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516B1 - 전구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전구결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4516B1 KR102574516B1 KR1020220168412A KR20220168412A KR102574516B1 KR 102574516 B1 KR102574516 B1 KR 102574516B1 KR 1020220168412 A KR1020220168412 A KR 1020220168412A KR 20220168412 A KR20220168412 A KR 20220168412A KR 102574516 B1 KR102574516 B1 KR 1025745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contact
- light bulb
- contact portion
- electrode
- bulb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17 poly(methylsilsesqui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46—Two-pole devices for bayonet type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 및 분리를 원터치로 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구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이동하며 전구의 제1전극과 접촉하여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제1전극접촉부; 좌우로 이동하며 전구의 제2전극과 접촉하여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제2전극접촉부; 상기 제1전극접촉부 및 제2전극접촉부를 수용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구결합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구설치 및 분리를 빠르고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구설치 및 분리를 빠르고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구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결합 및 분리를 원터치로 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구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 전구는 PCB기판유닛의 LED모듈회로와 직류전원장치와 전원이 공급되는 나사소켓이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현재, LED 전구는 분리되지 않아 유리형광등과 같이 취급되어져 폐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1년부터 공공기관, 아파트 등을 중심으로 LED 조명 사용이 급증해오면서, 이에 따라 버려지는 LED 조명은 2030년에는 72만3000t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폐 LED조명을 재활용하면 발광다이오드칩은 1kg당 2000원, 철은 1kg당 1400원, 알루미늄은 1kg당 1300원 각각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LED전구를 비롯한 조명기구들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분리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구를 설치나 분리할 때에는 보통 소켓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을 따라 돌려서 결합시키거나 분리를 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인 공개특허 제10-2014-0123672호를 살펴보면, 개별 LED가 구형의 외주면을 따라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홈의 저면에서 부터 복수개의 방열핀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형 방열부; 및 상기 판형 방열체의 조립부의 내측에 중공으로 되어 있는 표주박 형태의 방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으로 되어 있는 표주박 형태의 방열체의 목이 있는 부분은 꼭지쇠의 열전달 매개체로 연결되며, 상기 열전달 매개체는 외부의 브라켓으로 연결되며, 상기 중공으로 되어 있는 표주박 형태의 방열체는 상기 LED 조명장치의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형 LED 조명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전구형 LED 조명장치도 마찬가지로 브라켓에 전구를 돌려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많은 작업을 해야할 때에는 결합 및 분리에 시간이 많이 걸려 비효율적이고 매우 번거로우며, 사용하기 전에도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전구설치를 빠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구결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이동하며 전구의 제1전극과 접촉하여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제1전극접촉부; 좌우로 이동하며 전구의 제2전극과 접촉하여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제2전극접촉부; 상기 제1전극접촉부 및 제2전극접촉부를 수용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구결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전극접촉부는 전구의 끝단에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전극접촉부는 전구의 측면에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전극접촉부는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전극접촉부는 상기 제2전극접촉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전극접촉부는 상기 제1전극접촉부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2전극접촉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2전극접촉부를 이동시키는 해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구설치 및 분리를 빠르고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구의 결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구조도;
도 3은 도 2에서 베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가이드부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
도 5a는 전구 소켓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b는 도 5a의 저면도;
도 6은 커버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커버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해제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해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11은 전구 소켓부의 다른 형태의 결합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구조도;
도 3은 도 2에서 베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가이드부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
도 5a는 전구 소켓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b는 도 5a의 저면도;
도 6은 커버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커버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해제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해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11은 전구 소켓부의 다른 형태의 결합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구결합장치는 베이스부(510), 커버부(500), 제1전극접촉부(600), 제2전극접촉부(700), 해제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510)는 브라켓 형태로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며 그 내부 또는 외부에는 각종 부품이 실장된다. 상기 베이스부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벽이나 천정 등 전구가 설치될 만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00)는 측면 및 상면을 덮어 내부 부품을 보호함과 동시에 전구 결합시 전구를 삽입하는 가이드역할을 한다.
상기 전구결합장치와 결합하는 전구는 기판유닛(200), 볼케이스(300), 소켓모듈(400)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모듈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전구결합장치에 삽입되어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 기판유닛(200)에는 LED와 같은 발광소자가 설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볼케이스(3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 또는 PC, 내열PP,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켓모듈(400)과 결합된다.
