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307B1 -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307B1
KR102577307B1 KR1020220137550A KR20220137550A KR102577307B1 KR 102577307 B1 KR102577307 B1 KR 102577307B1 KR 1020220137550 A KR1020220137550 A KR 1020220137550A KR 20220137550 A KR20220137550 A KR 20220137550A KR 102577307 B1 KR102577307 B1 KR 102577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bric
heating
lifting
h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흥모
Original Assignee
최흥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흥모 filed Critical 최흥모
Priority to KR102022013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3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serpentine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식 난방기를 제조하는 작업중에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상,하부 원단 사이에 열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으며, 열선을 돌출부재의 수용홈부 내에 배치시켜 지지대의 상승동작시 가열판의 열이 열선측에 전달되어 열선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대가 안착된 이동프레임의 전,후방 이동동작 및 승강수단을 이용한 지지대의 승강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스크롤 타입의 난방기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a scroll type heater}
본 발명은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롤식 난방기를 제조하는 작업중에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상,하부 원단 사이에 열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으며, 열선을 돌출부재의 수용홈부 내에 배치시켜 지지대의 상승동작시 가열판의 열이 열선측에 전달되어 열선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대가 안착된 이동프레임의 전,후방 이동동작 및 승강수단을 이용한 지지대의 승강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스크롤 타입의 난방기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원단에 부착해서 섬유 원단의 발열을 유도하는 카본 발열체는 크게 선상 발열체와 면상 발열체로 구분된다.
선상 발열체는 10 마이크론 직경의 가는 카본 섬유를 다발 형태로 묶어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카본 섬유의 직조 과정이 요구되는 면상 발열체에 비해서 제조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면상 발열체에 비해서 발열 면적이 넓지 않아서, 섬유 원단에서 선상 발열체가 위치한 부위에서만 발열이 이루어지는 국소 발열 문제, 즉 섬유 원단이 전체적으로 따듯하지 않으며, 선상 발열체가 있는 곳만 뜨겁고, 선상 발열체가 없는 곳은 차갑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면상발열체는 안전하고 소음이 없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아파트나 일반주택 등의 주거용 난방장치로 널리 쓰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무실이나 상점 등 상업용 건물의 난방장치, 작업장이나 창고, 막사 등의 산업용 난방장치와 각종 산업용 가열장치, 비닐 하우스와 농산물 건조시스템과 같은 농업용 설비, 도로나 주차장의 눈을 녹이거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각종 동결방지장치를 비롯하여 레저용, 방한용, 가전제품, 거울이나 유리의 김서림 방지장치, 건강보조용, 축산용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선상 발열체 및 면상 발열체의 발열원으로써,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니크롬 등의 발열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니크롬 등의 발열선으로 만든 면상발열체에서는 전기가 선을 통해 연속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발열선의 어느 한 부분이 단락될 경우, 전기가 통전되지 못해 발열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니크롬 등의 발열선을 이용하는 기존의 발열체에서는 발열선이 단락될 경우, 해당 부분에서 전기 저항이 크게 감소하여 심하게 발열되기 때문에 화재에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에, 발열선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발열선의 표면 또는 발열선들의 사이를 충분한 두께의 전기부도체에 의한 완전 절연을 하고 있으나, 이처럼 완전 절연을 행할 경우에는 열전도 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면상 발열체의 발열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선을 비닐이나 천등으로 코팅 처리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는 고온으로 올라가면 비닐이나 천이 타거나 형태가 변형되어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농후할 뿐만 아니라, 전자파를 차단할 수 없어 인체에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발열체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04836호 "선상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방법"(등록일자 : 2021.09.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부 원단; 상기 하부 원단층의 상면에 부착된 하부 부직포; 상기 하부 부직포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부직포; 상기 상부 부직포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원단; 상기 하부 부직포와 상부 부직포 사이에 샌드 위치된 다수의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선상 발열체; 및 상기 선상 발열체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전선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기존 발열체가 적용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4967호 "액자형 난방장치"(등록일자 : 2007.04.0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난방용 액자에 있어서, 면상발열체의 양면에 제 1에폭시층을 형성하고, 제 1에폭시층에 그림지를 부착시킨 다음 그림지 상면에 제 2에폭시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판형상의 면상발열 부재와; 면상발열 부재의 저면에 결합되는 단열재와; 단열재의 저면에 결합되고, 액자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보강판과; 면상발열 부재의 저면에서 제 1에폭시층을 박피하여 전극선과 남땜에 의해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과 면상발열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면상발열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기존 스크롤식 난방기를 제작하는 중에 서로 다른 이종 소재의 하부 원단과 상부 원단 사이에 지그재그형태의 열선을 배치시키고, 상,하부 원단을 가열 융착시켜 열선을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상기한 가열 융착 작업 중에 열선이 정위치를 벗어날 경우 열선이 변형되거나 녹아버리게 되어 화재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기존 열선을 정위치에 지그재그로 배치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04836호 "선상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방법"(등록일자 : 2021.09.15)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4967호 "액자형 난방장치"(등록일자 : 2007.04.02)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크롤식 