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863B1 -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 Google Patents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863B1
KR102079863B1 KR1020180058535A KR20180058535A KR102079863B1 KR 102079863 B1 KR102079863 B1 KR 102079863B1 KR 1020180058535 A KR1020180058535 A KR 1020180058535A KR 20180058535 A KR20180058535 A KR 20180058535A KR 102079863 B1 KR102079863 B1 KR 102079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inner cap
spring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514A (ko
Inventor
조휴윤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58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86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봉인나사(20)에 결합되는 내부캡(60)과 상기 내부캡(60)이 삽입되는 몸체공(7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공(71)에는 상기 내부캡(60)이 상기 몸체공(71)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내부캡(60)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내부캡(60)의 분리를 방지하는 탄성결합돌기(75)가 구비된 봉인몸체(70)와 상기 내부캡(60)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캡(60)이 상기 봉인몸체(70)의 몸체공(71)에 삽입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봉인나사(20)의 나사머리(21)에 상기 내부캡(60) 및 상기 봉인몸체(70)를 결합 고정시키는 봉인 스프링(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봉인 시공이 용이하고 불량 시공이 발생하지 않으며 종래의 봉인장치에 비해 부품수가 적고 단순하여 원가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LOCKING APPARTUS FOR ELECTRONIC METER HOUSING}
본 발명은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량기를 보호하는 하우징을 봉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량기는 전기 요금, 수도 요금 등을 부과하기 위해 고객의 전기 소비량, 수도 소비량 등을 측정하는 기본 계측 장비이다.
계량기는 주로 옥외에 설치되므로 단자부의 도전 방지, 도수 방지 등을 위해 하우징으로 보호하며 고객이 임의로 계량기를 조작 또는 변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에 봉인장치가 설치된다.
도 1는 종래의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가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에는 종래의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가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봉인장치(10)는 하우징(1)을 고정하는 봉인나사(20)와 봉인나사(20)에 결합되어 봉인나사(20)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하는 잠금블록(30)을 포함한다.
봉인나사(20)는 나사머리(21)에 드라이버 사용을 위한 나사홈(23)이 구비되고 나사홈(23)과 직교하는 위치에 잠금블록(30)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25)이 구비된다. 잠금블록(30)은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에 대응되는 안내홀(31)을 갖는 플라스틱 캡형상이며, 잠금블록(30)의 안내홀(31)에 삽입된 고정핀(33)과 스프링(35)으로 하여금 봉인나사(20)를 탄성지지하여 봉인나사(20)가 하우징(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종래의 봉인장치는 잠금블록을 누르면 결합공에 잠금핀이 삽입되지 않고 봉인된 경우가 많아 시공한 잠금블록을 일정압력으로 당겨 봉인의 적정 체결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조금만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봉인장치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봉인 유무를 정확하게 확인하지 않은 경우 봉인장치가 불량 시공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계량기가 밀집 배치된 경우에는 손가락을 넣어 봉인을 확인할 공간이 부족하므로 봉인 상태를 확인하기 할 수 없어 불량 시공이 빈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0598964호(2006.07.03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봉인 시공이 용이하고 봉인 시공 단계에서 봉인나사의 결합공과 봉인핀(스프링 봉인핀)의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불량 시공이 발생하지 않는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봉인나사의 나사머리에 결합되는 내부캡과 상기 내부캡이 삽입되는 몸체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공에는 상기 내부캡이 상기 몸체공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내부캡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내부캡의 분리를 방지하는 탄성결합돌기가 구비된 봉인몸체와 상기 내부캡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캡이 상기 봉인몸체의 몸체공에 삽입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봉인나사의 나사머리에 상기 내부캡 및 상기 봉인몸체를 결합 고정시키는 봉인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캡의 외면에 회전방지홈 또는 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봉인몸체의 몸체공에 상기 내부캡의 회전방지홈 또는 회전방지돌기와 결합되기 위한 회전방지돌기 또는 회전방지홈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캡은 상기 봉인 스프링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면과 상기 상면에서 양측 외면으로 연장되는 홈을 이루는 스프링 가이드와 상기 내부캡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봉인 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스프링 통과홀을 구비한다.
