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032B1 - 전기변색 나노입자 - Google Patents

전기변색 나노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032B1
KR102578032B1 KR1020160027088A KR20160027088A KR102578032B1 KR 102578032 B1 KR102578032 B1 KR 102578032B1 KR 1020160027088 A KR1020160027088 A KR 1020160027088A KR 20160027088 A KR20160027088 A KR 20160027088A KR 102578032 B1 KR102578032 B1 KR 10257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particles
electrochromic
state
wavelength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269A (ko
Inventor
구상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7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032B1/ko
Priority to EP16893661.5A priority patent/EP3428243B1/en
Priority to CN201680083111.0A priority patent/CN108699430A/zh
Priority to US16/077,197 priority patent/US11307474B2/en
Priority to PCT/KR2016/002636 priority patent/WO2017155146A1/ko
Publication of KR2017010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02F1/15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ion transporting layer, e.g. electroly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C09K9/02Organic tenebr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oxidation-reduction reactions in organic liquid solutions, e.g. viologen solu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02F1/1524Transition metal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쉘 구조를 가지는 전기변색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발명은 제1전기변색 물질로 이루어진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제2전기변색 물질로 이루어진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기변색 물질은 적어도 한 종류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변색 나노입자{ELECTROCHROMIC NANOPARTICLE}
본 발명은 코어-쉘 구조를 가지는 전기변색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Electrochromism)은 전류의 인가 방향에 따라 전기화학적 산화 또는 환원반응에 의해 착색 또는 탈색이 이루어지는 현상이다. 전기변색 물질은 소정 색을 유지하다가 전류가 인가되면 다른 색으로 변색된다. 그리고 전류의 방향을 역전시키면 전기 변색물질의 본래 색으로 복원된다.
여기서, 전기변색 물질은 산화 또는 환원반응에 따라 흡수 스펙트럼이 변화한다. 즉, 상기 전기변색 물질은 그 자체로 발광을 하는 것이 아니라, 흡광을 통해 색을 띤다. 이러한 성질을 갖는 전기변색 소자는 차량용 미러와 썬루프, 스마트창, 옥외 디스플레이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전기변색 물질은 변색이 일단 이루어지면 상부 전극 및 하부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도 변색된 상태가 유지되는 메모리형과, 변색이 되더라도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 사이에 전압을 지속적으로 인가해야만 변색된 상태가 유지되는 비메모리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메모리형은 물질 변색을 위한 소비 전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이에, 상기 메모리형 전기변색 물질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만, 종래 전기변색 소재의 경우, 한 가지 물질만 변색에 참여하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고 차광 특성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전기변색 소재의 경우, 빠른 변색속도 및 고 차광 특성을 동시에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빠른 변색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고 차광 특성을 가지는 전기변색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한 전기변색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전기변색 물질로 이루어진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제2전기변색 물질로 이루어진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기변색 물질은 적어도 한 종류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및 쉘은 서로에 대한 보색을 띨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나노입자는 가시광선 영역 대의 모든 빛을 흡수 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및 쉘은 유사한 색을 띨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나노입자는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을 강하게 띨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빠른 전기변색 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변색 나노입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화학적 안정성을 가짐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변색 나노입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및 쉘 사이에는 상기 코어 및 쉘의 흡착력을 높이도록 이루어진 흡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전기변색 나노입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 차광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빠른 변색 속도를 가지는 전기변색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적 안정성이 높은 전기변색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와 쉘이 색상 조합으로 다양한 색을 띠는 전기 변색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나노입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나노입자를 활용한 전기변색 셀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코어 및 쉘 사이에 흡착층을 더 포함하는 전기변색 나노입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a는 실험 예1에서 사용된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는 실험 예2에서 사용된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c는 실험 예3에서 사용된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나노입자는 코어-쉘 구조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의 코어 및 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나노입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100)의 코어 및 쉘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전기변색 물질로 이루어져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는 