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803B1 -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803B1
KR102572803B1 KR1020220065187A KR20220065187A KR102572803B1 KR 102572803 B1 KR102572803 B1 KR 102572803B1 KR 1020220065187 A KR1020220065187 A KR 1020220065187A KR 20220065187 A KR20220065187 A KR 20220065187A KR 102572803 B1 KR102572803 B1 KR 10257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user
server
medical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민
강정권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20065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4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coded with symbols, e.g.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88Image or video recognition using optical means, e.g. reference filters, holographic masks, frequency domain filters or spatial domain fil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서버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 단말의 촬영 기능을 활성화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미지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식별하여, 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의료 장비를 식별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관리 정보를 조회한 사용자의 조회 이력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 SERVER FOR PROVIDING MANAGEMENT INFORMATION OF MEDICAL EQUIPMENT, AND SYSTEM }
본 개시는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기록 및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코드 정보를 통해 의료 장비를 식별하여 수가 정보 및 소모품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관/병원 등이 복수의 의료 장비를 운영함에 있어서,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를 합의하여 내부적으로 결정한 뒤, 의료 행위를 제공할 때마다 담당자가 수가 정보를 확인하여 결제 등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의료 장비의 수가 정보 내지는 소모품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스템과 연동된 컴퓨터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한편 의료 장비의 일련 번호를 직접 입력할 필요가 있었고, 이러한 확인 과정에 있어 장소적 제약 내지는 직무에 따른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공개 특허 공보 제10-2017-0002893호(QR 코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개시는 의료 장비의 수가 정보 내지는 소모품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관리 체계를 일원화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 기능을 활성화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의료 장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관리 정보를 조회한 사용자의 조회 이력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의료 장비에 대한 사용자 매뉴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일정 주기마다, 복수의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매뉴얼에 대한 조회 이력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사용자 매뉴얼을 조회하지 않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 매뉴얼의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의료 장비와 관련된 수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의료 장비와 관련된 수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된 의료 행위의 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각 의료 행위가 제공된 횟수를 식별하는 단계, 각 의료 행위가 제공된 횟수에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발생한 매출액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매출액이 상기 의료 장비의 운용 비용에 따라 설정된 목표액에 미치지 않는 경우, 각 의료 행위가 제공된 횟수 및 각 의료 행위를 1회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의료 장비가 이용되는 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의료 행위 중 제공된 횟수가 가장 많은 의료 행위의 수가를 일정 비율 증가시킨 제1 임시 수가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임시 수가 정보가 승인된 경우, 상기 제1 임시 수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임시 수가 정보가 승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복수의 의료 행위 중 제공된 횟수가 두번째로 많은 의료 행위의 수가를 일정 비율 증가시킨 제2 임시 수가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임시 수가 정보가 승인된 경우, 상기 제2 임시 수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의료 장비와 관련된 소모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의료 장비와 관련된 소모품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의료 장비를 구성하는 소모품의 제품 정보, 교체 시기, 및 잔여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소모품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사용자 단말의 촬영을 바탕으로 대상인 의료 장비를 식별하고, 식별된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수가 정보, 소모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에 대한 접근 방식을 간명화하는 한편 다양한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관리 정보에 대한 편리한 접근 및 운영을 지원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등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단말을 통한 로그인 과정을 지원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의료 장비의 수가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의료 장비의 소모품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등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적어도 하나의 관리 업체 단말 등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구성된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으며, 메모리, 통신부,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서버(100) 내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모리(110)는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등으로 구성된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는 서버(100)가 다양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회로 또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Secure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SFTP(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등의 통신 규약(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는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구현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ex.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서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영역 또는 규모에 따라 개인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개방성에 따라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또는 인터넷(Internet) 등일 수 있다.
