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369B1 -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369B1
KR102572369B1 KR1020200149847A KR20200149847A KR102572369B1 KR 102572369 B1 KR102572369 B1 KR 102572369B1 KR 1020200149847 A KR1020200149847 A KR 1020200149847A KR 20200149847 A KR20200149847 A KR 20200149847A KR 102572369 B1 KR102572369 B1 KR 102572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rradiation
unit
pedestal
chamb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4435A (ko
Inventor
박형주
구혜윤
김은영
모상준
안진철
최순향
홍남규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9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3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8Monitoring or testing the effects of treatment, e.g. of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4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induced by stimuli or drugs
    • A61B5/1105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induced by stimuli or drugs of laboratory animals, e.g.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61D7/04Devices for anaesthetising animals by gases or vapours; Inha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ellular or enzymatic activity or functionality, e.g. cell vi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3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solid biological material, e.g. tissue samples, cell cul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2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for laboratory rese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2005/002Cooling systems
    • A61N2005/005Cooling systems for cooling the radi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36Irradiating the whol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Dent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ell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나 동물과 같은 샘플에 대한 광 조사를 통한 순기능 및 역기능을 정확히 확인하고 증명할 수 있게 테스트할 수 있는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나 동물과 같은 테스트할 대상인 샘플에 빛을 조사하여 광 조사로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하기 위한 광치료 테스트 장치로서, 함체 형태로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샘플이 놓이는 샘플 받침 유닛; 상기 챔버에 구비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유닛; 상기 광 조사 유닛의 조사 방향 측에 구비되어 광 조사 유닛에서 조사되는 광조사의 범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 및 상기 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광 조사 유닛 및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을 제어하며, 제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치료 테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PHOTOBIOMODULATION TEST CHAMBER DEVICE FOR CELL AND ANIMALS}
본 발명은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나 동물과 같은 샘플에 대한 광 조사를 통한 순기능 및 역기능을 정확히 확인하고 증명할 수 있게 테스트할 수 있는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이온화인 빛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물이 연구를 통해 도출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빛의 반응의 사례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정 세포에 광화학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특이적 파장을 갖는 빛은 세포 레벨에서 세포를 자극하여 많은 에너지를 생성하고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최근에는 광원을 이용한 상처 및 악성 종양 부위에 조사하여 치료의 효과정도를 밝히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특정 파장을 이용한 통증 완화, 미용 등의 실생활에서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파장에 따른 영향성 입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146759(2020.08.2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39022(2008.06.1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97047(2020.04.03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14798(2020.02.11.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포나 동물과 같은 샘플에 대한 빛의 조사에 따른 세포 활성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트래킹 하여 빛이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순기능 및 역기능을 정확히 확인하고 증명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샘플에 대하여 조사되는 광원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복수의 크기로 조절된 광원이 동시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광원이 세포나 동물에 미치는 다양한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는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세포나 동물과 같은 테스트할 대상인 샘플에 빛을 조사하여 광 조사로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하기 위한 광치료 테스트 장치로서, 함체 형태로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샘플이 놓이는 샘플 받침 유닛; 상기 챔버에 구비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유닛; 상기 광 조사 유닛의 조사 방향 측에 구비되어 광 조사 유닛에서 조사되는 광조사의 범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 및 상기 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광 조사 유닛 및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을 제어하며, 제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치료 테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샘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샘플 받침 유닛은 샘플이 놓이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챔버의 측벽에 결합되되,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 조절구, 및 상기 받침대 조절구를 이용하여 상기 받침대가 소정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샘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샘플 받침 유닛은 샘플이 놓이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며 상하좌우로 위치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받침대위치 자동 구동 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유닛은 LED 모듈, 및 상기 LED 모듈의 일측에 구비되어 LED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도록 구성되는 방열팬을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범위 조절유닛은 상기 광 조사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개 부재, 및 상기 조리개 부재를 선형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조리개부재 