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488B1 - 계량기용 봉인장치 - Google Patents

계량기용 봉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488B1
KR102579488B1 KR1020230094726A KR20230094726A KR102579488B1 KR 102579488 B1 KR102579488 B1 KR 102579488B1 KR 1020230094726 A KR1020230094726 A KR 1020230094726A KR 20230094726 A KR20230094726 A KR 20230094726A KR 102579488 B1 KR102579488 B1 KR 102579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ousing
coupling
screw
sea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4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2103A (ko
Inventor
조휴윤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30094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488B1/ko
Publication of KR20230112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6Windows; Cover glasses; Sealing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계량기용 봉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계량기용 봉인장치는: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과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제1하우징과 연결되고, 결합홈부와, 결합홈부와 연결되는 스프링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봉인몸체부와, 제1하우징의 제1하우징결합부와, 제2하우징의 제2하우징결합부에 결합되고, 결합홈부에 삽입되며, 스프링결합홀부를 구비하는 봉인나사부와, 봉인몸체부에 결합되며, 스프링가이드홈부에 배치되며, 탄성복원력으로 스프링결합홀부에 체결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스프링부는 봉인몸체부에 매립 사출 성형되는 스프링본체부와, 스프링본체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스프링가이드홈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연장부와, 한 쌍의 스프링연장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스프링결합홀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스프링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량기용 봉인장치{LOCKING APPARTUS FOR ELECTRONIC METER}
본 발명은 계량기용 봉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봉인 시공이 쉬우며, 부품이 절감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량기는 전기 요금, 수도 요금 등을 부과하기 위해 고객의 전기 소비량, 수도 소비량 등을 측정하는 기본 계측 장비이다. 계량기는 주로 옥외에 설치되므로 단자부의 도전 방지, 도수 방지 등을 위해 하우징으로 보호하며 고객이 임의로 계량기를 조작 또는 변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에 봉인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봉인장치는 잠금블록을 누르면 결합공에 잠금핀이 삽입되지 않고 봉인된 경우가 많아 시공한 잠금블록을 일정압력으로 당겨 봉인의 적정 체결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조금만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봉인장치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봉인 유무를 정확하게 확인하지 않은 경우 봉인장치가 불량 시공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계량기가 밀집 배치된 경우에는 손가락을 넣어 봉인을 확인할 공간이 부족하므로 봉인 상태를 확인하기 할 수 없어 불량 시공이 빈발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봉인장치는 잠금블록, 잠금핀 등 부품수가 많으므로, 부품 조립과정이 복잡하고 부품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8964호(발명의 명칭: 계량기 하우징용 잠금장치, 등록일: 2006.07.0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봉인 시공이 쉬우며, 부품이 절감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계량기용 봉인장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연결되고, 결합홈부와, 상기 결합홈부와 연결되는 스프링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봉인몸체부; 상기 제1하우징의 제1하우징결합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제2하우징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며, 스프링결합홀부를 구비하는 봉인나사부; 및 상기 봉인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가이드홈부에 배치되며,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스프링결합홀부에 체결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봉인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가이드홈부는 한 쌍으로 상기 결합홈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봉인몸체부에 매립 사출 성형되는 스프링본체부; 상기 스프링본체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홈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연장부; 및 한 쌍의 상기 