난방기를 제조하는 작업중에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상,하부 원단 사이에 열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으며, 열선을 돌출부재의 수용홈부 내에 배치시켜 지지대의 상승동작시 가열판의 열이 열선측에 전달되어 열선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대가 안착된 이동프레임의 전,후방 이동동작 및 승강수단을 이용한 지지대의 승강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스크롤 타입의 난방기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프레임(200)에 승강가능하게 안착되는 지지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의 쇄기고정구에 하부 원단의 테두리 부위를 관통시켜 하부 원단을 지지대의 상측에 고정시키는 제1준비단계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쇄기고정구를 중심으로 열선을 좌,우측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상기 하부 원단의 상측에 배치시키는 제2준비단계와; 상기 열선과 하부 원단의 상측에 상부 원단을 덮어서 상기 상부 원단의 테두리 부위를 상기 가이드부재의 쇄기고정구에 관통시켜 상부 원단을 지지대 상측에 고정시키는 제3준비단계와;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프레임을 전방에 위치한 가열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단계와; 상기 가열판의 하측에 위치한 지지대를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상승동작시켜 상기 지지대 상에 지지되고 돌출부재에 안착된 상부 원단과 하부 원단을 상기 가열판의 하측에 밀착시켜 상기 상부 원단과 하부 원단을 열 융착시키는 융착단계와; 상기 열 융착이 완료된 상부 원단과 하부 원단이 지지된 지지대를 다시 이동프레임측에 안착되도록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하강시키는 하강단계; 및 상기 이동프레임 및 지지대를 후방측으로 다시 복귀시키고 열 융착된 상,하부 원단을 지지대로부터 분리시켜 외부로 인출하는 복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준비단계의 지지대는 상면에 지그재그 형태와 대응되는 패턴을 가지며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대해 단차진 돌출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돌출부재와 지지대 사이의 단차진 구조의 수용홈부에 열선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융착단계는 상기 지지대를 상기 가열판의 하측에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상,하부 원단의 테두리가 끼워지고 가이드부재의 가이드 몸체에 형성된 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가이드부재의 쇄기고정구가 상기 가열판과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수단을 상승 동작시키면,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되는 지지대의 상승 높이에 대응하여 탄성스프링이 수축되면서 하강동작되고, 상기 가열판의 접촉이 해제된 후에는 상기 쇄기고정구가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측으로 상승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측에서 승강동작되며 상승동작시 상기 지지대를 상기 가열판에 밀착시키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와 승강대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 및 상기 고정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승강대는 승강동작시 상기 지지대의 하부면과 면접촉되는 승강상판과, 상기 승강상판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에 의해 승강동작되는 승강하판, 및 상기 승강상판과 승강하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강동작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스프링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지지대에 나사체결되고 상부가 개구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외부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고 분해조립용 지그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상방향으로 쇄기고정구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쇄기고정구는 상기 수용부 내에 하부가 수용되며 상부가 상기 지지대의 고정공에 관통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단이 상기 상,하부 원단의 테두리가 관통되도록 쇄기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이동단계는 상기 이동프레임이 본체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연결체인으로 직선 방향으로 전환시켜 이동프레임을 전,후진 이동시키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부 원단 사이에 열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고 상,하부 원단을 열 융착시켜 스크롤식 난방기로 용이하게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하부 원단의 테두리 부위를 가이드부재의 쇄기고정구에 관통되도록 결합, 이동프레임의 전방측 이동, 지지대의 상승동작에 따른 가열판과의 접촉으로 인한 상,하부 원단의 열 융착, 지지대의 하강동작, 이동프레임의 후방측 이동으로 인한 원래 위치의 복귀 및 상,하부 원단이 열 융착된 스크롤식 난방기를 쇄기고정구로부터 분리시키는 각각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스크롤식 난방기를 연속적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준비단계에서 하부 원단의 나머지 일부 및 열선이 수용홈부 내에 배치됨에 따라, 상,하부 원단의 열 융착이 이루어지는 융착단계에서 열선이 녹아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융착단계에서 쇄기고정구의 상단이 가열판의 하측면에 접촉될 경우,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상기 쇄기고정구가 가이드 몸체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강동작됨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상승동작중에 가열판과 가이드부재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의 승강동작시 상,하부 원단의 테두리 부위를 가이드부재의 쇄기고정구로 지지대에 고정시킨 상태로 승강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되어 상,하부 원단의 융착 공정시 정확하게 가열 융착할 수 있게 되어 상,하부 원단의 비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 원단의 내부에 열선을 지그재그형태로 감아서 배치시킬 수 있는 지지대의 좌,우 테두리부위와 근접되는 위치에 각각 복수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열선 및 상,하부 원단의 정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강상판과 승강하판의 사이에 완충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지지대의 하강동작시 이동프레임에 안착될 때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타입 난방기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상,하부 원단과 열선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지지대 및 돌출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하부 원단이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고 열선이 안착되도록 배치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하부 원단과 열선이 안착된 상측에 상부 원단이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쇄기고정구가 가열판에 접촉될 경우 탄성스프링의 수축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승강수단에 의해 지지대가 상승동작되기 전,후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도 1과 도 4,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프레임(200)에 