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501B1 -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 - Google Patents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501B1
KR102572501B1 KR1020210058978A KR20210058978A KR102572501B1 KR 102572501 B1 KR102572501 B1 KR 102572501B1 KR 1020210058978 A KR1020210058978 A KR 1020210058978A KR 20210058978 A KR20210058978 A KR 20210058978A KR 102572501 B1 KR102572501 B1 KR 102572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ad
torch
plate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1782A (ko
Inventor
강성귀
Original Assignee
강성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귀 filed Critical 강성귀
Priority to KR102021005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5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 from objects; Servicing or ope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3/00Electrolytic etching or polishing
    • C25F3/16Poli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 본체의 전면에 출력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맥류 전류로 전환시켜 출력 단자로 공급하는 트랜스를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하며, 상기 출력 단자로 공급되는 맥류 전휴를 단일 방향 전류로 전환시키는 반파정류 다이오드를 트랜스의 출력단에 설치하고, 크리링부가 끝단에 구비된 토치를 상기 출력 단자에 결합하여 용접 부분의 흔적을 제거하기 때문에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토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증폭 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용접 부분의 흔적을 용이하게 지울 수 있으면서, 용접 흔적을 지운 용접 부분에 백색 현상이 발생 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트랜스와 연결된 기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트랜스의 상부면에 방열홀이 구비된 설치판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판 및 기판으로 전이된 트랜스의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을 상기 본체에 설치하여, 상기 트랜스 및 기판이 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냉각 수단은 본체의 후면에 팬을 형성하며, 덕트를 이용하여 팬과 설치판을 연결하면서 상기 설치판의 후단 하부에는 다수의 방열핀이 구비된 방열판을 형성하고, 본체에는 순환 펌프가 구비된 저장 탱크를 설치하며, 상기 순환 펌프와 연결되는 순환관을 상기 덕트 및 방열핀에 관통되게 설치하여 설치판에 설치된 기판과 트랜스를 이중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방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덕트에는 다수의 타공홀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격판을 형성하고, 방열판의 하부에는 마감판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순환관을 통해 열 교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결수가 기판과 트랜스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트랜스와 연결된 출력 단자에는 토치가 구비된 연결선에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에는 크리링 패드가 결합 되는 토치를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손잡이에는 크리링 패드가 적층되게 보관되는 패드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 하우징에 구비된 연결홀을 통해 크리링 패드를 하나씩 손잡이 내부로 공급하는 패드 공급수단을 손잡이의 내부에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인출 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인출 수단과 연결되게 토치를 손잡이의 내부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토치가 인출 수단에 의해 손잡이로부터 인출 시 크리링 패드가 결합 되고, 상기 인출 수단에 의해 크리링 패드가 손잡이의 내부로 유입 시 연결선에 구비된 제1 전극봉에 결합 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크리링 패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용접 흔적을 지우는 연마 작업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크리링 패드가 결합 되는 토치에 구비된 연마부가 손잡이의 내부에 유입되기 때문에 이동하는 과정에서 토치에 구비된 연마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크리링 패드를 미 지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 { Electrolytic solution polishing device for removing welding marks }
본 발명은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 본체의 전면에 출력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맥류 전류로 전환시켜 출력 단자로 공급하는 트랜스를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하며, 상기 출력 단자로 공급되는 맥류 전휴를 단일 방향 전류로 전환시키는 반파정류 다이오드를 트랜스의 출력단에 설치하고, 크리링부가 끝단에 구비된 토치를 상기 출력 단자에 결합하여 용접 부분의 흔적을 제거하기 때문에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토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증폭 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용접 부분의 흔적을 용이하게 지울 수 있으면서, 용접 흔적을 지운 용접 부분에 백색 현상이 발생 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트랜스와 연결된 기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트랜스의 상부면에 방열홀이 구비된 설치판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판 및 기판으로 전이된 트랜스의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을 상기 본체에 설치하여, 상기 트랜스 및 기판이 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냉각 수단은 본체의 후면에 팬을 형성하며, 덕트를 이용하여 팬과 설치판을 연결하면서 상기 설치판의 후단 하부에는 다수의 방열핀이 구비된 방열판을 형성하고, 본체에는 순환 펌프가 구비된 저장 탱크를 설치하며, 상기 순환 펌프와 연결되는 순환관을 상기 덕트 및 방열핀에 관통되게 설치하여 설치판에 설치된 기판과 트랜스를 이중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방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덕트에는 다수의 타공홀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격판을 형성하고, 방열판의 하부에는 마감판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순환관을 통해 열 교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결수가 기판과 트랜스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트랜스와 연결된 출력 단자에는 토치가 구비된 연결선에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에는 크리링 패드가 결합 되는 토치를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손잡이에는 크리링 패드가 적층되게 보관되는 패드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 하우징에 구비된 연결홀을 통해 크리링 패드를 하나씩 손잡이 내부로 공급하는 패드 공급수단을 손잡이의 내부에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인출 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인출 수단과 연결되게 토치를 손잡이의 내부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토치가 인출 수단에 의해 손잡이로부터 인출 시 크리링 패드가 결합 되고, 상기 인출 수단에 의해 크리링 패드가 손잡이의 내부로 유입 시 연결선에 구비된 제1 전극봉에 결합 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크리링 패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용접 흔적을 지우는 연마 작업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크리링 패드가 결합 되는 토치에 구비된 연마부가 손잡이의 내부에 유입되기 때문에 이동하는 과정에서 토치에 구비된 연마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크리링 패드를 미 지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이란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금속을 열과 압력가해 결합 되도록 접합시키는 것이다.
