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944B1 - 고무 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 매트 - Google Patents

고무 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944B1
KR102576944B1 KR1020210068814A KR20210068814A KR102576944B1 KR 102576944 B1 KR102576944 B1 KR 102576944B1 KR 1020210068814 A KR1020210068814 A KR 1020210068814A KR 20210068814 A KR20210068814 A KR 20210068814A KR 102576944 B1 KR102576944 B1 KR 102576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at
weight
foaming
rubb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610A (ko
Inventor
류광지
이준성
이영래
심윤수
이상진
유해나
김명우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양
케이와이에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양, 케이와이에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양
Priority to KR1020210068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94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4Hydrazines; Hydrazides; Semicarbazides; Semicarbazones; Hydrazone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from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balloons, e.g. syntactic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4Starch derivatives, e.g. crosslinked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20Ternary blends of expanding agents
    • C08J2203/204Ternary blends of expanding agents of chemical foaming agent and physical blow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1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제조된 친환경 고무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열팽창성 미소구를 포함하는 물리적 발포제 및 발포를 통해 방출되는 이산화항 등 유독 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발포 첨가제를 포함하는 발포 혼합물을 사용하여 친환경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제조된 친환경 고무 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무 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 매트{Rubber mat composi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ubber mat using the same, and a rubber mat manufactured through this method}
본 발명은 고무 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제조된 친환경 고무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열팽창성 미소구를 포함하는 물리적 발포제 및 발포를 통해 방출되는 이산화항 등 유독 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발포 첨가제를 포함하는 발포 혼합물을 사용하여 친환경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제조된 친환경 고무 매트에 관한 것이다.
발포제는 합성수지와 배합하여 다공성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첨가제로서, 발포 성형에 대해 기포를 형성하기 위한 가스를 공급하는 물질이다. 이들 물질은 상성에 따라, 유기 발포제와 무기 발포제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상변화에 따라 화학발포제와 물리발포제로 구분할 수 있다.
화학발포제 중 아조디카본아마이드는 열분해 가스 발생량이 많아 발포 배율이 높은 발포체를 얻을 수 있으며, 분해촉진제 등으로 분해 온도 조절이 용이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아조디카본아마이드가 열 분해되면 미량의 포름아미드와 암모니아 등의 유해 성분이 발생하기에 최근 환경과 관련하여 아조디카본아마이드는 국제적으로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종래에 아조디카본아마이드를 적용한 발포 매트의 경우 암모니아 발생량이 500ppm 이상 검출되었으며, 포름아마이드의 경우 1000ppm 이상 검출되었다.
상기와 같은 유해 가스 발생량을 억제하기 위해 발포 부분을 필름으로 코팅하여 방출을 방지하거나, 소취제를 통해 흡착하는 시도가 이뤄졌으나, 종래의 기술은 유해물질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없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35352호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소재 단일화를 통해 재활용 가능한 차량용 매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포제로 아조디카본아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발포 공정 중에 암모니아 및 포름아마이드 가스가 대량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35352호
본 발명에 의하면, 발포 공정에서 유해 성분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고무 매트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00℃ 미만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발포시킬 수 있는 고무 매트 조성물을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 수지; 발포제; 및 첨가제; 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제는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물리적 발포제 및 발포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매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무 수지는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히드라지드계 발포제는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p-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 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물리적 발포제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외피; 및 상기 외피에 내포되는 발포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팽창성 미소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AN), 메타아크릴로나이트릴(Methacrylonitrile, MAN),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 메타아크릴릭산(Methacrylicacid, MAA), 아크릴릭산(Acrylic acid, A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 화합물은 하이드로카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물리적 발포제는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중량부 내지 30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포 첨가제는 알루미늄(aluminum) 및 티타늄(Titanui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포 첨가제는 알루미늄 트리에톡사이드(Aluminum triethoxide), 알루미늄 트리이소프로폭사이드(Aluminum triisopropoxide), 알루미늄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디이소프로폭사이드(Aluminum ethylacetoacetate diisopropoxide), 알루미늄 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Aluminum tris-(ethylacetoacetate)), 알루미늄 모노-아세틸아세토네이트 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Aluminum mono-acetylacetonate bis-(ethylacetoacetate)), 알루미늄 알킬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이소프로폭사이드(Aluminum alkylacetylacetonate diisopropoxide), 티타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Titanuim acetylacetonate), 티타늄 테트라-아세틸아세토네이트(Titanium tetra-acetylacetonate), 티타늄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Titanium Ethyl Acetoacetate), 테트라-N-부틸 티타네이트(Tetra-N-Butyl