코어 및 쉘 모두 변색 능력을 가지며, 코어 및 쉘이 서로 다른 흡수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100)를 구성하는 코어(110a) 및 쉘(120a)은 산화 또는 환원반응에 따라 변색(110b 및 120b)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전기변색 물질을 제1전기변색 물질이라 하고, 상기 쉘을 구성하는 전기변색 물질을 제2전기변색 물질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100)에 기준 값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나노입자(100)는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제1 및 제2전기변색 물질이 변색되기 전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제1 및 제2전기변색 물질이 모두 변색된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기준 값은 상기 제1 및 2전기변색 물질을 모두 산화 또는 환원시킬 수 있는 전압 값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100)는 상기 제2상태의 상기 나노입자에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역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나노입자는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100)를 전기변색 소재로 활용할 경우, 고 차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노입자(100)는 상기 제1및 제2상태에서 서로 다른 광 투과율을 가진다. 코어 및 쉘을 구성하는 각각의 물질은 서로 다른 흡수스펙트럼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나노입자는 하나의 물질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넓은 흡수스펙트럼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전기변색 물질은 산화상태에서 무색, 환원상태에서 제1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산화상태에서 무색, 환원상태에서 상기 제1색의 보색인 제2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100)에 전압을 걸어 상기 제1 및 제2 전기변색 물질을 산화상태에서 환원상태로 전환시키는 경우, 상기 나노입자는 가시광선 영역의 모든 빛을 흡수하게 된다. 즉, 상기 나노입자는 검은색 계열의 색을 띠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노입자(100)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될 때, 가시광선 영역에 대응하는 400nm 내지 800nm의 파장 대에서의 파장 별 투과율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나노입자는 검은색 계열의 색을 띠게 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전기변색 물질은 산화상태에서 무색, 환원상태에서 푸른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산화상태에서 무색, 환원상태에서 상기 제1전기변색 물질과 유사한 푸른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100)에 전압을 걸어 상기 제1 및 제2 전기변색 물질을 산화상태에서 환원상태로 전환시키는 경우, 상기 나노입자는 푸른색 계열의 색을 강하게 띠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노입자(100)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될 때, 푸른색 영역에 대응하는 400nm 내지 500nm의 파장 대에서의 파장 별 투과율이 다른 파장 대의 파장 별 투과율 보다 작은 폭으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나노입자는 푸른색 계열의 색을 띠게 된다. 이때, 유사한 색상의 두 가지 전기변색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흡수 파장 대가 넓어지며, 나노입자는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을 강하게 띠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전기변색 물질은 무기물이며, 상기 무기물은 적어도 한 종류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물은 산화텅스텐, 산화몰리브덴, 산화탄탈륨, 산화나이오븀, 산화바나듐, 산화철, 산화주석, 산화비스무트, 산화세륨, 산화망간,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산화로듐, 산화이리듐, 산화니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상기 제1전기변색 물질은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100)가 빠른 변색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유기물은 상기 무기물과 비교할 때, 화학적 안정도는 떨어지나, 변색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상기 유기물 또는 무기물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를 투명 디스플레이 차광판용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 차광판용 소재의 빠른 변색속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전기변색 물질은 유기물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를 차량 윈도우 코팅용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 차량이 외부환경에 자주 노출되기 때문에, 윈도우 코팅용 소재의 높은 화학적 안정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무기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이 유기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하기 화학식1 내지 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7에서 X-는 BF4 -, ClO4 -, CF3SO3 -, F-, Cl-, Br- 및 I-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화학식 7에서 R1 및 R2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이소펜틸기 및 벤질기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7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화합물이 산화 또는 환원되며, 이에 따라, 화합물의 흡수스펙트럼이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비올로겐')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비올로겐은 산화되며, 하기 화학식 8과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화합물의 흡수스펙트럼이 변하며, 화합물의 색상이 변하게 된다.
상기 비올로겐은 다양한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치환기의 종류에 따른 색상 및 변색 전위는 하기 표 1과 같다.
치환기
(R1, R2)
이가 양이온(MV2+)
색상
라디칼 양이온(MV+?)
색상
변색 전위(V)
(vs SCE)
Methyl colorless blue -0.688
Ethyl colorless blue -0.691
Propyl colorless blue -0.690
Butyl colorless blue -0.686
Pentyl colorless purple -0.686
Hexyl colorless purple -0.710
Heptyl colorless mauve -0.600
Octyl colorless crimson -0.705
iso-Pentyl colorless purple -0.696
Benzyl colorless mauve -0.573
한편, 상기 유기물은 고분자화합물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화합물은 폴리 싸이오펜, 폴리(3-메틸싸이오펜), 폴리피롤, 폴리(3-메틸케토피롤), 폴리(3,4-다이메틸피롤), 폴리(N-메틸피롤), 폴리아닐린, 폴리(2-메틸아닐린) 및 폴리(3-메틸아닐린)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기 표 2는 싸이오펜 및 싸이오펜 유도체를 단량체로 하는 고분자화합물의 전기변색 특성을 나타낸다.