상기 소켓모듈(400)은 볼케이스(300)와 결합되는 모듈케이스(410) 및 전구결합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소켓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케이스(410)는 PC, 내열PP, 아크릴 수지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소켓부(430)의 가장자리에 삽입된 형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소켓부(430)의 외주면에는 걸림홈(432)이 형성되어 전구결합장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의 내부에는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육각형의 사출물로 전극수용부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부(510)의 중심에는 제1전극접촉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접촉부(600)는 전구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N전극과 접촉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전극접촉부(600)의 끝단에는 디스크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구의 제1전극과 접촉되는 N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N전극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N전극은 전구의 끝단인 제1전극과 접촉한 후, 그 압력에 의해 아래로 수축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전구가 해제되어 분리될 경우에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위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전극접촉부는 원통형의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N전극은 스프링에 연결되어 상기 원통형의 가이드홈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접촉부를 중심으로 좌우에는 제2전극접촉부(70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2전극접촉부는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전극접촉부(60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2전극접촉부는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전극접촉부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도 4의 a 또는 b와 같이 가이드홈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접촉부(700)는 전구의 소켓부의 측면에 구비되며 제2전극과 접촉하여 전기를 통하게 하는 L전극(710)을 포함하며, 상기 L전극의 끝단에는 전구가 삽입되는 제1전극접촉부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71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712)는 끝단이 위로갈수록 바깥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돌기(712)에 의하여 전구는 원터치로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전구 결합시 전구가 전구결합장치 내로 밀려들어오면서 소켓부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가 밀려 가장자리로 이동하며, 전구가 안쪽으로 더 이동하면 상기 결합돌기에 연결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돌기가 상기 소켓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432)으로 다시 이동하면서 걸려 결합하게 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소켓부(430)는 경사돌기(434)가 구비될 수 있으며, 걸림홈(432)은 상기 경사돌기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돌기는 180°상에 마주보며 두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돌기에 의해 전구를 삽입할 때 더 부드럽게 삽입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500)는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430)의 경사돌기(4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5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돌기는 가이드홈(550)을 따라 삽입되어 제2전극접촉부(700)와 결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510)에는 해제부(8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해제부는 전구의 결합을 해제하여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제부(800)는 해제버튼(810), 탄성부재(820), 이동캠(830)을 포함한다.
상기 해제버튼(810)은 일단이 베이스부(510)의 외주면 바깥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되며, 타단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매개로 하여 이동캠(830)에 연결된다.
상기 이동캠(830)은 'ㄷ'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해제버튼(810)의 이동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제2전극접촉부(700)와 접촉하여 제2전극접촉부(700)를 바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구와 전구결합장치을 분리시킨다.
상기 이동캠의 끝단은 제1전극접촉부(600)와 제2전극접촉부(70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안쪽이 더 긴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제2전극접촉부를 자연스럽게 바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전극접촉부의 끝단도 상기 이동캠의 경사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구의 결합이 해제된 후에는 제2전극접촉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이 작용하여 이동캠은 다시 해제버튼이 눌리기 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상기 전구결합장치는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부가 구비되어 심미감을 줌과 동시에 전극을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전구의 결합방법 및 분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전구결합장치를 벽이나 천정 등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전구를 중심부에 밀어서 삽입한다. 그러면, 전구의 끝단이 제1전극접촉부에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제2전극접촉부의 결합돌기가 전구의 결합홈에 걸리게 되면서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구를 밀어 넣기만 하면 결합이 완료되므로 매우 용이하게 전구를 설치할 수 있다.
전구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베이스부의 측면에 구비된 해제버튼을 누르면 내부의 이동캠이 제2전극접촉부를 바깥으로 밀어서 전구와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구를 분리시키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전구를 분리시킬 수 있다.
다음, 도 9를 참조하여 해제부(800)에 대한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전극접촉부는 3개가 구비되며, 이동캠(840)은 사각형 형태로 구비되어 한 면에 하나의 제2전극접촉부가 접촉하게 된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해제버튼(810)을 누르면 이동캠의 이동에 의하여 제2전극접촉부 각각은 바깥쪽으로 밀리게 되면서 전구와 분리가능한 상태로 해제된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해제버튼(810)은 전구가 결합되는 상부에 위치하며, 제2전극접촉부(700)에는 회전가능한 힌지나 링크와 같은 회동부재(75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2전극접촉부는 상기 해제버튼(810)과 접촉하는 단차부(760)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760) 아래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32)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 안쪽 측면에는 회동부재(750)가 구비된다.
