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258B1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258B1
KR102572258B1 KR1020210106028A KR20210106028A KR102572258B1 KR 102572258 B1 KR102572258 B1 KR 102572258B1 KR 1020210106028 A KR1020210106028 A KR 1020210106028A KR 20210106028 A KR20210106028 A KR 20210106028A KR 102572258 B1 KR102572258 B1 KR 102572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midframe
connection
display device
folda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019A (ko
Inventor
박성수
오정원
Original Assignee
(주)중우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우엠텍 filed Critical (주)중우엠텍
Priority to KR102021010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25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 부분에 주름이나 자국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높여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제1폴딩부와, 제1평탄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폴딩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폴딩부와, 상기 제1평탄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평탄부를 가지는 미드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1폴딩부 및 상기 제2폴딩부를 연결하는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와, 상기 제1평탄부 및 상기 제2평탄부를 연결하는 점착성의 제2연결부를 가지는 연결층;을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OLD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에 따른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폴딩 부분에 주름이나 자국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을 지원한 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D2020158
[부처명] 경기도
[연구관리전문기관]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연구사업명] 경기도 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명] 폴더블 디스플레이 글라스 미드프레임 기술 개발
[기여율] 1/1
[주관연구기관] ㈜중우엠텍
[연구기간] 2020. 9. 1 ~ 2021. 8. 31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표시 장치는 중/소형 전자 장치로서 휴대의 편의성이 매우 높다. 하지만, 최근에는 휴대용 표시 장치에서도 큰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장치를 휘어지도록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 또는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가 디스플레이 분야의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제로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기본적으로 화소들이 구비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미드프레임 등과 같은 지지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었다 펴는 동작을 반복할수록 접히는 부분에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접히는 부분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이 일어나 영상을 제대로 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착층(30)을 매개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하는 미드프레임(20)이 접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제1폴딩부(11)와 미드프레임(20)의 제2폴딩부(21)에 접착층(30)이 점착된 상태에서는, 점착된 접착층(30)에 의해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인장력에 반대되는 저항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시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정상적인 인장 작용이 불가하다. 즉, 폴딩이 시작되는 영역과 폴딩의 중심 영역 간에 서로 다른 응력 분포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미드프레임(20)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품질을 떨어트리는 요인이 된다.
한편, 미드프레임(20)의 제2폴딩부(21)에는 색종이를 그물망 패턴으로 자르면 신축성이 생겨 그물망 패턴 영역이 쉽게 접히는 원리와 마찬가지로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패턴이 형성된 경우, 제1폴딩부(11)와 제2폴딩부(21)가 접착층(30)으로 점착된 상태에서는 불규칙한 응력 분포로 인하여 패턴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이는 폴딩 영역에서의 화면 품질을 떨어트리는 요인이 된다.
도 2는 종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폴딩부(11)와 제2폴딩부(21)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30)의 점착력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 사이에 빈 공간(31)을 유지하여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원활한 인장 작용을 도모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시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인장력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가 접촉 충격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 또는 미드프레임(20)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언폴딩 시에는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 간에 지지력이 상실되기 때문에 주름이 발생하는 등 평탄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82799호(2016.07.11.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에 따른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폴딩 부분에 주름이나 자국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제1폴딩부와 제1평탄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점착력을 가지는 연결층을 접합하는 연결층 접합단계; 상기 제1폴딩부에 상응하는 제2폴딩부와 상기 제1평탄부에 상응하는 제2평탄부를 가지는 미드프레임을 상기 연결층의 일면에 접합하는 미드프레임 접합단계; 상기 미드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제1폴딩부 및 상기 제2폴딩부에 상응하는 영역이 개방된 마스크를 배치하는 마스크 배치단계; 및 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1폴딩부 및 상기 제2폴딩부에 상응하는 상기 연결층의 일부 영역인 제1연결부의 점착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연결층 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를 통과한 광이 상기 미드프레임을 투과하여 상기 제1연결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미드프레임은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드프레임 접합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폴딩부 사이의 마찰 저항이 감소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에 밀착되는 상기 제2폴딩부의 일면을 표면 처리하는 미드프레임 표면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드프레임은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폴딩부는 연결선 및 관통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폴딩부 및 미드프레임의 제2폴딩부 사이에 배치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 및 제2폴딩부의 정상적인 인장 작용과 균일한 응력 분포를 형성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가 제1폴딩부 및 제2폴딩부 사이에서 지지 구조물로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 및 제2폴딩부의 접촉 충격에 의해 손상을 예방하고, 주름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폴딩 영역에서의 표면 품질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a) 및 미드프레임의 평면 예시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미드프레임(200) 그리고 연결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접히더라도 기능이 구현 및 유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품에 설치되었을 때 디스플레이트 패널(100)은 접히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1폴딩부(110)와, 접히지 않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1평탄부(120)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진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예컨대 발광패널, 터치패널, 편광층, 보호층을 가질 수 있다. 발광패널은 LED, OLED 및 QLED 중 선택될 수 있다. 발광패널의 일면에는 광투명접착필름(예컨대, OCA필름)에 의해 터치패널이 접착될 수 있고, 터치패널의 일면에는 광투명접착필름에 의해 편광층이 접착될 수 있으며, 편광층의 일면에는 광투명접착필름에 의해 보호층이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최외곽에 배치되는 보호층은 투명층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품에 설치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보호층으로는 폴리이미드(PI)가 사용될 수 있다.