용접은 금속 자체의 접합 부분을 국부 가열하여 녹여서 접합하는 융접과, 접합 부분을 합금화시켜 결합하는 납땜과, 접합 부분을 맞댄 상태에서 가압하여 붙이는 압접 등으로 대별된다.
상기 용접에는 아크용접과, 가스용접, 저항용접, 특수용접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아크 용접과 가스 용접을 많이 사용한다.
따라서, 동일한 금속 내지 다른 금속을 녹여 접합하는 용접을 진행 시 그 용접 부분에는 용접 흔적이 발생 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용접을 마친 용접 부분이 미려해 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스텐레스를 용접 작업시 용접 된 부분이 검은 색으로 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종래에는 글라이더가 구비된 연마 장치를 발명하여, 회전되는 글라이더를 이용하여 용접 부분의 흔적을 제거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글라이더를 이용하여 용접 부분의 흔적을 제거 시 상기 글라이더와 용접 부분의 마찰로 인해 마찰 자국이 남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선 등록된 실용신안 제 20-0365484 호와 같이 전해액을 이용하여 용접 부분의 흔적을 제거하는 장치를 전해액 연마 장치를 발명하게 되었다.
종래의 전해액 연마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토치부와, 상기 토치부에 형성되는 제거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토치부에 구비된 제거부에 전해액을 묻힌 후에 용접 부분에 문질러 용접 흔적을 지우는 것이다.
이때, 토치부로 공급되는 전원은 교류 또는 직류 전압이 공급되며, 그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용접 부분의 흔적을 지우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의 문제점은 토치부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제거부를 이용하여 용접 부분의 흔적을 지울 시 용접 부분의 흔적이 매끄럽게 지워지지 못하며, 상기 용접 부분의 흔적을 매끄럽게 지우기 위해서는 과도한 교류 전원을 제거부로 공급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직류 전원을 토치부에 공급하여 제거부를 이용하여 용접 흔적을 지울 시에는 제거부에 과도한 전원이 공급되고, 그 공급된 전원에 의해 제거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용접 흔적을 제거하는 토치와 크리링 패드를 각각 별도로 운반해야 하므로서, 전해액 연마 장치의 운방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연마 장치에 발생 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열에 의해 연마 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 선행 기술 문헌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26840 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 본체의 전면에 출력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맥류 전류로 전환시켜 출력 단자로 공급하는 트랜스를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하며, 상기 출력 단자로 공급되는 맥류 전휴를 단일 방향 전류로 전환시키는 반파정류 다이오드를 트랜스의 출력단에 설치하고, 크리링부가 끝단에 구비된 토치를 상기 출력 단자에 결합하여 용접 부분의 흔적을 제거하기 때문에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토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증폭 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용접 부분의 흔적을 용이하게 지울 수 있으면서, 용접 흔적을 지운 용접 부분에 백색 현상이 발생 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트랜스와 연결된 기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트랜스의 상부면에 방열홀이 구비된 설치판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판 및 기판으로 전이된 트랜스의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을 상기 본체에 설치하여, 상기 트랜스 및 기판이 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냉각 수단은 본체의 후면에 팬을 형성하며, 덕트를 이용하여 팬과 설치판을 연결하면서 상기 설치판의 후단 하부에는 다수의 방열핀이 구비된 방열판을 형성하고, 본체에는 순환 펌프가 구비된 저장 탱크를 설치하며, 상기 순환 펌프와 연결되는 순환관을 상기 덕트 및 방열핀에 관통되게 설치하여 설치판에 설치된 기판과 트랜스를 이중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방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덕트에는 다수의 타공홀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격판을 형성하고, 방열판의 하부에는 마감판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순환관을 통해 열 교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결수가 기판과 트랜스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트랜스와 연결된 출력 단자에는 토치가 구비된 연결선에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에는 크리링 패드가 결합 되는 토치를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손잡이에는 크리링 패드가 적층되게 보관되는 패드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 하우징에 구비된 연결홀을 통해 크리링 패드를 하나씩 손잡이 내부로 공급하는 패드 공급수단을 손잡이의 내부에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인출 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인출 수단과 연결되게 토치를 손잡이의 내부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토치가 인출 수단에 의해 손잡이로부터 인출 시 크리링 패드가 결합 되고, 상기 인출 수단에 의해 크리링 패드가 손잡이의 내부로 유입 시 연결선에 구비된 제1 전극봉에 결합 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크리링 패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용접 흔적을 지우는 연마 작업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크리링 패드가 결합 되는 토치에 구비된 연마부가 손잡이의 내부에 유입되기 때문에 이동하는 과정에서 토치에 구비된 연마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크리링 패드를 미 지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전원 공급부가 구비되며, 전면판 및 후면판이 전,후단에 각각 형성된 본체와;
