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951B1 -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951B1
KR102574951B1 KR1020210147999A KR20210147999A KR102574951B1 KR 102574951 B1 KR102574951 B1 KR 102574951B1 KR 1020210147999 A KR1020210147999 A KR 1020210147999A KR 20210147999 A KR20210147999 A KR 20210147999A KR 102574951 B1 KR102574951 B1 KR 102574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
reinforcing
linte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8071A (ko
Inventor
이홍재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제이더블유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제이더블유이앤씨 filed Critical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147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9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15)를 가지는 조적 벽체(10)에서 개구 위 상부 벽(12)과 개구 양옆 좌우 벽(13) 사이에 좌우로 연장된 전방 부분(110)이 가로놓이도록 삽입되어 상부 벽의 인방 영역 하면(12A)을 전방 부분의 지지 상면(110A)으로 받치며, 지지 상면이 좌우로 연장된 패드의 형태로서 인방 영역 하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논슬립 층(112)으로 구성된 보강 패널(100)과; 보강 패널의 후방 부분(120)을 조적 벽체 후방의 내력 벽체(20)에 정착시키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정착 유닛(200)을 포함함으로써, 조적 벽체의 인방 영역을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보강할 수 있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STRUCTURE FOR REINFORCING MASONRY WALL WITH OPEN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를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안정화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 쌓기를 일정한 패턴(pattern)으로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된 과정을 거쳐 시공하는 조적 벽체는, 내력 벽체(bearing wall)와 함께 이중 벽을 구성하도록 사용되고, 대체로 채광, 통풍, 출입 등의 목적으로 개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개구 위쪽의 상부 벽 및 개구 양쪽의 좌우 벽을 포함하며, 개구의 상부에 가로놓여 상부 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인방(lintel)을 포함한다. 이때, 인방은 개구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인방(upper lintel)이라 칭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조적 벽체는 부실한 시공, 장기 사용에 따른 노후화, 침하 현상과 같은 외부 요인 등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부 벽에서 인방 및 인방과 근접한 양쪽의 벽돌들을 포함하는 인방 영역은, 구조 면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취약하기 때문에, 균열이 쉽게 발생할 수 있고, 균열이 발생하면 위쪽의 벽돌들로부터 가하여지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면서 심각하게 손상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6519호(2007.10.1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9048호(2011.11.03.)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의 상부 벽에서 인방 영역의 구조적 안정성 향상 및 이를 위한 시공성 개선 면에서 보다 유리한 보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에서 상기 개구 위쪽의 상부 벽과 상기 개구 양쪽의 좌우 벽 사이에 좌우로 연장된 전방 부분이 가로놓이도록 삽입되어 상기 상부 벽의 인방 영역 하면을 상기 전방 부분의 지지 상면으로 지지하는 보강 패널(reinforcement panel)과; 상기 보강 패널의 후방 부분을 상기 조적 벽체로부터 후방의 내력 벽체에 정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착 유닛(anchor unit)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상면이 좌우로 연장된 패드(pad) 형태로서 상기 인방 영역 하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논슬립 층(non-slip layer)으로 구성된,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는, 상기 보강 패널의 상기 전방 부분에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제공되고,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 상면으로부터 상기 인방 영역 하면으로 돌출되거나 돌출이 해제되는 복수의 서포트(suppo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패널은 