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762B1 -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 Google Patents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762B1
KR102574762B1 KR1020220055913A KR20220055913A KR102574762B1 KR 102574762 B1 KR102574762 B1 KR 102574762B1 KR 1020220055913 A KR1020220055913 A KR 1020220055913A KR 20220055913 A KR20220055913 A KR 20220055913A KR 102574762 B1 KR102574762 B1 KR 102574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upled
truck
hook
lock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6863A (ko
Inventor
구홍식
황국희
Original Assignee
황국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국희 filed Critical 황국희
Priority to KR102022005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7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07Connections of movable or detachable racks or stanchions to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swingin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은 캐빈의 후방에서 적재함의 하부를 이루는 데크; 상기 데크의 측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하부 후크가 구비된 하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상부 후크가 구비된 상부 패널을 포함하는 사이드 패널; 상기 데크의 후면 상부에 결합된 리어 패널; 및 상기 리어 패널에 결합된 후측 잠금로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사이드 패널은 미확장 상태와 확장 상태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미확장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세워지고, 상기 확장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패널이 상기 데크에 대해 제1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상부 패널이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해 제2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사이드 패널이 L자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상기 미확장 상태에서는 상기 후측 잠금로드가 상기 하부 후크에 결합되고 상기 확장 상태에서는 상기 후측 잠금로드가 상기 상부 후크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TRUCK HAVING AN EXPANDABLE CARGO BED}
본 발명은 트럭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에 관한 것이다.
트럭이란 일반적으로 화물을 운반하도록 제작된 자동차로서, 현대사회의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트럭 중에서 적재함 부분에 지붕이 없는 종류를 흔히 픽업트럭(pickup truck)이라고도 부르는데, 적재함의 측면 및 후면을 이루는 사이드 패널 및 리어 패널을 데크의 상면 아래로 접을 수 있어 데크에 화물을 실을 때 여러 방향에서 데크를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트럭의 적재함은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는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좌우 방향으로의 폭은 일반적으로 차체의 폭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현재 시중에 있는 일반적인 픽업트럭의 경우, 적재함의 폭이 대체로 비슷한 범위 내에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일반적인 트럭의 적재함의 폭은 화물 운반에 사용되는 팔레트(pallet) 하나만을 수용할 수 있어, 적재함에 화물 팔레트를 실을 때 전후 방향을 따라 일렬로만 적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적재함의 폭을 양측으로 약간씩 더 확장할 수 있다면 법규에서 허용하는 범위를 초과하지 않으면서도 팔레트를 2열로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트럭이 반드시 화물 운송의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적재함이라는 하나의 실내 공간을 특정 장소에 운반하는 용도로 트럭이 사용되기도 한다. 즉, 트럭이 특정 장소에 도달한 후에는, 적재함이 제한된 크기로 이용될 필요가 없으며, 필요에 맞게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적재함 공간 주위로 텐트를 설치하면 공간의 내외부를 분리하여 더 높은 프라이버시를 제공할 수 있고 트럭의 적재함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적재함을 확장하고 적재함 공간 주위에 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은 캐빈의 후방에서 적재함의 하부를 이루는 데크; 상기 데크의 측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하부 후크가 구비된 하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상부 후크가 구비된 상부 패널을 포함하는 사이드 패널; 상기 데크의 후면 상부에 결합된 리어 패널; 및 상기 리어 패널에 결합된 후측 잠금로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사이드 패널은 미확장 상태와 확장 상태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미확장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세워지고, 상기 확장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패널이 상기 데크에 대해 제1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상부 패널이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해 제2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사이드 패널이 L자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상기 미확장 상태에서는 상기 후측 잠금로드가 상기 하부 후크에 결합되고 상기 확장 상태에서는 상기 후측 잠금로드가 상기 상부 후크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미확장 상태에서 상기 하부 후크의 높이는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상부 후크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고, 상기 후측 잠금로드는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리어 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패널은 양측 단부 각각에 상부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패널은 양측 단부 각각에 하부 후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후측 잠금로드는 상기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의 후측 단부에 구비된 상부 후크 및 하부 후크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는 상기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의 전측 단부에 구비된 상부 후크 및 하부 후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전측 잠금로드가 구비될 수 있다.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은 일단이 상기 리어 패널의 측면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브레이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패널은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스부재의 타단은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스부재의 타단이 상기 상부 후크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브레이스부재는 힌지에 의해 상기 리어 패널의 측면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힌지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리어 패널의 측면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은 상기 상부 패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포스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패널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결합된 조작슬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지지포스트는 상기 조작슬리브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조작슬리브를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지지포스트가 상기 상부 패널의 상부에 대해 회전하여 세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은 상기 하부 패널의 내표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포스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 패널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결합된 조작슬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포스트는 상기 조작슬리브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조작슬리브를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지지포스트가 상기 하부 패널의 내표면에 대해 회전하여 세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은 적재함을 양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대형 프레임 및 포스트 시스템은 적재함 주위로 천막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미확장 상태의 적재함보다 큰 공간에 텐트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특징은 적재함에 더 많은 화물을 실을 수 있게 함은 물론, 확장형 트럭이 정차한 상태에 있을 때 적재함의 활용도를 크게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의 미확장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의 확장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이 미확장 상태에 있을 때 사이드 패널과 리어 패널의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이 확장 상태에 있을 때 사이드 패널과 리어 패널의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이 확장 상태에 있을 때 사이드 패널과 리어 패널의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의 확대형 프레임의 미확장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의 확대형 프레임의 확장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의 포스트 시스템이 작동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의 포스트 시스템에 천막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에 장력부재와 케이블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에 천막부재와 보조천막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한 언급은 달리 명시되거나 유추되지 않는 이상 트럭(1000)을 기준으로 한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외측과 내측에 대한 언급은 달리 명시되거나 유추되지 않는 이상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트럭(1000)의 가운데를 향하는 쪽은 내측, 트럭(1000)의 가운데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멀어지는 쪽은 외측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1000)(이하, "확장형 트럭")은 적재함이 확장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미확장 상태와 확장 상태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확장형 트럭(1000)은 또한 확대형 프레임(500)과 포스트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확장된 공간 주위에 텐트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1000)의 미확장 상태와 확장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확장형 트럭(1000)의 사이드 패널(105)과 리어 패널(150)의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1000)은 캐빈(10), 데크(20), 사이드 패널(105), 리어 패널(150) 및 프론트 패널(510)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데크(20)의 상면(30), 양측의 사이드 패널(105), 리어 패널(150) 및 프론트 패널(510)은 적재함을 구성한다. 확장형 트럭(1000)은 또한 확대형 프레임(500)과 포스트 시스템(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확장형 트럭(1000)의 사이드 패널(105)과 리어 패널(150)의 구조 및 미확장 상태와 확장 상태 각각에서 사이드 패널(105)의 구성요소의 위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사이드 패널(105)이 미확장 상태에 있을 때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4 및 도 5는 사이드 패널(105)이 확장 상태에 있을 때의 위치를 나타낸다.