구동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조리개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제1 조리개 플레이트와 직교되게 구비되고, 그 제1 조리개 플레이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조리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개부재 구동장치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조리개 플레이트를 동시에 연동시켜 구동시키거나,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광 조사 유닛을 제어하는 광조사 제어부; 상기 광조사범위 조절유닛의 조리개부재 구동장치부를 제어하는 광조사범위 제어부; 및 상기 광조사 제어부 및 광조사범위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며, 제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호흡 마취 고정기와, 외부로부터 마취제를 공급받아 상기 호흡 마취 고정기로 제공하기 위한 마취가스 공급 호스, 및 상기 호흡 마취 고정기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흡입 마취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챔버온도 조절 장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광치료 시행 시 샘플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조건 설정으로 효과적인 연구를 진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세포나 동물과 같은 샘플에 대한 광원 조사를 통한 순기능 및 역기능을 정확히 확인하고 증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조사되는 광원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크기로 다양하게 조절된 광원이 동시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광원이 세포나 동물에 미치는 연구에 대한 다양한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를 구성하는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의 조리개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를 구성하는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에 의한 조사범위 조절 상태의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를 구성하는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의 조리개 부재가 조리개부재 지지 바디에 복수 구성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를 구성하는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의 조리개 부재가 복수 구성되는 경우에서의 조사범위 조절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를 구성하는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의 조리개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를 구성하는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에 의한 조사범위 조절 상태의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를 구성하는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의 조리개 부재가 복수 구성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를 구성하는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의 조리개 부재가 복수 구성되는 경우에서의 조사범위 조절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는, 세포나 동물과 같은 샘플에 빛을 조사하여 세포나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하기 위한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챔버(100); 샘플 받침 유닛(200); 광 조사 유닛(300);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400); 및 제어 모듈(5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는, 세포나 동물과 같은 테스트할 대상(이하, '샘플'이라 함)에 빛을 조사하여 세포나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하기 위한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가능한 개폐구를 갖고 형성되는 챔버(100); 상기 챔버(100) 내부에 구비되어 세포나 동물과 같은 샘플이 놓이는 샘플 받침 유닛(200); 상기 챔버(110)의 상부 및/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광 조사 유닛(300); 상기 광 조사 유닛(300)의 조사 방향 측에 구비되어 광 조사 유닛(200)에서 조사되는 광조사의 범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400); 및 상기 챔버(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광 조사 유닛(300) 및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400)을 제어하고, 제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500);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100)는 샘플이 안정적으로 위치되고, 원활한 광조사를 실험하기 위한 사이즈를 갖고 형성되고, 일측에는 샘플을 샘플 받침 유닛(200)을 구성하는 샘플 받침대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즉 챔버(100)에 대한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샘플 받침 유닛(200)은 상기 챔버(100) 내부에 구비되어 세포나 동물과 같은 샘플이 놓이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샘플 받침 유닛(200)은 샘플이 놓이는 받침대(210)와, 일단부는 상기 받침대(2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챔버(100)의 측벽에 결합되되,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 조절구(220), 및 상기 받침대 조절구(220)를 이용하여 상기 받침대(210)가 소정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 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210)는 상기 받침대 조절구(2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대(210)는 샘플의 종류에 따라서 자유롭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샘플 받침 유닛(200)에는 샘플이 동물인 경우, 광 조사 중에 샘플의 움직임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흡입 마취 모듈(23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마취 모듈(230)은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는데,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호흡 마취 고정기(231), 및 외부로부터 마취제를 공급받아 상기 호흡 마취 고정기(231)로 제공하기 위한 마취가스 공급 호스(2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입 마취 모듈(230)은 흡입 마취 중에 샘플 동물(예를 들면, 마우스)의 움직임으로 호흡 마취 고정기(231)에서 떨어져 마취가 풀리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샘플의 코가 들어가는 부분에 압력 센서(미도시)와 같은 고정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고정의 유무를 디스플레이부(530)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샘플 받침 유닛(200)의 받침대(210)에는 샘플 동물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검출 센서(예를 들면, 로드셀)가 구성되고, 측정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530)에 표시될 수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샘플 받침 유닛(200)에서 상기한 받침대 조절구(220)와 고정 수단(미도시)은 생략하고, 테스트에서 이용될 광원의 광출력을 보정하는데 연동되어 상기 받침대(210)의 상하좌우 위치를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받침대위치 자동 구동 장치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받침대는 받침대위치 자동 구동 장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 조사 유닛(300)은 상기 챔버(110)의 상부 및/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테스트할 샘플에 대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 조사 유닛(300)은 LED 모듈(310), 및 상기 LED 모듈(310)의 일측에 구비되어 LED 모듈(3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도록 구성되는 방열팬(320)을 포함한다.