스프링연장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스프링결합홀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스프링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가이드홈부는 상기 결합홈부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봉인몸체부에 매립 사출 성형되는 스프링본체부; 상기 스프링본체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탄성변형가능하며, 상기 스프링가이드홈부에 배치되는 스프링연장부; 및 상기 스프링연장부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스프링결합홀부에 체결되는 스프링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결합부는 상기 스프링연장부에서 상기 스프링본체부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인나사부는, 상기 스프링결합홀부가 형성되고, 나사홈부가 구비되는 나사머리부; 및 상기 나사머리부와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는 봉인몸체부에 매립 사출성형된 스프링부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봉인나사부의 스프링결합홀부에 체결됨에 따라 쉽게 봉인할 수 있으며, 잠금블록, 잠금핀 등의 부품을 가져 봉인을 체결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부품수가 줄어들어 부품조립과정이 단순하고, 부품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가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의 체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D-D'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의 체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가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의 체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1)는 봉인몸체부(100), 봉인나사부(200) 및 스프링부(300)를 포함한다. 봉인몸체부(100)에는 결합홈부(110)와, 결합홈부(110)와 연결되는 스프링가이드홈부(120)가 형성된다. 즉, 봉인몸체부(100)에는 결합홈부(110) 및 스프링가이드홈부(120)는 일체로 형성된다. 봉인몸체부(100)는 하우징(10)의 제1하우징(11)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은 계량기(미도시)를 보호하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11)은 제1하우징본체(11a)와 제1하우징결합부(11b)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본체(11a)에는 봉인몸체부(100)가 결합된다. 제1하우징결합부(11b)는 판 형상으로 제1하우징본체(11a)와 연결되며, 후술된 봉인나사부(200)가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결합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제2하우징(12)은 제2하우징본체(12a)와 제2하우징결합부(12b)를 포함한다. 제2하우징본체(12a)는 제1하우징본체(11a)와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하우징결합부(12b)는 판 형상으로 제2하우징본체(12a)와 연결되며, 후술된 봉인나사부(200)가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결합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봉인몸체부(100)의 결합홈부(110)에 후술된 봉인나사부(200)가 삽입되며, 스프링가이드홈부(120)에는 후술된 스프링부(300)가 배치된다. 이때, 봉인나사부(200)는 하우징(10)의 제1하우징(11)에 구비되는 제1하우징결합부(11b)와, 하우징(10)의 제2하우징(12)에 구비되는 제2하우징결합부(12b)에 나사결합된다.
봉인몸체부(100)에는 절개홈부(130)가 형성된다. 절개홈부(130)는 봉인몸체부(100)의 외측면에 봉인 파손시 절단을 쉽게 하기 위해 형성된다. 절개홈부(130)는 결합홈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요입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계량기용 봉인장치(1)를 당기거나 비트는 등 봉인몸체부(100)에 외력을 가하면, 봉인몸체부(100)는 절개홈부(130)를 따라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스프링가이드홈부(120)는 한 쌍으로 결합홈부(110)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된다. 일 예로, 결합홈부(1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가이드홈부(120)는 결합홈부(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프링가이드홈부(120)에는 스프링부(300)의 스프링연장부(320) 및 스프링결합부(330)가 각각 배치된다.
봉인나사부(200)는 결합홈부(110)에 삽입되며, 스프링결합홀부(211)를 구비한다. 봉인나사부(200)는 나사머리부(210)와 나사몸체부(220)를 포함한다. 나사머리부(210)는 스프링결합홀부(211)가 형성되고, 나사홈부(212)가 구비된다. 나사홈부(212)는 나사머리부(210)의 상측면(도 2, 3 기준)에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장착된다. 스프링결합홀부(211)는 나사홈부(212)의 하부에(도 2, 3 기준) 위치되고, 나사머리부(210)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된 스프링부(300)의 양단부가 체결된다.
나사몸체부(220)는 나사머리부(210)와 연결되고, 나사산(221)이 형성된다. 나사몸체부(220)는 나사머리부(210)에서 하측으로(도 2, 3 기준) 연장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221)이 형성된다. 나사산(221)은 하우징에 나사체결된다.
스프링부(300)는 봉인몸체부(100)에 결합되며, 스프링가이드홈부(120)에 배치되며, 탄성복원력으로 스프링결합홀부(211)에 체결된다. 스프링부(300)는 봉인몸체부(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스프링부(300)는 스프링본체부(310), 한 쌍의 스프링연장부(320) 및 한 쌍의 스프링결합부(330)를 포함한다. 스프링본체부(310)는 봉인몸체부(100)에 매립 사출성형된다.
