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358B1 -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358B1
KR102572358B1 KR1020220067780A KR20220067780A KR102572358B1 KR 102572358 B1 KR102572358 B1 KR 102572358B1 KR 1020220067780 A KR1020220067780 A KR 1020220067780A KR 20220067780 A KR20220067780 A KR 20220067780A KR 102572358 B1 KR102572358 B1 KR 102572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ventilation type
side wall
type insulat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이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성 filed Critical 이종성
Priority to KR1020220067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30Thermophotovolta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은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의 양끝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2 측벽 및 제3 측벽을 포함하는 제1 측벽부를 포함하는 제1 컨테이너 모듈, 서로 마주하여 평행하는 제4 측벽 및 제5 측벽를 포함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측벽 및 제5 측벽이 상기 제2 측벽 및 제3 측벽과 평행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과 연결되는 제2 컨테이너 모듈, 제6 측벽과 상기 제6 측벽의 양끝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7 측벽 및 제8 측벽을 포함하는 제3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7 측벽 및 상기 제8 측벽이 상기 제4 측벽 및 제5 측벽과 평행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컨테이너 모듈과 연결되는 제3 컨테이너 모듈을 포함하는 교실용 컨테이너; 상기 제2 측벽 및 제3 측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 태양열집열판; 상기 제4 측벽 및 제5 측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 태양열집열판; 상기 제7 측벽 및 제8 측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3 태양열집열판; 및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태양열집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태양열집열판에 축적된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원을 상기 교실용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제품들에 분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전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ECO-FRIENDLY PORTABLE MODULE WITH SOLAR PANEL INSTALLED}
본 발명은 이동식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모듈은 신속하게 일반 집과 같은 주거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임시주택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모듈을 결합하여 전원주택 이나 도심속의 사무형 건물 및 주거형 건물, 교실 등의 시공에 적용된다. 이러한 이동식 모듈은 대표적으로 컨테이너 건물이 있다.
한편, 이동식 모듈은 사람이 거주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전기배선을 하여, 조명, 냉난방기 등의 전자제품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전자제품에 상기 전기배선을 통해 상용 전원을 공급한다.
그런데, 상기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배선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상용전원을 사용하므로 상기 전자제품의 사용량이 증가하는 경우 전력소비 비용이 증가하여 전력 절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동식 모듈의 내부 및 외부 간의 온도 차이 및 습도 차이가 심한 경우에는 결로 현상으로 인한 물방울이 실내 벽면에 맺혀서 곰팡이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2215064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활용하므로 전력소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은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의 양끝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2 측벽 및 제3 측벽을 포함하는 제1 측벽부를 포함하는 제1 컨테이너 모듈, 서로 마주하여 평행하는 제4 측벽 및 제5 측벽를 포함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측벽 및 제5 측벽이 상기 제2 측벽 및 제3 측벽과 평행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과 연결되는 제2 컨테이너 모듈, 제6 측벽과 상기 제6 측벽의 양끝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7 측벽 및 제8 측벽을 포함하는 제3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7 측벽 및 상기 제8 측벽이 상기 제4 측벽 및 제5 측벽과 평행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컨테이너 모듈과 연결되는 제3 컨테이너 모듈을 포함하는 교실용 컨테이너; 상기 제2 측벽 및 제3 측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 태양열집열판; 상기 제4 측벽 및 제5 측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 태양열집열판; 상기 제7 측벽 및 제8 측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3 태양열집열판; 및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태양열집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태양열집열판에 축적된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원을 상기 교실용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제품들에 분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전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은 제1 통기형 단열재를 포함하는 제1 천정단열층을 포함하는 제1 천정부 및 상기 제1 천정부와 마주하는 제1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테이너 모듈은 제4 통기형 단열재를 포함하는 제2 천정단열층을 포함하는 제2 천정부 및 상기 제2 천정부와 마주하는 제2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컨테이너 모듈은 제7 통기형 단열재를 포함하는 제3 천정단열층을 포함하는 제3 천정부 및 상기 제3 천정부와 마주하는 제3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친환경 이동식 모듈은, 일면이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의 실내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 내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제1 공기흡입팬; 일면이 상기 제2 컨테이너 모듈의 실내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 내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제2 공기흡입팬; 일면이 상기 제3 컨테이너 모듈의 실내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 내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제3 공기흡입팬; 및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 및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 중 어느 하나의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어부로 실시간 입력되게 구성되는 제1 습도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을 작동시키기 위해 특정 습도값으로 설정된 제1 제어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고,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1 제어값과 동일값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을 동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1 제어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을 동시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은 사각틀 형상의 내측면에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가 밀착하도록 상기 제1 천정부를 내측면에 지지하는 제1 상부골조, 및 상기 제1 상부골조와 상기 제1 바닥부 사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천정부 및 상기 제1 바닥부의 사방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상부골조 및 상기 제1 측벽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제1 코너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테이너 모듈은 사각틀 형상의 내측면에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가 밀착하도록 상기 제2 천정부를 내측면에 지지하는 제2 상부골조, 및 상기 제2 상부골조와 상기 제2 바닥부 사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천정부 및 상기 제2 바닥부의 사방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상부골조 및 상기 제2 측벽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제2 코너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컨테이너 모듈은 사각틀 형상의 내측면에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가 밀착하도록 상기 제3 천정부를 내측면에 지지하는 제3 상부골조, 및 상기 제3 상부골조와 상기 제3 바닥부 사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3 천정부 및 상기 제3 바닥부의 사방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상부골조 및 상기 제3 측벽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제3 코너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 각각은 제3 통기형 단열재를 