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965B1 -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965B1
KR102573965B1 KR1020210146999A KR20210146999A KR102573965B1 KR 102573965 B1 KR102573965 B1 KR 102573965B1 KR 1020210146999 A KR1020210146999 A KR 1020210146999A KR 20210146999 A KR20210146999 A KR 20210146999A KR 102573965 B1 KR102573965 B1 KR 102573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ight
user
control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2085A (ko
Inventor
장희숙
손민
박성호
정순범
정규업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9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2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 본체부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조절부는 본체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렉 기어 및 렉 기어의 일측과 타측에 상호 치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본체부의 높이가 자동 조절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신장에 관계없이 편리한 정보검색을 이룰 수 있는 키오스크에 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NEXT GENERATION DIGITAL KIOSKS FOR THE UNDERPRIVILEGED}
본 발명은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 본체부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조절부는 본체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렉 기어 및 렉 기어의 일측과 타측에 상호 치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본체부의 높이가 자동 조절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신장에 관계없이 편리한 정보검색을 이룰 수 있는 키오스크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쇼핑몰, 극장, 전시관 등의 공공시설에는 그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안내데스크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공공시설에 찾아오는 고객들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안내 데스크를 찾아가 안내 담당자에게 용건을 말한 뒤 해당정보를 습득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내 데스크의 경우에는 안내 담당자가 직접 해당 정보를 전달해야 함으로써 인건비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시설 내에서 특정 장소에만 배치되어 있어 고객을 위한 안내 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편리한 안내 서비스를 위해 안내 데스크 이외에도 고객의 출입이 빈번한 장소에 다수의 키오스크를 배치하여 고객들이 상기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키오스크는 대부분 공공장소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장치로서 정보 서비스와 업무의 무인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단말기를 가리킨다.
즉, 고객들은 키오스크의 스크린을 통해 주변의 위치, 자신이 찾아가고자 하는 장소의 위치 등을 검색할 수 있고, 또한 해당 공공시설에서 판매하는 티켓을 키오스크를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치매센터와 같은 공공기관에도 키오스크가 설치되어 환자 본인이 직접 상기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본인 상태를 스스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며, 치매 환자의 경우 본인 상태를 키오스크를 통해 매일 스스로 체크해야만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매센터에 많은 수의 키오스크가 배치되어 사용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키오스크의 경우에는 일반인의 체형에 맞추어 제작됨으로써 평균 신장에 비해 키가 너무 큰 사람이나 키가 작은 사람 등은 이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거동이 불편한 휠체어에 앉아 이동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키오스크를 이용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거동이 불편하여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은 병원이나 치매센터 등과 같은 공공기관에 설치된 키오스크의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이동해야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리하여, 병원이나 치매센터 등과 같은 공공기관에 설치된 키오스크의 경우 이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키오스크 하부에 캐스터 등과 같은 바퀴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키오스크 하부에 바퀴를 설치할 경우에는 키오스크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키오스크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되고, 키오스크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키오스크의 화면부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4085호
본 발명은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 본체부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조절부는 본체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렉 기어 및 렉 기어의 일측과 타측에 상호 치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본체부의 높이가 자동 조절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신장에 관계없이 편리한 정보검색을 이룰 수 있는 키오스크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조절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맞닿아 결합되는 인식부; 및 상기 조절부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렉 기어; 및 상기 렉 기어의 일측과 타측에 상호 치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가 사용자의 신장을 감지하면, 상기 조절부가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과 상기 사용자의 신장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접근과 상기 사용자의 신장을 감지하고, 상기 인식부에 의해 측정된 감지 정보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기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정보가 상기 기어 구동부로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의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QR 코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부의 하부의 일측과 타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부; 및 상기 한 쌍의 레일부를 따라 각각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본체부의 높이가 자동 조절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신장에 관계없이 편리한 정보검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신장을 감지하여 본체부의 높이가 조절되면, 본체부의 높이가 이용빈도가 높은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불편한 높이에 위치되게 된다.
이는, 먼저 사용한 사용자가 감지센서를 벗어나면 본체부의 높이는 170cm의 신장을 가진 사용자의 가슴 높이인 초기 상태로 자동 복구되므로, 다수의 사용자가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식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식부, 제어부 및 기어 구동부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비장애인이 본 발명에 따른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본 발명에 따른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평균신장보다 큰 신장의 사용자가 감지센서에 가까이 접근할 경우와 멀어지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인 레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고, '폭 방’'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일측면'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제1 기어가 형성된 부분이고, '타측면'이라 함은 길이 방향으로 제2 기어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는 본체부(100), 인식부(200), 조절부(300), 레일부(400),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인식부(200)가 맞닿아 위치되고,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조절부(30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조절부(300)는 제1 조절부(310)와 제2 조절부(320)로 구성된다.