전면판에 설치되는 다수의 출력 단자와;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는 입력 코일과,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출력 코일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 구성되어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류를 맥류 전류로 전환시키는 트랜스와;
트랜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이 설치되도록 상기 트랜스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치판과;
트랜스의 출력단(N-1)에 설치 구성되어 출력 단자(40)로 공급되는 맥류 전류를 단일 방향 전류로 전환시키는 반파정류 다이오드(30)와;
출력 단자(40)에 결합 되며, 끝단에 손잡이(300)가 구비된 연결선(61)과;
연결선(61)과 연결되게 손잡이(300)에 형성되는 토치(310)와;
전해액을 묻혀 용접된 부분의 흔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토치(310)의 끝단에 결합 되는 크리링 패드(71);로 구성하고,
설치판(200)과 연결되게 본체(10)에 설치되어 기판(150) 및 설치판(200)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 본체의 전면에 출력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맥류 전류로 전환시켜 출력 단자로 공급하는 트랜스를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하며, 상기 출력 단자로 공급되는 맥류 전휴를 단일 방향 전류로 전환시키는 반파정류 다이오드를 트랜스의 출력단에 설치하고, 크리링부가 끝단에 구비된 토치를 상기 출력 단자에 결합하여 용접 부분의 흔적을 제거하기 때문에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토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증폭 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용접 부분의 흔적을 용이하게 지울 수 있으면서, 용접 흔적을 지운 용접 부분에 백색 현상이 발생 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트랜스와 연결된 기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트랜스의 상부면에 방열홀이 구비된 설치판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판 및 기판으로 전이된 트랜스의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을 상기 본체에 설치하여, 상기 트랜스 및 기판이 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 수단은 본체의 후면에 팬을 형성하며, 덕트를 이용하여 팬과 설치판을 연결하면서 상기 설치판의 후단 하부에는 다수의 방열핀이 구비된 방열판을 형성하고, 본체에는 순환 펌프가 구비된 저장 탱크를 설치하며, 상기 순환 펌프와 연결되는 순환관을 상기 덕트 및 방열핀에 관통되게 설치하여 설치판에 설치된 기판과 트랜스를 이중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방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덕트에는 다수의 타공홀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격판을 형성하고, 방열판의 하부에는 마감판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순환관을 통해 열 교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결수가 기판과 트랜스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스와 연결된 출력 단자에는 토치가 구비된 연결선에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에는 크리링 패드가 결합 되는 토치를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손잡이에는 크리링 패드가 적층되게 보관되는 패드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 하우징에 구비된 연결홀을 통해 크리링 패드를 하나씩 손잡이 내부로 공급하는 패드 공급수단을 손잡이의 내부에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인출 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인출 수단과 연결되게 토치를 손잡이의 내부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토치가 인출 수단에 의해 손잡이로부터 인출 시 크리링 패드가 결합 되고, 상기 인출 수단에 의해 크리링 패드가 손잡이의 내부로 유입 시 연결선에 구비된 제1 전극봉에 결합 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크리링 패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용접 흔적을 지우는 연마 작업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크리링 패드가 결합 되는 토치에 구비된 연마부가 손잡이의 내부에 유입되기 때문에 이동하는 과정에서 토치에 구비된 연마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크리링 패드를 미 지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의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해액 연마 장치에 냉각 수단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냉각 수단의 덕트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의 손잡이에 설치된 패드 공급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단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패드 공급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인출 수단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의 실제 제품을 촬영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에 의해 용접 흔적이 제거된 상태를 촬영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원 공급부(13)가 구비되며, 전면판(11) 및 후면판(11a)이 전,후단에 각각 형성된 본체(10)와;
전면판(11)에 설치되는 다수의 출력 단자(40)와;
전원 공급부(13)와 연결되는 입력 코일(N)과, 출력 단자(40)와 연결되는 출력 코일(N-1)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 구성되어 전원 공급부(13)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류를 맥류 전류로 전환시키는 트랜스(20)와;
트랜스(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150)이 설치되도록 상기 트랜스(20)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치판(200)과;
트랜스(20)의 출력단(N-1)에 설치 구성되어 출력 단자(40)로 공급되는 맥류 전류를 단일 방향 전류로 전환시키는 반파정류 다이오드(30)와;
