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087B1 -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087B1
KR102576087B1 KR1020220155012A KR20220155012A KR102576087B1 KR 102576087 B1 KR102576087 B1 KR 102576087B1 KR 1020220155012 A KR1020220155012 A KR 1020220155012A KR 20220155012 A KR20220155012 A KR 20220155012A KR 102576087 B1 KR102576087 B1 KR 10257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motor car
signal
disembarkation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5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영
민승현
오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트
민승현
오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트, 민승현, 오세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트
Priority to KR1020220155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6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warning men working on the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의 선로 내 유지 보수 작업 수행 중 모터카가 접근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 가능한 발광경보 또는 경보음 등을 발생시켜 작업자들을 대피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특수차량 접근시 경보신호를 이용한 안전대피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Safety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 the track}
본 발명은 작업자의 선로 내 유지 보수 작업 수행 중 모터카가 접근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 가능한 발광경보 또는 경보음 등을 발생시켜 작업자들을 대피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특수차량 접근시 경보신호를 이용한 안전대피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터카는 선로 위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수한 교통수단으로서, 철도나 모터카가 이동하는 통상적인 선로는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철도나 모터카 등의 하중이 주기적으로 가해짐으로 인해 노후화되고 변형·파손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보수하기 위한 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지는데, 선로 보수는 철도등의 안전주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선로에서의 작업 지연은 철도의 운행 지연을 초래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사고위험을 무릅쓰고 선로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선로 주변에는 신호기, 선로전환 장치, 궤도회로 장치, 연동장치 및 건널목 보안장치 등과 같이 안전운행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한 장치들은 선로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 아니라, 철도의 안전주행을 위해 설치된 것일 뿐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로의 작업환경을 묘사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철도 주변에 야간 또는 주간에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이 배치되어 작업을 하게 되고, 철도에는 철도차량인 전차나 모터카 등이 지속적으로 운행이 되며, 다수의 작업자들은 철도작업을 위해 작업도구를 구비하면서 철도 주변 및 철도 상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철도차량 또는 모터카가 운행하는 경우에 선로내 작업자의 안전지원 및 작업도구 방치 예방 시스템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환경에서, 작업자가 선로에서 보수작업을 수행하다가 철도에 치여 사망하는 사고가 비일비재하게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철도와 작업자 간의 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는데, 무선을 통한 알람 방식을 이용하는 기술이 제시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9500호(발명의 명칭: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과 같은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기재된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은 철도의 진행방향으로 무선전파를 발신하기 위해 철도에 설치되는 발신장치와, 상기 무선전파가 수신되면 작업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안전모나 안전띠에 부착되는 수신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선로 작업자에 대한 경보시스템으로는 야간 선로작업 등의 특성상 졸음이 발생하기 쉽고 집중력 저하현상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음성경고 신호는 주변 소음과 겹치면서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로 인식되기가 어려운 환경이라 이러한 시스템만으로는 작업자들의 빠른 대피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도출된다.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지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988032호(공고일자: 2019.06.20)에 공고된 시스템을 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처럼, 선로작업내에서 모터카 포함한 철도차량이 철도 구간을 계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에 철도차량에는 송신장치가 장착이 된다.
상기 송신장치는 모터카 등의 운전석 내에 설치가 되며, 일정 송신주기로 RF주파수를 계속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작업자가 보유한 통신경보장치를 통해 철도차량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선로내의 작업자의 철도차량(모터카 등)과의 추돌사고 가능성 감소 및 대피시간 확보, 그리고 선로상에 놓여진 작업도구로 인한 철도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추어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통신경보장치를 통해 발생하는 음성경고가 작업자들에게 전달이 되는 경우에, 작업공간의 주변 소음과 섞여서 음성경고 신호가 발생된 것인지를 인지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열차는 상선에서 일정방향으로만, 또한 하선에서 상선측과 다른 방향으로만 운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선에서는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면, 하선에서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모터카는 일반 열차와는 달리 상선과 하선에서 양방향으로 운행하는 특수차량으로서, 상선에서도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어디서나 다닐수 있는 특수차량이다.
마찬가지로, 하선에서도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어디서나 다닐수 있는 특수차량이다.