제1 조절부(310)는 일측면에는 제1 렉 기어(311)가 결합되고, 타측면에는 제2 렉 기어(312)가 결합되며, 한 쌍의 렉 기어는 후술할 한 쌍의 피니언 기어와 상호 치합된다.
또한, 제2 조절부(320)는 제1 피니언 기어(321), 제2 피니언 기어(322), 제1 홈(323) 및 제2 홈(324)을 포함한다.
제1 조절부(310)의 하부는 제2 조절부(320)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되, 제2 조절부(320)의 일측과 타측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U'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조절부(320)의 일측에는 제1 홈(323)이 형성되고, 제2 조절부(320)의 타측에는 제2 홈(324)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홈(323)의 내부에는 제1 피니언 기어(321)가 삽입되고, 제2 홈(324)의 내부에는 제2 피니언 기어(322)가 삽입된다.
즉, 제1 렉 기어(311)는 제1 피니언 기어(321)와 상호 치합되고 제2 렉 기어(312)는 제2 피니언 기어(322)와 상호 치합되므로, 제1 조절부(310)는 한 쌍의 렉 기어와 한 쌍의 피니언 기어를 통해 제2 조절부(320)를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조절부(320)의 내부에는 후술할 기어 구동부(330)가 삽입되어 있으며, 기어 구동부(330)는 후술할 감지 센서(220)로부터 사용자의 감지정보를 전달받으면 작동을 시작한다.
따라서, 한 쌍의 렉 기어와 한 쌍의 피니언 기어의 구성으로 작동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고, 제품의 주름, 찌그러짐 및 파손 등의 제품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별도의 작동 없이 성형할 수 있으므로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식부(2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인식부(200), 제어부(500) 및 기어 구동부(330)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인식부(200)는 QR 코드부(210), 감지 센서(220) 및 음성 인식부(230)를 포함하고,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QR 코드부(210), 감지 센서(220) 및 음성 인식부(23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500)가 삽입되어 있다.
사용자가 출입할 때, 키오스크에 구성된 QR 코드부(210)를 통해 출입자 휴대기기에 있는 각자의 QR 코드를 인식시킬 수 있다.
QR 코드부(210)에 출입자 휴대기기에 있는 각자의 QR 코드를 인식시키면 출입자의 출입 정도, 출입 시간 및 건물의 지체시간 등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며 QR코드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동선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체온 등의 변화가 있는 경우 질병본부 등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신속하게 출입자의 동선을 제공함으로써 전염병의 전염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코드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 자체의 QR 코드가 구성된다.
코드부에 구성된 QR 코드를 출입자의 휴대기기로 인식시키면, 출입자의 휴대기기에 본 발명에 따른 출입자의 빈도 수, 출입자들의 평균 온도, 출입자의 인체온도가 변화가 있었던 경우 등을 알 수 있다.
감지 센서(220)가 사용자의 접근과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하게 사용자가 본 발명에 가까이 접근할 때, 감지 센서(220)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
감지 센서(220)는 사용자의 동작(motion)이나 존재(presence)를 검출하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방식이며, 동작을 검출하는 방식은 PIR(Passive Infra Red)센서를 이용하고 센서등, 보안용 카메라 등에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지 센서(220)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열이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감지 센서(220)가 사용자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제어부(500)로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제어부(500)는 센서와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미도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미도시), 외부와 무선통신 가능한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통신이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술한 구성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란,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센서(220)가 본 발명에 접근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감지 정보가 제어부(500)로 전달되고 제어부(500)가 기어 구동부(330)에 감지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이후, 기어 구동부(330)와 연결된 제1 렉 기어(311) 및 제2 렉 기어(312)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제1 렉 기어(311)와 제2 렉 기어(312)와 치합되어 있는 제1 피니언 기어(321)와 제2 피니언 기어(322)가 회전하면서 본 발명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도 4와 도 5는 사용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비장애인이 본 발명에 따른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가 본 발명의 초기 상태이며, 감지센서가 170cm의 신장을 가진, 즉 평균신장을 가진 사용자의 가슴 높이와 본 발명의 하부의 높이가 일치한 것을 감지하게 되면 본 발명의 높이는 변경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본 발명에 따른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 때, 감지 센서(220)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한 후, 이에 대한 감지 정보가 제어부(500)로 전달된다.
감지정보는 제어부(500)를 통해 기어 구동부(330)로 이동하고, 제1 렉 기어(311)와 제2 렉 기어(312)가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하강 운동하면서 제1 피니언 기어(321) 및 제2 피니언 기어(322)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본체부(100)의 높이가 자동 조절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신장에 관계없이 편리한 정보검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감지 센서(220)가 사용자의 신장을 감지하여 본체부(100)의 높이가 조절되면, 본체부(100)의 높이가 이용빈도가 높은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불편한 높이에 위치되게 된다.