승강가능하게 안착되는 지지대(25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에 하부 원단(20)의 테두리 부위를 관통시켜 하부 원단(20)을 지지대(250)의 상측에 고정시키는 제1준비단계(S1)와;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를 중심으로 열선(30)을 좌,우측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상기 하부 원단(20)의 상측에 배치시키는 제2준비단계(S2)와; 상기 열선(30)과 하부 원단(20)의 상측에 상부 원단(10)을 덮어서 상기 상부 원단(10)의 테두리 부위를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에 관통시켜 상부 원단(10)을 지지대(250) 상측에 고정시키는 제3준비단계(S3)와; 상기 지지대(250) 및 상기 지지대(250)를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프레임(200)을 전방에 위치한 가열판(505)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단계(S4)와; 상기 가열판(505)의 하측에 위치한 지지대(250)를 승강수단(600)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상승동작시켜 상기 지지대(250) 상에 지지되고 돌출부재(300)에 안착된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을 상기 가열판(505)의 하측에 밀착시켜 상기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을 열 융착시키는 융착단계(S5)와; 상기 열 융착이 완료된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이 지지된 지지대(250)를 다시 이동프레임(200)측에 안착되도록 승강수단(600)을 이용하여 하강시키는 하강단계(S6); 및 상기 이동프레임(200) 및 지지대(250)를 후방측으로 다시 복귀시키고 열 융착된 상,하부 원단(10,20)을 지지대(250)로부터 분리시켜 외부로 인출하는 복귀단계(S7);를 포함하며, 상기 제2준비단계(S2)의 지지대(250)는 상면에 지그재그 형태와 대응되는 패턴을 가지며 상기 지지대(250)의 상면에 대해 단차진 돌출부재(300)를 부착하여 상기 돌출부재(300)와 지지대(250) 사이의 단차진 구조의 수용홈부(305)에 열선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융착단계(S5)는 상기 지지대(250)를 상기 가열판(505)의 하측에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상,하부 원단(10,20)의 테두리가 끼워지고 가이드부재(270)의 가이드 몸체(272)에 형성된 수용부(273) 내부에 수용된 탄성스프링(27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가 상기 가열판(505)과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수단(600)을 상승 동작시키면, 상기 승강수단(600)에 의해 상승되는 지지대(250)의 상승 높이에 대응하여 탄성스프링(274)이 수축되면서 하강동작되고, 상기 가열판(505)의 접촉이 해제된 후에는 상기 쇄기고정구(276)가 탄성스프링(274)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측으로 상승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준비단계(S1)는 상기 지지대(250)의 상측에 복수의 가이드부재(270)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상단부에 선단부가 쇄기 형태로 페이퍼진 쇄기고정구(276)가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원단(10,20)의 테두리 부위를 쇄기고정구(276)를 이용하여 지지대(250)의 상측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관통되도록 결합시키는 과정을 갖는다.
상기한 제조방법이 적용된 스크롤식 난방기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50)는 이동프레임(200)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250)의 상면에 지그재그 형태와 대응되는 패턴을 가지며 상기 지지대(250)의 상면에 대해 단차진 돌출부재(300)를 별도의 접착제로 부착하여서, 상기 제2준비단계(S2)에서 상기 열선(30)을 상기 돌출부재(300)와 지지대(250) 사이의 단차진 구조의 수용홈부(305) 내에 배치한다.
상기 돌출부재(300)와 단차된 구조의 수용홈부(305)는 상기 하부 원단(20)의 상측에 지그재그형태로 안착되는 열선(30)이 수용되며, 상기 융착단계(S5)에서 상기 가열판(505)의 열이 상기 열선(30)측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열선(30)의 회피공간이 되는 수용홈부(305)를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제2준비단계(S2)는 상기 열선(30)을 상기 지지대(250)의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에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수용홈부(305)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상기 제3준비단계(S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원단(10)을 상기 하부 원단(20) 및 열선(30)의 상측을 덮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에 상기 상부 원단(10)의 테두리 부위가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이동단계(S4)는 상기 지지대(250)와 상기 지지대(250)가 승강 가능하게 안착된 이동프레임(200)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단계(S4)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동모터(410)의 회전 구동력을 연결체인(420)으로 직선 방향으로 전환시켜 이동프레임(200)을 전,후진 이동시키도록 된 것이다.
상기 융착단계(S5)는 상기 지지대(250)를 상기 가열판(505)의 하측에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상,하부 원단(10,20)의 테두리가 끼워지고 가이드 몸체(272)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스프링(27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판(505)과의 접촉시 하강동작되고, 상기 가열판(505)의 접촉이 해제된 후에 다시 상측으로 상승동작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융착단계(S5)는 상기 가열판(505)의 하측에 배치되고 실린더로 승강동작되는 승강대(610)를 구비한 승강수단(600)에 의해 상기 상기 가열판(505)의 하측에 위치한 지지대(250)가 상,하로 승강동작되며, 상기 지지대(250)를 가열판(505)의 하측면에 밀착시키도록 상승 동작된다. 즉, 상기 융착단계(S5)는
상기 가열판(505)의 하측에 위치한 지지대(250)를 승강수단(600)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상승동작시켜 상기 지지대(250) 상에 지지되고 돌출부재(300)에 안착된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을 상기 가열판(505)의 하측에 밀착시켜 상기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을 열 융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은 상기 가열판(505)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융착되는 소재(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원단, 부직포 등)를 채택한다.
상기 가열판(50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전,후 이동 경로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0)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가열블록(500)의 하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수단(600)의 승강상판(612)에 의해 승강동작되는 지지대(250) 상의 상,하부 원단(10,20)을 열 융착시키도록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가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이동프레임(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상기 지지대(250)가 안착되도록 단턱진 테두리를 갖는 통공이 천공된 사각 프레임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좌,우 양측에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전,후 이동을 위해 서로 대칭되는 구조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전방 상부에 가열블록(500)이 설치된다.
