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756B1 - 세탁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756B1
KR102577756B1 KR1020180047041A KR20180047041A KR102577756B1 KR 102577756 B1 KR102577756 B1 KR 102577756B1 KR 1020180047041 A KR1020180047041 A KR 1020180047041A KR 20180047041 A KR20180047041 A KR 20180047041A KR 102577756 B1 KR102577756 B1 KR 102577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um
nozzle
washing machine
pump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392A (ko
Inventor
임명훈
정환진
우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7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756B1/ko
Priority to EP19170523.5A priority patent/EP3569755A1/en
Priority to US16/392,197 priority patent/US11421366B2/en
Priority to PCT/KR2019/004948 priority patent/WO2019209024A1/en
Priority to AU2019261205A priority patent/AU2019261205B2/en
Publication of KR20190123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0Spin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4Time set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드럼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 드럼내로 급수를 실시하는 단계, 세탁수 순환용 펌프모터를 소정의 초기 회전 속도로 회전시켜 급수된 세탁수를 순환하는 단계, 드럼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드럼 내로 재급수를 실시하는 단계, 감지된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재급수를 반복하여 실시하는 단계, 재급수를 반복하여 실시할 때마다 펌프모터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된 수류의 도달 범위는, 상기 드럼의 원주면 하측에서 상기 드럼의 후면까지 점차적으로 확대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포함한다. 최근의 세탁기는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순환 펌프를 이용하여 순환시키고, 이렇게 순환된 물을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상기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유동에 다양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수압을 드럼의 회전에 따라 가변시키며, 세탁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세탁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드럼의 회전 제어 및 드럼의 회전과 연관되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수압을 제어하는 개선된 제어방법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보면, 드럼 내에 급수를 통해 세탁수를 생성하고, 펌프모터의 회전을 통하여 세탁수를 순환시킴으로서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펌프모터의 능동적인 제어방법을 통한 세탁효율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제1 과제는 세탁 초반에는 고농축 세탁 행정을 수행하고 세탁 중후반에는 강력 분사 세탁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포량 및 포질에 따라 능동적으로 급수 및 순환 분사를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드럼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 드럼 내로 급수를 실시하는 단계, 세탁수 순환용 펌프모터를 소정의 초기 회전 속도로 회전시켜, 급수된 세탁수를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통해 순환시키는 단계, 드럼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드럼 내로 재급수를 실시하는 단계, 감지된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재급수를 반복하여 실시하는 단계, 재급수를 반복하여 실시할 때마다 펌프모터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펌프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수류의 도달 범위는 드럼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확대된다.
세탁수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한 후, 펌프모터를 설정된 최대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모터의 최대 회전속도는 감지된 포량이 많을수록 높게 설정될 수 있다.
감지된 포량이 많을수록, 재급수 실시에 따른 펌프모터의 회전 속도 상승폭은 증가할 수 있다.
펌프모터의 소정의 초기 회전 속도는 감지된 포량이 많을 수록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설정 수위는 감지된 포량이 많을수록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드럼을 회전시키는 세탁모터가 off 되는 시간동안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재급수가 실시되어 설정 수위에 도달한 후 수위가 소정 수위 이하로 내려갈 경우, 추가 급수를 실시할 수 있다.
펌프모터의 회전은 간헐적으로 반복하여 실시될 수 있다.
펌프모터의 회전 속도는 소정의 재급수 구간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펌프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 분사되는 수류는 드럼의 측면부를 거쳐 후면부에 도달할 수 있다.
펌프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수의 분사 강도가 상승할 수 있다.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전면에 입구가 형성된 터브,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케이싱과 터브의 입구를 연결시키는 환형의 개스킷, 개스킷에 고정되어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노즐로 안내하는 노즐 급수관을 포함하고, 노즐 급수관은, 펌프와 연결되어 압송수를 공급하는 순환관 연결포트, 순환관 연결포트와 연결되어, 순환관 연결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노즐로 안내하는 이송 관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관로는 원주의 상단 일부분이 절개된 환형으로 형성되어, 이송 관로의 하단에 위치한 순환관 연결포트로 압송된 물은, 이송 관로를 통해 양방향으로 분지하여 안내될 수 있다.
이송 관로는 원주의 상단 일부분이 절개된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은, 개스킷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하향으로 수류를 분사하는 한 쌍의 중간 노즐, 개스킷의 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상향으로 수류를 분사하는 한 쌍의 하부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 노즐과 한 쌍의 하부 노즐은 이송 관로에 좌, 우 양측으로 각각 연결되어, 이송 관로로 유입된 물을 한 쌍의 중간, 하부 노즐을 통해 드럼 내로 분사할 수 있다.
순환관 연결포트는 이송 관로의 하단에 위치하고, 순환관 연결포트로 압송된 물은 이송 관로를 통해 양방향으로 분지하여 안내될 수 있다.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전면에 입구가 형성된 터브, 케이싱과 터브의 입구를 연결시키는 환형의 개스킷을 포함하고, 노즐은 개스킷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노즐은, 재급수 실시시 급수밸브를 통해 공급된 물을 드럼 내로 급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순환 펌프 모터의 rpm 가변 분사를 통하여 세탁 초반에는 소량의 세탁수 및 낮은 rpm으로 고농축 세탁 과정을 수행하고 세탁 후반에는 다량의 세탁수 및 높은 rpm을 통한 강력 분사 세탁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설정 수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재급수 횟수를 결정함으로써 능동적으로 급수량을 조절하고, 재급수 될때마다 순환 펌프 RPM을 상승시켜, 보다 능동적으로 재급수 및 순환 펌프를 통한 분사력을 제어하여 세탁 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개스킷과 노즐 급수관의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세탁기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드럼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것(a)과, 정면에서 바라본 것(b)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상부 노즐의 분사 패턴을 도 6에 표시된 YZ(U)를 따라 바라본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상부 노즐의 분사 패턴을 도 6에 표시된 XY(R)를 따라 바라본 것(a)과, 도 6에 표시된 ZX(M)을 따라 바라본 것(b)이다.
도 10은 중간 노즐들의 분사 패턴을 도 6에 표시된 YZ(U)를 따라 바라본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제 1 중간 노즐의 분사 패턴을 도 6에 표시된 XY(R)를 따라 바라본 것(a), 중간 노즐들(610b, 610e)의 분사 패턴을 각각, 도 6에 표시된 ZX(F)을 따라 바라본 것(b), ZX(M)을 따라 바라본 것(c), ZX(R)을 따라 바라본 것(d)이다.
도 12는 하부 노즐들의 분사 패턴을 도 6에 표시된 YZ(U)를 따라 바라본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제 1 하부 노즐의 분사 패턴을 도 6에 표시된 XY(R)를 따라 바라본 것(a), 하부 노즐들의 분사 패턴을 각각 도 6에 표시된 ZX(F)을 따라 바라본 것(b), ZX(M)을 따라 바라본 것(c), ZX(R)을 따라 바라본 것(d)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펌프 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른 노즐의 분사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재급수에 따른 펌프 RPM의 변화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세탁모터의 구동, 펌프모터 RPM 및 재급수 시점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방향과 관련된 용어, 예를들면, 상, 하측, 좌, 우측, 전, 후방,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배치위치 또는 이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른 방향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기 구성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싱(10)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2h)가 형성된다. 케이싱(10)은 전면이 개방되고, 좌측면, 우측면, 후면을 갖는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개구된 전면에 결합되고, 투입구(12h)가 형성된 전면 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1)의 저면과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저면에는 세탁기를 지지하는 수평한 베이스(15)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은 캐비닛(11)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탑플레이트(13)와, 전면 패널(12)의 상측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 내에는 물이 담기는 터브(31)가 배치될 수 있다. 터브(31)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입구가 형성된다, 캐비닛(11)과 터브(31)는 환형의 개스킷(601)에 의해 연결되어,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통로가 상기 터브(31)의 입구로부터 투입구(12h)에 이르는 구간에 형성된다.
