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811B1 -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811B1
KR102577811B1 KR1020220126363A KR20220126363A KR102577811B1 KR 102577811 B1 KR102577811 B1 KR 102577811B1 KR 1020220126363 A KR1020220126363 A KR 1020220126363A KR 20220126363 A KR20220126363 A KR 20220126363A KR 102577811 B1 KR102577811 B1 KR 102577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rt
container
import
service serv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찬
Original Assignee
안성찬
주식회사 에이치알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찬, 주식회사 에이치알엠 filed Critical 안성찬
Priority to KR102022012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ome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서로 통신 가능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 수출자 단말기, 수입자 단말기, 육상운송사 서버, 생산자 서버,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 해상운송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수출 업무 프로세스 진행을 위한 웹사이트가 구현되어 상기 인터넷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들이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수출 관련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출 관련 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인터넷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들 사이에는 수출 관련 서류를 서로 송신 및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IMPORT AND EXPORT BUSINESS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출자가 서류 작성을 포함한 수출 관련 업무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출 물품은 생산 공장에서 생산 후 포장되고, 이를 육상 운송사가 컨테이너에 실어 선적항으로 이동하며, 수출 통관 절차가 완료되면 컨테이너를 크레인으로 선박에 옮겨 적재한 후, 수입지 하역항으로 출항한다.
이와 같은 수출 과정에 있어서 수출자는 매매계약서(SC: Sales Contract), 상업송장(CI: Commercial Invoice), 패킹리스트(PL: Packing List) 등 다양한 서류들을 작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서류들은 사용 목적에 따라 서류 명칭과 양식이 상이하지만 기재 내용 중 동일한 항목이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어 수출자, 수입자, 선적항, 하역항, 선적일, 상업송장 번호 및 발행일, 신용장 번호 및 발행일, 물품의 품목과 수량, 컨테이너 번호, 씰 번호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수출자는 여러 서류들에 동일한 정보를 중복 기재하고, 매번 오류 확인을 해야만 했으므로 수출 관련 서류 작성 업무가 매우 번거롭고, 문서 기재 사항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출자는 생산 공장의 컨테이너 작업 단계에서 촬영된 컨테이너 사진 파일들을 계약 건 별, 컨테이너 별로 구분하여 정리 및 관리해야 했으며, 이 역시 업무량 증가의 요인이 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컨테이너 번호 및 씰 번호를 수기로 기록하거나 직접 PC에 입력하고 있으며, 이 또한 서류 기재 사항 오류의 원인이 되었다.
상기와 같이, 수출자는 물품 운송의 각 단계에서 관련 회사와 연락하여 필요 업무를 진행하는 과정을 전화, 팩스, 이메일 등을 통해 직접 진행해야 했기 때문에 업무량이 매우 많을 뿐만 아니라 매번 관련 정보의 오류 여부를 체크해야 하므로 피로도가 극심하였다.
한편, 수출 물품이 재생자원인 경우, 수입자에게 물품 사진을 전송하여 물품의 품질을 확인하고 있으며, 사진에 보이는 이물질이 섞인 정도에 따라 물품의 품질과 가격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육안으로 사진을 검사하여 재생자원의 품질을 판단하므로 판단하는 사람마다 기준이 다르며, 이에 물품의 품질에 대해 수입자와 수출자 사이에 갈등이 발생할 여지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수출자의 수출 업무 시, 이송 중인 컨테이너의 위치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로서 'RFID 인식을 이용한 컨테이너 위치추적 시스템'이 출원되어 있다. 이 기술은 컨테이너에 물품 고유 데이터를 내장한 RFID태크를 부착하고, 컨테이너 운반 차량의 이송 경로 및 목적지에 운반 차량이 통과하는 게이트를 설치하며, 게이트에 상기 RFID태그를 인식하는 RFID리더를 설치하고, RFID리더에서 인식한 데이터를 중앙관제컴퓨터가 취합하여 컨테이너의 위치를 도출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수출자는 수출 진행 중 중앙관제컴퓨터에 접속하여 컨테이너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컨테이너 번호 등의 데이터를 수출자의 직접 입력 단계를 거치지 않고 관리 시스템이 획득할 수 있다는 유사성은 있으나, 컨테이너에 물품 고유 데이터를 내장한 RFID태크를 따로 제작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으며, 획득된 컨테이너 번호 등의 데이터를 서류 관련 업무에 활용하는 내용은 포함하지 않는다.
