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384B1 - 구조체 - Google Patents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384B1
KR102572384B1 KR1020210177684A KR20210177684A KR102572384B1 KR 102572384 B1 KR102572384 B1 KR 102572384B1 KR 1020210177684 A KR1020210177684 A KR 1020210177684A KR 20210177684 A KR20210177684 A KR 20210177684A KR 102572384 B1 KR102572384 B1 KR 102572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pattern portion
substrate
cells
structure charact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9601A (ko
Inventor
김현돈
김재현
장봉균
임미경
이학주
정이교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77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384B1/ko
Priority to PCT/KR2022/020169 priority patent/WO2023113412A1/ko
Publication of KR20230089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 H01Q15/0013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said selective devices working as frequency-selective reflecting surfaces, e.g. FSS, dichroic plates, surfaces being partly transmissive and refle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Landscapes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5G 통신 대역을 투과시키면서도 가시광선 대역에서 높은 투과도를 가지며, 히팅이 가능한 구조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구조체는 기판 그리고 패턴부를 포함한다. 패턴부는 기판에 마련되며, 통신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고, 히팅된다. 패턴부는 기판에 전체적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셀을 가지고, 각각의 셀은 슬롯이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격자를 가진다.

Description

구조체{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G 통신 대역을 투과시키면서도 가시광선 대역에서 높은 투과도를 가지며, 히팅이 가능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은 단순히 물자와 인력을 운송하는 것을 넘어서서 운전자가 운전 중에 음악을 듣고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오디오 장치와 비디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운전자가 목적하는 장소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역시 널리 설치되고 있다.
최근에는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의 기술적 이동이 빠르게 발생하고 있으며, 차량이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차량과 통신할 필요성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최대 속도가 20Gbps에 달하는 5G 통신 기술은 초저지연성과 초연결성을 통해 가상현실, 자율주행, 사물인터넷 기술 등을 구현할 수 있어 차량간 통신 등에 5G 통신 기술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 예로, 5G 초고속 통신을 통한 OTA(Over The Air)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김서림이나 서리 제거를 위한 발열 유리용 금속선이나 투명전극이 있는 경우 5G 통신 전자기파가 투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237807호(2007.09.20.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5G 통신 대역을 투과시키면서도 가시광선 대역에서 높은 투과도를 가지며, 히팅이 가능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판; 그리고 상기 기판에 마련되며, 통신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고, 히팅되는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부는 상기 기판에 전체적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셀을 가지고, 각각의 상기 셀은 슬롯이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격자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격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위격자의 한 변의 길이는 입사되는 상기 통신 주파수의 반파장(2/λ)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금속, 전도성 산화물, 전도성 폴리머, 그래파이트 상을 지닌 탄소 구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격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격 배치된 각각의 단위격자는 투명 전극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도 확보를 위해 상기 패턴부의 가장자리부는 제1밀도로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의 중앙부는 상기 제1밀도보다 작은 제2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균일한 히팅을 위해 상기 패턴부의 가장자리부는 제1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의 중앙부는 상기 제1두께보다 얇은 제2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통신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는 제1패턴부와, 히팅되는 제2패턴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 및 상기 제2패턴부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는 상기 기판의 제1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2패턴부는 상기 제1영역과 구획되는 상기 기판의 제2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셀은, 상기 셀의 중심을 수직으로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부는 중심을 수직으로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셀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27.5~28.5 GHz 의 5G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평균 90% 이상의 투과성능과, 70%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성능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패턴부는 히팅될 수 있어, 김서림, 성애 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용 윈도우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패턴부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패턴부의 투과도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슬릿의 방향이 다른 패턴부 및 이의 투과도 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개구율이 증가된 패턴부 및 이의 투과도 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패턴부의 슬릿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활용 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패턴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패턴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패턴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조체는 기판(100) 그리고 패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가시광에 투명할 수 있다. 기판(100)은 유리, PC(폴리카보네이트), CPI(colorless polyimide),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일 수 있다. 기판(100)을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 기판(100)은 차량 윈도우용 유리 기판일 수 있다.
패턴부(200)는 기판(100)에 전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의 (a)에서와 같이 기판(100)이 한 장으로 마련되는 경우, 패턴부(200)는 기판(1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b)에서와 같이, 기판(100)이 적층되어 마련되는 경우, 패턴부(200)는 각 기판(10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패턴부(200)는 통신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조체가 장착된 차량에서는 5G 초고속 통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패턴부(200)는 히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조체의 김서림, 성애 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패턴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패턴부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패턴부의 투과도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하나의 셀(201)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으로, 패턴부(200)는 복수 개의 셀(201)을 가질 수 있다. 셀(201)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턴부(200)는 기판(100)에 전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도 7 참조).