무선 통신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이더넷(Ethernet), 광 네트워크(optical 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선더볼트(ThunderBolt)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는 상술한 유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또는 네트워크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방식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는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서버(100)에 포함된 각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VPU(Visual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등 다양한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서버(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의료기관 내지는 병원 내 의료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 등과 연동되어 다양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회원가입 내지는 로그인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한편 다양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사원번호, 직무, 직급, 근무 장소, 근무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다양한 사용자의 단말 기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웨어러블 장치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의료 장비에 부착된 코드 정보(ex. QR 코드, 바코드 등)를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내지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의료기관 내지는 병원에 근무하는 다양한 직원들의 단말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각 사용자의 스마트폰,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관리 업체 단말은, 서버(100)를 운영하는 의료기관 내지는 병원의 의료 장비를 관리하는 업체의 단말에 해당한다. 관리 업체 단말은 관리자의 스마트폰,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며, 관리 업체의 서버와 연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정보가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가 획득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 기능을 활성화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번, 이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 기능을 활성화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는 바, 촬영 기능의 활성화는, 특정한 정보(ex. 수가 정보, 소모품 정보 등)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이미지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식별하여, 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의료 장비를 식별할 수 있다(S220).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촬영된 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의료 장비의 자산번호, 품명, 규격, 운영부서, 취득일 등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해당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30).
관리 정보는, 의료 장비의 관리와 관련된 정보이다. 관리 정보는,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에 대한 수가 정보, 의료 장비를 구성하는 소모품에 대한 소모품 정보, 의료 장비의 사용 수칙이 담긴 사용 매뉴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관리 정보를 조회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반영하여 관리 정보에 대한 조회 이력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S240).
조회 이력은, 각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조회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 조회된 관리 정보의 항목(ex. 수가 정보, 소모품 정보), 조회된 시간, 조회된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한 로그인 과정을 지원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과정을 지원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번 및 이름 등이 입력됨에 따라 로그인이 수행될 수 있다.
이렇듯 로그인이 수행되면, 도 4a와 같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가 정보 조회”, “소모품 조회”, “수리 접수”, “사용자 매뉴얼 조회”, “고장 시 대처 방법”, “예방점검 등록” 등 다양한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수가 정보 조회”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4b 와 같이 촬영 기능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가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의료 장비에 부착된 코드 정보(ex. QR 코드)가 촬영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촬영된 코드 정보를 식별하여 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의료 장비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식별된 의료 장비에 매칭되는 수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c와 같이, 서버(100)는 식별된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전도 검사가 가능한 감시장치에 대하여, 응급 심전도 검사, 소아용 심전도 검사, 간헐적 일상생활의 심전도 검사 등 각각의 의료 행위에 대한 수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관련하여, 일 실시 예로, 서버(100)는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된 의료 행위의 이력을 바탕으로, 해당 의료 장비의 수가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된 의료 행위의 이력을 바탕으로, 의료 장비를 통해 각 의료 행위가 제공된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각 의료 행위가 제공된 횟수에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반영하여, 의료 장비를 통해 발생한 매출액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00)는 산출된 매출액을 의료 장비의 운용 비용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3개월 간의 매출액이 3개월치 운용 비용과 비교될 수 있다.