투입구(12h)를 개폐하는 도어(20)가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대략 중앙부가 개구되고, 전면 패널(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도어 프레임(21)과, 도어 프레임(21)의 개구된 중앙부에 설치되는 투명한 윈도우(22)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2)는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적어도 일부분이 개스킷(601)의 내주면에 의해 둘러 쌓인 영역 내로 위치될 수 있다.
개스킷(601)은 터브(31)에 담긴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개스킷(601)은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로 연장되는 관상의 형태이다. 개스킷(601)의 상기 전단부는 케이싱(10)에 고정되고, 상기 후단부는 터브(31)의 입구 둘레에 고정된다. 개스킷(601)은 유연한 또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601)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개스킷(601)의 관상의 형태의 내측을 한정하는 부분을 개스킷(601)의 내주부(또는, 내주면)이라고 하고, 그 반대쪽 부분을 개스킷(601)의 외주부(또는, 외측면)이라고 한다.
터브(31) 내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32)은 세탁물을 수용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대략 수평한 회전 중심선(C)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만, 여기서의 "수평"은 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로써 사용된 용어는 아니다. 즉,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 중심선(C)이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역시 수직보다는 수평에 근접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평하다고 할 수 있다. 터브(31) 내의 물이 드럼(32)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드럼(32)에는 다수의 통공(32h)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32)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리프터(32a)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리프터(32a)는 드럼(32)의 중심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드럼(32)의 회전시, 세탁물이 리프터(32a)에 의해 들어 올려졌다가 낙하되는 것을 반복한다.
드럼(3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38)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38)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38a)이 터브(31)의 후면부를 통과하여 드럼(32)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38)는 직결식 세탁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 모터는 터브(31)의 후방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38a)은 로터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터브(31)는 베이스에 설치된 댐퍼(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32)의 회전시 유발되는 터브(31)의 진동이 댐퍼(16)에 의해 감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터브(31)를 케이싱(10) 내에 매다는 헹거(예를 들면, 스프링)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터브(31)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미도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이 후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급수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31) 또는 드럼(32) 내로 세제, 섬유 유연제 등의 첨가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35)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35)에는 첨가제들이 그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5)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미도시)와, 섬유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디스펜서(35)의 각 수용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이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33)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을 각각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94)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은, 냉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냉수를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하는 제1 급수공급관(34a)과, 상기 냉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냉수를 상기 섬유 유연제 수용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2 급수공급관(34b)과, 온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온수를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하는 제3 급수공급관(34c)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601)에는 드럼(32) 내로 물을 분사하는 직수 노즐(42)이 구비될 수 있고,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직수 노즐(42)로 안내하는 직수 공급관(39)이 구비될 수 있다. 직수 노즐(42)은 와류 노즐 또는 분무 노즐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직수 노즐(42)은, 전방에서 바라볼 시, 수직선(V)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35)로부터 배출된 물은 급수 밸로우즈(37)를 통해 터브(31)로 공급된다. 터브(31)의 측면에는 급수 밸로우즈(37)와 연결된 급수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31)에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 밸로우즈(17)가 상기 배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터브(31)로부터 배출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36)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7)를 단속하는 배수밸브(9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펌프(36)는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배출된 물을 배수관(19)으로 압송하는 기능과, 순환관(18)으로 압송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펌프(36)에 의해 압송되어 순환관(18)을 따라 안내되는 물을 순환수라고 한다.
펌프(36)는 제1 펌프 모터(92) 및 제2 펌프 모터(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펌프 모터(92)는 터브(32)에서 배출된 순환수를 복수의 노즐들(610b, 610c, 610d, 610e)로 압송하는 순환 펌프 모터일 수 있다. 제2 펌프 모터(93)는 터브(32)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배수 펌프 모터일 수 있다.
펌프(36)는 유량(또는, 토출 수압)이 가변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 펌프 모터들(92, 93)은 회전속도 제어가 가능한 가변속 모터일 수 있다. 각각의 펌프 모터(92, 93)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펌프 모터(92, 93)의 속도 제어를 위한 드라이버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버는 인버터 드라이버일 수 있다. 인버터 드라이버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목표한 주파수로 모터에 입력한다.
펌프 모터들(92, 93)을 제어하는 제어부(9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펌프 모터의 출력값(예를 들어, 출력 전류)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펌프 모터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목표 회전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값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1)는 펌프 모터(92, 93)의 회전 속도뿐만 아니라, 회전 방향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펌프에 적용되던 유도 모터는 기동시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없는 것이어서, 정해진 방향으로 각 임펠러의 회전을 제어하기 어려워, 임펠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토출포트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펌프 모터(92, 93)의 기동시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토출포트를 통해 토출되는 유량을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1)는 펌프 모터(92, 93)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부의 제어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자.
도 2를 참조하면, 터브(31)의 전면에는, 터브(31)의 입구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밸런서(81, 82, 83, 84)가 구비될 수 있다. 밸런서(81, 82, 83, 84)는 터브(31)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이다. 밸런서(81, 82, 83, 84)는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31)의 전면 상부에, 좌, 우 양측으로 각각 제1 상부 밸런서(81)와 제2 상부 밸런서(82)가 구비되고, 터브(31)의 전면 하부에, 좌, 우 양측으로 각각 제1 하부 밸런서(83)와 제2 하부 밸런서(8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개스킷과 노즐 급수관의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개스킷(601)은 케이싱(10)의 투입구(12h) 둘레에 결합되는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31)의 입구 둘레에 결합되는 터브 결합부(62)와,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 결합부(62)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 결합부(62)는 각각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연장부(63)는 케이싱 결합부(61)와 연결되는 환형의 전단부로부터 터브 결합부(62)와 연결되는 환형의 후단부를 갖고,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로 연장되는 관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면 패널(12)은 투입구(12h)의 둘레가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케이싱 결합부(61)가 끼워질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1)에는 철사가 감기는 환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을 따라 철사가 감겨진 후, 철사의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케이싱 결합부(61)가 투입구(12h) 둘레에 공고하게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터브(31)는 입구 둘레가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터브 결합부(62)가 끼워진다. 터브 결합부(62)에는 철사가 감기는 환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을 따라 철사가 감겨진 후, 철사의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터브 결합부(62)가 터브(31)의 입구 둘레에 공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케이싱 결합부(61)는 전면 패널(12)에 고정되나, 터브 결합부(62)는 터브(31)의 움직임에 따라 변위된다. 따라서, 연장부(63)는 터브 결합부(62)의 변위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스킷(601)은,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 결합부(62) 사이 구간(또는, 연장부(63))에, 터브(31)가 편심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접철되는 접철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32)은 회전 과정에서 진동(즉, 드럼(32)의 회전 중심선(C)이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터브(31)의 중심선(대략, 드럼(32)의 회전 중심선(C)과 동일 함.) 역시 이동하며, 이때의 이동 방향(이하, "편심 방향" 이라고 함.)은 반경 방향 성분을 갖는다.
