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394B1 -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394B1
KR102578394B1 KR1020217015263A KR20217015263A KR102578394B1 KR 102578394 B1 KR102578394 B1 KR 102578394B1 KR 1020217015263 A KR1020217015263 A KR 1020217015263A KR 20217015263 A KR20217015263 A KR 20217015263A KR 102578394 B1 KR102578394 B1 KR 102578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vehicle
antenna system
polyhedr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176A (ko
Inventor
김용곤
정선인
전철수
손창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91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88Apparatus made of several modules independently moun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는 구조물(structure)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안테나 소자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을 수행하는 제1안테나 시스템; 및 상기 구조물 내에 배치되는 다면체의 측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가 빔포밍을 수행하는 제2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안테나 소자는 상기 다면체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구조물에 일정 각도로 세워진 기판(substrate) 상에 형성되어, LTE 안테나 시스템과 5G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하는 평면형(flat) 차량용 안테나에서, 안테나 소자들 간의 격리도 특성이 최적화된 안테나 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어 복수의 통신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이동 단말기를 차량에 탑재하여 통신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통신 서비스에 관련하여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기존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차세대 통신 서비스인 5세대 통신 서비스(5G communication service)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5세대 통신 서비스에 대한 규격에 대한 논의가 완료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이를 차량에서 구현하기 위한 안테나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을 차량에 탑재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평면형(flat) 안테나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평면형 안테나에 안테나 시스템을 배치하는 경우, 패치 안테나와 같은 협대역 안테나가 아닌 다른 타입의 안테나를 배치하기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구성이 레이돔 내에서 수직하게 세워져 배치되는 경우에는 평면형(flat) 안테나 형태로 제공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전술된 바와 같이 다른 타입의 안테나를 사용하기 위해 기존의 샤크 타입 안테나와 같은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높이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복수의 통신 시스템 및 복수의 안테나 시스템에서,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와 5G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가 배치되는 경우에 이들 간의 상호 간섭을 고려한 격리도가 또한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5G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가 6GHz 이하인 Sub6 대역에서 동작하거나, 4G 통신 시스템의 일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LTE 재배치(re-farming)의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따라서, 복수의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 간에, 차량 내에 탑재 가능한 크기에서 충분한 격리도를 확보하는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 이동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차세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평면형 차량용 안테나에서, 상호 간섭 특성이 감소되고, 배치 크기가 최적화된 안테나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에서, 샤크 형상의 구조물 및 텔레매틱스 형상 구조물에서의 안테나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는 구조물(structure)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안테나 소자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을 수행하는 제1안테나 시스템; 및 상기 구조물 내에 배치되는 다면체의 측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가 빔포밍을 수행하는 제2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안테나 소자는 상기 다면체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구조물에 일정 각도로 세워진 기판(substrate) 상에 형성되어, LTE 안테나 시스템과 5G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하는 평면형(flat) 차량용 안테나에서, 안테나 소자들 간의 격리도 특성이 최적화된 안테나 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은 샤크 핀(shark fin) 형상의 레이돔(radom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는, 상기 다면체의 4개의 측면에 부착되는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는 5세대(5G)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면체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상기 구조물의 바닥 면(bottom surface)의 대칭선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일정 각도인 제1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다면체의 제3 측면과 제4 측면은 상기 대칭선의 타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일정 각도인 제2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측면 내지 상기 제4 측면에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 제1 경계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3측면과 상기 제4측면 상이에 제2 경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경계면의 폭은 상기 다면체의 전방에 상기 구조물에 수직하게 세워진 제1 기판의 폭보다 넓고, 상기 제2 경계면의 폭은 상기 다면체의 후방에 상기 구조물에 수직하게 세워진 제2기판의 폭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1 기판에 부착된 제1 LTE 안테나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2 기판에 부착된 제2 LTE 안테나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LTE 안테나와 상기 