사이드 패널(105)은 기본적으로 상부 패널(110)과 하부 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패널(120)은 힌지(140)에 의해 데크(20)의 측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부 패널(110)은 힌지(130)에 의해 하부 패널(1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패널(120)의 힌지(140)는 180도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에서와 같이 힌지(140)가 0도 회전한 상태에서는 하부 패널(120)이 데크(20)의 상면(30)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위를 향할 수 있고, 힌지(140)가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는 하부 패널(120)이 데크(20)의 측면에 접촉하며 아래를 향할 수 있다. 힌지(140)가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는 사이드 패널(105) 전체가 아래를 향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데크(20)의 상면(30)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05)이 확장 상태로 변경될 때에는 하부 패널(120)의 힌지(140)가 데크(20)에 대해 0도와 180도 사이의 제1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패널(105)의 확장 상태에서 힌지(140)가 90도의 각도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하부 패널(120)의 내측 표면이 데크(20)의 상면(30)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확장 상태에서 하부 패널(120)이 회전되는 제1 각도는 90도가 아닐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사이드 패널(105)은 하부 패널(120)의 힌지(140)를 0도 및/또는 제1 각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부는 예를 들어 힌지(14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05)과 리어 패널(150)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별도의 고정부 없이도 사이드 패널(105)과 리어 패널(150)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부 패널(110)의 힌지(130)는 하부 패널(120)의 상부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힌지(130)가 0도 회전한 상태에서는 상부 패널(110)과 하부 패널(120)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세워져 데크(20) 상의 화물을 고정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05)이 확장 상태로 변경될 때에는 상부 패널(110)의 힌지(130)가 하부 패널(120)에 대해 제2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패널(105)의 확장 상태에서 힌지(130)가 90도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확장 상태에서 상부 패널(110)이 회전되는 제2 각도는 90도가 아닐 수도 있다. 또한, 사이드 패널(105)의 확장 상태에서 상부 패널(110)의 힌지(130)가 취하는 각도가 반드시 힌지(130)의 최대 회전 범위에 해당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이와 같이, 확장 상태에서 하부 패널(120)은 제1 각도로, 상부 패널(110)은 제2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데,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각도로서 사이드 패널(105)이 도 5에 묘사된 바와 같이 L자 형상의 단면을 갖게 할 수 있다.
리어 패널(150)은 힌지(160)에 의해 데크(20)의 후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패널(150)의 힌지(160)는 180도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에서와 같이 힌지(160)가 0도 회전한 상태에서는 리어 패널(150)이 데크(20)의 상면(30)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위를 향할 수 있고, 힌지(160)가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는 리어 패널(150)이 데크(20)의 후면에 접촉하며 아래를 향할 수 있다. 힌지(160)가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는 리어 패널(150) 전체가 아래를 향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데크(20)의 상면(30)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리어 패널(150)은 힌지(160)를 0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부는 예를 들어 힌지(16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05)과 리어 패널(150)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별도의 고정부 없이도 사이드 패널(105)과 리어 패널(150)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부 패널(120)의 단부에는 하부 후크(122)가 구비될 수 있고, 상부 패널(110)의 단부에는 상부 후크(1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후측 잠금로드(170)와 제2 후측 잠금로드(180)가 리어 패널(1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후크(112) 및 하부 후크(122)는 각각 제1 후측 잠금로드(170) 및 제2 후측 잠금로드(180)와 맞물려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후측 잠금로드(170) 및 제2 후측 잠금로드(180)는 리어 패널(150)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상부 후크(112), 하부 후크(122), 그리고 제1 및 제2 후측 잠금로드(170, 180)의 가능한 구조에 대한 한 가지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후크(112)와 하부 후크(122)는 개방된 부분이 위를 향하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후측 잠금로드(170, 180)는 전체적으로는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갖되 상부 후크(112)와 하부 후크(122)를 향하는 쪽에서 단부(172, 182)가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3에 도시된 미확장 상태에서 제2 후측 잠금로드(180)는 하부 후크(122)의 개방된 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절곡된 단부(182)가 아래를 향하고 있다. 리어 패널(150)과 제2 후측 잠금로드(180)에는 제2 후측 잠금로드(180)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2 후측 잠금로드(180)에 복수의 걸림돌기(184, 186)가 형성되어 있고, 리어 패널(150)에 잠금부재(154)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154)에는 걸림돌기(184, 186)가 특정 방향을 향할 때에만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걸림돌기(184, 186)가 아래를 향할 때 잠금부재(154)를 통과할 수 있다. 도 3에는 잠금부재(154)가 하나의 걸림돌기(184)의 일측에만 구비된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잠금부재(154)가 걸림돌기(184)를 양측에서 구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3에 묘사된 상태에서는 하부 후크(122)가 제2 후측 잠금로드(180)의 단부(182)에 의해 구속되어 있고, 제2 후측 잠금로드(180)가 잠금부재(154)에 의해 구속되어 있어 제2 후측 잠금로드(180)도 이동할 수 없고, 사이드 패널(105)도 회전할 수 없다. 자세히 표현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부 후크(112)와 제1 후측 잠금로드(170)도 유사한 구조에 의해 구속되어 있다. 즉, 상부 후크(112)가 제1 후측 잠금로드(170)의 단부(172)에 의해 구속되어 있고, 제1 후측 잠금로드(170)가 잠금부재(미도시)에 의해 구속되어 있어 제1 후측 잠금로드(170)도 이동할 수 없고, 사이드 패널(105)도 회전할 수 없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후측 잠금로드(180)는 제1 후측 잠금로드(170)에 비해 훨씬 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2 후측 잠금로드(180)가 미확장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확장 상태에서도 사이드 패널(105)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도 4 및 도 5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사이드 패널(105) 또는 리어 패널(15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제1 후측 잠금로드(170)의 단부(172)를 파지하여 위쪽을 향하도록 제1 후측 잠금로드(170)를 회전시킨 후 제1 후측 잠금로드(170)를 리어 패널(150)의 내측을 향해 약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후측 잠금로드(170)가 회전된 상태에서는 제1 후측 잠금로드(170)의 단부(172)가 상부 후크(112)에 걸리지 않고 제1 후측 잠금로드(170)의 걸림돌기(미도시)도 잠금부재(미도시)에 걸리지 않아 리어 패널(15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후측 잠금로드(170)의 이동으로 인해 제1 후측 잠금로드(170)의 단부(172)를 다시 아래로 회전시키더라도 제1 후측 잠금로드(170)는 상부 후크(112)에 맞물리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제2 후측 잠금로드(180)의 단부(182)를 파지하여 위쪽을 향하도록 제2 후측 잠금로드(180)를 회전시킨 후 제2 후측 잠금로드(180)를 리어 패널(150)의 내측을 향해 약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후측 잠금로드(180)가 회전된 상태에서는 제2 후측 잠금로드(180)의 단부(182)가 하부 후크(122)에 걸리지 않고 제2 후측 잠금로드(180)의 걸림돌기(184)도 잠금부재(154)에 걸리지 않아 리어 패널(15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후측 잠금로드(180)의 이동으로 인해 제2 후측 잠금로드(180)의 단부(182)를 다시 아래로 회전시키더라도 제2 후측 잠금로드(180)는 하부 후크(122)에 맞물리지 않는다.