상기 전방 부분에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암나사 구멍이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하 이동 가능한 복수의 상기 서포트는, 복수의 상기 암나사 구멍에 각각 나사 결합이 되는 것으로서 외주의 수나사와 상단의 뾰족한 팁(tip)을 가지는 서포트 보디(support body), 그리고 핸들링(handling)을 위하여 상기 서포트 보디의 하단에 형성된 서포트 헤드(support hea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는, 양쪽의 상기 좌우 벽과 상기 보강 패널의 상기 전방 부분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상하 크기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하 크기가 확대된 상태로 상기 전방 부분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하 크기 변형이 가능한 복수의 상기 서포트는, 상기 좌우 벽과 상기 전방 부분 사이로 삽입되고,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의 한쪽 끝과 상기 하판의 한쪽 끝을 연결하는 연결 판을 가지며,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간격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판이 탄성 변형 가능한 가변 패널과; 상기 가변 패널의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간격을 자체 두께로 확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서트(inser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은 상기 전방 부분에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마찰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판은 상기 좌우 벽에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마찰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인서트는, 인서트 핀(insert pin)과; 상기 인서트 핀의 둘레에 제공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에 셀프태핑(self-tapping)에 의한 홈 형성이 가능한 셀프태핑 수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착 유닛은, 상기 내력 벽체에 정착되는 수직 패널 및 상기 수직 패널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 패널을 가지며, 상기 수평 패널이 상기 보강 패널의 후방 부분에 연결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상기 수직 패널과 상기 수평 패널 사이에서 양단 부분이 상기 수직 패널과 상기 수평 패널에 각각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신축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패널은 후방 부분이 상기 브래킷의 수평 패널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 패널의 전방 부분이 상부 벽의 인방 영역 하면(도 7의 도면 부호 12A 참조)을 지지하여 인방 영역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때문에, 인방 영역으로 하여금 위쪽으로부터의 하중을 보강된 구조적 강도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부 벽과 좌우 벽 사이의 모르타르(mortar, 줄눈)가 균열 등으로 탈락되더라도, 인방 영역이 위쪽으로부터의 하중으로 인하여 변형(수평 파괴, 처짐 등)되는 현상을 적극적으로 억제하여 상부 벽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 패널의 지지 상면이 상부 벽의 인방 영역 하면에 대하여 탄성 재질의 논슬립 층의 작용에 따라 긴밀히 밀착되고 상승된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인방 영역을 구성하는 인방과 양쪽의 벽돌들을 밀착력 및 마찰력으로 간단히 결집하고 구속할 수 있고, 이로써 인방 영역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인방 영역의 인방이나 양쪽의 벽돌이 모르타르 탈락으로 인하여 분리(즉, 모르타르에 의한 접합 상태 해제)되더라도, 분리된 인방이나 양쪽의 벽돌이 이탈하거나 탈락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상부 벽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인방 영역 일부의 탈락에 기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방 영역 하면에 대한 지지 상면의 밀착 상태가 전반적 또는 부분적으로 다소 미흡하거나 불량한 경우, 서포트 헤드를 공구 또는 손으로 회전시켜 서포트 보디를 보강 패널의 지지 상면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서포트 보디의 뾰족한 팁을 인방 영역 하면에 접촉시켜 감소된 마찰력을 보완할 수도 있고, 서포트 보디의 뾰족한 팁을 인방 영역 하면에 박아서 인방 영역을 전방 부분과 결속, 구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방 영역 하면에 대한 지지 상면의 밀착 상태가 전반적 또는 부분적으로 다소 미흡하거나 불량한 경우, 상하 크기 변형이 가능한 가변 패널을 좌우 벽과 전방 부분 사이로 삽입하고, 삽입된 가변 패널의 상판과 하판 사이로 인서트를 삽입하여 상판과 하판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킴으로써, 미흡하거나 불량한 밀착 상태를 보완하여 상부 