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122B1 - Automatic paddy drainage gate - Google Patents

Automatic paddy drainage g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122B1
KR102572122B1 KR1020220146709A KR20220146709A KR102572122B1 KR 102572122 B1 KR102572122 B1 KR 102572122B1 KR 1020220146709 A KR1020220146709 A KR 1020220146709A KR 20220146709 A KR20220146709 A KR 20220146709A KR 102572122 B1 KR102572122 B1 KR 102572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unit
paddy field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재기
상완규
반호영
곽강수
이희우
이윤호
김식
김도연
박광호
Original Assignee
국립식량과학원
(주)지금강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식량과학원, (주)지금강이엔지 filed Critical 국립식량과학원
Priority to KR102022014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1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122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2Drainage device- laying apparatus, e.g. drainage ploug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자동 물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은 용수로와 논을 연결하는 유로를 가지면서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논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가 될 때까지 용수로 내의 물을 논으로 급수해 주는 급수유닛; 상기 급수유닛의 급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상기 논에 설치된 채, 논의 수위 감지값을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유닛의 급수여부를 판단케 하는 수위감지유닛;를 포함하되, 상기 급수유닛은, 전장박스; 상기 전장박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용수로의 출수구와 연결되는 상관, 상기 상관과 연통되도록 상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논과 연결되는 하관으로 이루어진 연결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상으로 지지되는 바디, 상기 바디로 부터 상하방향으로 출몰 작동되되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되는 로드로 이루어진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 하단에 마련된 채, 액추에이터의 상하 동작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연결관의 상관과 하관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전장박스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논의 수위가 설정되면, 수위 설정값을 전송하는 수위 설정부; 상기 수위감지유닛으로부터 현재의 수위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위 설정부와 수신부로부터 수위 설정값과 현재의 수위값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수위 설정값과 수위값을 비교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부 로드와 하부로드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 로드는 핀에 의해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관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밸브가 내장되는 밸브 하우징이 설치되되,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상관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수직으로 삽입되며, 그 상단에는 상관의 상측에 마련된 결합 플랜지부에 안착된 채 나사 조임에 의해 결합되는 상대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외주면 상에는 상기 상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는 상기 개폐밸브의 하향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위 설정부는 상기 전장박스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터치형 조작패널이 적용되어, 수위를 임의 설정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위감지유닛은 논에 기립 설치되는 센서홀더와, 상기 센서홀더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수위감지센서로 구성되되,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벼의 생육에 맞도록 하위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상향으로 각각 3cm 간격을 두고 중위 수위감지센서와 상위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한다.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is disclosed.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having a flow path connecting the irrigation channel and the paddy field and supplying water in the irrigation channel to the paddy field until the water level of the paddy field reaches the set water level while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paddy field and transmitting a water level detection value of the paddy field to the control unit so as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rol unit is watering or not,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n electrical box; a housing disposed under the electrical box; A connection pipe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made of a lower pipe connected to the irrigation water outlet, a lower pip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row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row, and connected to the paddy field; an actuator composed of a body vertically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and a rod driven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body and exposed downward through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an on/off valv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of the actuator and opening and clos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ipes of the connecting pipe while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tion of the actuator, wherein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the electrical box, When the discussion water level is set,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water level setting valu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urrent water level value from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water level setting value and a current water level value from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and compare the received water level setting value with the water level valu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It is divided into a rod and a lower rod, and the upper and lower rods further include those coupled by pins. It is inserted vertically through the opening, and at its upper end is provided a mating flange portion coupled by screwing while being seated on the coupling flange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rrelation,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rrela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inner side further includes a stopper for limiting the downward position of the on/off valve, and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is applied with a touch type operation panel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al box to arbitrarily set the water level,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is composed of a sensor holder installed upright in the paddy field and a plurality of water level detection senso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ensor holder. Further, the middle water level sensor and the upper water level sensor are installed at intervals of 3 cm upwardly from the sensor.

Description

자동 물꼬장치{Automatic paddy drainage gate}Automatic paddy drainage gate}

본 발명은 자동 물꼬장치에 관한 것으로, 논으로 물을 공급함에 있어서 설정된 수위값에 따라 자동으로 물을 급수할 수 있고, 태양광을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없이도 작동이 가능한 자동 물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which can automatically supply water according to a set water level value when supplying water to a paddy field, and to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that can operate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by using sunlight as a power source. it's about

벼가 성장하는 논에 물을 채우기 위해서는 논물을 입수 또는 배수할 수 있도록 물꼬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물꼬는 수로와 경작지를 연결하여 경작지에 물을 공급 또는 배수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 논둑에 설치된다.In order to fill the paddy field where rice grows, a water keel is formed so that the paddy water can be obtained or drained. This water inlet serves to supply or drain water to the cultivated land by connecting the waterway and the cultivated land, and is usually installed on the rice paddy bank .

