杭州灵伴科技有限公司 带宽时长占比确定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6939853A (zh) * 2022-04-08 2023-10-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WO2023195821A1 (en) * 2022-04-08 2023-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terpre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7882343A (zh) * 2022-08-11 2024-04-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时域资源分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6076B (zh) * 2009-11-20 2015-11-25 夏普株式会社 一种解调参考信号的资源分配通知方法
US9584290B2 (en) * 2009-12-08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carrier activation/deactiv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20010099A (ko) 2010-07-22 2012-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312391B (zh) * 2012-03-09 2018-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解调参考信号配置信令的通知方法、装置及接收装置
WO2014035085A1 (ko) * 2012-08-28 201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검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035601A1 (zh) * 2013-09-13 2015-03-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道带宽切换的方法及网络设备
CN104936162A (zh) * 2014-03-21 2015-09-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邻小区传输参数配置方法、确定方法及相关装置
CN106341847B (zh) * 2015-07-14 2019-09-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多用户传输中指示资源分配信息的方法及接入点
EP3282633B1 (en) * 2016-08-12 2020-08-05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numerology bandwid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59097B2 (en) * 2016-09-30 2018-12-1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and determination of slot and mini-slot structure
EP4266637A3 (en) * 2016-10-07 2024-01-03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for frequency offset estimation in new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99371B2 (en) * 2016-11-03 201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flexible data transmissions and receptions in next generation cellular networks
CA3022159A1 (en) * 2017-10-26 2019-04-2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configured grant
CA3022244A1 (en) * 2017-10-27 2019-04-2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Group common dci for wireless resources
AU2018407188A1 (en) * 2018-02-08 2020-09-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hannel detec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0772074B2 (en) * 2018-02-16 2020-09-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reporting sub-band channel quality indicator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20190313385A1 (en) * 2018-04-05 2019-10-10 Qualcomm Incorporated Compact dci for urllc
US11032001B2 (en) * 2018-04-05 2021-06-08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parameter management for bandwidth part switching
US10615916B2 (en) * 2018-04-06 2020-04-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transmission of failed transport block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CN117939649A (zh) * 2018-05-11 2024-04-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获取信息的方法、终端及存储介质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1347*
3GPP R1-1804809*
3GPP R1-18057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70590B2 (en) 2022-10-11
CN110475347A (zh) 2019-11-19
JP2021521731A (ja) 2021-08-26
US20230007649A1 (en) 2023-01-05
WO2019214657A1 (zh) 2019-11-14
US20210235440A1 (en) 2021-07-29
JP7291155B2 (ja) 2023-06-14
CN110475347B (zh) 2024-02-20
CN117939649A (zh) 2024-04-26
EP3793290A4 (en) 2022-01-26
EP3793290A1 (en) 2021-03-17
US11778622B2 (en) 2023-10-03
KR20210008856A (ko) 2021-01-25
SG11202011095TA (en)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9781B1 (ko) 시간 영역 자원 할당 및 확정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
KR10197985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과 d2d 단말이 효율적으로 d2d 통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KR102647886B1 (ko) V2x 시스템에서 dmrs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US2011025542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ondary Bandwidth Detection and Allocation
US11184915B2 (en) Sidelink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equipment
US1065284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mmon control information, method for receiving common control information, base st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12526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ndwid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129600A (ko) 초기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KR102381362B1 (ko) 협대역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이용가능한 채널로의 튜닝
JP7321262B2 (ja) 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14071688A (zh) 一种同步信号块的传输方法和通信装置
JP2020513174A5 (ko)
CN113796109B (zh) 用户装置以及基站装置
JP2018537907A (ja) スケジューリング情報送信方法および装置
US20220345906A1 (en)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EP4307824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0291733A (zh) 无授权传输方法、用户终端和基站
EP4062694A1 (en) Group rnti update at beam change
CN114208327A (zh) 终端以及通信方法
CN114503724A (zh) 终端及发送方法
CN113348653A (zh) 用户装置以及基站装置
WO2022074842A1 (ja) 端末
WO2023012909A1 (ja) 端末、及び基地局
WO2022085201A1 (ja) 端末
EP4135440A1 (en) Terminal and base st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