다면체 사이에, 상기 구조물에 수직하게 세워진 제3 기판에 부착되는 위성방송(DMB)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LTE 안테나와 상기 다면체 사이에, 상기 구조물에 수직하게 세워진 제4 기판에 부착되는 FM 수신용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성방송(DMB) 안테나의 전방에 GPS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GPS 안테나는 상기 구조물의 바닥 면에 배치되는 기판에 프린트된 패치 안테나(patch antenna)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면체의 4개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구조물에 수직하게 세워진 복수의 기판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안테나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는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제3 안테나 소자는 6GHz 대역 이하의 Sub6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1 내지 제4 Sub6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4 Sub6 안테나는 제1주파수 대역에서 LTE 통신 시스템인 제1 통신 시스템의 제1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Sub6 안테나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에서5G 통신 시스템인 제2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4 Sub6 안테나가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기판은 최외곽이 상기 구조물의 바닥 면 내에 배치되고, 샤크 핀 형상의 상기 구조물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는 제1 구조물(structure) 내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 소자가 제1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안테나 시스템; 및 상기 제1구조물과 별도로 제2 구조물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가 제2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안테나 소자는 상기 제1 구조물 내에서 일정 각도로 세워진 기판(substrate) 상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조물은 샤크 핀(shark fin) 형상의 레이돔(radome)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조물은 상기 샤크 핀 형상의 레이돔이 부착될 수 있는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구조물의 평면형 구조물(flat structure) 내에는 상기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인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는 5세대(5G)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통해 상기 제2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제2 안테나 소자가 프린트된 제1기판 및 제2 기판은 상기 제1 구조물 내에 상기 제1 구조물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이 상기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구조물의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안테나 소자의 후방에 상기 제1 구조물에 수직하게 세워진 제3 기판에 부착되는 위성방송(DMB) 안테나; 및 상기 위성방송(DMB) 안테나의 후방에 상기 제1 구조물에 수직하게 세워진 제4 기판에 부착되는 FM 수신용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성방송(DMB) 안테나의 전방에 GPS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GPS 안테나는 상기 제1 구조물의 바닥 면에 배치되는 기판에 프린트된 패치 안테나(patch antenna)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샤크 형상의 레이돔은, 상기 제1 구조물의 바닥면과 체결되는 베이스 레이돔(base radome); 및 상기 베이스 레이돔과 일체로 형성되고, 다면체 구조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만곡 형상(curved shape)의 상부 레이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레이돔의 중앙 부근에서 전파의 산란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중앙 부근이 평면(flat) 형태로 구성된 평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안테나 시스템의 샤크 형상의 구조물 내에 최적화된 안테나 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LTE 안테나 시스템과 5G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하는 평면형(flat) 차량용 안테나에서, 샤크 형상 구조물과 텔레매틱스 형태의 구조물을 적절히 활용하는 최적화된 안테나 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차량 내에 탑재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듈과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의 내부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과 레이돔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차량에 탑재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 단말기는 경우에 따라 차량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차량용 단말기를 주로 언급하지만, 차량 내부에 배치되거나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기(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차량 내에 탑재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의 (a)는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이 차량의 지붕(roof) 위에 탑재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한편, 도 1의 (b)는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이 차량의 지붕 내에 탑재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차량)의 외관 개선 및 충돌 시 텔레매틱스 성능을 보전하기 위해 기존의 샤크 핀(Shark Fin) 안테나를 돌출되지 않은 형태의 평면형(Flat) 안테나로 대체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LTE) 제공과 함께, 2020년 이후 5세대(5G) 통신을 고려한 LTE 안테나와 5G 밀리미터파(mmWave) 안테나가 통합된 형태의 안테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LTE 안테나는 LTE 4 x 4 MIMO(다중 입출력: Multi-Input Multi-Output)안테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장착되는 패치(patch) 안테나의 충격에 의한 내구성 강화를 위하여 패키지(package) 형태의 안테나를 제안한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은 육면체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구성되며, 차량의 지붕(roof) 위에 배치된다. 