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988B1 - 역화방지기 - Google Patents

역화방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988B1
KR102572988B1 KR1020210091073A KR20210091073A KR102572988B1 KR 102572988 B1 KR102572988 B1 KR 102572988B1 KR 1020210091073 A KR1020210091073 A KR 1020210091073A KR 20210091073 A KR20210091073 A KR 20210091073A KR 102572988 B1 KR102572988 B1 KR 102572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unit
gas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0475A (ko
Inventor
유이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솔
Priority to KR102021009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98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82Preventing flashback or blowback
    • F23D14/825Preventing flashback or blowback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65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for tor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2Nozzles for torches; for blow-pipes
    • F23D14/54Nozzles for torches; for blow-pipes for cutting or welding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10Flame flash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배관에 설치되어 가스의 역화를 방지하는 역화방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배관과 가스토치 사이에 연결되는 본체부와, 가스배관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가스토치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와, 가스배관을 1차로 개폐하는 제1 밸브부와, 가스배관을 2차로 개폐하는 제2 밸브부와,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50)의 개폐동작을 순차적으로 연동시키는 제3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 사이에 밸브부의 개폐동작을 순차적으로 연동시키는 제3 밸브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염의 역화시 가스의 재유입을 1차 및 2차의 다단으로 차단하여 재발화를 방지하고 내부에 잔불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역화방지기{FLASHBACK ARRESTOR}
본 발명은 역화방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배관에 설치되어 가스의 역화를 방지하는 역화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 각종 건설 및 플랜트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가스 용접시 가스를 공급하는 탱크에서 용접기까지 가는 배관에는 가스 용접 작업중 역화로 인하여 발생되는 돌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역화 방지기를 설치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역화 방지기는 외부로 돌출된 방출구를 필요로 하였으며, 가스의 역화 시 일정시간이 흐른 후 폭발압력이 소실되면 다시 체크밸브가 열려서 가스가 흐르는 구조로 됨으로써 역화시 폭발 압력에 의해 가스 배관이나 호스가 파손되었을 경우 가스가 누설되어 2차 폭발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역화 방지기만으로는 가스 누설을 육안으로 점검하거나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철판, 강 프레임 등과 같은 철재를 용융절단하기 위하여 가스절단용 토치를 사용하고 있다. 가스 절단 토치는 산소가스와 아세틸렌 가스를 사용하게 되는데, 절단작업을 하는 도중에 종종 역화현상이 발생한다.
역화현상은 산소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의 분출속도가 혼합가스의 연소속도보다 작을 때 발생하는 불꽃이 역으로 전달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역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가스절단 토치가 과열되므로 작업자가 손에 화상을 입게 될 수 있고, 불꽃이 역화현상으로 인하여 가스봄베로 들어가는 경우 대형폭발의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역화 방지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 연결된 플랜지와, 상기 본체의 내측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 및 소염소자 및 불꽃을 분산시키기 위한 다공망 그리고, 측부에 설치되어 압력을 해소하는 압력밸브와 가스압력을 배출하기 위한 돌출 형성시킨 방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본체의 원통관 내측 상방에서 중위부까지는 다공망을 배치하고 하방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하였으나 이는 구조상 미비점으로 인하여 역화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측면부에 방출구를 설치하여 폭발압력을 방출시켰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폭발압력은 일부 해소할 수 있었지만 역화시 발생하는 불꽃이 발산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역화방지기의 내부에는 소염소자가 설치되어 있으나 일회용으로 사용되어 재사용이 어려워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소염비율이 대략 50% 정도로 완전한 소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역화의 위험성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역화시 1차적으로 1차밸브에 의해 차단되지만 역화 압력이 가스의 압력 보다 낮은 경우에 가스가 다시 유입되고 소염소자에 의해 잔류한 잔불에 의해 재점화되어 급격한 발화에 의해 호스나 배관으로 가스를 흡입하여 폭발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50037호 (2010년08월31일)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64837호 (2013년01월2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1904호 (2017년07월2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 사이에 밸브부의 개폐동작을 순차적으로 연동시키는 제3 밸브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염의 역화시 가스의 재유입을 1차 및 2차의 다단으로 차단하여 재발화를 방지하고 내부에 잔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역화방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로서 바디체와 가이드볼과 슬리브와 어댑터와 슬리브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와 제3 밸브부의 순차적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가이드볼과 슬리브에 의해 제3 밸브부의 이동위치를 소정위치로 제한하여 역화시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를 폐쇄상태로 고정지지하여 역화를 다단계로 방지할 수 있는 역화방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밸브부로서 제1 체크밸브와 제1 밸브스프링과 제1 실링편을 구비함으로써, 