사용자가 리어 패널(150) 양측에서 상부 후크(112) 및 하부 후크(122)와 제1 및 제2 후측 잠금로드(170, 180)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면, 리어 패널(150)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이드 패널(105)의 후측 단부에 형성된 상부 후크(112)와 하부 후크(122)은 사이드 패널(105)의 전측 단부에도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및 제2 후측 잠금로드(170, 18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제1 및 제2 전측 잠금로드가 프론트 패널(51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이드 패널(105)의 상부 후크(112) 및 하부 후크(122)와 제1 및 제2 후측 잠금로드(170, 180)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사이드 패널(105)의 상부 후크(112) 및 하부 후크(122)와 제1 및 제2 전측 잠금로드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면, 해당 사이드 패널(105)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와 도 5에는 사이드 패널(105)이 확장 상태로 배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105)이 확장 상태로 배치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패널(120)은 데크(20)에 대해 제1 각도로 회전되고 상부 패널(110)은 하부 패널(120)에 대해 제2 각도로 회전되어 사이드 패널(105)이 L자 형상의 단면을 이룰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패널(110)과 하부 패널(120)이 각각 90도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미확장 상태에서 하부 패널(120)의 단부에 형성된 하부 후크(122)의 높이는 확장 상태에서 상부 패널(110)의 단부에 형성된 상부 후크(112)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확장 상태에서 하부 후크(122)에 맞물리던 제2 후측 잠금로드(180)가 확장 상태에서는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부 후크(112)에 맞물릴 수 있다.
즉, 제2 후측 잠금로드(180)는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리어 패널(150)에 결합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걸림돌기(184, 18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후측 잠금로드(180)의 제1 걸림돌기(184)는 미확장 상태에서 제2 후측 잠금로드(180)의 단부(182)가 하부 후크(122)에 걸릴 때 잠금부재(154)에 걸리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걸림돌기(186)는 확장 상태에서 제2 후측 잠금로드(180)의 단부(182)가 상부 후크(112)에 걸릴 때 잠금부재(154)에 걸리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자면, 제2 걸림돌기(186)는 하부 패널(120)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1 걸림돌기(18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및 제2 전측 잠금로드와 제1 및 제2 후측 잠금로드(170, 180)의 상부 후크(110) 및 하부 후크(120)에 대한 걸림을 해제한 후, 사이드 패널(105)을 회전하여 L자 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확장 상태로 배치하고, 다시 제2 전측 잠금로드(80; 도 2 참조)와 제2 후측 잠금 로드(180)를 상부 패널(110) 양측의 상부 후크(112)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후측 잠금 로드(180)의 단부(182)가 상부 후크(112)에 맞물리도록 제2 후측 잠금 로드(180)를 회전시키면, 제2 후측 잠금 로드(180)의 제2 걸림돌기(186)가 잠금부재(154)에 걸리게 되어 제2 후측 잠금 로드(180)가 고정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05)의 양측 단부가 이와 유사하게 고정되면 사이드 패널(105)이 확장 상태의 배치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1000)은 리어 패널(150)의 측면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브레이스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스부재(190)는 사이드 패널(105)의 확장 상태에서 상부 패널(110)의 상부를 리어 패널(150)에 연결하여 사이드 패널(105)이 더욱 견고히 고정되게 하고 사이드 패널(105)에서 부담할 수 있는 하중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브레이스부재(190)의 일단이 힌지(192)에 의해 리어 패널(150)의 측면 단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브레이스부재(190)의 타단에는 연결후크(19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리어 패널(150)의 측면 단부에는 수용홈(159)이 형성되어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브레이스부재(190)가 수용홈(159)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105)을 확장 상태로 배치할 때, 사용자는 브레이스부재(190)를 수용홈(159)으로부터 인출하여 힌지(192)를 중심으로 브레이스부재(190)를 회전시킨 후 브레이스부재(190)의 연결후크(194)를 상부 패널(11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14)에 결합할 수 있다. 브레이스부재(190)는 리어 패널(150)의 상부와 상부 패널(110)의 상부를 연결하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상부 패널(110)을 고정하고 하중을 부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부 패널(110)에 별도의 고정돌기(114)를 형성하는 대신 브레이스부재(190)의 연결후크(194)가 상부 패널(110)의 상부 후크(112)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후측 잠금로드(180)의 단부(182)와 브레이스부재(190)의 연결후크(194)가 모두 상부 후크(112)에 맞물리게 할 수도 있고, 제2 후측 잠금로드(180)의 단부(182)와 브레이스부재(190)의 연결후크(194) 중 어느 하나만이 상부 후크(112)에 맞물리게 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를 기준으로 하면, 리어 패널(150)의 높이(즉, 상하 방향의 길이)를 더 크게 하고 브레이스부재(190)의 길이를 더 크게 하여 브레이스부재(190)의 힌지(192)의 위치를 더 높이 설정하면 브레이스부재(190)의 연결후크(194)가 상부 후크(112)에 맞물리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는 브레이스부재(190)의 힌지(192)가 리어 패널(150)의 측면 단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수용홈(159) 안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를 기준으로 하면, 브레이스부재(190)의 길이를 더 짧게 하되 브레이스부재(190)의 힌지(192)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브레이스부재(190)가 더 수평에 가까운 배치를 이루게 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수용홈(159)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미도시)를 형성하고,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미도시)를 가이드에 결합하고, 브레이스부재(190)의 힌지(192)를 해당 슬라이더에 구비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슬라이더의 이동을 허용 및 제한하는 잠금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브레이스부재(190)의 배치가 수평에 가까울수록 상부 패널(110)을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도 4에서 브레이스부재(190)의 연결후크(194)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상부 후크(112)에 맞물리게 하기 위한 용도로 슬라이더 등을 이용하여 힌지(192)를 이동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패널(150)의 브레이스부재(190)와 유사한 별도의 브레이스부재(90)가 프론트 패널(510)에도 구비될 수 있다. 리어 패널(150)의 브레이스부재(190)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중 다수는 프론트 패널(510)의 브레이스부재(9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1000)은 사이드 패널(105)을 미확장 상태와 확장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05)이 미확장 상태에서 확장 상태로 변경될 때 상부 패널(110)은 하부 패널(120)의 상하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측면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거리는 확장형 트럭(1000)이 사용되는 지역의 법규 등을 감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 패널(110)이 확장되는 거리가 25cm인 경우를 가정하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적재함이 데크(20)의 측면으로 25cm 확장되더라도 법규를 저촉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1000)에는 확대형 프레임(500)과 포스트 시스템(100)이 함께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적재함 주위에 텐트를 설치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포스트 시스템(100)은 최소한 사이드 패널(105)로부터 위로 세워지는 지지포스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지지포스트(200)의 단부가 사이드 패널(105)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확장형 트럭(1000)에 포함되는 내장식 텐트는 적재함이 확장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도 있지만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확장형 트럭(1000)의 확대형 프레임(500)의 구조 및 미확장 상태와 확장 상태 각각에서 확대형 프레임(500)의 구성요소의 위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확대형 프레임(500)의 미확장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입면도이고, 도 7은 확대형 프레임(500)의 확장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대형 프레임(500)은 우선 하부 수직프레임(520), 상부 수직프레임(530), 메인 수평프레임(540) 및 외측 수평프레임(5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확장형 트럭(1000)의 내장식 텐트를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하부 수직프레임(5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고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부 수직프레임(520)의 하단은 예를 들어 데크(20)의 상면(30)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수직프레임(520) 자체는 확장형 트럭(1000)의 프론트 패널(510)에 결합되거나 프론트 패널(510)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론트 패널(510)은 캐빈(10)의 후면을 이루는 부재일 수도 있지만 캐빈(10)과 분리된 별도의 패널일 수도 있다.
