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547B1 -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547B1
KR102345547B1 KR1020210063622A KR20210063622A KR102345547B1 KR 102345547 B1 KR102345547 B1 KR 102345547B1 KR 1020210063622 A KR1020210063622 A KR 1020210063622A KR 20210063622 A KR20210063622 A KR 20210063622A KR 102345547 B1 KR102345547 B1 KR 102345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harge
person
se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엘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엘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엘넷
Priority to KR1020210063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06K9/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운송기사가 컨테이너 봉인번호의 사진을 등록하는 등록 모듈; 상기 등록 모듈을 통해 등록된 정보를 각 주체 담당자에게 전송하여 공유하는 공유 모듈; 상기 공유 모듈을 통해 공유된 정보와 각 주체 담당자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 모듈; 및 상기 비교판단 모듈을 통해 비교판단 후 불일치하는 경우 각 주체 담당자에게 알림을 수행하는 알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등록 모듈은 운송기사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봉인번호 사진을 촬영하여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Joint Utilization Of Container Seal Numbers Using Networks}
본 발명은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봉인번호(container seal number) 활용이 필요한 주체(화주, 운송사, 선사)들이 정보망을 통해 봉인번호 및 사진을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업무 편의성을 제공하는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역거래에서 화물 운송 시, 화물을 컨테이너에 적입한 후 해당 컨테이너 문을 봉하는 금속제 봉인(Seal, 이하 씰)을 체결하게 된다. 각 씰에는 고유한 번호가 기재되며 이를 봉인번호라 한다. 이 봉인번호는 운송인이 발행하는 선하증권(Bill of lading, 이하 B/L)에도 기재되는 정보로, 수출자가 수입자에게 계약대로 물건을 선적하였고 화물을 적입한 후 개봉한 적이 없다는 증빙이 된다. 만약 기 봉인번호가 B/L에 기재된 내용과 실제 상이할 경우, 수입지 통관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은행의 보증을 이용하여 거래대금을 송금하는 방식으로 계약이 체결된 경우, 화물 도착지의 은행에서 문제를 제기하여 수입자가 화물을 수령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 한다.
현재 B/L에 기재되는 봉인번호의 경우, 수출자 또는 수출자의 운송대리인(이하 포워더)이 B/L에 기재를 요청한 내용으로 기재되게 된다. 이 때 컨테이너를 봉인하는 씰은 운송기사가 터미널에서 수령하거나 본인이 소지하고 있는 씰을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보통의 경우 수출자나 포워더가 직접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것이 아니라 운송사를 통해서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때문에 수출자나 포워더는 운송사가 운송기사로부터 수집한 봉인번호를 메신저나 유선통화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이 과정이 전달자가 많고 해당 B/L의 모든 컨테이너가 동시간에 운송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보니 빠르게 서류작성을 마감해야함에도 불구하고 봉인번호가 수집되지 않아 업무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전달방식을 유선전화, 메신저 등의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달자의 실수가 발생할 수 있고 수출자나 포워더 본인도 수기로 S/R(Shipping Request) 문서로 선사에 B/L 발급 요청 시에 입력하게 되므로 오기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약 봉인번호가 실제 씰과 다르다고 하더라도 컨테이너 씰 사진과 같은 씰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면 봉인번호가 맞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봉인번호가 틀린 사실을 수입지에서 수입되고 나서 확인하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더불어 화물 수출 시에 각각의 운송 주체(화주 및 포워더, 운송사, 선사)가 업무상 봉인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문서들이 있다. 화주(포워더)는 S/R을 선사로 제출할 때 봉인번호가 기입되어 있어야 하고, 운송사는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터미널에 반입할 때 전송하는 컨테이너 반입계에 봉인번호가 기입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선사가 터미널로 전송하는 선적목록(Container Loading List, 이하 CLL)에도 봉인번호가 기입된다. 하지만 각 주체가 전송하는 문서상에 봉인번호가 어떻게 입력되어 있는지 현재 기술로는 확인할 방법이 없다.