상기 봉인 스프링은 'ㄷ'자 형상인 스프링 고정부와 상기 스프링 고정부의 각 단부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의 스프링 탄성부와 상기 스프링 탄성부의 각 단부에서 절곡되어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봉인 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되는 스프링 봉인핀을 포함한다.
상기 봉인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고정부가 상기 스프링 가이드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봉인핀이 상기 스프링 통과홀에 배치되게 상기 내부캡에 장착된다.
상기 내부캡은 외면을 둘러 설정간격을 두고 상기 봉인몸체의 탄성결합돌기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1차 걸림돌기와 2차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1차 걸림돌기와 상기 2차 걸림돌기는 상기 내부캡이 상기 몸체공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면은 하향 경사진 안내면이 되고 하면은 상기 내부캡의 외면과 직교하는 형상이다.
상기 스프링 봉인핀은 상기 내부캡 및 상기 봉인몸체가 상기 봉인나사에 체결시 상기 봉인나사의 나사머리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 봉인핀는 끝단이 둥근 형상이다.
상기 탄성결합돌기는 상기 몸체공의 하부에 대응되는 상기 봉인몸체에 절개슬릿을 형성하여 탄성변형 가능하게 하며, 상기 탄성결합돌기는 상기 내부캡이 상기 몸체공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하면이 경사진 안내면이 되고 상면은 상기 몸체공의 내면과 직교하는 형상이다.
상기 봉인몸체는 외면에 봉인 파손시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된다.
상기 봉인몸체가 상기 내부캡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1차 걸림돌기까지 결합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봉인몸체를 상기 봉인나사 방향으로 누름에 의해, 상기 봉인 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상기 내부캡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스프링 통과홀을 통해 상기 봉인나사에 형성된 결합공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탄성결합돌기가 상기 내부캡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2차 걸림돌기에 걸어져 고정된다.
본 발명은 봉인몸체가 내부캡의 1차 걸림돌기까지 결합되게 한 상태에서 봉인몸체를 누르는 방식으로 봉인나사에 체결되고, 스프링 봉인핀과 결합공의 배열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인나사의 결합공과 스프링 봉인핀이 배열된 위치가 일치해야 스프링 봉인핀이 봉인나사의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고 내부캡과 결합이 완료되므로 봉인 시공 단계에서 봉인나사의 결합공과 스프링 봉인핀의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불량 시공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인 시공된 상태에서 내부캡에 장착된 봉인 스프링의 스프링 봉인핀이 내부캡의 스프링 통과홀을 통해 봉인나사의 결합공 내부로 삽입되고, 봉인몸체의 탄성결합돌기가 내부캡의 2차 걸림돌기에 걸어져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봉인나사에 체결된 봉인장치를 분리하면 파손되고 재사용할 수 없어 봉인장치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봉인장치에 비해 부품수가 적고 단순하여 원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가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가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내부캡과 봉인 스프링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내부캡에 봉인 스프링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A-A 방향으로 절개하여 봉인몸체의 몸체공을 보인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봉인나사에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가 체결되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봉인나사에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가 체결된 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이하 '봉인장치'라 칭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인나사(20)의 나사머리(21)에 체결되며 내부캡(60), 봉인몸체(70) 및 봉인 스프링(80)을 포함한다.
봉인나사(20)는 계량기를 보호하는 하우징에 체결된다. 봉인나사(20)는 나사머리(21)에 드라이버 사용을 위한 일자형의 나사홈(23)이 형성되고, 나사홈(23)과 직교하는 위치에 봉인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25)이 형성되며, 하부에 나사산(27)이 형성된다.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에는 후술할 봉인 스프링(80)의 양단부가 삽입된다.
계량기 등의 하우징(1)에 체결된 봉인나사(20)를 고객이 임의로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봉인나사(20)에 봉인장치(50)가 체결된다. 봉인장치(50)는 봉인나사(20), 내부캡(60), 봉인몸체(70), 봉인 스프링(80)을 모두 포함할 수 도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봉인장치(50)가 내부캡(60), 봉인몸체(70), 봉인 스프링(8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캡(60)은 봉인몸체(70)와 가결합된 상태에서 봉인나사(20)의 나사머리(2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캡(60)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이며, 봉인나사(20)의 나사머리(21)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내경이 봉인나사(20)의 나사머리(21)의 외경에 대응될 수 있다.