상부 수직프레임(530)은 하부 수직프레임(52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 수직프레임(52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수직프레임(520)과 상부 수직프레임(530) 중 어느 하나는 중공의 형태를 가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수평프레임(54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부 수직프레임(53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수평프레임(540)은 2개의 상부 수직프레임(53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상부 수직프레임(530)에 결합된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메인 수평프레임(540)을 승강하기 위한 구조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수평프레임(540)이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메인 수평프레임(540)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수도 있다.
외측 수평프레임(550)은 메인 수평프레임(54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메인 수평프레임(54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외측 수평프레임(550)은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돌기(710)를 포함할 수 있고, 단부에는 내측 스토퍼(560), 제1 상부 도르래(570), 제2 상부 도르래(580) 및 외측 스토퍼(5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도르래(570)와 제2 상부 도르래(580)는 해당 위치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상부 도르래(570) 및/또는 제2 상부 도르래(580)에는 도르래커버(420; 도 11 참조)가 결합될 수 있는데, 도르래커버(420)는 제1 상부 도르래(570) 및/또는 제2 상부 도르래(58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어 제1 상부 도르래(570) 및/또는 제2 상부 도르래(580)의 회전을 허용하면서도 그 자체는 회전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도르래커버(420), 내측 스토퍼(560), 제1 상부 도르래(570), 제2 상부 도르래(580) 및 외측 스토퍼(590)는 장력부재(360), 케이블부재(380) 및 천막부재(440)를 설치 및 작동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용도에 대해서는 이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르래커버(420), 내측 스토퍼(560), 제1 상부 도르래(570), 제2 상부 도르래(580) 및 외측 스토퍼(59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측 수평프레임(550)의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외측 수평프레임(550)과 메인 수평프레임(540)의 결합을 위해, 예를 들어 메인 수평프레임(540)과 외측 수평프레임(550) 중 어느 하나는 중공의 형태를 가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메인 수평프레임(540)이 중공의 형태를 갖고 외측 수평프레임(550)이 메인 수평프레임(540)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메인 수평프레임(540)에는 상부 수직프레임(530)의 상단이 결합된 부분과 메인 수평프레임(540)을 승강하기 위한 구조 사이에 수용공간으로 연통하는 가이드슬릿(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수평프레임(550)의 조작돌기(710)가 가이드슬릿(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후술되는 바와 같이 수평가압부재(700)는 조작돌기(710)에 결합되어 외측 수평프레임(550)을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은 예에서는 외측 수평프레임(550)이 중공의 형태를 갖고 메인 수평프레임(540)이 외측 수평프레임(550)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외측 수평프레임(550)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조작돌기(710)가 외측 수평프레임(550)의 외부에 형성되어 노출될 수 있고, 외측 수평프레임(550)에서 상부 수직프레임(5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수평가압부재(700)가 조작돌기(710)를 통해 외측 수평프레임(550)을 외측으로 가압할 때, 상부 수직프레임(530)이 메인 수평프레임(540)에 결합된 부분은 항상 가이드슬릿(미도시) 내에 위치하여 상부 수직프레임(530)으로 인해 외측 수평프레임(550)의 슬라이딩이 방해받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대형 프레임(500)은 또한 상부 수직프레임(530), 메인 수평프레임(540) 및 외측 수평프레임(550)을 승강 및 확장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확대형 프레임(500)은 샤프트(620), 하부 리프트부재(630), 하부 연결부재(660), 중간 리프트부재(680), 수평가압부재(700) 및 상부 연결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6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데크(20)의 상면(30)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620)에는 하부 리프트부재(630)가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620)는 상하 방향을 따른 하부 리프트부재(63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구동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샤프트(62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리프트부재(630)의 중앙에 형성된 연결부(640)가 샤프트(620)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구동부(610)가 샤프트(620)를 회전시키면 샤프트(620)에 나사결합된 하부 리프트부재(63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샤프트(620)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구동방법마다 샤프트(620)와 하부 리프트부재(630)의 연결부(640)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620)의 상단과 하단에는 하부 리프트부재(6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25)가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620)를 따라 하부 리프트부재(630)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동 모터, 유압 실린더, 공압 액츄에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610)가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확대형 프레임(500)이 센서(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샤프트(620) 상에서 하부 리프트부재(630)가 특정 높이에 도달하면 센서(미도시)가 이를 검출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구동부(6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샤프트(620)의 상하단에 구비된 스토퍼(625)에 장착될 수 있다.
즉, 하부 리프트부재(630)가 샤프트(620)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면(메인 수평프레임(540)이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면) 센서가 이에 대응하는 검출값을, 즉 특정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는 하부 리프트부재(630)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구동부(610)의 작동을 중지시켜 구동부(610) 및 기타 부품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리프트부재(630)가 샤프트(620)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면(메인 수평프레임(540)이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면) 센서가 이에 대응하는 검출값을, 즉 특정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는 하부 리프트부재(630)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구동부(610)의 작동을 중지시켜 구동부(610) 및 기타 부품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부(61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하부 리프트부재(6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620)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하부 리프트부재(630)가 이동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구동부(610)가 샤프트(6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크랭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부 리프트부재(630)가 수동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구현된 예에서는 센서와 제어부가 생략될 수 있고, 이를 대신하여 필요한 위치에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 리프트부재(630)의 양단 각각의 결합부(650)에는 하부 연결부재(66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 하부 연결부재(660)의 일단은 하부 리프트부재(630)의 단부의 결합부(6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단부의 결합부(6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연결부재(660)는 하부 리프트부재(630)의 이동에 따른 힘을 중간 리프트부재(68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연결부재(660)의 타단의 결합부(670)에는 중간 리프트부재(68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일단은 하부 연결부재(660)의 단부의 결합부(6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중앙은 회전축(6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상부 연결부재(720)의 단부의 결합부(69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600)은 프론트 패널(510) 등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중앙이 프론트 패널(510) 등에 고정된 회전축(600)에 결합되므로,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중앙은 위치의 변경 없이 회전하기만 한다. 따라서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일단이 아래로 당겨지면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타단은 위로 밀리게 된다.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타단의 결합부(690)에는 상부 연결부재(7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 상부 연결부재(720)의 일단은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단부의 결합부(69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메인 수평프레임(540)의 결합부(7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연결부재(720)는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이동에 따른 힘을 이용하여 메인 수평프레임(540)을 승하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확대형 프레임(500)은 수평가압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가압부재(700)의 일단은 중간 리프트부재(680)와 상부 연결부재(720)이 결합되는 결합부(69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조작돌기(7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수평가압부재(700)의 일단이 중간 리프트부재(680) 또는 상부 연결부재(720) 상의 소정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더라도 원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수평가압부재(700)는 상부 연결부재(720)가 메인 수평프레임(540)을 위로 상승시킬 때 조작돌기(710)를 좌우 방향으로 가압하여 외측 수평프레임(550)이 메인 수평프레임(540)에 대하여 외측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미확장 상태에서 하부 리프트부재(630)를 샤프트(620)를 따라 아래로 이동시키면, 하부 연결부재(660)에 의해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일단이 아래로 당겨질 수 있다.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중앙이 회전축(60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중앙 부위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므로,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일단이 아래로 당겨지면서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타단은 위로 밀리게 된다. 결국,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타단의 결합부(690)에 결합된 상부 연결부재(720)는 메인 수평프레임부재(540)를 위로 들어올릴 수 있다. 메인 수평프레임부재(540)에 결합된 상부 수직프레임(530)은 함께 위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부 수직프레임(530)을 해당 위치에 고정하는 잠금수단(미도시)이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중간 리프트부재(680) 및 이에 결합된 상부 연결부재(720)가 들어올려질 때, 중간 리프트부재(680)의 중앙은 회전축(600)에 의해 좌우 방향의 이동이 구속되고 상부 연결부재(720)의 타단은 메인 수평프레임부재(540)에 의해 좌우 방향의 이동이 구속되므로, 중간 리프트부재(680)와 상부 연결부재(720)의 결합부(690)는 좌우 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해(가운데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는 도 6과 도 7에서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결합부(690)의 위치 차이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다.