상기 가열블록(5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면에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가열되는 가열판(505)이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250)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통공을 덮을 수 있도록 안착되며, 상기 승강수단(600)에 의해 상측에 위치한 가열판(505)측으로 상승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재(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50)의 상측에 일정한 패턴 형태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패턴은 열선(30)과 연결되는 전열컨트롤러(미도시)가 결합되는 부위를 고려하여 중간 폭의 테두리 부위에 여백의 공간부(310)가 마련된다.
상기 수용홈부(305)는 상기 돌출부재(300)들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으로서, 상기 돌출부재(300)와 지지대(250)의 상측면과의 단차로 인해 형성되며, 상기 열선(30)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70)는 도 2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50)에 나사체결되고 상부가 개구되는 수용부(273)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외부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보구의 통기공(271)이 형성되는 가이드 몸체(272)와, 상기 수용부(273) 내에 수용되며 상방향으로 쇄기고정구(276)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274), 및 상기 수용부(273) 내에 하부가 수용되며 상부가 상기 지지대(250)의 고정공에 관통되어 상기 지지대(25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단이 상기 상,하부 원단(10,20)의 테두리가 관통되도록 쇄기형태로 형성된 쇄기고정구(276)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몸체(272)에 형성된 수용부(273) 내부에 수용된 탄성스프링(274)에 의해 상기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의 테두리에 관통 결합되는 쇄기고정구(276)가 상승동작되고, 상기 쇄기고정구(276)의 상단부가 상기 가열판(505)과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수단(600)을 상승 동작시키면, 상기 승강수단(600)에 의해 상승되는 지지대(250)의 상승 높이에 대응하여 탄성스프링(274)이 수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몸체(272)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지지대(250)에 나사 체결되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쇄기고정구(276)는 상단이 쇄기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탄성스프링(274)의 상단이 수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몸체(272)의 통기공(271)은 서로 이격된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조립 및 분해를 위한 분해조립용 지그가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분해조립용 지그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재(270)를 지지대(250)로부터 분해하거나 조립할 때 사용된다.
상기 승강수단(6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250)의 하측에서 승강동작되며 상승동작시 상기 지지대(250)를 상기 가열판(505)에 밀착시키는 승강대(610)와, 상기 승강대(6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고정대(620)와, 상기 고정대(620)와 승강대(610)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610)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630), 및 상기 고정대(6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대(61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실린더(640)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640)는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대(6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로드부재의 신축동작시 상기 승강하판(614)을 승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승강대(61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판(505)이 위치한 본체(100)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전방 이동시 상기 지지대(250)를 이동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측으로 상승시켜 지지대(250)에 안착된 상,하부 원단(10,20)을 가열판(505)측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대(610)는 승강동작시 상기 지지대(250)의 하부면과 면접촉되는 승강상판(612)과, 상기 승강상판(612)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640)에 의해 승강동작되는 승강하판(614), 및 상기 승강상판(612)과 승강하판(614)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지대(250)의 하강동작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스프링(616)을 구비한다.
상기 완충스프링(616)은 상기 승강하판(614)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승강하판(614)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볼트(65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된다.
상기 승강상판(61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50)보다 작은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하판(614)의 크기보다 더 큰 넓이를 갖는다.
상기 이동수단(4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마련되고 이동모터(41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궤도회전되는 체인부재(420)와,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상기 체인부재(420)의 회전 구동력을 바퀴부재(440)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도록 치차 결합시켜 상기 이동프레임(200)을 전,후진시키는 치차부재(430), 및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하측에 구름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부재(440)로 구성된다.
상기 융착단계(S5)는 상기 지지대(250)의 상측면에 마련된 돌출부재(300)의 상측에 하부 원단(20)의 일부와 상부 원단(10)이 포개지도록 배치(안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열판(505)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상,하부 원단(10,20)의 접촉부위가 열 융착되며, 상기 수용홈부(305) 내에 배치되는 하부 원단(20)의 나머지 일부 및 열선(30)은 상기 가열판(505)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열판(505)으로부터 전달되는 열로부터 열선(30)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강단계(S6)는 열 융착이 완료된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이 지지된 지지대(250)를 다시 이동프레임(200)측에 안착되도록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승강수단(600)을 이용하여 지지대(250)를 하측의 이동프레임(200)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하강단계(S6)는 열 융착이 완료된 후에 상기 승강수단(600)의 실린더(640)를 이용하여 승강대(610)를 하강동작시켜 지지대(250)를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다시 안착시키도록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 완충스프링(616)은 상기 하강단계(S6)에서 상기 승강상판(612)의 하강동작시 상기 지지대(250)가 이동프레임(200)에 안착되는 중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충시켜 부품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강단계(S6)는 상기 지지대(250)의 하강동작시 상기 융착단계(S5)에서 하강동작된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가 탄성스프링(274)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다시 상측으로 상승동작되어 상기 열 융착된 상,하부 원단(10,20)의 테두리를 상기 쇄기고정구(276)가 관통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복귀단계(S7)는 상기 지지대(250)와 이동프레임(200)이 상기 본체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이동프레임(200)이 후방의 원 위치로 복귀된 후에 상기 열 융착된 상,하부 원단(10,20)을 상측으로 당겨서 지지대(250)의 가이드부재(270)로부터 분리시켜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귀단계(S7)는 상기 열 융착된 상,하부 원단(10,20)이 지지대(250)의 쇄기고정구(276)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프레임(200)의 후진 이동시 지지대(250)의 상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상,하부 원단(10,20)은 상기 융착단계(S5)에서 내부에 열선(30)이 내장되도록 열 융착되며, 상기 복귀단계(S7)에서 상기 이동프레임(200)이 원래 위치로 복귀된 후에 상기 상,하부 원단(10,20)을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로부터 이탈되도록 상측으로 들어 올려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은 상기 융착단계(S5)에서 상기 가열판(505)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융착되는 소재(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원단, 부직포 등)를 채택한다.
