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408B1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4408B1 KR102574408B1 KR1020180138842A KR20180138842A KR102574408B1 KR 102574408 B1 KR102574408 B1 KR 102574408B1 KR 1020180138842 A KR1020180138842 A KR 1020180138842A KR 20180138842 A KR20180138842 A KR 20180138842A KR 102574408 B1 KR102574408 B1 KR 1025744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barrel
- signal
- offset
- input signal
- actu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는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렌즈 배럴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와 상기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을 산출하고, 상기 오프셋을 보정하는 보정 함수에 상기 입력 신호를 적용하여, 보정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 통신단말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화상 데이터 전송이나 화상 채팅 등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 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과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은 고정된 초점에 의해 사물을 촬영하는 단초점 방식의 카메라 모듈을 채용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기술 개발에 따라 자동초점(AF: Autofocus) 조정이 가능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은 흔들림에 따른 해상도 저하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흔들림 보정기능(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을 위한 액츄에이터를 채용한다.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자동 초점 기능 및 흔들림 보정 기능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하여는,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와 목표 위치 간의 오프셋 및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와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 간의 오프셋을 적절히 보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와 목표 위치 간의 오프셋 및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와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 간의 오프셋을 보정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는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렌즈 배럴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와 상기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을 산출하고, 상기 오프셋을 보정하는 보정 함수에 상기 입력 신호를 적용하여, 보정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와 목표 위치 간의 오프셋 및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와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 간의 오프셋을 보정하여, 카메라 모듈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선형 보정부의 하드웨어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복잡한 연산 과정없이 빠르게 오프셋을 보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채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주요부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에 채용되는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조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신호 조정부의 신호 조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채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주요부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에 채용되는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조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신호 조정부의 신호 조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예로,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하우징 유닛(110), 액츄에이터(120), 및 렌즈 모듈(13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볼 베어링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자동초점조절 기능과 손떨림보정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이 자동초점조절 기능과 손떨림보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렌즈 모듈(130)은 하우징 유닛(110)의 내부에서 광축 방향 및 광축의 수직 방향 각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 유닛(110)은 하우징(111)과 쉴드 케이스(112)를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성형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1)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1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1)의 제1 측면에는 제1 액츄에이터(121)의 일부가 장착되고, 하우징(111)의 제2 내지 제4 측면에는 제2 액츄에이터(122)의 일부가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11)은 내부에 렌즈 모듈(1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하우징(111)의 내부에는 렌즈 모듈(130)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11)은 6면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1)의 저면은 이미지 센서를 위한 홀이 형성되고, 하우징(111)의 상면은 렌즈 모듈(130)의 장착을 위한 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11)의 제1 측면은 제1 액츄에이터(121)의 제1 구동 코일(121a)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하우징(111)의 제2 내지 제4 측면은 제2 액츄에이터(122)의 제2 구동 코일(122a)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쉴드 케이스(112)는 하우징(111)의 일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쉴드 케이스(112)는 하우징(111)의 상면 및 4개 측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쉴드 케이스(112)는 하우징(111)의 4개 측면만을 덮도록 구성되거나, 쉴드 케이스(112)는 하우징(111)의 상면 및 4개 측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쉴드 케이스(112)는 카메라 모듈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구동시에 전자파가 발생되고,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에는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쳐 통신 장애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쉴드 케이스(112)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하우징(111)의 하부에 장착되는 기판의 접지패드에 접지되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액츄에이터(120)는 렌즈 모듈(13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액츄에이터(121), 및 렌즈 모듈(130)을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액츄에이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121)는 하우징(111) 및 렌즈 모듈(130)의 제1 프레임(131)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액츄에이터(121)의 일부는 하우징(111)의 제1 측면에 장착되고, 제1 액츄에이터(121)의 나머지 부분은 제1 프레임(131)의 제1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121)는 렌즈 모듈(130)을 광축 방향 - Z축 방향 - 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액츄에이터(121)는 제1 구동 코일(121a), 제1 마그네트(121b), 제1 기판(121c), 제1 위치 검출부(12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코일(121a) 및 제1 위치 검출부(121d)는 제1 기판(121c)에 형성된다. 제1 기판(121c)은 하우징(111)의 제1 측면에 장착되고, 제1 마그네트(121b)는 제1 기판(121c)과 마주하는 제1 프레임(131)의 제1 측면(131c)에 장착된다.