전구는 탄성부재(532)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돌기(712)와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해제버튼을 누르면 해제버튼이 제2전극접촉부의 단차부를 누르게 되어 제2전극접촉부가 회동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결합돌기가 바깥으로 이동되어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전구는 분리가능한 해제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전구의 소켓부(430)의 형상은 볼록한 볼타입으로 될 수 있으며, 이때, 제2전극접촉부의 L전극(710)의 형상은 소켓부(430)의 외주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전구의 결합과 분리과정은 이전 실시예의 과정과 동일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기판유닛 300 : 볼케이스
400 : 소켓모듈 510 : 베이스부
600 : 제1전극접촉부 700 : 제2전극접촉부
800 : 해제부 810 : 해제버튼
820 : 탄성부재 830 : 이동캠
400 : 소켓모듈 510 : 베이스부
600 : 제1전극접촉부 700 : 제2전극접촉부
800 : 해제부 810 : 해제버튼
820 : 탄성부재 830 : 이동캠
Claims (4)
- 상하로 이동하며 전구의 제1전극과 접촉하여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제1전극접촉부;
좌우로 이동하며 전구의 제2전극과 접촉하여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제2전극접촉부;
상기 제1전극접촉부 및 제2전극접촉부를 수용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제2전극접촉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2전극접촉부를 이동시키는 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부는 일단이 베이스부의 외주면 바깥으로 노출되는 해제버튼, 상기 해제버튼의 이동에 의하여 전구의 소켓부와 제2전극접촉부 사이로 이동하면서 제2전극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2전극접촉부를 바깥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구를 해제시키는 이동캠 및 상기 해제버튼과 이동캠 사이에 구비되어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구결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접촉부는 전구의 끝단에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전극접촉부는 전구의 측면에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결합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접촉부는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전극접촉부는 상기 제2전극접촉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전극접촉부는 상기 제1전극접촉부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결합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8412A KR102574516B1 (ko) | 2022-12-06 | 2022-12-06 | 전구결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8412A KR102574516B1 (ko) | 2022-12-06 | 2022-12-06 | 전구결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4516B1 true KR102574516B1 (ko) | 2023-09-06 |
Family
ID=8797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68412A KR102574516B1 (ko) | 2022-12-06 | 2022-12-06 | 전구결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451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0811A (ko) * | 1996-12-21 | 1998-09-15 | 조현상 | 전구용 소켓 |
KR200355813Y1 (ko) * | 2004-04-01 | 2004-07-09 | 김길주 | 원터치형 전구 소켓 |
-
2022
- 2022-12-06 KR KR1020220168412A patent/KR1025745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0811A (ko) * | 1996-12-21 | 1998-09-15 | 조현상 | 전구용 소켓 |
KR200355813Y1 (ko) * | 2004-04-01 | 2004-07-09 | 김길주 | 원터치형 전구 소켓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84557B2 (en) | LED lamp | |
TWI412692B (zh) | 可透過旋轉方式來調整光投射方向之燈頭組件及照明燈管 | |
CN102829346A (zh) | Led灯及其制造方法 | |
KR20160072166A (ko) | 밀폐형 도광체 및 통합형 열 안내체를 갖는 고체 조명 장치 | |
US10627058B2 (en) | Downlight apparatus | |
CN105715972B (zh) | 照明装置 | |
TWM492515U (zh) | 側邊全彩發光的鍵盤開關 | |
TWM360982U (en) | Light-emitting diode lamp | |
WO2019056924A1 (zh) | 一种中间发光的按键开关 | |
KR101219141B1 (ko) |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74516B1 (ko) | 전구결합장치 | |
TW201135132A (en) | LED lamp with replaceable light unit | |
JP2005038798A5 (ko) | ||
KR101024453B1 (ko) | 원터치로 결합되는 엘이디 조명등 | |
JP2010129487A (ja) | 照明器具 | |
CN204083897U (zh) | 一种带开关的直管led灯以及led灯具 | |
KR101202380B1 (ko) | Pcb와 히트싱크가 밀착된 구조의 led 조명램프 | |
CN209744162U (zh) | 一种灯具 | |
KR20120018106A (ko) | 엘이디 조명장치 | |
CN209484298U (zh) | 一种灯具的防尘防水和高出光效率结构 | |
KR200312459Y1 (ko) | 발광다이오드 손전등 | |
KR101479492B1 (ko) | Led 등기구 | |
CN117572708B (zh) | 一种多功能模块式摄影补光棒灯 | |
KR20240084025A (ko) | Led전구 | |
JP3195961U (ja) | Led電球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