도 1의 (a)에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을 외부 환경 및 차량 운전 시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레이돔(radome, 2000a)이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레이돔(2000a)은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과 기지국 간 송신/수신되는 전파 신호가 투과될 수 있는 유전체(dielectric)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은 차량의 지붕 구조물 내에 배치되고, 상기 지붕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가 비금속으로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의 지붕 구조물(2000b)의 적어도 일부는 비금속으로 구현되어,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과 기지국 간 송신/수신되는 전파 신호가 투과될 수 있는 유전체(dielectric)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은 차량의 지붕 구조물 이외에 응용에 따라 차량 전면 또는 후면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수도 주행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제공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6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하나 이상의 통신 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닛이다. 무선 통신부(460)는 제1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제1 통신 시스템 내의 기기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460)는 제2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제2 통신 시스템 내의 기기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100)은, 수동주행모드 및 자율주행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의 주행모드는, 수동주행모드 및 자율주행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듈과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은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 (또는 제1 및 제2 안테나 시스템) (1100, 1200)을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통신 시스템(130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 시스템(1300)은 텔레매틱스 모듈 또는 통신 모듈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시스템(1300)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장치(400),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부(460)와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13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1300)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13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시스템(1100, 1200)과의 링크 연결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시스템(1100)과 상기 제2 통신 시스템(1200)은 이중 연결 (dual connectivity)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통신 시스템(1200)으로부터 제2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시스템(1100)으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통신 시스템(1200)에서 기지국과의 링크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통신 시스템(1100)은 항상 연결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제2 통신 시스템(1200)으로부터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통신 시스템(1200)을 통한 링크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통신 시스템(1100)과의 연결을 개시하는 폴백(fall back)모드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은 각각 LTE 통신 시스템 및 5G 통신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응용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1100)은 기존 이동 통신 시스템(2G/3G/4G)와 무선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1100)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스트림 신호(stream signal)를 수신하도록 MIMO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2개 또는 4개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1100)은 각각 2 x 2 와 4 x 4 MIMO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2 x 2 와 4 x 4 MIMO 모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2개와 4개의 스트림 신호를 하나의 단말(차량)이 각각 2개와 4개의 스트림 신호를 모두 수신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스트림을 하나의 단말(차량)이 모두 수신하는 경우를 SU(Single user)-MIMO 모드라고 지칭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복수의 스트림을 여러 단말(차량)이 각각 수신하는 경우를 MU-MIMO 모드라고 지칭될 수 있다. 상기 SU-MIMO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1100)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은 안테나(1210),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1220),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1230) 및 위상 변위기(Phase Shifter, 1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은 28GHz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거나 또는 20, 30, 60GHz의 주파수 대역 또는 6GHz 이하의 Sub 6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210)는 유전체 기판 위에 패치 안테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치 안테나(110)는 유전체 기판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방사 소자와 그라운드 평면이 배치되는 마이크로 스트립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의 배열 안테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위상 변위기(1240)를 통해 상기 배열 안테나의 각 소자에 인가되는 위상 값들을 제어하여 빔 포밍(빔 스캔)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빔 포밍은 방위각 방향 및 앙각 방향에서 특정 각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1200)은 상기 위상 변위기(1240)에 의한 위상 값들의 변화에 따라 방위각 및 앙각 방향의 원하는 방향으로 빔 포밍을 수행하면서, 간섭 신호 방향으로 빔의 널 패턴(null pattern)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테나(1210)는 배열 안테나의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어느 하나에만 전력을 인가하여 단일 안테나 소자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안테나(1210)와 관련하여, 배열 안테나와 단일 안테나 소자 구성은 전력 온/오프 및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회로 구성에 의해 가변적으로 구성 가능하다. 