만약, 산출된 매출액이 의료 장비의 운용 비용에 따라 설정된 목표액에 미치지 않는 경우, 서버(100)는 각 의료 행위가 제공된 횟수 및 각 의료 행위를 1회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의료 장비가 이용되는 시간을 바탕으로,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제공되는 횟수가 비교적 많은 의료 행위의 수가를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제공되는 횟수가 비교적 적은 의료 행위의 수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산출된 매출액이 의료 장비의 운용 비용에 따라 설정된 목표액에 미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서버(100)는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의료 행위 중 제공된 횟수가 가장 많은 의료 행위의 수가를 일정 비율 증가시킨 제1 임시 수가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의료 장비의 총 가동 시간이 임계 시간 이상임을 전제로, 수가를 일정 비율 증가시킬 수 있다. 만약, 의료 장비의 총 가동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인 경우, 의료 장비의 기능에 대한 수요 자체가 적어 수가를 증가하기 어렵다는 점이 반영된 것이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1 임시 수가 정보가 승인된 경우, 서버(100)는 제1 임시 수가 정보를 바탕으로,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1 임시 수가 정보가 승인되지 않은 경우, 서버(100)는 복수의 의료 행위 중 제공된 횟수가 두번째로 많은 의료 행위의 수가를 일정 비율 증가시킨 제2 임시 수가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2 임시 수가 정보가 승인된 경우, 서버(100)는 제2 임시 수가 정보를 바탕으로,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의료 장비의 수가 정보가 조회되는 경우, 업데이트된 수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의료 장비의 소모품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소모품 조회”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5b 와 같이 촬영 기능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가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의료 장비에 부착된 코드 정보(ex. QR 코드)가 촬영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촬영된 코드 정보를 식별하여 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의료 장비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식별된 의료 장비에 매칭되는 소모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c와 같이, 서버(100)는 식별된 의료 장비를 구성하는 소모품의 제품 정보, 교체 시기, 및 잔여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소모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로, 상술한 도 4a 등에서, “사용자 매뉴얼 조회” 항목이 선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 기능을 활성화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미지 내 코드 정보에 따라 식별된 의료 장비의 사용자 매뉴얼을 제공할 수 있다.
관련하여,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 장비의 사용자 매뉴얼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조회 이력을 식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는, 해당 의료 장비의 사용 인원으로 등록된 의료 인력 내지는 직원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 매뉴얼을 조회하지 않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매뉴얼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의료 장비 A의 사용자 매뉴얼이 사용자 B에 의해 조회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일정 주기(ex. 2시간, 6시간 등)마다 사용자 매뉴얼의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B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사용자 B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의료 장비 A의 사용자 매뉴얼을 조회(ex. 사용자 단말의 촬영 기능 활성화 -> 의료 장비의 코드 정보 식별 -> 사용자 매뉴얼 제공)한 시점 이후로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로, 도 4a 등에서 “의료기기 수리접수”가 선택되는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고장 접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UI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서버(100)는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식별하여, 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의료 장비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의료 장비에 대한 고장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에 따라 고장 내역이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의료 장비의 식별 정보, 사용자 정보(ex. 사번, 이름), 및 고장 내역을 포함하는 고장 접수를 등록할 수 있다.
이렇게 등록된 고장 접수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업체 단말로 전송될 수 있으며, 서버(100)는 등록된 고장 접수의 이력을 의료 장비 별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에 접속하여 의료 장비의 고장 접수 현황 내지는 과거 등록 이력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로, 적어도 하나의 의료 장비에 대한 고장 시 대처방법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등에서 “고장 시 대처방법” 항목이 선택되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 기능을 활성화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미지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식별하여, 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의료 장비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의료 장비의 고장에 대처하기 위한 복수의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고장에 대처하기 위한 복수의 지침은 의료 장비 별로 별도의 데이터로 서버(100) 상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지침 각각은, 동일한 의료 장비의 서로 다른 고장 증상들 각각에 대응하기 위한 지침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앞서 고장 시 대처방법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획득된 이미지에 포함된 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의료 장비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식별된 의료 장비에 대한 고장 접수가 등록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고장 시 대처방법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의료 장비에 대하여 등록된 고장 접수가 존재하는 경우, 서버(100)는 고장 접수와 관련된 고장 내역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키워드 추출 모듈이 활용될 수 있으며, 본 키워드 추출 모듈은 텍스트를 자연어 이해 기술 기반 벡터로 변환하여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에 기저장된 사전(dictionary)에 포함된 단어와 매칭되는 키워드만이 추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버(100)는 복수의 지침 각각을 해당 키워드와 비교하여, 복수의 지침 중 고장 내역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침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상술한 키워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술한 키워드와 유사한 단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침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유사한' 단어란, 자연어 이해 기술에 따라 벡터로 변환된 키워드/단어의 벡터 간 거리에 따라 산출되는 유사도의 개념을 토대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서버(100)는 복수의 지침 중 선택된 지침을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사용자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지침이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 상에서 더 위쪽에 표시되거나 더 좌측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만약 (고장 시 대처방법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의료 장비에 대하여 등록된 고장 접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버(100)는 해당 의료 장비에 대한 고장 접수를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고장 시 대처방법 확인에 앞서, 해당 의료 장비에 대한 고장 접수를 등록할 것을 추천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로,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 장비에 대한 예방 점검을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의료 장비에 대한 예방 점검의 주기/날짜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등록된 예방 점검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업체 단말로 공유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예방 점검이 수행될 수 있다.