상기 가이드 몸체(272)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지지대(250)에 나사 체결되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쇄기고정구(276)는 상단이 쇄기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탄성스프링(274)의 상단이 수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몸체(272)의 통기공(271)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조립 및 분해를 위한 분해조립용 지그(미도시)가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분해조립용 지그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재(270)를 지지대(250)로부터 분해하거나 조립할 때 사용된다.
상기 승강수단(6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250)의 하측에서 승강동작되며 상승동작시 상기 지지대(250)를 상기 가열판(505)에 밀착시키는 승강대(610)와, 상기 승강대(6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고정대(620)와, 상기 고정대(620)와 승강대(610)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610)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630), 및 상기 고정대(620)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대(61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실린더(640)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640)는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대(6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로드부재의 신축동작시 상기 승강하판(614)을 승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승강대(610)는 상기 가열판(505)이 위치한 본체(100)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전방 이동시 상기 지지대(250)를 이동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측으로 상승시켜 지지대(250)에 안착된 상,하부 원단(10,20)을 가열판(505)측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승강상판(612)은 상기 지지대(250)보다 작은 크기의 넓이를 가지며, 상기 승강하판(614)의 크기보다 더 큰 넓이를 갖는다.
상기 이동수단(400)은 상기 본체(100)에 마련되고 이동모터(41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궤도회전되는 연결체인(420)와,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체인(420)의 회전 구동력을 바퀴부재(400)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도록 치차 결합시켜 상기 이동프레임(200)을 전,후진시키는 치차부재, 및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하측에 구름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부재(40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제1준비단계(S1)에서 하부 원단(20)을 지지대(250)의 상측에 돌출된 돌출부재(300) 상에 안착시키는 중에 하부 원단(20)의 테두리 부위가 지지대(250)의 상측으로 돌출된 쇄기고정구(276)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쇄기고정구(276)는 하부 원단(20)의 테두리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쇄기고정구(276)의 상단이 상기 하부 원단(2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어서, 상기 하부 원단(20)의 상측에 열선(30)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열선(30)이 상기 돌출부재(300)의 패턴들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부(305)의 내부로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때, 상기 열선(30)을 상기 하부 원단(20)의 상측으로 돌출된 쇄기고정구(276)를 따라 감아서 상기 수용홈부(305) 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한다.
이후에, 상기 상부 원단(10)은 상기 열선(30)이 안착된 하부 원단(2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동프레임(200)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50)의 상측에 하부 원단(20)-열선(30)-상부 원단(10)의 순서대로 포개지도록 배치된 후에, 상기 이동수단(400)에 의해 전방의 가열판(505)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프레임(200)은 상기 이동수단(400)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가열판(505)의 수직 하방측에 위치하게 될 경우 이동이 정지된다.
이후에, 상기 승강수단(600)은 실린더(640)의 로드부재가 신장동작되면서 승강대(610)를 상승동작시켜 상기 지지대(250)를 이동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로 상기 가열판(505)에 상기 지지대(250)의 상측에 안착된 상,하부 원단(10,20)을 가열판(505)에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가열판(505)에 밀착된 상,하부 원단(10,20)은 가열판(505)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열 융착되며, 상기 열선(30)이 융착된 상,하부 원단(10,20) 사이에 위치하도록 개재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재(300)는 상기 지지대(250)의 상측에 돌출되어 상기 상,하부 원단(10,20)의 열융착시 열선(30)측에 가열판(505)의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용홈부(305) 내에 배치된 열선(3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는 상기 승강대(610)의 상승동작에 의해 상기 가열판(505)에 접촉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74)이 수축되면서 쇄기고정구(276)의 하측부가 가이드몸체(272)의 수용부(273) 내에 수용되도록 하강동작되어 상기 가열판(505)과의 간섭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상,하부 원단(10,20)의 정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승강대(610)는 상기 실린더(640)의 로드부재가 신장되어 상기 승강하판(614)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됨에 따라 상기 승강하판(614)과 연결된 상기 승강상판(612)이 상기 지지대(250)의 하측면을 들어 올려서 상측의 가열판(505)측으로 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대(610)는 상기한 상,하부 원단(10,20)의 열 융착작업이 완료된 후에 로드부재가 수축동작되고, 상기 승강상판(612)에 안착된 지지대(250)가 하강동작되며, 상기 지지대(250)를 다시 이동프레임(200)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스프링(616)은 상기 승강상판(612)의 하강동작시 상기 지지대(250)가 