한 쌍의 스프링연장부(320)는 스프링본체부(310)의 양단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스프링가이드홈부(120)에 배치된다. 한 쌍의 스프링연장부(320)는 스프링본체부(310)의 양단부에서 하측으로(도 4 기준) 연장형성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 쌍의 스프링연장부(320)는 결합홈부(110)로 봉인나사부(200)가 삽입될 때 탄성변형되며, 봉인나사부(200)가 결합홈부(110)로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한 쌍의 스프링결합부(330)는 한 쌍의 스프링연장부(320)에서 각각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스프링결합홀부(211)에 체결된다. 스프링결합부(330)는 스프링연장부(320)에서 스프링본체부(310)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스프링결합부(330)는 스프링연장부(320)와의 각도(θ)가 예각을 이룬다.
이로 인해, 스프링결합부(330)는 결합홈부(110)로 봉인나사부(200)가 삽입완료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스프링결합홀부(211)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나아가, 스프링결합부(330)가 스프링결합홀부(211)에 체결되는 봉인 시공과정을 거치므로, 스프링결합부(330)가 스프링결합홀부(211)에 체결되는 여부를 확인 및 감지할 수 있어 불량 시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계량기용 봉인장치(1)는 봉인몸체부(100)에 매립 사출성형된 스프링부(30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봉인나사부(200)의 스프링결합홀부(211)에 체결되는 장치로, 잠금블록, 잠금핀 등의 부품을 가져 봉인을 체결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부품수가 줄어들어 부품조립과정이 단순하고, 부품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C-C'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D-D'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의 체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제2실시예의 내용 중 제1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2)에서 스프링가이드홈부(120)는 하나로 결합홈부(110)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스프링부(300)는 스프링본체부(310), 스프링연장부(320) 및 스프링결합부(330)를 포함한다. 스프링본체부(310)는 봉인몸체부(100)에 매립 사출성형된다.
스프링연장부(320)는 스프링본체부(310)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스프링가이드홈부(120)에 배치된다. 한 쌍의 스프링연장부(320)는 스프링본체부(310)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서 하측으로(도 7, 도 8 기준) 연장형성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 쌍의 스프링연장부(320)는 결합홈부(110)로 봉인나사부(200)가 삽입될 때 탄성변형되며, 봉인나사부(200)가 결합홈부(110)로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스프링결합부(330)는 스프링연장부(320)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스프링결합홀부(211)에 체결된다. 스프링결합부(330)는 스프링연장부(320)에서 스프링본체부(310)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스프링결합부(330)는 스프링연장부(320)와의 각도(θ)가 예각을 이룬다.
이로 인해, 스프링결합부(330)는 결합홈부(110)로 봉인나사부(200)가 삽입완료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스프링결합홀부(211)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나아가, 스프링결합부(330)가 스프링결합홀부(211)에 체결되는 봉인 시공과정을 거치므로, 스프링결합부(330)가 스프링결합홀부(211)에 체결되는 여부를 확인 및 감지할 수 있어 불량 시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계량기용 봉인장치(1)는 봉인몸체부(100)에 매립 사출성형된 스프링부(30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봉인나사부(200)의 스프링결합홀부(211)에 체결되는 장치로, 잠금블록, 잠금핀 등의 부품을 가져 봉인을 체결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부품수가 줄어들어 부품조립과정이 단순하고, 부품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계량기용 봉인장치 10 : 하우징
11 : 제1하우징 11a : 제1하우징본체
11b : 제1하우징결합부 12 : 제2하우징
12a : 제2하우징본체 12b : 제2하우징결합부
100 : 봉인몸체부 110 : 결합홈부
120 : 스프링가이드홈부 130 : 절개홈부
200 : 봉인나사부 210 : 나사머리부
211 : 스프링결합홀부 212 : 나사홈부
220 : 나사몸체부 221 : 나사산
300 : 스프링부 310 : 스프링본체부
320 : 스프링연장부 330 : 스프링결합부

Claims (5)

  1.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연결되고, 결합홈부와, 상기 결합홈부와 연결되는 스프링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봉인몸체부;
    상기 제1하우징의 제1하우징결합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제2하우징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며, 스프링결합홀부를 구비하는 봉인나사부; 및