먼저, 도 2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셀(201)은 복수 개의 단위격자(210a,210b,210c,210d)를 가질 수 있다.
단위격자(210a,210b,210c,210d)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단위격자(210a,210b,210c,210d)는 2×2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단위격자(210a,210b,210c,210d)에는 슬롯(220a,220b,220c,220d)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220a,220b,220c,220d)은 해당 단위격자(210a,210b,210c,210d)를 관통하는 부분일 수 있다.
패턴부(200)는 금속, 전도성 산화물, 전도성 폴리머, 그래파이트 상을 지닌 탄소 구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여기서, 금속은 금속 박막, 은나노 와이어, 구리 나노 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산화물은 ITO(Indium Tin Oxide), AZO(Aluminum-doped Zinc Oxide), FTO(Fluorine-doped Tin dioxi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래파이트 상을 지닌 탄소 구조체는 그래핀, CNT(Carbon Nano Tube), 풀러린(fullere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220a,220b,220c,220d)은 전술한 소재가 형성되지 않고 개구(Open)된 영역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우상측을 제1사분면, 좌상측을 제2사분면, 좌하측을 제3사분면, 우하측을 제4사분면으로 칭한다.
단위격자(210a,210b,210c,210d)는 각 사분면에 해당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단위격자(210a,210b,210c,210d)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위격자(210a,210b,210c,210d)의 한 변의 길이(L)는 입사되는 통신 주파수의 반파장(2/λ)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입사되는 통신 주파수는 27.5~28.5 GHz 의 5G 밀리미터파 대역일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사분면에 마련되는 단위격자(210a)에 형성되는 슬롯(220a)은 나머지 사분면에 마련되는 단위격자(210b,210c,210d)에 형성되는 슬롯(220b,220c,220d)보다 면적이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셀(201)은, 셀(201)의 중심(C)을 수직으로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축(VL1, VL2)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슬롯(220a)이 형성되는 단위격자(210a)는 특정한 사분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셀(201)이 중심(C)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c)는 도 2의 (b)의 셀(201)이 중심(C)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의 (d)는 도 2의 (c)의 셀(201)이 중심(C)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도 2의 (a) 내지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슬롯(220a)이 형성되는 단위격자(210a)는 특정한 사분면에 한정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a)는 도 2의 (a)의 셀(201)의 투과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도 2의 (b)의 셀의 투과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c)는 도 2의 (c)의 셀의 투과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d)는 도 2의 (d)의 셀의 투과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 및 (c)와, 도 3의 (a) 및 (c)를 참조하면, 슬롯(220a)이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 27.5~28.5 GHz 의 5G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X편광(Txx)은 90% 이상이 투과되고, Y편광(Tyy)은 85% 이상이 투과되며, X편광(Txx) 및 Y편광(Tyy)의 평균이 90% 이상이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b) 및 (d)와, 도 3의 (b) 및 (d)를 참조하면, 슬롯(220a)이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에는 27.5~28.5 GHz 의 5G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Y편광(Tyy)은 90% 이상이 투과되고, X편광(Txx)은 85% 이상이 투과되며, X편광(Txx) 및 Y편광(Tyy)의 평균이 90% 이상이 됨을 알 수 있다.