제1 기판(121c)에는 제1 구동 코일(121a)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제1 구동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는 제1 구동 코일(121a)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제1 마그네트(121b)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는 제1 구동 코일(121a)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드라이버 IC(Driver IC: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동 장치로부터의 구동 신호가 제1 구동 코일(121a)에 제공되는 경우, 제1 구동 코일(121a)에서 자속이 발생하고, 제1 구동 코일(121a)에서 발생되는 자속은 제1 마그네트(121b)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게 되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하우징(111)에 대하여 제1 프레임(131) 및 렌즈 배럴(134)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케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는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H 브리지(Bridge)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여 제1 구동 코일(121a)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렌즈 배럴(134)은 제1 프레임(131)의 이동에 의해 제1 프레임(131)과 동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121)는 제1 위치 검출부(121d)에 의해 제1 마그네트(121b)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여 제1 프레임(131) 및 렌즈 배럴(134)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위치 검출부(121d)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122)는 하우징(111) 및 렌즈 모듈(130)의 제3 프레임(133)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액츄에이터(122)의 일 부분은 하우징(111)의 제2 내지 제4 측면에 장착되고, 제2 액츄에이터(122)의 나머지 부분은 제3 프레임(133)의 제2 내지 제4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제2 액츄에이터(122)는 하우징(111) 및 제3 프레임(133)의 제1 내지 제4 측면 중 일부의 면에 장착될 수도 있고, 제2 내지 제4 측면이 접하는 제2 내지 제4 모서리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제2 액츄에이터(122)는 렌즈 모듈(130)을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제2 액츄에이터(122)는 복수의 제2 구동 코일(122a), 복수의 제2 마그네트(122b), 제2 기판(122c), 하나 이상의 제2 위치 검출부(122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구동 코일(122a) 및 하나 이상의 제2 위치 검출부(122d)는 제2 기판(122c)에 형성된다. 제2 기판(122c)은 대체로 사격형 중 일 변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우징(111)의 제2 내지 제4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장착된다. 복수의 제2 마그네트(122b)는 제2기판(122c)과 마주하도록 제3 프레임(133)의 제2 내지 제4 측면에 각각 장착된다.
제2 기판(122c)에는 제2 구동 코일(122a)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제2 구동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구동 장치는 제2 구동 코일(122a)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제2 마그네트(122b)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구동 장치는 제2 구동 코일(122a)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드라이버 IC(Driver IC: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구동 장치로부터의 구동 신호가 제2 구동 코일(122a)에 제공되는 경우, 제2 구동 코일(122a)에서 자속이 발생하고, 제2 구동 코일(122a)에서 발생되는 자속은 제2 마그네트(122b)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한다. 제2 구동 장치는 복수의 제2 구동 코일(122a)와 복수의 제2 마그네트(122b) 사이에서 생성되는 자기력의 크기 및 방향을 변화시켜, 제1 프레임(131)에 대한 제2 프레임(132) 또는 제3 프레임(133)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제2 구동 장치는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H 브리지(Bridge)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여 제2 구동 코일(122a)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렌즈 배럴(134)은 제2 프레임(132) 또는 제3 프레임(133)의 이동에 의해 제2 프레임(132) 또는 제3 프레임(133)과 동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122)는 제2 위치 검출부(122d)에 의해 제2 마그네트(122b)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여 렌즈 배럴(134) 및 제2, 3 프레임(132, 133)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위치 검출부(122d)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130)은 하우징 유닛(1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렌즈 모듈(130)은 하우징(111)과 쉴드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 공간에 적어도 3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된다. 렌즈 모듈(130)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일 예로, 렌즈 모듈(130)은 제1 프레임(131), 제2 프레임(132), 제3 프레임(133)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31)은 하우징(111)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프레임(131)은 제1 액츄에이터(121)에 의해 하우징(111)의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31)에는 복수의 안내 홈(131a, 131b)이 형성된다. 일 예로, 제1 프레임(131)의 제1 측면에는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안내 홈(131a)이 형성되고, 제1 프레임(131)의 안쪽 바닥면의 4개 모서리에는 광축의 제1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안내 홈(131b)이 각각 형성된다. 제1 프레임(131)은 적어도 3개의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작된다. 일 예로, 제1 프레임(131)의 제2 내지 제4 측면은 제3 프레임(133)의 제2 마그네트(122b)와 하우징(111)의 제2 구동 코일(122a)이 마주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제2 프레임(132)은 제1 프레임(131)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프레임(132)은 제1 프레임(131)의 내부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32)은 제1 프레임(131)에 대해 광축의 제1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2 프레임(132)은 제1 프레임(131)의 제2 안내 홈(131b)을 따라 광축의 제1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32)에는 복수의 안내 홈(132a)이 형성된다. 일 예로, 제2 프레임(132)의 모서리에는 광축의 제2 수직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4개의 제3 안내 홈(132a)이 형성된다.