확장 상태에서 중간 리프트부재(680)와 상부 연결부재(720)의 결합부(690)가 내측으로 이동하므로, 결합부(690) 또는 이에 근접한 중간 리프트부재(680)와 상부 연결부재(720) 상의 소정 위치에 일단이 결합된 수평가압부재(700)는 외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고, 수평가압부재(70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돌기(710)는 외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평가압부재(700)의 일단을 중간 리프트부재(680)와 상부 연결부재(720)의 결합부(69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면, 수평가압부재(700)가 이동하는 거리가 극대화할 수 있어 더 용이하게 외측 수평프레임(550)이 원하는 거리만큼 확장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리프트부재(630)가 샤프트(620)에서 하강하면서(메인 수평프레임(540)이 상승하면서) 수평가압부재(700)과 외측 수평프레임(550)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긴 하지만, 확대형 프레임(500)이 처음 작동하기 시작할 때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수평가압부재(700)이 외측 수평프레임(550)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작으므로 정지된 상태의 외측 수평프레임(550)을 외측으로 처음 가압하기 시작할 때에는 수평가압부재(700)이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실시예에서는 수평가압부재(700)의 일단을 상부 연결부재(720) 상의 특정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수평가압부재(700)가 외측 수평프레임(550)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더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평가압부재(700)가 가하는 힘이 더 효과적으로 외측 수평프레임(550)에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가압부재(700)의 일단을 중간 리프트부재(680)와 상부 연결부재(720)의 결합부(69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면 수평가압부재(700)가 이동하는 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가압에 의해 외측 수평프레임(550)은 메인 수평프레임(5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프레임을 양측으로 확장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수평프레임(550)이 이와 같이 확장되는 거리는 확장형 트럭(1000)이 사용되는 지역의 법규 등을 감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외측 수평프레임(550)이 확장되는 거리가 25cm인 경우를 가정하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적재함이 데크(20)의 측면으로 25cm 확장되더라도 법규를 저촉하지 않는다.
위에 설명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대형 프레임(500)은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확대형 프레임(500)은 확장형 트럭(1000)의 포스트 시스템(100)과 함께 적재함 주위에 텐트를 설치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확장형 트럭(1000)의 포스트 시스템(100)의 구조 및 미확장 상태와 확장 상태 각각에서 포스트 시스템(100)의 구성요소의 위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시스템(100)이 작동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포스트 시스템(100)에 천막부재(440)를 장착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시스템(100)은 크게 지지포스트(200), 지지브레이스(270), 조작슬리브(300), 가이드샤프트(330, 350) 및 지지슬리브(34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1000)에 텐트를 설치하는 것이 요구될 때 사이드 패널(105)의 상부에 장착된 지지포스트(200)를 세우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는 사이드 패널(105)이 상부 패널(110)과 하부 패널(120)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시스템(100)이 상부 패널(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포스트 시스템(100)이 하부 패널(120)의 내측 표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먼저, 사이드 패널(105)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샤프트(330, 3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는 가이드샤프트(330, 350)가 서로 분리된 제1 가이드샤프트(330)와 제2 가이드샤프트(350)를 포함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가이드샤프트(330, 350)가 하나의 샤프트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조작슬리브(300)는 파지부(302)와 슬라이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슬리브(300)의 슬라이드부(320)는 가이드샤프트(330)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가이드샤프트(330)에 결합될 수 있다. 조작슬리브(300)의 파지부(302)는 사이드 패널(105)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거나 사용자의 제어 하에 별도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조작슬리브(300)의 파지부(302)에는 또한 지지포스트(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슬리브(340)는 가이드샤프트(350)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가이드샤프트(35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는 조작슬리브(300)와 지지슬리브(340) 서로 다른 제1 가이드샤프트(330)와 제2 가이드샤프트(350)에 각각 결합된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이들이 동일한 가이드샤프트(330, 35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포스트(20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그 일단은 결합부(310)에 의해 조작슬리브(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정해진 위치에는 지지브레이스(270)의 단부가 결합부(28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포스트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제어에 따라 지지포스트(200)를 필요한 위치에 세우려는 것이며, 지지포스트(200)는 확장형 트럭(1000)을 위한 내장식 텐트를 설치하기 위한 포스트 혹은 기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포스트(200)가 텐트 설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지지포스트(200)의 타단에 후측 도르래(210), 고정릴(230) 및 장착후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은 장력부재(360), 케이블부재(380), 천막부재(440) 및 보조천막부재(470)를 설치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용도에 대해서는 이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후측 도르래(210)가 지지포스트(200)의 정해진 위치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고정릴(230)은 지지포스트(200)의 정해진 위치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측 도르래(210)에는 휠(220)이 구비되어 후측 도르래(21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휠(220)은 후측 도르래(210)와 고정릴(230)을 분리할 뿐만 아니라 지지포스트(200)가 더 쉽게 세워지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포스트(200)의 타측 단부에 휠(220)이 구비되고, 휠(220)의 외측에는 후측 도르래(210)가, 내측에는 고정릴(230)이 구비되되, 휠(220)은 후측 도르래(210)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휠(220)은 후측 도르래(210)와 휠(220)이 반드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고정릴(230)도 반드시 회전하지 못하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후측 도르래(210)와 고정릴(230)의 구분이 없을 수도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휠(220)이 생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후측 도르래(210), 휠(220), 고정릴(230) 및 