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580B1 - 진수 및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진수 및 회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9580B1 KR102579580B1 KR1020220044144A KR20220044144A KR102579580B1 KR 102579580 B1 KR102579580 B1 KR 102579580B1 KR 1020220044144 A KR1020220044144 A KR 1020220044144A KR 20220044144 A KR20220044144 A KR 20220044144A KR 102579580 B1 KR102579580 B1 KR 1025795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n
- covering
- zipper
- modul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3 clad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66 de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12—Chain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진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체인, 및 결합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체인과 지퍼 형태로 결합하는 제2 체인을 포함하는 강성 모듈; 및 상기 강성 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피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모듈은, 상기 제1 체인 및 제2 체인이 상기 결합 지점을 기준으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결합하는 제1 동작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분리되는 제2 동작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며, 상기 피복 모듈은,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체인 및 제2 체인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피복부; 및 서로 결합된 제1 체인 및 제2 체인의 일단인 제1 부분과 상기 피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시,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복부가 상기 연결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점진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2 동작 시,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복부가 상기 연결부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점진적으로 회수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래의 설명은 진수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에 배치되는 쉬스관 내부는 그리스(grease)로 충전된다. 다양한 시공 과정에서 쉬스관이 손상되는 경우, 쉬스관 내부에는 그리스의 누유로 인한 공극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극에 물, 염화물 등이 유입된다면, PS 강재(prestressing steel)의 부식 또는 파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쉬스관 내부에 공극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그리스를 다시 주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공극의 발생을 검출하기 위하여 쉬스관 내부를 육안으로 직접 관찰하는 방법이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쉬스관의 파손이 불가피하며,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 외에 여러가지 비파괴 조사 방법이 있으나, 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센서가 포함된 구조물 등을 직접 쉬스관 내부로 삽입시켜 공극 발생 여부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다만, 구조물을 쉬스관 내부로 밀어넣는 과정에서 그리스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이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그리스와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접촉 물체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진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소형화에 유리한 진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내구도가 향상된 진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는, 제1 체인, 및 결합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체인과 지퍼 형태로 결합하는 제2 체인을 포함하는 강성 모듈; 및 상기 강성 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피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모듈은, 상기 제1 체인 및 제2 체인이 상기 결합 지점을 기준으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결합하는 제1 동작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분리되는 제2 동작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며, 상기 피복 모듈은,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체인 및 제2 체인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피복부; 및 서로 결합된 제1 체인 및 제2 체인의 일단인 제1 부분과 상기 피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시,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복부가 상기 연결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점진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2 동작 시,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복부가 상기 연결부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점진적으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피복부에는 서로 지퍼 형태로 결합이 가능한 한 쌍의 지퍼요소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한 쌍의 지퍼요소를 지퍼 형태로 결합하기 위한 지퍼 슬라이더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동작 시, 상기 연결부의 외부로 점진적으로 노출되는 상기 한 쌍의 지퍼요소는 상기 지퍼 슬라이더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제2 동작 시, 상기 연결부의 내부로 점진적으로 회수되는 상기 한 쌍의 지퍼요소는 상기 지퍼 슬라이더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피복 모듈은, 상기 피복부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피복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부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피복부의 타단은 상기 토션 스프링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인의 타단은 