포함하는 제1 측벽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및 제5 측벽 각각은 제6 통기형 단열재를 포함하는 제2 측벽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6 내지 제8 측벽 각각은 제9 통기형 단열재를 포함하는 제3 측벽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친환경 이동식 모듈은, 일면이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의 실외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3 통기형 단열재 내에 삽입되게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4 공기흡입팬; 일면이 상기 제2 컨테이너 모듈의 실외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6 통기형 단열재 내에 삽입되게 상기 제4 및 제5 측벽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5 공기흡입팬; 일면이 상기 제3 컨테이너 모듈의 실외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9 통기형 단열재 내에 삽입되게 상기 제6 내지 제8 측벽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6 공기흡입팬; 상기 제1 내지 제8 측벽의 하부에서 상기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교실용 컨테이너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사각틀 구조로 설치되어, 내부에 공기순환로를 형성하는 공기순환틀; 공기토출구가 상기 공기순환틀의 일측 외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공기순환틀 외부에 설치되는 송풍팬; 및 상기 제3 통기형 단열재, 상기 제6 통기형 단열재 및 상기 제9 통기형 단열재 중 어느 하나의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어부로 실시간 입력되게 구성되는 제2 습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 각각은 하단부가 상기 제1 내지 제3 바닥부 상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 각각은 상기 공기순환틀로 둘러싸인 하부에 상기 공기순환로와 소통되는 공기유입개구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 각각의 하면을 관통하는 상단부의 측면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 각각의 직각 연결된 두 상부프레임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는 공기배출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 각각은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 제4 통기형 단열재 및 제7 통기형 단열재 각각의 측면에 마주하는 내측면에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공기소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습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1 제어값과 동일값인 경우 상기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 및 상기 송풍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습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1 제어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 및 상기 송풍팬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개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순환틀 내의 공기는 상기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한 후 상기 공기배출개구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의 내부로 배출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 각각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 각각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다수의 공기소통구멍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 및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에 의하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활용하므로 전력소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교실용 컨테이너의 측벽부 및 천정부의 습도를 실시간 측정하면서 측벽부 및 천정부에 동시에 공기를 순환시켜서 교실용 컨테이너 전체의 습도를 빠르게 낮춰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 제1 내지 제3 하부골조 및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 제1 내지 제3 하부골조 및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 제1 내지 제3 하부골조 및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은 교실용 컨테이너(100), 다수의 제1 태양열집열판(210), 다수의 제2 태양열집열판(220), 다수의 제3 태양열집열판(230), 분전함(300)을 포함할 수 있다.
교실용 컨테이너(100)는 제1 컨테이너 모듈(110), 제2 컨테이너 모듈(120), 제3 컨테이너 모듈(130)이 일방향으로 일렬로 연결되어, 교실공간(100a) 및 복도공간(100b)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 모듈(110)은 제1 천정부(111), 제1 바닥부(112), 다수의 제1 코너프레임(113), 제1 측벽부(114), 제1 창문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천정부(111)는 제1 컨테이너 모듈(110)의 천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제1 상부골조(1111) 및 제1 천정단열층(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골조(1111)는 각형의 4개의 제1 상부프레임(1111a)이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각틀 구조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상부프레임(1111a)들은 중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천정단열층(1112)은 상기 제1 상부골조(1111)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천정단열층(1112)은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110)의 천정면을 형성하는 제1 석고보드(1112a), 상기 제1 석고보드(1112a) 상에 적층되는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상에 적층되는 제1 천정패널(1112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석고보드(1112a)는 상기 제1 상부골조(1111)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는 상기 제1 석고보드(1112a) 상에 적층되어 상기 4개의 제1 상부프레임(1111a)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 천정패널(1112c)은 상기 제1 상부골조(1111)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는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형태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글라스울(glass wool)일 수 있다.
제1 바닥부(112)는 상기 제1 천정부(11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천정부(111)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바닥부(112)는 제1 하부골조(1121) 및 제1 바닥단열층(1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골조(1121)는 각형의 4개의 제1 하부프레임(1121a)이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각틀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바닥단열층(1122)은 지면에 놓이는 제1 데크플레이트(1122a), 상기 제1 데크플레이트(1122a) 상에 적층되는 제2 통기형 단열재(1122b), 상기 제2 통기형 단열재(1122b)를 덮는 제1 바닥타일(1122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데크플레이트(1122a) 및 상기 제2 통기형 단열재(1122b)는 상기 제1 하부프레임(1121a)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제1 바닥타일(1122c)은 상기 제2 통기형 단열재(1122b) 및 상기 제1 하부골조(1121)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기형 단열재(1122b)는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형태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글라스울일 수 있다.
다수의 제1 코너프레임(113)은 상기 제1 상부골조(1111)와 상기 제1 바닥부(112) 사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천정부(111) 및 상기 제1 바닥부(112)의 사방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상부골조(1111) 및 상기 제1 측벽부(114)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각의 제1 코너프레임(113)은 하단부는 상기 제1 바닥부(112) 상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 상부골조(1111)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14)는 제1 측벽(1141), 상기 제1 측벽(1141)의 양끝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2 측벽(1142) 및 제3 측벽(114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1141, 1142, 1143) 각각은 제1 측벽단열층(1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단열층(1144)은 상기 각각의 제1 코너프레임(1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제1 코너프레임(11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단열층(1144)은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110)의 실내 방향에서 상기 제1 코너프레임(113)들 상에 고정되는 제2 석고보드(1144a), 상기 제1 코너프레임(113)들 사이에 고정되는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110)의 외부에서 상기 제1 코너프레임(113)들을 덮도록 설치되는 제1 측면패널(114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는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형태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글라스울일 수 있다.