또한, 컨테이너 선적 시 검수사에서 컨테이너 상태를 확인하면서 봉인번호를 체크하게 되며 이때 화주가 전달한 봉인번호와 상이할 시 선사를 통해 이를 화주에게 안내하게 된다. 다만, 지속적으로 검수사와 봉인번호 확인 작업에서 검수사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봉인번호 육안 확인절차에 따른 선적 지연으로 터미널 생산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정확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및 사진을 수집할 수 있는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2841호(2017.10.2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 봉인번호를 최초로 수집하는 운송기사로부터 봉인번호 및 씰 사진을 수집하여 봉인번호 활용이 필요한 주체들에게 정보망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입력내용이 상이할 경우 알림해주는 것을 통하여 씰 정보 송수신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은, 운송기사가 컨테이너 봉인번호의 사진을 등록하는 등록 모듈; 상기 등록 모듈을 통해 등록된 정보를 각 주체 담당자에게 전송하여 공유하는 공유 모듈; 상기 공유 모듈을 통해 공유된 정보와 각 주체 담당자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 모듈; 및 상기 비교판단 모듈을 통해 비교판단 후 불일치하는 경우 각 주체 담당자에게 알림을 수행하는 알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등록 모듈은 운송기사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봉인번호 사진을 촬영하여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 모듈은, 등록 모듈을 통해 등록된 봉인번호를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봉인번호를 추출하고 디지털화하여 저장하고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모듈은, 상기 디지털화된 봉인번호와 함께 봉인번호를 포함하는 씰(seal)의 사진을 함께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교판단 모듈은, 상기 공유 모듈을 통해 추출되어 저장된 정보와 각 주체 담당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인 S/R(Shipping Request), 컨테이너 반입계, CLL(Container Loading List), 컨테이너 번호 및 봉인번호를 추출하여 각 문서의 컨테이너 번호와 봉인번호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교판단 모듈을 통해 비교판단 후 불일치하는 경우 알림 모듈을 통해 각 주체 담당자에게 이메일 또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EDI(Electronic Document Interchange)로 전달하며, 화주(포워더)는 S/R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운송사는 컨테이너 반입계를 전송한 담당자에게, 선사는 CLL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알림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운송기사가 컨테이너 봉인번호의 사진을 등록하는 등록 단계; 등록 단계를 통해 등록된 정보를 각 주체 담당자에게 전송하여 공유하는 공유 단계; 상기 공유 단계를 통해 공유된 정보와 각 주체 담당자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 단계; 및 상기 비교판단 단계를 통해 비교판단 후 불일치하는 경우 각 주체 담당자에게 알림을 수행하는 알람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등록 단계에서 운송기사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봉인번호 사진을 촬영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 단계는, 등록 단계를 통해 등록된 봉인번호를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봉인번호를 추출하고 디지털화하여 저장하고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 단계에서는, 상기 디지털화된 봉인번호와 함께 봉인번호를 포함하는 씰(seal)의 사진을 함께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교판단 단계는, 상기 공유 단계를 통해 추출되어 저장된 정보와 각 주체 담당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인 S/R(Shipping Request), 컨테이너 반입계, CLL(Container Loading List), 컨테이너 번호 및 봉인번호를 추출하여 각 문서의 컨테이너 번호와 봉인번호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교판단 단계를 통해 비교판단 후 불일치하는 경우 알림 단계에서 각 주체 담당자에게 이메일 또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EDI(Electronic Document Interchange)로 전달하며, 화주(포워더)는 S/R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운송사는 컨테이너 반입계를 전송한 담당자에게, 선사는 CLL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알림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 단계는, 봉인번호 정보를 공유 받을 대상을 확정하기 위해 화주 및 포워더가 자신의 B/K(Booking)번호를 등록하는 선복 예약 등록 단계와, 운송기사가 공 컨테이너를 픽업하면서 씰 사진을 촬영하거나 화물을 컨테이너에 적입/봉인한 후 씰 사진을 촬영하는 