이동프레임(200)에 안착되는 중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에, 상기 지지대(250)가 안착된 이동프레임(200)은 상기 이동수단(400)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250)가 원래 위치로 복귀동작됨에 따라 상,하부 원단(10,20)이 결합된 스크롤식 난방기를 상측으로 들어 올려서 쇄기고정구(276)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에도 앞서 설명한 순서대로 스크롤식 난방기를 연속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하부 원단(10,20) 사이에 열선(30)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고 상,하부 원단(10,20)을 열 융착시켜 스크롤식 난방기로 용이하게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하부 원단(10,20)의 테두리 부위를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에 관통되도록 결합, 이동프레임(200)의 전방측 이동, 지지대(250)의 상승동작에 따른 가열판(505)과의 접촉으로 인한 상,하부 원단(10,20)의 열 융착, 지지대(250)의 하강동작, 이동프레임(200)의 후방측 이동으로 인한 원래 위치의 복귀 및 상,하부 원단(10,20)이 열 융착된 스크롤식 난방기를 쇄기고정구(276)로부터 분리시키는 각각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스크롤식 난방기를 연속적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준비단계(S2)에서 하부 원단(20)의 나머지 일부 및 열선(30)이 수용홈부(305) 내에 배치됨에 따라, 상,하부 원단(10,20)의 열 융착이 이루어지는 융착단계(S5)에서 열선(30)이 녹아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융착단계(S5)에서 쇄기고정구(276)의 상단이 가열판(505)의 하측면에 접촉될 경우, 탄성스프링(27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상기 쇄기고정구(276)가 가이드 몸체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강동작됨에 따라 상기 지지대(250)의 상승동작중에 가열판(505)과 가이드부재(270)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250)의 승강동작시 상,하부 원단(10,20)의 테두리 부위를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로 지지대(250)에 고정시킨 상태로 승강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되어 상,하부 원단(10,20)의 융착 공정시 정확하게 가열 융착할 수 있게 되어 상,하부 원단(10,20)의 비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 원단(10,20)의 내부에 열선(30)을 지그재그형태로 감아서 배치시킬 수 있는 지지대(250)의 좌,우 테두리부위와 근접되는 위치에 각각 복수의 가이드부재(270)가 구비됨에 따라, 열선(30) 및 상,하부 원단(10,20)의 정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강상판(612)과 승강하판(614)의 사이에 완충스프링(616)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지지대(250)의 하강동작시 이동프레임(200)에 안착될 때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1은 본 발명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지지대(25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에 하부 원단(20)의 테두리 부위를 관통시켜 하부 원단(20)을 지지대(250)의 상측에 고정시키는 제1준비단계(S1)와;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를 중심으로 열선(30)을 좌,우측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상기 하부 원단(20)의 상측에 배치시키는 제2준비단계(S2)와; 상기 열선(30)과 하부 원단(20)의 상측에 상부 원단(10)을 덮어서 상기 상부 원단(10)의 테두리 부위를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에 관통시켜 상부 원단(10)을 지지대(250) 상측에 고정시키는 제3준비단계(S3)와; 상기 지지대(250)를 지지하는 이동프레임(200)을 전방에 위치한 가열판(505)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단계(S4)와; 상기 이동단계(S4)를 거쳐 상기 지지대(250)가 상기 가열판(505)의 하측에 위치한 후에, 상기 가열판(505)이 설치된 가열블록(500)을 하강동작시켜 상기 가열판(505)을 상기 지지대(250)의 돌출부재(300) 상측에 안착된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에 접촉시켜 상기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을 열 융착시키는 융착결합단계(S5-1)와; 상기 열 융착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가열블록(500)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승시키는 상승단계(S6-1); 및 상기 이동프레임(200) 및 지지대(250)를 후방측으로 다시 복귀시키고 열 융착된 상,하부 원단(10,20)을 지지대(250)로부터 분리시켜 외부로 인출하는 복귀단계(S7);를 포함하며, 상기 제2준비단계(S2)의 지지대(250)는 상면에 지그재그 형태와 대응되는 패턴을 가지며 상기 지지대(250)의 상면에 대해 단차진 돌출부재(300)를 부착하여 상기 돌출부재(300)와 지지대(250) 사이의 단차진 구조의 수용홈부(305)에 열선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융착결합단계(S5-1)는 상기 가열판(505)을 상기 지지대(250)의 상측에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상,하부 원단(10,20)의 테두리가 끼워지고 가이드 몸체(272)에 형성된 수용부(273) 내부에 수용된 탄성스프링(27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가 상기 가열판(505)과 접촉된 상태에서 가열블록(500)을 하강 동작시키면, 상기 가열블록(500)의 하강 높이에 대응하여 탄성스프링(274)이 수축되면서 하강동작되고, 상기 가열판(505)의 접촉이 해제된 후에는 상기 쇄기고정구(276)가 탄성스프링(274)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측으로 상승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의 제1,2,3준비단계(S1,S2,S3)와 이동단계(S4) 및 복귀단계(S7)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단계 부호를 기재하기로 한다.
상기 융착결합단계(S5-1)는 앞서의 융착단계(S5)와 달리, 지지대(250)가 상승동작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면에 가열판(505)이 배치된 가열블록(500)이 하강동작되어 상기 가열판(505)을 돌출부재(300)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지지되는 상부 원단(10)에 접촉시켜 가열판(505)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재(300)의 상측에 안착된 상,하부 원단(10,20)을 열 융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상승단계(S6-1)는 상기한 상,하부 원단(10,20)의 열 융착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가열블록(500)을 다시 원래 높이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승동작시킨다.