접철부(65)는 대략적으로 "Z"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터브(31)가 편심 방향으로 이동할 시 접히거나 펼쳐진다.
도 4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개스킷(601)은 드럼(32) 내로 순환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610b, 610c, 610d, 610e)을 포함한다. 복수의 노즐(610b, 610c, 610d, 610e)은 개스킷(601)의 내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 급수관(71)은 펌프(36)에 의해 압송된 순환수를 복수의 노즐(610b, 610c, 610d, 610e)로 안내하는 것이고, 개스킷(601)에 고정된다.
노즐 급수관(71)은, 순환관(18a)과 연결되는 순환관 연결포트(75)와, 순환관 연결포트(75)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 관로(71c)를 포함한다.
이송 관로(71c)는 상기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관로부(71c1)와, 상기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2 관로부(71c2)를 포함한다. 제1 관로부(71c1)의 일단과 제2 관로부(71c2)의 일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렇게 연결된 부분에서 순환관 연결포트(75)가 돌출된다. 그러나, 제1 관로부(71c1)의 타단과 제2 관로부(71c2)의 타단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서로 분리되어 있다. 즉, 이송 관로(71c)는 전체적으로 "Y"자 형태로 이루어져, 하나의 입구(즉, 순환관 연결포트(75))를 통해 유입된 순환수를 두 개의 유로로 분지시켜 안내하는 구조이며, 이때 상기 두 개의 유로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송 관로(71c)는 전체적으로 환형으로 이루어지나, 원주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이다. 즉, 상기 원주 상에서 절개된 부분이 제1 관로부(71c1)와 제2 관로부(71c2) 사이에 해당한다.
노즐 급수관(71)은 이송 관로(71c)로부터 돌출되어 순환관(18)과 연결되는 순환관 연결포트(75)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관 연결포트(75)는 이송 관로(71c)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610b, 610c, 610d, 610e)은 개스킷(601)의 하단 보다 상단에 가깝게 배치되어 하향으로 순환수를 분사하는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과,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향으로 순환수를 분사하는 한 쌍의 하부 노즐(610c, 610d)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노즐(610b, 610c, 610d, 610e)는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노즐은 드럼(32) 내부로 물을 분사하되,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 보다 드럼(32)의 전면부에 가깝게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노즐은 직수 노즐(42)로 구성되어,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세제가 용해되지 않은 세척수를 드럼(32)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부 노즐은 노즐 급수관(71)과 연결되어 펌프(36)에 의해 압송된 순환수가 분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노즐(610a, 도 7 참조)은 직수 노즐(42)인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한 쌍의 하부 노즐(610c, 610d)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 제1 하부 노즐(610c)과 제2 하부 노즐(610d)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 제1 중간 노즐(610b)과 제2 중간 노즐(610e)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관 연결포트(75)는, 복수의 노즐들(610b, 610c, 610d, 610e) 중 어느 것보다도 하측에서 이송 관로(71c)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순환관 연결포트(75)는 이송 관로(71c)의 최저점에 연결된다.
즉, 이송 관로(71c)는 순환관 연결포트(75)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최저점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은 유입구 보다 상측에 형성되고, 유입구를 기준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은 이송 관로(71c)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각각의 중간 노즐(610b, 610e)의 분사 방향 역시 수직선에 대해 대칭이다.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은 노즐 급수관(71c)의 중심 또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는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중간 노즐(610b, 610e)은 하향으로 순환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드럼(32)을 정면에서 들여다볼 시, 순환수는 드럼(32)의 입구측에서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 상측 영역을 통과하며, 드럼(32) 내로 깊이 들어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분사된다.
한 쌍의 하부 노즐(610c, 610d)은 유입구 보다는 상측이나,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 보다는 하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하부 노즐(610c, 610d)은 유입구를 기준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직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각 하부 노즐(610c, 610d)의 분사 방향이 수직선에 대해 대칭이다.
한 쌍의 하부 노즐(610c, 610d)은 노즐 급수관(71)의 중심 또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는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하부 노즐(610c, 610d)은 상향으로 순환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드럼(32)을 정면에서 들여다볼 시, 순환수가 드럼(32)의 입구측에서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 하측 영역을 통과하며, 드럼(32) 내로 깊이 들어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로 분사된다.
상부 노즐(610a)은 바람직하게는 수직선 상에 배치되며, 상부 노즐(610a)을 통해 분사되는 순환수의 형태는 수직선에 대해 대칭이다.
제어부는 제1 펌프 모터(92)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노즐들(610b, 610c, 610d, 610e)의 분사압을 가변시킬 수 있다.
개스킷(601)은, 전방에서 보았을 시, 소정의 직선에 대해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노즐(610a)은 상기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노즐들(610b, 610c)은 상기 직선을 기준으로 제2 노즐들(610d, 610e)과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복수의 노즐(610b, 610c, 610d, 610e)과 상부 노즐(610a)을 통해서 동시에 분사가 이루어질 시, 이들 노즐들(610a, 610b, 610c, 610d, 610e)을 통해 분사되는 수류들의 전체적인 형태가, 정면에서 바라볼 시 좌, 우 대칭의 균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이들 노즐들(610a, 610b, 610c, 610d, 610e)에서 동시에 분사가 이루어질 시, 별(star) 모양의 분사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직수 노즐로 구성되는 상부 노즐(610a)를 제외하고 펌프(36)에 의하여 압송되는 순환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들(610b, 610c, 610d, 610e)에서 동시에 분사가 이루어질 시, 나비(butterfly) 모양의 분사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펌프 모터(92)의 회전속도를 가변하여 복수의 노즐들(610b, 610c, 610d, 610e)에서의 분사압을 가변하여, 나비가 날개짓을 하는 듯한 형태의 분사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드럼(32) 내부에 골고루 물을 분사할 수 있다.
개스킷(601)에는 스팀 분사노즐(47)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분사노즐(47)은 상기 스팀 생성기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드럼(32) 내로 분사하는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노즐 급수관(71)은 앞서 설명한 "Y"자 형이 아닌 환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부 노즐(610a)은 펌프(36)로부터 압송되는 순환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노즐들(610a, 610b, 610c, 610d, 610e)가 동시에 순환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세탁기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4)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설정들(예를 들어, 세탁코스, 세탁, 헹굼, 탈수 시간, 탈수속도 등)을 입력하면, 제어부(91)는 입력된 설정에 따라 세탁기가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 가능한 코스별로 급수밸브(94), 세탁모터 (95), 순환 펌프 모터(92) 및 배수밸브(96) 등의 제어 알고리즘이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91)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설정에 대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기가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1)는 순환 펌프 모터(92)뿐만 아니라, 배수 펌프 모터(93)도 제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세탁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부의 제어는, 별다른 언급이 없더라도, 제어부(91)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은 드럼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것(a)과, 정면에서 바라본 것(b)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사용될 용어들을 정의한다.
도 7은 드럼(32)의 전면을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후측 방향, 상측 방향 및 좌측 방향이 각각 +Y, +X +Z로 표시되어 있고, ZX(F)는 대략 드럼(32)의 전면에서의 ZX평면을 표시한 것이고, ZX(M)는 대략 드럼(32)의 중간 깊이에서의 ZX평면을 표시한 것이고, ZX(R)은 대략 드럼(32)의 후면부(322) 근처에서의 ZX평면을 표시한 것이다.