출력 단자(40)에 결합 되며, 끝단에 손잡이(300)가 구비된 연결선(61)과;
연결선(61)과 연결되게 손잡이(300)에 형성되는 토치(310)와;
전해액을 묻혀 용접된 부분의 흔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토치(310)의 끝단에 결합 되는 크리링 패드(71);로 구성하고,
설치판(200)과 연결되게 본체(10)에 설치되어 기판(150) 및 설치판(200)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 수단은, 설치판(200)의 중앙 및 양측에 형성되는 방열홀(202)과;
후면판(11a)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팬(100)과;
하향 경사진 바닥판(211)이 구비되며, 팬(100)과 설치판(200)을 연결하는 덕트(210)와;
방열홀(202)을 통과한 공기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후면판(11a)에 형성되는 다수의 벤트홀(12)과;
다수의 방열핀(221)의 일면에 수평으로 구비되며, 설치판(200)의 후단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방열판(220);으로 구성하고,
냉각수를 저장할 수 있게 본체(10)에 설치되는 저장 탱크(230)와;
저장 탱크(230)와 연결되게 본체(10)에 형성되는 순환 펌프(231)와;
덕트(210) 및 방열핀(221)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순환 펌프(231)의 펌핑 작동으로 인해 수환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설치판(200)을 냉각시키는 순환관(233);으로 구성하며,
벤트홀(12)과 연결되는 마감판(223)을 방열판(220)의 하단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유출홀(243)이 하단에 구비된 다수의 격벽(240)을 상기 덕트(210)의 내부에 형성하며,
격벽(240)에는 서로 엇갈리게 다수의 타공홀(241)을 형성하고,
팬(160)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을 타공홀(241)로 유도하는 반구형의 유도 돌기(242)를 상기 격벽(240)의 일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선(61)과 연결되게 손잡이(300)에 내부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제1 전극봉(63)과;
제1 전극봉(63)의 끝단에는 형성되는 연결홈(64)과;
손잡이(30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작동 스위치(421)가 구비된 제어부(420)와;
크리링 패드(71)를 적층되게 보관하도록 상기 손잡이(300)의 선단 하부에 형성되는 패드 하우징(250)과;
패드 하우징(250)과 손잡이(300)의 내부를 연결하는 연결홀(251)과;
제어부(4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패드 하우징(250)의 내부에 적층된 크리링 패드(71)를 손잡이(3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홀(250)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3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패드 공급수단(260)과;
손잡이(300)에 형성되는 인출 수단(350)과;
손잡이(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 수단(350)의 작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시 크리링 패드(71)가 결합 되고, 인출 수단(350)의 작동으로 인해 후방으로 이동시 연결홈(64)에 결합 되는 토치(310);로 구성하고,
상기 패드 공급수단(260)은, 연결홀(251)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손잡이(3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하 이동부(270)와;
상하 이동부(270)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축(271)과;
이동축(271)의 끝단에 형성되어 크리링 패드(71)의 상부면에 결합 되는 패드 결합판(272);으로 구성하고,
상기 토치(310)는,
제1 전극봉(311)에 연결되는 제2 전극봉(311)과;
제2 전극봉(311)의 전단에 형성되어 크리링 패드(71)가 결합 되는 연마부(312);로 구성하면서, 상기 토치(310)의 초기 위치는 연마부(312)의 하부가 손잡이(300)의 내측 바닥면에 닿게 내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인출 수단(350)은, 제1 랙기(361)와 제2 랙기어(362)가 각각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되며, 제2 전극봉(331)을 감싸도록 절연체로 이루어진 이동판(360)과;
제1 랙기어(361)와 맞물리도록 손잡이(300)의 내측 하부에 회전되게 설치 구성되어 제어부(4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토치(310)를 상기 손잡이(300)로부터 인출시키는 제1 회전기어(340)와;
토치(310)의 하부를 지지하는 리프트 판(392)이 구비되며, 제어부(4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토치(310)가 제1 전극봉(63)과 동일한 수평 선상에 위치하도록 작동시키는 리프트 부(390)와;
제2 랙기어(362)와 맞물리도록 손잡이(300)의 내측 상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손잡이(300)의 상부로 이동된 토치(30)에 구비된 제2 전극봉(311)을 연결홈(64)에 결합하는 제2 회전기어(371);로 구성하고,
손잡이(300)의 전단 내측에는 제어부(410)와 연결되는 센서부(381)가 구비된 스토퍼(380)를 형성하고,
센서부(381)와 접촉되어 토치(310)의 인출거리를 제어하는 작동봉(382)을 이동판(360)의 상부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300)의 내부 중앙에는 제어부(410)와 연결되는 센서부(401)가 구비된 고정 가이드(400)를 더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300)의 내측 상부로 이동되는 토치(310)의 상승 높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 결합판(272)에는 자석(273)을 형성하고,
자석(273)에 부착되는 부착판(73)을 크리링 패드(71)에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랜스(20)는, 입력코일(N)과 출력코일(N-1)의 권선비는 1:1로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용접을 마친 용접 대상물에 구비된 용접 흔적을 맥류 전류를 이용하여 지울 수 있도록 한 전해액 연마 장치인 것이다.
맥류 전류를 이용하여 용접 대상물인 스테인레스를 용접한 용접 흔적을 지우게 되므로서, 용접 흔적을 지우는 작업의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색 현상 등이 용접 대상물에 구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해액 연마 장치는 도 1과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출력 단자(40)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며, 전해액을 묻혀 용접 대상물에 구비된 용접 흔적을 지울 수 있는 토치(310)로 구성한다.