제1 창문부(115)는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1141, 1142, 1143)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창문부(115)는 상기 제2 측벽(1142) 및 상기 제3 측벽(114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창문부(115)는 상기 제2 측벽(1142) 및 상기 제3 측벽(1143) 각각의 가운데에 설치되는 제1 개방창(1151) 및 상기 제1 개방창(1151)의 위 또는 아래에 설치되는 제1 고정창(115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고정창(1152)은 상기 제1 개방창(1151)의 위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방창(1151)은 개폐 가능한 창을 의미한다.
제2 컨테이너 모듈(120)은 제2 천정부(121), 제2 바닥부(122), 다수의 제2 코너프레임(123), 제2 측벽부(124), 제2 창문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천정부(121)는 제2 컨테이너 모듈(120)의 천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제2 상부골조(1211) 및 제2 천정단열층(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골조(1211)는 각형의 4개의 제2 상부프레임(1211a)이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각틀 구조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상부프레임(1211a)들은 중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천정단열층(1212)은 상기 제2 상부골조(1211)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천정단열층(1212)은 제3 석고보드(1212a),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제2 천정패널(121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석고보드(1212a),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제2 천정패널(1212c)이 상기 제2 상부골조(1211)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구조는 상기 제1 석고보드(1112a),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제1 천정패널(1112c)이 상기 제1 상부골조(1111)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바닥부(122)는 제2 천정부(12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2 천정부(121)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바닥부(122)는 제2 하부골조(1221) 및 제2 바닥단열층(1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골조(1221)는 각형의 4개의 제2 하부프레임(1221a)이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각틀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바닥단열층(1222)은 제2 데크플레이트(1222a), 제5 통기형 단열재(1222b), 제2 바닥타일(122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크플레이트(1222a), 상기 제5 통기형 단열재(1222b), 상기 제2 바닥타일(1222c)이 상기 제2 하부골조(1221) 상에 지지되는 구조는 상기 제1 바닥단열층(1122)의 상기 제1 데크플레이트(1122a), 상기 제2 통기형 단열재(1122b) 및 상기 제1 바닥타일(1122c)이 상기 제1 하부골조(1121) 상에 지지되는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수의 제2 코너프레임(123)은 상기 제2 상부골조(1211)와 상기 제2 바닥부(122) 사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천정부(121) 및 상기 제2 바닥부(122)의 사방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상부골조(1211) 및 상기 제2 측벽부(124)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각의 제2 코너프레임(123)은 하단부는 상기 제2 바닥부(122) 상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 상부골조(1211)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측벽부(124)는 서로 마주하여 평행하는 제4 측벽(1241) 및 제5 측벽(1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측벽(1241) 및 상기 제5 측벽(1242)은 상기 제1 측벽부(114)의 제2 측벽(1142) 및 제3 측벽(1143)과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측벽(1241)은 상기 제2 측벽(1142)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제2 코너프레임(123) 사이에 지지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1 코너프레임(113) 및 제2 코너프레임(123)이 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측벽(1142)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5 측벽(1242)은 상기 제3 측벽(1143)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제2 코너프레임(123) 사이에 지지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1 코너프레임(113) 및 제2 코너프레임(123)이 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3 측벽(1143)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측벽(1241) 및 제5 측벽(1242) 각각은 제2 측벽단열층(12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벽단열층(1243)은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제2 코너프레임(12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2개의 제2 코너프레임(12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벽단열층(1243)은 제4 석고보드(1243a), 제6 통기형 단열재(1243b), 제2 측면패널(124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석고보드(1243a), 상기 제6 통기형 단열재(1243b) 및 상기 제2 측면패널(1243c)이 2개의 제2 코너프레임(123) 사이에 지지되는 구조는 상기 제1 측벽단열층(1144)의 제2 석고보드(1144a),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 및 제1 측면패널(1144c)이 제1 코너프레임(113)들 사이에 지지되는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창문부(125)는 상기 제4 측벽(1241) 및 상기 제5 측벽(124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창문부(125)는 제2 개방창(1251) 및 제1 고정창(1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방창(1251) 및 제1 고정창(1152)이 상기 제4 측벽(1241) 및 상기 제5 측벽(1242)에 설치되는 구조는 상기 제1 창문부(115)의 제1 개방창(1151) 및 제1 고정창(1152)이 상기 제2 측벽(1142) 및 상기 제3 측벽(1143)에 설치되는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컨테이너 모듈(130)은 제3 천정부(131), 제3 바닥부(132), 다수의 제3 코너프레임(133), 제3 측벽부(134), 제3 창문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천정부(131)는 제3 컨테이너 모듈(130)의 천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제3 상부골조(1311) 및 제3 천정단열층(1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상부골조(1311)는 각형의 4개의 제3 상부프레임(1311a)이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각틀 구조로 구비되며, 상기 제3 상부프레임(1311a)들은 중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천정단열층(1312)은 상기 제3 상부골조(1311)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천정단열층(1312)은 제5 석고보드(1312a),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및 제3 천정패널(131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석고보드(1312a),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및 제3 천정패널(1312c)이 상기 제3 상부골조(1311)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구조는 상기 상기 제1 석고보드(1112a),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제1 천정패널(1112c)이 상기 제1 상부골조(1111)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바닥부(132)는 상기 제3 천정부(13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3 천정부(131)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3 바닥부(132)는 제3 하부골조(1321) 및 제3 바닥단열층(1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부골조(1321)는 각형의 4개의 제3 하부프레임(1321a)이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각틀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바닥단열층(1322)은 제3 데크플레이트(1322a), 제8 통기형 단열재(1322b) 및 제3 바닥타일(132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데크플레이트(1322a), 상기 제8 통기형 단열재(1322b) 및 상기 제3 바닥타일(1322c)이 상기 제3 하부골조(1321) 상에 지지되는 구조는 상기 제1 바닥단열층(1122)의 상기 제1 데크플레이트(1122a), 상기 제2 통기형 단열재(1122b) 및 상기 제1 바닥타일(1122c)이 상기 제1 하부골조(1121) 