미드프레임(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폴딩 및 언폴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품에 설치되었을 때 미드프레임(200)은 접히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2폴딩부(210)와, 접히지 않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2평탄부(220)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폴딩부(110)의 일면에 제2폴딩부(210)가 배치되고, 제1평탄부(120)의 일면에 제2평탄부(22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드프레임(200)은 금속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미드프레임(200)은 50 내지 200㎛ 두께의 초박형 유리(UTG: Ultra Thin Glass)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는 연신률이 0(Zero)에 가깝기 때문에, 유리 소재의 초박형 미드프레임(200)은 폴딩 시 응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시 제2폴딩부(210)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확장 및 복원이 반복되더라도, 폴리이미드(PI)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주름 발생이 억제될 수 있고, 표면 품질이 우수할 수 있으며, 미드프레임(200) 표면에서 빛의 불균일한 반사현상이 개선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선명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미드프레임(200)을 초박형 유리로 마련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시 폴딩 영역에서 발생하는 응력의 중심 높이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폴딩 영역에서 발생하는 응력의 중심은 미드프레임(200) 방향으로 좀 더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발생되는 응력이 상대적으로 좀 더 작아질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내구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발생되는 응력이 작아지도록 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 표면의 주름, 크랙 등의 자국 발생이 좀 더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a) 및 미드프레임의 평면 예시도(b)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폴딩부(210)는 패턴(211)을 가질 수 있다.
패턴(211)은 미드프레임(200)의 제2폴딩부(210)가 폴딩 시 인장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211)은 색종이를 그물망 패턴으로 자르면 신축성이 생겨 그물망 패턴 영역이 쉽게 접히는 원리와 동일하다.
예컨대, 패턴(211)은 연결선(211a) 및 관통부(211b)를 가질 수 있다. 즉, 연결선(211a) 및 관통부(211b)는 제2폴딩부(210)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212)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마름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미드프레임(200)의 제2폴딩부(210)가 폴딩 시 패턴(211)이 연신되면서 제2폴딩부(210)에는 자국 발생이 더욱 예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층(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미드프레임(200)의 사이에 전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미드프레임(200)을 서로 접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층(300)은 제1연결부(310) 및 제2연결부(320)를 가질 수 있다.
제1연결부(310)는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와 함께 폴딩될 수 있다.
제1연결부(310)는 비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연결부(310)는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서로 대향하는 일면에 대해 점착력이 마련되지 않는다.
도 1에서와 같이,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에 접착층(30)이 점착된 상태에서는, 점착된 접착층(30)에 의해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인장력에 반대되는 저항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폴딩 시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정상적인 인장 작용이 불가하다. 즉, 폴딩이 시작되는 영역과 폴딩의 중심 영역 간에 서로 다른 응력 분포가 발생된다. 특히 제2폴딩부(21)에 패턴이 형성될 경우에는 불규칙한 응력 분포로 인하여 패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점착력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 사이에 빈 공간(31)을 형성하는 경우에서는, 폴딩 시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인장력이 과도하게 발생될 수 있고,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가 접촉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언폴딩 시에는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 간에 지지력이 상실되기 때문에 단차가 발생하는 등 평탄도가 저하되어 표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달리,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310)를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사이에 배치하게 되면, 제1연결부(310)의 점착력이 존재하기 않기 때문에, 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정상적인 인장이 구현될 수 있고,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전체적으로 균일한 응력 분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310)가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사이에서 지지 구조물로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접촉 충격에 의해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단차나 주름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제1연결부(310) 또는 제2폴딩부(210)의 일면에는 미리 표면 처리된 코팅층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연결부(310) 또는 제2폴딩부(210)의 일면에 표면 처리된 코팅층이 마련되면, 제1연결부(310) 및 제2폴딩부(210) 사이의 마찰 저항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미드프레임(200)의 제2폴딩부(210)의 정상적인 인장이 더욱 보장될 수 있고, 제2폴딩부(210) 전체적으로 균일한 응력 분포가 더욱 보장될 수 있다.