역화방지기의 선단에서 1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제3 밸브부에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여 순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할 수 있는 역화방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밸브부로서 제2 체크밸브와 제2 밸브스프링과 제2 실링편을 구비함으로써, 역화방지기의 후단에서 2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제3 밸브부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순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역화방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밸브부로서 제3 피스톤밸브와 제3 밸브스프링과 제3 실링편을 구비함으로써,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여 순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할 수 있고, 가이드볼에 의해 소정의 역화위치로 고정되어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를 역화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역화방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배관에 설치되어 가스의 역화를 방지하는 역화방지기로서, 가스배관과 가스토치 사이에 연결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일방에 설치되어, 가스배관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20); 상기 본체부(10)의 타방에 설치되어, 가스토치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3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타방에 설치되어, 가스배관을 1차로 개폐하는 제1 밸브부(4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방에 설치되어, 가스배관을 2차로 개폐하는 제2 밸브부(50); 및 상기 제1 밸브부(40)와 상기 제2 밸브부(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밸브부(40)와 상기 제2 밸브부(50)의 개폐동작을 순차적으로 연동시키는 제3 밸브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제1 밸브부(40)와 상기 제2 밸브부(50)와 상기 제3 밸브부(6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이드홀이 내부에 형성된 바디체; 상기 바디체의 일단 둘레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가이드볼; 상기 바디체의 외부 둘레에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되는 슬리브; 상기 바디체의 외부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를 일방으로 탄지하는 슬리브 스프링; 및 상기 바디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 스프링을 지지하는 어탭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밸브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단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가스의 역화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제1 체크밸브; 상기 제1 체크밸브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체크밸브를 타방으로 탄지하는 제1 밸브스프링; 및 상기 제1 체크밸브의 타방에 설치되어, 제1 연통로를 실링하여 폐쇄하는 제1 실링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밸브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타단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가스의 역화를 2차적으로 차단하는 제2 체크밸브; 상기 제2 체크밸브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체크밸브를 타방으로 탄지하는 제2 밸브스프링; 및 상기 제2 체크밸브의 타방에 설치되어, 제2 연통로를 실링하여 폐쇄하는 제2 실링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3 밸브부(6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밸브부(40)의 슬라이딩을 상기 제2 밸브부(50)에 전달하는 제3 피스톤밸브; 상기 제3 피스톤밸브의 일방에 설치되어, 제3 피스톤밸브를 타방으로 탄지하는 제3 밸브스프링; 및 상기 제3 피스톤밸브의 외곽 둘레에 설치되는 제3 실링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 사이에 밸브부의 개폐동작을 순차적으로 연동시키는 제3 밸브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염의 역화시 가스의 재유입을 1차 및 2차의 다단으로 차단하여 재발화를 방지하고 내부에 잔불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부로서 바디체와 가이드볼과 슬리브와 어댑터와 슬리브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와 제3 밸브부의 순차적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가이드볼과 슬리브에 의해 제3 밸브부의 이동위치를 소정위치로 제한하여 역화시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를 폐쇄상태로 고정지지하여 역화를 다단계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 밸브부로서 제1 체크밸브와 제1 밸브스프링과 제1 실링편을 구비함으로써, 역화방지기의 선단에서 1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제3 밸브부에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여 순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2 밸브부로서 제2 체크밸브와 제2 밸브스프링과 제2 실링편을 구비함으로써, 역화방지기의 후단에서 2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제3 밸브부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순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3 밸브부로서 제3 피스톤밸브와 제3 밸브스프링과 제3 실링편을 구비함으로써,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여 순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할 수 있고, 가이드볼에 의해 소정의 역화위치로 고정되어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를 역화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화방지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화방지기의 정상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화방지기의 1차 역화방지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화방지기의 2차 역화방지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화방지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화방지기의 정상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화방지기의 1차 역화방지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화방지기의 2차 역화방지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역화방지기는, 본체부(10), 제1 연결부(20), 제2 연결부(30), 제1 밸브부(40), 제2 밸브부(50) 및 제3 밸브부(60)로 이루어져, 가스배관에 설치되어 가스의 역화를 방지하는 역화방지기이다.