폴리머 종류 산화상태
흡수파장(nm)/색상
환원상태
흡수파장(nm)/색상
변색 전위(V)
(vs SCE)
폴리싸이오펜 730/blue 470/red 1.1
폴리(3-메틸싸이오펜) 750/deep-blue 480/red 0.75
하기 표 3은 피롤 및 피롤 유도체를 단량체로 하는 고분자화합물의 전기변색 특성을 나타낸다.
폴리머 종류 산화상태
색상
환원상태
색상
변색 전위범위(V)
(vs SCE)
폴리피롤 brown yellow 0 to 0.7
폴리(3-메틸케토피롤) yellow-brown brown-yellow 0 to 1.1
폴리(3,4-다이메틸피롤) purple green -0.5 to 0.5
폴리(N-메틸피롤) brown-red orange-yellow 0 to 0.8
하기 표 4는 아닐린 및 아닐린 유도체를 단량체로 하는 고분자화합물의 전기변색 특성을 나타낸다.
폴리머 종류 -0.2V 흡수 파장(nm) 0.2V 흡수 파장(nm) 0.3V 흡수 파장(nm) 0.4V 흡수 파장(nm) -0.2 to 0.40V 응답시간(s) 0.4 to -0.20V 응답시간(s)
폴리아닐린 320, 440 320, 440, >820 330, 430, 800 340, 420, 800 1.4 0.6
폴리(2-메틸아닐린) 308, 420 308, 420 312, 410, >820 380, 800 1.6 0.6
폴리(3-메틸아닐린) 304, 420 304, 420 304, 410, >820 306, 390, >820 3.2 1.0
상기 표1 내지 표4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분자 화합물들은 분자량에 따라 흡수스펙트럼 및 변색전위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이 무기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적어도 한 종류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전기 변색 물질은 산화텅스텐, 산화몰리브덴, 산화탄탈륨, 산화나이오븀, 산화바나듐, 산화철, 산화주석, 산화비스무트, 산화세륨, 산화망간,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산화로듐, 산화이리듐, 산화니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전기변색 물질 및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는 고 차광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빠른 전기변색 속도를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는 도 2에 도시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나노입자를 활용한 전기변색 셀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변색 셀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들로 이루어진 변색 층(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색 층(100)은 상기 전기변색 셀에서 실제로 색이 변하는 층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변색 층(100) 양쪽에는 상기 변색 층(100)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들(210)이 배치된다. 상기 전극들(210)에 문턱 값(Threshold)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변색 층(100)을 구성하는 나노입자들이 산화 또는 환원되면서 상기 변색 층(100)의 색이 변한다.
이때, 상기 전기변색 셀은 상기 변색 물질의 산화 또는 환원을 보조하기 위한 이온 저장 층(220), 전해질 층(230) 및 실런트 층(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해질 층(230)은 액상, 고상, gel상 일 수 있으며, 구성할 수 있는 물질의 종류는 하기 표 5와 같다.