제3 프레임(133)은 제2 프레임(132)에 장착된다. 일 예로, 제3 프레임(133)은 제2 프레임(132)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33)은 제2 프레임(132)에 대해 광축의 제2 수직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3 프레임(133)은 제2 프레임(132)의 제3 안내 홈(132a)을 따라 광축의 제2 수직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프레임(133)에는 복수의 제2 마그네트(122b)가 장착된다. 일 예로, 제3 프레임(133)의 제2 내지 제4 측면에는 적어도 2개의 제2 마그네트(122b)가 각각 장착될 수 있고, 또한 일 예로, 제3 프레임(133)의 제2 내지 제4 측면에는 3개의 제2 마그네트(122b)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렌즈 모듈(130)은 렌즈 배럴(134)을 포함한다. 일 예로, 렌즈 모듈(13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134)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134)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렌즈는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 배럴(134)에 구비된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렌즈 배럴(134)의 설계에 따른 수만큼 적층되고,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렌즈 배럴(134)은 제3 프레임(133)에 장착된다. 일 예로, 렌즈 배럴(134)은 제3 프레임(133)에 결합되어 제3 프레임(133)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렌즈 배럴(134)은 광축 방향(Z축 방향) 및 광축의 수직 방향(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렌즈 배럴(134)은 제1 액츄에이터(121)에 의해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액츄에이터(122)에 의해 광축의 수직 방향(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볼 베어링부(140)는 렌즈 모듈(1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일 예로, 볼 베어링부(140)는 렌즈 모듈(130)이 광축 방향 및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볼 베어링부(140)는 제1 볼 베어링(141), 제2 볼 베어링(142), 제3 볼 베어링(14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볼 베어링(141)은 제1 프레임(131)의 제1 안내 홈(131a)에 배치되어, 제1 프레임(131)이 광축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볼 베어링(142)은 제1 프레임(131)의 제2 안내 홈(131b)에 배치되어, 제2 프레임(132)이 광축의 제1 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 볼 베어링(143)은 제2 프레임(132)의 제3 안내 홈(132a)에 배치되어, 제3 프레임(133)이 광축의 제2 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볼 베어링(141, 142) 각각은 적어도 3개의 볼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각 볼 베어링의 상기 적어도 3개의 볼은 제1 또는 제2 안내 홈(131a, 131b)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볼 베어링부(140)가 배치되는 모든 부위에는 마찰 및 소음저감을 위한 윤활 물질이 충전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안내 홈(131a, 131b, 132a)에는 점성 유체가 주입될 수 있다. 점성 유체로는 점성 및 윤활 특성이 우수한 그리스(grease)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채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주요부의 블록도이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200)는 도 1의 제1 액츄에이터(121) 및 제2 액츄에이터(122)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의 액츄에이터(200)가 도 1의 제1 액츄에이터(121)에 대응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자동 초점(AF: Auto Focusing)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액츄에이터(200)가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구동 장치(210)는 구동 코일(2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마그네트(230)에 광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액츄에이터(200)가 도 1의 제2 액츄에이터(122)에 대응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광학식 흔들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렌즈 배럴을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액츄에이터(200)가 광학식 흔들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구동 장치(210)는 구동 코일(2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마그네트(230)에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200)는 구동 장치(210), 구동 코일(220), 마그네트(230) 및 위치 검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2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Sin)와 위치 검출부(240)로부터 생성되는 피드백 신호(Sf)에 따라 구동 신호(Sdr)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Sdr)를 구동 코일(220)에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신호(Sin)에 의해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구동 코일(220)에 구동 장치(21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신호(Sdr)가 인가되는 경우, 구동 코일(220)와 마그네트(230)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렌즈 배럴은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240)는 마그네트(230)와 구동 코일(22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이동하는 마그네트(230)의 검출 위치를 검출하여 피드백 신호(Sf)를 생성하고, 피드백 신호(Sf)를 구동 장치(210)에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Sf)가 구동 장치(210)로 제공되면, 구동 장치(210)는 입력 신호(Sin)와 피드백 신호(Sf)를 비교하여 구동 신호(Sdr)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 즉, 구동 장치(210)는 입력 신호(Sin)와 피드백 신호(Sf)를 비교하는 클로즈 루프(Close Loop) 타입으로 구동될 수 있다. 클로즈 루트 타입의 구동 장치(210)는 입력 신호(Sin)에 포함되는 목표 위치와 피드백 신호(Sf)에서 판단되는 검출 위치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클로즈 루프 방식의 구동은 오픈 루프(Open Loop System) 방식과 비교하여, 선형성(Linearity), 정확도(Accuracy), 및 반복성(Repeatability)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구동 장치(210)는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H 브리지(Bridge)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여 구동 코일(2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에 채용되는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다.
