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654B1 -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 - Google Patents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654B1
KR102573654B1 KR1020210138565A KR20210138565A KR102573654B1 KR 102573654 B1 KR102573654 B1 KR 102573654B1 KR 1020210138565 A KR1020210138565 A KR 1020210138565A KR 20210138565 A KR20210138565 A KR 20210138565A KR 102573654 B1 KR102573654 B1 KR 102573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excavation
powe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5173A (ko
Inventor
노정현
Original Assignee
노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현 filed Critical 노정현
Priority to KR1020210138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654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E21B3/022Top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03Drilling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E21B7/005Drilling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helical conve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파이프, 작물의 지주목, 작물의 시비 등을 위해 지반에 원통형의 구멍을 파내는데 사용되는 굴착기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원하는 장소로 주행하고, 지반에 세워진 상태로 정차 가능한 수레타입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중앙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부(20); 상기 승강부(20)의 전방에 세워지게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하여 지반에 구멍을 파내는 굴착부(30); 상기 본체부(10)의 후방에 승강부(20)와 연결 장착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굴착부(30)의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조절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를 갖는 수레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비좁은 곳에서도 주행이 가능하여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벼운 중량으로 인해 별도의 주행동력이 없이도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mobile powered excavator}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파이프, 작물의 지주목, 작물의 시비 등을 위해 지반에 원통형의 구멍을 파내는데 사용되는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반적으로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를 갖는 수레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비좁은 곳에서도 주행이 가능하여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벼운 중량으로 인해 별도의 주행동력이 없이도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한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에 관한 것이다.
토지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거나 동물을 사육하는 농업은 다양한 작업이 필요하다.
예컨대 비닐하우스를 설치하거나 작물이 쓰러지지 않게 지지 및 정원이나 과수에 시비작업 등이 있다.
즉, 비닐하우스의 골격인 파이프와 작물의 지주목은 지반에 박아야하고, 퇴비나 비료는 지반에 묻어야 한다.
이러한 파이프와 지주목 및 퇴비를 지반에 박거나 묻기 위해서는 지반에 설정직경과 깊이의 원통형 구멍을 파내는 굴착작업이 요구된다.
기존에는 삽이나 괭이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지반을 파내야만 했으므로 상당한 노동과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트랙터에 부가 장착되거나 특허문헌1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굴착(오거)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삼륜 이상의 바퀴나 무한궤도 트랙을 기반인 차량타입으로 이루어져 비교적 복잡한 구조로 인해 비용가중과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부피가 커서 협소한 농경지의 경우에는 진입이 불가능함에 따라 작업종류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운전과 조작이 어려워 상당시간 훈련을 받은 숙련자만이 사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6767호 (발명의 명칭: 다목적 오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장소에 제한없이 협소한 농경지에도 이동이 가능하며, 비닐하우스 파이프, 작물의 지주목, 작물의 시비 등을 위해 지반에 원통형의 구멍을 파내는데 사용되는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병은 전반적으로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를 갖는 수레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비좁은 곳에서도 주행이 가능하여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벼운 중량으로 인해 별도의 주행동력이 없이도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한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비트를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회전조작만으로도 굴착비트를 설정 높낮이로 정밀조절이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지반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우수한 작업 성능을 갖는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파이프, 작물의 지주목, 작물의 시비 등을 위해 지반에 원통형의 구멍을 파내는데 사용되는 굴착기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원하는 장소로 주행하고, 지반에 세워진 상태로 정차 가능한 수레타입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전방에 세워지게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하여 지반에 구멍을 파내는 굴착부;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 승강부와 연결 장착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굴착부의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굴착부를 수용하는 크기를 가진 ㅂ형의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단에 후방을 향해 돌출 장착되는 주행프레임; 상기 