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서트가 셀프태핑 수나사를 포함하기 때문에, 인서트를 가변 패널의 상, 하판 사이로 삽입하는 동안, 상, 하판에 셀프태핑 수나사와 구조적으로 결합되는 홈을 셀프태핑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로써 삽입된 인서트가 가변 패널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효과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각의 도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가 적용된 조적 벽체(벽돌 벽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의 서포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인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고, 유사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은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기에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용어에 대해서는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하는 때, 이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결합)된다고 하는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서 구성 요소의 크기나 형상,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는, 개구를 가지도록 시공된 조적 벽체에 대하여 노후화, 손상 등에 따라 구조적 보강 목적의 보수 공사를 수행하는 때에 적용될 수도 있고,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의 신축 공사를 수행하는 때에 조적 벽체의 구조적 안정성 향상을 꾀할 목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도면 부호 10은 조적 벽체이고, 도면 부호 20은 내력 벽체이며, 도면 부호 30은 단열재이다. 조적 벽체(10)와 내력 벽체(20)는 전후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중 벽을 구성한다. 전방의 조적 벽체(10)는 이중 벽의 내벽으로서 기능하고, 후방의 내력 벽체(20)는 이중 벽의 외벽을 담당한다. 단열재(30)는 조적 벽체(10)와 내력 벽체(20) 사이에 제공된다. 단열재(30)는 제외될 수도 있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적 벽체(10)는, 벽돌 쌓기를 포함하는 과정으로 시공되어 벽돌들을 구비하고, 개구(15)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개구(15)의 위쪽으로 제공되는 상부 벽(12)과 개구(15)의 좌우 양쪽으로 제공되는 좌우 벽(13)을 포함한다. 개구(15)는 채광, 통풍이나 환기, 출입 등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개구(15)에는 창호가 설치될 수 있다. 개구(15)의 형성 위치나 형태에 따라서는 조적 벽체(10)가 개구(15)의 아래쪽으로 제공되는 하부 벽(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적 벽체(10)는 개구(15)의 위로 배치되는 벽돌(상부 벽의 벽돌)들을 지지하는 인방(16)을 가진다. 인방(16)은 개구(15)의 상부에 가로놓이도록 설치되어 상부 벽(12)의 하단 부분을 구성하고 개구(15) 위쪽으로부터의 하중을 좌우 벽(13)으로 전달한다. 인방(16)으로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철제 인방), 벽돌들로 이루어진 것(보강 벽돌 인방),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것(콘크리트제 인방)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는 조적 벽체(10)의 상부 벽(12)에서 구조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인방 영역을 보강하여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때, 인방 영역은, 인방(16) 및 인방(16)과 근접한 양쪽의 벽돌(상부 벽의 벽돌)들을 포함하는 영역인바, 조적 벽체(10) 대비 개구(15)의 좌우 크기에 따라, 상부 벽(12)의 하단 부분에서 중간 구간만을 구성할 수도 있고, 상부 벽(12)의 하단 부분을 전체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는 보강 패널(1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착 유닛(200) 및 복수의 제1 서포트(300)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패널(100)은, 상부 벽(12)의 인방 영역과 양쪽의 좌우 벽(13) 사이로 삽입되는 전방 부분(110), 그리고 전방 부분(11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부분(120)을 가진다.
보강 패널(100)에 있어서, 전방 부분(110)은, 상부 벽(12)의 인방 영역과 양쪽의 좌우 벽(13) 사이에 가로놓이는 좌우 길이를 가지도록 좌우로 길게 연장되고, 인방 영역 하면(12A, 도 7 참조)을 밀착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 상면(110A, 도 7 참조)을 가진다. 지지 상면(110A)은 미들 섹션(middle section)이 인방(16)을 지지하고 미들 섹션 양쪽의 엔드 섹션(end section)이 인방(16)과 근접한 양쪽의 벽돌들을 지지할 수 있다. 인방 영역 하면(12A)에 대한 지지 상면(110A)의 밀착도 상승 및 마찰력 증가를 위하여, 전방 부분(110)은 지지 상면(110A)이 탄성 재질의 논슬립 층(112)으로 구성된다.