상기 LED 모듈(310)은 테스트에 이용될 다양한 파장을 생성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RGB LED로 구성되어 제어 모듈(500)을 구성하는 광조사 제어부(510)의 제어를 통해 RGB LED의 조합으로 다양한 파장을 생성하여 조사하도록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상기 광 조사 유닛(300)은 챔버(100)의 상부 측에만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고 있지만, 챔버(100)의 하부나 측부 등 다른 위치에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광조사범위 조절유닛(400)은 상기 광 조사 유닛(300)의 조사 방향 측에 구비되어 광 조사 유닛(200)에서 조사되는 광조사의 범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조사범위 조절유닛(400)은 선형 이동으로 통과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개 부재(410), 및 상기 조리개 부재(410)를 선형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조리개부재 구동장치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개 부재(41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조리개 플레이트(411), 및 상기 한 쌍의 제1 조리개 플레이트(411)와 직교되게 구비되고, 그 제1 조리개 플레이트(4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조리개 플레이트(412)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 조리개 플레이트(411)와 한 쌍의 제2 조리개 플레이트(412)를 구성하는 조리개 플레이트 각각은 한 쌍식 연동하여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조리개 플레이트 모두가 독립되게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리개부재 구동장치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조리개 플레이트(411, 412)를 한 쌍씩 연동시켜, 또는 각각 독립되게 구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조리개부재 구동장치부는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 각각에 형성되는 랙기어, 및 제어 모듈(500)을 구성하는 광조사범위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정역 구동하고, 상기 랙기어와 치합하는 기어치를 갖고 구성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개부재 구동장치부는 랙기어 방식이 아닌 벨트 구동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개 부재(41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형 조리개 지지 바디(420)에 복수 구비되어 구성되고, 각각의 조리개 부재(410)는 제어 모듈(500)의 광조사범위 제어부(520)의 제어를 통해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개 부재(410)가 복수 구성되는 경우, 광조사범위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광조사범위 조절유닛(400)은 조사 범위에 따라 광원의 투과 범위를 조절하여 국소적으로 샘플(세포 및 동물)에 조사할 수 있으며, 특히 동물의 경우 1마리 이상에 조사되는 형태로 할 수 있으며, 세포가 포함되는 배양 접시(dish)의 웰(well) 크기 및 개수에 따라 광조사의 온/오프(on/off)를 개별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상기 조리개 부재(410)가 조리개 지지 바디(420)에 복수 구비되는 경우, 보다 다양한 실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모듈(500)은 상기 챔버(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광 조사 유닛(300) 및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400)을 제어하고, 제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500)은 상기 광 조사 유닛(300)을 제어하는 광조사 제어부(510)와, 상기 광조사범위 조절유닛(400)의 조리개부재 구동장치부를 제어하는 광조사범위 제어부(520), 및 상기 광조사 제어부(510) 및 광조사범위 제어부(520)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며, 제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광조사 제어부(510)는 광원의 파장 및 광출력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받아 LED 모듈(310)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 모듈(500)은 상기 받침대(210)의 상하좌우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받침대위치 자동 구동 장치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받침대위치 자동 구동 장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받침대위치 제어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530)는 터치식 패널로 구성되어 제어 입력 명령을 터치식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한 고정 감지 센서 및 무게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는, 광원의 균일한 출력세기 제어를 위한 광출력 검출기를 받침대(210)에 구비시켜 광원 조사 전에 정확한 광 조사를 위한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는, 수분에서 수 시간까지 샘플에 조사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챔버(100) 내에 열의 발생에 따른 문제 해결하기 위해 챔버(100) 내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는 온도 센서 및 챔버(10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열팬 등 챔버(100) 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챔버온도 조절 장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조사되는 샘플의 특징에 따라 열에 의한 영향성을 줄이기 위해서 챔버 내의 온도가 테스트에 적절한 온도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에 의하면, 광치료 시행 시 샘플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조건 설정으로 효과적인 연구를 진행 할 수 있으며, 세포나 동물과 같은 샘플에 대한 광원 조사를 통한 순기능 및 역기능을 정확히 확인하고 증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사되는 광원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크기로 다양하게 조절된 광원이 동시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광원이 세포나 동물에 미치는 연구, 특성 세포별 및 동물별에 미치는 연구 등 다양한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챔버
200: 샘플 받침 유닛
210: 받침대
220: 받침대 조절구
230: 흡입 마취 모듈
231: 호흡 마취 고정기
232: 마취가스 공급 호스
300: 광 조사 유닛
310: LED 모듈
320: 방열팬
400: 광조사범위 조절 유닛
410: 조리개 부재
411: 제1 조리개 부재
412: 제2 조리개 부재
420: 조리개 지지 바디
500: 제어 모듈
510: 광조사 제어부
520: 광조사범위 제어부
530: 디스플레이부
540: 받침대위치 제어부

Claims (8)

  1. 세포나 동물과 같은 테스트할 대상인 샘플에 빛을 조사하여 광 조사로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하기 위한 광치료 테스트 장치로서,