내부캡(60)은 외면 양측에 봉인몸체(70)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회전방지홈(61)이 형성된다. 회전방지홈(61)은 후술할 봉인몸체(7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75)와 결합되어 내부캡(60)이 봉인몸체(70)와 비틀리지 않고 상대 회전하지 않으며 수직으로만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부캡(60)의 회전방지홈(61)과 봉인몸체(70)의 회전방지돌기(75)는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과 후술할 봉인 스프링(80)의 스프링 잠금핀(85)이 일치하는 방향으로 결합되게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캡(60)은 봉인 스프링(80)을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가이드(63)과 스프링 통과홀(65)이 형성된다.
스프링 가이드(63)는 봉인 스프링(80)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면과 상기 상면에서 양측 외면으로 연장되는 홈을 이루는 구조로 된다. 스프링 가이드(63)는 봉인 스프링(80)이 내부캡(60)과 봉인몸체(70) 사이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봉인 스프링(80)의 일측을 고정하는 부분이다.
스프링 통과홀(65)은 내부캡(6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봉인 스프링(80)의 양측 단부가 위치되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 통과홀(65)을 통해 봉인 스프링(80)의 스프링 봉인핀(85)이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에 삽입될 수 있다.
내부캡(60)은 스프링 가이드(63)를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게 봉인나사(20)의 나사머리(21)에 결합하는 것에서,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과 봉인 스프링(80)의 방향이 일치하게 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내부캡(60)의 내경에 봉인나사(20)의 나사머리(21)를 삽입하고 내부캡(60)의 외경에 봉인몸체(70)를 결합하는 것에서 봉인 스프링(80)의 스프링 봉인핀(85)이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 내부로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봉인몸체(70)를 내부캡(6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누르면 봉인몸체(70)의 몸체공(71)에 내부캡(60)이 삽입되면서 결합공(25)에 스프링 봉인핀(85)이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다.
내부캡(60)은 외면을 둘러 설정간격을 두고 1차 걸림돌기(67)와 2차 걸림돌기(69)가 돌출된다. 1차 걸림돌기(67)가 도면상 스프링 가이드(63)와 인접한 내부캡(60)의 외면에 중간부분에 형성되고, 2차 걸림돌기(69)가 스프링 통과홀(65)과 인접한 하부측에 형성된다.
1차 걸림돌기(67)는 내부캡(60)에 봉인 스프링(80)을 장착하고 내부캡(60)을 몸체공(71)에 삽입할 때 내부캡(60)을 봉인몸체(70)에 가결합시켜 봉인 스프링(80)의 탄성에 의해 내부캡(60)이 봉인몸체(70)에서 임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내부캡(60)에 봉인몸체(70)의 결합시 1차 걸림돌기(67)에 후술할 봉인몸체(70)의 탄성결합돌기(73)가 1차 가결합되어,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에 봉인 스프링(80)의 양단이 체결되기 전까지 후술할 봉인 스프링(80)의 스프링 탄성부(83)가 1차 걸림돌기(67)에 걸려 구성체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2차 걸림돌기(69)는 봉인몸체(70)를 눌러 봉인할 때, 봉인몸체(70)와 내부캡(60)을 결합하고 봉인된 상태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1차 걸림돌기(67)와 2차 걸림돌기(69)는 내부캡(60)이 몸체공(71)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면(67a)이 하향 경사진 안내면이 되고 하면(67b)이 내부캡의 외면과 직교하는 형상이 된다. 내부캡(60)에서 상면(67a)의 경사진 안내면은 탄성결합돌기(73)의 경사진 하면(73a)과 상호 작용하여 내부캡(6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내부캡(60)에서 하면(67b)의 직교하는 형상은 탄성결합돌기(73)의 직교하는 상면(73b)과 상호 걸어져 내부캡(60)이 봉인몸체(70)의 몸체공(71)에 삽입된 상태의 분리를 방지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봉인 스프링을 봉인몸체에 비해 우선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인 스프링(80)은 내부캡(60)에 장착된다. 봉인 스프링(80)은 내부캡(60)이 봉인몸체(70)의 몸체공(71)에 삽입시 탄성 변형되어 봉인나사(20)의 나사머리(21)에 내부캡(60) 및 봉인몸체(70)를 결합 고정시키며, 또한 상기 결합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봉인 스프링(80)은 'ㄷ'자 형상인 스프링 고정부(81)와, 스프링 고정부(81)의 각 단부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의 스프링 탄성부(83)와, 스프링 탄성부(83)의 각 단부에서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스프링 봉인핀(85)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고정부(81)는 내부캡(60)의 스프링 가이드(63)에 결합되며 봉인 스프링(80)이 내부캡(60)과 봉인몸체(70) 사이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부분이다.
