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070B1 -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070B1
KR102573070B1 KR1020210150106A KR20210150106A KR102573070B1 KR 102573070 B1 KR102573070 B1 KR 102573070B1 KR 1020210150106 A KR1020210150106 A KR 1020210150106A KR 20210150106 A KR20210150106 A KR 20210150106A KR 102573070 B1 KR102573070 B1 KR 102573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entral
variable
central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495A (ko
Inventor
최선영
박순전
석원균
문형재
Original Assignee
(주)지안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안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지안씨엔에스
Publication of KR2022006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중앙지지대와; 일단부는 중앙지지대의 단부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중앙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어 지지구조물에 거치되는 양단 가변지지대와; 중앙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어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는 가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 지지구조 자체의 자중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압과 RC부재의 하중에 의한 처짐의 제어 및 캠버 조절이 가능하여 철근콘크리트보의 시공시 요구되는 동바리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스팬의 길이에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한 조립, 설치 및 해제작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UNDER-TENSIONED FORMWORK SUPPORT STRUCTURE AND NON-POS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 지지구조 자체의 자중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압과 RC부재의 하중에 의한 처짐의 제어 및 캠버 조절이 가능하여 시공을 위한 동바리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스팬의 길이에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거푸집널의 신속한 조립, 설치 및 해제작업이 가능한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일체화한 구조로서 매우 보편적인 구조의 한 방식으로서, 철근콘크리트공사는 거푸집을 설치한 후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며, 특히 철근콘크리트보를 시공함에 거푸집 설치과정에는 동바리 설치과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즉,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보의 시공에서는 보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부터 양생 후 강도발현 시까지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임시 가설물로 동바리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동바리는 시공현장에서 사용하는데 있어 설치 시공이 번거롭고, 기설치된 동바리로 인하여 작업공간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동바리의 넘어짐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존재하여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작업 전반에 걸쳐 시공효율성을 떨어뜨리는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시공현장에서 동바리의 설치를 생략 할 수 있고, 작업공간의 확보 및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의 콘크리트를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또한 다양한 시공환경에 맞춰 보의 길이를 변경할 시, 이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여 거푸집을 추가로 제작하고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9383호 (2013.11.14.)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 지지구조 자체의 자중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압과 RC부재의 하중에 의한 처짐의 제어 및 캠버 조절이 가능하여 시공을 위한 동바리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스팬의 길이에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기존의 거푸집 설치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한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중앙지지대와; 일단부는 중앙지지대의 단부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중앙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어 지지구조물에 거치되는 양단 가변지지대와; 중앙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어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는 가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중앙지지대의 단부 내측에 인서트방식으로 삽입되어 중앙지지대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지지대는, 하부패널과, 하단부가 하부패널의 양측단의 상면에 결합되는 측면패널을 포함하여 종단면 형상이 ㄷ, H 형상 외 ㅁ, ㅇ 형상 등 폐쇄형(튜브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중앙지지대의 내측에 인서트 장착되어 중앙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중앙지지대의 단부에 힌지 장착되어 중앙지지대에 대하여 폴딩방식으로 회전하여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지지대는, 하부패널과, 하단부가 하부패널의 양측단의 상면에 결합되는 측면패널을 포함하여 종단면 형상이 ㄷ, H 형상 외 ㅁ, ㅇ 형상 등 폐쇄형(튜브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중앙지지대의 단부에 장착되는 힌지부와,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접힘 시 중앙지지대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겹쳐지도록 구성되고, 펼침 시 중앙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중앙지지대에 대하여 시저방식으로 장착되어 중앙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X자 형태로 구성되는 다수의 링크부재와, 다수의 링크부재는 힌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시저링크와, 상기 시저링크는 일단부가 중앙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양단 가변지지대에 결합되어 중앙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신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지지대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중앙 폼플레이트와, 양단 가변지지대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양단 폼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폼플레이트와 양단 폼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중앙지지대와 양단 가변지지대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평행하게 배치되어 수직 장착되는 한쌍의 측면 거푸집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중앙지지대와; 일단부는 상기 중앙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중앙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양단 가변지지대와; 상기 중앙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어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는 가력수단;을 포함하는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 a) 중앙지지대, 양단 가변지지대의 상부면에는 각각 중앙 폼플레이트와 양단 폼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중앙 폼플레이트와 양단 폼플레이의 상부면에 한쌍의 측면 거푸집널을 설치하여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단계; b) 지지 구조물에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를 거치시키는 단계; c) a) 단계 또는 b)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 가력수단을 통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 지지구조 자체의 자중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압과 RC부재의 하중에 의한 처짐의 제어 및 캠버 조절이 가능하여 철근콘크리트보의 시공시 동바리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스팬의 길이에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한 조립, 설치 및 해제작업이 가능하다.