장착후크(24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지포스트(200)의 타측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는 지지포스트(200)의 타측 단부에 고정릴(230)과 장착후크(240)는 형성되어 있되 후측 도르래(210)와 휠(220)은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되어 지지포스트(20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후측 도르래(210), 휠(220) 및 고정릴(230)이 하나의 모듈로 제조되어 지지포스트(200)의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브레이스(270)는 그 일단이 결합부(290)에 의해 지지슬리브(3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그 타단은 결합부(280)에 의해 지지포스트(28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패널(105)이 중공의 형태를 가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샤프트(330, 350)와 지지슬리브(340) 등은 사이드 패널(105) 내부의 수용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포스트 시스템(100)의 일부 구성요소는 사이드 패널(105) 내부의 수용공간에 구비될 수 있고, 지지포스트(280)를 포함한 일부 구성요소는 사이드 패널(105)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공간 내외부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한 슬릿(265)이 사이드 패널(105)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부 패널(110)이 중공의 형태를 갖고 가이드샤프트(330, 350)와 지지슬리브(340)가 상부 패널(11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슬리브(300)의 일부 및 지지브레이스(270)의 일부가 통과하기 위한 슬릿(265)이 상부 패널(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8에는 상부 패널(110)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가 제시되어 있다. 도 8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는 폭이 감소된 협폭부(260)가 사이드 패널(105)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슬릿(265)이 협폭부(260)의 가운데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05)가 그 상부에 협폭부(260)를 포함하는 경우, 조작슬리브(300)와 지지포스트(200) 등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협폭부(260)를 감싸는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단면도에서는 조작슬리브(300)의 파지부(302)가 협폭부(26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측 부재(306)가 상부 패널(110)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있고, 연결부(304)가 슬릿(265)을 통해 파지부(302)와 슬라이드부(320)를 연결한다. 도 1 내지 4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지지포스트(200)도 이와 유사하게 협폭부(260)의 양측을 감싸는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슬릿(265) 내에도 일부분이 위치하는 E자 형상의 단면을 가져 더 높은 구조적 강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지지포스트(200)가 지지브레이스(270)에 결합되는 결합부(280)는 예를 들어 지지포스트(200) 중 슬릿(265)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포스트 시스템(100)의 미확장 상태에서 사이드 패널(105)의 상부에 형성된 슬릿(265)이 조작슬리브(300)의 파지부(302)와 지지포스트(200)에 의해 온전히 가려질 수 있고, 지지포스트(200)가 사이드 패널(105)의 협폭부(260)와 슬릿(265)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져 사이드 패널(105)의 상부에 틈이 없이 끼워질 수 있다. 이로써 조작슬리브(300)의 파지부(302)와 지지포스트(200)는 빗물 등이 슬릿(265)을 통해 수용공간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미확장 상태에서 지지포스트(200)는 도 8의 예에서와 같이 사이드 패널(105)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눕혀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지지포스트(200)가 사이드 패널(105)의 협폭부(260)를 감싸는 C자형 단면 또는 협폭부(260)를 감싸며 일부가 슬릿(265)에 삽입된 E자형 단면을 가져 사이드 패널(105)의 측부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유지하며 중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05)에서 지지포스트(200)의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경사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50)는 지지포스트(200)가 눕혀진 위치에서 일으켜지는 과정을 돕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지지포스트(200)의 단부를 향하는 경사면 또는 굴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포스트(200)가 경사부(250)를 향해 가압되면 지지포스트(200)의 단부는 경사부(250)의 경사면 또는 굴곡면을 따라 위로 올려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포스트(200)의 단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휠(2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포스트(200)가 경사부(250)를 향해 가압되면 휠(220)이 회전하면서 지지포스트(200)의 단부가 경사부(250)를 따라 위로 올라갈 수 있다.
도 8은 포스트 시스템(100)의 미확장 상태를 나타낸다. 미확장 상태에서는 지지포스트(200)가 적재함에 대한 접근을 방해하지 않도록 사이드 패널(105)에 밀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슬리브(300)는 제1 가이드샤프트(330)의 일측에 위치하고, 지지슬리브(340)는 제2 가이드샤프트(35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조작슬리브(300)와 지지슬리브(340)가 동일한 가이드샤프트(330, 350) 상에 결합된 경우에는, 조작슬리브(300)가 결합된 제1 가이드샤프트(330)가 동일한 가이드샤프트의 제1 구간을 의미하고 지지슬리브(340)가 결합된 제2 가이드샤프트(350)가 동일한 가이드샤프트의 제2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텐트 설치 등을 위해 지지포스트(200)를 세우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슬리브(300)의 파지부(302)를 직접 타측을 향해 밀거나 조작슬리브(300)를 타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조작할 수 있다. 조작슬리브(300)가 타측으로 가압되면 조작슬리브(300)에 결합된 지지포스트(200)가 함께 타측을 향해 이동하게 되는데, 지지포스트(200)의 일단은 조작슬리브(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경사부(250)에 접하고 있으므로 지지포스트(200)의 타측 단부는 경사부(250)를 따라 들어올려진다. 이 상태에서 조작슬리브(300)를 계속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조작슬리브(300)에 결합된 지지포스트(200)와 지지브레이스(270)는 함께 타측으로 이동하고, 지지브레이스(270)에 결합된 지지슬리브(340) 역시 가이드샤프트(350) 상에서 타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포스트 시스템(100)이 미확장 상태에서 확장 상태로 변경되는 중간 단계의 과정을 나타낸다. 조작슬리브(300)를 타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조작슬리브(300), 지지포스트(200), 지지브레이스(270) 및 지지슬리브(340)가 함께 타측으로 이동하는 중에, 마침내 지지슬리브(340)는 가이드샤프트(350)의 타측 단부 또는 가이드샤프트(350)에 설치된 스토퍼(미도시)에 도달하여 더 이상 타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슬리브(300)를 계속 타측으로 가압하면, 조작슬리브(300)는 제1 가이드샤프트(330) 상에서 이동하지만 지지슬리브(340)는 더 이상 제2 가이드샤프트(350) 상에서 이동하지 못하며, 조작슬리브(300)와 지지슬리브(340)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지지포스트(200)가 세워지게 된다. 즉, 결합부(290)에서 지지브레이스(270)가 지지슬리브(34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결합부(280)에서 지지브레이스(270)가 지지포스트(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며, 결합부(310)에서 지지포스트(200)가 조작슬리브(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조작슬리브(300)의 이동이 지지포스트(200)의 회전을 일으킬 수 있다.