구동 장치(210)는 신호 조정부(211), 비교부(212), 제어부(213) 및 구동 회로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조정부(211)는 입력 신호(Sin) 및 피드백 신호(Sf)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조정부(211)는 입력 신호(Sin)의 레벨을 조정하여, 입력 신호(Sin)에 의해 결정되는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와, 입력 신호(Sin)가 제공되는 경우의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조정부(211)은 피드백 신호(Sf)의 레벨을 조정하여, 피드백 신호(Sf)가 지시하는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와,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신호 조정부(211)가 입력 신호(Sin) 및 피드백 신호(Sf)를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신호 조정부(211)가 입력 신호(Sin) 및 피드백 신호(Sf) 모두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신호 조정부(211)의 구체적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비교부(212)는 신호 조정부(211)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신호(Sin)와 피드백 신호(Sf)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부(212)는 입력 신호(Sin)에 포함되는 렌즈 배럴(100)의 목표 위치와 피드백 신호(Sf)에 포함되는 렌즈 배럴(100)의 검출 위치를 비교하여, 오차값을 산출할 수 있다. 비교부(212)에서 산출되는 오차값에 의해 렌즈 배럴(100)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213)는 비교부(212)로부터 제공되는 오차값에 제어 이득을 적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13)는 PID(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비례-적분-미분) 제어기를 구비하여, PID 방식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3)는 비례 제어에 따라 현재 상태에서의 오차값의 크기에 비례한 제어를 수행하고, 적분 제어에 따라 정상 상태(Steady-State)에서 오차를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하고, 미분 제어에 따라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여 오버 슈트(Overshoot)를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PID 방식의 제어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KP는 비례 제어 이득을 나타내고, KI는 적분 제어 이득을 나타내고, KD는 미분 제어 이득을 나타낸다.
제어부(213)는 PID 방식의 제어 수행시, 렌즈 배럴(100)의 목표 위치와 렌즈 배럴(100)의 검출 위치의 차이에 해당하는 오차값에 비례 제어 이득 KP, 적분 제어 이득 KI, 및 미분 제어 이득 KD 각각을 적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214)는 제어부(213)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214)에서 생성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렌즈 배럴(100)은 목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214)는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H 브리지(Bridge)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여 보이스 구동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방식으로 구동 구동 코일(3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214)가 보이스 구동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제어부(213)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는 H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인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조정부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신호 조정부의 신호 조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조정부(211)는 오프셋 산출부(211a) 및 선형 보정부(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프셋 산출부(211a)는 입력 신호(Sin)에 의해 결정되는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와, 입력 신호(Sin)가 제공되는 경우의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오프셋 산출부(211a)는 전체 범위의 입력 신호(Sin)가 입력되는 경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와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를 비교하여,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오프셋 산출부(211a)는 피드백 신호(Sf)가 지시하는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와,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오프셋 산출부(211a)는 전체 범위의 입력 신호(Sin)가 입력되어, 전체 범위의 피드백 신호(Sf)가 생성되는 경우,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와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를 비교하여,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오프셋 산출부(211a)는 기초 신호(Sraw)의 전체 범위를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구간 각각의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신호 조정부(211)는 기초 신호(Sraw)의 전체 범위를 네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네 개의 구간 각각의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오프셋 산출부(211a)는 기초 신호(Sraw)의 전체 범위를 네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네 개의 구간 각각의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기초 신호(Sraw)가 10bit의 디지털 코드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10bit의 디지털 코드는 동일한 간격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초 신호(Sraw)의 네 개의 구간 중 제1 구간(D1)은 0~255, 제2 구간(D2)는 256~511, 제3 구간(D3)는 512~767, 제4 구간은 768~102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오프셋 산출부(211a)는 제1 내지 제4 구간(D1~D4) 각각의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선형 보정부(211b)는 신호 조정부(211)로부터 제공되는 오프셋에 따라, 입력 신호(Sin) 및 피드백 신호(Sf)의 오프셋을 보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신호 조정부(211)에 의해 조정되는 입력 신호(Sin) 및 피드백 신호(Sf)를 기초 신호(Sraw)로 통칭하도록 한다. 즉, 선형 보정부(211b)는 기초 신호(Sraw)의 오프셋을 보정하여, 보정 신호(Scomp)를 생성할 수 있다.