즉, 가장 작은 슬롯(220a)이 어느 사분면에 위치되더라도 27.5~28.5 GHz 의 5G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평균적으로는 90% 이상이 투과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작은 슬롯(220a)의 형태 또한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슬릿의 방향이 다른 패턴부 및 이의 투과도 성능을 나타낸 것인데, 도 2의 (a)에서는 제1사분면에 배치된 단위격자(210a)의 슬롯(220a)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에 반해, 도 4의 (a)에서는 제1사분면에 배치된 단위격자(210a)의 슬롯(220a)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27.5~28.5 GHz 의 5G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Y편광(Tyy)은 90% 이상이 투과되고, X편광(Txx)은 85% 이상이 투과되며, X편광(Txx) 및 Y편광(Tyy)의 평균이 90% 이상이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의 셀(201)에서 슬롯의 면적 비율, 즉 개구율은 72.6% 인데, 개구율이 증가하면 투과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개구율이 증가된 패턴부 및 이의 투과도 성능을 나타낸 것인데, 도 5의 (a)의 셀(201)의 개구율은 81.6%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장 작은 슬롯(220a)의 폭이 넓어져 개구율이 증가하게 되면, 27.5~28.5 GHz 의 5G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X편광(Txx)은 90% 이상이 투과되고, Y편광(Tyy)은 87% 이상이 투과되어 투과율이 평균 투과율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201)은 패턴부(200)의 총 개구율이 70%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셀(201)이 불투명한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패턴부(200)는 70%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차량용 윈도우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패턴부의 슬릿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예시도이다.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가장 작은 슬롯(220a)은 전술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나, 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θ 만큼 기울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X편광 및 Y편광 값의 차이가 줄어들 수 있다. 특히, θ가 45도가 되면, X편광 및 Y편광 값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나머지 슬롯(220b,220c,220d)은 모두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되거나(도 6의 (a) 참조), 또는 형태 및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도 6의 (b) 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활용 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셀(201a,201b,201c,201d)은 복수 개가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각 셀(201a,201b,201c,201d)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제일 작은 슬롯(220a)이 모두 동일한 위치(도 7을 기준으로 하면 제1사분면)를 이루도록 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어느 하나의 슬롯(220a)을 기준으로 주위에는 상대적으로 개구도가 큰 슬롯(210e)이 배치되어 슬롯(220a)을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셀(201a,201b,201c,201d)이 서로 연결되도록 배열됨으로써, 적어도 어느 하나의 셀에 전류가 인가되면 모든 셀(201a,201b,201c,201d)이 히팅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패턴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위격자(210a,210b,210c,210d)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패턴부(200)는 투명 전극(230a,230b,230c,230d)을 더 가질 수 있으며, 투명 전극은 이격 배치된 각각의 단위격자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투명 전극(230a,230b,230c,230d)은 각 단위격자(210a,210b,210c,210d) 사이의 공간(240)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240)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단위격자(210a,210b,210c,210d)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가시광선 투과도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투명 전극(230a,230b,230c,230d)에 의해 단위격자(210a,210b,210c,210d)가 연결됨으로써 전류 인가 시 히팅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패턴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턴부(200)는 가장자리부(251) 및 중앙부(252)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장자리부(251)는 패턴부(200)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부분일 수 있고, 중앙부(252)는 패턴부(200)의 중앙에 해당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패턴부(200)의 개구율은 아래 식(1)로 표현될 수 있고, 패턴부(200)의 밀도는 아래 식(2)로 표현될 수 있다.
개구율(%) = (슬롯의 넓이/기판의 넓이) × 100 --- 식(1)
패턴부 밀도(%) = (패턴부가 차지하는 넓이/기판의 넓이) × 100 --- 식(2)
그리고, 가장자리부(251)는 제1밀도로 형성되고, 중앙부(252)는 제1밀도보다 작은 제2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패턴부(200)의 총 개구율은 70% 이상임이 바람직한데, 패턴부(200)를 형성하는 소재가 기판(100)을 전체적으로 빈틈 없이 모두 덮은 경우를 100%라고 할 때, 중앙부(252)의 제2밀도는 30% 이하일 수 있고, 가장자리부(251)의 제1밀도는 30% 초과일 수 있다. 즉, 패턴부(200)의 밀도는 가장자리부(251)가 밀하고 중앙부(252)가 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체의 중앙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가시광선 투과도가 확보될 수 있고, 구조체가 차량용 윈도우로 적용되었을 때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는, 가장자리부(251)는 제1두께로 형성되고, 중앙부(252)는 제1두께보다 얇은 제2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더욱 균일한 히팅이 가능할 수 있고, 구조체가 차량용 윈도우로 적용되었을 때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가장자리부(251) 및 중앙부(252)는 특정한 위치, 형상 또는 면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써, 구조체의 면적, 형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정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패턴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턴부(200)는 제1패턴부(200a) 및 제2패턴부(200b)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패턴부(200a)는 기판(100)의 제1영역(261)에 마련될 수 있고, 제2패턴부(200b)는 제1영역(261)과 구획되는 제2영역(262)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패턴부(200a) 및 제2패턴부(200b)가 각각 다른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제1패턴부(200a)는 통신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킬 수 있고, 제2패턴부(200b)는 히팅될 수 있다.