촬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 단계는, 상기 등록 단계를 통해 등록된 봉인번호를 컨테이너 정보와 매칭하여 디지털화하여 저장하는 봉인번호 수집 단계와, 등록된 봉인번호를 화주(포워더), 운송사, 선사에 공유하는 공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봉인번호 정보가 수집되는 가장 빠른 시점에 정보를 관계사에 직접 공유하며, 봉인번호가 디지털화된 정보로 제공되기 때문에 수기업무로 인한 오기재를 감소할 수 있으며, 씰 사진이 함께 제공되어 안정적으로 봉인번호 입력 업무에 대한 근거자료 확보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 주체들이 전송한 정보를 비교하여 봉인번호가 다른 경우 알림하여 빠르게 조치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수입지에서 봉인번호가 B/L과 달라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에 관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은, 별도의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여 업로드를 진행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통해 연결되고, 본 발명의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탑재한 서버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 및 서버에 연결된 상태에서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에 관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은 운송기사(100)가 컨테이너 봉인번호의 사진을 등록 모듈(10)을 통해 등록하며, 등록된 정보를 서버(200)에서 각 주체 담당자에게 공유 모듈(20)을 통해 공유하고 공유된 정보와 각 주체 담당자로부터 수신된 입력내용과 비교하는 비교판단 모듈(30)과 비교판단 모듈(30)을 통해 비교한 결과 입력내용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림을 전송하는 알림 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등록 모듈(10)은 운송기사(100)가 휴대폰과 같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별도의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여 업로드 가능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공유 모듈(20)과 비교판단 모듈(30) 및 알림 모듈(40)은 서버(200)에 구비되어 화주(포워더), 운송사, 선사 및 터미널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정보공유 모듈(20)은 등록 모듈(10)을 통해 촬영되어 수신된 봉인번호를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봉인번호를 추출하고 데이터화하여 데이터베이스(DB) 저장하고, 봉인번호를 화주(포워더), 운송사와 선사에 공유하며, 비교판단 모듈(30)에서는 공유된 봉인번호와 각 주체 담당자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불일치하는 경우에 알림 모듈(40)을 통해 알림 신호를 각 주체 담당자에게 전달하여 알림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모듈들은 정보망 예컨대, LAN 또는 WAN 등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방법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주/포워더(300)는 씰 정보를 공유 받을 대상을 확정하기 위해 추적대상을 등록하고 서버(200)로 전송하며(S10), 서버(200)에서는 추적대상을 저장한다(S11).
운송기사(10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봉인번호를 포함하는 씰을 촬영하고, 촬영된 씰의 사진을 서버(200)로 전송한다(S20).
서버(200)에서는 수신된 씰 사진을 OCR 추출 기술을 통해 봉인번호를 추출(S21)하고, 각 주체 담당자에게 씰 사진과 함께 봉인번호를 공유한다(S25).
공유된 봉인번호를 통해 화주(포워더)는 S/R을 작성하여 서버에 전송하고(S26), 운송사는 컨테이너 반입계를 작성하여 서버에 전송하고(S27), 선사는 화주(포워더)로부터 수신한 S/R을 전송하거나 직접 S/R을 작성하며(S27), CLL(Container Loading List, 컨테이너 적부도)을 서버로 전송한다(S28).
이때 선사는 S/R은 화주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하거나 직접 작성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에서는 수신된 S/R, 컨테이너 반입계, CLL과 컨테이너 번호, 봉인번호 등의 정보를 추출(S30)하여 각 문서의 컨테이너 번호와 봉인번호를 비교(S35)한 후 불일치 여부를 확인한다(S40).
불일치 여부 확인 단계(S40)에서 비교 판단 후 일치하는 경우 추출된 컨테이너 반입계와 CLL을 터미널에 전송한다(S33).
비교 판단 후 불일치하는 경우 각 문서를 전송한 주체에게 봉인번호가 상이하다는 알림을 수행한다(S41).
각 주체는 알림을 수신하고 화주(포워더)는 S/R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운송사는 컨테이너 반입계를 전송한 담당자에게, 선사는 CLL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S4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방법은, 운송기사(100)는 단말기를 통해 봉인번호를 포함하는 씰을 촬영하고, 촬영된 씰의 사진을 운송사(400)로 전송한다(S100).
운송사(400)는 운송기사(100)로부터 촬영된 씰 사진을 수신하고(S101), 봉인번호를 수집하여 화주(포워더)에게 전송하며(S110), 컨테이너 반입계를 작성하고 서버로 전송한다(S113).