도 3은 실제 섬식승강장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섬식 승강장에서 스크린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선이나 하선에서 작업하는 경우는 작업공간은 대피취약한 공간으로, 작업도중 갑작스런 모터카의 출현은 작업자가 대피할 시간도 없어 큰 사고를 불러올수 있다.
다시말해 양측 선로 사이에 승강장이 구성되는 섬식승강장에 스크린도어까지 설치된 공간에서는 작업공간내에 갑작스런 모터카의 출현 상황에 대해서는 선로에서 작업하던 작업자가 대피할 공간을 찾을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문헌, 다시말해, 모터카의 운행 특성을 고려한 선로내 안전시스템에 관하여 시사된 구성은 전무한 실정으로서, 최근에 번번하게 모터카에 의한 사고가 번번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대비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20-0219500호(공고일자: 2001.04.02) 특허문헌 2: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17529호(공고일자: 2018.01.11) 특허문헌 3: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10-0044339호(공개일자: 2010.04.30) 특허문헌 4: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988032호(공고일자: 2019.06.20)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카와 같은 상선, 하선의 진입 방향을 알수 없는 특수차량의 선로내 진입/출현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대피시간을 확보하여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수차량 접근시 경보신호를 이용한 안전대피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야간 졸림이나 집중력 감퇴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모터카 진입시에 음성경보신호를 주변 소음과 착각함으로써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수차량 접근시 경보신호를 이용한 안전대피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식승강장 주변 선로내에 모터카가 진입시에 작업공간내에 작업자 안전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터카에 설치가 되며, 일정 송신주기로 RF신호를 계속적으로 송출하는 RF송신기; 및 상기 섬식승강장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상선과 하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카 출현시에 RF송신기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모터카의 상선측에서 출현을 감지하는 상선측 레이더센서와 하선측에서 출현을 감지하는 하선측 레이더센서가 각각 장착되는 제1송신기; 상기 섬식승강장을 기준으로 제1송신기와 대칭된 방향의 상선과 하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카 진입시에 RF송신기에서 송신되는 RF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모터카의 상선측에서 진입을 감지하는 상선측 레이더센서와 하선측에서 진입을 감지하는 하선측 레이더센서가 각각 장착되는 제2송신기; 상선측 작업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송신기 또는 제2송신기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작업공간에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 하선측 작업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송신기 또는 제2송신기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작업공간에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하선측 대피유도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제1송신기는, 상기 모터카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1송신기에 구성된 상선측 레이더센서를 통해 모터카의 출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상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모터카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1송신기에 구성된 하선측 레이더센서를 통해 모터카의 출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하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송신기는, 상기 모터카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2송신기에 구성된 상선측 레이더센서를 통해 모터카의 출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상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모터카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2송신기에 구성된 하선측 레이더센서를 통해 모터카의 출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하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는, 상기 제1송신기 또는 제2송신기로부터 상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동작하며, 고보라이트 투사광선과 시그널혼에 기저장된 음원이 일정시간 경보신호로서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선측 대피유도 수신기는, 상기 제1송신기 또는 제2송신기로부터 하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동작하며, 고보라이트 투사광선과 시그널혼에 기저장된 음원이 일정시간 경보신호로서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장착되는 텔레코일이 삽입된 음성변환장치; 상기 시그널혼과 음원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시그널혼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수신하면 음성신호를 전류로 변경하고, 전류를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유도앰프; 상기 유도앰프와 폐루프 도선으로 연결되면서 작업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도앰프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폐루프 도선을 따라 흐르면서 폐루프존을 형성하는 폐쇄형 루프;를 포함하는 히어링 제어장치가 더 구성되면서,
상기 폐루프존이 형성되는 작업공간에서 상기 음성변환장치를 통해 작업자는 상기 시그널혼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인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번째로, 본 발명은 제1송신기와 제2송신기를 통해 모터카의 진입을 명확하기 감지하고, 섬식승강장에서 작업하는 작업공간에 모터카가 상선 또는 하선 중 어느 선로에서 어느 방향에서든 모터카가 출현하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선로내의 작업자의 대피시간 확보를 통해 모터카와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두번째로, 본 발명은 히어링 루프 시스템을 선로내 대피취약구역인 작업공간에 구성함으로써,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는 모터카의 출현시에 뚜렷한 음성으로 경보신호를 들을 수가 있게 되어, 작업자가 야간 졸림이나 집중력 감퇴, 주변 소음 등의 원인으로 인한 경보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모터카 사고 발생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로의 작업환경을 묘사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지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제 섬식승강장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량 접근시 경보신호를 이용한 안전대피유도 시스템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송신기 또는 제2송신기의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 또는 하선측 대피유도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텔레코일이 포함된 음성변환장치가 작업자의 안전모에 장착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어링 제어장치의 구성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섬식승강장 주변 선로내에 모터카와 같은 특수차량이 출현하여 진입시에 작업공간내에 작업자 안전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량 접근시 경보신호를 이용한 안전대피유도 시스템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가 설치되는 역사에서 섬식 승강장의 구조는 승강장을 중심에 두고 양쪽으로 선로가 설비된다.
