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614B1 - 메탈리드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메탈리드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614B1
KR102574614B1 KR1020200178146A KR20200178146A KR102574614B1 KR 102574614 B1 KR102574614 B1 KR 102574614B1 KR 1020200178146 A KR1020200178146 A KR 1020200178146A KR 20200178146 A KR20200178146 A KR 20200178146A KR 102574614 B1 KR102574614 B1 KR 102574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er
metal lead
lead
met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776A (ko
Inventor
조철훈
임종빈
류형진
Original Assignee
(주)펨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펨트론 filed Critical (주)펨트론
Priority to KR1020200178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61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리드 이송장치는, 적층된 메탈리드 중 맨 위의 메탈리드에 접촉되어, 진공압 인가시 메탈리드를 흡착하는 픽커; 및 픽커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픽커와 이격된 지점에서 메탈리드에 접촉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픽커로의 진공압의 인가시, 맨 위의 메탈리드는, 스토퍼에 의해 맨 위의 메탈리드의 한 쪽이 눌린 상태에서, 픽커와 접촉되는 맨 위의 메탈리드의 다른 쪽이 진공압의 흡인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서, 픽커에 흡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메탈리드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metal lead}
본 발명은 메탈리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메탈리드의 흡착과정에서, 메탈리드의 한 쪽이 스토퍼에 의해 눌린 상태에서 메탈리드의 다른 쪽이 진공압에 의해 들어올려지면서 픽커에 흡착되어, 여러 개의 메탈리드가 적층되어 있더라도 한 개의 메탈리드를 흡착할 수 있는 메탈리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노트북,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DA) 등의 휴대용 모바일기기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인 축전지가 포함된 배터리팩을 단말기의 일측면에 결합하여 사용하며, 이 배터리팩은 단말기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성과 더불어 이동성을 보장하여준다.
이와 같이, 휴대성과 이동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인 2차 전지는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의 가역적인 상호변환을 통해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로서, 최근에는 에너지밀도가 높은 리튬계 2차 전지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 휴대폰, 노트북 등 전기를 비교적 많이 소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대부분 전원공급용 베터리로 충전가능한 2차 전지인 리튬폴리머전지를 사용하고 있다.
리드탭(20)은 이와 같은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구동을 위하여 외부회로의 접속단자로서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리드탭(20)은 이차전지의 전극에 연결되며, 이차전지의 케이스 외부로의 밀봉과 절연을 위해 전도성 부재에는 수지로 구성된 필름이 양면에 열융착된다. 도 1를 참조하면, 리드탭(20)은 메탈리드(21)과 리드필름(22)으로 구성된다.
리드탭(20)은 이차전지의 규격에 맞춰 메탈리드(21)를 절단하는 컷팅공정과, 메탈리드(21)에 리드필름(22)을 융착하는 융착공정을 거쳐 제작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컷팅공정부(10)는 메탈릴(12)에서 풀린 메탈(12a)을 컷터(13)를 이용하여 일정 규격으로 컷팅하여, 메탈리드(21)를 생산한다. 컷터(13)에서 컷팅된 메탈리드(21)는 그리퍼(15)에 의해 거치대(19)로 이동된다.
리드픽커장치(70)는 컷팅공정부(10)와 융착공정부의 리드안착대(50) 사이에 설치된다. 리드픽커장치(70)는 리드픽커(71)와 픽커이송레일(72)을 구비한다.