Titanate), 테트라-아이소프로필 티타늄(Tetra-Isopropyl Titanate), 티타늄 포스페이트 복합체(Titanium phosphate complex), 티타늄 옥틸렌글리콜레이트(Titanium octyleneglycol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포 첨가제는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중량부 내지 1.5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오일, 충진제, 산화아연, 노화방지제, 왁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오일, 카본블랙, 산화아연, 클레이, 탈크, 노화방지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오일 25 내지 35중량%, 카본블랙 10 내지 20중량%, 산화아연 2 내지 6중량%, 클레이 20 내지 25중량%, 탈크 20 내지 25중량%, 노화방지제 1 내지 3중량% 및 왁스 1 내지 3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상기 고무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고무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중량부 내지 115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고무 매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료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압출시트를 발포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체를 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매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고무 수지 및 오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1차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카본블랙, 산화아연, 클레이, 탈크, 노화방지제, 왁스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원료를 제조하는 2차 혼합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압출기는, 싱글 압출기 또는 트윈 압출기이며, 압출온도는 90 내지 140 ℃로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 공정에서 유해 성분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고무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강도가 우수한 고무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50℃ 미만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발포시킬 수 있는 고무 매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고무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고무 매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친환경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제조된 친환경 고무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고무 매트 조성물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겠다.
고무 매트 조성물
본 발명의 고무 매트 조성물은 고무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고무 수지,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물리적 발포제 및 발포 첨가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고무 매트 조성물은 고무 수지 및 상기 고무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발포제 20 내지 35 중량부 및 첨가제 100 중량부 내지 115 중량부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별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고무 수지
본 발명의 고무 수지는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무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고무 수지는 합성 고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합성 고무 중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한다.
발포제
본 발명의 발포 혼합물은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물리적 발포제 및 발포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히드라지드계 발포제는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p-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 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를 포함한다.
상기 히드라지드계 발포제는 분해되는 과정에서 암모니아 가스와 포름아마이드를 방출하지 않는 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물리적 발포제는 바람직하게 열팽창성 미소구를 포함하는데, 상기 열팽창성 미소구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외피 및 상기 외피에 내포되는 발포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AN), 메타아크릴로나이트릴(Methacrylonitrile, MAN),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 메타아크릴릭산(Methacrylicacid, MAA), 아크릴릭산(Acrylic acid, A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발포 화합물은 하이드로카본을 포함한다.
상기 물리적 발포제는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리적 발포제는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발포 첨가제는 알루미늄(Aluminum) 및 티타늄(Titanui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발포 첨가제는 발포제 조성물에 포함된 히드라지드계 발포제가 발포하면서 방출하는 이산화황(SO2)을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발포 첨가제는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트리에톡사이드(Aluminum triethoxide), 알루미늄 트리이소프로폭사이드(Aluminum triisopropoxide), 알루미늄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디이소프로폭사이드(Aluminum ethylacetoacetate diisopropoxide), 알루미늄 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Aluminum tris-(ethylacetoacetate)), 알루미늄 모노-아세틸아세토네이트 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Aluminum mono-acetylacetonate bis-(ethylacetoacetate)), 알루미늄 알킬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이소프로폭사이드(Aluminum alkylacetylacetonate diisopropoxide), 티타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Titanuim acetylacetonate), 티타늄 테트라-아세틸아세토네이트(Titanium tetra-acetylacetonate), 티타늄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Titanium Ethyl Acetoacetate), 테트라-N-부틸 티타네이트(Tetra-N-Butyl Titanate), 테트라-아이소프로필 티타늄(Tetra-Isopropyl Titanate), 티타늄 포스페이트 복합체(Titanium phosphate complex), 티타늄 옥틸렌글리콜레이트(Titanium octyleneglycol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첨가제는 티타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Titanuim acetylacetonate), 티타늄 테트라-아세틸아세토네이트(Titanium tetra-acetylacetonate), 티타늄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Titanium Ethyl Acetoacetate), 테트라-N-부틸 티타네이트(Tetra-N-Butyl Titanate), 테트라-아이소프로필 티타늄(Tetra-Isopropyl Titanate), 티타늄 포스페이트 복합체(Titanium phosphate complex), 티타늄 옥틸렌글리콜레이트(Titanium octyleneglycol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발포 첨가제는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8 중량부 내지 1.2 중량부 포함된다. 이때 발포 첨가제가 0.5 중량부 미만이면, 이산화황 제거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할 위험이 있고, 1.5 중량부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발포제 함량이 줄어들어 발포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고무 매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오일, 충진제, 산화아연, 노화방지제, 왁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나프텐계 오일, 방향족계 오일 및 파라핀계 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충진제는 카본블랙, 활석(talc),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및 점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오일, 카본블랙, 산화아연, 클레이, 탈크, 노화방지제 및 왁스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오일 25 내지 35중량%, 카본블랙 10 내지 20중량%, 산화아연 2 내지 6중량%, 클레이 20 내지 25중량%, 탈크 20 내지 25중량%, 노화방지제 1 내지 3중량% 및 왁스 1 내지 3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무 매트 제조방법