본체부(10)는, 가스배관과 가스토치 사이에 연결되는 본체부재로서, 바디체(11), 가이드볼(12), 슬리브(13), 어댑터(14), 제1 실링재(15), 슬리브 스프링(16), 스토퍼(17), 제2 실링재(18)로 이루어져 있다.
바디체(11)는, 제1 밸브부(40)와 제2 밸브부(50)와 제3 밸브부(6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이드홀이 내부에 형성된 바디부재로서, 가이드홀의 내부에는 제1 밸브부(40), 제2 밸브부(50) 및 제3 밸브부(60)가 가스통로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시에 가스가 유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바디체(11)의 외부 둘레에는 제3 밸브부(6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 하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어 여기에 가이드볼(12)이 걸림결합되어 제3 밸브부(60)의 슬라이딩 이동을 소정위치로 한정해서 고정지지하게 된다.
가이드볼(12)은, 바디체(11)의 일단 둘레에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가이드부재로서, 바디체(11)의 외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리브(13)의 일단과 접촉하여 제3 밸브부(60)의 슬라이딩 고정위치에서 이탈하도록 가이드하거나, 제3 밸브부(60)의 슬라이딩 위치를 소정위치에서 고정지지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슬리브(13)는, 바디체(11)의 외부 둘레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이동부재로서, 슬리브(13)의 일단은 가이드볼(12)에 접촉되고 타단은 슬리브 스프링(16)에 탄지되어 있다.
이러한 슬리브(13)는 가이드볼(12)과 접촉하여 제3 밸브부(60)의 슬라이딩 고정위치에서 이탈하여 제3 밸브부(60)의 슬라이딩 위치를 소정위치에서 고정지지하거나 이탈하도록 이탈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어댑터(14)는, 바디체(11)의 일단에 결합되어 슬리브(13)와 슬리브 스프링(16)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내부에 가스통로와 연통되는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바디체(11)의 가이드홀에 삽입된 제1 밸브부(40), 제2 밸브부(50) 및 제3 밸브부(60)를 지지하게 된다.
제1 실링재(15)는, 바디체(11)의 외부면 양단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로서, 바디체(11)의 일방에 설치되는 제1 연결부(20) 및 어댑터(14)와 사이를 실링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O-링 등과 같은 기밀재로 이루어져 있다.
슬리브 스프링(16)은, 바디체(11)의 외부 일단에 설치되어 슬리브(13)를 일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부재로서, 슬리브(13)를 일방으로 탄지하여 바디체(11)에 설치된 가이드볼(12)을 바디체(11)의 내향으로 압압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스토퍼(17)는, 바디체(11)의 가이드홀의 내부 일단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로서, 제3 밸브부(60)의 일단에 접촉되어 제3 밸브부(60)의 슬라이딩 이동구간을 소정범위로 제한하게 된다.
제2 실링재(18)는, 어댑터(14)의 일단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로서, 어댑터(14)의 일방에 제2 연결부(30)를 개재해서 설치되는 가스토치 등과 같은 연결부재와의 사이를 실링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O-링 등과 같은 기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연결부(20)는, 본체부(10)의 일방에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가스배관이 연결되는 연결부재로서, 제1 연결편(21), 제1 연결턱(22) 및 제1 연결홀(23)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연결편(21)은, 본체부(10)의 일방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로서, 가스배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결합되어 본체부(10)와 가스배관을 연결하는 연결소켓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연결턱(22)은, 제1 연결편(21)의 외부 둘레에 함몰 형성된 턱부재로서, 가스배관의 내부에 제1 연결편(21)을 삽입한 상태에서 외부에 클램퍼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압압고정시 제1 연결턱(22)과 클램퍼 사이의 걸림결합에 의해 결합지지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제1 연결홀(23)은, 제1 연결편(21)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연결홀로서, 본체부(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연결홀과 가스배관을 연결하여 서로 연통시키게 된다.