둘째, 철근콘크리트 거더(보)의 공사에서 거푸집 공정 전반의 작업을 간소화하고 시공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시공기술의 지하층 구축 적용시 공법화할 수 있어 기술확장성을 도모할 수 있다.
셋째, 동바리 생략으로 콘크리트 양생 중에도 거더(보)의 하부를 작업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높이고 안전한 공사수행이 가능하다.
넷째, 동바리 관련 소요 작업 생략으로 가설공사 감소, 공정 단순화,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다섯째, 동바리 가설공사와 관련하여 시공, 해체, 반출 등의 독립적 가설계획/ 현장의 별도 자재 발주 및 처리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다수의 인력을 동원할 필요가 없어 인건비 절감 및 안전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의 폼플레이트가 장착된 중앙지지대와 양단 가변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에서 중앙지지대와 양단 가변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에서 복수의 중앙지지대와 양단 가변지지대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에서 인서트방식으로 장착되는 양단 가변지지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에서 폴딩방식의 양단 가변지지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에서 시저방식의 양단 가변지지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에서 측면 거푸집널이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의 중앙 정착부가 구성된 가력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의 장착 시공순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는, 중앙지지대(100)와, 양단 가변지지대(200c,200b,200c)와, 가력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앙지지대(100)는 미리 기 설정된 길이로 구성되는 것으로 중앙지지대(100)의 양단에는 양단 가변지지대(200c,200b,200c)가 장착되고, 중앙지지대(100)와 양단 가변지지대(200a)의 상부면에는 후술하는 중앙 폼플레이트(130)와 양단 폼플레이트(213)가 각각 장착되어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를 구성한다.
여기서, 지지구조물은 기둥, 기둥거푸집, 거더, 거더거푸집 등과 같이 양단 가변지지대(200c,200b,200c)를 지지가능한 구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지지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시공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ㅁ자형, ㅇ자형 등 그 형상을 제한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양단 가변지지대(200c,200b,200c)는, 일단부는 상기 중앙지지대(100)의 단부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중앙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어 지지구조물에 거치된다. 이러한 양단 가변지지대(200c,200b,200c)는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거더(보) 스팬의 길이 변화에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양단 가변지지대(200c,200b,200c)는, 중앙지지대(10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양단 가변지지대(200c,200b,200c)의 착탈방식은 중앙지지대(100)의 구조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인서트방식, 폴딩방식, 시저방식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는 상부에 플라이우드 또는 스틸(금속) 등으로 형성된 측면 거푸집널의 신속한 조립 설치 및 해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거더(보) 거푸집 공정 전반의 작업을 간소화하고 시공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측면 거푸집널(400)의 설치로 인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 설치작업의 생략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양단 가변지지대(200a)는, 그 길이를 가변시켜 타단부가 지지구조물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거치 및 설치를 위해 단부결속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력수단(300)은, 중앙지지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는 동안 중앙지지대(100)의 처짐을 제어하거나 캠버(camber)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력수단(300)은,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 자체의 자중은 물론 거더(보)의 하중과 콘크리트 타설압에 의한 처짐의 제어 및 캠버 조절이 가능하여 동바리 설치를 생략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효율적인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하게 한다.
세부적으로 가력수단(300)은, 새그스트럿(310)들과, 긴장재(320)와, 정착부(330a,330b)와, 중앙 정착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새그스트럿(310)은, 중앙지지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캠버를 부여할 수 있으며, 복수개로 중앙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면에서, 새그스트럿(310)은 하단부에 긴장재(320)가 삽입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긴장재(32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새그스트럿(310)은 도면에서 안착홈에 긴장재(320)가 삽입안착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긴장재(320)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긴장재(320)는, 새그스트럿(310)들에 연결되며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긴장재(320)는 공지의 와이어 등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정착부(330a,330b,330c)는, 중앙지지대(100)의 단부측 하부에 결합되고 긴장재(320)의 단부에 정착되어 일측 또는 타측의 정착부(330a, 330b) 또는 중앙 정착부(330C) 중 하나에서 긴장재(32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일측의 정착부(330a) 또는 타측의 정착부(330b) 중 하나인 가력부는 긴장재(3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정착부(330a,33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상으로 형성되고 긴장재(320)는 수평 또는 경사지게 정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정착부(330a,330b)는 긴장재(320)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을 관통한 긴장재(320)의 단부에 조임결속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력수단(300)에 중앙 정착부(340)가 추가로 구성된 것으로, 긴장재(320)의 일단은 정착부(330a,330b)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중앙 정착부(340)에 장착되어 중앙지지대(100)에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참조하면, 중앙지지대(100)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새그스트럿(310) 중 중앙지지대(100)의 중앙부에 구성된 새그스트럿(310)의 하단에는 중앙 정착부(340)가 구성된다.