주행프레임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주행바퀴;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단에 전방을 향해 돌출 장착되어 지반에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받침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과 받침프레임 사이에 사선으로 연결 장착되어 지지력을 높여주는 보강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단에 후방을 향해 돌출 장착되어 작업자로부터 이동력과 굴착부의 작동을 조작받는 조종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굴착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나 전원을 제어하는 전장품 또는 공구들을 보관하도록 상단 일측에 장착되는 소정 크기의 수납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종프레임은, 상기 굴착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단속하는 조종버튼; 상기 굴삭부와 연결되어 출력을 조절하는 조종레버;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들과 맞물려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와 맞물려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굴착부는, 전기 또는 화석연료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또는 동력엔진; 상기 동력엔진의 일단에 장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유닛; 상기 변속유닛의 일단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고, 소정직경의 스크루가 형성되어 지반에 원통형의 구멍을 파내는 굴착비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후면과 측면에 직교방향의 입/출력축을 갖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측면에 위치한 출력축에 장착되는 구동스프로킷; 상기 본체부의 후방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스프로킷; 상기 구/종동스프로킷을 경유하며 승강부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는 체인; 상기 기어박스의 후면에 위치한 입력축에 장착되고, 작업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구/종동스프로킷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굴착부의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조절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 중앙에 세워지게 장착되고, 상기 체인의 후방부위를 감싸서 외부물체와의 간섭을 차단하는 보호덮개;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굴착부의 작동이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조절핸들의 임의회전을 차단하는 안전부재;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조절핸들의 회전반경에 해당되는 본체부의 상단 후방에 돌출 장착되는 안전브래킷; 상기 조절핸들의 일단에 안전브래킷과 맞물리게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조절핸들을 구속하는 안전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를 갖는 수레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비좁은 곳에서도 주행이 가능하여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벼운 중량으로 인해 별도의 주행동력이 없이도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비트를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회전조작만으로도 굴착비트를 설정 높낮이로 정밀조절이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지반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우수한 작업 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조절핸들을 잠그는 안전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자 이외에 사람이 함부로 조작하거나 진동으로부터 임의회전을 차단시킬 수 있음에 따라 지반과 굴착비트와의 급격한 충돌로 인한 손상은 물론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를 다양한 각도에서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의 요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를 이용하여 지반에 구멍을 파내는 과정을 나타내는 작업상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파이프, 작물의 지주목, 작물의 시비 등을 위해 지반에 원통형의 구멍을 파내는데 사용되는 굴착기에 관한 것으로, 도 1처럼 본체부(10)와 승강부(20) 및 굴착부(30) 그리고 조절부(4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4처럼 승강부(20) 내지 조절부(40)를 구성하는 프레임이다.
즉, 본체부(10)는 작업자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원하는 장소로 주행할 수 있으면서도 지반에 세워진 상태로 정차가 가능한 수레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부(10)는 본체프레임(11), 주행프레임(12), 주행바퀴(13), 받침프레임(14), 보강프레임(15), 조종프레임(16)으로 구성된다.
본체프레임(11)은 전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굴착부(30)를 수용 가능한 ㅂ형의 틀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프레임(11)의 상단 일측에는 소정 크기의 수납함(11a)이 장착된다.
이러한 수납함(11a)에는 굴착부(3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나 전원을 제어하는 전장품 또는 공구들을 보관할 수가 있다.
주행프레임(12)은 본체프레임(11)의 하단 양측에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 장착된다.
주행바퀴(13)는 주행프레임(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주행할 수 있게 구름 운동한다.
받침프레임(14)은 본체프레임(11)의 하단 양측에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 장착된다.
이러한 받침프레임(14)은 지반에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프레임(15)은 본체프레임(11)과 받침프레임(14) 사이에 사선으로 연결 장착되어 지지력을 높여준다.
조종프레임(16)은 본체프레임(11)의 상단에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 장착된다.
즉, 조종프레임(16)은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것으로, 방향과 이동력 및 굴착부(30)의 작동을 조작받는다.
이러한 조종프레임(16)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부(30)와 연결되어 전원을 단속하는 조종버튼(16a)과, 출력을 조절하는 조종레버(16b)가 장착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20)는 도 1 내지 도 4처럼 본체부(10)의 중앙에 장착되어 굴착부(30)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승강부(20)는 안내레일(21)과 승강프레임(22) 및 가이드롤러(23)로 구성된다.