상에 지지되는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수의 제3 코너프레임(133)은 상기 제3 상부골조(1311)와 상기 제3 바닥부(132) 사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3 천정부(131) 및 상기 제3 바닥부(132)의 사방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상부골조(1311) 및 상기 제3 측벽부(134)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각의 제3 코너프레임(133)은 하단부는 상기 제3 바닥부(132) 상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3 상부골조(1311)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 측벽부(134)는 제6 측벽(1341)과 상기 제6 측벽(1341)의 양끝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7 측벽(1342) 및 제8 측벽(13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7 측벽(1342) 및 상기 제8 측벽(1343)은 상기 제2 측벽부(124)의 제4 측벽(1241) 및 제5 측벽(1242)과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7 측벽(1342)은 상기 제4 측벽(1241)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제3 코너프레임(133) 사이에 지지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2 코너프레임(123) 및 제3 코너프레임(133)이 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4 측벽(1241)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8 측벽(1343)은 상기 제5 측벽(1242)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제3 코너프레임(133) 사이에 지지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2 코너프레임(123) 및 제3 코너프레임(133)이 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5 측벽(124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6 내지 제8 측벽(1341, 1342, 1343) 각각은 제3 측벽단열층(13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벽단열층(1344)은 상기 각각의 제3 코너프레임(13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제3 코너프레임(13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3 측벽단열층(1344)은 제6 석고보드(1344a), 제9 통기형 단열재(1344b) 및 제3 측면패널(134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석고보드(1344a), 제9 통기형 단열재(1344b) 및 제3 측면패널(1344c)이 상기 각각의 제3 코너프레임(133) 사이에 지지되는 구조는 상기 제1 측벽단열층(1144)의 제2 석고보드(1144a),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 및 제1 측면패널(1144c)이 제1 코너프레임(113)들 사이에 지지되는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창문부(135)는 상기 제6 내지 제8 측벽(1341, 1342, 1343)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창문부(135)는 상기 제7 측벽(1342) 및 상기 제8 측벽(134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창문부(135)는 제3 개방창(1351) 및 제3 고정창(1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개방창(1351) 및 상기 제3 고정창(1352)이 상기 제7 측벽(1342) 및 상기 제8 측벽(1343)에 설치되는 구조는 상기 제1 창문부(115)의 제1 개방창(1151) 및 제1 고정창(1152)이 상기 제2 측벽(1142) 및 상기 제3 측벽(1143)에 설치되는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수의 제1 태양열집열판(210)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컨테이너 모듈(110, 120, 130) 내에 설치되어 전기가 요구되는 전기제품들, 예를 들어, 냉온풍기, 조명 등의 가동을 위한 전원을 축적한다. 일 예로, 상기 다수의 제1 태양열집열판(210)은 상기 제2 측벽(1142) 및 상기 제3 측벽(114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제1 태양열집열판(210) 중 일부는 상기 제1 고정창(1152)을 덮도록 설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1 개방창(1151)의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태양열집열판(220)은 상기 다수의 제1 태양열집열판(210)과 함께 상기 전기제품들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축적한다. 일 예로, 상기 다수의 제2 태양열집열판(220)은 상기 제4 측벽(1241) 및 상기 제5 측벽(124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제2 태양열집열판(220) 중 일부는 상기 제2 고정창(1252)을 덮도록 설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개방창(1251)의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다수의 제3 태양열집열판(230)은 상기 다수의 제1 태양열집열판(210) 및 상기 다수의 제2 태양열집열판(220)과 함께 상기 전기제품들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축적한다. 일 예로, 상기 다수의 제3 태양열집열판(230)은 상기 제7 측벽(1342) 및 상기 제8 측벽(134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제3 태양열집열판(230) 중 일부는 상기 제3 고정창(1352)을 덮도록 설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3 개방창(1351)의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태양열집열판(210, 220, 230)은 45도 경사를 이루는 상태로 펼쳐지고 그 설치되는 면에 평행을 이루는 상태로 접힐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분전함(300)은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태양열집열판(210, 220, 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태양열집열판(210, 220, 230)에 축적된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교실용 컨테이너(100)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전기제품들에 분배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은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교실용 컨테이너(100) 내부의 전자제품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낮시간 동안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태양열집열판(210, 220, 230)이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기를 축적하며, 축적되는 전기는 상기 분전함(300)으로 공급되고, 상기 분전함(300) 내의 제어부는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교실용 컨테이너(100) 내부의 전자제품들에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활용하므로 전력소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은 제1 공기흡입팬(410), 제2 공기흡입팬(420), 제3 공기흡입팬(430), 제1 습도감지센서(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공기흡입팬(410), 제2 공기흡입팬(420), 제3 공기흡입팬(430), 제1 습도감지센서(5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공기흡입팬(410)은 일면이 제1 컨테이너 모듈(110)의 실내로 노출되고 타면이 제1 천정단열층(1112)의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내에 삽입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공기흡입팬(420)은 일면이 제2 컨테이너 모듈(120)의 실내로 노출되고 타면이 제2 천정단열층(1212)의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내에 삽입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 공기흡입팬(430)은 일면이 제3 컨테이너 모듈(130)의 실내로 노출되고 타면이 제3 천정단열층(1312)의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내에 삽입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습도감지센서(510)는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및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중 어느 하나의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어부로 실시간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는 센싱부가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을 작동시키기 위해 특정 습도값으로 설정된 제1 제어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고,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1 제어값과 동일값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을 동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1 제어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을 동시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은 겨울철에 상기 교실용 컨테이너(100)의 실내 공간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서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로 방지를 위한 공기 순환 과정을 설명한다.