여기서 긴장재(320)의 양단은 정착부(330a,330b)와 중앙 정착부(340)에 각각 장착되는데, 이때 긴장재(320)의 일단은 정착부(330a,330b)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고, 긴장재(320)의 타단은 중앙 정착부(340)의 입구를 관통하여 출구로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되어 중앙 정착부(340)에 별도로 구성된 장력조절 수단을 통해 긴장재(3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지지대(100)와 양단 가변지지대(220a,220b,220c)의 상부면에 각각 설치되는 중앙 폼플레이트(130)와 양단 폼플레이트(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 폼플레이트(130)와 양단 폼플레이트(213)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에 측면 거푸집널(400)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중앙지지대(10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발명의 도면에서는 한쌍의 중앙지지대(100)를 도시하였으나, 설치환경 및 시공목적에 따라 중앙지지대(100)를 2개 이상 구성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양단 가변지지대(200a)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은 인서트방식의 양단 가변지지대(200a)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양단 가변지지대(200a)는, 중앙지지대(100)의 단부 내측에 인서트방식으로 삽입되어 중앙지지대(100)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중앙지지대(100)는, 하부패널(110)과, 하단부가 하부패널(110)의 양측단의 상면에 결합되는 측면패널(120)을 포함하여 종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양단 가변지지대(200a)는, 중앙지지대(100)의 내측에 삽입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며, 세부적으로 한 쌍의 슬라이딩패널(211)과, 연결패널(2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패널(211)은, 중앙지지대(100)의 상기 측면패널(120)에 대면하도록 삽입된다.
연결패널(212)은, 복수개로 양단부가 한 쌍의 슬라이딩 패널들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슬라이딩패널(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인서트 방식의 양단 가변지지대(200a)는 인서트패널 구조로서 슬라이딩패널(211)의 이동에 따라 스팬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폴딩방식의 양단 가변지지대(200b)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양단 가변지지대(200b)는, 중앙지지대(100)에 힌지결합되어 중앙지지대(100)에 대하여 폴딩방식으로 회전하여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중앙지지대(100)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중앙 폼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양단 가변지지대(200b)는, 중앙지지대(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힌지부(221)와, 힌지부(2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접힘 시 중앙지지대(100)의 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겹쳐지도록 구성되고 펼침 시에는 중앙 폼플레이트(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참조하면, 폴딩방식의 양단 가변지지대(200b)는, 힌지부(221)의 회전에 의해 스팬이 조절될 수 있으며, 힌지부(221)와 폴딩부재(222)를 하나의 단위길이로 구성되어 설계에 따라 복수개를 구비하여 스팬 조절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시저방식의 양단 가변지지대(200c)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양단 가변지지대(200c)는, 중앙지지대(100)에 대하여 시저방식으로 결합되어 중앙지지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양단 가변지지대(200c)는, 일측이 중앙지지대(100)의 단부측에 결합되며, 다수의 링크부재(231)가 'X'자 형태로 구성되고 교차지점은 힌지(232) 결합되어 중앙지지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는 시저링크(230)와, 시저링크(230)의 타측에 결합되는 양단 폼플레이트(2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a, 7b, 7c는 중앙지지대(100)와 양단 가변지지대(200a,200b,200c)의 상부면에 각각 설치된 중앙 폼플레이트(130)와 양단 폼플레이트(213)의 상부면에는 중앙지지대(100)를 기준으로 좌우로 이격배치되는 한쌍의 측면 거푸집널(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측면 거푸집널(400)은 수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 거푸집널(400)의 하부는 중앙 폼플레이트(130)와 양단 폼플레이트(213)에 형성된 지지홈(미도시)에 수직으로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측면 거푸집널(400)을 중앙 폼플레이트(130)와 양단 폼플레이트(213)에 설치하는데 있어 시공현장으로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를 이송시킨 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공현장에서 거푸집을 별도로 설치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시공환경 및 목적에 따라 시공현장에서 양단 가변지지대(200c,200b,200c)의 길이를 가변시킨 후, 이에 대응되는 길이의 측면 거푸집널(40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여기서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양단 가변지지대(200c,200b,200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방식, 폴딩방식, 시저방식의 중 하나로 구성되며, 양단 가변지지대(200c,200b,200c)의 구성에 대응하여 양단 가변지지대(200c,200b,200c)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가령, 인서트방식의 경우 슬라이딩패널(211)을 중앙지지대(10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가변시킬 수 있으며, 폴딩방식의 경우 폴딩부재(222)를 회전시켜 가변시키며, 시저방식의 경우 시저링크(230)를 조절하여 가변시킬 수 있다.