리드픽커(72)는 픽커이송레일(72)을 따라 이동하면서, 거치대(19)에 놓인 메탈리드(21)를 흡착하여 스태커(30)로 이송한다. 또한, 리드픽커(72)는 픽커이송레일(72)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태커(30)에 적층된 메탈리드(21) 중 맨 위의 메탈리드(21)를 흡착하여 융착공정부의 리드안착대(50)로 이송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픽커(71)가 메탈리드(21)를 흡착하는 과정에서, 스태커(30)에 적층된 메탈리드(21)간의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 차이 및/또는 정전기로 인해 서로 맞닿은 메탈리드(21)가 서로 붙어 있는 상태로, 여러 개의 메탈리드(21)가 리드픽커(71)에 흡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여러 개의 메탈리드(21)가 융착공정부의 리드안착대(50)로 이송되는 경우에, 여러 개의 메탈리드(21)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리드필름(22)이 융착되면, 리드탭(20)의 제조불량이 유발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87084호에는 반도체 패키지의 진공 흡착 픽커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탈리드의 흡착과정에서, 메탈리드의 한 쪽이 스토퍼에 의해 눌린 상태에서 메탈리드의 다른 쪽이 진공압에 의해 들어올려지면서 픽커에 흡착되어, 여러 개의 메탈리드가 적층되어 있더라도 한 개의 메탈리드를 흡착할 수 있는 메탈리드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리드 이송장치는, 적층된 메탈리드 중 맨 위의 메탈리드에 접촉되어, 진공압 인가시 메탈리드를 흡착하는 픽커; 및 픽커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픽커와 이격된 지점에서 메탈리드에 접촉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픽커로의 진공압의 인가시, 맨 위의 메탈리드는, 스토퍼에 의해 맨 위의 메탈리드의 한 쪽이 눌린 상태에서, 픽커와 접촉되는 맨 위의 메탈리드의 다른 쪽이 진공압의 흡인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서, 픽커에 흡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픽커의 하단에는 벨로우즈 타입의 진공패드가 설치되고, 진공패드는 메탈리드에 접촉된 상태에서 진공압이 인가되면 흡인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메탈리드를 잡아당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퍼는 고무재질로 마련되어, 메탈리드와의 접촉시 메탈리드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리드 이송장치는, 픽커와 스토퍼가 나란하게 설치된 픽커베이스; 및 픽커베이스에 설치되어, 메탈리드의 적층방향으로 픽커베이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적층방향으로의 픽커 및 스토퍼의 위치를 조정하는 픽커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리드 이송장치는, 픽커승강부에 설치되어, 픽커승강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픽커에 흡착된 메탈리드의 위치를 소정의 각도만큼 가변시키는 픽커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리드 이송장치는, 픽커승강부와 픽커회전부에 설치되어, 픽커승강부와 픽커회전부를 지지하는 픽커지지부; 및 픽커지지부가 메탈리드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픽커이송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여러 개가 적층된 메탈리드 중 맨 위의 메탈리드를 흡착하는 과정에서, 스토퍼에 의해 맨 위의 메탈리드의 한 쪽이 눌려진 상태에서, 맨 위의 메탈리드의 다른 쪽이 진공압의 흡인 방향으로 들어올려짐에 따라, 맨 위의 메탈리드와 아래에 적층된 메탈리드 간의 압력 차이 및/또는 정전기가 해소되어,여러 개의 메탈리드가 적층되어 있더라도 한 개의 메탈리드를 흡착할 수 있다.
도 1은 리드탭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드픽커이송장치가 설치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드픽커이송장치가 메탈리드를 흡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리드 이송장치의 설치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리드 이송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커와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리드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탈리드 이송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리드 이송장치(100)는 메탈리드(21)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장치이다. 메탈리드(21)는 양면이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진다. 메탈리드(21)로는 리드탭의 제작에 사용되는 메탈리드가 해당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메탈리드(21)가 제작되는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탈(12a)은 끝단이 그리퍼(15)에 잡힌 상태에서, 컷터에 의해 컷팅된다. 이후, 그리퍼(15)는 메탈리드(21)를 잡은 상태로 거치대(19)로 이동된 후, 메탈리드(21)를 거치대(19)에 놓는다. 메탈리드(21)는 메탈릴(12)에서 권출된 메탈이 일정 규격으로 컷팅된 것이다.
리드탭의 제조 과정에서, 컷팅공정과 융착공정 간의 공정 속도 차이로 인해, 메탈리드(21)는 컷팅부(10)에서 컷팅된 후 바로 융착공정부의 리드안착대(50)로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스태커(30)에 적층된 후, 융착공정속도에 맞춰, 스태커(30)에서 융착공정부의 리드안착대(50)로 제공된다. 여기서, 스태커(30)는 메탈리드(21)의 적층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조를 가져, 맨 위의 메탈리드(21)가 기준위치에 위치되게 작동된다.
리드탭 제조 과정에서, 본 발명인 메탈리드 이송장치(100)는 스태커(30)를 사이에 두고 거치대(19)와 융착공정부의 리드안착대(50)를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은 컷팅 후 거치대(19)에 놓인 메탈리드(21)를 흡착하여 스태커(30)로 이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태커(30)에 적층된 메탈리드 중 맨 위의 메탈리드(21)를 흡착하여 리드안착대(50)로 이송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메탈리드 이송장치(100)는 픽커부(110)와 픽커이송레일(120)을 포함한다.
픽커부(110)는 적층된 메탈리드 중 맨 위의 메탈리드(21)에 접촉되게 이동되어, 메탈리드(21)를 흡착한다. 픽커부(110)는 픽커베이스(111), 스토퍼(112), 픽커(113), 픽커승강부(115), 픽커회전부(116) 및 픽커지지부(117)로 구성된다.
픽커(113)는 픽커베이스(111)에 설치된다. 픽커(113)에는 공압유동관(113b)이 설치된다. 진공압(P1)은 공압유동관(113b)을 통해 픽커(113)로 제공된다.