이는, 먼저 사용한 사용자가 감지센서를 벗어나면 본체부(100)의 높이는 170cm의 신장을 가진 사용자의 가슴 높이인 초기 상태로 자동 복구되므로, 다수의 사용자가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6의 (a)는, 평균신장보다 큰 신장의 사용자가 감지센서에 가까이 접근할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의 신장이 평균신장인 170cm가 넘을 경우, 사용자가 본 발명에 가까이 접근하면 감지 센서(220)가 사용자의 접근 및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하여 감지정보를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감지정보는 제어부(500)에서 기어 구동부(330)로 전달되고, 기어 구동부(330)에 따라 제1 렉 기어(311)와 제2 렉 기어(312)가 회전하고 제1 피니언 기어(321) 및 제2 피니언 기어(322)도 따라서 회전하면서 본체부(100)의 높이가 조절된다.
본체부(100)의 높이는 평균신장인 170cm이 넘는 사용자의 머리끝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조절되며, 본체부(100)의 높이는 사용자의 머리끝 부분에 위치하면 기어구동부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도 6의 (b)는, 평균신장보다 큰 신장의 사용자가 감지센서로부터 멀어지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본 발명을 이용한 후 감지센서의 감지범위로부터 벗어나면,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체부(100)의 높이가 170cm의 평균신장을 가진 이용자의 가슴높이인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를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본체부(100)의 높이가 자동 조절되므로 신장이 각각 상이한 사용자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감지센서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므로 본체부(100)의 크기 및 건물의 실내높이 관계없이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인 레일부(400)를 도시한 것이다.
레일부(400)는 제1 슬라이딩부(410), 제2 슬라이딩부(420), 제1 레일부(430), 제2 레일부(440) 및 지지부(450)를 포함하고, 제1 레일부(430)는 본체부(100)의 하부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 레일부(440)는 본체부(100)의 하부의 타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슬라이딩부(410)는 제1 레일부(43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슬라이딩부(420)는 제2 레일부(44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지부(450)는 제1 슬라이딩부(410)와 제2 슬라이딩부(420)의 사이에 결합되어 형성되되, 제1 슬라이딩부(410)와 제2 슬라이딩부(420)가 각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레일부의 외부에는 케이스가 형성되며,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는 레일부가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도록 형성된다.
본체부(100)가 슬라이딩하여 상승 및 하강하므로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원가비용을 줄여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기어 대신 슬라이딩부의 구성으로 제품의 소음, 유격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리벳 및 볼트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공정 및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600)를 도시한 것이다.
이동부(600)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제1 조절부(310)의 상부에 맞닿아 결합된다.
이동부(600)는 제1 조절부(310)의 상부의 일단과 타단을 일부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즉'┍┑'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조절부(310)의 일단과 타단에 한 쌍의 이동레일(610)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동부(600)는 한 쌍의 이동레일(610)을 따라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본체부(10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더욱 가까이에서 살펴보거나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600)가 이동레일(610)을 따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고, 본체부(100)가 수직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설계를 구현 가능토록 한다.
덧붙여, 힘을 따로 쓰지 않아도 버튼 및 노브를 이용하여 이동부(600)를 작동시킬 수 있어 팔이 짧은 어린아이나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조절부(310)는 지속적으로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렉 기어(311) 및 제2 렉 기어(312)의 일측이 마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표면이 접하는 환경 중에 습기의 작용으로 인한 부식현상으로 상온의 공기 중에서 녹스는 대기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렉 기어(311) 및 제2 렉 기어(312)의 표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고자 부식방지 코팅을 통해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제1 렉 기어(311) 및 제2 렉 기어(312)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제1 렉 기어(311) 및 제2 렉 기어(312)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제1 렉 기어(311) 및 제2 렉 기어(312)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제1 렉 기어(311) 및 제2 렉 기어(312)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이하, 유기혼합체라 한다),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코팅층에 의하는 경우 물리적 외력 또는 화학적 반응이 가해지더라도 코팅층이 잘 벗겨지지 않고, 우수한 방수 효과를 통하여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혼합체은 상기 화합물이 포함하고 있는 특정 작용기 및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제1 렉 기어(311) 및 제2 렉 기어(312)의 표면에서 수분에 노출되는 주요 구성에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 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 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30 내지 5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단열 부재(미도시)의 하부면에 도포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유기혼합체(상기 유기혼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 : 1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유기혼합체 25 30 40 50 55
금속 화합물 15 20 30 40 45
아민 화합물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2. 코팅층의 제조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판재를 단열부재 하부면으로 가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10×10cm의 알루미늄 판재 일면에 상술한 TX1 내지 T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1 렉 기어(311) 및 제2 렉 기어(312)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부식 특성의 측정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 부식 발생
×: 부식 발생하지 않음
TX1 TX2 TX3 TX4 TX5 대조군
부식 발생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200 : 인식부,
210 : QR 코드부,
220 : 감지 센서,
230 : 음성 인식부,
300 : 조절부,
310 : 제1 조절부,
311 : 제1 렉 기어,
312 : 제2 렉 기어,
320 : 제2 조절부,
321 : 제1 피니언 기어,
322 : 제2 피니언 기어,
323 : 제1 홈,
324 : 제2 홈,
330 : 기어 구동부,
400 : 레일부,
410 : 제1 슬라이딩부,
420 : 제2 슬라이딩부,
430 : 제1 레일부,
440 : 제2 레일부,
450 : 지지부,
500 : 제어부,
600 : 이동부,
610 : 이동레일.