선형 보정부(211b)는 오프셋 산출부(211a)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구간 각각의 오프셋에 따라, 구간 선형 보정 함수 - 복수의 구간 각각의 보정 함수 - 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기초 신호(Sraw)가 10bit의 디지털 코드로 구성되고, 오프셋 산출부(211a)는 기초 신호(Sraw)의 전체 범위를 네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네 개의 구간 각각의 오프셋을 산출하며, 선형 보정부(211b)가 네 개의 구간 각각의 보정 함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 신호(Sraw)의 네 개의 구간 중 제1 구간(D1)은 0~255, 제2 구간(D2)는 256~511, 제3 구간(D3)는 512~767, 제4 구간은 768~102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선형 보정부(211b)는 복수의 구간 각각의 오프셋에 따라, 기초 신호(Sraw)의 네 개의 구간(D1~D4)을 구획하는 디지털 코드의 레벨에 대응되는 보정 신호(Scomp)의 디지털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
기초 신호(Sraw)의 네 개의 구간 중 제1 구간(D1)은 0~255, 제2 구간(D2)는 256~511, 제3 구간(D3)는 512~767, 제4 구간은 768~1023으로 구획되므로, 네 개의 구간(D1~D4)을 구획하는 구획 코드는 256, 512, 768 코드에 해당한다.
선형 보정부(211b)는 기초 신호(Sraw)의 제1 구획 코드 256, 제2 구획 코드 512, 제3 구획 코드 768 코드에 대응되는 보정 신호(Scomp)의 디지털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선형 보정부(211b)는 제1 내지 제4 구획 코드(Code_div1~Code_div4)에 대응하는 보정 신호의 디지털 코드(Code_Scomp)를 사전에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선형 보정부(211b)는 하기의 표 1에 따라 제1 내지 제4 구획 코드(Code_div1~Code_div4)에 대응하는 보정 신호의 디지털 코드(Code_Scomp)를 결정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에서, 제1 내지 제3 제어값(CV1~CV3)는 오프셋 산출부(211a)에서 제공되는 각 구간의 오프셋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Code_div1 | Code_div2 | Code_div3 | |||
CV1 | Code_Scomp1 | CV2 | Code_Scomp2 | CV3 | Code_Scomp3 |
0 | 230 | 0 | 460 | 0 | 691 |
1 | 256 | 1 | 512 | 1 | 768 |
2 | 281 | 2 | 563 | 2 | 844 |
3 | 307 | 3 | 614 | 3 | 921 |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제1 제어값(CV1)이 0인 경우, 제1 구획 코드(Code_div1) 256에 대응되는 보정 신호의 디지털 코드(Code_Scomp1)는 230으로 결정되고, 제1 제어값(CV1)이 1인 경우, 제1 구획 코드(Code_div1) 256에 대응되는 보정 신호의 디지털 코드(Code_Scomp1)는 256으로 결정되고, 제1 제어값(CV1)이 2인 경우, 제1 구획 코드(Code_div1) 256에 대응되는 보정 신호의 디지털 코드(Code_Scomp1)는 281으로 결정되고, 제1 제어값(CV1)이 3인 경우, 제1 구획 코드(Code_div1) 256에 대응되는 보정 신호의 디지털 코드(Code_Scomp1)는 307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구획 코드(Code_div2) 512 및 제3 구획 코드(Code_div3) 768에 대응되는 보정 신호의 디지털 코드(Code_Scomp)에 대해서도 유사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기초 신호(Sraw)의 제1 구획 코드(Code_div1), 제2 구획 코드(Code_div2), 제3 구획 코드(Code_div3)에 대응되는 보정 신호의 디지털 코드(Code_Scomp)가 결정되면, 선형 보정부(211b)는 기초 신호(Sraw)의 각각의 구간의 보정 함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보정 함수는 1차 함수로 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선형 보정부(211b)는 기초 신호(Sraw)를 X축으로, 보정 신호(Scomp)를 Y축으로 가정하면, 제1 구간(D1)에서, (0, 0)과 (Code_div1, Code_Scomp1)의 2차원 좌표를 지나는 선분을 정의하는 1차 함수를 산출하고, 제2 구간(D2)에서 (Code_div1, Code_Scomp1)과 (Code_div2, Code_Scomp2)의 2차원 좌표 를 지나는 선분을 정의하는 1차 함수를 산출하고, 제3 구간(D3)에서 (Code_div2, Code_Scomp2)과 (Code_div3, Code_Scomp3)의 2차원 좌표를 지나는 선분을 정의하는 1차 함수를 산출하고, 제4 구간(D4)에서 (Code_div3, Code_Scomp3)과 (1024, 1024)의 2차원 좌표를 지나는 선분을 정의하는 1차 함수를 산출한다.
제1 구간(D1) 내지 제4 구간(D4)의 보정 함수는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
Scomp_code = G*(Sraw_code - Factor1) + Factor2
제1 구간(D1) 내지 제4 구간(D4)에 대응되는 기초 신호의 디지털 코드(Sraw_code)가 입력되면, 수학식 2에 따라, 보정 신호의 디지털 코드(Scomp_code)가 산출될 수 있다.