구조체가 차량용 윈도우로 적용되었을 때를 고려해보면, 제1영역(261)은 구조체의 상측 영역임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통신 주파수 대역은 구조체의 상측 영역에서 안정적으로 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262)은 구조체의 나머지 영역으로, 주로 운전자를 비롯한 차량 탑승자의 시야가 머무르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제2영역(262)은 제1영역(261)보다 넓은 영역이 될 수 있으며, 히팅이 되어 김서림, 성애 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하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제1패턴부(200a) 및 제2패턴부(200b)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부가 그래핀 또는 ITO로 형성되는 것보다 패턴부가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통신 주파수 대역의 투과도가 우수한 경우에는, 제1패턴부(200a)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고, 제2패턴부(200b)는 그래핀 또는 ITO와 같이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기판
200: 패턴부
200a: 제1패턴부
200b: 제2패턴부
201,201a,201b,201c,201d: 셀
210a,210b,210c,210d: 단위격자
220a,220b,220c,220d: 슬롯
230a,230b,230c,230d: 투명 전극
240: 공간
251: 가장자리부
252: 중앙부
261: 제1영역
262: 제2영역

Claims (10)

  1. 가시광에 투명한 기판; 그리고
    상기 기판에 마련되며, 통신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고, 히팅되는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부는 상기 기판에 전체적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셀을 가지고,
    각각의 상기 셀은 슬롯이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격자를 가지며,
    상기 단위격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격 배치된 각각의 단위격자는 투명 전극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격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위격자의 한 변의 길이는 입사되는 상기 통신 주파수의 반파장(2/λ)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금속, 전도성 산화물, 전도성 폴리머, 그래파이트 상을 지닌 탄소 구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도 확보를 위해 상기 패턴부의 가장자리부는 제1밀도로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의 중앙부는 상기 제1밀도보다 작은 제2밀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균일한 히팅을 위해 상기 패턴부의 가장자리부는 제1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의 중앙부는 상기 제1두께보다 얇은 제2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통신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는 제1패턴부와,
    히팅되는 제2패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 및 상기 제2패턴부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는 상기 기판의 제1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2패턴부는 상기 제1영역과 구획되는 상기 기판의 제2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상기 셀의 중심을 수직으로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KR1020210177684A 2021-12-13 2021-12-13 구조체 KR102572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684A KR102572384B1 (ko) 2021-12-13 2021-12-13 구조체
PCT/KR2022/020169 WO2023113412A1 (ko) 2021-12-13 2022-12-12 통신 주파수 대역을 투과시키는 투명 발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684A KR102572384B1 (ko) 2021-12-13 2021-12-13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601A KR20230089601A (ko) 2023-06-21
KR102572384B1 true KR102572384B1 (ko) 2023-08-31

Family

ID=8677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684A KR102572384B1 (ko) 2021-12-13 2021-12-13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2384B1 (ko)
WO (1) WO202311341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7807A (ja) 2006-03-06 2007-09-20 Fujimori Kogyo Co Ltd 車両用窓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6084079B2 (ja) * 2013-03-15 2017-02-22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磁気デバイス
US9853485B2 (en) * 2015-10-28 2017-12-26 Energous Corporation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systems
KR102097602B1 (ko) * 2019-06-04 2020-04-06 주식회사 웨이브티메탈릭스 방열성을 갖는 무선충전 회로기판 안테나 및 이를 갖는 무선 전자장치
KR20210011284A (ko) * 2019-07-22 2021-02-0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밀리 미터 파(mili meter Wave, mmW) 반사 구조, mmW 반사 지향 구조 및 mmW 투과 구조
KR102288456B1 (ko) * 2020-01-09 2021-08-12 주식회사 웨이브티메탈릭스 방열성을 갖는 회로기판 안테나 및 이를 갖는 무선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601A (ko) 2023-06-21
WO2023113412A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33251A1 (zh) 触控显示屏及电子设备
TWI576626B (zh) 顯示裝置
US10504933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2415786A (zh) 一种硅基电光调制器
US20170255288A1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EP4361718A1 (en) Electrochromic film, electrochromic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electrochromic glass and vehicle
RU2679642C2 (ru) Пластина для электротермического окна
CN110232868B (zh) 壳体、壳体组件和电子设备
CN110442259B (zh) 触控基板及显示面板
CN114026694A (zh) 触控模组、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2306299A (zh) 集成天线的触控面板和电子设备
KR102572384B1 (ko) 구조체
CN113238683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170102564A1 (en) Semiconductor optical waveguide, semiconductor optical mudulator, and semiconductor optical modulation system
KR102170474B1 (ko) 카메라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EP284044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6433284B1 (en) Partially cut multi-planar flexible printed circuit
US20220075467A1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US11682833B2 (en) Antenn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102509891B1 (ko) 액정표시장치
WO2020095783A1 (ja)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付き基板
KR20230068953A (ko) 5g 대역 투과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조립체
WO2021261054A1 (ja) 偏光変換素子
JPWO2020095786A1 (ja) 基板
US10297706B2 (en) Conformal photoconductive switch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