따라서, 기지국 또는 다른 통신 대상 기기와의 거리가 충분히 가까워서 신호 레벨(또는 신호 대 간섭비)이 충분한 경우, 상기 패치 안테나(110)는 단일 안테나 소자로 가변적으로 구성된다. 반면에, 신호 레벨(또는 신호 대 간섭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안테나(1210)는 배열 안테나로 가변적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안테나(1210)는 상기 전력 증폭기(1220)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자유 공간(free space)으로 방사하는 송신 안테나와 상기 자유 공간으로부터 수신 신호를 상기 저잡음 증폭기(1230)로 전달하는 수신 안테나로서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1210)는 송신 주파수 대역과 수신 주파수 대역에서 모두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력 증폭기(1220)는 5G RF IC로부터의 신호를 고출력 증폭하여 상기 패치 안테나(100)를 통해 상기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120)는 상기 5G RF IC로부터의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대역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주파수 (RF: 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상향 변환부(frequency up-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1230)는 상기 안테나(12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5G RF IC로 전달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저잡음 증폭기(1230)는 상기 28GHz의 RF 신호를 IF 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주파수 하향 변환부부(frequency down-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상 천이기(1240)는 상기 패치 안테나(1210)가 배열 안테나로 구성된 경우, 상기 배열 안테나의 각 소자들에 서로 다른 위상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위상 천이기(1240)는 송신 주파수 대역 및 수신 주파수 대역에서 모두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위상 천이기(1240)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위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위상 천이기(1240)는 5G BB IC로부터 위상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상 천이기(1240)는 내부 소자로 인하여 삽입 손실(insertion loss)이 발생하므로, 상기 저잡음 증폭기(123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위상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상 천이기(1240)는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에서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저잡음 증폭기(1230)를 통해 저잡음 증폭한 이후에 위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300)은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200)과 인터페이스되는 LTE 시스템과 상기 제2안테나 시스템(1200)과 인터페이스되는 5G RF IC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LTE 시스템은 3G WCDMA 폴백(fallback)을 지원하도록 3G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또는 2G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안테나 시스템(1100)은 RF 케이블 또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을 통해 상기 LTE 시스템과 인터페이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1300)은 5G BB(Base Band: 기저 대역) IC, USIM 및 LPDDR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5G BB IC는 상기 제1 및 제2통신 시스템(1100, 1200)과 기저 대역 신호를 교환한다. 여기서, 상기 5G BB IC는 상기 5G RF IC와는 2x MPHY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스되고, 상기 LTE system과는 PCIe 1.0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USIM 및 LPDDR4은 각각 이동 통신 사용자 식별 모듈과 메모리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1100)과 관련하여,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1200) 보다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므로 안테나 소자들 간의 독립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보다 넓은 배치 간격이 필요하다. 이는 각 안테나 소자들을 MIMO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간의 격리도가 특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의 내부 구조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의 복수의 안테나들이 배치된 일 측면도인 좌 측면도를 나타낸다. 반면에,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의 복수의 안테나들이 배치된 일 측면도인, 전면도를 나타낸다.
한편,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의 5G 배열 안테나들이 부착되는 다면체 구조물과 배열 안테나를 나타낸다.
한편, 도 3,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제1 안테나 시스템(1100)과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안테나 시스템(1100)은 차량에 탑재되는 구조물(structure)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안테나 소자(1110, 1120)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은 상기 구조물 내에 배치되는 다면체(1210a)의 측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1211 내지 1214)가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안테나 소자(1110, 1120)는 상기 다면체(1210a)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구조물에 일정 각도로 세워진 기판(substrate)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안테나 소자(1110, 1120)가 배치되는 기판은 하부 구조물과의 체결과 안테나 방사 특성을 고려하여 하부 구조물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과 레이돔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도 3,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의 구조물(2110a, 2120a, 2110b, 2120b, 2110c)는 샤크 핀(shark fin) 형상의 레이돔(radome)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는, 상기 다면체(1210a)의 4개의 측면(S1 내지 S4)에 부착되는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는 5세대(5G)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는 MIMO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방위각 방향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면체(1210a)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상기 구조물의 바닥 면(bottom surface)의 대칭선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일정 