스프링 탄성부(83)는 내부캡(60)에 봉인나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스프링 고정부(81)에서 외측으로 굽혀 벌어진 형상이다. 스프링 탄성부(83)는 내부캡(60)을 봉인몸체(70)에 결합시 내부캡(60)이 봉인몸체(70)에 2차 걸림돌기(69)까지 결합되면 평편하게 펴지면서 스프링 봉인핀(85)이 내부캡(60)의 스프링 통과홀(85)에 삽입되게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스프링 봉인핀(85)은 스프링 탄성부(83)가 편편하게 펴지면서 내부캡(60)의 스프링 통과홀(85)에 삽입되게 밀어주면 스프링 통과홀(85)을 통해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에 삽입된다. 스프링 봉인핀(85)은 스프링 통과홀(85) 및 결합공(25)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끝단이 둥근 형상이다.
봉인 스프링(80)은 스프링 고정부(81), 스프링 탄성부(83) 및 스프링 봉인핀(85)이 금속 와이어와 같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되며 일체로 형성된다.
봉인몸체(70)는 내부캡(60)에 결합되면서 봉인 스프링(80)을 탄성변형시켜 봉인 스프링(80)의 스프링 봉인핀(85)이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에 삽입되게 한다.
도 3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인몸체(70)는 내부캡(60)이 삽입되는 몸체공(71)이 형성된다. 몸체공(71)은 봉인몸체(70)의 저면 일부가 원통형상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봉인몸체(7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직육면체 형상의 봉인몸체(70)에 원통형상의 몸체공(71)이 하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공(71)의 내경은 봉인 스프링(80)이 장착된 내부캡(60)이 삽입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봉인몸체(70)의 몸체공(71)에는 내부캡(60)이 몸체공(71) 내부로 삽입되면, 내부캡(60)의 단부를 지지하여 내부캡(60)의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결합돌기(73)가 구비된다.
탄성결합돌기(73)는 몸체공(71)의 하부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봉인몸체(70)에 내경과 소정간격을 두고 절개슬릿(72)을 형성하여 탄성변형 가능하게 한 것이다. 탄성결합돌기(73)는 몸체공(71)의 하부면에 절개슬릿(72)을 형성하여 형성되며 내부캡(60)을 몸체공(71)에 삽입시 절개슬릿(72)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탄성결합돌기(73)는 내부캡(60)이 몸체공(71)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하면(73a)이 경사진 안내면이 되고, 상면(73b)은 몸체공(71)의 내면과 직교하는 형상으로 된다. 탄성결합돌기(73)는 2차 걸림돌기(69)에 최종 결합되어 봉인몸체(70)의 몸체공(71)에 내부캡(60)이 삽입된 상태를 지지한다.
봉인몸체(70)의 몸체공(71)에 회전방지돌기(75)가 구비된다. 회전방지돌기(75)는 몸체공(71)에 내부캡(6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내부캡(60)을 몸체공(71)에 삽입시 내부캡(60)의 회전방지홈(61)과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캡(60)에 회전방지홈(61)이 구비되고 봉인몸체(70)에 회전방지돌기(75)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내부캡(60)에 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되고 봉인몸체(70)에 회전방지돌기에 대응되는 회전방지홈이 구비될 수도 있다.