또한, XY(R)은 드럼(32)의 우측단에 위치하는 XY평면을 도시한 것이고, XY(C)는 드럼(32)의 중심(C)이 속하는 XY평면(또는, 수직한 평면)을 표시한 것이다.
또한, YZ(M)은 대략 드럼(32)의 중간 높이의 YZ평면을 표시한 것이고, YZ(U)는 YZ(M)의 상측에 위치하는 YZ평면, YZ(L)은 YZ(M)의 하측에 위치하는 YZ평면을 표시한 것이다.
도 8은 상부 노즐의 분사 패턴을 도 6에 표시된 YZ(U)를 따라 바라본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상부 노즐의 분사 패턴을 도 6에 표시된 XY(R)를 따라 바라본 것(a)과, 도 7에 표시된 ZX(M)을 따라 바라본 것(b)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노즐(610a)을 통해 분사되는 수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수막의 형태로 분사되고, 상기 수막의 두께는 상측 경계(UDL)와 하측 경계(LDL)사이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에 표시된 수류는 상측 경계(UDL)를 이루는 면을 표시한 것이고, 하측 경계(LDL)를 이루는 면은 생략되었다.
도 9의 (a)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수류는 실선으로 표시된 경우(최대 수압인 경우)보다 수압이 낮아진 경우(즉, 펌프 모터의 회전속도가 감소된 경우)를 표시한 것이다. 수압이 하강하면 수류의 세기 역시 약해지기 때문에, 수류가 미치는 영역이 드럼(32)의 입구측으로 천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윈도우(22)는 상부 노즐(610a)보다 더 드럼(32)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따라서, 펌프 모터의 회전수가 일정 수준보다 낮아지면, 상부 노즐(610a)을 통해 분사된 수류가 윈도우(22)에 닿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윈도우(22)가 세척되는 효과가 있다.
상부 노즐(610a)을 통해 분사된 수류는 XY(C)에 대해 대칭인 형태이고, 드럼(32)의 후면부(322)에는 미치지 못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노즐(610a)의 분사 방향은 노즐의 형상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수압을 계속하여 상승시키더라도 분사되는 영역이 일정한 영역을 벗어날 수는 없다. 도 8 내지 도 13에 실선으로 도시된 수류들은 각 노즐들을 통해 최대 세기로 수류가 분사될 시를 도시한 것이다.
다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부 노즐(610a)은 드럼(32)의 측면부(321)를 향해 순환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노즐(610a)은 드럼(32) 내측을 향해 하방으로 순환수를 분사하며, 이때, 분사된 순환수가 측면부(321)에는 이르나, 후면부(322)에는 미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노즐(610a)을 통해 분사된 수류는 드럼(32) 깊이의 절반을 넘어선 영역에서 드럼(32)의 측면부(321) 상에 닿는다(도 9의 (a) 참조.).
한편, 도 8 내지 도 9에는, 상부 노즐(610a)의 분사방향이 벡터 FV1로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벡터 FV1는 수막 형태로 분사되는 수류의 중심에서의 유동 방향으로, 상부 노즐(610a)의 출구를 기준으로 표시한 것이다.
벡터 FV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내려다 볼 시, 회전 중심선(C)과 같은 방향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볼 시에는 회전 중심선(C)과 각도 θa를 이룬다. θa는 대략 35 내지 45도 이고, 바람직하게는 40도이다.
도 10은 중간 노즐들의 분사 패턴을 도 7에 표시된 YZ(U)를 따라 바라본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제1 중간 노즐의 분사 패턴을 도 7에 표시된 XY(R)를 따라 바라본 것(a), 중간 노즐들(610b, 610e)의 분사 패턴을 각각, 도 7에 표시된 ZX(F)을 따라 바라본 것(b), ZX(M)을 따라 바라본 것(c), ZX(R)을 따라 바라본 것(d)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은 XY(C)평면을 기준으로 좌, 우측 중 일측(또는, 제1 영역)에 배치되어 타측(또는, 제2 영역)을 향해 순환수를 분사하는 제1 중간 노즐과, XY(C)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을 향해 순환수를 분사하는 제2 중간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간 노즐(610b)과 제2 중간 노즐(610e)은 XY(C)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중간 노즐의 분사 방향 역시 서로 대칭이다. 각각의 중간 노즐을 통해 분사된 수류는 그 노즐이 배치된 쪽과 근접한 일측 경계(NSL)와 일측 경계(NSL)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타측 경계(FSL) 사이로 정의되는 폭을 갖는다.
일측 경계(NSL)는 타측 경계(FSL)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측 경계(NSL)는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나고, 타측 경계(FSL)는 일측 경계(NSL) 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난다. 즉, 중간 노즐(610b, 610e)에 의해 분사된 수류는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하향하는 형태의 경사진 수막을 구성한다.
각 중간 노즐(610b, 610e)을 통해 분사된 수류는, 일측 경계(NSL)가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나는 지점과, 타측 경계(FSL)가 드럼의 측면부(321)와 만나는 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에 이르며, 상기 영역은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나는 영역을 포함한다. 즉, 상기 수류가 드럼(32)과 만나는 구간은, 타측 경계(FSL)가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일측 경계(NSL)가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나는 지점을 향해 하향 진행되는 중에 드럼(32)의 후면부(322)를 지나게 된다.
이하, 제1 중간 노즐(610b)은 XY(C)평면을 기준으로 좌측(이하, "좌측 영역"이라고 함.)에 배치되고, 제2 중간 노즐(610e)은 XY(C)평면을 기준으로 우측(이하, "우측 영역"이라고 함.)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고, 중간 노즐들(610b, 610e)의 분사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중간 노즐(610b)은 우측 영역을 향해 순환수를 분사한다. 즉, 제1 중간 노즐(610b)을 통해 분사되는 수류는 XY(C)평면에 대해 대칭되는 형태가 아니라 우측으로 편향된 형태이다.
제1 중간 노즐(610b)을 통해 분사된 수류(FL)의 좌측 경계(NSL, 일측 경계(NSL))는 우측 경계(FSL, 또는, 타측 경계(FSL)) 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난다. 제1 중간 노즐(610b)을 통해 분사된 수류(FL)의 우측 경계(FSL, 또는, 타측 경계(FSL)) 역시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난다.
제1 중간 노즐(610b)을 통해 분사된 수류(FL)의 우측 경계(FSL)는, 바람직하게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 높은 위치에서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난다.
제1 중간 노즐(610b)을 통해 분사된 수류(FL)가 드럼(32)과 만나는 구간은, 우측 경계(FSL)가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하향하며 진행하다가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나게 되며, 다시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나면서 좌측 경계(NSL)가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나는 지점에 이른다.
제2 중간 노즐(610e)은 좌측 영역을 향해 순환수를 분사한다. 즉, 제2 중간 노즐(610e)을 통해 분사되는 수류는 XY(C)평면에 대해 대칭되는 형태가 아니라 우측으로 편향된 형태이다.
제2 중간 노즐(610e)을 통해 분사된 수류(FR)의 우측 경계(NSL, 또는, 일측 경계(NSL))는 좌측 경계(FSL, 또는, 타측 경계(FSL)) 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난다. 제2 중간 노즐(610e)을 통해 분사된 수류(FR)의 좌측 경계(FSL, 또는, 타측 경계(FSL)) 역시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난다.
제2 중간 노즐(610e)을 통해 분사된 수류(FR)의 좌측 경계(FSL)는, 바람직하게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 높은 위치에서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난다.