Material Type
LiClO4 propylene carbonate(PC) mixed w/ PMMA polymer complex
amylopectin-rich starch(Amidex 4001), 수계 분산, glycerol 또는 EG에 혼합, LiClO4 추가, Teflon plaque에 분산 polymer complex
complex PVA w/ H3PO4, H2SO4, HCl polymer complex
LiClO4, gelatin (Oetker), glycerol, formaldehyde polymer complex
(p(TMC)/PEO)(poly(trimethylene carbonate)/poly(ethylene oxide)) doping w/ LiClO4 SPE
p(TMC) w/ LiClO4 & LiBF4 SPE
elastomer w/ LiClO4 polymer complex
LiClO4, LiCF3SO3, LiN(CF3SO2)2
polymer: PMMA, PEO, PVC, PAN
solvent : PC, EC, γ-BL
polymer complex
PEO(polyethylene oxide) gel polymer
LiPON (lithium phosphorous oxynitride) inorganic
P(VDF-TrFE) polar polymer polymer
LiClO4 (d-U(2000)nLiClO4, d-U(900)nLiClO4)
matrix: ormosils (organically modified silicates) from poly(oxyethylene)
polymer complex
LiF inorganic
Ta2O5 inorganic
LixTaOy inorganic
LiClO4 in PC or PMMA+PC polymer complex
PVA-H3PO4-PEG complex polymer complex
LiPO4 + WO3 (2wt%) composite (LPWON) inorganic
CuCl2 (cooper(II) chloride) + animal protein + gelatine polymer complex
mica film, lithium fluorhectorite film
LiClO4
polymer : polypropylene carbonate, poly(epichlorohydrin-co-ethylene oxide)
polymer complex
HSbO32H2O inorganic
Li salt, LPEI(linear poly(ethylene imine), PEO(poly(ethylene oxide) polymer complex
HCl+PEO, PEO+LiClO4, PTS+urea+glycerol, PEO+PTS, PTS+glycerol+PEO polymer complex
CSE (cellulose matrix solid electrolyte), NCC (nanocrystalline cellulose) cellulose type
optimized BEMA/PEGMA, Li+ polymer (gel)
HPC(hydroxypropyl cellulose) based, CH2Cl2 (dichloromethane), PEG, DBSA(4-dodecylbenzenesulfonic acid) cellulose based
polymer (gel)
한편, 상기 실런트 층은 sealing 및 cell gap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이온 저장 층(220) 은 상기 변색 물질의 산화 또는 환원을 보조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뿐, 상기 전기변색 셀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는 코어 및 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코어 및 쉘 사이에 흡착층을 더 포함하는 전기변색 나노입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100)는 코어(110) 및 쉘(120) 사이에 상기 코어 및 쉘의 흡착력을 높이도록 이루어진 흡착층(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흡착층(310)은 TiO2로 이루어질 수 있다. TiO2는 전이금속 산화물이지만, 전기변색 특성이 약하다. 따라서, TiO2는 나노입자(100)의 흡수스펙트럼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만, TiO2는 코어(110) 및 쉘(12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100)의 구조적 안정성이 증가한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 및 실험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후술할 실시 예 및 실험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실험 예1. 코어 및 쉘 중 쉘에서만 전기변색이 일어나는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 측정
코어가 산화티타늄, 쉘이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페난트롤린)로 이루어진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 파장 대는 400nm 내지 800nm이었다.
이후, 상기 나노입자에 전압을 인가하였으며, 인가되는 전압 값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상기 나노입자가 변색된 후, 전압 인가를 멈추고, 변색된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 파장 대는 400nm 내지 800nm이었다.
도 4a는 실험 예1에서 사용된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두 개의 그래프(제1 및 제2상태)를 포함하며, 제1상태는 나노입자의 변색 전 투과율, 제2상태는 나노입자의 변색 후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4a에 따르면, 나노입자가 변색된 후 약 420nm 내지 510nm 파장 대의 투과율이 감소하였다. 실험 예1에서 사용된 나노입자는 변색 후 붉은 계열의 색을 띠었다.
실험 예2. 코어 및 쉘이 보색을 띠는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 측정
코어가 산화텅스텐, 쉘이 페난트롤린으로 이루어진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 파장 대는 400nm 내지 800nm이었다.
이후, 상기 나노입자에 전압을 인가하였으며, 인가되는 전압 값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상기 나노입자가 변색된 후, 전압 인가를 멈추고, 변색된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 파장 대는 400nm 내지 800nm이었다.
도 4b는 실험 예2에서 사용된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는 두 개의 그래프(제1 및 제2상태)를 포함하며, 제1상태는 나노입자의 변색 전 투과율, 제2상태는 나노입자의 변색 후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4b에 따르면, 나노입자가 변색된 후 모든 파장 대의 투과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노입자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투과율이 0.06 내지 0.6배로 감소하였다. 또한, 제1상태에서 투과율이 높은 파장일수록, 제2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투과율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상기 나노입자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 대에서 모든 투과율이 30%이하로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실험 예2에서 사용된 나노입자는 변색 후 검은 계열의 색을 띠었다.
실험 예1 및 실험 예2의 나노입자는 쉘의 구성 성분이 동일하였으나, 실험 예2의 광 투과율(제2모드)이 실험 예1의 광 투과율(제2모드)보다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예3. 코어 및 쉘이 유사한 색을 띠는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 측정
코어가 산화텅스텐, 쉘이 비올로겐으로 이루어진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 파장 대는 400nm 내지 800nm이었다.