선로는 열차가 지나가는 상선과 하선으로 구별되어 지는데, 일반적으로 상선과 하선으로 각각 진입하는 열차는 항상 같은 방향에서 진입하고, 상선과 하선의 열차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입한다.
그러나, 모터카(100)는 일반열차와는 달리 상선에서 어느 방향으로든 진입이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하선에서도 어느 방향으로든 진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섬식 승강장을 주변의 상선과 하선의 선로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모터카가 진입이 되면 대피할 시간뿐 아니라, 대피할 공간도 찾기 어려운 난감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이에, 모터카(100)에는 일반적으로 일정 송신주기로 RF신호를 계속적으로 송출하는 RF송신기(200)가 장착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상기 섬식승강장 좌측방향의 상선과 하선 사이에 배치되는 제1송신기(300)가 구성된다.
다시말해, 제1송신기(300)는 상기 섬식승강장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상선과 하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카(100)가 작업공간의 선로에 출현시에 RF송신기(200)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제1송신기(300)에는 상기 모터카(100)의 상선측에서 출현을 감지하는 상선측 레이더센서(320)와 하선측에서 모터카(100)의 출현을 감지하는 하선측 레이더센서(340)가 각각 장착된다.
상선측 레이더센서(320)와 하선측 레이더센서(340)는 각각 실시간으로 작동하면서 모터카(100)의 움직임과 속도, 방향, 거리, 각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본 발명의 레이더센서는 24GHz FSK방식의 모듈을 구비하며, 레이더센서의 레이더감지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레이더 주파수를 조절하거나 안테나 크기를 조절하여 레이더감지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제2송신기(400)가 구성되는데, 제2송신기(400)의 배치지점은 섬식승강장 우측방향의 상선과 하선 사이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섬식승강장을 기준으로 제1송신기(300)와 대칭된 방향의 상선과 하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카(100) 진입시에 RF송신기(200)에서 송신되는 RF신호를 수신한다.
제2송신기(400)에도 상기 모터카(100)의 상선측에서 진입을 감지하는 상선측 레이더센서(420)와 하선측에서 진입을 감지하는 하선측 레이더센서(440)가 각각 장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송신기 또는 제2송신기의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처럼, 제1송신기(300) 및 제2송신기(400)에는 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상선측에서 출현을 감지하는 상선측 레이더센서(320, 420)와 하선측에서 모터카(100)의 출현을 감지하는 하선측 레이더센서(340, 440)가 각각 장착된다.
제1송신기(300) 및 제2송신기(400)의 구성에서 각각의 송신기 1대에 레이더센서를 2개 적용하면서 상선과 하선을 모두 검지가능하도록 하여, 시스템 원가를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상선측 작업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송신기(300) 또는 제2송신기(400)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작업자의 작업공간에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500)가 구성된다.
상기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500)는 작업자 대피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송신기(300) 및 제2송신기(400)와 각각 400미터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500)는 다수의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510, 5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선측 작업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송신기(300) 또는 제2송신기(400)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작업공간에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하선측 대피유도 수신기(600)가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500)도 작업자 대피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송신기(300) 및 제2송신기(400)와 각각 최대 400미터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하선측 대피유도 수신기(600)도 다수의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610, 6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송신기(300), 제2송신기(400),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500) 및 하선측 대피유도 수신기(600) 각각은 400m 정도의 송신거리를 보장하기 위해서, 통신모듈로서 고효율을 갖는 외장 RF모듈을 사용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제1송신기(300)는 상기 모터카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1송신기에 구성된 상선측 레이더센서(320)를 통해 모터카의 출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상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RF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일반 열차는 검지하지 않고, 오로지 모터카와 같은 특수차량만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510)는 상기 제1송신기(300)로부터 상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동작하며, 고보라이트(530) 투사광선과 시그널혼(540)에 기저장된 음원이 일정시간 경보신호로서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송신기(300)는 상기 모터카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1송신기에 구성된 하선측 레이더센서(340)를 통해 모터카의 출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하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RF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일반 열차는 검지하지 않고, 오로지 모터카와 같은 특수차량만 검지할 수 있다.