이하, 표 2 내지 표 6을 참조하여, 수학식 2의 기울기(G), 제1 팩터(Factor1) 및 제2 팩터(Factor2)의 결정 방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의 표 2은 선택된 제1 제어값(CV1)에 따른 제1 구간(D1)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CV1 | D1 |
0 | 0.9 |
1 | 1 |
2 | 1.1 |
3 | 1.2 |
표 2를 참조하면, 제1 제어값(CV1)이 0인 경우, 제1 구간(D1)의 기울기는 0.9로 결정되고, 제1 제어값(CV1)이 1인 경우, 제1 구간(D1)의 기울기는 1로 결정되고, 제1 제어값(CV1)이 2인 경우, 제1 구간(D1)의 기울기는 1.1로 결정되고, 제1 제어값(CV1)이 3인 경우, 제1 구간(D1)의 기울기는 1.2로 결정된다.
하기의 표 3은 선택된 제1 제어값(CV1) 및 제2 제어값(CV2)에 따른 제2 구간(D2)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CV1 | CV2 | D2 |
0 | 0 | 0.9 |
1 | 1.1 | |
2 | 1.3 | |
3 | 1.5 | |
1 | 0 | 0.8 |
1 | 1 | |
2 | 1.2 | |
3 | 1.4 | |
2 | 0 | 0.7 |
1 | 0.9 | |
2 | 1.1 | |
3 | 1.3 | |
3 | 0 | 0.6 |
1 | 0.8 | |
2 | 1 | |
3 | 1.2 |
표 3를 참조하면, 제1 제어값(CV1)이 0이고 제2 제어값(CV2)가 0인 경우, 제2 구간(D2)의 기울기는 0.9로 결정되고, 제1 제어값(CV1)이 0이고 제2 제어값(CV2)가 1인 경우, 제2 구간(D2)의 기울기는 1.1로 결정되고, 제1 제어값(CV1)이 0이고 제2 제어값(CV2)가 2인 경우, 제2 구간(D2)의 기울기는 1.3로 결정되고, 제1 제어값(CV1)이 0이고 제2 제어값(CV2)가 3인 경우, 제2 구간(D2)의 기울기는 1.5로 결정된다. 제1 제어값(CV1)이 1, 2이고 제2 제어값(CV2)이 0, 1, 2, 3인 경우에 대하여도, 유사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하기의 표 4은 선택된 제2 제어값(CV2) 및 제3 제어값(CV3)에 따른 제3 구간(D3)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CV2 | CV3 | D3 |
0 | 0 | 0.9 |
1 | 1.2 | |
2 | 1.5 | |
3 | 1.8 | |
1 | 0 | 0.7 |
1 | 1 | |
2 | 1.3 | |
3 | 1.6 | |
2 | 0 | 0.5 |
1 | 0.8 | |
2 | 1.1 | |
3 | 1.4 | |
3 | 0 | 0.3 |
1 | 0.6 | |
2 | 0.9 | |
3 | 1.2 |
표 4를 참조하면, 제2 제어값(CV2)이 0이고 제3 제어값(CV3)이 0인 경우, 제3 구간(D3)의 기울기는 0.9로 결정되고, 제2 제어값(CV2)이 0이고 제3 제어값(CV3)이 1인 경우, 제2 구간(D2)의 기울기는 1.2로 결정되고, 제2 제어값(CV2)이 0이고 제3 제어값(CV3)이 2인 경우, 제3 구간(D3)의 기울기는 1.5로 결정되고, 제2 제어값(CV2)이 0이고 제3 제어값(CV3)이 3인 경우, 제3 구간(D3)의 기울기는 1.8로 결정된다. 제2 제어값(CV2)이 1, 2이고 제3 제어값(CV3)이 0, 1, 2, 3인 경우에 대하여도, 유사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하기의 표 5은 선택된 제3 제어값(CV3)에 따른 제4 구간(D4)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CV3 | D4 |
0 | 1.301 |
1 | 1 |
2 | 0.699 |
3 | 0.398 |
표 5를 참조하면, 제3 제어값(CV3)이 0인 경우, 제4 구간(D4)의 기울기는 1.301로 결정되고,
제3 제어값(CV3)이 1인 경우, 제4 구간(D4)의 기울기는 1로 결정되고, 제3 제어값(CV3)이 2인 경우, 제4 구간(D4)의 기울기는 0.699로 결정되고, 제3 제어값(CV3)이 3인 경우, 제4 구간(D4)의 기울기는 0.398로 결정된다.
하기의 표 6은 제1 내지 제4 구간(D1~D4)에 따른 제1 팩터(Factor1)를 나타낸다.