상기 본체(10)에는 도 1과 같이 커버(14)가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외부의 전원인 교류 전류가 유입되는 전원 공급부(13)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0)의 내부 중앙에는 입력 코일(N)과 출력 코일(N-1)이 권취된 트랜스(20)를 설치를 설치하고, 상기 출력 코일(N-1)에는 출력 단자(40)로 공급되는 맥류 전류를 단일 방향 전류로 전환시키는 반파정류 다이오드(30)를 도 3과 같이 설치한다.
이때, 트랜스(20)에 구비된 입력 코일(N)과 출력 코일(N-1)의 권선 비는 1:1로 형성한다.
상기 트랜스(20)에 구비된 입력 코일(N)과 출력 코일(N-1)의 권선비를 1:1:로 하므로서, 전원 공급부(13)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류를 맥류 전류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맥루 전류로 전환된 전원은 출력 단자(40)에 연결된 연결선(61)을 통해 토치(310)로 공급되고, 상기 토치(310)의 끝단에 구비된 연마부(312)에 도 1과 같이 크리링 패드(71)를 결합한 상태에서 연마액을 묻혀 용접을 마친 용접 대상물에 남아 있는 용접 흔적을 지울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출력 단자(40)에는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크리링 솔이 결합된 연결선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한편,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본체(10)에 설치되는 냉각 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냉각 수단을 본체(10)에 설치하므로서, 트랜스(20)로부터 발생 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랜스(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판(150)이 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기판(150)은 트랜스(20)의 상부면에 다수의 방열홀(202)이 구비된 설치판(200)을 도 4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설치판(200)의 일면인 전면에 설치한다.
상기 트랜스(20)의 상부면에 설치판(200)을 결합한 상태에서 기판(150)을 설치하므로서, 본체(10)에 전자 부품(도면 미 도시)이 설치된 기판(15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해액 연마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설치판(200)의 양측 및 상부면에는 결합 날개(201)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 날개(201)를 설치판(200)에 형성하므로서, 덕트(210)을 이용하여 본체(10)의 후면판(11a)에 설치된 팬(160)과 설치판(200)을 연결되게 설치한다.
즉,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 전면판(11)에는 다수의 출력 단자(40)가 도 1과 같이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전면판(11)과 대응되게 본체(10)의 후면 형성된 후면판(11a)의 상부면에는 기판(150)에 외부의 바람을 공급할 수 있는 팬(160)이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팬(160)의 작동으로 인해 본체(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외부의 바람은 덕트(210)를 통해 설치판(200)으로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방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팬(160)은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판(11a)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후면판(11a)에는 팬(160)을 통해 본체(10)로 공급된 바람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벤트홀(1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본체(10)에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트랜스(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는 저장 탱크(230), 순환 펌프(231) 및 순환관(232)을 형성한다.
상기 순환관(232)는 덕트(21) 및 방열판(220)에 구비된 방열핀(231)을 관통되게 저장 탱크(230)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냉각 수단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팬(160)을 작동시켜 외부의 공기가 설치판(200)과 연결된 덕트(210)의 내부로 공급 되도록 한다.
상기 덕트(210)의 내부로 공급된 바람은 덕트(210)의 내부에 설치된 격벽(240)에 구비된 다수의 유도 돌기(242)와 부딪치면서 타공홀(241)로 유도되고, 그 유도된 바람은 기판(150)이 설치된 설치판(200)으로 공급된다.
상기 설치판(200)으로 공급된 바람은 방열홀(202)을 통해 몸체(10)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된 트랜스(20) 및 기판(150) 및 설치판(200)을 냉각시키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순환 펌프(231)는 펌핑 작동되면서 저장 탱크(230)에 저장된 냉각수를 순환관(232)으로 공급한다.
상기 순환관(232)은 설치판(200)에 설치된 덕트(210)와 방열판(220)에 구비된 방열핀(221)을 관통되게 형성되므로서, 순환관(232)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덕트(210)를 통과함과 동시에 팬(160)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과 열 교환되면서 냉풍을 기판(150)과 설치판(200)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덕트(210)의 내부는 트랜스(2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서 순환관(232)의 외주면에는 소량의 응결수가 발생 하게 된다.
상기 순환관(232)에서 발생되는 응결수는 서로 엇갈리게 타공홀(241)이 구비된 격벽(240)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설치판(200)에 설치된 기판(150)으로 응결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판(150)은 방수 재질로 이루어짐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덕트(210)의 내부에 설치된 응결수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판(211)을 통해 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설치 블럭(도면 미 도시)을 이용하여 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는 배출홀을 형성하여 응결수가 본체(10)의 바닥면에 고이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한다.
그리고 방열판(220)의 하단에는 벤트홀(12)의 내부와 연결되는 마감판(223)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을 밝히는 바이다.