종래의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4499호(2016.09.05.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수출 관련 서류들을 자동으로 작성하고, 작성된 서류를 필요한 곳으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 작업 단계에서 컨테이너 번호 및 씰 번호를 컨테이너 작업자의 수기 기록 및 수출자의 입력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여 서류 작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출 물품이 재생자원인 경우, 컨테이너 작업자가 촬영하여 등록한 물품 사진을 인공지능이 분석하여 물품의 종류와 품질을 판단토록 함으로써 물품 품질 판단 과정 및 결과를 표준화 및 객관화하고, 그 신뢰성을 재고함으로써 재생자원 수출 물품의 품질과 관련한 수출자와 수입자 사이의 갈등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은,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서로 통신 가능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 수출자 단말기, 수입자 단말기, 육상운송사 서버, 생산자 서버,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 해상운송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수출 업무 프로세스 진행을 위한 웹사이트가 구현되어 상기 인터넷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들이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수출 관련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출 관련 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인터넷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들 사이에는 수출 관련 서류를 서로 송신 및 수신한다.
상기 수출자 단말기는 구매주문서(PO)와 매매계약서(SC)에 기재된 계약 정보와, 해상운송사에 예약한 부킹 정보를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입력하고, 계약 정보와 부킹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컨테이너 작업을 요청한다.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수출자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작업 요청이 이루어지면, 상기 육상운송사 서버와 생산자 서버에 컨테이너 작업 요청을 전달한다.
상기 육상운송사 서버는 수출입업무서비스 서버로부터 컨테이너 작업을 요청받으면 컨테이너 차량과 운전자를 배정하고, 컨테이너 차량 번호와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 번호를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생산자 서버는 수출입업무서비스 서버로부터 컨테이너 작업을 요청받으면 컨테이너 작업자를 배정하고,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 번호를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로 전달한다.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육상운송사 서버로부터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 번호를 전달받고 생산자 서버로부터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 번호를 전달받으면,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와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로 컨테이너 작업 요청 관련 정보(부킹 번호, 차량 번호, 작업일, 요청 사진 종류, 물품 사진 타입 및 매수)를 문자와 이메일로 전송한다.
상기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와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에는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구비되고, 촬영 대상과 촬영 형태를 안내하고 촬영된 사진을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앱이 설치된다.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계근증 사진을 전달받고, 이를 컨테이너 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며, 상기 수출 업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수출자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계근 정보를 컨테이너 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번호 사진, 씰 번호 사진, 물품 사진을 전달받고, 이를 컨테이너 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OCR(광학문자인식)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OCR 프로그램은 상기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컨테이너 번호 사진, 씰 번호 사진을 광학 판독하여 컨테이너 번호와 씰 번호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이를 해당 사진과 함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프로그램은 상기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물품 사진과 기존에 입력된 물품 사진을 비교하여 물품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물품의 종류 정보를 해당 사진과 함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상기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프로그램은 상기 물품 사진을 분석하여 물품의 이물질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물품의 이물질 비율 정보를 해당 사진과 함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상기 물품의 이물질 비율은 물품 사진 이미지에서 정상 부분과 이물질 부분의 면적 비율이다.