후방 부분(120)은 내력 벽체(20) 쪽으로 돌출된다. 후방 부분(120)은, 전방 부분(110)과 일체형일 수 있고, 전방 부분(1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좌우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부분(110)은 논슬립 층(112)을 제외한 본체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방 부분(120)의 재질도 금속일 수 있다. 논슬립 층(112)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패드(pad)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논슬립 층(112)의 재질은 고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강 패널(100)에 의하면, 전방 부분(110)이 상부 벽(12)의 인방 영역을 지지하여 인방 영역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때문에, 인방 영역이 위쪽으로부터의 하중을 보강된 구조적 강도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상부 벽(12)의 인방 영역과 양쪽의 좌우 벽(13) 사이 및 상부 벽(12)의 인방 영역과 창호의 프레임(frame) 사이에 상호 접합을 위하여 충전되는 모르타르(줄눈)가 균열 등으로 탈락되더라도, 인방 영역이 위쪽으로부터의 하중으로 인하여 변형(수평 파괴, 처짐 등)되는 현상을 억제하여 상부 벽(12)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부분(110)의 지지 상면(110A)이 상부 벽(12)의 인방 영역 하면(12A)에 대하여 탄성 재질의 논슬립 층(112)의 작용에 따라 보다 긴밀히 밀착되고 상승된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인방 영역을 구성하는 인방(16)과 양쪽의 벽돌들을 밀착력 및 마찰력으로 간단히 결집하고 구속할 수 있고, 이로써 인방 영역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인방 영역의 인방(16)이나 양쪽의 벽돌이 모르타르 탈락으로 인하여 분리(즉, 모르타르에 의한 접합 상태의 해제)되더라도, 분리된 인방(16)이나 양쪽의 벽돌이 이탈하거나 탈락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상부 벽(12)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인방 영역 일부의 탈락에 기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정착 유닛(200)은 보강 패널(100)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보강 패널(100)의 후방 부분(120)을 내력 벽체(20)에 견고하게 정착시킨다. 도면에는 정착 유닛(200)이 복수로 구비되고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정착 유닛(200)은 복수가 아닌 단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정착 유닛(200)은 브래킷(210 및 220 참조) 및 신축 기구(240)를 포함한다.
도 2,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210 및 220 참조)은, 내력 벽체(20)의 정면에 단수 또는 복수의 정착 요소(230)에 의하여 고착되는 수직 패널(210), 그리고 수직 패널(2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 패널(220)을 포함한다. 수평 패널(220)은, 수직 패널(210)의 정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보강 패널(100)의 후방 부분(120)에 연결된다.
수직 패널(210)의 재질 및 수평 패널(220)의 재질은 금속일 수 있다. 수직 패널(210)과 수평 패널(220)은 일체형일 수 있다. 도면에는 수평 패널(220)이 수직 패널(210)의 상단 부분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조건 등에 따라서는 수평 패널(220)을 수직 패널(210)의 상단 부분이 아니라 중간 부분 또는 하단 부분에 배치할 수도 있다. 정착 요소(230)는 앵커 볼트(anchor bolt)일 수 있다.
한편, 보강 패널(100)의 후방 부분(120)이 브래킷(210 및 220 참조)의 수평 패널(22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후로 연장된 안내 슬롯(guide slot, 122, 222)이 후방 부분(120)과 수평 패널(220)에 각각 서로 대응하도록 관통되고, 보강 패널(100)의 이동을 전후 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한 안내 핀(guide pin)으로서 기능하는 볼트(130)가 서로 대응하는 안내 슬롯(122, 222)에 삽입되며, 보강 패널(100)의 전후 이동을 구속하려는 너트(nut, 135)가 볼트(130)와 결합될 수 있다. 너트(135)를 풀면 보강 패널(100)을 전후로 이동시켜 보강 패널(100)의 위치를 이동 범위 이내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고, 너트(135)를 죄면 보강 패널(1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기구(240)는, 수직 패널(210)과 수평 패널(220)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 부분이 수직 패널(210)과 수평 패널(220)에 각각 좌우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신축 기구(240)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키면, 수직 패널(210)에 대한 수평 패널(220)의 각도를 강제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일례로, 신축 기구(240)는 턴버클(turnbuckle)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착 유닛(200)은 의하면, 보강 패널(1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내력 벽체(20)의 정면이 전반적으로 평탄하지 않거나 수직 패널(210)을 잘못 고착하여 수평 패널(220)이 실질적으로 수평하지 않은 때, 수평 패널(220)을 신축 기구(240)에 의하여 수평 상태로 보정함으로써, 보강 패널(100)의 전방 부분(110)도 상부 벽(12)의 인방 영역과 양쪽의 좌우 벽(13) 사이에 수평 상태로 제공하여 인방 영역 하면(12A)에 대한 지지 상면(110A)의 밀착 상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4,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포트(300)들은, 보강 패널(100)의 전방 부분(110)에 제공되고,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서포트(300) 각각은, 상하 이동 가능하고, 이동 방향에 따라 보강 패널(100)의 지지 상면(110A)으로부터 상부 벽(12)의 인방 영역 하면(12A)으로 돌출되거나 돌출이 해제된다.