상기 하선측 대피유도 수신기(610)는 상기 제1송신기(300)로부터 하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동작하며, 고보라이트(530) 투사광선과 시그널혼(540)에 기저장된 음원이 일정시간 경보신호로서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송신기(400)는 상기 모터카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2송신기에 구성된 상선측 레이더센서(420)를 통해 모터카의 출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상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RF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일반 열차는 검지하지 않고, 오로지 모터카와 같은 특수차량만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520)는 상기 제2송신기(400)로부터 상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동작하며, 고보라이트(530) 투사광선과 시그널혼(540)에 기저장된 음원이 일정시간 경보신호로서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송신기(400)는 상기 모터카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2송신기에 구성된 하선측 레이더센서(440)를 통해 모터카의 출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하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RF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일반 열차는 검지하지 않고, 오로지 모터카와 같은 특수차량만 검지할 수 있다.
상기 하선측 대피유도 수신기(620)는 상기 제2송신기(400)로부터 하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동작하며, 고보라이트(530) 투사광선과 시그널혼(540)에 기저장된 음원이 일정시간 경보신호로서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처럼, 상기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500)는 상기 제1송신기(300) 또는 제2송신기(400)로부터 상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동작하며, 고보라이트(530) 투사광선과 시그널혼(540)에 기저장된 음원이 일정시간 경보신호로서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고보라이트(530)는 80W 전력이 공급되며, 제1송신기(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즉각적으로 경보신호로서 투사광선을 발사하며, 야간 터널에서 경보신호로서 크게 효과를 볼수가 있다.
또한, 시그널혼(540)은 115dB의 크기를 갖추고 있으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즉각적으로 경보신호로서 기저장된 음원이 일정시간 재생되는데, 이를 테면 기저장된 음원("모터카 접근중", "신속히 대피하세요" 등)을 반복적으로 재생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 또는 하선측 대피유도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처럼,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500) 및 하선측 대피유도 수신기(600)에는 경보신호로서 투사광선을 발생시키는 고보라이트(530, 630)가 브라켓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경보신호로서 기저장된 음원을 일정시간 발생시키는 시그널혼(540, 640)이 구성된다.
또한, 시그널혼(540, 640)에는 이하 설명할 유도앰프(710)와 연결되어, 시그널혼(540, 640)에서 발생되는 음원을 유도앰프(710)로 입력하는 음원라인(550, 650)이 구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텔레코일이 포함된 음성변환장치가 작업자의 안전모에 장착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처럼, 작업공간, 특히 대피취약구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은 안전모를 착용하고 작업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안전모의 내측으로 안전모를 착용하는 작업자의 귀와 직접적으로 접하는 음성변환장치(730)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안전모는 헤드폰 타입으로 변경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안전모를 비롯한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한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면 상기 음성변환장치(730)는 작업자의 귀와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면서, 작업자는 음성변환장치(730)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들을수가 있다. 상기 음성변환장치(730)는 텔레코일(T-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안전모나 헤드폰에는 음성변환장치(7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어링 제어장치의 구성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처럼, 히어링 제어장치에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장착되는 텔레코일이 삽입된 음성변환장치(7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그널혼(540)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음원라인(550)을 통해 연결하여 수신하면 음성신호를 전류로 변경하고, 전류를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유도앰프(7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앰프와 폐루프 도선으로 연결되면서 작업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도앰프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전류가 폐루프 도선을 따라 흐르면서 폐루프존을 형성하도록 폐쇄형 루프(720)가 구성된다.
상기 폐쇄형 루프(720)가 작업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작업공간에는 폐쇄형루프(720)가 거치되는 프레임이 설비될 수 있다.