상기 가열블록(500)의 승강동작은 상기 가열블록(500)의 양측단이 좌,우 양측에 이격되고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설치된 지주가이드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승강동작되며, 모터와 체인연결방식 또는 실린더 방식으로 가열블록(500)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와는 달리, 가열판(505)을 상,하 승강동작 방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가열판(505)의 하강동작시 돌출부재(300)에 안착된 상,하부 원단(10,20)을 열 융착시킬 수 있으므로, 돌출부재(300)에 안착된 상,하부 원단(10,20) 만을 열 융착시키고 수용홈부(305) 내에 배치된 열선(30)의 열 변형 및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상부 원단 20 : 하부 원단
30 : 열선 100 : 본체
200 : 이동프레임 250 : 지지대
270 : 가이드부재 271 : 통기공
272 : 가이드 몸체 274 : 탄성스프링
276 : 쇄기고정구 300 : 돌출부재
305 : 수용홈부 310 : 공간부
400 : 이동수단 410 : 이동모터
420 : 체인부재 430 : 치차부재
440 : 바퀴부재 500 : 가열블록
505 : 가열판 600 : 승강수단
610 : 승강대 612 : 승강상판
614 : 승강하판 616 : 완충스프링
620 : 고정대 630 : 가이드봉
640 : 실린더 650 : 결합볼트
S1 : 제1준비단계 S2 : 제2준비단계
S3 : 제3준비단계 S4 : 이동단계
S5 : 융착단계 S6 : 하강단계
S7 : 복귀단계

Claims (6)

  1. 이동프레임(200)에 승강가능하게 안착되는 지지대(25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에 하부 원단(20)의 테두리 부위를 관통시켜 하부 원단(20)을 지지대(250)의 상측에 고정시키는 제1준비단계(S1)와;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를 중심으로 열선(30)을 좌,우측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상기 하부 원단(20)의 상측에 배치시키는 제2준비단계(S2)와;
    상기 열선(30)과 하부 원단(20)의 상측에 상부 원단(10)을 덮어서 상기 상부 원단(10)의 테두리 부위를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에 관통시켜 상부 원단(10)을 지지대(250) 상측에 고정시키는 제3준비단계(S3)와;
    상기 지지대(250) 및 상기 지지대(250)를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프레임(200)을 전방에 위치한 가열판(505)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단계(S4)와;
    상기 가열판(505)의 하측에 위치한 지지대(250)를 승강수단(600)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상승동작시켜 상기 지지대(250) 상에 지지되고 돌출부재(300)에 안착된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을 상기 가열판(505)의 하측에 밀착시켜 상기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을 열 융착시키는 융착단계(S5)와;
    상기 열 융착이 완료된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이 지지된 지지대(250)를 다시 이동프레임(200)측에 안착되도록 승강수단(600)을 이용하여 하강시키는 하강단계(S6); 및
    상기 이동프레임(200) 및 지지대(250)를 후방측으로 다시 복귀시키고 열 융착된 상,하부 원단(10,20)을 지지대(250)로부터 분리시켜 외부로 인출하는 복귀단계(S7);를 포함하며,
    상기 제2준비단계(S2)의 지지대(250)는 상면에 지그재그 형태와 대응되는 패턴을 가지며 상기 지지대(250)의 상면에 대해 단차진 돌출부재(300)를 부착하여 상기 돌출부재(300)와 지지대(250) 사이의 단차진 구조의 수용홈부(305)에 열선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융착단계(S5)는 상기 지지대(250)를 상기 가열판(505)의 하측에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상,하부 원단(10,20)의 테두리가 끼워지고 가이드부재(270)의 가이드 몸체(272)에 형성된 수용부(273) 내부에 수용된 탄성스프링(27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가 상기 가열판(505)과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수단(600)을 상승 동작시키면, 상기 승강수단(600)에 의해 상승되는 지지대(250)의 상승 높이에 대응하여 탄성스프링(274)이 수축되면서 하강동작되고, 상기 가열판(505)의 접촉이 해제된 후에는 상기 쇄기고정구(276)가 탄성스프링(274)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측으로 상승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600)은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250)의 하측에서 승강동작되며 상승동작시 상기 지지대(250)를 상기 가열판(505)에 밀착시키는 승강대(610)와,
    상기 승강대(6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고정대(620)와,
    상기 고정대(620)와 승강대(610)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610)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630), 및
    상기 고정대(6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대(61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실린더(6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타입 난방기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610)는 승강동작시 상기 지지대(250)의 하부면과 면접촉되는 승강상판(612)과,
    상기 승강상판(612)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640)에 의해 승강동작되는 승강하판(614), 및
    상기 승강상판(612)과 승강하판(614)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지대(250)의 하강동작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스프링(61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타입 난방기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몸체(272)는 상기 지지대(250)에 나사체결되고 상부가 개구되는 수용부(273)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외부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고 분해조립용 지그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통기공(271)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74)은 상기 수용부(273) 내에 수용되어 상방향으로 쇄기고정구(276)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쇄기고정구(276)는 상기 수용부(273) 내에 하부가 수용되며 상부가 상기 지지대(250)의 고정공에 관통되어 상기 지지대(25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단이 상기 상,하부 원단(10,20)의 테두리가 관통되도록 쇄기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타입 난방기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S4)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이 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동모터(410)의 회전 구동력을 연결체인(420)으로 직선 방향으로 전환시켜 이동프레임(200)을 전,후진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