제2연결부(320)는 제1평탄부(120) 및 제2평탄부(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연결부(320)는 제1평탄부(120) 및 제2평탄부(220)의 서로 대향하는 일면에 대해 점착력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평탄부(120) 및 제2평탄부(220)는 제2연결부(320)를 매개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310)는 광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점착력이 상실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부(310) 및 제2연결부(320)를 일체로 하는 점착성의 연결층(300)을 제작한 다음, 점착성을 가지는 연결층(300)에 대해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에 상응하는 제1연결부(310)만을 노광 처리하여 제1연결부(310)의 점착력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층(300)으로는 OCA 필름이나,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도시하진 않았지만, PSA 필름은 단일층 점착제로 구성되거나 다층 점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PSA 필름은 점착층과, 점착층을 사이에 두고 일면 또는 양측면에 이형 라이너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PSA 필름은 이형 라이너를 제거한 후 대상물(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미드프레임)의 일면에 점착될 수 있다.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 대한 노광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광은 자외선(UV)이 사용될 수 있다. 점착력을 가지는 연결층(300)에 자외선을 일정한 강도 및 시간으로 조사하게 되면, 자외선이 조사된 영역에서 점착력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연결층 접합단계(S110), 마스크 배치단계(S120), 연결층 처리단계(S130), 미드프레임 접합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층 접합단계(S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층(300)을 접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제1폴딩부(110)와 제1평탄부(120)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미리 제작하고, 미리 제작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점착력을 가지는 연결층(300)을 접합한다.
마스크 배치단계(S120)는 연결층(300)의 상측에 마스크(M)를 배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연결층(300)의 상측에 제1폴딩부(110)에 상응하는 영역이 개방된 마스크(M)를 배치한다. 마스크(M)는 연결층 처리단계(S130)가 완료되면 제거될 수 있다.
연결층 처리단계(S130)는 연결층(300)의 일부 영역인 제1연결부(310)의 점착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마스크(M)에 의해 개방된 제1폴딩부(110)에 상응하는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만 광(L)을 조사하고, 이로써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 존재하는 점착력만을 제거할 수 있다.
미드프레임 접합단계(S140)는 연결층(300)의 일면에 미드프레임(200)을 접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먼저 제1폴딩부(110)에 상응하는 제2폴딩부(210)와 제1평탄부(120)에 상응하는 제2평탄부(220)를 가지는 미드프레임(200)을 미리 제작한다. 물론 미드프레임(200) 제작 시, 제2폴딩부(210)에는 연결선(211a) 및 관통부(211b)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패턴(211)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미리 제작된 미드프레임(200)을 연결층(300)의 일면에 접합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폴딩부(110) 및 미드프레임(200)의 제2폴딩부(210)는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310)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평탄부(120) 및 미드프레임(200)의 제2평탄부(220)는 점착성의 제2연결부(3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연결층 표면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층 표면처리단계는 연결층 처리단계(S130)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제2폴딩부(210)가 밀착되는 제1연결부(310)의 일면을 표면 처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연결부(310)의 표면 처리 과정을 거친 다음, 연결층(300)에 미드프레임(200)을 접합하게 되면, 제1연결부(310)와 제2폴딩부(210) 사이의 마찰 저항이 더욱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정상적인 인장이 더욱 보장될 수 있고,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전체적으로 균일한 응력 분포가 더욱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 공정으로는 열처리 및 화학처리 방식 등 다양한 표면 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연결층 접합단계(S210), 미드프레임 접합단계(S220), 마스크 배치단계(S230), 연결층 처리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층 접합단계(S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층(300)을 접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제1폴딩부(110)와 제1평탄부(120)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미리 제작하고, 미리 제작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점착력을 가지는 연결층(300)을 접합한다.
미드프레임 접합단계(S220)는 연결층(300)의 일면에 미드프레임(200)을 접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먼저 제1폴딩부(110)에 상응하는 제2폴딩부(210)와 제1평탄부(120)에 상응하는 제2평탄부(220)를 가지는 미드프레임(200)을 미리 제작하고, 미리 제작된 미드프레임(200)을 연결층(300)의 일면에 접합한다.
마스크 배치단계(S230)는 미드프레임(200)의 상측에 마스크(M)를 배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미드프레임(200)의 상측에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에 상응하는 영역이 개방된 마스크(M)를 배치한다.