안내레일(21)은 금속의 환봉으로, 본체프레임(11)의 중앙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장착된다.
승강프레임(22)은 안내레일(21)들과 맞물려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승강프레임(22)은 전면에서 보았을 때 ㅠ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체이다.
즉, 승강프레임(22)의 중앙에는 굴착부(30)가 세워지게 장착되고, 양단에는 안내레일(21)이 관통 수용하는 원통블록이 형성된다.
가이드롤러(23)는 승강프레임(22)의 양측에 막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본체프레임(11) 중 수직대와 맞물려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굴착부(30)는 도 1 내지 도 4처럼 승강프레임(22)의 전방에 세워지게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하여 지반에 구멍을 파내준다.
이러한 굴착부(30)는 동력엔진(31)과 변속유닛(32) 및 굴착비트(33)로 구성된다.
동력엔진(31)은 굴착비트(33)의 회전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전기에너지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또는 휘발유로 동력을 발생하는 내연기관으로 이루어진다.
변속유닛(32)은 동력엔진(31)의 출력단부에 장착되고, 동력엔진(31)으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굴착비트(33)로 전달한다.
굴착비트(33)는 변속유닛(32)의 일단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고, 소정직경의 스크루가 형성되어 지반에 원통형의 구멍을 파낸다.
이러한 굴착비트(33)는 굴착조건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40)는 도 1 내지 도 4처럼 본체부(10)의 후방에 승강부(20)와 연결 장착된다.
즉, 조절부(40)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굴착부(30)의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절부(40)는 기어박스(41), 구동스프로킷(42), 종동스프로킷(43), 체인(44), 조절핸들(45), 보호덮개(46), 안전부재(47)로 구성된다.
기어박스(41)는 후면과 측면에 직교방향의 입/출력축을 갖는 것으로, 본체프레임(11)의 상단 일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기어박스(41)는 베벨기어나 웜기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출력축에서 입력축으로의 동력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웜기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스프로킷(42)은 기어박스(41)의 측면에 위치한 출력축에 장착되고, 종동스프로킷(43)은 본체프레임(11)의 후방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체인(44)은 구/종동스프로킷(42)(43)을 경유하면서 승강프레임(22)과는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다.
이때, 구/종동스프로킷(42)(43)과 체인(44)의 구성 이외에 구/종동풀리와 와이어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조절핸들(45)은 기어박스(41)의 후면에 위치한 입력축에 장착되고, 작업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예컨대 조절핸들(45)을 좌회전시키면, 승강프레임(22)이 하강하게 되어 굴착부(30)가 지반으로 진입하게 된다.
반대로 조절핸들(45)을 우회전시키면, 승강프레임(22)이 상승하게 되어 굴착부(30)가 지반으로부터 진출하게 된다.
즉, 작업자로부터 조작되는 조절핸들(45)에 따라 굴착부(30)의 높낮이가 가변됨에 따라 지반의 구멍을 원하는 깊이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굴착할 수가 있다.
반대로 승강프레임(22)이 하강하게 되어 굴착부(30)가 지반으로 진입이 완료된 후, 수동으로 승강프레임(22)이 상승하게 되어 굴착부(30)가 지반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한다.
보호덮개(46)는 ㄷ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체인(44)의 후방부위를 감싸는 것으로, 본체프레임(11)의 후방 중앙에 장착된다.
이러한 보호덮개(46)는 풀이나 나뭇가지 등의 외부물체가 체인(44)에 걸리거나 끼임을 차단시켜 고장이나 사고를 예방해준다.
안전부재(47)는 굴착부(30)의 작동이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조절핸들(45)의 임의회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전부재(4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브래킷(47a)과 안전볼트(47b)로 구성된다.
안전브래킷(47a)은 ㄴ형으로 형성되고, 조절핸들(45)의 회전반경에 해당되는 본체프레임(11)의 상단 후방에 돌출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안전브래킷(47a)의 상단 중앙에는 안전볼트(47b)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다.
안전볼트(47b)는 조절핸들(45)의 손잡이 부위에 안전브래킷(47a)과 맞물린 상태로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조절핸들(45)을 구속한다.