봉인몸체(70)는 외면에 봉인 파손시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개홈(77)이 형성된다. 절개홈(70)은 몸체공(71)과 대응되는 위치의 봉인몸체 외면에 다수 개가 요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캡(60)과 봉인몸체(70)는 봉인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파손이 용이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될 수 있다. 상기한 내부캡(60)과 봉인몸체(70)는 일정한 강도 이하에서는 형상을 유지하나 허용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봉인나사에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가 체결되는 과정 및 체결된 후의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내부캡(60)과 봉인몸체(70)를 조립한다. 그 과정은 봉인몸체(70)의 몸체공(71)에 내부캡(60)을 삽입하여 봉인몸체(70)가 내부캡(60)의 1차 걸림돌기(67)까지 결합되게 한다.
내부캡(60)과 봉인몸체(70)의 조립시 1차 걸림돌기(67)까지 결합하면 스프링 고정부(81) 부분만 몸체공(71)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되고, 1차 걸림돌기(67)에 봉인몸체(70)의 탄성결합돌기(73)가 1차 결합되어 내부캡(60)이 봉인몸체(7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내부캡(60)은 회전방지홈(61)이 봉인몸체(7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75)와 결합되어 내부캡(60)이 봉인몸체(70)와 비틀리지 않고 수직으로만 유동할 수 있다. 내부캡(60)이 봉인몸체(70)와 비틀리지 않음에 의해 스프링 봉인핀(85)과 결합공(25)의 배열 위치를 맞추기 용이하고, 봉인장치(50)의 체결완료 후 봉인장치(50)를 외부에서 당기거나 비트는 등의 외력을 가하게 되면 봉인장치(50)가 절개홈(77)을 따라 파손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탄성부(83)는 내부캡(6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봉인나사(20)의 나사머리(21)를 내부캡(60)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된 상태이다. 이 상태가 봉인장치(50)를 봉인나사(20)에 체결하기 전 준비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봉인몸체(70)가 내부캡(60)의 1차 걸림돌기(67)까지 결합된 상태를 봉인나사(20)의 나사머리(21)에 체결하면 봉인이 완료된다.
이때, 내부캡(60)은 스프링 가이드(63)를 봉인나사(20)의 일자형의 나사홈(23)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여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과 스프링 봉인핀(85)의 방향이 일치하게 한 상태에서 내부캡(60)의 내측에 봉인나사(20)의 나사머리(21)를 삽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캡(60)의 내측에 봉인나사(20)의 나사머리(21)를 삽입하고, 봉인몸체(70)를 봉인나사(20) 방향으로 누르면 스프링 탄성부(83)가 평평하게 펴지면서 스프링 봉인핀(85)을 결합공(25)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밀게되고 스프링 봉인핀(85)이 결합공(25) 내부로 삽입된다.
봉인몸체(70)가 스프링 탄성부(83)를 밀어 스프링 봉인핀(85)을 결합공(25) 내부로 삽입되게 하는 힘은 봉인몸체(70)가 내부캡(60)과 밀착되면서 탄성결합돌기(73)가 2차 걸림돌기(69)에 결합하면 발생한다.
이때, 내부캡(60)의 내측에 봉인나사(20)의 나사머리(21)를 삽입하고 봉인몸체(70)를 누르는 것에서, 봉인 스프링(80)의 스프링 봉인핀(85)이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 내부로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다. 즉, 봉인몸체(70)를 내부캡(6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누르면 봉인몸체(70)의 몸체공(71)에 내부캡(60)이 삽입되면서 결합공(25)에 스프링 봉인핀(85)이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봉인몸체(70)의 탄성결합돌기(75)는 내부캡(60)의 2차 걸림돌기(69)에 결합된다. 탄성결합돌기(75)와 2차 걸림돌기(69)의 결합은 경사면을 타고 상호 이동하여 결합은 용이하나 수직인 면과 면이 만나 걸리는 구조이므로 결합되는 방향의 역방향 이동은 불가능하여 내부캡(60)이 몸체공(71)에 삽입된 후 빠지지 않는다. 즉, 봉인이 파손되어야 내부캡(60)과 봉인몸체(70)의 분리가 가능하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인장치(50)는 내부캡(60)에 장착된 봉인 스프링(80)의 스프링 봉인핀(85)이 내부캡(60)의 스프링 통과홀(65)을 통해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봉인몸체(70)의 탄성결합돌기(73)가 내부캡(60)의 2차 걸림돌기(69)에 걸어져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구조는 봉인장치(50)를 외부에서 당기거나 비트는 등의 외력을 가하게 되면 봉인장치(50)가 봉인몸체(70)의 외면에 형성된 절개홈(77)을 따라 파손된다(도 3 참조).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순서에 따라 봉인나사(20)에 체결된 봉인장치(50)는 분리하면 파손되고 재사용할 수 없다.