상기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프로그램은 물품 사진 이미지에서 이물질로 추정되는 특이 부분에 오토 데이터 라벨링을 실시하고, 라벨링 이미지를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이물질 여부 확인 정보를 회신받는다.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업송장(CI), 포장명세서(PL)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상기 수출입업무서비스 서버는 생성된 상업송장(CI)과 포장명세서(PL)를 해상운송사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수출입업무서비스 서버는 해상운송사 서버로부터 선하증권(BL)이 전송되면, 이를 상업송장(CI), 포장명세서(PL)과 함께 수입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출 관련 서류들이 정확하게 자동으로 작성됨으로써 수출자의 서류 작성 및 오류 확인 업무가 대폭 감소되고, 이와 같이 서류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해당 서류들을 근거로 진행되는 수출 과정의 각 단계들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컨테이너작업 관련 사진들이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컨테이너별로 자동으로 분류 및 저장됨으로써 수출자가 해당 업무를 직접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또한, 컨테이너 번호 및 씰 번호가 광학문자인식(OCR) 방식으로 획득 및 저장됨으로써 컨테이너 번호 및 씰 번호 획득 및 저장에 수출자가 관여할 필요가 없으며, 컨테이너 번호 및 씰 번호 관련 기재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출 물품이 재생자원인 경우, 인공지능이 수출 물품의 종류와 품질을 판단하여 물품 품질 판단 과정 및 결과가 표준화 및 객관화되고, 신뢰성이 증가됨으로써 재생자원 수출 물품의 품질과 관련한 수출자와 수입자 사이의 갈등 발생 가능성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에서 진행되는 수출 업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계약 정보 입력 단계(S10)의 입력 항목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부킹 정보 입력 단계(S20)의 입력 항목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컨테이너작업 요청 단계(S30)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단계(S60)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물질 확인 단계(S63)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서 선적서류 생성 단계(S80)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에 "연결", "접속"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직접적으로 접속'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만이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연결',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접속' 또는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결합'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에 "직접 연결", "직접 접속" 또는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는, 중간에 다른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 "후", "상", "하", "좌", "우", "일 단", "타 단", "양 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제 1", "제 2"등의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각 구성을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에서 진행되는 수출 업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2에서 계약 정보 입력 단계(S10)의 입력 항목 예시도, 도 4는 도 2에서 부킹 정보 입력 단계(S20)의 입력 항목 예시도, 도 5는 도 2에서 컨테이너작업 요청 단계(S30)의 상세도, 도 6은 도 2에서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단계(S60)의 상세도, 도 7은 도 6의 이물질 확인 단계(S63)의 작업자 단말기 화면 예시도, 도 8은 도 2에서 선적서류 생성 단계(S80)의 상세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은,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서로 통신 가능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 수출자 단말기(20), 수입자 단말기(30), 육상운송사 서버(40), 생산자 서버(50),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60),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 해상운송사 서버(80)를 포함한다.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의 중심이 되는 서버로서 수출입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한 웹사이트가 구현되어 있으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에 인터넷망을 매개로 연결된 상기 클라이언트들(수출자 단말기(20), 수입자 단말기(30), 육상운송사 서버(40), 생산자 서버(50),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60),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 해상운송사 서버(80))이 필요에 따라 접속하여 웹페이지에 나타난 안내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열람, 인출 및 입력(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들은 인터넷망을 통해 서로 이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에는 OCR 프로그램(11)과 수출 물품의 종류(품목) 및 품질 판단 프로그램(12)을 포함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시스템이 구현되어 있다.
OCR 프로그램(11)은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에서 전송된 컨테이너 번호 사진 및 씰 번호 사진에서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광학 문자 인식) 방식으로 컨테이너 번호와 씰 번호를 인식한다.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프로그램(12)은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에서 전송된 물품 사진을 분석하여 물품의 종류와 품질을 판단한다.
또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에는 사용자들이 입력하거나 자체 생산된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13)가 구비된다. 데이터베이스부(13)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의 내부 구성일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수출자 단말기(20)는 수출자 즉, 수출 회사의 수출 업무 실무자가 사용하는 업무용 PC이다.
수입자 단말기(30)는 수입자측 실무자가 사용하는 업무용 PC이다.
육상운송사 서버(40)는 수출 물품의 생산 공장으로부터 선적항까지 물품을 운반하는 육상운송사에 구비된 서버이다.
생산자 서버(50)는 수출 물품을 생산하는 생산자 즉, 생산 공장에 구비된 서버이다.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60)는 육상운송사에 직/간접으로 소속되어 운송 업무를 배당 받는 운전자(컨테이너 차량 운전자)가 소지한 모바일 기기(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다.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60)에는 계근증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구비된다.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는 생산 공장에 소속되어 컨테이너에 물품을 싣는 상차 업무를 담당하는 컨테이너 작업자가 소지한 모바일 기기(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다.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에는 컨테이너 번호, 씰 번호, 수출 물품 등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구비된다.
또한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60)와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에는 촬영 대상과 촬영 형태를 안내하고, 촬영된 사진을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하기 위한 앱(Application)이 설치된다.
해상운송사 서버(80)는 선박을 이용하여 해상 운송 사업을 영위하는 해상운송사(해운회사)에 구비된 서버이다. 해상운송사 서버(80)는 선적항에서 수출 물품 선적 후 선박이 출항하면 선하증권(BL: Bill of Lading)을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한다(원본 서류는 우편 발송됨).