Factor1 | |
D1 | 0 |
D2 | 256 |
D3 | 512 |
D4 | 768 |
표 6을 참조하면, 제1 구간(D1)에서 제1 팩터(Factor1)는 0으로 결정되고, 제2 구간(D2)에서 제1 팩터(Factor1)는 256으로 결정되고, 제3 구간(D3)에서 제1 팩터(Factor1)는 512으로 결정되고, 제4 구간(D4)에서 제1 팩터(Factor1)는 768으로 결정된다.
하기의 표 7은 제1 내지 제3 제어값(CV1~CV3)에 따른 제1 내지 제4 구간(D1~D4) 각각의 제2 팩터(Factor2)를 나타낸다.
Factor2 | ||||
CV1~CV3 | D1 | D2 | D3 | D4 |
0 | 0 | 230 | 460 | 691 |
1 | 0 | 256 | 512 | 768 |
2 | 0 | 281 | 563 | 844 |
3 | 0 | 307 | 614 | 921 |
표 7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제어값(CV1~CV3)이 0 내지 3 각각인 경우, 제1 구간(D1)에서, 제2 팩터(Factor2)는 0이고, 제1 내지 제3 제어값(CV1~CV3)이 0 내지 3 각각인 경우, 제2 구간(D2)에서, 제2 팩터(Factor2)는 230, 256, 281, 307이고, 제1 내지 제3 제어값(CV1~CV3)이 0 내지 3 각각인 경우, 제3 구간(D3)에서, 제2 팩터(Factor2)는 460, 512, 563, 614이고, 제1 내지 제3 제어값(CV1~CV3)이 0 내지 3 각각인 경우, 제4 구간(D4)에서, 제2 팩터(Factor2)는 0이고, 691, 768, 844, 921이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제어값(CV1~CV3)에 따라, 제1 구간(D1) 내지 제4 구간(D4)의 기울기(G), 제1 팩터(Factor1) 및 제2 팩터(Factor2)가 결정되면, 수학식 2에 따라, 입력 신되는 기초 신호의 디지털 코드(Sraw_code)에 대응되는 보정 신호의 디지털 코드(Scomp_code)가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식 2를 참조하면, 곱셈기 1개, 덧셈기 1개, 뺄셈기 1개로 선형 보정부(211b)의 하드웨어를 구성하여, 입력되는 기초 신호(Sraw)에 따라 보정 신호(Scomp)를 복잡한 연산 과정 없이 빠르게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신호 조정부(211)가 오프셋 산출부(211a) 및 선형 보정부(211b)를 구비하여, 산출된 오프셋에 따라, 보정 함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정 함수에 기초 신호를 적용하여, 보정 신호를 산출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제조 공정에서 오프셋을 산출하고, 산출된 오프셋에 따른 보정 함수를 카메라 모듈 마다 프로그래밍하여, 사전에 결정되는 보정 함수에 기초 신호를 적용하여, 보정 신호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오프셋 산출부(211a)에 의한 오프셋 산출 동작 및 선형 보정부(211b)에 의한 보정 함수 생성 동작은 카메라 모듈의 출하시에 1회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구동 장치
211: 신호 조정부
211a: 오프셋 산출부
211b: 선형 보정부
212: 비교부
213: 제어부
214: 구동 회로부
220: 구동 구동 코일
230: 마그네트
240: 위치 검출부
211: 신호 조정부
211a: 오프셋 산출부
211b: 선형 보정부
212: 비교부
213: 제어부
214: 구동 회로부
220: 구동 구동 코일
230: 마그네트
240: 위치 검출부
Claims (16)
-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보정된 입력 신호와 상기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렌즈 배럴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와 상기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을 보정하는 보정 함수에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를 적용하여, 상기 보정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조정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정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와 상기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을 산출하는 오프셋 산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정부는,
상기 입력 신호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의 상기 보정 함수에 상기 입력 신호를 적용하여, 상기 보정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선형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함수는 1차 함수로 산출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정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복수의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구획 코드에 따라 결정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보정된 입력 신호의 디지털 코드를 상기 오프셋에 따라, 결정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보정된 입력 신호의 디지털 코드는, 사전에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택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정부는,
상기 보정 함수는, 상기 구획 코드 및 상기 구획 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보정된 입력 신호의 디지털 코드에 따라 결정되는 2차원 좌표들에 의해 생성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은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렌즈 배럴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와 상기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 및 상기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와 상기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을, 사전에 결정되는 구간 선형 보정 함수에 따라 보정하는 신호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조정부는, 상기 구간 선형 보정 함수에,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선형 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보정부는, 하나의 덧셈기, 하나의 뺄셈기, 및 하나의 곱셈기에 의해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렌즈 배럴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와 상기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 및 상기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와 상기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을, 사전에 결정되는 구간 선형 보정 함수에 따라 보정하는 신호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간 선형 보정 함수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기초 함수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오프셋을 보정하는 보정 함수를 상기 복수의 구간 마다 생성하여 산출되고,
상기 복수의 구간은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정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와 상기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 및 상기 렌즈 배럴의 검출 위치와 상기 렌즈 배럴의 실제 위치 간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을 산출하는 오프셋 산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정부는,