제1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보관되며, 상기 제2 체인의 타단은 제2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는 접촉 물체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는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는 내구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복 모듈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작 과정에서 도 1의 Ⅰ-Ⅰ' 부분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작 과정에서 도 1의 Ⅱ-Ⅱ' 부분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동작 과정에서 도 1의 Ⅰ-Ⅰ' 부분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동작 과정에서 도 1의 Ⅱ-Ⅱ' 부분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측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복 모듈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작 과정에서 도 1의 Ⅰ-Ⅰ' 부분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작 과정에서 도 1의 Ⅱ-Ⅱ' 부분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동작 과정에서 도 1의 Ⅰ-Ⅰ' 부분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동작 과정에서 도 1의 Ⅱ-Ⅱ' 부분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측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복 모듈의 일부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작 과정에서 도 1의 Ⅰ-Ⅰ' 부분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작 과정에서 도 1의 Ⅱ-Ⅱ' 부분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고,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동작 과정에서 도 1의 Ⅰ-Ⅰ' 부분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동작 과정에서 도 1의 Ⅱ-Ⅱ' 부분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의 일부의 측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1)는 접촉하는 물체(O)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진수 및 회수 장치(1)는 적어도 일부가 지정된 방향을 따라 연장 또는 후퇴하도록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진수 및 회수 장치(1)의 적어도 일부는 지정된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수 및 회수 장치(1)는 형태를 변형시키면서 주위의 다양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수 및 회수 장치(1)는 원자력 발전소에 배치되는 쉬스관 내부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수 및 회수 장치(1)는 쉬스관 내부에서 그리스 누유에 의해 발생되는 공극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극 내부에 물, 염화물 등이 유입되어 발생하는 PS 강재의 부식 또는 파단 현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진수 및 회수 장치(1)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원자력 발전소 분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건설 및 교통 분야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수 및 회수 장치(1)는 강성 모듈(11) 및 피복 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강성 모듈(11)은 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강성 모듈(11)은 진수 및 회수 장치(1)의 뼈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진수 및 회수 장치(1)는 외부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자유롭게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복 모듈(12)은 강성 모듈(11)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피복 모듈(12)은 외부의 이물질이 진수 및 회수 장치(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복 모듈(12)은 진수 및 회수 장치(1)의 내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성 모듈(11)은 한 쌍의 체인(111-1, 111-2), 한 쌍의 권취 가이드(112-1, 112-2) 및 한 쌍의 스프로킷(113-1, 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체인(111-1, 111-2)은 서로 지퍼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체인(111-1) 및 제2 체인(111-2)은 결합 지점(P)을 기준으로 서로 지퍼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결합된 제1 체인(111-1) 및 제2 체인(111-2)은 전면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서 길이 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로 결합된 제1 체인(111-1) 및 제2 체인(111-2)의 일단인 제1 부분(111A)에는 연결부(123)가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체인(111-1) 중 제2 체인(111-2)과 결합하지 않은 부분을 제1 비결합 체인(1111-1)이라고 지칭하며, 제2 체인(111-2) 중 제1 체인(111-1)과 결합하지 않은 부분을 제2 비결합 체인(1111-2)이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비결합 체인(1111-1) 및 제2 비결합 체인(1111-2)은 결합 지점(P)을 기준으로 서로 분기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비결합 체인(1111-1)은 결합 지점(P)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되며, 제2 비결합 체인(1111-2)은 결합 지점(P)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예: +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체인(111-1)의 타단은 제1 축(X1)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보관되며, 제2 체인(111-2)의 타단은 제2 축(X2)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X1) 및 제2 축(X2)은 베이스에 수직한 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도 2와 같이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비결합 체인(1111-1)은 결합 지점(P)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예: -Y축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만큼 길이방향을 갖으며, 제1 비결합 체인(1111-1)의 단부는 제1 축(X1)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보관될 수 있다. 