한편, 토치(310)가 구비된 손잡이(300)에는 패드 공급수단(260)과 인출 수단(350)을 형성하여, 토치(310)가 손잡이(300)에 유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서, 전해액 연마 장치를 이동하는 도중에 토치(3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수 있으며, 패드 공급수단(260)을 통해 손잡이(300)에 크리링 패드(71)를 보관한 상태에서 이동한 후에 자동으로 토치(310)에 구비된 연마부(312)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치(310)는 손잡이(300)의 내부에 연결선(61)과 연결되는 제1 전극봉(63)을 고정되게 설치하여 인출 수단(310)에 의해 토치(310)가 손잡이(300)이 내부에서 인출되거나 유입되면서 출되면서 제1 전극봉(63)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한다.
즉, 인출 수단(350)은 토치(310)에 구비된 연마부(312)에 패드 공급수단(260)에 공급된 크리링 패드(71)를 자동으로 결합 되도록 하면서, 상기 크리링 패드(71)가 결합 된 토치(310)를 제1 전극봉(63)의 연결홈(64)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패드 공급수단(260)에 의해 손잡이(300)의 내부로 크리링 패드(71)가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손잡이(300)의 일측인 전단 하부에는 패드 하우징(250)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 하우징(250)에 크리링 패드(71)를 도 6의 (a), (b)와 같이 적층되게 보관한다.
상기 패드 하우징(250)의 상부면에는 손잡이(300)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홀(251)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홀(251)의 내주면에는 고정 돌기(252)를 돌출 형성하여 패드 하우징(250)에 보관 중인 클리링 패드(72)가 연결홀(250)을 통해 손잡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패드 공급수단(260)은 연결홀(251)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손잡이(300)에 형성한다.
상기 패드 공급수단(260)은 손잡이(300)에 구비된 제어부(410)의 작동 스위치(411)와 연결되는 상하 이동부(270)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 이동부(270)의 작동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축(271)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축(271)의 끝단에는 패드 결합판(272)을 형성하여 패드 하우징(250)의 내부에 적층되게 보관중인크리링 패드(71)를 연결홀(251)을 통해 손잡이(3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크리링 패드(71)는 패드 결합판(272)에 부착된 상태에서 손잡이(3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다.
상기 패드 결합판(272)에 크리링 패드(71)가 부착되도록 패드 결합판(272)에는 도 7의 (a), (b)와 같이 자석(273)을 형성하고, 상기 자석(273)에 부착되는 부착판(73)을 크리링 패드(71)의 상부면에 형성한다
따라서, 자석(273)과 부착판(73)에 의해 대프 결합판(272)에 크리링 패드(71)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손잡이(3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크리링 패드(71)가 손잡이(3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면, 제어부(410)는 인출 수단(350)으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제1 전극봉(6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손잡이(300)의 내부에 설치된 제1 회전기어(370)를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제1 회전기어(370) 및 제2 회전기어(371)는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제어부(410)와 연결된 구동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토치(310)를 손잡이(300)로부터 인출하거나 유입되도록 한다.
즉, 이동판(390)이 구비된 토치(310)는 손잡이(300)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토치(310)의 초기 위치는 도 8의 (a)와 같이 손잡이(30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전극봉(63)과 손잡이(300)의 내측 하부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회전기어(37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전극봉(63)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2 전극봉(311)을 감싼 이동판(360)은 도 8의 (b)와 같이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손잡이(300)의 내측 상부에는 이동판(360)을 상부를 가압하는 고정 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300)의 내부에 형성된 이동판(36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 수단은 손잡이(300) 내측 상부에 가이드홈(43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 하우징(430)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431)의 끝단에 구비된 걸림단(431)에 걸려지는 고정 돌기(422)가 구비된 고정축(421)을 스프링(423)에 탄지되게 고정 하우징(430) 내부에 출몰 작동되게 설치한다.
이때, 고정축(421)의 끝단에는 구름 이동되는 롤러(420)가 설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그리고 이동판(360)의 전단 내측에 돌출 형성된 작동봉(382)은 손잡이(300)의 전단에 구비된 스토퍼(380)에 닿게 되고, 상기 스토퍼(380)에 구비된 센서부(381)는 제어부(410)로 제어 신호를 발송하여 회전되는 제1 회전기어(370)를 정지시키과 동시에 손잡이(300)의 하부에 구비된 리프트 부(390)로 제어 신호를 발송하여 리프트 축(391)에 구비된 리프트 판(392)이 손잡이(300)의 내측 상부로 상승되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300)로부터 인출된 이동판(390)을 손잡이(300)의 내측 상부로 이동한다.