각도인 제1 각도(a)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면체(1210a)의 제3 측면과 제4 측면은 상기 대칭선의 타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일정 각도인 제2 각도(b)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측면 내지 상기 제4 측면에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각도(a)와 상기 제2 각도(b)는 응용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전면에서의 신호 송수신이 차량 후면에서의 신호 송수신보다 중요하므로, 상기 제1 각도(a)의 값을 상기 제2 각도(b)의 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각도(a)의 값이 클 수록, 제1 및 제2 배열 안테나 (1211 및 1212)는 비교적 전면을 조향하고, 전면에서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 각도(a)의 값이 작을 수록, 제1 및 제2 배열 안테나 (1211 및 1212) 각각의 빔 커버리지는 측면으로 확장되어, 전면 이외에 측면에서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 각도(a)의 값이 작을 수록 제1 및 제2 배열 안테나 (1211 및 1212) 각각의 빔 커버리지의 전면에서의 중첩 영역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각도(a)와 상기 제2 각도(b)는 제1 및 제2 LTE 안테나(1110 및 1120)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각도(a)는 제1 기판에 부착된 제1 LTE 안테나(1110)와 간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각도(b)는 제2 기판에 부착된 제2 LTE 안테나(1120)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LTE 안테나(1110 및 1120)와의 간섭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제1 각도(a)와 상기 제2 각도(b)는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면체(1210a)의 측면 상의 폭이 감소하게 되고, 서로 다른 안테나 시스템 간 간섭이 저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제1 및 제2 배열 안테나 (1211 및 1212)의 빔 커버리지가 전면보다는 측면을 커버함에 따라, 차량 전면에서의 신호 송수신 성능이 다소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다면체(1210a)의 측면 사이에는 경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면체(1210a)의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 제1 경계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3측면과 상기 제4측면 상이에 제2 경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경계면의 영역에 다른 안테나의 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경계면의 폭은 상기 다면체(1210a)의 전방에 제1 기판 (구조물에 수직하게 세워져 형성)의 폭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경계면의 폭은 상기 다면체(1210a)의 후방에 제2 기판 (상기 구조물에 수직하게 세워져 형성)의 폭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면체(1210a)의 전면 및 후면 가시 영역에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장애물로 인식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서로 다른 안테나 시스템의 안테나 간 간섭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에는 LTE안테나와 5G 안테나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은 기존 배치된 LTE안테나와 5G 안테나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최적 배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GPS 안테나(1510), 위성방송(DMB) 안테나(1520) 및 FM 수신용 안테나(1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안테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응용에 따라 다양한 안테나들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성방송(DMB) 안테나(1520)는 제1 LTE 안테나(1110)와 다면체(1210a) 사이에, 구조물에 수직하게 세워진 제3 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위성방송(DMB) 안테나(1520)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LTE 안테나, 5G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상이하여, 이들 안테나 간에 간섭이 문제되지 않는다.
한편, FM 수신용 안테나(1530)는 제2 LTE 안테나(1120)와 다면체(1210a) 에, 구조물에 수직하게 세워진 제4 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FM 수신용 안테나(1530)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LTE 안테나, 5G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상이하여, 이들 안테나 간에 간섭이 문제되지 않는다.
한편, GPS 안테나(1510)는 위성방송(DMB) 안테나(15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GPS 신호 수신에 따라 차량 위치 파악은 중요하여, 다른 안테나들 간의 간섭을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GPS 신호 수신 시 LTE 안테나를 통한 송신 전력의 백-오프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GPS 안테나(1510)는 차량에 탑재되는 구조물의 가장 앞에 배치됨에 따라 다른 안테나 또는 구조물에 따른 가림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안테나들과 달리 구조물의 바닥면에 배치됨에 따라 다른 안테나와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GPS 안테나는 상기 구조물의 바닥 면에 배치되는 기판에 프린트된 패치 안테나(patch antenna)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에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른 형태의 안테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3 안테나 소자(1130 내지 1160)이 구조물 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3 안테나 소자(1130 내지 1160)는 다면체(1210a)의 4개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조물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복수의 기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5G 안테나와 관련하여, 전술한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1210)는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서 동작한다. 