    상기 봉인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가이드홈부에 배치되며,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스프링결합홀부에 체결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봉인몸체부에 매립 사출 성형되는 스프링본체부;
    상기 스프링본체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홈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연장부; 및
    한 쌍의 상기 스프링연장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스프링결합홀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스프링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봉인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가이드홈부는 상기 결합홈부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결합부는 상기 스프링연장부에서 상기 스프링본체부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나사부는,
    상기 스프링결합홀부가 형성되고, 나사홈부가 구비되는 나사머리부; 및
    상기 나사머리부와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KR1020230094726A 2021-05-11 2023-07-20 계량기용 봉인장치 KR102579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4726A KR102579488B1 (ko) 2021-05-11 2023-07-20 계량기용 봉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759A KR102559365B1 (ko) 2021-05-11 2021-05-11 계량기용 봉인장치
KR1020230094726A KR102579488B1 (ko) 2021-05-11 2023-07-20 계량기용 봉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759A Division KR102559365B1 (ko) 2021-05-11 2021-05-11 계량기용 봉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103A KR20230112103A (ko) 2023-07-26
KR102579488B1 true KR102579488B1 (ko) 2023-09-19

Family

ID=8423460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759A KR102559365B1 (ko) 2021-05-11 2021-05-11 계량기용 봉인장치
KR1020230094726A KR102579488B1 (ko) 2021-05-11 2023-07-20 계량기용 봉인장치
KR1020230094727A KR102579489B1 (ko) 2021-05-11 2023-07-20 계량기용 봉인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759A KR102559365B1 (ko) 2021-05-11 2021-05-11 계량기용 봉인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4727A KR102579489B1 (ko) 2021-05-11 2023-07-20 계량기용 봉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593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863B1 (ko) * 2018-05-23 2020-02-19 한국전력공사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103A (ko) 2023-07-26
KR20220153320A (ko) 2022-11-18
KR20230113259A (ko) 2023-07-28
KR102559365B1 (ko) 2023-07-26
KR102579489B1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317B1 (ko) 연료도어의 하우징 장치
KR20110129814A (ko) 와이어 도출 구멍의 시일 구조 및 시일 방법
US10742013B2 (en) Wire pass through device
US11286695B2 (en) Vehicle door handle mounting structure
KR102579488B1 (ko) 계량기용 봉인장치
US20070259543A1 (en) Pressure device for test socket
US8901422B2 (en) Lid structure for flat-cable insertion opening
DK3025080T3 (en) PRESS BODY FOR A PRESS SEAL AND PRESS SEAL
JP6127009B2 (ja) 物理量測定装置
KR102079863B1 (ko)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KR102543502B1 (ko) 압력센서
KR102017426B1 (ko) 계량기 봉인장치
JP5190657B2 (ja) 流体圧機器における位置検出スイッチ取付機構
KR20200081824A (ko) 압력센서
JP4699934B2 (ja) 封印具
JP4955515B2 (ja) 流体圧機器におけるセンサの取付け構造
CN211166453U (zh) 一种仪表总成的挡尘结构
KR100574902B1 (ko) 계량기 하우징용 잠금장치
CN217176149U (zh) 配电箱盖锁结构
CN201935759U (zh) 一种s型拉式测力传感器
CN218673759U (zh) 电磁流量计
CN221705326U (zh) 一种内嵌式地埋led线条灯
KR200375860Y1 (ko) 계량기 하우징용 잠금장치
US9074394B2 (en) Housing with rear face intended to be fixed to a support
WO2023087460A1 (zh) 防水按键结构和可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