즉, 안전볼트(47b)로 조절핸들(45)을 잠가두면, 작업자 이외에 사람이 함부로 조작하거나 진동으로부터 임의회전을 차단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굴착부(30)의 낙하로 인한 굴착비트(33)의 손상은 물론 지반과의 급작스런 충돌로 인한 각종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를 이용하여 지반에 구멍을 굴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종프레임(16)을 양손을 파지하고, 후방을 향해 기울인 상태에서 굴착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동력엔진(31)을 구동시켜 굴착비트(33)를 회전시킨 다음 도 7과 같이 조절핸들(45)을 조작하여 굴착비트(33)를 설정깊이로 하강시킨다.
굴착비트(33)가 회전 및 하강하는 가운데 지반과의 저항이 증가되면, 즉시 조종레버(16b)를 조작하여 출력을 높여준다.
지반을 원하는 깊이로 굴착이 완료되면, 도 8처럼 조절핸들(45)을 조작하여 굴착비트(33)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다음 동력엔진(31)을 중지시킨다.
굴착의 완료로 보관소로 이동하거나 다른 굴착장소로 이동할 경우에는 반드시 안전부재(47)를 통해 조절핸들(45)을 잠가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본체부
11: 본체프레임
11a: 수납함
12: 주행프레임
13: 주행바퀴
14: 받침프레임
15: 보강프레임
16: 조종프레임
16a: 조종버튼
16b: 조종레버
20: 승강부
21: 안내레일
22: 승강프레임
23: 가이드롤러
30: 굴착부
31: 동력엔진
32: 변속유닛
33: 굴착비트
40: 조절부
41: 기어박스
42: 구동스프로킷
43: 종동스프로킷
44: 체인
45: 조절핸들
46: 보호덮개
47: 안전부재
47a: 안전브래킷
47b: 안전볼트

Claims (7)

  1. 비닐하우스 파이프, 작물의 지주목, 작물의 시비 등을 위해 지반에 원통형의 구멍을 파내는데 사용되는 굴착기에 있어서,
    작업자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원하는 장소로 주행하고, 지반에 세워진 상태로 정차 가능한 수레타입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중앙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부(20);
    상기 승강부(20)의 전방에 세워지게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하여 지반에 구멍을 파내는 굴착부(30);
    상기 본체부(10)의 후방에 승강부(20)와 연결 장착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굴착부(30)의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조절부(40);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중앙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21);
    상기 안내레일(21)들과 맞물려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프레임(22);
    상기 승강프레임(22)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10)와 맞물려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후면과 측면에 직교방향의 입/출력축을 갖는 기어박스(41);
    상기 기어박스(41)의 측면에 위치한 출력축에 장착되는 구동스프로킷(42);
    상기 본체부(10)의 후방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스프로킷(43);
    상기 구/종동스프로킷(42)(43)을 경유하며 승강부(20)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는 체인(44);
    상기 기어박스(41)의 후면에 위치한 입력축에 장착되고, 작업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구/종동스프로킷(42)(43)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굴착부(30)의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조절핸들(45);
    상기 본체부(10)의 후방 중앙에 세워지게 장착되고, 상기 체인(44)의 후방부위를 감싸서 외부물체와의 간섭을 차단하는 보호덮개(46);
    상기 굴착부(30)의 작동이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조절핸들(45)의 임의회전을 차단하는 안전부재(47);를 구비하며,
    상기 안전부재(47)는,
    상기 조절핸들(45)의 회전반경에 해당되는 본체부(10)의 상단 후방에 돌출 장착되고, ㄴ형으로 형성되는 안전브래킷(47a);
    상기 조절핸들(45)의 일단에 안전브래킷(47a)과 맞물리게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조절핸들(45)을 구속하는 안전볼트(47b);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굴착부(30)를 수용하는 크기를 가진 ㅂ형의 본체프레임(11);
    상기 본체프레임(11)의 하단에 후방을 향해 돌출 장착되는 주행프레임(12);
    상기 주행프레임(12)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주행바퀴(13);
    상기 본체프레임(11)의 하단에 전방을 향해 돌출 장착되어 지반에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받침프레임(14);
    상기 본체프레임(11)과 받침프레임(14) 사이에 사선으로 연결 장착되어 지지력을 높여주는 보강프레임(15);