반면에, 복수의 제3 안테나 소자(1130 내지 1160)는 6GHz 대역 이하의 Sub6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1 내지 제4 Sub6 안테나(1130 내지 1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Sub6 안테나(1130 내지 1160)는 Sub6 대역 이외에 LTE 대역에서도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Sub6 안테나(1130 내지 1160)는 제1주파수 대역에서 LTE 통신 시스템인 제1 통신 시스템의 제1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Sub6 안테나(1130 내지 1160)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에서5G 통신 시스템인 제2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안테나가 배치되는 구조물의 외곽 측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Sub6 안테나(1130 내지 1160)는 레이돔에 의해 전파 손실 특성 등 그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Sub6 안테나(1130 내지 1160)가 배치되는 복수의 기판은 최외곽이 구조물의 바닥 면 내에 배치되고, 샤크 핀 형상의 구조물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제1 안테나 시스템(1100)과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안테나 시스템(1100)은 차량에 탑재되는 제1 구조물(structure)(2100) 내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 소자가 제1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반면에,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은 제2 구조물(2200)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가 제2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2 구조물(2200)은 제1 구조물(2100)과 분리되어 별도로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제2 구조물(2200)은 제1 구조물(2100)과 분리된 모듈로 구성되며, 제1 구조물(2100)과 제2 구조물(2200)은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으로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4c 및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면, 상기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안테나 소자(1110 및 1120)는 제1 구조물(2100) 내에서 일정 각도로 세워진 기판(substrate)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구조물(2100)은 샤크 핀(shark fin) 형상의 레이돔(radome)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조물(2200)은 상기 샤크 핀 형상의 레이돔이 부착될 수 있는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2 구조물(2200)의 평면형 구조물(flat structure) 내에는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인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는 5세대(5G)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통해 상기 제2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는 평면형 구조물 내에 배치되기 위해서, 도 4c와 같은 다면체(1210a)에 부착되는 형태가 아니라 평면형 패치 안테나(flat patch antenna)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구조물(2200) 내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 이외에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300)에 해당하는 텔레매틱스 모듈 또는 통신 모듈이 제2 구조물(220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1300)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프로세서)에 의해 제1 안테나 시스템(1100)과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을 통해 차량에서 이종 통신 시스템(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을 이용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도 4b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안테나 소자(1110) 및 제2 안테나 소자(1200)가 프린트된 제1기판 및 제2 기판은 제1 구조물(2100) 내에 상기 제1 구조물(2100)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이 이 상기 제1 구조물(21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구조물(2100)의 폭(width)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소화된 폭을 갖는 제1 구조물(2100)은 5G 배열 안테나가 별도의 제2 구조물(2200)에 배치됨에 따라, 또한 그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외부에 돌출되는 샤크 핀 형상의 제1 구조물(2100)의 부피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여러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이 제1 구조물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구조물(2100) 내에는 제1 안테나 소자(1110)의 후방에 제1 구조물(2100)에 수직하게 세워진 제3 기판에 부착되는 위성방송(DMB) 안테나(15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조물(2100) 내에는 위성방송(DMB) 안테나(1520)의 후방에 제1 구조물(2100)에 수직하게 세워진 제4 기판에 부착되는 FM 수신용 안테나(153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위성방송(DMB) 안테나(1520)와 제1 안테나 소자(1110)의 전방에 GPS 안테나(151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GPS 안테나(1510)는 제1 구조물(2100)의 바닥 면에 배치되는 기판에 프린트된 패치 안테나(patch antenna)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c와 도 6을 참조하면, 샤크 형상의 레이돔에 해당하는 제1 구조물(2100)은 베이스 레이돔(2110a, 2110b)과 상부 레이돔(2120a, 21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레이돔(2110a, 2110b)은 제1 구조물(2100)의 바닥면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 레이돔(2120a, 2120b)은 베이스 레이돔 베이스 레이돔(2110a, 2110b)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상부 레이돔(2120b)은 다면체(1210a) 구조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만곡 형상(curved sha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에, 도 5a를 참조하면, 다면체(1210a) 구조물이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레이돔(2120a)은 해당 위치에 위성방송(DMB) 안테나(1520)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에 대응하는 만곡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조물(2100)은 상부에 평면부(2130a, 2130b, 213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평면부(2130a, 2130b, 2130c)는 상부 레이돔(2110a, 2110b, 2110c)의 상부 중앙 부근에서 전파의 산란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 부근이 평면(flat)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도 5c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구조물(2100)은 베이스 레이돔과 상부 레이돔과 같은 서로 다른 만곡 형상이 아닌, 하나의 만곡 형상인 하나의 레이돔(2110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특히 샤크 형상의 레이돔에 구비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구성 및 안테나 배치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기존 이동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차세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평면형 차량용 안테나와 그 설계 및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LTE 안테나 시스템과 5G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하는 평면형(flat) 차량용 안테나에서, 안테나 소자들 간의 격리도 특성이 최적화된 안테나 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형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의 다양한 기본 구조들을 확장 구조를 확장 가능한 모듈 형태의 평면형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안테나 시스템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모뎀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지붕 위에 배치되는 제1 구조물;