리프트 부(390)의 작동으로 인해 손잡이(300)의 내측 상부로 이동되는 토치(310)의 이동판(360)은 제1 전극봉(63)의 전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고정 가이드(400)와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판(360)의 상부면에 구비된 제2 랙기어(362)는 제2 회전기어(371)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고정 가이드(400)에는 제어부(410)와 연결되는 센서부(401)가 구비되므로서, 상기 센서부(401)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410)로 발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410)는 리프트 부(390)로 제어 신호를 발송하여 상기 리프트 부(390)를 Off 작동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기어(371)를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전극봉(63)의 연결홈(64)에 제2 전극봉(311)이 연결되도록 하고, 토치(310)에 결합된 크리링 패드(71)에 연마액을 묻힌 후에 용접된 부위를 연마 작업하므로서, 용접 흔적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10: 본체, 11: 전면판,
11a: 후면판, 12: 벤트홀,
13: 전원 공급부, 14: 커버,
20: 트랜스, 30: 반파정류 다이오드,
40: 출력 단자, 61: 연결선,
63: 제1 전극봉, 64: 연결홈,
71: 크리링 패드, 200: 설치판,
201: 결합 날개, 73: 부착판,
202: 방열홀,
210: 덕트, 211: 바닥판,
220: 방열판, 221: 방열핀,
223: 마감판, 230: 저장 탱크,
231: 펌프, 232: 순환관,
240: 격벽, 241: 타공홀,
242: 유도 돌기, 243: 유출홀,
250: 패드 하우징, 251: 연결홀,
252: 고정 돌기, 260: 패드 공급수단,
270: 상하 이동부, 271: 이동축,
272: 페드 결합판, 273: 자석,
300: 손잡이, 310: 토치,
311: 제2 전극봉, 312: 연마부,
350: 인출 수단, 360: 이동판,
361: 제1 랙기어, 362: 제2 랙기어,
370: 제1 회전기어, 371: 제2 회전기어,
380: 스토퍼, 372: 센서부,
383: 작동봉, 390: 리프트 부,
391: 리프트 축, 392: 리프트 판,
400: 고정 가이드, 401: 센서부,
410: 제어부, 411: 작동 스위치,
420: 롤러, 421: 고정축,
422: 고정 돌기, 423: 스프링,
430: 고정 하우징, 431: 가이드 홈,
432: 걸림단, N: 입력 코일,
N-1: 출력 코일,

Claims (6)

  1. 전원 공급부(13)가 구비되며, 전면판(11) 및 후면판(11a)이 전,후단에 각각 형성된 본체(10)와;
    전면판(11)에 설치되는 다수의 출력 단자(40)와;
    전원 공급부(13)와 연결되는 입력 코일(N)과, 출력 단자(40)와 연결되는 출력 코일(N-1)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 구성되어 전원 공급부(13)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류를 맥류 전류로 전환시키는 트랜스(20)와;
    트랜스(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150)이 설치되도록 상기 트랜스(20)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치판(200)과;
    트랜스(20)의 출력단(N-1)에 설치 구성되어 출력 단자(40)로 공급되는 맥류 전류를 단일 방향 전류로 전환시키는 반파정류 다이오드(30)와;
    출력 단자(40)에 결합 되며, 끝단에 손잡이(300)가 구비된 연결선(61)과;
    연결선(61)과 연결되게 손잡이(300)에 형성되는 토치(310)와;
    전해액을 묻혀 용접된 부분의 흔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토치(310)의 끝단에 결합 되는 크리링 패드(71);로 구성하고,
    설치판(200)과 연결되게 본체(10)에 설치되어 기판(150) 및 설치판(200)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으로 구성하며,
    상기 냉각 수단은, 설치판(200)의 중앙 및 양측에 형성되는 방열홀(202)과;
    후면판(11a)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팬(100)과;
    하향 경사진 바닥판(211)이 구비되며, 팬(100)과 설치판(200)을 연결하는 덕트(210)와;
    방열홀(202)을 통과한 공기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후면판(11a)에 형성되는 다수의 벤트홀(12)과;
    다수의 방열핀(221)의 일면에 수평으로 구비되며, 설치판(200)의 후단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방열판(220);으로 구성하고,
    냉각수를 저장할 수 있게 본체(10)에 설치되는 저장 탱크(230)와;
    저장 탱크(230)와 연결되게 본체(10)에 형성되는 순환 펌프(231)와;
    덕트(210) 및 방열핀(221)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순환 펌프(231)의 펌핑 작동으로 인해 수환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설치판(200)을 냉각시키는 순환관(233);으로 구성하며,
    벤트홀(12)과 연결되는 마감판(223)을 방열판(220)의 하단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유출홀(243)이 하단에 구비된 다수의 격벽(240)을 상기 덕트(210)의 내부에 형성하며,
    격벽(240)에는 서로 엇갈리게 다수의 타공홀(241)을 형성하고,
    팬(160)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을 타공홀(241)로 유도하는 반구형의 유도 돌기(242)를 상기 격벽(240)의 일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연결선(61)과 연결되게 손잡이(300)에 내부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제1 전극봉(63)과;
    제1 전극봉(63)의 끝단에는 형성되는 연결홈(64)과;
    손잡이(30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작동 스위치(421)가 구비된 제어부(420)와;
    크리링 패드(71)를 적층되게 보관하도록 상기 손잡이(300)의 선단 하부에 형성되는 패드 하우징(250)과;
    패드 하우징(250)과 손잡이(300)의 내부를 연결하는 연결홀(251)과;
    제어부(4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패드 하우징(250)의 내부에 적층된 크리링 패드(71)를 손잡이(3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홀(250)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3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패드 공급수단(260)과;
    손잡이(300)에 형성되는 인출 수단(350)과;