그런데, 종래의 물꼬는 대부분 흙으로 된 물꼬가 형성되어 있어서 물꼬 관리시 취급이 번거로우며, 물의 유속이 빠를 경우 물꼬의 일부분이 쉽게 유실될 수 있고, 수동 물꼬 관리로 인해 이앙시기부터 수확시기까지 생육시기별로 물관리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투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since most of the conventional water tails are formed of soil, it is cumbersome to handle when managing the water tails, and when the water flow rate is fast, part of the water tails can be easily lost. There was a difficulty in putting a lot of time and labor into water management by period.

이러한 종래의 물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문을 설치한 구조물로 된 물꼬가 개발 및 사용되기도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water keel, a skewer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gate is installed is developed and used.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물로 된 물꼬는 견고하기는 하지만, 설치시 많은 자재를 필요로 하여 상당한 노동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설치 후에도 한 장소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밖에 없어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lthough the water line made of such a structure is robust, it requires a lot of materials for installation,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considerable labor and cost, and it is very inefficient because it can only be used in a fixed state in one place after installation. there was.

따라서 최근에는 적절한 입수뿐만 아니라 벼의 생육기에 적합한 배수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입수나 배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고 입수량 또는 배수량의 미세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물꼬가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water channel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sufficiently perform the function of water intake or drainage by facilitating not only proper water intake but also drainage control suitable for the growing season of rice, and which can finely control the water intake or drainage.

일 예로, 특허등록공보 제1136380호(발명의 명칭:논물 수위조절장치)에는 논둑에 설치되며 전방이 개방되고 상부에 눈금이 표시되고 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본체,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논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는 수위조절통, 수위조절통의 후방에 연결되어 수위조절통을 통해 유입된 논물이 배수되며 일측에 자바라 형태의 주름부가 형성되는 배수관, 수위조절통과 케이스본체에 연결되어 길이 조절에 따라 수위조절통의 경사 각도를 가변시키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논에 담겨진 물을 농수로나 인접한 논에 배수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쉽게 배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나 길이조절수단등이 배수관의 무게를 항상 견뎌야 함에 따라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For example,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136380 (title of invention: paddy water level control device) is installed on a paddy bank, the front is open, a scale is displayed on the top, and a case body is formed, and a case body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and paddy water is A water level control tube with an inlet to flow in, a drainage pip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water level control tube to drain the rice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water level control tube, and a bellows-shaped pleated part on one side,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control tube and the case body to adjust the length It includes a length adjustment means that change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ater level control box according to the length adjustment means,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rice field can be drained to agricultural waterways or adjacent rice fields. It is judged that there will be a problem with durability as it must always bear the weight of this drain pipe.

또 다른 예로,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122864호(발명의 명칭:수위조절기능을 갖는 물꼬 개폐장치)는 수위조절기능을 갖는 물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본체의 좌우 양측에 개구부에 형성된 u형의 단면을 갖도록 플라스틱제로 성형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일측 개구부에는 본체와 일체로 성형되어 일측 개구부의 개폐를 통해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수로로 흐르는 용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는 본체의 바닥면과 회절부에 의해 하단부가 연결되어 그 상단부를 좌우 회동시켜 일측 개구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단부재의 전후단 테두리부와 본체 사이에는 차단부재의 회동시에 펼쳐지면서 용수가 통과하는 수로 벽을 연장 형성하고 차단부재가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경우 접혀질 수 있는 신축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의 상단측과 본체 사이에는 상기 차단부재의 회동을 통해 일측 개구부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발명인데, 태양광 설비와 그에 따른 BMS 기능이 포함되어야 하며 오히려 스마트 제어를 이유로 구성이 복잡하고 변수가 많아 잦은 고장에 따른 유지비 문제와 내구성 문제 그리고 제작비 증가 등의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As another example,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22864 (title of invention: wat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having a water level control function) relates to a wat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having a water level control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water can pass through. It is molded from plastic to have a u-shaped cross section formed in the opening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e one side opening of the main body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main body, and the flow of water flowing into the waterway formed inside the main body through opening and closing of the one side opening A blocking member for controlling is formed, and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by the diffractive portion so that the upper end thereof can be rotated left and right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n one side, and the front and rear end edges of the blocking member are formed. Between the unit and the main body,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control portion is formed that can be folded when the blocking member is rotated and extended to form a wall through which water passes, and when the blocking member is erect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the top side of the blocking member is formed. It is an invention composed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one side opening is install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locking member through rotation of the blocking member, and the photovoltaic facility and the corresponding BMS function must be included. Rather,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due to smart control There are many variables, so it is judged that there will be problems such as maintenance cost problems due to frequent breakdowns, durability problems, and increased production costs.