화주(포워더)는 봉인번호를 수신하여(S111), S/R 작성 후 서버로 전송한다(S112).
선사는 S/R을 작성하고(S114) CLL을 작성하여 서버로 전송한다(S115).
서버에서는 수신된 S/R, 컨테이너 반입계, CLL과 컨테이너 번호, 추출된 봉인번호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S120), 각 문서의 컨테이너 번호와 봉인번호를 비교(S125)한 후 불일치 여부를 확인한다(S130).
불일치 여부 확인 단계(S130)에서 비교 판단 후 일치하는 경우 추출된 컨테이너 반입계와 CLL을 터미널에 전송한다.
비교 판단 후 불일치하는 경우 각 문서를 전송한 주체에게 봉인번호가 상이하다는 알림을 수행한다(S131).
각 주체는 알림을 수신하고 화주(포워더)는 S/R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운송사는 컨테이너 반입계를 전송한 담당자에게, 선사는 CLL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S135).
도 4를 참조하면, 씰 정보를 공유 받을 대상을 확정하기 위해 화주 및 포워더가 자신의 B/K(Booking, 선복 예약) 번호를 등록하는 선복 예약 등록 단계(S200)와, 운송기사가 화물을 컨테이너에 적입/봉인한 후에 촬영하는 봉인번호 촬영 단계(S210)와, 봉인번호 촬영 단계(S210)를 통해 촬영된 봉인번호를 운송기사가 픽업한 컨테이너 정보와 매칭하여 DB(Database)에 저장하며, 봉인번호 사진을 저장하면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광학문자판독)기술을 이용하여 봉인번호를 데이터화 하여 저장하는 봉인번호 수집 단계(S220)와, 등록된 봉인번호를 화주 및 포워더, 운송사, 선사에 공유하는 공유 단계(S330) 및 컨테이너 번호, 봉인번호, B/K(Booking), S/R(Shipping Request), B/L(Bill of Lading), ETD(Estimated Time of Departure)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각 문서의 컨테이너 번호와 공유된 봉인번호와 비교하여 불일치가 확인되면 각 문서를 전송한 주체에게 봉인번호 상이내역을 알림을 진행하는 알림 단계(S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 단계(S200)는, 씰 정보를 공유 받을 대상을 확정하기 위해 화주 및 포워더가 자신의 B/K(Booking, 선복 예약) 번호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 EDI(Electronic Document Interchange) 등의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등록하는 것을 나타낸다.
봉인번호 촬영 단계(S210)는, 별도의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여 서버에 업로드를 진행하도록 하며, 운송기사가 많은 정보를 처리하는 작업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소한으로 씰 사진을 촬영하면 업로드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촬영 시점은 터미널에서 공 컨테이너를 픽업하면서 씰 사진을 촬영하는 반출시점과 수출자의 공장에서 화물을 컨테이너에 직입/봉인한 직후 두시점에서 촬영이 가능하며, 반출시점에 봉인번호를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하여 보다 빠르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반출시점과 적입/봉인 시점의 봉인번호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화물을 컨테이너에 적입/봉인 후 시점에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인번호 수집 단계(S220)은 봉인번호 촬영 단계(S210)에서 운송기사가 촬영한 봉인번호를 운송기사가 픽업한 컨테이너 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며, 봉인번호 사진을 저장하면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광학문자판독) 기술을 이용하여 봉인번호를 데이터화 하여 저장한다.
또한, 이 정보와 터미널 공 컨테이너 반출정보 내의 B/K 번호와 매칭하여 저장 및 데이터 공유 대상을 판별하게 된다.
여기서 OCR은 인쇄되거나 또는 손으로 쓴 글씨들을 컴퓨터로 인식하는 것으로, OCR은 먼저 텍스트를 스캐닝한 다음, 한 글자씩 분석하고, 일반적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글자 이미지를 글자코드로 번역하는 등의 작업들이 수반된다.