작업자가 야간 졸림이나 집중력 감퇴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모터카 진입시에 음성경보신호로서 시그널혼에서 발생하는 음원은 주변 소음과 혼합되어 작업자에게 들리기 때문에 실제로 작업공간에서 명료하게 음원을 듣는것이 어렵다.
부연하면, 사람이 많은 지역, 차량이 많은 지역, 넓은 장소나 작업공간 등에서는 소리와 잡음간의 차이가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소리와 잡음이 혼합된 상태에서 듣게 되어, 음원의 명료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유도앰프(710)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는 상기 폐쇄형 루프(720)을 통해 흐르면 폐루프 도선 주변에 자력선속, 다시말해 자기신호가 발생한다.
작업자가 폐루프존에 존재하면, 안전모 등의 음성변환장치(730)에 구성된 텔레코일에서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자기신호로부터 전류신호인 음성신호로 바꾸면서 시그널혼(540)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복원하여 작업자의 귀에 전달하게 된다.
복원된 음원은 주변 작업공간의 잡음이나 소음이 전혀 혼합되지 않은 시그널혼(540)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그대로 복원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폐루프존이 형성되는 작업공간에서 상기 음성변환장치를 통해 작업자는 상기 시그널혼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모터카 200: 송신장치
300: 제1송신기 400: 제2송신기
500, 510, 520: 상선측 수신기 530: 고보라이트
540: 시그널혼 550: 음원라인
600, 610, 620: 하선측 수신기 630: 고보라이트
640: 시그널혼 650: 음원라인
700: 히어링 제어장치 710: 유도앰프
720: 폐쇄형 루프 730: 음성변환장치

Claims (6)

  1. 섬식승강장 주변 선로내에 모터카가 진입시에 작업공간내에 작업자 안전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터카에 설치가 되며, 일정 송신주기로 RF신호를 계속적으로 송출하는 RF송신기; 및
    상기 섬식승강장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상선과 하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카 출현시에 RF송신기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모터카의 상선측에서 출현을 감지하는 상선측 레이더센서와 하선측에서 출현을 감지하는 하선측 레이더센서가 각각 장착되는 제1송신기;
    상기 섬식승강장을 기준으로 제1송신기와 대칭된 방향의 상선과 하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카 진입시에 RF송신기에서 송신되는 RF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모터카의 상선측에서 진입을 감지하는 상선측 레이더센서와 하선측에서 진입을 감지하는 하선측 레이더센서가 각각 장착되는 제2송신기;
    상선측 작업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송신기 또는 제2송신기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작업공간에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
    하선측 작업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송신기 또는 제2송신기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작업공간에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하선측 대피유도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신기는,
    상기 모터카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1송신기에 구성된 상선측 레이더센서를 통해 모터카의 출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상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모터카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1송신기에 구성된 하선측 레이더센서를 통해 모터카의 출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하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송신기는,
    상기 모터카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2송신기에 구성된 상선측 레이더센서를 통해 모터카의 출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상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모터카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2송신기에 구성된 하선측 레이더센서를 통해 모터카의 출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하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선측 대피유도 수신기는,
    상기 제1송신기 또는 제2송신기로부터 상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동작하며, 고보라이트 투사광선과 시그널혼에 기저장된 음원이 일정시간 경보신호로서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선측 대피유도 수신기는,
    상기 제1송신기 또는 제2송신기로부터 하측ID를 포함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동작하며, 고보라이트 투사광선과 시그널혼에 기저장된 음원이 일정시간 경보신호로서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
  6. 제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나 헤드폰에 장착되는 텔레코일이 삽입된 음성변환장치;
    상기 시그널혼과 음원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시그널혼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수신하면 음성신호를 전류로 변경하고, 전류를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유도앰프;
    상기 유도앰프와 폐루프 도선으로 연결되면서 작업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도앰프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폐루프 도선을 따라 흐르면서 폐루프존을 형성하는 폐쇄형 루프;를 포함하는 히어링 제어장치가 더 구성되면서,
    상기 폐루프존이 형성되는 작업공간에서 상기 음성변환장치를 통해 작업자는 상기 시그널혼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