제2 중간 노즐(610e)을 통해 분사된 수류(FR)가 드럼(32)과 만나는 구간은, 좌측 경계(FSL)가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하향하며 진행하다가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나게 되며, 다시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나면서 우측 경계(NSL)가 드럼(32)의 측면부(321)와 만나는 지점에 이른다.
도면에서 제1 중간 노즐(610b)로부터 분사된 수류(FL)와 제2 중간 노즐(610e)로부터 분사된 수류(FR)가 교차되는 부분(이하, "교차 구간"이라고 함.)은 ISS로 표시되어 있다. 교차 구간(ISS)은 드럼(32)의 중간 깊이 보다 전방에서부터 시작되어 후방으로 진행하다가 드럼(32)의 후면부(322)에 이르기 전에 종료된다. 교차구간(ISS)은 측면에서 보았을 시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하향하는 선분을 이룬다.(도 11의 (a) 참조.) 교차구간(ISS)은 바람직하게는, 드럼(32)의 중간 깊이 보다 더 깊숙한 곳에서 끝난다.(도 11의 (c) 참조.)
한편, 도 10 내지 도 11에는, 중간 노즐(610b, 610e)의 분사방향이 벡터 FV2로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벡터 FV2는 수막 형태로 분사되는 수류의 중심에서의 유동 방향으로, 중간 노즐(610b, 610e)의 출구를 기준으로 표시한 것이다.
벡터 FV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내려다 볼 시, 회전 중심선(C)과 각도 θb1을 이루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볼 시에는 회전 중심선(C)과 각도 θb2를 이룬다. θb1은 대략 5 내지 15도 이고, 바람직하게는 10도이다. θb2은 대략 30 내지 40도 이고,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35도이다.
한편,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에서 분사되는 수류가 일정 압력 이하로 분사될 시, 윈도우(22)의 내측면에 도달할 수 있다. 제어부(91)는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에서 분사되는 수류가 윈도우(22)의 내측면에 도달하도록 순환 펌프 모터(92)를 설정된 속도로 제어하여, 윈도우(22)를 세척할 수 있다.
도 12는 하부 노즐들의 분사 패턴을 도 7에 표시된 YZ(U)를 따라 바라본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제1 하부 노즐의 분사 패턴을 도 7에 표시된 XY(R)를 따라 바라본 것(a), 하부 노즐들의 분사 패턴을 각각 도 7에 표시된 ZX(F)을 따라 바라본 것(b), ZX(M)을 따라 바라본 것(c), ZX(R)을 따라 바라본 것(d)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한 쌍의 하부 노즐(610c, 610d)은 XY(C)평면을 기준으로 좌, 우측 중 일측(또는, 제1 영역)에 배치되어 타측(또는, 제2 영역)을 향해 순환수를 분사하는 제1 하부 노즐(610c)과, XY(C)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을 향해 순환수를 분사하는 제2 하부 노즐(61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노즐(610c)과 제2 하부 노즐(610d)은 XY(C)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하부 노즐의 분사 방향 역시 서로 대칭이다. 각각의 하부 노즐(을 통해 분사된 수류는 그 노즐이 배치된 쪽과 근접한 일측 경계(NSL)와 상기 일측 경계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타측 경계(FSL)사이로 정의되는 폭을 갖는다.
일측 경계(NSL)는 타측 경계(FSL)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측 경계(NSL)는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나고, 타측 경계(FSL)는 일측 경계(NSL) 보다 더 하측에서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난다. 즉, 하부 노즐(610c, 610d)에 의해 분사된 수류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하향하는 형태의 경사진 수막을 구성한다.
각 하부 노즐(610c, 610d)을 통해 분사된 수류는, 일측 경계(NSL)가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나는 지점과, 타측 경계(FSL)가 드럼의 후면부(322)와 만나는 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에 이른다.
이하, 제1 하부 노즐(610c)은 XY(C)평면을 기준으로 좌측(이하, "좌측 영역"이라고 함.)에 배치되고, 제2 하부 노즐(610d)은 XY(C)평면을 기준으로 우측(이하, "우측 영역"이라고 함.)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고, 하부 노즐들(610c, 610d)의 분사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하부 노즐(610c)은 우측 영역을 향해 순환수를 분사한다. 즉, 제1 하부 노즐(610c)을 통해 분사되는 수류는 XY(C)평면에 대해 대칭되는 형태가 아니라 우측으로 편향된 형태이다.
제1 하부 노즐(610c)을 통해 분사된 수류(FL)의 좌측 경계(NSL, 일측 경계(NSL))는 우측 경계(FSL, 또는, 타측 경계(FSL)) 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난다. 제1 하부 노즐(610c)을 통해 분사된 수류(FL)의 우측 경계(FSL, 또는, 타측 경계(FSL)) 역시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난다.
제1 하부 노즐(610c)을 통해 분사된 수류(FL)의 좌측 경계(NSL)는, 바람직하게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 높은 위치에서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난다. 제1 하부 노즐(610c)을 통해 분사된 수류(FL)의 우측 경계(FSL)는, 바람직하게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 낮은 위치에서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난다.
제1 하부 노즐(610c)을 통해 분사된 수류(FL)가 드럼(32)과 만나는 구간은, 좌측 경계(NSL)가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하향하며 진행하다가 우측 경계(FSL)가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나는 지점에 이른다.
제2 하부 노즐(610d)은 우측 영역을 향해 순환수를 분사한다. 즉, 제2 하부 노즐(610d)을 통해 분사되는 수류는 XY(C)평면에 대해 대칭되는 형태가 아니라 우측으로 편향된 형태이다.
제2 하부 노즐(610d)을 통해 분사된 수류(FR)의 우측 경계(NSL, 또는, 일측 경계(NSL))는 좌측 경계(FSL, 또는, 타측 경계(FSL)) 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난다. 제2 하부 노즐(610d)을 통해 분사된 수류(FR)의 좌측 경계(FSL, 또는, 타측 경계(FSL)) 역시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난다.
제2 하부 노즐(610d)을 통해 분사된 수류(FR)의 우측 경계(NSL)는, 바람직하게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 높은 위치에서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난다. 제1 하부 노즐(610c)을 통해 분사된 수류(FL)의 좌측 경계(NSL)는, 바람직하게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 낮은 위치에서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난다.
제2 하부 노즐(610d)을 통해 분사된 수류(FR)가 드럼(32)과 만나는 구간은, 우측 경계(NSL)가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하향하며 진행하다가 좌측 경계(FSL)가 드럼(32)의 후면부(322)와 만나는 지점에 이른다.
도면에서 제1 하부 노즐(610c)로부터 분사된 수류(FL)와 제2 하부 노즐(610d)로부터 분사된 수류(FR)가 교차되는 부분(이하, "교차 구간"이라고 함.)은 ISS로 표시되어 있다. 교차 구간(ISS)은 측면에서 보았을 시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상향하는 선분을 이룬다.(도 13의 (a) 참조.) 교차구간(ISS)은 바람직하게는, 드럼(32)의 중간 깊이 보다 더 깊숙한 곳(바람직하게는, 드럼(32)의 중간 깊이보다 후면부(322)와 가까운 곳)에서 끝난다.(도 13의(d) 참조.)
한편, 도 12 내지 도 13에는, 하부 노즐(610c, 610d)의 분사방향이 벡터 FV3으로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벡터 FV3은 수막 형태로 분사되는 수류의 중심에서의 유동 방향으로, 중간 노즐(610c, 610d)의 출구를 기준으로 표시한 것이다.