  6. 지지대(25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에 하부 원단(20)의 테두리 부위를 관통시켜 하부 원단(20)을 지지대(250)의 상측에 고정시키는 제1준비단계(S1)와;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를 중심으로 열선(30)을 좌,우측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상기 하부 원단(20)의 상측에 배치시키는 제2준비단계(S2)와;
    상기 열선(30)과 하부 원단(20)의 상측에 상부 원단(10)을 덮어서 상기 상부 원단(10)의 테두리 부위를 상기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에 관통시켜 상부 원단(10)을 지지대(250) 상측에 고정시키는 제3준비단계(S3)와;
    상기 지지대(250)를 지지하는 이동프레임(200)을 전방에 위치한 가열판(505)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단계(S4)와;
    상기 이동단계(S4)를 거쳐 상기 지지대(250)가 상기 가열판(505)의 하측에 위치한 후에, 상기 가열판(505)이 설치된 가열블록(500)을 하강동작시켜 상기 가열판(505)을 상기 지지대(250)의 돌출부재(300) 상측에 안착된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에 접촉시켜 상기 상부 원단(10)과 하부 원단(20)을 열 융착시키는 융착결합단계(S5-1)와;
    상기 열 융착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가열블록(500)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승시키는 상승단계(S6-1); 및
    상기 이동프레임(200) 및 지지대(250)를 후방측으로 다시 복귀시키고 열 융착된 상,하부 원단(10,20)을 지지대(250)로부터 분리시켜 외부로 인출하는 복귀단계(S7);를 포함하며,
    상기 제2준비단계(S2)의 지지대(250)는 상면에 지그재그 형태와 대응되는 패턴을 가지며 상기 지지대(250)의 상면에 대해 단차진 돌출부재(300)를 부착하여 상기 돌출부재(300)와 지지대(250) 사이의 단차진 구조의 수용홈부(305)에 열선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융착결합단계(S5-1)는 상기 가열판(505)을 상기 지지대(250)의 상측에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상,하부 원단(10,20)의 테두리가 끼워지고 가이드 몸체(272)에 형성된 수용부(273) 내부에 수용된 탄성스프링(27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가이드부재(270)의 쇄기고정구(276)가 상기 가열판(505)과 접촉된 상태에서 가열블록(500)을 하강 동작시키면, 상기 가열블록(500)의 하강 높이에 대응하여 탄성스프링(274)이 수축되면서 하강동작되고, 상기 가열판(505)의 접촉이 해제된 후에는 상기 쇄기고정구(276)가 탄성스프링(274)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측으로 상승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


KR1020220137550A 2022-10-24 2022-10-24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 KR102577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550A KR102577307B1 (ko) 2022-10-24 2022-10-24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550A KR102577307B1 (ko) 2022-10-24 2022-10-24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307B1 true KR102577307B1 (ko) 2023-09-12

Family

ID=8801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550A KR102577307B1 (ko) 2022-10-24 2022-10-24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3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967B1 (ko) 2005-03-09 2007-04-24 앤에이오에스 주식회사 액자형 난방장치
KR101095495B1 (ko) * 2010-01-07 2011-12-19 윤영기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장판, 그 제조방법
KR101481063B1 (ko) * 2014-02-27 2015-01-13 박태근 온수매트용 패드의 온수배관홈 형성방법
KR20180008150A (ko) * 2016-07-15 2018-01-24 김용이 전열매트용 발열부재 제조장치
KR102096585B1 (ko) * 2019-07-30 2020-04-02 (주)화인 통기성 발열 쿠션 제조 방법
KR102304836B1 (ko) 2017-11-15 2021-09-24 이창민 선상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967B1 (ko) 2005-03-09 2007-04-24 앤에이오에스 주식회사 액자형 난방장치
KR101095495B1 (ko) * 2010-01-07 2011-12-19 윤영기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장판, 그 제조방법
KR101481063B1 (ko) * 2014-02-27 2015-01-13 박태근 온수매트용 패드의 온수배관홈 형성방법
KR20180008150A (ko) * 2016-07-15 2018-01-24 김용이 전열매트용 발열부재 제조장치
KR102304836B1 (ko) 2017-11-15 2021-09-24 이창민 선상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6585B1 (ko) * 2019-07-30 2020-04-02 (주)화인 통기성 발열 쿠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127Y1 (ko) 발열선 고정이 용이한 전기매트
KR102577307B1 (ko) 스크롤식 난방기의 제조방법
KR101678626B1 (ko) 원단 접착장치
KR102555422B1 (ko) 스크롤 타입 난방기의 제조장치
JP3142453U (ja) 電気発熱ボード
KR101485587B1 (ko) 조립식 온열매트
JP3901353B2 (ja) 室温調節装置
KR101160569B1 (ko) 전기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98961B1 (ko) 전기 매트 제조 방법과 그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매트
KR102333793B1 (ko) 원단 접착용 열 프레스 장치
JP6759299B2 (ja) 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219276721U (zh) 一种热熔压接机构
JP5127381B2 (ja) ヒータ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211154741U (zh) 一种碳纤维远红外线光波传热的智能家居疗养滋补床垫
CN111956000B (zh) 一种榻榻米用自动控温功能便于拼装的石墨烯发热垫
CN206216168U (zh) 固定装置的焊接装置
KR101244215B1 (ko) 배터리 커버 열융착 조립 장치
JP6033660B2 (ja) 面状採暖具
CN217581010U (zh) 一种避免热量流失的地暖模块
KR102232232B1 (ko) 시트 융착 및 천공장치
KR102454253B1 (ko) 온열 매트용 발열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281783B1 (ko) 스마트 발열 커텐
CN107680847B (zh) 遥控装置及其生产方法和具有该遥控装置的家用电器
JP2549371B2 (ja) シ−トの張付装置
KR200488751Y1 (ko) 접이식 전기 장판 및 로봇 팔을 이용한 접이식 전기 장판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