이렇게 중앙지지대(100)와 양단 가변지지대(200c,200b,200c)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9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폼플레이트(130)와 양단 폼플레이트(213)의 상부면에 형성된 지지폼(미도시)에 수직의 측면 거푸집널(400)을 설치함으로써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중앙지지대
110 : 하부패널 120 : 측면패널
130 : 중앙 폼플레이트
200a,200b,200c : 양단 가변지지대
211 : 슬라이딩패널 212 : 연결패널
213 : 양단 폼플레이트 221 : 힌지부
222 : 폴딩부재 230 : 시저링크
231 : 링크부재 232 : 힌지
300 : 가력수단
310 : 새그스트럿 320 : 긴장재
330a,330b : 정착부 340 : 중앙 정착부
400 : 측면 거푸집널

Claims (9)

  1.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중앙지지대와;
    일단부는 중앙지지대의 단부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중앙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어 지지구조물에 거치되는 양단 가변지지대와;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중앙지지대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중앙지지대에 대하여 시저방식으로 장착되어 중앙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X자 형태로 구성되는 다수의 링크부재와, 다수의 링크부재는 힌지 결합되어 것을 포함하는 시저링크와,
    상기 시저링크는,
    일단부가 중앙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양단 가변지지대에 결합되어 중앙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신축되며,
    중앙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어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는 가력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가력수단은,
    상기 중앙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고 복수개로 상기 중앙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새그스트럿들과,
    상기 새그스트럿들에 연결되며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는 긴장재와,
    상기 중앙지지대의 단부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긴장재의 단부에 정착되어 상기 긴장재를 지지하는 정착부가 포함되고,
    상기 정착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긴장재는 수평 또는 경사지게 정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긴장재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이 관통한 긴장재의 단부에 조임결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앙지지대와 양단 가변지지대의 상부면에는,
    상기 중앙지지대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중앙 폼플레이트와, 양단 가변지지대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양단 폼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폼플레이트와 양단 폼플레이트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에 측면 거푸집널이 장착되고,
    상기 중앙 폼플레이트와 양단 폼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중앙지지대와 양단 가변지지대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평행하게 배치되어 수직 장착되는 한쌍의 측면 거푸집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거푸집널은 수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 거푸집널의 하부는 중앙 폼플레이트와 양단 폼플레이트에 형성된 지지홈에 수직으로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수단은,
    중앙 정착부가 추가로 구성되고 긴장재의 일단은 정착부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중앙 정착부에 장착되어, 중앙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새그스트럿 중 중앙지지대의 중앙부에 구성된 새그스트럿의 하단에는 중앙 정착부가 구성되며,
    상기 긴장재의 양단은,
    정착부와 중앙 정착부에 각각 장착되고, 긴장재의 일단은 정착부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고, 긴장재의 타단은 중앙 정착부의 입구를 관통하여 출구로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되어 중앙 정착부에 별도로 구성된 장력조절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지지대는,
    하부패널과, 하단부가 하부패널의 양측단의 상면에 결합되는 측면패널을 포함하여 종단면 형상이 ㄷ, H, ㅁ, ㅇ 형상 중 하나의 폐쇄형(튜브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중앙지지대의 내측에 인서트 장착되어 중앙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길이가 가변되고,
    한 쌍의 슬라이딩패널과 연결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패널은 중앙지지대의 측면패널에 대면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패널은 복수개로 양단부가 한 쌍의 슬라이딩 패널들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고,
    상기 중앙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폼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중앙지지대의 단부 내측에 인서트방식으로 삽입되어 중앙지지대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고,
    중앙지지대의 단부에 힌지 장착되어 중앙지지대에 대하여 폴딩방식으로 회전하여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중앙지지대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중앙 폼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양단 가변지지대는 중앙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는 힌지부와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접힘 시 중앙지지대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펼침 시에 중앙 폼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방식의 양단 가변지지대는 힌지부의 회전에 의해 스팬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를 이용하는 무지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은,