벡터 FV3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내려다 볼 시, 회전 중심선(C)과 각도 θc1을 이루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볼 시에는 회전 중심선(C)과 각도 θc2를 이룬다. θc1은 대략 15 내지 25도 이고, 바람직하게는 20도이다. θc2은 대략 20 내지 30도 이고,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6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펌프 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른 노즐의 분사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순환 펌프 모터(92)가 회전함에 따라 드럼(32) 내로 물을 분사하는, 중간 노즐(610b, 610e) 및 하부 노즐(610c, 610d)에서 분사되는 수류의 분사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측면에서 바라본 드럼(32)을 3등분하여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정의하면,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속도가 점점 증가할수록, 노즐(610b, 610c, 610d, 610e)로부터 분사된 수류가 드럼(32)의 더 깊숙한 위치에 까지 미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의 (a) 및 (b)를 참조하면,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속도가 1300Rpm인 경우, 노즐(610b, 610c, 610d, 610e)로부터 분사된 수류가 드럼(32) 측면부(321)의 제1 영역 내에 이르고, 2000Rpm인 경우에는 중간 노즐(610b, 610e)에서 분사된 수류가 제2 영역 내에 이르고 하부 노즐(610c, 610d)에서 분사된 수류가 제3 영역 내에 이르고, S2300Rpm인 경우는 노즐(610b, 610c, 610d, 610e)로부터 분사된 수류가 제 3 영역 내에 이른다.
도 14의 (c)를 참조하여,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속도를 더 상승시키면, 드럼(32)의 후면부(322)에 수류가 이르게 되고, 3000Rpm에서는 수류가 드럼(32)의 높이(H)의 1/3에 이르고, 3500Rpm에서는 수류가 드럼(32)의 높이(H)의 2/3에 이른다.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속도가 3500Rpm에 이르면 수류가 닿는 높이가 최대가 되고, 노즐(610b, 610c, 610d, 610e)의 구조 상, 그 이후로는 더 이상 분사 높이가 상승되지는 않고, 수류의 세기만 강화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의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속도 값(Rpm)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의 값이고, 이는 급수관의 크기나 형상, 펌프의 스펙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도 14와 같이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속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드럼(32)의 전방부로부터 후면부(322)의 상측에 가깝게 수류가 도달하게 되는 경향성은 동일할 수 있다.
도 15는 재급수에 따른 펌프 RPM의 변화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세탁모터의 구동, 펌프모터 RPM 및 재급수 시점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세탁 초반과 세탁 중, 후반에서의 급수 행정 및 펌프모터의 전체적인 작동 방향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럼을 통하여 포가 유입되면, 먼저 급수를 통한 세제 용해 과정이 수행되고, 포를 세탁수에 적시기 위한 포적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세탁 초반에 급수되는 수량이 포 적심에 활용되면 순환 가능한 잔 수량은 매우 적고 느리게 채워지게 된다. 하지만 세탁 초반에는 세탁수의 양이 적을수록 세탁 성능이 향상되는데, 이는 세제가 용해될 때 필요한 세탁수가 적을수록 고농도의 세탁수가 형성이 되고, 고농도의 세탁수를 통해 포를 적실 경우 포가 머금은 고농도의 세탁수에 의해 세탁물에 기계력이 작용할 경우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에 대한 세정능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탁 성능을 높이기 위해 포가 함유할 수 있는 최소한의 포 적심 수량에 순환 가능한 잔수량을 통하여 세탁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농축 세탁에 대한 기조는 히팅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데, 세탁수량이 적을수록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하기 용이하고 히팅시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히터가 고장이 나지 않기 위해서는 히터를 보호할 수 있는 최소의 수위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렇게 세탁 행정의 초반부에 있어서는 세탁수량을 가급적 줄여서 고농축 세탁 행정을 수행하여 초반부에 행해지는 세제용해, 포적심, 히팅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세탁 행정의 초반부는 본 세탁을 위한 준비 과정으로서 고농축 세탁 행정이 적합하지만, 본세탁 과정에 이르러서는 보다 강력한 세탁수의 분사 및 순환 과정이 필요한바, 이는 본세탁 과정의 목적이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세탁물을 깨끗하게 만드는 것이 주 목적인 과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탁 행정 초반부에는 적은 양의 잔수량을 유지하다가 세탁 행정 후반부로 갈수록 재급수를 통하여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를 순환시키고, 동시에 펌프 RPM을 상승시켜 기계력을 강화시킴으로 인해 강력 분사 세탁 모드로 동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강력 분사 세탁을 하기 위해 재급수를 통한 세탁수의 증가 및 펌프 RPM 상승을 통한 분사 기계력 상승을 유도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재급수 여부, 재급수 횟수 및 재급수에 따른 펌프 RPM의 상승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통하여 세탁수량의 증가 및 펌프 RPM 상승을 통한 효율적인 세탁 행정을 수행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방법을 통해, 드럼 내의 수위 변화에 대응하여,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물의 세기를 조절하고, 세탁 초반에 드럼 내의 수위를 저부위로 유지하며 고농도의 세척수로 세탁하고, 이어서 세탁 후반에는 점차적으로 수위를 높여 세탁함으로써, 세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 모터의 회전속도를 높은 속도로 일정하게 유지할 경우, 드럼 내부의 수위가 낮아져, 재급수를 요하게 되고, 이 경우 세탁에 소요되는 수량이 증가하거나, 높은 농도의 세척수로 세탁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 모터의 회전속도를 드럼 내의 수위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세탁에 이용되는 수량을 절감하고, 세탁 초반에 낮은 수위에서 고농축 세탁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추가되는 재급수를 통하여 드럼 내의 수위가 충분히 높아질 시,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수압을 향상시켜, 수압에 의한 물리적 충격으로 세척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세척수 수위에 따라 추가되는 급수량, 펌프 모터의 회전속도, 급수 간의 시간 차이 등을 변경함으로써, 효율적인 세탁이 가능하며, 전체적인 세탁행정의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세탁 과정에서의 재급수에 따른 펌프 RPM 상승 분사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탁 행정이 시작되고(S1), 제어부(91)는 세탁 모터(95)를 회전시키며, 드럼(32)내에 위치한 포의 포량을 감지한다(S2). 포량은 드럼(32)내에 투입된 포의 양에 따라 드럼(32)의 회전 관성이 달라지는 원리를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량은, 세탁 모터(95)를 가속하는 과정에서, 기 설정된 목표속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바탕으로 구해지거나, 세탁 모터(95)의 가속 기울기를 바탕으로 구해지거나, 감속 기울기를 바탕으로 구해지거나, 발전 제동시의 역기전력을 바탕으로 구해질 수 있다. 이에 한하지 않고, 이미 세탁기 기술분야에서 포량을 구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알려져 있는 바, 이들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91)는 드럼(32)내에 세탁수를 급수한다(S3). 급수는 급수밸브(94)를 개방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설정된 수위까지 급수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포량의 감지 결과에 따라 설정 수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설정 수위를 포량에 비례하여 설정할 수 있고, 기 설정된 테이블이나 수식 등에 포량을 대입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91)는 감지된 포량이 속하는 포량 범위에 따라 순환 펌프 모터(92)의 소정의 초기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S4). 예를 들어, 포량은 제1 레벨부터 제9 레벨로 세분화될 수 있는데, 상기 포량 범위를 소량과 다량으로 양분할 경우, 감지된 포량이 제1 레벨부터 제4 레벨인 경우는 소량인 것으로, 제5 레벨부터 제9 레벨인 경우에는 다량인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각 레벨 별로 포량 범위가 구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초기 회전 속도는 포량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초기 회전 속도는 포량이 다량인 경우가 소량인 경우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특히, 포량이 소량인 경우에는, 포의 대부분이 드럼(32)의 전방부에서 운동하기 때문에, 노즐로부터 분사된 수류가 드럼(32)의 후면에 닿지 않아도 무방하다.