겨울철, 낮 시간 동안 다수의 제1 내지 제3 태양열집열판(210, 220, 230)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기를 축적하며, 축적되는 전기는 분전함(300)으로 공급되고, 상기 분전함(300) 내의 제어부는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에 대기 전력 상태로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를 통해 제1 컨테이너 모듈(110)의 제1 천정부(111)의 제1 천정단열층(1112)의 습도가 실시간 측정된다. 이때,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의 센싱부에서 상기 제1 천정단열층(1112)의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의 습도가 측정되며, 실시간 측정되는 습도는 상기 제어부로 실시간 입력된다.
야간에, 상기 교실용 컨테이너(100)의 실내 온도는 외부 온도보다 높아서, 실내 온도 및 실외 온도 차에 의해 상기 교실용 컨테이너(100)의 제1 천정부(111), 제2 천정부(121) 및 제3 천정부(131)의 습도가 높아지며,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는 야간에도 실시간으로 습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의 실시간 습도 측정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어부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제1 제어값으로 설정된 습도값과 동일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을 동시 작동시킨다.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이 동시 작동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은 상기 교실용 컨테이너(100)의 실내 공간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제1 내지 제3 천정단열층(1112, 1212, 1312) 방향으로 강제 순환시키며, 상기 제1 내지 제3 천정단열층(1112, 1212, 1312) 각각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및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내부로 각각 유입 및 분산되어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및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전체의 면 방향으로 순환되며, 그 순환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및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의 습기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이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제1 제어값으로 설정된 습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을 동시 정지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에 따르면, 겨울철 야간에 습도 상승이 높은 교실용 컨테이너(100)의 천정부(111, 121, 131)의 습도를 실시간 측정하면서 천정부(111, 121, 131)의 습도에 따라 천정부(111, 121, 131)에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천정부(111, 121, 131)의 결로를 방지하며, 나아가 교실용 컨테이너(100)의 천정부(111, 121, 131)의 결로에 따른 교실용 컨테이너(100) 내로 수분이 유입되어 교실용 컨테이너(100) 전체의 습도가 상승하여 교실용 컨테이너(100) 전체의 결로로 이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을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 제1 내지 제3 하부골조 및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은 다수의 제4 공기흡입팬(440), 다수의 제5 공기흡입팬(450), 다수의 제6 공기흡입팬(460), 공기순환틀(600), 송풍팬(700) 및 제2 습도감지센서(520)를 더 포함하고, 다수의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113, 123, 133)이 공기유입개구(810) 및 공기배출개구(820)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가 다수의 공기소통구멍(830)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시 모듈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다수의 제4 공기흡입팬(440), 다수의 제5 공기흡입팬(450), 다수의 제6 공기흡입팬(460), 공기순환틀(600), 송풍팬(700) 및 제2 습도감지센서(520),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113, 123, 133),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수의 제4 공기흡입팬(440)은 일면이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110)의 실외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 내에 삽입되게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1141, 1142, 1143)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배되는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다수의 제5 공기흡입팬(450)은 일면이 상기 제2 컨테이너 모듈(120)의 실외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6 통기형 단열재(1243b) 내에 삽입되게 상기 제4 및 제5 측벽(1241, 124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배되는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다수의 제6 공기흡입팬(460)은 일면이 상기 제3 컨테이너 모듈(130)의 실외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9 통기형 단열재(1344b) 내에 삽입되게 상기 제6 내지 제8 측벽(1341, 1342, 1343)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배되는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공기순환틀(600)은 상기 제1 내지 제8 측벽(1141, 1142, 1143, 1241, 1242, 1341, 1342, 1343)의 하부에서 상기 제4 내지 제5 공기흡입팬(450) 및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113, 123, 133) 각각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교실용 컨테이너(1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사각틀 구조로 설치되어, 내부에 공기순환로(600a)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팬(700)은 공기토출구가 상기 공기순환틀(600)의 일측 외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공기순환틀(600)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700)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배되는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제2 습도감지센서(520)는 상기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 상기 제6 통기형 단열재(1243b) 및 상기 제9 통기형 단열재(1344b) 중 어느 하나의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어부로 실시간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습도감지센서(520)는 센싱부가 상기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에 삽입되어 상기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공기유입개구(810)는 상기 공기순환틀(600)로 둘러싸인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113, 123, 133) 각각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순환틀(600)의 상기 공기순환로(600a)에 소통될 수 있다.
공기배출개구(82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 각각의 상단부의 측면 둘레, 즉 서로 모서리로 연결된 직각 배치되는 두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 각각의 모서리에서 직각 연결된 두 상부프레임(1111a, 1211a, 1311a)의 내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다수의 공기소통구멍(830)은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 각각의 내측면에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 각각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제4 내지 제5 통기형 단열재(1222b)의 측면에 마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2 습도감지센서(52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1 제어값과 동일값인 경우 상기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440, 450, 460) 및 상기 송풍팬(700)을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습도감지센서(52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1 제어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440, 450, 460) 및 상기 송풍팬(700)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에서 결로 방지를 위해 공기가 순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낮 시간 동안 다수의 제1 내지 제3 태양열집열판(210, 220, 230)을 통해 전기를 축적하며, 축적되는 전기는 분전함(300)으로 공급되어, 분전함(300) 내의 제어부는 공급되는 전원을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 다수의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440, 450, 460) 및 송풍팬(700)에 대기 전력 상태로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습도감지센서(510)를 통해 제1 천정단열층(1112)의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의 습도가 실시간 측정되고, 제2 습도감지센서(520)를 통해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의 습도가 실시간 측정될 수 있고, 실시간 측정되는 습도는 상기 제어부로 실시간 입력된다.