제2 연결부(30)는, 본체부(10)의 타방에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가스토치가 연결되는 연결부재로서, 제2 연결편(31), 제2 연결턱(32) 및 제2 연결홀(33)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연결편(31)은, 본체부(10)의 타방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로서, 내부에 가스토치가 삽입되고 결합되어 본체부(10)와 가스토치를 연결하는 연결소켓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연결턱(32)은, 제2 연결편(31)의 내부 일단에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 턱부재로서, 본체부(10)의 어댑터(14)에 체결고정 결합되는 너트부위 등과 같은 결합부위가 내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홀(33)은, 제2 연결편(31)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연결홀로서, 본체부(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연결홀과 가스토치를 연결하여 서로 연통시키게 된다.
제1 밸브부(40)는, 본체부(10)의 내부 타방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가스배관을 1차로 개폐하는 밸브부재로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상태에서 1차 역화방지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제1 체크밸브(41), 제1 밸브스프링(42) 및 제1 실링편(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체크밸브(41)는, 본체부(10)의 내부 일단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가스의 역화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체크밸브로서, 본체부(10)의 바디체(11)에 형성된 가스통로의 전단부위에서 가스의 유입을 허용하고 가스의 역류에 의한 역화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1 체크밸브(41)의 내부에는 제1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체크밸브(41)의 선단 둘레에는 제1 연통로와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제1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밸브스프링(42)은, 제1 체크밸브(41)의 일방에 설치되어 제1 체크밸브(41)를 타방으로 탄지하는 밸브스프링으로서, 가스의 유입에 의해 압압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가스의 역류에 의해 이완되어 제1 체크밸브(41)를 폐쇄하도록 탄지하게 된다.
제1 실링편(43)은, 제1 체크밸브(41)의 타방에 설치되어 제1 연통로를 실링하여 폐쇄하는 실링부재로서, 제1 연통로와 제1 연통홀을 폐쇄하도록 제1 체크밸브(41)의 선단부위를 실링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O-링 등과 같은 기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밸브부(50)는, 본체부(10)의 내부 일방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가스배관을 2차로 개폐하는 밸브부재로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역화방지상태에서 2차 역화방지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제2 체크밸브(51), 제2 밸브스프링(52) 및 제2 실링편(5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체크밸브(51)는, 본체부(10)의 내부 타단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가스의 역화를 2차적으로 차단하는 체크밸브로서, 본체부(10)의 바디체(11)에 형성된 가스통로의 후단부위에서 가스의 유입을 허용하고 가스의 역류에 의한 역화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2 체크밸브(41)의 내부에는 제2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체크밸브(41)의 선단 둘레에는 제2 연통로와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제2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스프링(52)는, 제2 체크밸브(51)의 일방에 설치되어 제2 체크밸브(51)를 타방으로 탄지하는 밸브스프링으로서, 가스의 유입에 의해 압압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가스의 역류에 의해 이완되어 제2 체크밸브(51)를 폐쇄하도록 탄지하게 된다.