제1 서포트(300)들의 적용을 위하여, 보강 패널(100)의 전방 부분(110)에 상하로 관통된 암나사 구멍(114)들이 형성된다. 이들 암나사 구멍(114)은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서포트(300)들은 암나사 구멍(114)들에 각각 나사 결합이 된다. 제1 서포트(300) 각각은, 암나사 구멍(114)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수나사를 가지는 서포트 보디(310), 그리고 핸들링을 위하여 서포트 보디(310)의 하단에 형성된 서포트 헤드(320)를 포함한다. 서포트 보디(310)는, 수나사가 외주에 마련되고, 상단의 뾰족한 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일례로, 제1 서포트(300)들로는 보디의 끝이 뾰족하고 헤드가 다각형인 금속 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신축 기구(240)를 이용하여 보강 패널(100)의 전방 부분(110)을 수평 상태로 보정하더라도, 여러 요인(예를 들어, 전방 부분(110)의 하향 휨 발생)으로 인하여 인방 영역 하면(12A)에 대한 지지 상면(110A)의 밀착 상태가 전반적 또는 부분적으로 다소 미흡할 수도 있고, 이로써 인방 영역 하면(12A)과 지지 상면(110A)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서포트(300)들에 의하면, 서포트 헤드(320)를 공구 또는 손으로 회전시켜 서포트 보디(310)를 전방 부분(110)의 지지 상면(110A)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서포트 보디(310)의 뾰족한 팁을 인방 영역 하면(12A)에 접촉시켜 감소된 마찰력을 보완할 수도 있고, 서포트 보디(310)의 뾰족한 팁을 인방 영역 하면(12A)에 박아서 인방 영역을 전방 부분(110)과 결속, 구속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서포트(300)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선택되지 않은 제1 서포트(300)는 돌출 해제 상태로 보유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복수의 제2 서포트(400)를 더 포함하는 점만이 상이하다. 이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참조고, 실시 조건 등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에서 제1 서포트(300)들이 제외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서포트(400)들은, 양쪽의 좌우 벽(13)과 보강 패널(100)의 전방 부분(110)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상하 크기 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하 크기가 확대된 상태로 전방 부분(110)을 지지한다. 제2 서포트(400)들에 의하면, 전방 부분(11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인방 영역 하면(12A)에 대한 지지 상면(110A)의 밀착 상태가 다소 미흡하거나 불량한 때 미흡하거나 불량한 밀착 상태를 보완할 수 있다.