상기 구간 선형 보정 함수에,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선형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선형 보정 함수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기초 함수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오프셋을 보정하는 보정 함수를 상기 복수의 구간 마다 생성하여 산출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함수는 1차 함수로 산출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8842A KR102574408B1 (ko) | 2018-11-13 | 2018-11-13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US16/443,902 US10986274B2 (en) | 2018-11-13 | 2019-06-18 | Actuator of camera module |
CN201911004256.9A CN111175930B (zh) | 2018-11-13 | 2019-10-22 | 相机模块的致动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8842A KR102574408B1 (ko) | 2018-11-13 | 2018-11-13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5316A KR20200055316A (ko) | 2020-05-21 |
KR102574408B1 true KR102574408B1 (ko) | 2023-09-04 |
Family
ID=7055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8842A KR102574408B1 (ko) | 2018-11-13 | 2018-11-13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986274B2 (ko) |
KR (1) | KR102574408B1 (ko) |
CN (1) | CN11117593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14608A (zh) * | 2020-08-28 | 2022-03-01 |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 光学系统 |
CN112584136B (zh) * | 2020-12-23 | 2023-02-28 | 上海艾为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 位置校准模块、校准方法、电子设备、校准装置及存储介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2505B1 (ko) | 2017-01-24 | 2018-05-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광학식 이미지 안정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32984A (en) * | 1995-09-04 | 1999-08-03 | Canon Kabushiki Kaisha | Driving apparatus and optical apparatus |
KR100243326B1 (ko) * | 1997-10-14 | 2000-02-01 | 윤종용 | 줌 렌즈 구동 장치 |
JP4587708B2 (ja) | 2004-05-20 | 2010-11-24 |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 位置検出装置、手振れ補正機構、および撮像装置 |
JP2013125048A (ja) | 2011-12-13 | 2013-06-24 |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 レンズ位置検出回路 |
US9906181B2 (en) | 2015-04-23 | 2018-02-27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Voice coil motor driver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US10554875B2 (en) * | 2016-11-21 | 2020-02-04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ition of camera module using peak detection |
KR20180060230A (ko) * | 2016-11-28 | 2018-06-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및 구동 장치 |
KR102345119B1 (ko) * | 2017-03-27 | 2021-12-30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및 구동 장치 |
JP6869049B2 (ja) * | 2017-02-24 | 2021-05-12 | ローム株式会社 | アクチュエータドライバ、撮像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
KR102059821B1 (ko) * | 2017-03-27 | 2019-12-27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및 구동 장치 |
-
2018
- 2018-11-13 KR KR1020180138842A patent/KR10257440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6-18 US US16/443,902 patent/US10986274B2/en active Active
- 2019-10-22 CN CN201911004256.9A patent/CN111175930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2505B1 (ko) | 2017-01-24 | 2018-05-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광학식 이미지 안정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175930B (zh) | 2023-06-30 |
US10986274B2 (en) | 2021-04-20 |
KR20200055316A (ko) | 2020-05-21 |
US20200149877A1 (en) | 2020-05-14 |
CN111175930A (zh) | 2020-05-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1668B1 (ko) |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센싱 유닛 | |
CN108121127B (zh) | 相机模块的致动器和驱动设备 | |
KR102345119B1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및 구동 장치 | |
KR102059821B1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및 구동 장치 | |
KR20060028648A (ko) |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카메라 렌즈의 위치 결정 장치 및이 위치 결정 장치를 이용한 카메라 | |
KR102574408B1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KR20160121298A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200018894A (ko) |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150059997A (ko) | 광학조절장치 | |
US11165325B2 (en) | Drive apparatus having drive unit using magnetic circuit | |
KR102059819B1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KR102371759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20190108317A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KR102194710B1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KR101233572B1 (ko) | 카메라 모듈용 보이스 코일 모터 | |
KR20160060219A (ko) | 카메라 모듈 | |
KR20210041947A (ko) |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 |
KR102437802B1 (ko) |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KR101963276B1 (ko) |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180131151A (ko) |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 장치 | |
KR101771787B1 (ko) | 카메라 모듈 | |
KR20160087682A (ko) | 손떨림 보정 장치 및 손떨림 보정 장치의 제어 방법 | |
CN114174916A (zh) | 摄像头透镜多轴斜率控制装置及其方法 | |
KR20210083788A (ko) | 드라이버 ic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 |
US12022195B2 (en) | Camera device calibration method using samplingpoints and camera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