    함체 형태로 형성되어 샘플의 출입을 위해 출입구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태에서, 그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챔버온도 조절 장치부가 구비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샘플이 놓이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가 일측에 착탈 가능 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챔버의 측벽에 결합되되,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 조절구, 및 상기 받침대 조절구를 이용하여 상기 받침대가 소정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호흡 마취 고정기와, 외부로부터 마취제를 공급받아 상기 호흡 마취 고정기로 제공하기 위한 마취 가스 공급 호스, 및 상기 호흡 마취 고정기에 압력 센서로 이루어진 흡입 마취 모듈이 구비되는 샘플 받침 유닛;
    상기 챔버에 구비되어 LED 모듈, 및 상기 LED 모듈의 일측에 구비되어 광을 조사하는 LED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도록 구성되는 방열팬이 구비되는 광조사 유닛;
    상기 광조사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조리개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제1 조리개플 레이트와 직교되게 구비되고, 그 제1 조리개 플레이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 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조리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조리개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 2 조리개 플레이트를 동시에 연동시켜 구동시키거나,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조리개부재 구동장치부가 구비되는 광조사범위조절유닛;
    상기 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광조사 유닛 및 상기 광조사범위 조절유닛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모듈은 광조사 제어부, 광조사범위 제어부, 디스플레이부 및 받침대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 제어부는 상기 광조사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광조사범위 제어부는 상기 광조사범위 조절유닛의 조리개부재 구동장치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광조사 제어부 및 광조사범위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며, 제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받침대위치제어부는 상기 받침대의 상하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받침대의 위치 자동 구동장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치료 테스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149847A 2020-11-11 2020-11-11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 KR102572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847A KR102572369B1 (ko) 2020-11-11 2020-11-11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847A KR102572369B1 (ko) 2020-11-11 2020-11-11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435A KR20220064435A (ko) 2022-05-19
KR102572369B1 true KR102572369B1 (ko) 2023-08-30

Family

ID=8180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847A KR102572369B1 (ko) 2020-11-11 2020-11-11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3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4068A (ja) * 2009-05-14 2010-11-25 Natl Inst Of Radiological Sciences 動物固定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022B1 (ko) 2007-12-10 2008-06-17 주식회사 루트로닉 다파장 출력 의료용 led 광치료기기
KR101104316B1 (ko) * 2009-10-30 2012-01-1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소동물의 심자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2745B1 (ko) * 2010-01-29 2012-08-14 한국전기연구원 생체로부터 발생하는 다중 분광 광 영상 검출 및 광치료를 위한 복합 장치
KR101270133B1 (ko) * 2010-12-07 2013-05-31 주식회사 루트로닉 줄기세포 배양장치
KR101416099B1 (ko) * 2012-08-29 2014-07-09 (주)메디엔인터내셔날 조사야 자동조절장치 및 시스템
KR102182868B1 (ko) * 2016-08-12 2020-11-26 주식회사 뷰웍스 동물용 영상장치
EP3636317B1 (en) 2017-05-31 2023-07-05 Teijin Pharma Limited Phototherapeutic apparatus
KR102097047B1 (ko) 2018-11-20 2020-04-03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Led를 이용한 광치료 장치
KR102146759B1 (ko) 2019-11-05 2020-08-2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휴대용 광치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4068A (ja) * 2009-05-14 2010-11-25 Natl Inst Of Radiological Sciences 動物固定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435A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6888C2 (ru) Мобильный рентгеновский аппарат
US20180110890A1 (en) Ultraviolet light sterilizer
US8077830B2 (en) Beam filter positioning device
KR100353096B1 (ko) 자외선챔버
US7875846B2 (en) Mounting device for phantom, method for quality monitoring of a particle therapy system, and particle therapy system
JP4225614B2 (ja) 放射線源から物体に放射線を照射する装置
JP6402101B2 (ja) インキュベータのx線カセットトレイにフィットするledベースの光線療法パネル
US20030191384A1 (en) Automated delivery of treatment fields
KR20200031866A (ko) 휴대용 살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72369B1 (ko) 세포 및 동물용 광치료 테스트 장치
JP4495112B2 (ja) 放射線治療装置制御装置および放射線照射方法
EP07980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blocking elements in a collimator
US20220238247A1 (en) Apparatus for irradiating electromagnetic wave to plant and method thereof
JP4173756B2 (ja) 放射線照射装置の品質管理装置
CN107050665B (zh) 放疗设备及其激光验证装置
WO2017047357A1 (ja) 光線過敏検査装置
KR20090080390A (ko) 다중 세포배양기를 구비한 인큐베이터
KR102572436B1 (ko) 동물진단 오퍼레이터를 위한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가이드 램프 시스템
KR101880354B1 (ko) 다중 에너지 영상치료기
KR20090080385A (ko) 세포배양기
KR102502082B1 (ko) 동물진단용 엑스레이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786749B2 (en) Time mulitplexed dosimetry system and method
JP6829441B2 (ja) 光線過敏検査装置
JP2010068908A (ja) 粒子線治療装置
KR102537577B1 (ko) 동물진단 오퍼레이터를 위한 엑스레이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