    손잡이(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 수단(350)의 작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시 크리링 패드(71)가 결합 되고, 인출 수단(350)의 작동으로 인해 후방으로 이동시 연결홈(64)에 결합 되는 토치(310);로 구성하고,
    상기 패드 공급수단(260)은,
    연결홀(251)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손잡이(3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하 이동부(270)와;
    상하 이동부(270)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축(271)과;
    이동축(271)의 끝단에 형성되어 크리링 패드(71)의 상부면에 결합 되는 패드 결합판(272);으로 구성하고,
    상기 토치(310)는,
    제1 전극봉(311)에 연결되는 제2 전극봉(311)과;
    제2 전극봉(311)의 전단에 형성되어 크리링 패드(71)가 결합 되는 연마부(312);로 구성하면서, 상기 토치(310)의 초기 위치는 연마부(312)의 하부가 손잡이(300)의 내측 바닥면에 닿게 내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인출 수단(350)은,
    제1 랙기(361)와 제2 랙기어(362)가 각각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되며, 제2 전극봉(331)을 감싸도록 절연체로 이루어진 이동판(360)과;
    제1 랙기어(361)와 맞물리도록 손잡이(300)의 내측 하부에 회전되게 설치 구성되어 제어부(4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토치(310)를 상기 손잡이(300)로부터 인출시키는 제1 회전기어(340)와;
    토치(310)의 하부를 지지하는 리프트 판(392)이 구비되며, 제어부(4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토치(310)가 제1 전극봉(63)과 동일한 수평 선상에 위치하도록 작동시키는 리프트 부(390)와;
    제2 랙기어(362)와 맞물리도록 손잡이(300)의 내측 상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손잡이(300)의 상부로 이동된 토치(30)에 구비된 제2 전극봉(311)을 연결홈(64)에 결합하는 제2 회전기어(371);로 구성하고,
    손잡이(300)의 전단 내측에는 제어부(410)와 연결되는 센서부(381)가 구비된 스토퍼(380)를 형성하고,
    센서부(381)와 접촉되어 토치(310)의 인출거리를 제어하는 작동봉(382)을 이동판(360)의 상부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
  4. 청구항 3 항에 있어서,
    손잡이(300)의 내부 중앙에는 제어부(410)와 연결되는 센서부(401)가 구비된 고정 가이드(400)를 더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300)의 내측 상부로 이동되는 토치(310)의 상승 높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
  5.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패드 결합판(272)에는 자석(273)을 형성하고,
    자석(273)에 부착되는 부착판(73)을 크리링 패드(71)에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
  6.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20)는, 입력코일(N)과 출력코일(N-1)의 권선비는 1:1로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
KR1020210058978A 2021-05-07 2021-05-07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 KR102572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978A KR102572501B1 (ko) 2021-05-07 2021-05-07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978A KR102572501B1 (ko) 2021-05-07 2021-05-07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782A KR20220151782A (ko) 2022-11-15
KR102572501B1 true KR102572501B1 (ko) 2023-08-30

Family

ID=8404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978A KR102572501B1 (ko) 2021-05-07 2021-05-07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5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000A (ja) * 2000-05-23 2001-12-07 Fuji Acetylene Kogyo Kk 電解研摩装置
KR200365484Y1 (ko) * 2004-08-03 2004-10-22 정고관 용접흔적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892B1 (ko) * 2010-09-10 2013-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해 연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000A (ja) * 2000-05-23 2001-12-07 Fuji Acetylene Kogyo Kk 電解研摩装置
KR200365484Y1 (ko) * 2004-08-03 2004-10-22 정고관 용접흔적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782A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6623B2 (en) Appliance for liquefying solder with variable duty cycle and method of implementing
US6726082B2 (en) Soldering apparatus
KR102572501B1 (ko) 용접 흔적 제거용 전해액 연마 장치
JP4650135B2 (ja) 電気機器システム
CN211726678U (zh) 清洗机
CN112923640A (zh) 干洗机冷却水喷淋式散热循环装置
JP6132694B2 (ja) 自動運転型片水路水中ポンプ
CN210524133U (zh) 一种热管散热器用高频感应加热焊接设备
US6057527A (en) Portable electric desoldering tool
CN215489597U (zh) 一种卧式led电源
CN210524093U (zh) 一种封头加工用多功能电焊机
JP2010075003A (ja) 電源回路
CN212955238U (zh) 一种用于感应加热设备的工件冷却装置
JP2003310510A (ja) 電気掃除機
JP4836519B2 (ja) 洗濯機
CN114040667A (zh) 一种可控硅散热装置及热饮水机
KR200420564Y1 (ko) 휴대용 인버터 용접기
CN209849162U (zh) 一种扣环加工设备
CN218511465U (zh) 一种百炼熔铸中频炉冷却水报警设备
CN213591216U (zh) 一种新能源汽车联轴器生产用清洗装置
CN211720477U (zh) 一种旋转励磁整流器
CN216532374U (zh) 一种可控硅散热装置及热饮水机
CN217721011U (zh) 一种变频器散热结构
CN206811754U (zh) 高效散热的磨床
JP2003250737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