반대로, 포량이 다량인 경우에는 드럼(32)의 중심부까지 포가 들어 차기 때문에, 노즐로부터 분사된 수류가 드럼(32)의 중심보다 높이까지 이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 펌프 모터(92)를 통하여 세탁수가 순환되고, 또한 드럼(32) 내로 세탁수가 분사되는데, 이때 드럼 또한 세탁 모터(95)에 의해 회전 운동을 하면서 드럼 내에 위치한 세탁물을 유동시킨다. 여기서 세탁 모터(95)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의 조합에 의해 드럼이 구동되는데, 회전방향과 회전속도의 다양성에 의해 드럼의 여러 구동모션이 결정된다. 이러한 드럼구동모션의 종류에 의해 드럼 내부에서의 세탁물의 유동이 달라지게 된다.
세탁물은 드럼(32)의 회전 시 드럼(32)의 내주면에 구비된 리프터(32a)에 의해 상승하게 되므로, 드럼(32)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세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달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세탁물간의 마찰, 세탁물과 세탁수 간의 마찰, 그리고 세탁물의 낙하 충격 등의 기계력을 달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세탁을 위해 세탁물을 두드리거나 비비는 정도를 달리할 수 있고, 세탁물의 분산이나 뒤집힘 정도를 달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탁 모터(95)를 구동하기 위하여, 제어부(91)는 세탁 모터에 구동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때 구동 신호를 통해 세탁 모터(95)에 전류가 인가되는 온타임(ON time) 구간과 세탁 모터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오프타임(OFF time) 구간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러한 구동 신호를 통한 온타임 구간과 오프타임 구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면서 세탁 모터의 구동이 진행된다.
여기서 세탁 모터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 분에 실제로 세탁 모터가 구동한 시간 비를 실동률이라고 정의하는데, 실동률이 낮으면 세탁 모터의 회전이 잘 일어나지 않고 그에 따른 드럼의 회전 또한 많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실동률이 높으면 세탁 모터의 회전 비율이 상승하고, 그에 따라 드럼 또한 자주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타임 구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며, 이때 상기 오프타임 구간은 3~4초 가량이 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오프타임 구간의 주기와 구간의 길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오프타임 구간에서는, 세탁 모터(95)가 off 되며, 드럼의 회전 또한 중지되고, 수류의 회전 또한 순간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91)는 세탁 모터가 off상태인지 확인(S5)한 후, off일 때 드럼 내의 수위를 감지(S6)한다.
세탁 모터(95)의 회전은 간헐적으로 반복하여 실시되며, 따라서 세탁 모터의 on/off에 따라 드럼의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세탁 모터(95)가 on일 경우, 세탁 모터의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수위는 수위 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91)는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에 이르렀는지 판단한다(S7). 기 설정된 수위는 감지된 포량(S2)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량이 다량일수록 상기 설정 수위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재급수를 실시한다(S8). 설정 수위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판단한 제어부(91)는 급수 밸브(94)를 제어하여 노즐을 통해 드럼 내부로 물을 분사한다. 상기 노즐은 직수노즐(42)일 수 있다. 상기 재급수를 실시함으로써 세탁 초반에는 고농도의 세척수로 세탁하고, 점차적으로 재급수를 통하여 세탁수량을의 양을 늘려나갈 수 있다. 재급수량은 소정의 수량이 될 수 있고, 특정 수량값에 한정되지 않고 변동될 수 있다.
재급수가 이루어지면 재급수 여부를 감지한 제어부(91)에 의하여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 속도(rpm)가 상승한다(S9).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 속도가 상승함으로 인하여, 재급수에 따라 세탁수의 양량이 증가한 만큼 세탁수의 순환 및 노즐을 통한 세탁수의 분사강도 또한 상승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세탁 후반으로 갈수록 많은 양의 물로 강력 분사 과정을 수행함으로 인하여 포에 대한 기계력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재급수 시기 및 횟수 그리고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 속도 상승이 특정 시점 및 특정 횟수에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수위의 판단을 통하여 재급수 시기 및 횟수가 자동적으로 결정되고, 그에 따른 펌프 모터의 회전 속도 상승이 재급수 여부에 따라 유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럼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를 만족하지 못한 경우, 재급수는 여러 차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재급수가 한차례 일어나 그에 따른 순환 펌프 모터(92)의 펌프 회전 속도(rpm)가 상승한 후, 다시 오프타임 구간에서 드럼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다다르지 못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다시 재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른 펌프 모터의 회전 속도(rpm) 상승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수차례 반복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포량 감지 단계(S2)에서 감지된 포량에 따라, 재급수 실시에 따른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 속도의 상승시 그 상승폭은 달라진다. 여기서 감지된 포량이 많을수록, 상기 회전 속도 상승폭 또한 더 증가한다.
드럼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더 이상 재급수를 실시하지 않고, 재급수에 따른 순환 펌프 모터(92)의 rpm 상승도 이루어지지 않으며, 순환 펌프 모터 rpm은 유지된다(S10).
만약 드럼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를 곧바로 만족한 경우에는, 재급수를 할 필요 없이 세탁 행정이 수행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 속도(rpm)또한 원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재급수가 실시되어 설정 수위에 도달한 후 드럼 내의 수위가 포 적심 현상으로 인해 다시 설정 수위 미만으로 내려갈 경우, 상기 하강한 수위가 설정 수위와 기 설정된 값 이상 차이난다고 판단될 경우, 추가 급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재급수 과정을 거친 후 세탁 행정이 후반으로 접어들면, 순환 펌프 모터(92)는 최대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S11). 순환 펌프 모터(92)의 최대 회전 속도는, 순환 펌프 모터(92)가 최대로 회전할 수 있는 속도가 아닌,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속도의 상한으로서 기 설정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상기 최대 회전 속도값은, 회전 속도의 상한으로서 기 설정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설정값은 포량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포량에 따라 순환 펌프 모터(92)의 최대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된 포량이 다량일 경우 최대 회전 속도의 설정값은 더 높아질 수 있다.
제어부(91)는 순환 펌프 모터(92)가 최대 회전 속도에 도달한 이후에는, 드럼(32) 내의 수위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최대 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순환 펌프 모터(92)를 제어할 수 있다.
드럼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재급수를 하는 과정(S8)에서, 재급수를 통한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 속도(rpm)는 상승(S9)하지만, 그 상승 값이 상기 최대 회전 속도를 초과할 수는 없다.
이는 본 발명이 세탁 초중반의 고농도 세탁 행정에서, 세탁 후반부로 갈수록 재급수 및 펌프 rpm 상승을 통한 기계력 세탁 행정으로 변화하는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는바, 세탁 후반에는 강력한 세탁수의 분사를 통하여 세탁 행정을 수행함으로서 세척 효과를 극대화 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재급수가 수차례 실시될 경우,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 속도는 재급수 횟수에 의해 단계적으로 상승하여 최대 회전 속도에 가까워질 수 있다.