본 발명의 친환경 고무 매트 제조방법은 상기의 고무 매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료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압출시트를 발포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체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각 단계별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준비 단계
본 발명의 준비 단계는 발포 및 성형의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로, 보다 구체적으로 고무 수지 및 오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1차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카본블랙, 산화아연, 클레이, 탈크, 노화방지제, 왁스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원료를 제조하는 2차 혼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혼합 단계에서의 고무 수지 및 오일의 혼합은 바람직하게 45 내지 60 ℃에서 10 분 내지 20 분간 진행될 수 있다.
상기 2차 혼합 단계에서의 혼합물 및 각종 첨가제의 혼합은 45 내지 55 ℃에서 10 분 내지 20 분간 진행될 수 있다.
압출시트 제조 단계
준비된 원료를 성형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성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진행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압출 성형 및 사출 성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압출 성형은 원료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압출하는 방법으로 성형이 진행되는데, 상기 압출기는 싱글 압출기 또는 트윈 압출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출은 90 내지 140 ℃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출 성형은 원료를 용융하고 금형에 주입한 뒤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성형이 진행될 수 있다.
발포체 형성 단계
발포제를 발포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키기 위해 시트를 일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으며, 이때 필요에 따라 전자선 등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가교를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발포제를 140 내지 2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발포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40 내지 160 ℃의 온도로 1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여 발포시킬 수 있다.
숙성시키는 단계
발포된 발포체 성형물을 숙성시켜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 발포 후 1 내지 14 일(day) 동안 숙성이 진행될 수 있다.
친환경 고무 매트
상기 고무 매트 제조방법에 의해 단일층의 친환경 고무 매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매트는 둘 이상을 적층시켜 다층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고무 매트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퍼즐형, 롤형, 폴더형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친환경 고무 매트는 인장강도가 4.5kgf/cm2 이상이며, 암모니아 및 포름아마이드가 미검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Claims (18)

  1. 고무 수지;
    발포제; 및
    첨가제; 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제는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물리적 발포제 및 발포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 첨가제는 알루미늄 트리에톡사이드(Aluminum triethoxide), 알루미늄 트리이소프로폭사이드(Aluminum triisopropoxide), 알루미늄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디이소프로폭사이드(Aluminum ethylacetoacetate diisopropoxide), 알루미늄 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Aluminum tris-(ethylacetoacetate)), 알루미늄 모노-아세틸아세토네이트 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Aluminum mono-acetylacetonate bis-(ethylacetoacetate)), 알루미늄 알킬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이소프로폭사이드(Aluminum alkylacetylacetonate diisopropox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매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수지는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는 것인 고무 매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라지드계 발포제는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p-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 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고무 매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발포제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외피; 및 상기 외피에 내포되는 발포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팽창성 미소구를 포함하는 것인 고무 매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AN), 메타아크릴로나이트릴(Methacrylonitrile, MAN),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 메타아크릴릭산(Methacrylicacid, MAA), 아크릴릭산(Acrylic acid, A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 화합물은 하이드로카본을 포함하는 것인 고무 매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발포제는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중량부 내지 30중량부 포함되는 것인 고무 매트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첨가제는 히드라지드계 발포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중량부 내지 1.5중량부 포함되는 것인 고무 매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오일, 충진제, 산화아연, 노화방지제, 왁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고무 매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오일, 카본블랙, 산화아연, 클레이, 탈크, 노화방지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것인 고무 매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오일 25 내지 35중량%, 카본블랙 10 내지 20중량%, 산화아연 2 내지 6중량%, 클레이 20 내지 25중량%, 탈크 20 내지 25중량%, 노화방지제 1 내지 3중량% 및 왁스 1 내지 3중량% 포함하는 것인 고무 매트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상기 고무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 포함되는 것인 고무 매트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고무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중량부 내지 115중량부 포함되는 것인 고무 매트 조성물.