연결층 처리단계(S240)는 연결층(300)의 일부 영역인 제1연결부(310)의 점착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마스크(M)에 의해 개방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에 상응하는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만 광(L)을 조사하고, 이로써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 존재하는 점착력만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마스크(M)를 통과한 광(L)은 미드프레임(200)을 투과하여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 도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드프레임(200)은 유리와 같이 광(L)을 흡수하지 않으면서 투과시킬 수 있는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마스크(M)를 통과한 광(L)은 미드프레임(200)에 미리 형성된 패턴(211)의 관통부(211b)를 통과하여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 도달할 수도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폴딩부(110) 및 미드프레임(200)의 제2폴딩부(210)는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310)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평탄부(120) 및 미드프레임(200)의 제2평탄부(220)는 점착성의 제2연결부(3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미드프레임 표면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드프레임 표면처리단계는 미드프레임 접합단계(S220)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연결층(300)에 밀착되는 제2폴딩부(210)의 일면을 표면 처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렇게 제2폴딩부(210)의 표면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연결층 처리단계(S130)를 통해 제1연결부(310)의 점착력이 상실되면, 제1연결부(310)와 제2폴딩부(210) 사이의 마찰 저항이 더욱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정상적인 인장이 더욱 보장될 수 있고,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전체적으로 균일한 응력 분포가 더욱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 공정으로는 열처리 및 화학처리 방식 등 다양한 표면 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310)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폴딩부(110) 및 미드프레임(200)의 제2폴딩부(210) 사이에 배치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정상적인 인장 작용과 균일한 응력 분포를 형성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310)가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사이에서 지지 구조물로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접촉 충격에 의해 손상을 예방하고, 주름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으며, 폴딩 영역에서의 표면 품질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110: 제1폴딩부
120: 제1평탄부
200: 미드프레임
210: 제2폴딩부
220: 제2평탄부
300: 연결층
310: 제1연결부
320: 제2연결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폴딩부와 제1평탄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점착력을 가지는 연결층을 접합하는 연결층 접합단계;
    상기 제1폴딩부에 상응하는 제2폴딩부와 상기 제1평탄부에 상응하는 제2평탄부를 가지는 미드프레임을 상기 연결층의 일면에 접합하는 미드프레임 접합단계;
    상기 미드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제1폴딩부 및 상기 제2폴딩부에 상응하는 영역이 개방된 마스크를 배치하는 마스크 배치단계; 및
    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1폴딩부 및 상기 제2폴딩부에 상응하는 상기 연결층의 일부 영역인 제1연결부의 점착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연결층 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를 통과한 광이 상기 미드프레임을 투과하여 상기 제1연결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미드프레임은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프레임 접합단계 이전에 수행되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폴딩부 사이의 마찰 저항이 감소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에 밀착되는 상기 제2폴딩부의 일면을 표면 처리하는 미드프레임 표면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프레임은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폴딩부는 연결선 및 관통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10106028A 2021-08-11 2021-08-11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572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28A KR102572258B1 (ko) 2021-08-11 2021-08-11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28A KR102572258B1 (ko) 2021-08-11 2021-08-11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019A KR20230024019A (ko) 2023-02-20
KR102572258B1 true KR102572258B1 (ko) 2023-08-30

Family

ID=8532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028A KR102572258B1 (ko) 2021-08-11 2021-08-11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2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369B1 (ko) 2014-12-29 2021-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어레이 기판 및 표시장치
KR101973163B1 (ko) * 2016-03-22 2019-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2072B1 (ko) * 2017-12-04 2022-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4623B1 (ko) * 2017-12-29 2022-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019A (ko)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4327B2 (ja) 表示装置
KR102062918B1 (ko) 라미네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2009016264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Apparatus
KR20180056004A (ko) 라미네이트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201523377A (zh) 電容式觸控面板
TW201425026A (zh) 附黏著層之透明面材、其製造方法以及顯示裝置
KR20210116774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43964A (ko)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77953A (ko) 표시장치
JP2018509718A (ja) フィルムタッチセ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2562076B1 (ko) 라미네이션 장치 및 방법
JP6995580B2 (ja) 光部品の生産方法及びタッチセンサを具備する製品の生産方法
KR101208712B1 (ko) 흑색 양면 차광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WO2016183856A1 (zh) 背光单元及具有该背光单元的显示装置
KR102572258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JP2004157171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510835A (zh) 靜電容量型觸控面板
WO2017138364A1 (ja) 液晶表示装置
KR20230134014A (ko) 합착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합착 방법
JP7270061B2 (ja) デコフィルム、これを有するウィンドウフィルム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M558398U (zh) 防止漣波紋產生之觸控顯示裝置
KR102388103B1 (ko) 윈도우 패널 재생설비 및 윈도우 패널 재생방법
KR20080085247A (ko) 접합 가공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8533520A (ja) Lcdパネルのロール式ガス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68778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