또한, 상기 단말기 및 서버들은 모두 인터넷망을 매개로 상호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가 해당 단말기 및 서버들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연산 및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또는 데이터베이스부), 서로 간에 메일을 주고 받기 위한 메일서버 등을 구비함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에서 진행되는 수출 업무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에서 진행되는 수출 업무 과정은, 계약 정보 입력 단계(S10), 부킹 정보 입력 단계(S20), 컨테이너 작업 요청 단계(S30), 컨테이너 작업 정보 입력 단계(S40), OCR 판독 단계(S50),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단계(S60), 계근 정보 입력 단계(S70), 선적서류 생성 단계(S80), 선적서류 제출 단계(S90), 선적서류 발송 단계(S100)를 포함한다.
상기 계약 정보 입력 단계(S10) 이전에 수입자와 수출자는 PO(Purchase Order)와 SC(Sales Contract)를 이메일로 주고 받으면서 수정 과정을 거쳐 계약 내용을 확정한다. PO는 '구매주문서'로서 수입자가 작성하는 것이고, SC는 '매매계약서'로서 구매주문서를 받은 수출자가 작성하는 것이다.
계약 내용이 확정되면 수출자 단말기(20)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의 수출입 업무 서비스 웹에 접속하여 계약 정보 입력 단계(S10)를 실시한다. 이때 도 3과 같이, 기본 정보로서 PO번호(PO No.), SC번호(SC No.), 수입자(Buyer) 등이 입력되고, 거래 정보로서 품목(Item), 물품 수량(Quantity), 단가(Unit price), 총액(Amount), 인코텀즈(INCOTERMS)에 따른 거래조건(Delivery term), 인도장소(Place of delivery), 하역항(Port of discharge), 선적항(Port of loading), 결제 조건(Payment term), 결제 기한(Payment remark 란에 입력), 선적일(Shipment date), 프리타임 조건(Freetime 란에 입력) 등이 입력된다. 입력된 정보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된다.
또한 이 단계(S10)에서 수출자와 수입자 사이에 주고 받은 PO와 SC가 PDF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수출자 단말기(20)와 수입자 단말기(30)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자신의 단말기 화면에서 계약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주고 받았던 PO와 SC 문서도 열람 및 출력 가능하다.
이후, 수출자는 생산자(생산 공장)와 연락하여 수출 물량 준비 일정을 확인하고, 해상운송사에 연락하여 선적 스케쥴 부킹(Booking)을 진행한다(오프라인 진행). 선적 부킹이 확정되면 수출자 단말기(20)에서 부킹 정보 입력 단계(S20)가 실시된다.
상기 부킹 정보 입력 단계(S20)에서는, 도 4와 같이, PO번호(PO No.), SC번호(SC No.), 수입자(Buyer), 할당 여부(Allocation), 부킹번호(Booking No.), 해상운송사(Shipping line), 선박(Vessel), 항해번호(Voyage Number), 컨테이너 수(No. of container), 품목(Item), 단가(Unit price), 예상중량(Estimated weight), 장치장 코드, 출발예정시간(ETD: Estimated time of departure), 수령장소(Place of receipt), 선적항(Port of loading), 하역항(Port of discharge), 인도장소(Place of delivery), 도착예정시간(ETA: Estimated time of arrival), 서류마감(Doc. Cut-off), 카고마감(Cargo Cut-off), 작업지/공장 등이 입력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수출자 단말기(20)에서 해상운송사로부터 수출자에게 전달된 부킹확정문서가 첨부되고, 이는 상기 부킹 정보와 함께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확정된 부킹에 대한 정보 입력 및 저장이 완료되면, 수출자 단말기(20)에서 컨테이너 작업 요청 단계(S30)가 실시된다. 여기서 '컨테이너 작업'이란 수출 물품을 컨테이너에 싣는 작업(상차 작업)을 의미한다. 이 때 작업 요청과 함께 부킹번호, 작업일, 요청 사진 타입 및 매수 등의 작업 관련 정보가 전달된다.
이를 수신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는, 도 5와 같이, 육상운송사 서버(40)와 생산자 서버(50)에 컨테이너 작업 요청을 전달하고(S31), 작업 관련 정보도 함께 전달한다.
컨테이너 작업 요청을 확인한 육상운송사 서버(40)는 컨테이너 운송 차량과 운전자를 배정하고, 배차 정보(차량 번호, 작업지 도착 시간 등)와 운전자 정보(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60) 번호)를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로 전달한다(S32).