KR1020220155012A 2022-11-18 2022-11-18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 KR102576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012A KR102576087B1 (ko) 2022-11-18 2022-11-18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012A KR102576087B1 (ko) 2022-11-18 2022-11-18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087B1 true KR102576087B1 (ko) 2023-09-11

Family

ID=8802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5012A KR102576087B1 (ko) 2022-11-18 2022-11-18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08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4346A (ja) * 1995-10-13 1997-04-22 East Japan Railway Co 無線警報システム
KR200219500Y1 (ko) 2000-11-01 2001-04-02 주식회사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KR20100044339A (ko) 2008-10-22 2010-04-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선로변 작업자 안전을 위한 위험 감지 시스템 및 위험감지 방법
KR20110049668A (ko) * 2009-11-04 2011-05-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의 접근경보시스템 및 접근경보방법
JP2012210869A (ja) * 2011-03-31 2012-11-01 East Japan Railway Co 鉄道用警報発生システム
KR101817529B1 (ko) 2017-08-02 2018-01-11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철도사고 방지를 위한 상황전파용 무선 송수신 장치
KR101988032B1 (ko) 2018-11-09 2019-06-20 주식회사 솔트 선로내 작업자 안전지원 시스템
KR102145481B1 (ko) * 2020-03-20 2020-08-19 주식회사 솔트 열차 감지를 통한 선로 안전지원 시스템
KR102265726B1 (ko) * 2019-02-27 2021-06-16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작업자 안전 관리를 위한 작업용 철도 차량 접근 원격 알람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4346A (ja) * 1995-10-13 1997-04-22 East Japan Railway Co 無線警報システム
KR200219500Y1 (ko) 2000-11-01 2001-04-02 주식회사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KR20100044339A (ko) 2008-10-22 2010-04-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선로변 작업자 안전을 위한 위험 감지 시스템 및 위험감지 방법
KR20110049668A (ko) * 2009-11-04 2011-05-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의 접근경보시스템 및 접근경보방법
JP2012210869A (ja) * 2011-03-31 2012-11-01 East Japan Railway Co 鉄道用警報発生システム
KR101817529B1 (ko) 2017-08-02 2018-01-11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철도사고 방지를 위한 상황전파용 무선 송수신 장치
KR101988032B1 (ko) 2018-11-09 2019-06-20 주식회사 솔트 선로내 작업자 안전지원 시스템
KR102265726B1 (ko) * 2019-02-27 2021-06-16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작업자 안전 관리를 위한 작업용 철도 차량 접근 원격 알람 시스템
KR102145481B1 (ko) * 2020-03-20 2020-08-19 주식회사 솔트 열차 감지를 통한 선로 안전지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1793A (en) System for providing a warning when vehicles approach a common collision point
US7624952B1 (en) Safety system for railroad personnel
US5924651A (en) Tactile and audible warning system for railroad workers
US5727758A (en) Tactile and audible warning system for railroad workers
US5864304A (en) Wireless railroad grade crossing warning system
US65195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hanced vehicle detection
US5554982A (en) Wireless train proximity alert system
US20180222503A1 (en) V-aware end of train device
KR101817529B1 (ko) 철도사고 방지를 위한 상황전파용 무선 송수신 장치
US9475509B2 (en) Guided ground vehicle including a device for managing a derailment of the vehicle, and associated derailment management method
KR101905828B1 (ko) 열차 추돌 방지 시스템
RU2583011C1 (ru)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работающих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путях о приближени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CA2502319A1 (en) Safety vehicle and system for avoiding train collisions and derailments
US1175305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rail vehicle network
KR101145141B1 (ko) 차량의 접근경보시스템 및 접근경보방법
KR102145481B1 (ko) 열차 감지를 통한 선로 안전지원 시스템
KR101988032B1 (ko) 선로내 작업자 안전지원 시스템
KR102576087B1 (ko) 선로 내 안전대피유도시스템
KR100968671B1 (ko) 철로 곡선구간에서의 안전 경보시스템
KR100975289B1 (ko)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한 열차접근 경보 시스템 및 방법
US20060176191A1 (en) Emergency vehicle alert system
KR102145473B1 (ko) 열차감지센서를 이용한 선로 안전지원 시스템
JP6310197B2 (ja) 警報送信装置
KR20000073900A (ko) 열차접근 자동경보장치 및 경보방법
KR100721608B1 (ko) 열차탈선시 타 열차와의 충돌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