관련하여, 서버(100)는 예방 점검의 대상인 의료 장비의 고장 접수가 등록된 이력을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이력을 바탕으로 의료 장비의 고장 빈도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식별된 고장 빈도를 바탕으로, 상기 예방 점검의 주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고장 빈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서버(100)는 예방 점검의 주기를 유지하거나 또는 더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식별된 고장 빈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서버(100)는 예방 점검의 주기가 짧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업데이트에 따라 예방 점검의 주기가 짧아진 경우, 서버(100)는 이후 의료 장비의 고장 빈도가 감소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방 점검 주기의 업데이트에 따른 효과가 확인될 수 있다.
다만, 예방 점검의 주기가 짧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의료 장비의 고장 빈도가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서버(100)는 의료 장비를 이용하는 사용자들과 관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의료 장비의 사용자 매뉴얼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로, 서버(100)는 각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한편, 의료 장비 별로 이미지를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코드 정보가 식별되어 그에 매칭되는 제1 의료 장비가 식별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서버(100)는 제1 이미지를 제1 코드 정보에 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코드 정보가 다시 식별된 경우, 서버(100)는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앞서 제1 코드 정보에 대하여 저장된 제1 이미지와 비교하여, 현재 촬영된 제1 코드 정보의 부착 위치 내지는 의료 장비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촬영된 제2 이미지 내에서 제1 코드 정보가 기록된 영역(ex. 스티커 영역)이 제외된 영역(ex. 의료 장비의 특정 부분)을 추출하여 재질, 컬러,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100)는 저장된 제1 이미지 내에서 제1 코드 정보가 기록된 영역이 제외된 영역을 추출하여 재질, 컬러,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재질, 컬러,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식별하고, 만약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1 코드 정보가 잘못된 의료 장비(: 제2 이미지 내 의료 장비)에 부착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렇듯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버(100)는 제1 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의료 장비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제1 코드 정보의 부착 위치(: 제2 이미지 내 의료 장비 및 코드 정보)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부착 위치에 대한 확인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부착 위치가 잘못되지 않았다는 확인 정보가 수신된 경우, 서버(100)는 제2 이미지 역시 제1 코드 정보에 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다시금 동일한 제1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이미지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촬영된 경우, 서버(100)는 제3 이미지를 제1 이미지와 비교할 뿐 아니라 제2 이미지와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 각각에 모두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제1 코드 정보의 부착 위치에 대한 확인이 요청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서로 저촉되거나 모순되지 않는 한, 둘 이상의 실시 예가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 또는 시스템 내 전자 장치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 또는 시스템 내 각 장치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술한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Claims (6)

  1.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 기능을 활성화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의료 장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관리 정보를 조회한 사용자의 조회 이력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의료 장비와 관련된 수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의료 장비와 관련된 수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된 의료 행위의 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각 의료 행위가 제공된 횟수를 식별하는 단계;
    각 의료 행위가 제공된 횟수에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발생한 매출액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매출액이 상기 의료 장비의 운용 비용에 따라 설정된 목표액에 미치지 않는 경우, 각 의료 행위가 제공된 횟수 및 각 의료 행위를 1회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의료 장비가 이용되는 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의료 장비에 대한 사용자 매뉴얼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일정 주기마다, 복수의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매뉴얼에 대한 조회 이력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사용자 매뉴얼을 조회하지 않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 매뉴얼의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의료 행위 중 제공된 횟수가 가장 많은 의료 행위의 수가를 일정 비율 증가시킨 제1 임시 수가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임시 수가 정보가 승인된 경우, 상기 제1 임시 수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임시 수가 정보가 승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복수의 의료 행위 중 제공된 횟수가 두번째로 많은 의료 행위의 수가를 일정 비율 증가시킨 제2 임시 수가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임시 수가 정보가 승인된 경우, 상기 제2 임시 수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의료 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 별 