제2 서포트(400) 각각은 가변 패널(410 및 420 참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서트(430)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패널(410 및 420 참조)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방 및 좌우 측방이 개방된 반면 상방, 하방 및 후방이 폐쇄된 구조를 가지고, 양쪽의 좌우 벽(13)과 보강 패널(100)의 전방 부분(110) 사이의 틈새 영역으로 삽입되며, 서포트 본체를 구성하는 금속 판(410)을 포함하고, 금속 판(410)에 피복된 마찰 층(420)을 가진다. 이러한 가변 패널(410 및 420 참조)은, 안전 사고의 방지 등을 위하여, 틈새 영역으로 삽입된 때 틈새 영역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금속 판(410)은, 서로 대향하는 상판(412)과 하판(414), 그리고 탄성 변형 가능한 연결 판(416)으로 구성된다. 연결 판(416)은 상판(412)의 후방 쪽 끝과 하판(414)의 후방 쪽 끝을 연결한다. 상판(412)과 하판(414)은 평편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412)과 하판(414) 사이의 간격은 탄성 변형 가능한 연결 판(416)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412)과 하판(414)의 간격을 축소시켜 금속 판(410)의 상하 크기를 축소시킬 수도 있고, 상판(412)과 하판(414)의 간격을 확대시켜 금속 판(410)의 상하 크기를 확대시킬 수도 있다. 연결 판(416)은 용이한 탄성 변형을 위하여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412), 하판(414) 및 연결 판(416)은 일체형일 수 있다.
마찰 층(420)은 상판(412)의 상면 및 하판(414)의 하면에 피복되어, 상판(412)과 하판(414)은 마찰 층(420)을 포함한다. 마찰 층(420)은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마찰 층(420)의 재질은 고무, 실리콘(silicone)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마찰 층(420)은 가변 패널(410 및 420 참조)이 틈새 영역으로 삽입된 때 보강 패널(100)의 전방 부분(110)과 양쪽의 좌우 벽(13)에 접촉될 수 있다. 전방 부분(110)과 좌우 벽(13)에 대한 마찰 층(420)의 접촉 및 그로 인하여 발생되는 마찰에 의하면, 가변 패널(410 및 420 참조)의 위치 고정을 꾀할 수 있다. 마찰 층(420)은 상판(412)의 상면과 하판(414)의 하면만이 아닌 연결 판(416)의 외면에도 피복되어, 연결 판(416)도 마찰 층(420)을 포함할 수 있고 마찰 층(420)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430)는 틈새 영역으로 삽입된 가변 패널(410 및 420 참조)의 상판(412)과 하판(414) 사이에 삽입된다. 인서트(430)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서트(430)는, 상판(412)과 하판(414) 사이로 삽입된 때, 상판(412)과 하판(414)의 간격을 자체의 두께에 의하여 확대시킬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판(412)과 하판(414)의 간격을 확대, 금속 판(410)의 상하 크기를 확대시켜 상판(412)을 보강 패널(100)의 전방 부분(110)에 밀착시키고 하판(414)을 양쪽의 좌우 벽(13)에 밀착시킨다. 즉, 인서트(430)는, 가변 패널(410 및 420 참조)이 보강 패널(100)의 전방 부분(110)을 통하여 상부 벽(12)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판(412)과 하판(414)의 간격을 확대시켜 상판(412)과 하판(414)을 보강 패널(100)의 전방 부분(110)과 양쪽의 좌우 벽(13)에 각각 밀착시킴과 아울러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인서트(430)는, 안전 사고의 방지 등을 위하여, 상판(412)과 하판(414) 사이로 삽입된 때 상판(412)과 하판(414) 사이의 영역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서트(43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원형의 인서트 핀(432), 그리고 인서트 핀(432)의 외주에 제공된 셀프태핑 수나사(434)를 포함한다. 인서트 핀(432)은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판(412)과 하판(414)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셀프태핑 수나사(434)에 의하면, 인서트(430)를 상판(412)과 하판(414) 사이로 압력을 가하면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상판(412)과 하판(414)에 셀프태핑 수나사(434)와 구조적으로 결합되는 홈을 셀프태핑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2개의 인서트(430)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인서트(430)의 구비 개수는, 감소될 수도 있고, 확대된 상판(412)과 하판(414)의 간격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증가될 수도 있다. 도 10의 도면부호 436은 인서트 핀(432)의 후단에 확대된 크기를 가지도록 제공된 핀 헤드(pin head)이다. 그리고, 도 10의 도면부호 437은 인서트(430)를 상판(412)과 하판(414) 사이로 삽입하는 때 공구를 사용하여 작업할 수 있게 하는 공구 결합부로, 공구 결합부(437)는 핀 헤드(436)에 제공된다. 