이후, 상기 나노입자에 전압을 인가하였으며, 인가되는 전압 값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상기 나노입자가 변색된 후, 전압 인가를 멈추고, 변색된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 파장 대는 400nm 내지 800nm이었다.
도 4c는 실험 예3에서 사용된 나노입자의 파장 별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c는 두 개의 그래프(제1 및 제2상태)를 포함하며, 제1상태는 나노입자의 변색 전 투과율, 제2상태는 나노입자의 변색 후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4c에 따르면, 나노입자가 변색된 후 약 600nm 내지 800nm 파장의 투과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노입자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400nm 내지 5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0.65배 내지 0.80배로 감소하고, 500nm 내지 8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0.20배 내지 0.80배로 감소하였다.
또한, 상기 나노입자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400nm 내지 5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15% 내지 60%에서, 10% 내지 50%로 변하였고, 500nm 내지 8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60 % 내지 80%에서, 17% 내지 50%로 변하였다.
즉, 500nm 내지 8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400nm 내지 500nm의 파장 대 보다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실험 예3에서 사용된 나노입자는 변색 후 푸른 계열의 색을 띠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제1전기변색 물질로 이루어진 코어;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제2전기변색 물질로 이루어진 쉘; 및
    상기 코어 및 상기 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코어 및 상기 쉘의 흡착력을 높이도록 이루어진 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기변색 물질은 적어도 한 종류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층은 TiO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나노입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에 기준 값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나노입자는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상태의 상기 나노입자에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역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나노입자는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나노입자는 상기 제1 및 제2상태에서 서로 다른 광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나노입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400nm 내지 8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0.06배 내지 0.60배로 감소하고,
    상기 제1상태의 나노입자는 400nm 내지 8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15%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상태의 나노입자는 400nm 내지 8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나노입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400nm 내지 5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0.65배 내지 0.80배로 감소하고, 500nm 내지 8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0.20배 내지 0.80배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나노입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태의 나노입자는 400nm 내지 5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15% 내지 60%이고, 500nm 내지 8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60 %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상태의 나노입자는 400nm 내지 5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10% 내지 50%이고, 500nm 내지 80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 별 광 투과율이 17%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나노입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변색 물질은 산화텅스텐, 산화몰리브덴, 산화탄탈륨, 산화나이오븀, 산화바나듐, 산화철, 산화망간,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산화로듐, 산화이리듐, 산화니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나노입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나노입자.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상기 화학식 1 내지 7에서 X-는 BF4 -, ClO4 -, CF3SO3 -, F-, Cl-, Br- 및 I-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화학식 7에서 R1 및 R2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이소펜틸기 및 벤질기 중 어느 하나이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폴리 싸이오펜, 폴리(3-메틸싸이오펜), 폴리피롤, 폴리(3-메틸케토피롤), 폴리(3,4-다이메틸피롤), 폴리(N-메틸피롤), 폴리아닐린, 폴리(2-메틸아닐린) 및 폴리(3-메틸아닐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나노입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적어도 한 종류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전기변색 물질 및 상기 제2전기변색 물질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나노입자.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27088A 2016-03-07 2016-03-07 전기변색 나노입자 KR102578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088A KR102578032B1 (ko) 2016-03-07 2016-03-07 전기변색 나노입자
EP16893661.5A EP3428243B1 (en) 2016-03-07 2016-03-16 Electrochromic nanoparticle
CN201680083111.0A CN108699430A (zh) 2016-03-07 2016-03-16 电致变色纳米粒子
US16/077,197 US11307474B2 (en) 2016-03-07 2016-03-16 Electrochromic nanoparticle
PCT/KR2016/002636 WO2017155146A1 (ko) 2016-03-07 2016-03-16 전기변색 나노입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088A KR102578032B1 (ko) 2016-03-07 2016-03-07 전기변색 나노입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269A KR20170104269A (ko) 2017-09-15
KR102578032B1 true KR102578032B1 (ko) 2023-09-13

Family

ID=5979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088A KR102578032B1 (ko) 2016-03-07 2016-03-07 전기변색 나노입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07474B2 (ko)