픽커(113)의 하단에는 진공패드(113a)가 마련된다. 진공패드(113a)는 벨로우즈 타입으로서, 메탈리드(21)에 접촉된 상태에서 진공압(P1)이 인가되면 흡인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메탈리드(21)를 잡아당긴다. 진공패드는 메탈리드(21)와의 접촉시, 메탈리드(21)에 손상을 주지 않은 재질로 마련된다.
픽커(113)는 진공압(P1) 인가시 메탈리드(21)를 흡착하고, 진공압(P1) 해제시 흡착된 메탈리드(21)를 블로잉한다. 진공압이 해제되면, 픽커(113)는 대기압(P2) 상태로, 픽커에 흡착된 메탈리드는 중력에 의해 낙하된다.
스토퍼(112)는 픽커(113)와 나란하게 픽커베이스(111)에 설치된다. 스토퍼(112)는 고무재질로 마련되어, 메탈리드(21)와의 접촉시 메탈리드(2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12)는 픽커(113)로의 메탈리드(21)의 흡착과정에서, 픽커(113)와 이격된 지점에서 메탈리드(21)에 접촉되고, 픽커(113)로의 진공압(P1)의 인가시 메탈리드(21)의 한 쪽을 누른다.
픽커(113)로의 메탈리드(21)의 흡착과정에서, 스토퍼(112)가 맨 위의 메탈리드(21)의 한 쪽을 누른 상태에서 진공압(P1)에 의해 맨 위의 메탈리드(21)의 다른 쪽이 들어올려지면서, 맨 위의 메탈리드(21)와 아래에 적층된 메탈리드 간의 압력 차이 및 정전기가 사라지게 되어, 맨 위의 메탈리드(21)만 픽커(113)에 흡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문제점으로 언급된, 스태커(30)에 적층된 메탈리드간의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 차이 및/또는 정전기로 인해 서로 맞닿은 메탈리드가 서로 붙어 있는 상태로, 여러 개의 메탈리드가 픽커(113)에 흡착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픽커승강부(115)는 픽커베이스(111)와 승강지지대(114) 사이에 설치된다. 픽커승강부(115)는 승강지지대(114)를 기준으로, 메탈리드(21)의 적층방향으로 픽커베이스(111)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적층방향으로의 픽커(113) 및 스토퍼(112)의 위치를 조정한다.
픽커회전부(116)는 승강지지대(114)에 설치된다. 픽커회전부(116)는 승강지지대(114)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픽커(113)에 흡착된 메탈리드(21)의 위치를 소정의 각도만큼 가변시킨다. 픽커회전부(116)가 승강지지대(114)를 90도 회전시키면, 픽커승강부(115)에 결합된 픽커베이스(111)도 90도 회전된다. 이에 따라, 픽커(113)에 흡착된 메탈리드(21)도 함께 90도 회전하게 된다.
픽커지지부(117)는 픽커승강부(115)와 픽커회전부(116)에 설치되어, 픽커승강부(115)와 픽커회전부(116)를 지지한다. 픽커지지부(117)는 픽커이송레일(120)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픽커이송레일(120)은 메탈리드(21)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메탈리드 이송장치(100)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픽커승강부(115)는 픽커(113)로의 진공압(P1) 인가 전에, 픽커베이스(111)를 적층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이러한 픽커승강부(115)의 작동에 의해, 픽커(113)와 스토퍼(112)는 기준위치에 놓인 메탈리드(21)에 접촉된다. 여기서, 기준위치는 스태커(30)에 적층된 메탈리드 중 맨 위의 메탈리드(21)의 높이이다. 스태커(30)는 적층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맨 위의 메탈리드(21)가 기준위치에 위치되도록 작동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픽커(113)와 스태커(30)가 맨 위의 메탈리드(21)와 접촉된 상태에서, 픽커(113)로 진공압(P1)이 인가되면, 맨 위의 메탈리드(21)는 스토퍼(112)에 의해 맨 위의 메탈리드(21)의 한 쪽이 눌려진 상태에서, 맨 위의 메탈리드(21)의 다른 쪽이 진공압(P1)의 흡인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서 픽커(113)에 흡착된다. 진공압(P1)은 메탈리드(21)의 흡착 및 이송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픽커(113)에 제공된다.