제2 비결합 체인(1111-2)은 결합 지점(P)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예: +Y축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만큼 길이방향을 갖으며, 제2 비결합 체인(1111-2)의 단부는 제2 축(X2)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진수 및 회수 장치(1)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권취 가이드(112-1, 112-2)는 한 쌍의 체인(111-1, 111-2)이 권취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제1 권취 가이드(112-1)는 제1 비결합 체인(1111-1)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축(X1)을 중심으로 권취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제2 권취 가이드(112-2)는 제2 비결합 체인(1111-2)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축(X2)을 중심으로 권취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진수 및 회수 장치(1)의 동작 과정에서, 제1 비결합 체인(1111-1) 및 제2 비결합 체인(1111-2)이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진수 및 회수 장치(1)의 내구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스프로킷(113-1, 113-2)은 회전을 통하여 한 쌍의 체인(111-1, 111-2)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스프로킷(113-1, 113-2)은 결합 지점(P)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프로킷(113-1)은 제1 체인(111-1)이 제2 체인(111-2)과 결합하는 경계에서, 외주면이 제1 체인(111-1)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프로킷(113-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톱니가 제1 체인(111-1)의 일측에 형성되는 홈에 맞물리며, 제1 스프로킷(113-1)이 회전함에 따라 제1 체인(111-1)이 이동할 수 있다. 제2 스프로킷(113-2)은 제2 체인(111-2)이 제1 체인(111-1)과 결합하는 경계에서, 외주면이 제2 체인(111-2)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프로킷(113-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톱니가 제2 체인(1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홈에 맞물리며, 제2 스프로킷(113-2)이 회전함에 따라 제2 체인(111-2)이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강성 모듈(11)은 제1 동작 및 제2 동작 사이에서 전환 가능할 수 있다. 제1 동작 시, 도 2와 같이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스프로킷(113-1)은 시계 방향(예: -Z축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스프로킷(113-2)은 반시계 방향(예: +Z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1 체인(111-1) 및 제2 체인(111-2)이 결합 지점(P)을 기준으로 제1 방향(D1)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2 동작 시, 제1 스프로킷(113-1)은 반시계 방향(예: +Z축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스프로킷(113-2)은 시계 방향(예: -Z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1 체인(111-1) 및 제2 체인(111-2)이 결합 지점(P)을 기준으로 제1 방향(D1)에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피복 모듈(12)은 고정부(121), 피복부(122), 연결부(123) 및 장력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121)는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부분(111A)은 고정부(121)를 기준으로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상대운동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121)는 피복부(122)의 일단(122A)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121)는 고정 프레임(1211) 및 고정부재(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프레임(1211)은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프레임(1211)의 일측에는 고정 홀(1211H)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D1)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고정 홀(1211H)의 면적은 서로 결합된 제1 체인(111-1) 및 제2 체인(111-2)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서로 결합된 제1 체인(111-1) 및 제2 체인(111-2)의 적어도 일부는 고정 홀(1211H)을 통과하며, 제1 부분(111A)이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212)는 피복부(122)의 일단(122A)을 고정 프레임(12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프레임(1211) 및 고정부재(1212)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피복부(122)의 일단(122A)은 고정 프레임(1211) 및 고정부재(1212)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부(121)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피복부(122)의 일단(122A)이 고정부(121)에 고정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부(121) 및 피복부(122)의 일단(122A)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복부(122)는 일단이 고정부(121)에 고정되며, 제1 체인(111-1) 및 제2 체인(111-2)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피복부(122)의 일측에는 서로 지퍼 형태로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지퍼요소(1221)이 형성될 수 있다. 강성 모듈(11)의 제1 동작 및 제2 동작에 따라 한 쌍의 지퍼요소(1221)은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123)는 제1 부분(111A) 및 피복부(122)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23)의 일측은 제1 부분(111A)에 고정되며, 연결부(123)의 타측은 피복부(122)와 서로 미끄러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123)에는 피복부(122)의 한 쌍의 지퍼요소(1221)을 지퍼 형태로 결합하기 위한 지퍼 슬라이더(12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피복부(122)가 연결부(123)에 대하여 미끄럼운동 하면서, 지퍼 슬라이더(1231)는 한 쌍의 지퍼요소(1221)을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123)는 피복 연결부(1232) 및 체인 연결부(1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복 연결부(1232)는 피복부(122)와 서로 미끄러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복 연결부(1232)의 일측에는 연결 홀(123H)이 형성될 수 있다. 피복부(122)는 피복 연결부(1232)를 감싸는 방식으로 피복 연결부(12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피복부(122)는 일단이 고정부(121)에 고정되고, 피복 연결부(1232)의 외부 및 내부를 감싸며, 연결 홀(123H) 및 고정 홀(1211H)을 통과할 수 있다. 