또한, OCR 처리에서는 각 글자나 숫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스캐너로 이미지나 비트맵에 대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으로 나뉘어 분석한 다음, 하나의 글자로 인식되면, 글자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기로 입력된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공유 단계(S230)는, 등록된 봉인번호를 화주(포워더), 운송사, 선사에 공유하는 단계로 씰 정보를 공유받기 위해 B/K를 사전에 등록한 화주(포워더), 대상 컨테이너와 B/K 번호를 정확히 알고 있는 운송사 및 선사에게 봉인번호 및 사진 공유를 진행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비교판단 단계(S240)는 공유된 봉인번호와 각 주체 담당자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봉인번호를 비교하여 서로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알림 단계(S250)는 비교판단 단계(S240)에서 봉인번호 비교 후 불일치하는 경우 알림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공유되는 봉인번호는 디지털 정보로 공유되므로, 공유번호와 각 주체 담당자를 통해 실시간 입력하여 저장하는 봉인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를 알림내용을 송신하여 상이한 봉인번호가 입력된 담당자에게 알림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알림 전달 방법은 각 문서를 전송한 주체에게 봉인번호 상이내역을 이메일 또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EDI(Electronic Document Interchange)로 가능하며, 화주(포워더)는 S/R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운송사는 반입계를 전송한 운송사, 선사는 CLL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봉인번호 정보가 수집되는 가장 빠른 시점에 정보를 관계사에 직접 공유하며, 디지털화된 정보로 제공되기 때문에 수기업무로 인한 오기재를 감소할 수 있으며, 씰 사진이 함께 제공되어 안정적으로 봉인번호 입력 업무에 대한 근거자료 확보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 주체들이 전송한 정보를 비교하여 봉인번호가 다른 경우 알림하여 빠르게 조치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수입지에서 봉인번호가 B/L과 달라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등록 모듈
20: 정보공유 모듈
30: 비교판단 모듈
40: 알림 모듈
100: 운송기사
200: 서버
300: 화주(포워더)
400: 운송사
500: 선사
600: 터미널

Claims (12)

  1. 운송기사가 화물을 컨테이너에 적입 및 봉인한 직후에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컨테이너 봉인번호를 포함하는 씰(seal)을 촬영하면, 정보망을 통해 컨테이너 봉인번호를 포함하는 씰(seal)의 사진을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등록 모듈;
    상기 등록 모듈을 통해 등록된 봉인번호를 포함하는 씰(seal)의 사진을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봉인번호를 추출하고 디지털화하여 저장하며, 디지털화된 봉인번호와 봉인번호를 포함하는 씰(seal)의 사진을 함께 각 주체 담당자에게 정보망을 통해 전송하여 공유하는 공유 모듈;
    상기 공유 모듈을 통해 공유된 정보와 각 주체 담당자로부터 정보망을 통해 수신되어 추출된 정보인 S/R(Shipping Request), 컨터이너 반입계, CLL(Container Loading List), 컨테이너 번호 및 봉인번호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 모듈; 및
    상기 비교판단 모듈을 통해 비교판단 후 일치하는 경우 추출된 정보를 터미널에 전송하며, 불일치하는 경우 각 주체 담당자에게 정보망을 통해 알림을 수행하는 알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알림 모듈은, 각 주체 담당자 중 상이한 봉인번호가 입력된 담당자에게 알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단 모듈을 통해 비교판단 후 불일치하는 경우 알림 모듈을 통해 각 주체 담당자에게 이메일 또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EDI(Electronic Document Interchange)로 전달하며, 화주(포워더)는 S/R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운송사는 컨테이너 반입계를 전송한 담당자에게, 선사는 CLL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알림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6. 운송기사가 화물을 컨테이너에 적입 및 봉인한 직후에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컨테이너 봉인번호를 포함하는 씰(seal)을 촬영하면, 정보망을 통해 컨테이너 봉인번호를 포함하는 씰(seal)의 사진을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 모듈을 통해 등록하는 등록 단계;
    상기 등록 단계를 통해 등록된 봉인번호를 포함하는 씰(seal)의 사진을 공유모듈에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봉인번호를 추출하고 디지털화하여 저장하며, 디지털화된 봉인번호와 봉인번호를 포함하는 씰(seal)의 사진을 함께 각 주체 담당자에게 정보망을 통해 전송하여 공유하는 공유 단계;
    상기 공유 단계를 통해 공유된 정보와 각 주체 담당자로부터 정보망을 통해 수신되어 추출된 정보인 S/R(Shipping Request), 컨터이너 반입계, CLL(Container Loading List), 컨테이너 번호 및 봉인번호를 비교판단 모듈에서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 단계; 및