또한, 상기한 봉인장치는 봉인나사(20)의 결합공(25)과 스프링 봉인핀(85)이 배열된 위치가 일치해야 봉인몸체(70)가 봉인 스프링(80)의 스프링 탄성부(83)를 밀어 스프링 봉인핀(85)이 결합공(25)에 삽입될 수 있고 내부캡(60)과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스프링 봉인핀(85)이 결합공(25) 내부로 삽입될 수 없는 상태로 봉인몸체(70)를 눌러 시공하면 봉인몸체(70)가 내부캡에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한 봉인장치는 봉인 시공 단계에서부터 결합공(25)과 스프링 봉인핀(85)의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불량 시공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이유로 본 실시예의 봉인장치는 시공 후에 적정 시공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기존 봉인장치에 비해 부품수가 적고 단순하여 제조원가 절감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하우징 20: 봉인나사
21: 나사머리 23: 나사홈
25: 결합공 27: 나사산
50: 봉인장치 60: 내부캡
61: 회전방지홈 63: 스프링 가이드
65: 스프링 통과홀 67: 1차 걸림돌기
67a: 상면 67b: 하면
69: 2차 걸림돌기 70: 봉인몸체
71: 몸체공 72: 절개슬릿
73: 탄성결합돌기 73a: 하면
73b: 상면 75: 회전방지돌기
77: 절개홈 80: 봉인 스프링
81: 스프링 고정부 83: 스프링 탄성부
85: 스프링 봉인핀

Claims (12)

  1. 봉인나사의 나사머리에 결합되는 내부캡;
    상기 내부캡이 삽입되는 몸체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공에는 상기 내부캡이 상기 몸체공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내부캡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내부캡의 분리를 방지하는 탄성결합돌기가 구비된 봉인몸체; 및
    상기 내부캡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캡이 상기 봉인몸체의 몸체공에 삽입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봉인나사의 나사머리에 상기 내부캡 및 상기 봉인몸체를 결합 고정시키는 봉인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캡의 외면에 회전방지홈 또는 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봉인몸체의 몸체공에 상기 내부캡의 회전방지홈 또는 회전방지돌기와 결합되기 위한 회전방지돌기 또는 회전방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캡은
    상기 봉인 스프링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면과 상기 상면에서 양측 외면으로 연장되는 홈을 이루는 스프링 가이드; 및
    상기 내부캡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봉인 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스프링 통과홀;
    을 구비하고,
    상기 봉인 스프링은
    'ㄷ'자 형상인 스프링 고정부;
    상기 스프링 고정부의 각 단부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의 스프링 탄성부; 및
    상기 스프링 탄성부의 각 단부에서 절곡되어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봉인 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되는 스프링 봉인핀;
    을 포함하며,
    상기 봉인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고정부가 상기 스프링 가이드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봉인핀이 상기 스프링 통과홀에 배치되게 상기 내부캡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캡은 외면을 둘러 설정간격을 두고 상기 봉인몸체의 탄성결합돌기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1차 걸림돌기와 2차 걸림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스프링 봉인핀은 상기 내부캡 및 상기 봉인몸체가 상기 봉인나사에 체결시 상기 봉인나사의 나사머리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되,
    상기 내부캡은 상기 스프링 가이드를 봉인나사의 결합공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게 상기 봉인나사의 나사머리에 결합되고, 상기 봉인몸체는 상기 내부캡의 외경에 결합되는 것에서 상기 봉인 스프링의 스프링 봉인핀의 양단부가 상기 봉인나사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걸림돌기와 상기 2차 걸림돌기는 상기 내부캡이 상기 몸체공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면은 하향 경사진 안내면이 되고 하면은 상기 내부캡의 외면과 직교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봉인핀는 끝단이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결합돌기는 상기 몸체공의 하부에 대응되는 상기 봉인몸체에 형성된 절개슬릿에 의해 탄성변형 가능하며, 상기 탄성결합돌기는 상기 내부캡이 상기 몸체공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하면이 경사진 안내면이 되고 상면은 상기 몸체공의 내면과 직교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인몸체는 외면에 봉인 파손시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인몸체가 상기 내부캡의 외면에 돌출된 1차 걸림돌기까지 결합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봉인몸체를 상기 봉인나사 방향으로 누름에 의해,