공구 결합부(437)는, 육각형 등 다각형의 홈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일자형이나 십자형의 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인서트(430)의 삽입과정에 관하여 살펴보면, 인서트(430)는, 인서트 핀(432)의 선단이 뾰족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판(412)과 하판(414)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된다. 상판(412)과 하판(414)은, 인서트(430)가 삽입되기 시작하면, 사이의 간격이 인서트(430)의 자체적인 두께에 의하여 확대되면서 보강 패널(100)의 전방 부분(110)과 양쪽의 좌우 벽(13)에 각각 강하게 밀착된다. 이때, 마찰 층(420)은 압착될 수 있다. 전방 부분(110)과 좌우 벽(13)에 각각 밀착된 상판(412)과 하판(414)의 간격은 삽입된 인서트(430)의 두께에 의하여 유지된다. 인서트(430)는, 상판(412)과 하판(414) 사이로 삽입되는 동안, 상판(412)의 하면 하판(414)의 상면에 셀프태핑에 의하여 홈을 형성한다. 셀프태핑에 의하여 형성된 홈에 의하면, 삽입된 인서트(430)는 상판(412) 및 하판(414)과 구조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분리가 방지된다. 가변 패널(410 및 420 참조)은, 인서트(430)가 상판(412)과 하판(414) 사이로 삽입되는 동안, 마찰 층(420)이 전방 부분(110) 및 좌우 벽(13)과 접촉되어 발생시키는 마찰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판(412)과 하판(414) 사이로 삽입되는 인서트(430)의 깊이는 핀 헤드(436)가 상판(412)의 전방 쪽 끝과 하판(414)의 전방 쪽 끝에 걸리는 것(도 8 참조)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10: 조적 벽체
20: 내력 벽체
12: 상부 벽
12A: 인방 영역 하면
13: 좌우 벽
15: 개구
16: 인방(상인방)
100: 보강 패널
110: 보강 패널의 전방 부분
110A: 지지 상면
112: 논슬립 층
114: 암나사 구멍
120: 보강 패널의 후방 부분
200: 정착 유닛
210: 브래킷의 수직 패널
220: 브래킷의 수평 패널
230: 정착 요소(앵커 볼트)
240: 신축 기구(턴버클)
300: 제1 서포트
310: 서포트 보디
320: 서포트 헤드
400: 제2 서포트
410: 금속 판
412: 상판
414: 하판
416: 연결 판
420: 마찰 층
430: 인서트
432: 인서트 핀
434: 셀프태핑 수나사

Claims (4)

  1.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에서 상기 개구 위쪽의 상부 벽과 상기 개구 양쪽의 좌우 벽 사이에 좌우로 연장된 전방 부분이 가로놓이도록 삽입되어 상기 상부 벽의 인방 영역 하면을 상기 전방 부분의 지지 상면으로 지지하는 보강 패널과;
    상기 보강 패널의 후방 부분을 상기 조적 벽체로부터 후방의 내력 벽체에 정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착 유닛은, 상기 내력 벽체에 정착되는 수직 패널 및 상기 수직 패널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 패널이 상기 보강 패널의 후방 부분에 연결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상기 수직 패널과 상기 수평 패널 사이에서 양단 부분이 상기 수직 패널과 상기 수평 패널에 각각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신축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패널은 후방 부분이 상기 브래킷의 상기 수평 패널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널의 상기 전방 부분에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제공되고,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 상면으로부터 상기 인방 영역 하면으로 돌출되거나 돌출이 해제되는 복수의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널은 상기 전방 부분에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암나사 구멍이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돌출되거나 돌출이 해제되는 복수의 상기 서포트는 복수의 상기 암나사 구멍에 각각 나사 결합이 되는 것으로서 외주의 수나사와 상단의 뾰족한 팁을 구비하는 서포트 보디 및 핸들링을 위하여 상기 서포트 보디의 하단에 형성된 서포트 헤드를 포함하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상면은 좌우로 연장된 패드 형태로서 상기 인방 영역 하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논슬립 층으로 구성된,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KR1020210147999A 2021-04-27 2021-11-01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KR102574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999A KR102574951B1 (ko) 2021-04-27 2021-11-01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09A KR102343762B1 (ko) 2021-04-27 2021-04-27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KR1020210147999A KR102574951B1 (ko) 2021-04-27 2021-11-01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09A Division KR102343762B1 (ko) 2021-04-27 2021-04-27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071A KR20220148071A (ko) 2022-11-04