맨 위의 메탈리드(21)의 다른 쪽이 아래에 적층된 메탈리드에서 흡인 방향으로 들어올려질 때, 맨 위의 메탈리드(21)와 아래에 적층된 메탈리드 간의 압력 차이가 해소되면서, 픽커(113)에는 맨 위의 메탈리드(21)만 흡착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커승강부(115)가 승강 작동되면, 스토퍼(112)가 적층된 메탈리드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어, 픽커(113)에 흡착된 맨 위의 메탈리드(21)는 스태커(30)에 적층된 메탈리드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메탈리드(21)가 적층되어 있더라도 한 개의 메탈리드(21)를 흡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7(d)를 참조하면, 픽커부(110)는 픽커이송레일(120)을 따라 메탈리드(21)의 이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픽커부(110)는 스태커(30)의 상부에서 리드안착대(50)의 상부로 이동된다. 리드안착대(50)의 상부에서, 픽커승강부(115)는 리드안착대(50)를 향해 하강 작동된다. 이어서, 픽커(113)로의 진공압이 해제되면, 픽커(113)에 흡착된 메탈리드(21)는 리드안착대(50)로 블로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메탈리드 이송장치
110: 픽커부 111: 픽커베이스
112: 스토퍼 113: 픽커
113a: 진공패드 113b: 공압유동관
114: 승강지지대 115: 픽커승강부
116: 픽커회전부 117: 픽커지지부
120: 픽커이송레일

Claims (6)

  1. 적층된 메탈리드 중 맨 위의 메탈리드에 접촉되어, 진공압 인가시 메탈리드를 흡착하는 픽커; 및
    상기 픽커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픽커와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메탈리드에 접촉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픽커로의 상기 진공압의 인가시, 상기 맨 위의 메탈리드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맨 위의 메탈리드의 한 쪽이 눌린 상태에서,
    상기 픽커와 접촉되는 상기 맨 위의 메탈리드의 다른 쪽이 상기 진공압의 흡인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맨 위의 메탈리드 만이 상기 픽커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리드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의 하단에는 벨로우즈 타입의 진공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진공패드는 상기 메탈리드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압이 인가되면 상기 흡인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메탈리드를 잡아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리드 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고무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메탈리드와의 접촉시 상기 메탈리드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리드 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와 상기 스토퍼가 나란하게 설치된 픽커베이스; 및
    상기 픽커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메탈리드의 적층방향으로 상기 픽커베이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상기 적층방향으로의 상기 픽커 및 상기 스토퍼의 위치를 조정하는 픽커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리드 이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승강부에 설치되어, 상기 픽커승강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픽커에 흡착된 상기 메탈리드의 위치를 상기 소정의 각도만큼 가변시키는 픽커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리드 이송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승강부와 상기 픽커회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픽커승강부와 상기 픽커회전부를 지지하는 픽커지지부; 및
    상기 픽커지지부가 상기 메탈리드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픽커이송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리드 이송장치.
KR1020200178146A 2020-12-18 2020-12-18 메탈리드 이송장치 KR102574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46A KR102574614B1 (ko) 2020-12-18 2020-12-18 메탈리드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46A KR102574614B1 (ko) 2020-12-18 2020-12-18 메탈리드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776A KR20220087776A (ko) 2022-06-27
KR102574614B1 true KR102574614B1 (ko) 2023-09-06

Family

ID=8224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146A KR102574614B1 (ko) 2020-12-18 2020-12-18 메탈리드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6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748B1 (ko) * 2016-04-21 2018-06-04 유종재 대용량 이차전지용 리드탭 자동화 필름 열융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084A (ko) 2003-04-04 2004-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의 진공 흡착 픽커
KR20160084211A (ko) * 2015-01-05 2016-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748B1 (ko) * 2016-04-21 2018-06-04 유종재 대용량 이차전지용 리드탭 자동화 필름 열융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776A (ko)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0304B2 (en) Packing apparatus for an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738724B1 (ko) 유닛셀 이송 시스템
CN109713351B (zh) 二次电池的绝缘膜封装装置
US20220115688A1 (en) Sequential pressure formation jig and formation method using same
KR102414044B1 (ko) 전지 셀에 부착 가능한 접착 테이프용 테이핑 장치 및 테이핑 방법
KR101761971B1 (ko) 쇼트 측정장치
KR101208998B1 (ko) 전극판 이송장치
KR102416147B1 (ko) 리드탭 제작용 메탈 컷팅 장치
KR102574614B1 (ko) 메탈리드 이송장치
KR101840859B1 (ko) 전극조립체 고정용 접착부재의 부가 장치
JP5831488B2 (ja) 電池用樹脂シートの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EP3764430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by using same
KR101805954B1 (ko) 유닛셀 공급장치
KR20220009155A (ko) 배터리모듈 케이스 조립장치
KR102421706B1 (ko) 메탈 컷팅 장치
KR102654140B1 (ko) 이차전지 제조 장치
KR20230003995A (ko) 파우치셀 이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송 방법
JPH1145739A (ja) 電池製造装置
CN212277279U (zh) 一种叠片装置
JP7462981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の積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テリーパック積載方法
KR101119070B1 (ko) 리튬 폴리머 계열 전지용 용기를 성형하는 방법
KR101820443B1 (ko) 공정성이 향상된 전지케이스 폴딩 장치 및 폴딩 방법
KR20210090919A (ko) 원통형 전지 제조 장치
KR20220119728A (ko) 이차전지의 전극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10892B1 (ko) 리드탭 제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