도 10은 포스트 시스템(100)이 확장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의 상태에서 조작슬리브(300)가 계속 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포스트(200)가 사이드 패널(105)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증가하는 중에, 마침내 조작슬리브(300)는 제1 가이드샤프트(330)의 타측 단부 또는 가이드샤프트(330)에 설치된 스토퍼에 도달하여 더 이상 타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제1 가이드샤프트(330)와 제2 가이드샤프트(350)가 분리된 형태로 구현된 경우에는 제2 가이드샤프트(350)의 일측 단부가 제1 가이드샤프트(330) 타측에서 스토퍼 역할을 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시스템(100)은 조작슬리브(300)가 제1 가이드샤프트(330) 상에서 더 이상 타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의 지지포스트(200)의 각도 및 지지포스트(200)의 타측 단부의 높이가 전술한 확대형 프레임(500)의 확장 상태에서의 높이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트 시스템(100)의 확장 상태에서의 지지포스트(200) 타측 단부의 높이는 확대형 프레임(500)의 확장 상태에서의 외측 수평프레임(550)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포스트 시스템(100)이 사이드 패널(105)의 상부, 즉 상부 패널(110)의 상부에 적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시스템(100)을 사이드 패널(105)의 하부 패널(120)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포스트 시스템(100)은 하부 패널(120)의 내표면에 적용되어 지지포스트(200)가 하부 패널(120)의 내표면 상부에서 조작슬리브(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사이드 패널(105)이 확장 상태에 있어 L자 단면을 이루고 있을 때 하부 패널(120)로부터 위로 세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시스템(100)에 의하면, 지지포스트(200)의 단부가 특정 위치에 있도록 지지포스트(200)를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지지포스트(200)가 사이드 패널(105)의 상부에 대하여 회전하며 펼쳐짐에도 불구하고 도 2에서와 같이 지지포스트(200)의 단부가 사이드 패널(105)의 후측에 근접한 위치에 있게 할 수 있고, 심지어는 사이드 패널(105)의 후측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지지포스트(200)가 후방으로 후퇴되는 거리는 지지슬리브(340)가 제2 가이드샤프트(350) 상에서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면에는 지지포스트(200)가 사이드 패널(105)의 상부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지지포스트(200)가 이루는 각도는 특별한 값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포스트(200)가 세워지는 각도는 포스트 시스템(100)의 확장 상태에서의 조작슬리브(300)와 지지슬리브(34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조작슬리브(300)와 지지슬리브(340)가 더 근접하게 위치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포스트(200)는 90도에 가까운 각도로 세워질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지지포스트(200)에 장력부재(360)를 설치하는 경우, 지지포스트(200)가 0도에 가까운 각도를 가질수록 장력부재(360)에 후방으로 가하는 저항력이 증가할 것이다. 필요에 따라 조작슬리브(300) 및/또는 지지포스트(200)를 해당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1000)의 포스트 시스템(100)에 천막부재(440)를 장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1000)에 장력부재(360)와 케이블부재(380)를 장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1000)에 천막부재(440)와 보조천막부재(470)를 장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확대형 프레임(500)에서 외측 수평프레임(550)의 단부에는 제1 상부 도르래(570), 제2 상부 도르래(580) 및 이들에 결합된 도르래커버(420)가 구비되어 있고, 전술한 지지포스트(200)의 단부에는 후측 도르래(210)과 고정릴(230)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1000)은 이들을 이용하여 텐트를 설치 및 작동할 수 있도록 장력부재(360), 케이블부재(380), 하부 도르래(390), 천막부재(440) 및 보조천막부재(4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 장력부재(360)는 붉은색 점선으로, 케이블부재(380)는 푸른색 점선으로, 천막부재(440)는 검은색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장력부재(360)는 천막부재(4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강한 장력을 부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소정 길이의 와이어, 케이블, 밧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력부재(360)는 그 일단이 적재함의 전측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력부재(360)의 일단은 도르래커버(420), 프론트 패널(510), 메인 수평프레임(540) 또는 외측 수평프레임(55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는 천막부재(440)가 적재함의 앞부분을 덮는 전측천막부재(410)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장력부재(360)는 일단이 도르래커버(420)에 고정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장력부재(360)는 또한 지지포스트(200)의 고정릴(230)에 걸쳐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릴(230)은 휠(220)에 의해 그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후측 도르래(210)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력부재(360)의 일단은 적재함의 전측 상부에 고정되고 중간은 지지포스트(200)의 고정릴(230)에 걸쳐진 상태에서, 장력부재(360)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장력부재(360)의 자유단부(370)가 적재함의 후측 하부에 결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력부재(360)의 자유단부(370)는 사이드 패널(105) 또는 데크(20)의 특정 위치에 결속될 수 있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서는 장력부재(360)의 자유단부(370)가 트럭(1000)의 바퀴 아래에 물리거나 트럭(1000) 외부의 다른 물체에 결속될 수도 있다.
케이블부재(380)는 천막부재(440)를 펼치거나 걷기 위한 부분으로서, 장력을 부담할 수 있는 부재가 폐곡선으로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케이블부재(380)는 소정 위치의 결합지점(450)에서 천막부재(440)에 결합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상부 도르래(570, 580), 후측 도르래(210) 및 하부 도르래(39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케이블부재(380)는 제1 상부 도르래(570), 후측 도르래(210) 및 하부 도르래(390)가 케이블부재(380)의 폐곡선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상부 도르래(580)가 폐곡선 외부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하부 도르래(390)는 적재함의 전측 하부에 위치하여 케이블부재(380)를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위치로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부재(380)가 하부 도르래(390)에 걸쳐져 아래로 연장되므로 사용자는 케이블부재(380)의 아래로 연장된 부분을 파지하여 케이블부재(380)에 결합된 천막부재(440)를 펴거나 걷을 수 있다.
하부 도르래(390)에는 도르래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별도의 구동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서는 천막부재(440)의 개폐가 전적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부는 제1 상부 도르래(570)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상부 도르래(580)와 하부 도르래(39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천막부재(440)는 기본적으로 적재함의 양측과 상부를 덮어 텐트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천막부재(440)는 따라서 적재함의 양측과 상부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접히거나 권취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1000)은 접히거나 권취된 천막부재(440)를 결속하기 위한 수단 및/또는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천막부재(440)는 후측의 결합지점(450)에서 케이블부재(380)에 결합될 수 있고, 전측의 결합지점(430)에서 적재함의 전측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막부재(440)의 결합지점(430)은 도르래커버(420), 프론트 패널(510), 메인 수평프레임(540) 또는 외측 수평프레임(550)의 특정 위치일 수 있다.
천막부재(440)는 적재함의 앞부분을 덮는 전측천막부재(4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측천막부재(410)는 확대형 프레임(500)의 전방, 프론트 패널(510)의 전방 또는 프론트 패널(5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천막부재(470)는 적재함의 뒷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천막부재(470)는 그 양측 상부가 확장형 트럭(1000) 양측의 지지포스트(200)의 단부에 형성된 장착후크(240)에 각각 걸쳐져 적재함의 후미에서 늘어뜨려지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가로 부재(미도시)가 양측의 장착후크(240)에 걸쳐지고 보조천막부재(470)가 가로 부재(미도시)에 장착될 수도 있다.