    상기 제1 구조물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차량 내에 별개로 탑재되도록 구성된 제2 구조물 -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은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으로 구성됨 -;
    상기 제1 구조물의 내부에 배치되어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 및 6GHz 이하인 Sub6 주파수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고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1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제2 구조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 및 6GHz 이하인 Sub6 주파수 대역에서 제2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 소자는 상기 차량의 지붕 위에 탑재되고, 상기 안테나 소자들은 상기 차량의 지붕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 소자는 제1 안테나 시스템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은 제1 MIMO 안테나 및 제2 MIMO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MIMO 안테나 및 상기 제2 MIMO 안테나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1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물은 상기 제1 구조물 내부의 상기 제1 안테나 소자 또는 상기 제2 구조물 내부의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을 통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텔레매틱스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면체의 측면들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제2 안테나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는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MIMO 안테나는 상기 제1 구조물 내부의 다면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MIMO 안테나는 상기 제1 구조물 내부의 다면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MIMO 안테나 및 상기 제2 MIMO 안테나는 상기 제1 구조물 내부에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적어도 일 면에 부착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동작하는 상기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는 상기 다면체의 측면들에 부착되고,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 및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을 통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의 양 측면들 사이의 경계면은 상기 다면체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의 측면들은 상기 제1 구조물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앙각 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물의 내부에 배열 안테나들이 부착된 복수의 기판들로 이루어진 다면체의 두 측면은 방위각 방향으로 제1 각도 및 제2 각도를 형성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구조물 내부에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부착되는 제1 MIMO 안테나 및 제2 MIMO 안테나의 경계면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다면체의 두께는 상기 제1 MIMO 안테나 및 상기 제2 MIMO 안테나가 부착되는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1.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구조물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 시스템 -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은 제1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구조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면체의 측면들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2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지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도록 비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구조물의 내부의 상기 다면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도록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붕의 나머지 부분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지붕의 비금속 영역의 내부 또는 상기 지붕의 비금속 영역 위에 배치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의 나머지 부분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지붕의 금속 영역 위에 배치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은 샤크 핀 형상의 레이돔으로 구성된 상기 구조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동작하는 상기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는 상기 다면체의 측면들에 부착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의 두 측면 사이의 경계면은 상기 다면체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의 측면들은 상기 구조물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앙각 방향으로 소정 각도롤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의 두 측면은 방위각 방향으로 제1 각도 및 제2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구조물 내부에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부착되는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와의 경계면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의 두께는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가 부착되는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KR1020217015263A 2018-12-10 2018-12-10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KR102578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5631 WO2020122266A1 (ko) 2018-12-10 2018-12-10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176A KR20210091176A (ko) 2021-07-21