EP (1) EP3428243B1 (ko)
KR (1) KR102578032B1 (ko)
CN (1) CN108699430A (ko)
WO (1) WO2017155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689B1 (ko) 2018-02-06 2020-03-09 주식회사 진씨커 돌연변이 세포 유리 유전자 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돌연변이 세포 유리 유전자 분리 방법
CN108761950A (zh) * 2018-06-01 2018-11-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及制备方法、电子设备
CN108549185A (zh) * 2018-06-01 2018-09-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及制备方法、电子设备
US20210223686A1 (en) * 2020-01-22 2021-07-22 Applied Materials, Inc. High refractive index imprint compositions and material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KR102522644B1 (ko) * 2020-08-13 2023-04-18 (주)오리온엔이에스 코어-쉘 구조의 변색 복합체가 분산된 광감응 변색소자
CN116569105A (zh) 2020-11-18 2023-08-08 应用材料公司 具有钝化纳米颗粒和材料分压印组成物及其制造工艺
US11873232B2 (en) 2020-12-01 2024-01-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oducing hexagonal tungsten oxide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8665A1 (en) * 2006-12-04 2008-06-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anoparticle based thin films
CN103469272A (zh) * 2013-09-04 2013-12-25 浙江大学 三氧化钨/聚苯胺核壳纳米线阵列变色薄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3739A (en) * 1992-12-22 1995-05-09 Coleman; James P. Electrochromic materials and displays
EP1443090A1 (en) * 2003-01-31 2004-08-04 Ntera Limited Electrochromic particles
KR102001887B1 (ko) * 2012-08-28 2019-07-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변색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947071B1 (ko) * 2013-04-30 2019-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셔터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사용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04609705A (zh) * 2015-01-23 2015-05-13 天津城建大学 WO3-TiO2核壳结构电致变色玻璃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8665A1 (en) * 2006-12-04 2008-06-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anoparticle based thin films
CN103469272A (zh) * 2013-09-04 2013-12-25 浙江大学 三氧化钨/聚苯胺核壳纳米线阵列变色薄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8243A4 (en) 2019-08-28
US20200089073A1 (en) 2020-03-19
EP3428243A1 (en) 2019-01-16
US11307474B2 (en) 2022-04-19
CN108699430A (zh) 2018-10-23
KR20170104269A (ko) 2017-09-15
WO2017155146A1 (ko) 2017-09-14
EP3428243B1 (en)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032B1 (ko) 전기변색 나노입자
Alesanco et al. Multicolor electrochromics: rainbow-like devices
JP6841657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組成物
Camurlu Polypyrrole derivatives for electrochromic applications
Lu et al. An electrochromic device based on Prussian blue, self-immobilized vinyl benzyl viologen, and ferrocene
Somani et al. Electrochromic materials and devices: present and future
Shen et al. Out of sight but not out of mind: the role of counter electrodes in polymer-based solid-state electrochromic devices
Kraft Electrochromism: a fascinating branch of electrochemistry
Mortimer Electrochromic materials
Pande et al. Effects of counter ions on electrochromic behaviors of asymmetrically substituted viologens
Pande et al. RGB-to-black multicolor electrochromic devices enabled with viologen functionalized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s
Hu et al. High contrast all-solid-state electrochromic device with 2, 2, 6, 6-tetramethyl-1-piperidinyloxy (TEMPO), heptyl viologen, and succinonitrile
Zhang et al. Visible and infrared electrochromism of bis (2-(2-(2-hydroxyethoxy) ethoxy) ethyl) viologen with sodium carboxymethyl chitosan-based hydrogel electrolytes
Kao et al. High contrast and low-driving voltage electrochromic device containing triphenylamine dendritic polymer and zinc hexacyanoferrate
JPWO2009031422A1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の製造方法
Meng Organic Electronics for Electrochromic Materials and Devices
Pande et al. Photocurable allyl viologens exhibiting RGB-to-black electrochromic switching for versatile heat-shielding capability
WO2006094052A2 (en) Gel polymer electrolytes
Huang et al. Spectroelectrochemical and adhesion properties of chemically synthesized ion conducting poly (vinyl butyral) in Prussian blue and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laminated electrochromic glazing
KR20180129161A (ko) 전기변색소자
Alamer et al. Dependency of polyelectrolyte solvent composition on electrochromic photopic contrast
Chang et al. Incorporation of plastic crystal and transparent UV-cured polymeric electrolyte in a complementary electrochromic device
KR101857051B1 (ko) 산화 그래핀 보호층 포함 전기변색용 전극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산화 그래핀 보호층 포함 전극필름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
KR100882111B1 (ko) 전기 변색 소자용 전해질
RU2464607C2 (ru) Однослойное секционное электрохро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электрохромный материал полимерного ти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