피복 연결부(1232)에는 지퍼 슬라이더(1231)가 형성되며, 피복부(122)의 한 쌍의 지퍼요소(1221)을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인 연결부(1233)는 체인 및 피복 연결부(123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복 연결부(1232)에는 일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제1 홈(1232R)이 형성되며, 체인 연결부(1233)에는 돌출부재(123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232R) 및 돌출부재(12331)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돌출부재(12331)가 제1 홈(1232R)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체인 연결부(1233) 및 피복 연결부(1232)는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인 연결부(1233)는 한 쌍의 체인(111-1, 111-2)에 고정될 수 있다. 체인 연결부(1233)에는 일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제2 홈(1233R)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D1)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제2 홈(1233R)의 형상은 제1 부분(111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부분(111A)이 제2 홈(1233R)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체인 연결부(1233)는 한 쌍의 체인(111-1, 111-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성 모듈(11)의 제1 동작 시 작동 과정을 알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동작 시, 서로 결합된 한 쌍의 체인(111-1, 111-2)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부분(111A)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123)도 함께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123)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부(123)를 감싸고 있는 피복부(122)는 연결부(123)의 내부로부터 연결부(123)의 외부로 점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23) 내부에서 분리되어 있던 지퍼요소(1221B)은 연결부(123)의 외부로 점진적으로 노출되면서 지퍼 슬라이더(1231)를 거쳐 연결부(123)의 외부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부분(111A)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더라도, 피복부(122) 및 피복부(122)와 접촉하는 물체(O) 사이에서 미끄럼 운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강성 모듈(11)의 제1 동작 시, 진수 및 회수 장치(1)와 접촉하는 물체(O)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수 및 회수 장치(1)의 제2 동작 시 작동 과정을 알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동작 시, 서로 결합된 한 쌍의 체인(111-1, 111-2)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부분(111A)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123)도 함께 제2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123)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부(123)를 감싸고 있는 피복부(122)는 연결부(123)의 외부로부터 연결부(123)의 내부로 점진적으로 회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23) 외부에서 결합되어 있던 지퍼요소(1221A)은 연결부(123)의 내부로 점진적으로 회수되면서 지퍼 슬라이더(1231)를 거쳐 연결부(123)의 내부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부분(111A)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더라도, 피복부(122) 및 피복부(122)와 접촉하는 물체(O) 사이에서 미끄럼 운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진수 및 회수 장치(1)의 제2 동작 시, 접촉하는 물체(O)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력부(124)는 피복부(122)에 제2 방향(D2)으로 장력을 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복부(122)의 타단은 장력부(124)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피복부(122)는, 일단이 고정부(121)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부가 연결부(123)를 감싸고, 타단이 고정 홀(1211H)을 통과하여 장력부(124)에 고정될 수 있다. 강성 모듈(11)의 제1 동작 또는 제2 동작 시, 장력부(124)는 피복부(122)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피복부(122)에 제2 방향(D2)으로 장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성 모듈(11)이 제1 동작 또는 제2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피복부(122)에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력부(124)는 토션 스프링(12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피복부(122)의 타단은 토션 스프링(1241)에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장력부(124)의 크기가 소형화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장력부(124)가 피복부(122)에 장력을 가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진수 및 회수 장치
11: 강성 모듈
111-1: 제1 체인
111-2: 제2 체인
112-1: 제1 권취 가이드
112-2: 제2 권취 가이드
113-1: 제1 스프로킷
113-2: 제2 스프로킷
12: 피복 모듈
121: 고정부
122: 피복부
123: 연결부
124: 장력부
11: 강성 모듈
111-1: 제1 체인
111-2: 제2 체인
112-1: 제1 권취 가이드
112-2: 제2 권취 가이드
113-1: 제1 스프로킷
113-2: 제2 스프로킷
12: 피복 모듈
121: 고정부
122: 피복부
123: 연결부
124: 장력부
Claims (5)
- 제1 체인, 및 결합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체인과 지퍼 형태로 결합하는 제2 체인을 포함하는 강성 모듈; 및
상기 강성 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피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모듈은,
상기 제1 체인 및 제2 체인이 상기 결합 지점을 기준으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결합하는 제1 동작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분리되는 제2 동작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며,
상기 피복 모듈은,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체인 및 제2 체인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피복부; 및