    a) 중앙지지대, 양단 가변지지대의 상부면에는 각각 중앙 폼플레이트와 양단 폼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중앙 폼플레이트와 양단 폼플레이의 상부면에 한쌍의 측면 거푸집널을 설치하여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단계;
    b) 지지 구조물에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를 거치시키는 단계;
    c) a) 단계 또는 b)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 가력수단을 통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상기 중앙지지대의 단부 내측에 인서트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중앙지지대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노출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상기 중앙지지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중앙지지대에 대하여 폴딩방식으로 회전하여 노출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양단 가변지지대는,
    상기 중앙지지대에 대하여 시저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중앙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송되어 노출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150106A 2020-11-03 2021-11-03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 KR102573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548 2020-11-03
KR20200145548 2020-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495A KR20220060495A (ko) 2022-05-11
KR102573070B1 true KR102573070B1 (ko) 2023-09-01

Family

ID=8160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106A KR102573070B1 (ko) 2020-11-03 2021-11-03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0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028Y1 (ko) 2003-12-15 2004-03-18 유대식 천장 합판 시공용 구조물 지지 부재
KR100788396B1 (ko) * 2007-01-25 2008-01-02 이원호 무지주 프리스트레스트 보거푸집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400449B1 (ko) 2012-12-05 2014-05-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보 구조물 보강장치
JP2014145203A (ja) 2013-01-29 2014-08-14 Hiroshima Univ シザーズ式伸縮構造
KR101848820B1 (ko) 2017-09-19 2018-04-16 신종순 절첩식 바리케이트
KR101954362B1 (ko) * 2018-10-22 2019-03-05 김성인 시공이 용이한 데크 로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45B1 (ko) * 2006-01-09 2007-08-08 주식회사 퍼스폼 접이형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거푸집
KR20110113828A (ko) * 2010-04-12 2011-10-19 최승림 천장작업용 승강장치
KR101329383B1 (ko) * 2011-12-23 2013-11-14 (주)연우건축구조기술사사무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무지주 거푸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028Y1 (ko) 2003-12-15 2004-03-18 유대식 천장 합판 시공용 구조물 지지 부재
KR100788396B1 (ko) * 2007-01-25 2008-01-02 이원호 무지주 프리스트레스트 보거푸집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400449B1 (ko) 2012-12-05 2014-05-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보 구조물 보강장치
JP2014145203A (ja) 2013-01-29 2014-08-14 Hiroshima Univ シザーズ式伸縮構造
KR101848820B1 (ko) 2017-09-19 2018-04-16 신종순 절첩식 바리케이트
KR101954362B1 (ko) * 2018-10-22 2019-03-05 김성인 시공이 용이한 데크 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495A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098489A (ja) 高架道路用コンクリート床版の架け替え方法
KR20070010143A (ko) 관절형 작업 플랫폼 지지 장치, 작업 플랫폼 시스템 및이들의 사용 방법
US20160251853A1 (en) Concrete deck for an integrated building system assembly platform
CA2271403A1 (en) Bolted metal joist
JP2009275476A (ja) 片持架設用移動作業車の上下梁システム
KR102038311B1 (ko) 강관합성 라멘교의 우각부 설치구조 및 그 강관합성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1630244B1 (ko) 구성 섹션의 지지 장치 및 구성 섹션의 건조 방법
CN106049754B (zh) 装配式混凝土复合柱的标准拼装节及由该拼装节构成的复合柱
KR102059552B1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102573070B1 (ko) 언더텐션 거푸집 지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무지주 시공방법
KR20210043217A (ko) 무해체 보 구조용 조립식 거푸집
KR20130075995A (ko) 횡방향 보강재, 이를 갖는 합성 콘크리트 기둥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
JP4107179B2 (ja) 鉄骨構造体の構築方法
KR100747645B1 (ko) 접이형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거푸집
JPWO2007066387A1 (ja) 橋梁の架設工法
KR20220126001A (ko) 트러스거더가 합성된 기둥 거푸집 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JP2017150240A (ja) 移動作業車および構造物の施工方法
KR102449434B1 (ko) 시공 단계를 고려한 무내화 피복 강-콘크리트 합성보
RU2600887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решетчат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з трубчатых (гнутосварных) профилей
JP7321105B2 (ja) 足場用防護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足場
EP1728935B1 (en) Anti-seismic structure for roofs
KR102567830B1 (ko) 시공이 용이한 강재 빔 조립체
KR20090047437A (ko) 가설벤트
KR101413725B1 (ko) 보 거푸집용 지지장치
CN115162823B (zh) 尖顶钢构件的拼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