야간에도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 및 상기 제2 습도감지센서(520)에 의해 습도가 측정되며,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로부터 제어부로 입력되는 습도측정값 및 상기 제2 습도감지센서(520)로부터 제어부로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어부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제1 제어값으로 설정된 습도값과 동일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 상기 다수의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440, 450, 460) 및 상기 송풍팬(7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 및 상기 제2 습도감지센서(520)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습도측정값은 서로 같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이 먼저 작동할 수도 있고, 상기 다수의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440, 450, 460) 및 상기 송풍팬(700)이 먼저 작동할 수도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 상기 다수의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440, 450, 460) 및 송풍팬(700)이 동시에 작동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습도감지센서(52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보다 상기 제어부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제1 제어값으로 설정된 습도값과 동일값인 것으로 먼저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440, 450, 460) 및 송풍팬(700)이 먼저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송풍팬(700)은 상기 공기순환틀(60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고, 주입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순환틀(600) 내의 공기순환로(600a)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공기순환틀(600) 내부에 확산되고, 상기 공기순환로(600a)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다수의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440, 450, 460)을 통해 강제 흡입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단열층(1144, 1244, 1344) 각각의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 제6 통기형 단열재(1243b) 및 제9 통기형 단열재(1344b) 내부로 유입 및 분산되어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 제6 통기형 단열재(1243b), 제9 통기형 단열재(1344b) 각각의 전체의 면 방향으로 순환되며, 그 순환되는 공기에 의해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 제6 통기형 단열재(1243b) 및 제9 통기형 단열재(1344b)의 습기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로(600a)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113, 123, 133) 각각의 공기유입개구(81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113, 123, 133)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한 후,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113, 123, 133) 각각의 공기배출개구(820)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의 내부로 배출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 각각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소통구멍(830)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및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및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각각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및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각각의 전체의 면 방향으로 순환되며, 그 순환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및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의 습기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순환 과정에서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어부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제1 제어값으로 설정된 습도값과 동일값인 것으로 이어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을 작동시켜서 상기 제1 내지 제3 천정단열층(1112, 1212, 1312) 각각의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및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및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에 추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확산되어 습기가 더욱 빠르게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은 교실용 컨테이너(100)의 측벽부(114, 124, 134) 및 천정부(111, 121, 131)의 습도를 실시간 측정하면서 측벽부(114, 124, 134) 및 천정부(111, 121, 131)에 동시에 공기를 순환시켜서 교실용 컨테이너(100) 전체의 습도를 빠르게 낮춰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의 천정패널들(1112c, 1212c, 1312c) 및 측면패널들(1144c, 1243c, 1344c)은 금속재질일 수 있고, 그 천정패널들(1112c, 1212c, 1312c) 및 측면패널들(1144c, 1243c, 1344c)의 표면에는 금속표면의 내후성, 내마모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포층의 도포재료는 트리글리시딜 p-아미노페놀 25중량%, 알콕시 알킬모노아민 18중량%, 하프늄 12중량%, 유기산마그네슘 16중량%, 산화티타늄(TiO2) 9중량%, 산화알루미늄(AIO2) 10중량%, 트랜스큐톨 1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9㎛로 형성할 수 있다.
트리글리시딜 p-아미노 페놀, 알콕시 알킬모노아민은 부식 방지 및 내후성, 변색방지 등의 역할을 하고, 하프늄은 내마모성, 내후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기산마그네슘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내알칼리성과 습동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고, 트랜스큐톨은 계면활성 역할을 하며, 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내후성, 내마모성 향상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의 석고보드들(1112a, 1144a, 1212a 1243a, 1312a, 1344a) 및 바닥타일들(1122c, 1222c, 1322c)의 안쪽면, 즉 실내 방향을 향하는 안쪽면에는 살균기능 및 이동식 모듈 사용자 스트레스 완화 등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환경용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방향제 물질과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은 상기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상기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스피아민트오일(Spearmint oil) 60중량%, 타제트오일(Target oil) 4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스피아민트오일(Spearmint oil)은 허벌 스파이시 향으로 심리적으로 마음을 정화하고 두통, 우울증 등에 작용효과가 있으며, 타제트오일(Target oil)은 살균, 방충, 스트레스 완화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석고보드들(1112a, 1144a, 1212a 1243a, 1312a, 1344a) 및 바닥타일들(1122c, 1222c, 1322c)에 코팅됨에 따라, 석고보드들(1112a, 1144a, 1212a 1243a, 1312a, 1344a) 및 바닥타일들(1122c, 1222c, 1322c)을 살균 처리하고 이동식 모듈 사용자의 스트레스 등을 경감시키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환경용 방향제 물질 및 기능성 오일에 대해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의 송풍팬(700)의 표면에 방열용 코팅제가 도포되어 송풍팬(700)에서 방출되는 열이 충분히 발산되지 못하여 송풍팬(700) 표면이 과도하게 가열되는 방지하고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가 있다.
이 방열용 코팅제 조성물은 디에틸디메톡시실란 12중량%,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45중량%, 산화크롬 9중량%, 그라파이트 10중량%, 질화규소 8중량%, 수산화나트륨(NaOH) 4중량%, 산화티탄 3중량%, 벤토나이트 3중량%,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6중량%로 구성된다.