    상기 본체프레임(11)의 상단에 후방을 향해 돌출 장착되어 작업자로부터 이동력과 굴착부(30)의 작동을 조작받는 조종프레임(16);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1)은,
    상기 굴착부(3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나 전원을 제어하는 전장품 또는 공구들을 보관하도록 상단 일측에 장착되는 소정 크기의 수납함(11a);
    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종프레임(16)은,
    상기 굴착부(30)와 연결되어 전원을 단속하는 조종버튼(16a);
    상기 굴착부(30)와 연결되어 출력을 조절하는 조종레버(16b);
    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착부(30)는,
    전기 또는 화석연료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또는 동력엔진(31);
    상기 동력엔진(31)의 일단에 장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유닛(32);
    상기 변속유닛(32)의 일단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고, 소정직경의 스크루가 형성되어 지반에 원통형의 구멍을 파내는 굴착비트(3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
  7. 삭제
KR1020210138565A 2021-10-18 2021-10-18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 KR102573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565A KR102573654B1 (ko) 2021-10-18 2021-10-18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565A KR102573654B1 (ko) 2021-10-18 2021-10-18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173A KR20230055173A (ko) 2023-04-25
KR102573654B1 true KR102573654B1 (ko) 2023-08-31

Family

ID=8610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565A KR102573654B1 (ko) 2021-10-18 2021-10-18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6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405B2 (ja) * 1990-11-19 2000-09-04 積水ハウス株式会社 柱・梁の接合装置
KR200483435Y1 (ko) * 2016-11-01 2017-05-16 승우 이 굴삭기용 천공작업기
KR102305364B1 (ko) * 2020-06-08 2021-09-28 김정수 암반 절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405U (ja) * 2001-08-30 2002-03-22 鉱研工業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ドリル
KR20120136767A (ko) 2011-06-10 2012-12-20 이호석 다목적 오거
KR101340930B1 (ko) * 2011-12-15 2013-12-13 연합정밀주식회사 케이블용 보빈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405B2 (ja) * 1990-11-19 2000-09-04 積水ハウス株式会社 柱・梁の接合装置
KR200483435Y1 (ko) * 2016-11-01 2017-05-16 승우 이 굴삭기용 천공작업기
KR102305364B1 (ko) * 2020-06-08 2021-09-28 김정수 암반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173A (ko)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5916B1 (en) Boring machine and auger bit
US3054198A (en) Mobile trenching tool
CN218417735U (zh) 智能植树机
KR102573654B1 (ko) 소형 이동식 동력 굴착기
US5245769A (en) Trencher for mounting on a tractor
CN107873184A (zh) 一种小型茶树挖沟及施肥一体机
CN205017819U (zh) 带有滑轮进给机构的轻便挖坑机
US20070089329A1 (en) Walk behind trencher for limited depth installations
CN116530262A (zh) 一种链轨式荒漠智能植树机及其使用方法
CN111296256A (zh) 一种山地果树施肥器
JPH09209676A (ja) 穴掘り作業車
CN204796160U (zh) 前推双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
CN204652970U (zh) 前推滑动支撑式地下作物收获履带机的升降入土挖掘机构
CN110920762B (zh) 一种便携式陡坡山地挖坑机
CN203467146U (zh) 一种具有打孔功能的微耕机
CN204796159U (zh) 前推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的双支撑结构
CN209824439U (zh) 一种履带自走式甩刀除草机
CN211267590U (zh) 一种农业种植翻土设备
CN107787645B (zh) 一种自走式倾斜螺旋开沟机
JP2006027782A (ja) 自走農用高所作業機の走行速度牽制装置
CN217872622U (zh) 钻取立管外土石方的装置
KR200224977Y1 (ko)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CN108849374A (zh) 一种树木移植用泥球成型装置
CN112492938B (zh) 一种自走式侧位施肥机及其工作方法
CN207612636U (zh) 用于根茎作物的收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