제2 실링편(53)은, 제2 체크밸브(51)의 타방에 설치되어 제2 연통로를 실링하여 폐쇄하는 실링부재로서, 제2 연통로와 제2 연통홀을 폐쇄하도록 제2 체크밸브(51)의 선단부위를 실링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O-링 등과 같은 기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3 밸브부(60)는, 제1 밸브부(40)와 제2 밸브부(5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밸브부(40)와 제2 밸브부(50)의 개폐동작을 순차적으로 연동시키는 밸브부재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역화방지상태를 고정지지하게 되며, 제3 피스톤밸브(61), 제3 밸브스프링(62) 및 제3 실링편(6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3 피스톤밸브(61)는, 본체부(1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제1 밸브부(40)의 슬라이딩을 제2 밸브부(50)에 전달하여 역화방지상태를 고정지지하는 피스톤밸브로서, 이러한 제3 피스톤밸브(61)의 외곽 둘레에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어 여기에 가이드볼(12)이 끼움결합되어 제3 피스톤밸브(61)의 슬라이딩 이동이 소정위치로 제한하여 고정지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3 피스톤밸브(61)의 내부에는 제3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제3 피스톤밸브(61)의 선단 둘레에는 제3 연통로와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제3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3 밸브스프링(62)는, 제3 피스톤밸브(61)의 일방에 설치되어 제3 피스톤밸브를 타방으로 탄지하는 밸브스프링으로서, 가스의 유입에 의해 이완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가스의 역류에 의해 압압되어 제3 피스톤밸브(61)를 폐쇄하도록 탄지하게 된다.
제3 실링편(63)은, 제3 피스톤밸브(61)의 외곽 둘레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본체부(10)의 바디체(11) 사이의 걸림부위를 실링하여 폐쇄하는 실링부재로서, 바디체(11) 사이의 걸림부위의 양단을 각각 실링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O-링 등과 같은 기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 사이에 밸브부의 개폐동작을 순차적으로 연동시키는 제3 밸브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염의 역화시 가스의 재유입을 1차 및 2차의 다단으로 차단하여 재발화를 방지하고 내부에 잔불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부로서 바디체와 가이드볼과 슬리브와 어댑터와 슬리브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와 제3 밸브부의 순차적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가이드볼과 슬리브에 의해 제3 밸브부의 이동위치를 소정위치로 제한하여 역화시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를 폐쇄상태로 고정지지하여 역화를 다단계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 밸브부로서 제1 체크밸브와 제1 밸브스프링과 제1 실링편을 구비함으로써, 역화방지기의 선단에서 1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제3 밸브부에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여 순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2 밸브부로서 제2 체크밸브와 제2 밸브스프링과 제2 실링편을 구비함으로써, 역화방지기의 후단에서 2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제3 밸브부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순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3 밸브부로서 제3 피스톤밸브와 제3 밸브스프링과 제3 실링편을 구비함으로써,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여 순차적으로 역화를 방지할 수 있고, 가이드볼에 의해 소정의 역화위치로 고정되어 제1 밸브부와 제2 밸브부를 역화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본체부 20: 제1 연결부
30: 제2 연결부 40: 제1 밸브부
50: 제2 밸브부 60: 제3 밸브부

Claims (5)

  1. 가스배관에 설치되어 가스의 역화를 방지하는 역화방지기로서,
    가스배관과 가스토치 사이에 연결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일방에 설치되어, 가스배관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20);
    상기 본체부(10)의 타방에 설치되어, 가스토치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3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타방에 설치되어, 가스배관을 1차로 개폐하는 제1 밸브부(4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방에 설치되어, 가스배관을 2차로 개폐하는 제2 밸브부(50); 및
    상기 제1 밸브부(40)와 상기 제2 밸브부(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밸브부(40)와 상기 제2 밸브부(50)의 개폐동작을 순차적으로 연동시키는 제3 밸브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제1 밸브부(40)와 상기 제2 밸브부(50)와 상기 제3 밸브부(6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이드홀이 내부에 형성된 바디체;
    상기 바디체의 일단 둘레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가이드볼;
    상기 바디체의 외부 둘레에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되는 슬리브;
    상기 바디체의 외부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를 일방으로 탄지하는 슬리브 스프링; 및
    상기 바디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 스프링을 지지하는 어탭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화방지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단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가스의 역화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제1 체크밸브;
    상기 제1 체크밸브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체크밸브를 타방으로 탄지하는 제1 밸브스프링; 및
    상기 제1 체크밸브의 타방에 설치되어, 제1 연통로를 실링하여 폐쇄하는 제1 실링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화방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타단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가스의 역화를 2차적으로 차단하는 제2 체크밸브;
    상기 제2 체크밸브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체크밸브를 타방으로 탄지하는 제2 밸브스프링; 및
    상기 제2 체크밸브의 타방에 설치되어, 제2 연통로를 실링하여 폐쇄하는 제2 실링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화방지기.