디에틸디메톡시실란은 방열 코팅층 보호 등의 역할을 하며, 알루미늄 알콕사이드는 바인더 수지 역할을 하고, 산화크롬은 내마모 역할을 하며, 그라파이트는 열전도성과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고, 질화규소는 강도 향상 및 균열을 방지하며, 수산화나트륨은 분산제 역할을 하고, 산화티탄은 내후성을 위해서, 벤토나이트는 침강방지 역할을 하고,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은 부착력 증강 등의 역할을 한다.
방열 두께는 8~175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 물질 및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교실용 컨테이너 110 : 제1 컨테이너 모듈
120 : 제2 컨테이너 모듈 130 : 제3 컨테이너 모듈
210 : 제1 태양열집열판 220 : 제2 태양열집열판
230 : 제3 태양열집열판 300 : 분전함

Claims (3)

  1. 제1 측벽(1141)과 상기 제1 측벽(1141)의 양끝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2 측벽(1142) 및 제3 측벽(1143)을 포함하는 제1 측벽부(114)를 포함하는 제1 컨테이너 모듈(110), 서로 마주하여 평행하는 제4 측벽(1241) 및 제5 측벽(1242)를 포함하는 제2 측벽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측벽(1241) 및 제5 측벽(1242)이 상기 제2 측벽(1142) 및 제3 측벽(1143)과 평행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110)과 연결되는 제2 컨테이너 모듈(120), 제6 측벽(1341)과 상기 제6 측벽(1341)의 양끝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7 측벽(1342) 및 제8 측벽(1343)을 포함하는 제3 측벽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제7 측벽(1342) 및 상기 제8 측벽(1343)이 상기 제4 측벽(1241) 및 제5 측벽(1242)과 평행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컨테이너 모듈(120)과 연결되는 제3 컨테이너 모듈(130)을 포함하는 교실용 컨테이너(100);
    상기 제2 측벽(1142) 및 제3 측벽(1143)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 태양열집열판(210);
    상기 제4 측벽(1241) 및 제5 측벽(1242)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 태양열집열판(220);
    상기 제7 측벽(1342) 및 제8 측벽(1343)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3 태양열집열판(230); 및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1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태양열집열판(210, 220, 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제1 내지 제3 태양열집열판(210, 220, 230)에 축적된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원을 상기 교실용 컨테이너(100)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제품들에 분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전함(300)을 포함하는 태양광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이고;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110)은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를 포함하는 제1 천정단열층(1112)을 포함하는 제1 천정부(111) 및 상기 제1 천정부(111)와 마주하는 제1 바닥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테이너 모듈(120)은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를 포함하는 제2 천정단열층(1212)을 포함하는 제2 천정부(121) 및 상기 제2 천정부(121)와 마주하는 제2 바닥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컨테이너 모듈(130)은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를 포함하는 제3 천정단열층(1312)을 포함하는 제3 천정부(131) 및 상기 제3 천정부(131)와 마주하는 제3 바닥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친환경 이동식 모듈은,
    일면이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110)의 실내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내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제1 공기흡입팬(410);
    일면이 상기 제2 컨테이너 모듈(120)의 실내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내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제2 공기흡입팬(420);
    일면이 상기 제3 컨테이너 모듈(130)의 실내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내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제3 공기흡입팬(430); 및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및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중 어느 하나의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어부로 실시간 입력되게 구성되는 제1 습도감지센서(51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을 작동시키기 위해 특정 습도값으로 설정된 제1 제어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고,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1 제어값과 동일값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을 동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습도감지센서(51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1 제어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흡입팬(410, 420, 430)을 동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110)은 사각틀 형상의 내측면에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가 밀착하도록 상기 제1 천정부(111)를 내측면에 지지하는 제1 상부골조(1111), 및 상기 제1 상부골조(1111)와 상기 제1 바닥부(112) 사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천정부(111) 및 상기 제1 바닥부(112)의 사방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상부골조(1111) 및 상기 제1 측벽부(114)를 지지하는 다수의 제1 코너프레임(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테이너 모듈(120)은 사각틀 형상의 내측면에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가 밀착하도록 상기 제2 천정부(121)를 내측면에 지지하는 제2 상부골조(1211), 및 상기 제2 상부골조(1211)와 상기 제2 바닥부(122) 사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천정부(121) 및 상기 제2 바닥부(122)의 사방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상부골조(1211) 및 상기 제2 측벽부(124)를 지지하는 다수의 제2 코너프레임(123)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컨테이너 모듈(130)은 사각틀 형상의 내측면에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가 밀착하도록 상기 제3 천정부(131)를 내측면에 지지하는 제3 상부골조(1311), 및 상기 제3 상부골조(1311)와 상기 제3 바닥부(132) 사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3 천정부(131) 및 상기 제3 바닥부(132)의 사방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상부골조(1311) 및 상기 제3 측벽부(134)를 지지하는 다수의 제3 코너프레임(1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1141, 1142, 1143) 각각은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를 포함하는 제1 측벽단열층(1144)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및 제5 측벽(1241, 1242) 각각은 제6 통기형 단열재(1243b)를 포함하는 제2 측벽단열층(1243)을 포함하고,
    상기 제6 내지 제8 측벽(1341, 1342, 1343) 각각은 제9 통기형 단열재(1344b)를 포함하는 제3 측벽단열층(1344)을 포함하고,
    상기 친환경 이동식 모듈은,
    일면이 상기 제1 컨테이너 모듈(110)의 실외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 내에 삽입되게 상기 제1 내지 제3 측벽(1141, 1142, 1143)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4 공기흡입팬(440);