또한 재급수의 횟수에 관계없이 세탁 후반에는 기 설정된 최대 회전 속도로 펌프 모터가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재급수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고, 재급수가 여러 차례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세탁 후반의 펌프 모터의 회전 속도는 재급수와 상관없이 최대 회전 속도를 유지하면서 강력 분사 세탁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재급수에 따른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은 간헐적으로 반복하여 실시된다. 따라서 재급수에 따른 세탁수의 순환이 주기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재급수에 따라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속도가 상승할때, 다음 재급수가 발생하기 전까지의 소정의 재급수 구간에서는 상승된 회전 속도가 유지된다. 따라서 재급수가 수차례 실시될 경우, 그에 따른 순환 펌프 모터(92)의 회전 속도는 계단식으로 상승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세탁 행정을 수행하고 세탁이 종료되면(S12), 펌프 모터 또한 정지될 수 있다(S13).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 하여야 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601 : 개스킷 610b, 610e : 중간 노즐 610c, 610d : 하부 노즐 71 : 노즐 급수관
91 : 제어부 92 : 순환 펌프 모터
94 : 급수밸브 95 : 세탁 모터
96 : 배수밸브

Claims (19)

  1.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노즐로 압송하고 펌프모터를 포함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드럼 내로 급수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펌프모터를 소정의 초기 회전 속도로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로 급수하고, 급수된 세탁수를 상기 노즐을 통해 순환시키는 단계;
    상기 드럼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재급수를 적어도 한차례 이상 실시하는 단계;
    상기 재급수를 실시할 때마다 상기 펌프모터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상기 설정 수위에 도달한 후, 상기 펌프모터를 설정된 최대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모터의 최대 회전속도는 감지된 상기 포량이 많을수록 높게 설정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감지된 상기 포량이 많을수록, 상기 재급수 실시에 따른 상기 펌프모터의 회전 속도 상승폭은 증가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모터의 소정의 초기 회전 속도는 감지된 상기 포량이 많을 수록 높게 설정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위는 감지된 상기 포량이 많을수록 높게 설정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세탁모터가 off 되는 시간동안 상기 수위를 감지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급수가 실시되어 상기 설정 수위에 도달한 후 상기 수위가 소정 수위 이하로 내려갈 경우, 추가 급수를 실시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모터의 회전은 간헐적으로 반복하여 실시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급수에 의해 상승된 상기 펌프모터의 회전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수류의 도달 범위는 상기 펌프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드럼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상기 펌프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수류는 상기 드럼의 측면부를 거쳐 후면부에 도달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상기 터브가 내부에 배치되고 전면에 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입구와 상기 터브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결시키는 환형의 개스킷;
    상기 개스킷에 고정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노즐로 안내하는 노즐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급수관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압송수를 공급하는 순환관 연결포트; 및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는 이송 관로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관로는 원주의 상단 일부분이 절개된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 관로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로 압송된 물은, 상기 이송 관로를 통해 양방향으로 분지하여 안내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관로는 원주의 상단 일부분이 절개된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개스킷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하향으로 수류를 분사하는 한 쌍의 중간 노즐;
    상기 개스킷의 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상향으로 수류를 분사하는 한 쌍의 하부 노즐; 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중간 노즐과 상기 한 쌍의 하부 노즐은 상기 이송 관로에 좌, 우 양측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이송 관로로 유입된 물을 상기 한 쌍의 중간, 하부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는 상기 이송 관로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로 압송된 물은 상기 이송 관로를 통해 양방향으로 분지하여 안내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개스킷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노즐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노즐은, 상기 재급수 실시시 급수밸브를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드럼 내로 급수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180047041A 2018-04-24 2018-04-24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577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41A KR102577756B1 (ko) 2018-04-24 2018-04-24 세탁기의 제어방법
EP19170523.5A EP3569755A1 (en) 2018-04-24 2019-04-23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392,197 US11421366B2 (en) 2018-04-24 2019-04-23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9/004948 WO2019209024A1 (en) 2018-04-24 2019-04-24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9261205A AU2019261205B2 (en) 2018-04-24 2019-04-24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41A KR102577756B1 (ko) 2018-04-24 2018-04-24 세탁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392A KR20190123392A (ko) 2019-11-01
KR102577756B1 true KR102577756B1 (ko) 2023-09-11

Family

ID=6624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041A KR102577756B1 (ko) 2018-04-24 2018-04-24 세탁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21366B2 (ko)
EP (1) EP3569755A1 (ko)
KR (1) KR102577756B1 (ko)
AU (1) AU2019261205B2 (ko)
WO (1) WO2019209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26A (ko) * 2019-06-28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10040721A (ko) 2019-10-04 2021-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진단 시스템 및 방법
DE102020212699A1 (de) * 2020-10-08 2022-04-14 BSH Hausgeräte GmbH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bedampfungsfunktion und verfahren zum bedampfen von wäsche
CN113514382B (zh) * 2021-04-25 2024-04-05 西南石油大学 评价含膨胀粘土气藏岩石水相渗吸返排后水膜厚度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7139A (ja) * 2008-06-11 2009-12-24 Toshiba Corp 洗濯機
JP2013052127A (ja) * 2011-09-05 2013-03-21 Panasonic Corp 洗濯機
KR101708665B1 (ko) * 2015-10-02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255B1 (ko) 2003-05-02 2005-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수위감지방법
KR20050012526A (ko) * 2003-07-25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073505B1 (ko) * 2006-08-14 2011-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
JP2009006081A (ja) 2007-06-29 2009-01-15 Toshiba Corp 洗濯機
US8776297B2 (en) * 2009-10-13 2014-07-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US9045853B2 (en) * 2009-10-13 2015-06-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S2598833T3 (es) * 2011-04-14 2017-01-30 Lg Electronics Inc. Lavadora que comprende boquillas de pulverización
ES2446115B1 (es) 2012-09-06 2015-03-06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Junta anular de embocadura para una máquina lavadora de carga frontal con sistema de remojado de colada y máquina lavadora de carga frontal que comprende la junta
TR201719303T3 (tr) 2013-02-28 2019-05-21 Arcelik As Bi̇r çamaşir maki̇nesi̇nde kullanilan etki̇nli̇ği̇ i̇yi̇leşti̇ri̇lmi̇ş yikama ve durulama si̇stemi̇
KR102196182B1 (ko) 2014-10-27 202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127844B1 (ko) 2015-10-02 2020-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7139A (ja) * 2008-06-11 2009-12-24 Toshiba Corp 洗濯機
JP2013052127A (ja) * 2011-09-05 2013-03-21 Panasonic Corp 洗濯機
KR101708665B1 (ko) * 2015-10-02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9024A1 (en) 2019-10-31
EP3569755A1 (en) 2019-11-20
US11421366B2 (en) 2022-08-23
KR20190123392A (ko) 2019-11-01
AU2019261205B2 (en) 2022-07-07
US20190323161A1 (en) 2019-10-24
AU2019261205A1 (en)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1232B9 (en) Washing machine
KR102577756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16170726A1 (ja) 洗濯機
KR20230128245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6565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6471354B2 (ja) 洗濯機
KR102230689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513380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59587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85725B1 (ko) 세탁기
CN114041000A (zh) 洗衣机及洗衣机的控制方法
KR10264358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367613B1 (ko) 세탁기
KR20190001844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5958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57411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57412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80076561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57410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30092860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80076563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