수가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의료 장비와 관련된 소모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의료 장비와 관련된 소모품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의료 장비를 구성하는 소모품의 제품 정보, 교체 시기, 및 잔여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소모품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0220065187A 2022-05-27 2022-05-27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2572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187A KR102572803B1 (ko) 2022-05-27 2022-05-27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187A KR102572803B1 (ko) 2022-05-27 2022-05-27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803B1 true KR102572803B1 (ko) 2023-08-29

Family

ID=8780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187A KR102572803B1 (ko) 2022-05-27 2022-05-27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8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730A (ja) * 2000-12-08 2002-07-05 Heigyo Chin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マニュアル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6178919A (ja) * 2004-09-16 2006-07-06 Olympus Corp 医療行為管理方法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携帯端末装置および管理サーバおよび医療行為管理システム
KR20140078518A (ko) * 2012-12-17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 관리 방법, 외부 기기의 동작 방법, 호스트 단말, 관리 서버 및 외부 기기
KR20150121940A (ko) * 2014-04-22 2015-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기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2893A (ko) 2015-06-30 2017-01-09 이민영 Qr 코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18964B2 (ja) * 2016-06-16 2020-07-08 株式会社オプティム 医療機器情報提供システム、医療機器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730A (ja) * 2000-12-08 2002-07-05 Heigyo Chin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マニュアル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6178919A (ja) * 2004-09-16 2006-07-06 Olympus Corp 医療行為管理方法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携帯端末装置および管理サーバおよび医療行為管理システム
KR20140078518A (ko) * 2012-12-17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 관리 방법, 외부 기기의 동작 방법, 호스트 단말, 관리 서버 및 외부 기기
KR20150121940A (ko) * 2014-04-22 2015-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기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2893A (ko) 2015-06-30 2017-01-09 이민영 Qr 코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18964B2 (ja) * 2016-06-16 2020-07-08 株式会社オプティム 医療機器情報提供システム、医療機器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1211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chatbot cre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10489830B2 (en) Aggregation of rating indicators
US10687705B2 (en) Method for automating collection, association, and coordination of multiple medical data sources
US10069891B2 (en) Channel accessible single function micro service data collection process for light analytics
US20180342018A1 (en) Interactive and adaptive systems and methods for insurance application
WO2015134665A1 (en) Classifying data with deep learning neural records incrementally refined through expert input
US108320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product information in real-time
JP6783375B2 (ja) 情報インタラクション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90333633A1 (en) Medical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dical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US9355338B2 (en) Image recognition device, image recogni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70220762A1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generating data for use in computer systems
US2017005294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 preview of an electronic document
US20140215301A1 (en) Document template auto discovery
US9372916B2 (en) Document template auto discovery
US2015015452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 task
CN111857674B (zh) 业务产品生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201700466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rving and managing document chain of custody
CN112819548A (zh) 用户画像生成方法及装置、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KR102572803B1 (ko) 의료 장비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2572802B1 (ko) 고장 접수의 자동화 및 일원화를 지원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2430418B1 (ko) 반려동물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1279424A (zh) 用于优化图像采集工作流的设备、系统和方法
US10187791B2 (en) Workstation and client device pairing
CN114265989A (zh) 好友推荐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10848B1 (ko) 이미지 내 개인 식별 정보를 비식별화하는 전자 장치의 비식별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