  15.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고무 매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료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압출시트를 발포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체를 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매트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고무 수지 및 오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1차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카본블랙, 산화아연, 클레이, 탈크, 노화방지제, 왁스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원료를 제조하는 2차 혼합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고무 매트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는, 싱글 압출기 또는 트윈 압출기이며, 압출온도는 90 내지 140 ℃로 유지되는 것인 고무 매트 제조방법.
  18. 제15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매트.
KR1020210068814A 2021-05-28 2021-05-28 고무 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 매트 KR102576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814A KR102576944B1 (ko) 2021-05-28 2021-05-28 고무 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814A KR102576944B1 (ko) 2021-05-28 2021-05-28 고무 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10A KR20220161610A (ko) 2022-12-07
KR102576944B1 true KR102576944B1 (ko) 2023-09-13

Family

ID=8444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814A KR102576944B1 (ko) 2021-05-28 2021-05-28 고무 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9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8838A1 (en) * 2010-10-07 2012-07-12 Lanxess Elastomers B.V. Foamable rubber composition
KR101300289B1 (ko) * 2011-11-30 2013-08-2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적층형 고무발포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25523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의 발포 방법
KR101941430B1 (ko) 2016-05-31 2019-04-12 진양화학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소재 단일화를 통해 재활용 가능한 차량용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077B1 (ko) * 2018-09-20 2020-09-28 주식회사 금양 수축률이 향상된 혼합발포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10A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2974A (en) Expandabl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extruded thermoplastic foams
KR101991144B1 (ko) 열경화성 제제
KR20170017611A (ko) 발포성 마스터배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포성과 무도장 특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US20030050352A1 (en) Foamed Polymer System employing blowing agent performance enhancer
JPH0238100B2 (ko)
BR112018010985B1 (pt) Espuma expansível em calor para cura de baixa temperatura
JP2015091920A (ja) 多孔質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67235A (ja) クロロプレンゴム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7007260B2 (ja) 熱膨張性発泡材
KR102576944B1 (ko) 고무 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고무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 매트
JP3374356B2 (ja) 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発泡成形体
EP0646622B1 (en) Plastic foam material composed of thermoplastic resin and silane-modified thermoplastic resin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11414529B2 (en) Polystyrene compositions for foam extrusion
KR101975285B1 (ko) 고강도 및 고신장률의 고무 발포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무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0711609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조성물
KR102599296B1 (ko) 발포체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매트
HU199528B (en) Process for producing foamed, crosslinked polyethylene
CN110997773A (zh) 当在薄层中使用时具有改进的膨胀行为的新型泡沫
JP5650920B2 (ja) 発泡性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発泡体
KR101678616B1 (ko)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KR101780557B1 (ko) 재활용 pvc를 이용한 냉,난방용 배관
JPH07330935A (ja) 結晶性ポリオレフィン発泡体
KR102355601B1 (ko) 친환경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발포체
KR102315752B1 (ko) 난연성이 우수한 친환경 자동차 시트용 발포체 조성물
JP2001131320A (ja) ゴム系発泡材料及びその発泡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