  5. 가스배관에 설치되어 가스의 역화를 방지하는 역화방지기로서,
    가스배관과 가스토치 사이에 연결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일방에 설치되어, 가스배관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20);
    상기 본체부(10)의 타방에 설치되어, 가스토치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3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타방에 설치되어, 가스배관을 1차로 개폐하는 제1 밸브부(4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방에 설치되어, 가스배관을 2차로 개폐하는 제2 밸브부(50); 및
    상기 제1 밸브부(40)와 상기 제2 밸브부(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밸브부(40)와 상기 제2 밸브부(50)의 개폐동작을 순차적으로 연동시키는 제3 밸브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밸브부(6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밸브부(40)의 슬라이딩을 상기 제2 밸브부(50)에 전달하는 제3 피스톤밸브;
    상기 제3 피스톤밸브의 일방에 설치되어, 제3 피스톤밸브를 타방으로 탄지하는 제3 밸브스프링; 및
    상기 제3 피스톤밸브의 외곽 둘레에 설치되는 제3 실링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화방지기.
KR1020210091073A 2021-07-12 2021-07-12 역화방지기 KR102572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073A KR102572988B1 (ko) 2021-07-12 2021-07-12 역화방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073A KR102572988B1 (ko) 2021-07-12 2021-07-12 역화방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475A KR20230010475A (ko) 2023-01-19
KR102572988B1 true KR102572988B1 (ko) 2023-08-31

Family

ID=8507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073A KR102572988B1 (ko) 2021-07-12 2021-07-12 역화방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9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11B1 (ko) 2012-08-06 2014-01-23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역화 방지기
KR101761904B1 (ko) 2015-04-08 2017-07-26 강의창 과열 감지 폐쇄밸브를 구비한 역화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431B1 (ko) * 2008-02-25 2010-06-09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압력제어밸브
KR200450037Y1 (ko) 2009-08-03 2010-08-31 정경석 역화 방지기
KR200464837Y1 (ko) 2010-07-22 2013-01-21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관용 역화방지기
KR101871370B1 (ko) * 2015-11-04 2018-06-26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스 토치용 안전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11B1 (ko) 2012-08-06 2014-01-23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역화 방지기
KR101761904B1 (ko) 2015-04-08 2017-07-26 강의창 과열 감지 폐쇄밸브를 구비한 역화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475A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6932B1 (en) Pinch valve having integrated pressure chamber
JP4131435B2 (ja) 乾式ガス安全器
US4774983A (en) Safety device for gas welding
KR102572988B1 (ko) 역화방지기
EP0533839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the injection of sealant into a pressurized fluid member
KR101761904B1 (ko) 과열 감지 폐쇄밸브를 구비한 역화방지장치
CA2211810C (en) Combined control and check valve for gas torches
KR20160130125A (ko) 과열 감지부를 구비한 역화방지장치
EP1363052B1 (en) Fast-flow discharge valve for a high-pressure inert gas fire extinguisher system
KR101289980B1 (ko) 역화방지 커플러
KR101354211B1 (ko) 역화 방지기
KR101589482B1 (ko) 퍼지캡을 이용한 용접장치
KR200379588Y1 (ko) 플러그가 일체로 구비된 역화방지장치
US4760994A (en) Device for a welding torch
JP2879315B2 (ja) ガス溶接・溶断用安全器
JP2001314964A (ja) ガス溶接・切断作業用安全器
US4093191A (en) Safety device for welding torch
JP6352565B1 (ja) 消火システム
KR102628002B1 (ko) 역화방지기 부착형 절단기
JPS6226667Y2 (ko)
KR100967267B1 (ko) 역화 방지기를 형성한 산소 절단기용 구지밸브 연료 소켓
JP3146347U (ja) 可燃性ガス流路の乾式安全器
JP3842270B2 (ja) リリース可能なガス出口バルブの構造
KR200216450Y1 (ko) 용접 토치
JP2003120831A (ja) ボールバルブと流体漏れ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