    일면이 상기 제2 컨테이너 모듈(120)의 실외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6 통기형 단열재(1243b) 내에 삽입되게 상기 제4 및 제5 측벽(1241, 1242)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5 공기흡입팬(450);
    일면이 상기 제3 컨테이너 모듈(130)의 실외로 노출되고 타면이 상기 제9 통기형 단열재(1344b) 내에 삽입되게 상기 제6 내지 제8 측벽(1341, 1342, 1343)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6 공기흡입팬(460);
    상기 제1 내지 제8 측벽(1141, 1142, 1143, 1241, 1242, 1341, 1342, 1343)의 하부에서 상기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440, 450, 460)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113, 123, 133)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교실용 컨테이너(1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사각틀 구조로 설치되어, 내부에 공기순환로(600a)를 형성하는 공기순환틀(600);
    공기토출구가 상기 공기순환틀(600)의 일측 외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공기순환틀(600) 외부에 설치되는 송풍팬(700); 및
    상기 제3 통기형 단열재(1144b), 상기 제6 통기형 단열재(1243b) 및 상기 제9 통기형 단열재(1344b) 중 어느 하나의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어부로 실시간 입력되게 구성되는 제2 습도감지센서(5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113, 123, 133) 각각은 하단부가 상기 제1 내지 제3 바닥부(132) 상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113, 123, 133) 각각은 상기 공기순환틀(600)로 둘러싸인 하부에 상기 공기순환로(600a)와 소통되는 공기유입개구(810)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 각각의 하면을 관통하는 상단부의 측면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 각각의 직각 연결된 두 상부프레임(1111a, 1211a, 1311a)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는 공기배출개구(8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 각각은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및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각각의 측면에 마주하는 내측면에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공기소통구멍(830)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습도감지센서(52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1 제어값과 동일값인 경우 상기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440, 450, 460) 및 상기 송풍팬(700)을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습도감지센서(52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측정값이 상기 제1 제어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4 내지 제6 공기흡입팬(440, 450, 460) 및 상기 송풍팬(700)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개구(81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순환틀(600) 내의 공기는 상기 제1 내지 제3 코너프레임(113, 123, 133)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한 후 상기 공기배출개구(820)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의 내부로 배출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 각각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골조(1111, 1211, 1311) 각각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다수의 공기소통구멍(830)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제1 통기형 단열재(1112b), 상기 제4 통기형 단열재(1212b) 및 상기 제7 통기형 단열재(1312b) 내부로 유입되는,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
  2. 삭제
  3. 삭제
KR1020220067780A 2022-06-02 2022-06-02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 KR102572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780A KR102572358B1 (ko) 2022-06-02 2022-06-02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780A KR102572358B1 (ko) 2022-06-02 2022-06-02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358B1 true KR102572358B1 (ko) 2023-08-30

Family

ID=8784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780A KR102572358B1 (ko) 2022-06-02 2022-06-02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3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168A (ja) * 1999-04-02 2000-10-17 Yamaha Livingtec Corp 浴室天井の結露防止構造
KR102164526B1 (ko) * 2020-07-03 2020-10-12 이종성 양압 교실 컨테이너
KR102215064B1 (ko) 2020-08-28 2021-02-10 김병언 친환경 컨테이너 하우스
KR102291394B1 (ko) * 2021-03-23 2021-08-20 한성모듈러주식회사 단열 및 환기가 용이한 이동식 건축물
KR20220065144A (ko) * 2020-11-12 2022-05-20 주식회사 데이스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계통독립형 이동식 스마트 쉼터
KR20220071728A (ko) * 2020-11-24 2022-05-31 (주)싱스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캡슐형 스마트 쉘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168A (ja) * 1999-04-02 2000-10-17 Yamaha Livingtec Corp 浴室天井の結露防止構造
KR102164526B1 (ko) * 2020-07-03 2020-10-12 이종성 양압 교실 컨테이너
KR102215064B1 (ko) 2020-08-28 2021-02-10 김병언 친환경 컨테이너 하우스
KR20220065144A (ko) * 2020-11-12 2022-05-20 주식회사 데이스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계통독립형 이동식 스마트 쉼터
KR20220071728A (ko) * 2020-11-24 2022-05-31 (주)싱스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캡슐형 스마트 쉘터
KR102291394B1 (ko) * 2021-03-23 2021-08-20 한성모듈러주식회사 단열 및 환기가 용이한 이동식 건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934B1 (ko)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KR101198125B1 (ko) 수배전반
WO2016018007A1 (ko) 단열성이 보강된 컨테이너 하우스
KR102572358B1 (ko)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친환경 이동식 모듈
KR102572359B1 (ko)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결로 방지용 친환경 이동식 모듈
CN219779558U (zh) 一种单轨道岔用户外电气室
KR100859577B1 (ko) 전열교환장치
KR200416574Y1 (ko) 난방기능을 가지는 조립식건물
CN108590014A (zh) 一种通风与低温辐射的复合面板
CN204793735U (zh) 箱式变电站
KR101431211B1 (ko) 전열소자를 이용한 대향류 환기장치
KR20130036396A (ko) 온돌마루공조장치
Tabriz et al. Review of architectural day lighting analysis of photovoltaic panels of BIPV with zero energy emission approach
CN216689925U (zh) 一种隔墙
CN213426698U (zh) 一种电控箱箱体
KR20100000220U (ko) 결로방지시트
WO2014025117A1 (ko) 전열교환기용 전열소자 및 전열소자 제조방법과 전열소자를 이용한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JP2001329627A (ja) 建 物
JPH08285328A (ja) 空気循環建物
JP2995028B2 (ja) 室内暖房構造
JPH0218415Y2 (ko)
CN220686866U (zh) 一种装配式建筑
KR200419410Y1 (ko) 천장공간을 급기덕트로 이용하는 환기시스템
JPH0923584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冷却構造
JP2006132899A (ja) 三重換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