Claims (7)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조절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맞닿아 결합되는 인식부; 및
    상기 조절부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렉 기어; 및
    상기 렉 기어의 일측과 타측에 상호 치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가 사용자의 신장을 감지하면, 상기 조절부가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과 상기 사용자의 신장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접근과 상기 사용자의 신장을 감지하고,
    상기 인식부에 의해 측정된 감지 정보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기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정보가 상기 기어 구동부로 전달되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의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QR 코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의 일측과 타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부; 및
    상기 한 쌍의 레일부를 따라 각각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1 조절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U'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렉 기어는,
    상기 제1 조절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렉기어 및 제2 렉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절부의 상부에 맞닿아 결합되되,'┍┑'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부; 및
    상기 제1 조절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이동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한 쌍의 이동레일을 따라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본체부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제1 렉기어 및 제2 렉기어의 표면에는 부식방지 코팅을 통해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유기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
    [화학식 1]

    [화학식 2]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46999A 2021-10-29 2021-10-29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 KR102573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999A KR102573965B1 (ko) 2021-10-29 2021-10-29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999A KR102573965B1 (ko) 2021-10-29 2021-10-29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085A KR20230062085A (ko) 2023-05-09
KR102573965B1 true KR102573965B1 (ko) 2023-09-01

Family

ID=8640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999A KR102573965B1 (ko) 2021-10-29 2021-10-29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9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029B1 (ko) * 2011-07-19 2011-11-16 (주)엘리비젼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KR101191640B1 (ko) 2011-02-23 2012-10-1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전달장치 및 그 방법
KR200466708Y1 (ko) 2013-03-11 2013-05-09 (주)엘리비젼 인체감지 조절 키오스크
KR102306092B1 (ko) * 2020-12-30 2021-09-28 주식회사 진승정보기술 음성인식 키오스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137Y1 (ko) 2007-03-20 2011-12-07 (주)쓰리디아이에스 키오스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640B1 (ko) 2011-02-23 2012-10-1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전달장치 및 그 방법
KR101084029B1 (ko) * 2011-07-19 2011-11-16 (주)엘리비젼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KR200466708Y1 (ko) 2013-03-11 2013-05-09 (주)엘리비젼 인체감지 조절 키오스크
KR102306092B1 (ko) * 2020-12-30 2021-09-28 주식회사 진승정보기술 음성인식 키오스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085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5052B2 (en) Communication systems for patient support apparatuses
JP5648840B2 (ja) ベッド上及び室内の見守りシステム
Adams et al.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movement devices used to assist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in high-rise building evacuations
KR102573965B1 (ko) 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키오스크
WO2011163283A3 (en) Wheelchair lift transfer device
KR20200009232A (ko)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US20150086597A1 (en) Antimicrobial copper or copper alloy produc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00033331A1 (en) Monitoring System
CN105038033A (zh) 一种pvc塑料地板
CN110250785B (zh) 一种智慧式床椅车共享系统
Pinheiro et al. Synthesis of new 4-(phenylamino) thieno [2, 3-b] pyridines and derivatives of the novel benzo [b] thieno [3, 2-h]-1, 6-naphthyridine tetracyclic system
CN108316843B (zh) 玻璃幕墙外遮阳装饰系统
CN204490265U (zh) 智能化楼道代步电梯
CN205787703U (zh) 一种语音智能搀扶呼救装置
CN206917324U (zh) 一种移动网吧设备
KR102082198B1 (ko) 모듈화 기법을 적용한 욕실에서의 사용자 건강 체크 시스템
US20210108759A1 (en) Adjustable Grab Bar Apparatus
CN105484454A (zh) 一种新型盲人楼梯扶手
CN104503398A (zh) 基于物联网的智能家居终端
KR102425860B1 (ko) 다기능 게이트장치
CN206995171U (zh) 一种带浴缸的淋浴房
CA3241097A1 (en) Badge and patient support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Li et al. Effect of atmosphere on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chlorinated natural rubber from latex
CN102551366A (zh) 图书馆自动升降书架
CN204663034U (zh) 新型多层老年公寓建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