또한 컨테이너 작업 요청을 확인한 생산자 서버(50)는 작업자 정보(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 번호)를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로 전달한다(S33).
이후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는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60)와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로 각각 필요한 작업 관련 정보 즉, 상기 부킹번호, 작업일, 요청 사진 타입 및 매수 등을 이메일 및 문자로 전송한다(S34).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 작업 관련 정보를 수신한 컨테이너 차량 운전자는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탑재하고, 포장이 완료된 물품이 있는 곳(생산 공장의 출고 장소)으로 이동한다.
차량이 도착하면 컨테이너 작업자는 컨테이너에 물품을 상차하고, 컨테이너의 도어를 닫은 뒤, 씰(seal)을 설치한다.
상기 과정에서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는 설치된 앱을 통해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요청 받은 사진을 촬영하여 등록한다. 즉, 앱 구동상태에서 컨테이너 번호 사진, 씰 번호 사진, 물품 사진을 촬영하여 등록한다. 컨테이너 번호 사진, 씰 번호 사진, 물품 사진들은 해당 컨테이너별로 자동 분류되어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된다. 이때 포장 개수(Case, Bale, Bag 등의 포장 형태에 따른 수량)와 같은 관련 정보도 함께 입력 및 저장될 수 있다.
생산지에서 컨테이너 작업이 완료되면, 컨테이너 운전자는 차량을 선적항의 장치장으로 이동하고, 계근 업체를 통해 계근을 실시한다. 이때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60)는 설치된 앱을 통해 계근 업체에서 발행된 계근증을 촬영하여 등록한다.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가 컨테이너 번호 사진, 씰 번호 사진, 물품 사진을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에 입력하고,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60)가 계근증 사진을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에 입력하는 컨테이너 작업 정보 입력 단계(S40)가 실시된다.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사진들(컨테이너 번호 사진, 씰 번호 사진, 물품 사진, 계근증 사진)을 부킹 계약 및 컨테이너 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한다.
이후,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는 OCR프로그램(11)에 의해 컨테이너 번호 사진과 씰 번호 사진을 판독하여 컨테이너 번호와 씰 번호를 텍스트(Text)로 인식하고, 컨테이너 번호와 씰 번호를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하는 OCR 판독 단계(S50)를 실시한다.
또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는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프로그램(12)에 의해 물품 사진 이미지를 분석하여 물품의 종류 및 품질을 판단하는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단계(S60)를 실시한다.
또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에 계근증 사진이 등록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수출자 단말기(20)에 의해 계근증에 기재된 정보(컨테이너 중량(Container tare weight), 물품 중량(Net weight), 1차 중량(First weight), 2차 중량(Second weight), 총중량(Gross weight), CBM(Cubic meter))가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에 입력되는 계근 정보 입력 단계(S70)가 실시된다.
상기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단계(S60)는 상기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프로그램(12)에 의해 실시되며, 도 6과 같이, 기존에 입력된 물품 사진들과 현재 입력된 물품 사진을 비교하여 물품 종류를 판단하는 물품 종류 판단 단계(S61)를 포함한다. 물론 인공지능(AI) 학습 초기 단계에서는 컨테이너 작업자가 물품 사진 등록과 함께 품목명을 함께 입력하여 물품 종류 판단의 근거 데이터를 누적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초기 학습은 완료된 상태를 전제로 한다.
물품 사진 이미지를 이용하여 물품의 종류(수출 물품이 재생자원인 경우의 예; 유색 플라스틱, 투명 플라스틱, 일반 폐지, 폐골판지(OCC) 등)를 판단한 후, 그 판단 결과를 해당 물품 사진과 함께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한다.
물품 종류 판단 단계(S61)가 완료되면, 물품의 품질 판단을 위해 오토 데이터 라벨링(Auto data labelling) 단계(S62)가 실시된다. 이 단계(S62)는 물품 사진 이미지 내에서 불순물로 추정되는 특이 영역(이미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다른 부분에 비해 차이가 있는 부분)에 라벨링을 실시하는 것이다. 라벨링은 바운딩 박스(Bounding box) 방식, 키포인트(Keypoint) 방식, 폴리곤(Polygon) 방식 중 어느 한가지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7은 폴리곤 방식에 의해 물품 사진 이미지 내에서 특이 영역이 라벨링된 예를 보여준다.