후측 도르래(210), 고정릴(230), 하부 도르래(390), 및 제1 및 제2 상부 도르래(570, 580)에 장력부재(360) 및 케이블부재(380)가 장착된 후에는, 각 도르래에서 장력부재(360) 및/또는 케이블부재(380)를 보호하고 케이블부재(380)의 원활한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대응하는 도르래에 도르래커버(400, 420, 460)가 결합될 수 있다. 후측 도르래(210)와 고정릴(230)에는 하나의 도르래커버(460)가 결합될 수도 있지만 개별 도르래커버가 결합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상부 도르래(570, 580)에도 하나의 도르래커버(420)가 결합될 수도 있지만 개별 도르래커버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포스트 시스템(100)이 확장 상태로 배치되어 지지포스트(200)가 세워진 후에 장력부재(360)와 케이블부재(380)가 장착될 수도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장력부재(360)와 케이블부재(380)가 지지포스트(200)의 후측 도르래(210)와 고정릴(2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포스트(200)가 세워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력부재(360)이 항시 도르래커버(420)에 고정되고 케이블부재(380)이 항시 제1 및 제2 상부 도르래(570, 580)에 걸쳐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텐트 설치가 요구될 때, 사용자는 후측 도르래(210)와 고정릴(230)에 장력부재(360)와 케이블부재(380)을 장착하거나, 장력부재(360)와 케이블부재(380)이 장착된 후측 도르래(210)와 고정릴(230) 모듈을 지지포스트(200)의 단부에 결합할 수 있고, 그 후에 지지포스트(200)가 세워지도록 포스트 시스템(1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장력부재(360)의 자유단부(370)도 결속된 상태에서 지지포스트(200)가 세워지게 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지지포스트(200)가 원하는 위치로 세워지고 장력부재(360)와 케이블부재(380)가 온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케이블부재(380)를 당김으로써 천막부재(4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천막부재(440)의 전측 결합지점(430)은 고정된 위치에 있으므로, 천막부재(440)의 후측 결합지점(450)이 전측 결합지점(4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케이블부재(380)를 당기면 천막부재(440)가 적재함 위로 펼쳐지게 되고, 천막부재(440)의 후측 결합지점(450)이 전측 결합지점(4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케이블부재(380)를 당기면 천막부재(440)가 적재함의 전측으로 걷혀지게 된다.
도면에는 사이드 패널(105)이 확장된 상태에서 포스트 시스템(100)이 확장되는 경우를 중점적으로 묘사하였으나, 포스트 시스템(100)은 사이드 패널(105)이 미확장 상태에 있을 때에도 지지포스트(200)를 세울 수 있다. 또한, 확대형 프레임(500)이 확장 상태에 있더라도 사이드 패널(105)이 반드시 확장 상태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트럭(1000)은 적재함을 양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대형 프레임(500) 및 포스트 시스템(100)은 적재함 주위로 천막부재(440)를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미확장 상태의 적재함보다 큰 공간에 텐트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특징은 적재함에 더 많은 화물을 실을 수 있게 함은 물론, 트럭(1000)이 정차한 상태에 있을 때 적재함의 활용도를 크게 늘릴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확장형 트럭
20: 데크 100: 포스트 시스템
105: 사이드 패널 110: 상부 패널
120: 하부 패널 150: 리어 패널
170: 제1 후측 잠금로드 180: 제2 후측 잠금로드
190: 브레이스부재 200: 지지포스트
270: 지지브레이스 300: 조작슬리브
330, 350: 가이드샤프트 340: 지지슬리브
360: 장력부재 380: 케이블부재
440: 천막부재 500: 확대형 프레임
550: 외측 수평프레임 700: 수평가압부재

Claims (11)

  1. 캐빈의 후방에서 적재함의 하부를 이루는 데크;
    상기 데크의 측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하부 후크가 구비된 하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상부 후크가 구비된 상부 패널을 포함하는 사이드 패널;
    상기 데크의 후면 상부에 결합된 리어 패널; 및
    상기 리어 패널에 결합된 후측 잠금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 패널은 미확장 상태와 확장 상태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미확장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세워지고, 상기 확장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패널이 상기 데크에 대해 제1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상부 패널이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해 제2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사이드 패널이 L자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상기 미확장 상태에서는 상기 후측 잠금로드가 상기 하부 후크에 결합되고 상기 확장 상태에서는 상기 후측 잠금로드가 상기 상부 후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확장 상태에서 상기 하부 후크의 높이는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상부 후크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후측 잠금로드는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리어 패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은 양측 단부 각각에 상부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패널은 양측 단부 각각에 하부 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후측 잠금로드는 상기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의 후측 단부에 구비된 상부 후크 및 하부 후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는 상기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의 전측 단부에 구비된 상부 후크 및 하부 후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전측 잠금로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리어 패널의 측면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브레이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은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스부재의 타단은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스부재의 타단은 상기 상부 후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부재는 힌지에 의해 상기 리어 패널의 측면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리어 패널의 측면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포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된 조작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포스트는 상기 조작슬리브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작슬리브를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지지포스트가 상기 상부 패널의 상부에 대해 회전하여 세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의 내표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포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된 조작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포스트는 상기 조작슬리브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조작슬리브를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지지포스트가 상기 하부 패널의 내표면에 대해 회전하여 세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KR1020220055913A 2022-05-06 2022-05-06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KR102574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913A KR102574762B1 (ko) 2022-05-06 2022-05-06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913A KR102574762B1 (ko) 2022-05-06 2022-05-06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863A KR20220066863A (ko) 2022-05-24
KR102574762B1 true KR102574762B1 (ko) 2023-09-04

Family

ID=8180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913A KR102574762B1 (ko) 2022-05-06 2022-05-06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7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8519A1 (en) 2005-03-18 2006-09-21 King E M Tailgate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8519A1 (en) 2005-03-18 2006-09-21 King E M Tailgate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863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999B1 (ko) 루프박스,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량루프와 루프박스를 내장한 자동차
US4150682A (en) Extendable, retractable and portable shelter
US11052828B2 (en) Cargo rack for trucks
US8286290B2 (en) Dock leveler
KR101847831B1 (ko) 차량 운송용 트레일러
US8919079B2 (en) Tarp loa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9522704B1 (en) Powered closing tailgate assembly
US4830427A (en) Vehicle cover supporting system
KR20190009281A (ko) 부분 또는 완전 접이식 이동형 인클로저
KR102574762B1 (ko)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WO2015050338A1 (ko)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KR102618173B1 (ko) 확대형 프레임, 포스트 시스템, 및 텐트 내장식 확장형 트럭
CN111874474B (zh) 一种篷布收展装置和篷布开顶集装箱
KR100635134B1 (ko) 견인차량
KR101643088B1 (ko)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101821271B1 (ko)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가이드장치
KR101997648B1 (ko) 캠핑카용 승강식 침대
CA3134392A1 (en) Auto locking mechanism
GB2209311A (en) Vehicle cover arrangements
CA1064800A (en) Extendable, retractable and portable shelter
KR101658287B1 (ko) 차량 적재함용 캠핑 시스템
JP3446090B2 (ja) トラック用簡易型クレーン
KR200318672Y1 (ko) 트레일러의 중장비 적재용 경사판
CN218489444U (zh) 一种车用自动篷布机
KR102001402B1 (ko) 야적 파렛트용 화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