KR102578394B1 true KR102578394B1 (ko) 2023-09-14

Family

ID=7097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263A KR102578394B1 (ko) 2018-12-10 2018-12-10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990672B2 (ko)
EP (1) EP3896787A4 (ko)
KR (1) KR102578394B1 (ko)
CN (1) CN113196566B (ko)
WO (1) WO2020122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182B1 (ko) * 2018-11-19 2021-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통신 장치
US10461421B1 (en) * 2019-05-07 2019-10-29 Bao Tran Cellular system
US11171655B2 (en) * 2019-06-27 2021-11-09 Intel Corporation Multi-chip synchronization with applications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radar systems
US20230066184A1 (en) * 2020-01-13 2023-03-02 Lg Electronics Inc. Antenna system mounted in vehicle
CN112002995A (zh) * 2020-07-03 2020-11-27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5g天线结构
IT202100003866A1 (it) * 2021-02-19 2022-08-19 Ask Ind Spa Veicolo con sistema ottimizzato per la ricetrasmissione di dati
CN116683204A (zh) 2022-02-22 2023-09-01 富泰京精密电子(烟台)有限公司 多频段车载天线及汽车天线装置
US11736176B1 (en) * 2022-02-28 2023-08-22 Qualcomm Incorporated Gain pattern overlap reduction
US11870476B2 (en) * 2022-04-21 2024-01-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wireless systems of a vehicle to share cabl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9211A (ja) * 2014-01-24 2015-07-30 株式会社フジクラ 車載用アンテナ装置
US20170054204A1 (en) * 2015-08-21 2017-02-23 Laird Technologies, Inc. V2x antenna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5210A2 (en) 2009-03-12 2010-09-16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Vehicle integrated communications system
DE102011016294B4 (de) * 2011-04-07 2013-09-12 Kathrein-Werke Kg Dachantenne, insbesondere Kraftfahrzeug-Dachantenne mit zugehöriger Steckverbindungseinrichtung
KR101618128B1 (ko) 2014-04-16 201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571172B2 (en) * 2014-07-11 2017-02-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of maximizing MIMO throughput by placing antennas in a vehicle
KR101618126B1 (ko) * 2014-08-27 2016-05-09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협력제어 통신용 통합형 다이버시티 안테나
KR102265700B1 (ko) * 2015-03-09 2021-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형 v2x 통신 시스템이 구비된 샤크 핀 안테나
KR101768141B1 (ko) * 2015-12-15 2017-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플링 스터브를 이용한 차량용 다중 대역 mimo 안테나
JP6818757B2 (ja) * 2016-04-01 2021-01-20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マルチビーム多入力多出力(mimo)のためのビームフォーミングアーキテクチャ
EP3270483B1 (en) 2016-07-12 2022-06-29 Nxp B.V.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battery charging
EP3270461B1 (en) * 2016-07-14 2020-11-04 Advanced Automotive Antennas, S.L. A broadband antenna system for a vehicle
WO2018043808A1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KR101852580B1 (ko) 2016-08-31 2018-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US10096893B2 (en) 2016-12-02 2018-10-09 Laird Technologies, Inc. Patch antenna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9211A (ja) * 2014-01-24 2015-07-30 株式会社フジクラ 車載用アンテナ装置
US20170054204A1 (en) * 2015-08-21 2017-02-23 Laird Technologies, Inc. V2x antenna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96566B (zh) 2023-12-26
US11990672B2 (en) 2024-05-21
US20200185819A1 (en) 2020-06-11
US20210305687A1 (en) 2021-09-30
US20220069450A1 (en) 2022-03-03
EP3896787A1 (en) 2021-10-20
WO2020122266A1 (ko) 2020-06-18
CN113196566A (zh) 2021-07-30
US10910703B2 (en) 2021-02-02
KR20210091176A (ko) 2021-07-21
EP3896787A4 (en)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887B1 (ko)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KR102578394B1 (ko)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KR102552305B1 (ko)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US20210344107A1 (en) Antenna system loaded in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9653787B2 (en) Antenna system for a vehicle
KR102499763B1 (ko) 차량에 탑재되는 광대역 안테나
US20220384955A1 (en) Antenna system mounted on vehicle
US20230327330A1 (en) Waveguide with Radiation Slots and Parasitic Elements for Asymmetrical Coverage
KR20210100199A (ko) 콘 안테나 어셈블리
US20220200115A1 (en) Waveguide with slot-fed dipole elements
KR102215659B1 (ko) 안테나 어셈블리 및 주파수 적응성 그라운드 레이어
WO2021060070A1 (ja) 路側機及び交通通信システム
KR20240070594A (ko)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KR20240046895A (ko)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KR20240043155A (ko)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CN118104071A (zh) 配置于车辆的宽带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