    상기 비교판단 단계를 통해 비교판단 후 일치하는 경우 추출된 정보를 알림모듈에서 터미널에 전송하며, 불일치하는 경우 각 주체 담당자에게 정보망을 통해 알림을 수행하는 알림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알림 단계는, 각 주체 담당자 중 상이한 봉인번호가 입력된 담당자에게 알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단 단계를 통해 비교판단 후 불일치하는 경우 알림 단계에서 각 주체 담당자에게 이메일 또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EDI(Electronic Document Interchange)로 전달하며, 화주(포워더)는 S/R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운송사는 컨테이너 반입계를 전송한 담당자에게, 선사는 CLL을 전송한 담당자에게 알림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63622A 2021-05-17 2021-05-17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345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622A KR102345547B1 (ko) 2021-05-17 2021-05-17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622A KR102345547B1 (ko) 2021-05-17 2021-05-17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547B1 true KR102345547B1 (ko) 2021-12-31

Family

ID=79177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622A KR102345547B1 (ko) 2021-05-17 2021-05-17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811B1 (ko) * 2022-10-04 2023-09-12 안성찬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5041A (ja) * 2003-09-09 2005-03-31 Sumitomo Heavy Ind Ltd 予約確認システム、予約確認方法、予約確認装置、及び予約確認プログラム
KR101782841B1 (ko) 2015-07-07 2017-10-23 주식회사 케이엘넷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 방법
JP2017199320A (ja) * 2016-04-28 2017-11-02 三井造船株式会社 コンテナ位置管理システム
KR101978292B1 (ko) * 2019-01-07 2019-05-14 (주) 케이엔에스 항만 게이트 ocr 시스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5041A (ja) * 2003-09-09 2005-03-31 Sumitomo Heavy Ind Ltd 予約確認システム、予約確認方法、予約確認装置、及び予約確認プログラム
KR101782841B1 (ko) 2015-07-07 2017-10-23 주식회사 케이엘넷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 방법
JP2017199320A (ja) * 2016-04-28 2017-11-02 三井造船株式会社 コンテナ位置管理システム
KR101978292B1 (ko) * 2019-01-07 2019-05-14 (주) 케이엔에스 항만 게이트 ocr 시스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811B1 (ko) * 2022-10-04 2023-09-12 안성찬 수출입 업무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37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of documents
US9558463B2 (en) In-field device for de-centralized workflow automation
US10546206B2 (en) Methods for mobile image capture of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s in a non-document
US11783278B2 (en) Enforcing data consistency in a transportation network
KR102086080B1 (ko)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국제복합운송에서의 운송화물 상태 확인 시스템
US200601067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weighing and tracking freight
US9311627B1 (en) Mail processing and delivery within a controlled-environment facility
US11288308B2 (en) System for a verifiable physical object with a digital representation and related applications
KR102345547B1 (ko) 정보망을 이용한 컨테이너 봉인번호 공동 활용 시스템 및 방법
US74342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workflow for an object
EP36715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baggage on cruise liners
KR101962948B1 (ko) 운송화물의 상태 확인 시스템
CN112100124A (zh) 一种基于ocr识别的集装箱信息自动归档方法
KR102244691B1 (ko) 화상 위·변조 방지 기술을 적용한 국제복합운송에서의 운송화물 상태 확인 시스템
KR101742637B1 (ko) 반송 우편물 자동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11610202B2 (en) Immutable ledger digital physical asset audit platform
US11288761B2 (en) Decentralized system for verifying participants to an activity
CN115512453A (zh) 一种货物验收方法、系统、电子设备及介质
KR101384409B1 (ko) 반송 우편물의 반송정보 수집 및 파일링 방법 및 시스템
US202001933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hipping processes and personnel
CN112036785A (zh) 一种物流数据的监控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2020036464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mote management and tracking of baggage on a transportation carrier computing system
KR101213947B1 (ko) 반송 우편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311162A (zh) 物流管理方法及系统
JP7495548B1 (ja) 荷出し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