이후, 인공지능(AI)에 의해 선택된 라벨링 영역(L)에 대해 작업자에게 이물질이 맞는지를 확인하는 이물질 확인 단계(S63)가 실시된다. 이 단계(S63)는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에서 물품 사진이 촬영 및 등록된 시점 직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단계(S60)는 상기 컨테이너 작업 정보 입력 단계(S40)와 동 시간대에 실시될 수 있다.
이물질 확인 단계(S63)에서는 도 7과 같이,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에 라벨링 영역(L)이 표시됨과 더불어 라벨링 영역(L)이 이물질인지를 묻는 질문(Q)(예: 이 부분은 이물질이 맞습니까?)이 표시되고, 또한 작업자가 질문(Q)에 대해 이물질 여부에 대한 답변을 입력할 수 있도록 Yes, No 버튼(B)이 표시된다.
한 장의 물품 사진 이미지 내에 특이 영역이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오토 데이터 라벨링 단계(S62)와 이물질 확인 단계(S63)는 복수 회 반복 실시될 수 있다.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70)로부터 이물질 여부 답변이 전송되면, 해당 물품 사진 이미지 내에서 이물질의 비율을 산출하는 품질 판단 단계(S64)가 실시된다. 이 단계(S64)에서는 물품 사진 이미지내에서 정상 부분의 면적과 이물질로 판단된 부분의 면적비를 계산하여 이물질 비율(%)을 산출한다.
상기와 같이 산출된 이물질 비율 즉, 품질 정보는 해당 물품 사진과 함께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된다(품질 정보 저장 단계(S65)). 저장된 품질 정보는 수출자 단말기(20)와 수입자 단말기(30) 모두에서 수출입 과정 진행 중 또는 수입통관 후 물품 인수 후에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OCR 판독 단계(S50),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단계(S60), 계근 정보 입력 단계(S70)가 완료되면, 선적서류 생성 단계(S80)가 실시된다. 선적서류 생성 단계(S80)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가 이전의 단계들(계약 정보 입력 단계(S10) ~ 계근 정보 입력 단계(S7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선적에 필요한 서류 즉, 상업송장(CI: Commercial Invoice)과 포장명세서(PL:Packing List)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이다.
선적서류는 배에 물품을 싣기 위해 수출자가 해상운송사에 제출하는 선적 준비 서류이기도 하고, 선적 완료 후 해상운송사에서 발행하는 선하증권(BL:Bill of Lading)과 함께 선적을 완료했다는 선적 증명 서류이기도 하다.
선적서류 생성 단계(S80)는 도 8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한 수출자 단말기(20)가 선적서류를 제출하려는 부킹 건을 선택하고(S81), 상업송장(CI) 또는 패킹리스트(PL) 중 생성하려는 서류 유형을 선택하며(S82), 선택된 유형의 서류 생성에 사용될 템플릿(Template)을 선택한다(S83).
부킹 선택(S81)과 서류 유형 선택(S82) 및 템플릿 선택(S83)이 이루어지면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는 생성하려는 서류의 기재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부(13)로부터 인출하고 해당 기재란에 표시하여 선적 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한다(S84).
즉, 상업송장(CI) 생성시에는 수출자, 수입자, 수입자 외 통지처, 선적항, 하역항, 선박, 선적일자, 상업송장 번호/발행일, 신용장 번호/발행일/개설 은행정보, 물품 명세, 수량, 단가, 총금액, 컨테이너 번호, 씰 번호 등이 기재된다.
그리고 패킹리스트(PL) 생성시에는 수출자, 수입자, 선적항, 하역항, 선박, 선적일자, 상업송장 번호/발행일, 신용장 번호/발행일/개설 은행정보, 물품 명세, 수량, 물품 순중량, 물품 포장후 중량, 컨테이너 번호, 씰 번호 등이 기재된다.
이어 필요에 따라 수출자 단말기(20)에서 HS코드(국제 통일상품분류체계에 따라 대외 무역거래 상품을 총괄적으로 분류한 품목분류코드), 제품 특이 사항, 기타 정보 등의 추가 내용이 입력될 수 있다(S85).
상기와 같이 생성된 서류는 해당 계약 및 부킹 건과 연결되어 PDF파일로 저장(S86)되며, 이에 필요에 따라 열람과 출력 및 이메일 전송이 가능하다.