서로 결합된 제1 체인 및 제2 체인의 일단인 제1 부분과 상기 피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시,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복부가 상기 연결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점진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2 동작 시,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복부가 상기 연결부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점진적으로 회수되는, 진수 및 회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에는 서로 지퍼 형태로 결합이 가능한 한 쌍의 지퍼요소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한 쌍의 지퍼요소를 지퍼 형태로 결합하기 위한 지퍼 슬라이더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동작 시, 상기 연결부의 외부로 점진적으로 노출되는 상기 한 쌍의 지퍼요소는 상기 지퍼 슬라이더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제2 동작 시, 상기 연결부의 내부로 점진적으로 회수되는 상기 한 쌍의 지퍼요소는 상기 지퍼 슬라이더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진수 및 회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모듈은,
상기 피복부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피복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부를 더 포함하는, 진수 및 회수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피복부의 타단은 상기 토션 스프링에 권취되는, 진수 및 회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인의 타단은 제1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보관되며,
상기 제2 체인의 타단은 제2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보관되는, 진수 및 회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4144A KR102579580B1 (ko) | 2022-04-08 | 2022-04-08 | 진수 및 회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4144A KR102579580B1 (ko) | 2022-04-08 | 2022-04-08 | 진수 및 회수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9580B1 true KR102579580B1 (ko) | 2023-09-18 |
Family
ID=8819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4144A KR102579580B1 (ko) | 2022-04-08 | 2022-04-08 | 진수 및 회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958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0159U (ko) * | 1986-04-08 | 1988-02-17 |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 표면형 파스너용 케이스 |
KR200349617Y1 (ko) * | 2003-12-30 | 2004-05-10 | 김덕준 | 체결장치를 구비한 단열재 |
US9441772B2 (en) * | 2012-05-23 | 2016-09-13 | UPSCO,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pipe installed underground |
KR20200090301A (ko) * | 2019-01-18 | 2020-07-29 | 임영주 | 체인형 액추에이터 |
-
2022
- 2022-04-08 KR KR1020220044144A patent/KR1025795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0159U (ko) * | 1986-04-08 | 1988-02-17 |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 표면형 파스너용 케이스 |
KR200349617Y1 (ko) * | 2003-12-30 | 2004-05-10 | 김덕준 | 체결장치를 구비한 단열재 |
US9441772B2 (en) * | 2012-05-23 | 2016-09-13 | UPSCO,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pipe installed underground |
KR20200090301A (ko) * | 2019-01-18 | 2020-07-29 | 임영주 | 체인형 액추에이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41089B2 (en) | Actuator | |
US7551517B2 (en) | Seabed seismic station packaging | |
KR102579580B1 (ko) | 진수 및 회수 장치 | |
CN102681140B (zh) | 具有集成保护膜的自动聚焦‑变焦致动器或照相机模块污染减少特征 | |
HUP0500592A2 (hu) | Kábelrendező panel optikai szálas kábelekhez | |
CN105378529A (zh) | 光纤多端口件 | |
DE69425694D1 (de) | Hochgeschwindigkeitskopiergerät für zusammengesetzte Bilder | |
FR2906887B1 (fr) | Dispositif de transport d'une substance muni d'un detecteur optique de fuite | |
ATE454961T1 (de) | Fasern umfassendes gelenkglied und gelenkstruktur und solch ein gelenkglied umfassende(r) roboter oder haptische schnittstelle | |
US20110090331A1 (en) | Articulating imager for video borescope | |
US20190072998A1 (en) | Sliding device for mobile device | |
KR101618229B1 (ko) | 교량받침용 이동량 게이지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 | |
CN110537077A (zh) | 载荷支承结构 | |
ES2123722T3 (es) | Dispositivo para ensamblar dos elementos de tunel. | |
JP2016098944A (ja) | シール装置および歯車伝動装置 | |
ATE447460T1 (de) | Schutzabdeckvorrichtung für maschinen oder anlagen | |
KR102378323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
DE60326296D1 (de) | Autofokus- und Belichtungssensor für eine Kamera | |
US20240085480A1 (en) | Inspection device for rotary electric machine, inspection system for rotary electric machine, inspection method for rotary electric machine, and rotary electric machine to be inspected using inspection device | |
KR20230057274A (ko) | 가변형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 | |
FR3097691B1 (fr) | Dispositif d'assemblage de deux guides d'ondes | |
WO2009057120A3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vivo analysis | |
CN105509591A (zh) | 位置测量机构 | |
US11821159B2 (en) | Reinforcement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 |
DK1223590T3 (da) | Fremgangsmåde til fermstilling af et superledende kab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