KR102574951B1 true KR102574951B1 (ko) 2023-09-07

Family

ID=791766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09A KR102343762B1 (ko) 2021-04-27 2021-04-27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KR1020210147999A KR102574951B1 (ko) 2021-04-27 2021-11-01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09A KR102343762B1 (ko) 2021-04-27 2021-04-27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37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04B1 (ko) * 2009-06-26 2012-03-06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KR200471356Y1 (ko) * 2013-05-24 2014-02-17 차우동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장치
KR101614413B1 (ko) 2015-10-16 2016-04-22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인방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519B1 (ko) 2006-06-30 2007-10-12 권기혁 개구부를 갖는 조적벽체의 조적구조 및 그 조적공법
KR101079048B1 (ko) 2011-07-07 2011-11-03 전경랑 치장용 벽돌 벽체의 보수 보강공법
KR101187668B1 (ko) * 2011-11-15 2012-10-04 한가람건설 주식회사 외부벽돌벽 보수보강 방법
KR101271804B1 (ko) * 2013-02-18 2013-06-07 김은미 재활용 벽돌을 이용한 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57344B1 (ko) * 2013-11-13 2015-10-05 최연수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04B1 (ko) * 2009-06-26 2012-03-06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KR200471356Y1 (ko) * 2013-05-24 2014-02-17 차우동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장치
KR101614413B1 (ko) 2015-10-16 2016-04-22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인방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071A (ko) 2022-11-04
KR102343762B1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5559B2 (en) Adjustable anchor for curtain-wall system
US20200318358A1 (en) Anchor-free system for fastening of cladding panels and a method of fastening thereof
KR101244981B1 (ko)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KR101642817B1 (ko) 시공이 용이한 커튼월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2574951B1 (ko)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KR100780317B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102100754B1 (ko) 단열재가 부착된 건축물의 외부 벽면 상에 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한 쐐기형 외장재 고정 장치
KR101275932B1 (ko) 에이엘씨 패널을 종방향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하는 방법
KR20170044437A (ko)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및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
CN211229322U (zh) 墙体调平总成
KR102073622B1 (ko) 석재패널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석재패널 결합방법
KR10170571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JP4616060B2 (ja) 胴縁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物の外壁構造
JP389764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制震構造
JP6869789B2 (ja) 外壁改修構造
US11248374B2 (en) Facade support system
KR20180100822A (ko) 전단벽체 슬릿 인방 시스템
KR101273087B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KR102415459B1 (ko)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CN211713699U (zh) 桥梁伸缩器标高调整装置
CN218091328U (zh) 一种外墙连接结构
JP5909086B2 (ja) 建築用パネルの取付構造
WO2021260801A1 (ja) 木造住宅の耐力壁
KR101589487B1 (ko) 조립식 외단열 패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