이후 선적서류 제출 단계(S90)가 진행된다. 이때의 선적서류는 선박에 수출 물품을 선적하기 위해 수출자가 해상운송사에 제출해야 하는 서류로서 상업송장(CI), 패킹리스트(PL) 등이다. 상업송장과 패킹리스트는 상기와 같이 자동 생성되어 있다.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는 상업송장(CI), 패킹리스트(PL) 등의 선적서류를 해상운송사 서버(80)로 전송하는 선적서류 제출단계(S90)를 실시한다. 선적서류 중 하나인 수출신고필증은 수출자가 관세청 전자통관시스템을 통해 신고 및 발급 받아 이메일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출한다.
이와 같은 선적 서류 제출 후 선적이 허가되면, 실제 선적이 진행된다.
수출 물품이 선박에 선적되면, 해상운송사는 선적 완료를 증명하는 선하증권(BL)을 발행한다. 해상운송사 서버(80)는 선하증권(BL)을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한다.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는 상업송장(CI), 패킹리스트(PL)과 함께 선하증권(BL)을 수입자 단말기(30)로 발송하는 선적서류 발송 단계(S100)를 실시한다. 선적서류 발송 시 물품 사진, 물품 품질 정보(이물질 비율) 등을 함께 발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출자가 해상운송사에서 우편으로 수신한 선하증권(BL) 원본(종이문서)을 국제 특송 우편으로 수입자에게 발송하면 수출 업무가 마무리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출 서류(CI, PL)가 정확하게 자동으로 작성됨으로써 수출 업무 진행 중에 동일한 내용을 다수 회 중복 기재(입력)해야만 하는 수출자의 서류 작성 및 오류 확인 업무가 대폭 감소된다.
특히, 컨테이너 번호 및 씰 번호가 광학문자인식(OCR) 방식으로 자동으로 획득 및 저장되어 문서 작성에 이용됨으로써 컨테이너 번호 및 씰 번호 관련 기재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 작업 관련 사진들이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어 자동으로 분류 및 저장됨으로써 수출자가 컨테이너 작업 관련 사진들을 일일이 개별 폴더를 생성하여 컨테이너 별로 분류 및 저장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수출 업무 관련 클라이언트들 사이에 필요한 정보 및 서류가 문자 서비스, 이메일 등으로 자동 전송됨으로써 수출자의 수출 관련 업무가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10)에 구현된 인공지능(AI)에 의해 물품의 종류가 정확히 판단됨으로써 계약과 상이한 물품을 수출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AI)에 의해 물품의 품질이 수치로 산출 및 저장됨으로써 물품의 품질 판단 과정이 표준화 및 객관화 될 수 있고, 물품의 품질 정보를 수출자와 수입자가 모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추후 물품의 품질로 인한 갈등 발생시 문제 해결을 위한 객관적인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출입 물품의 운송과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 :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 11 : OCR프로그램
12 :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프로그램
13 : 데이터베이스부 20 : 수출자 단말기
30 : 수입자 단말기 40 : 육상운송사 서버
50 : 생산자 서버 60 :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
70 :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 80 : 해상운송사 서버

Claims (16)

  1.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서로 통신 가능한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 수출자 단말기, 수입자 단말기, 육상운송사 서버, 생산자 서버,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 해상운송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수출 업무 프로세스 진행을 위한 웹사이트가 구현되어 상기 인터넷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들이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수출 관련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출 관련 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인터넷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들 사이에는 수출입 관련 서류를 서로 송신 및 수신하며,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프로그램은 상기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물품 사진과 기존에 입력된 물품 사진을 비교하여 물품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물품의 종류 정보를 해당 사진과 함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며,
    상기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프로그램은 상기 물품 사진을 분석하여 물품의 이물질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물품의 이물질 비율 정보를 해당 사진과 함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출자 단말기는 구매주문서(PO)와 매매계약서(SC)에 기재된 계약 정보와, 해상운송사에 예약한 부킹 정보를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입력하고, 계약 정보와 부킹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컨테이너 작업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수출자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작업 요청이 이루어지면, 상기 육상운송사 서버와 생산자 서버에 컨테이너 작업 요청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육상운송사 서버는 수출입업무서비스 서버로부터 컨테이너 작업을 요청받으면 컨테이너 차량과 운전자를 배정하고, 컨테이너 차량 번호와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 번호를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생산자 서버는 수출입업무서비스 서버로부터 컨테이너 작업을 요청받으면 컨테이너 작업자를 배정하고,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 번호를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육상운송사 서버로부터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 번호를 전달받고 생산자 서버로부터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 번호를 전달받으면,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와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로 컨테이너 작업 요청 관련 정보(부킹 번호, 차량 번호, 작업일, 요청 사진 종류, 물품 사진 타입 및 매수)를 문자와 이메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와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에는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구비되고, 촬영 대상과 촬영 형태를 안내하고 촬영된 사진을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컨테이너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계근증 