    상기 봉인 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상기 내부캡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스프링 통과홀을 통해 상기 봉인나사에 형성된 결합공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탄성결합돌기가 상기 내부캡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2차 걸림돌기에 걸어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KR1020180058535A 2018-05-23 2018-05-23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KR102079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535A KR102079863B1 (ko) 2018-05-23 2018-05-23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535A KR102079863B1 (ko) 2018-05-23 2018-05-23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514A KR20190133514A (ko) 2019-12-03
KR102079863B1 true KR102079863B1 (ko) 2020-02-19

Family

ID=6883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535A KR102079863B1 (ko) 2018-05-23 2018-05-23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365B1 (ko) * 2021-05-11 2023-07-26 한국전력공사 계량기용 봉인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23971A1 (fr) * 1998-10-20 2000-04-27 Schlumberger Industries Sa Ensemble de plombage
JP3121156B2 (ja) * 1992-12-14 2000-12-25 旭化成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
KR200219113Y1 (ko) * 2000-10-24 2001-04-02 민병덕 나사축 안내용 실린더부재의 구조
KR100598964B1 (ko) * 2005-01-04 2006-07-13 함용운 계량기 하우징용 잠금장치
JP2007187517A (ja) 2006-01-12 2007-07-26 Meishin Denki Kk 封印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78Y2 (ko) * 1986-05-24 1992-01-20
JPH06258116A (ja) * 1992-04-28 1994-09-16 Kimmon Mfg Co Ltd ガスメータ用の封印とガスメータ
JP3121156U (ja) * 2006-02-13 2006-04-27 徳信 土田 封印具の係止体
KR20070001002U (ko) * 2007-08-22 2007-09-11 주식회사 델타 볼트 헤드 켑 씰
JP2019195275A (ja) * 2018-05-08 2019-11-14 株式会社海中景観研究所 柱状体
JP6603835B1 (ja) * 2018-05-31 2019-11-13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156B2 (ja) * 1992-12-14 2000-12-25 旭化成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
WO2000023971A1 (fr) * 1998-10-20 2000-04-27 Schlumberger Industries Sa Ensemble de plombage
KR200219113Y1 (ko) * 2000-10-24 2001-04-02 민병덕 나사축 안내용 실린더부재의 구조
KR100598964B1 (ko) * 2005-01-04 2006-07-13 함용운 계량기 하우징용 잠금장치
JP2007187517A (ja) 2006-01-12 2007-07-26 Meishin Denki Kk 封印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21156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514A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861B2 (en) Connector assembly
TWI688173B (zh) 連接器用端子以及連接器
US20070026735A1 (en) Button style cord connector
CN107925193B (zh) 用于插拔连接器模块的、具有处于预紧下的锁定元件的保持框架
JPH09159061A (ja) スタッド係合装置
US20100035483A1 (en) Electrical contact with interlocking arrangment
KR102079863B1 (ko) 계량기 하우징용 봉인장치
US9553395B2 (en) Connector having a barrel and an end bell
KR20170090586A (ko) 프로브 핀 및 그 제조방법
US9128410B2 (en) Waterproof connector
US6285265B1 (en) Electric noise absorber housing with convex surface
US6948970B2 (en) Connector having an engaging member for holding a cable
US10790599B2 (en) Connector
KR100486172B1 (ko) 철근 이음장치
JP4076923B2 (ja) ランプソケット
US20110133446A1 (en) Packing
TWI692156B (zh) 連接器用端子以及連接器
US20220013965A1 (en) Connector housing having terminal retention recess with stop surface
KR102559365B1 (ko) 계량기용 봉인장치
KR102017426B1 (ko) 계량기 봉인장치
US3897994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duction
US20100266362A1 (en) Connecting flange, particularly for an electric terminal
US6007360A (en) Guide socket of electrical connector
EP3582330A1 (en) Connector
CN107667572B (zh) 用于设备的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