사진을 전달받고, 이를 컨테이너 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며,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수출자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계근 정보를 컨테이너 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번호 사진, 씰 번호 사진, 물품 사진을 전달받고, 이를 컨테이너 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에 OCR(광학문자인식)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OCR 프로그램은 상기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컨테이너 번호 사진, 씰 번호 사진을 광학 판독하여 컨테이너 번호와 씰 번호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이를 해당 사진과 함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이물질 비율은 물품 사진 이미지에서 정상 부분과 이물질 부분의 면적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품 종류 및 품질 판단 프로그램은 물품 사진 이미지에서 이물질로 추정되는 특이 부분에 오토 데이터 라벨링을 실시하고, 라벨링 이미지를 컨테이너 작업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이물질 여부 확인 정보를 회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14. 청구항 1,7,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입 업무 서비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업송장(CI), 포장명세서(PL)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출입업무서비스 서버는 생성된 상업송장(CI)과 포장명세서(PL)를 해상운송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수출입업무서비스 서버는 해상운송사 서버로부터 선하증권(BL)이 전송되면, 이를 상업송장(CI), 포장명세서(PL)과 함께 수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KR1020220126363A 2022-10-04 2022-10-04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KR102577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363A KR102577811B1 (ko) 2022-10-04 2022-10-04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363A KR102577811B1 (ko) 2022-10-04 2022-10-04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811B1 true KR102577811B1 (ko) 2023-09-12

Family

ID=8801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363A KR102577811B1 (ko) 2022-10-04 2022-10-04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8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499A (ko) 2015-02-26 2016-09-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Rfid인식을 이용한 컨테이너 위치추적 시스템
KR20210100511A (ko) * 2020-02-06 2021-08-17 주식회사 비투텍 운송차량 관리시스템
KR102345547B1 (ko) * 2021-05-17 2021-12-31 주식회사 케이엘넷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0530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화림무역 전산네트워킹시스템을 이용한 수출입 운송 및 물류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499A (ko) 2015-02-26 2016-09-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Rfid인식을 이용한 컨테이너 위치추적 시스템
KR20210100511A (ko) * 2020-02-06 2021-08-17 주식회사 비투텍 운송차량 관리시스템
KR20220000530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화림무역 전산네트워킹시스템을 이용한 수출입 운송 및 물류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
KR102345547B1 (ko) * 2021-05-17 2021-12-31 주식회사 케이엘넷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34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port services to merchants
Gleissner et al. IT in Logistics
US20080255863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paperless customs documentation
KR101883694B1 (ko) 수출입통관 및 정산 자동화 시스템
US20050114193A1 (en) Strategic sourcing for packaging material procurement using centralized packaging data management system
CN112101861B (zh) 一种石化物流水路运输管理方法、系统、存储介质、终端
US6970825B1 (en) Planning engine for a parcel shipping system
US75965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mport/export transactions
KR20220075250A (ko) 물류대행을 위한 물류대행 관리 시스템
Varriale et al. Integrating blockchain, RFID and IoT within a cheese supply chain: A cost analysis
US20080255864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reating on demand commercial shipping invoices
KR102222064B1 (ko) 서로 다른 양식의 상품주문내역을 통일된 양식으로 변환시켜 관리하는 경영 지원 시스템
US10095986B2 (en) System and method of electronically classifying transportation documents
US86222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organizing transport documents
KR102577811B1 (ko)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KR20200091125A (ko) 물류 erp시스템
Tröger et al. Design options for supply chain visibility services: Learnings from three EPCIS implementations
Zhang et al. Design and Application of Logistics Robot based on RPA
Zhang Blockchain technology in logistics
EP40334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tems, containers and entities
KR102366543B1 (ko) 반품 처리 전용 서버 장치
Pinto Business Process Analysis in a Courier, Express and Parcel Logistics Provider
Čižiūnienė Information Systems in Freight Transportation
Siirilä Document handling process Volvo Group Logistics deliveries to Russia
Tapaninen et al. IT in logistics and maritime busi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