(문헌 1) 특허등록공보 제1136380호(Document 1)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136380 (문헌 2)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122864호(Document 2)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22864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용수로의 물을 논으로 공급함에 있어서 설정된 수위값에 따라 자동으로 물을 급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a set water level value when supplying water from an irrigation canal to a rice fiel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없이도 작동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operating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by using solar energy as a power sour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수로와 논을 연결하는 유로를 가지면서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논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가 될 때까지 용수로 내의 물을 논으로 급수해 주는 급수유닛;
상기 급수유닛의 급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상기 논에 설치된 채, 논의 수위 감지값을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유닛의 급수여부를 판단케 하는 수위감지유닛;를 포함하되,
상기 급수유닛은, 전장박스; 상기 전장박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용수로의 출수구와 연결되는 상관, 상기 상관과 연통되도록 상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논과 연결되는 하관으로 이루어진 연결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상으로 지지되는 바디, 상기 바디로 부터 상하방향으로 출몰 작동되되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되는 로드로 이루어진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 하단에 마련된 채, 액추에이터의 상하 동작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연결관의 상관과 하관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전장박스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논의 수위가 설정되면, 수위 설정값을 전송하는 수위 설정부; 상기 수위감지유닛으로부터 현재의 수위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위 설정부와 수신부로부터 수위 설정값과 현재의 수위값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수위 설정값과 수위값을 비교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부 로드와 하부로드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 로드는 핀에 의해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관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밸브가 내장되는 밸브 하우징이 설치되되,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상관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수직으로 삽입되며, 그 상단에는 상관의 상측에 마련된 결합 플랜지부에 안착된 채 나사 조임에 의해 결합되는 상대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외주면 상에는 상기 상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는 상기 개폐밸브의 하향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위 설정부는 상기 전장박스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터치형 조작패널이 적용되어, 수위를 임의 설정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위감지유닛은 논에 기립 설치되는 센서홀더와, 상기 센서홀더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수위감지센서로 구성되되,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벼의 생육에 맞도록 하위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상향으로 각각 3cm 간격을 두고 중위 수위감지센서와 상위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자동 물꼬장치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ater supply unit having a flow path connecting the irrigation channel and the paddy field and supplying water in the irrigation channel to the rice field while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until the water level of the rice field reaches the set water level;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paddy field and transmitting a water level detection value of the paddy field to the control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rol unit is watering or not;
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n electrical box; a housing disposed under the electrical box; A connection pipe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made of a lower pipe connected to the irrigation water outlet, a lower pip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row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row, and connected to the paddy field; an actuator composed of a body vertically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and a rod driven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body and exposed downward through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an on-off valv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of the actuator and opening and clos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ipes of the connecting pipe while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tion of the actuator;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the electrical box, and includes a water level setting unit that transmits a water level setting valu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ice field is set;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urrent water level value from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water level setting value and a current water level value from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and compare the received water level setting value with the water level valu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The rod is divided into an upper rod and a lower rod, and the upper and lower rods further include those coupled by pins,
A valve housing in which the on-off valve is embedded is installed inside the correlation, the valve housing is inserted vertically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correlation, and the top is screwed while being seated on the coupling flange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rrelation. A mating flange portion coupled by is provide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rrela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topper for limiting the downward position of the on-off valve is formed on the inner lower part,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further includes a touch type operation panel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box to arbitrarily set the water level,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is composed of a sensor holder installed upright in the paddy field and a plurality of water level detection senso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ensor holder.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iddle water level sensor and an upper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at 3 cm intervals upward from the sensor.

바람직하게, 상기 전장박스의 외부에 설치된 채,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 및 상기 전장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채, 상기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며,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액추에이터로 공급하는 축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a photovoltaic module that converts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while being installed outside the electrical box; and a power storage unit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al box, stores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solar module, and supplies the stored electric energy to the actuator.

삭제dele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수로의 물을 논으로 공급함에 있어서 설정된 수위값에 따라 자동으로 물을 급수할 수 있어서 급수관리를 무인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upplying water from an irrigation canal to a rice field, water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according to a set water level value, so that water supply management can be unmanned.

또한, 태양에너지(태양광)를 동력원으로 이용하므로 논의 개활지에서 별도의 외부전원의 공급없이도 작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solar energy (sunlight) is used as a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out a separate external power supply in open fields of rice field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꼬장치의 급수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로서, 연결관의 유로가 차단상태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로서, 연결관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유닛 및 그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꼬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unit of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the flow path of the connection pipe is blocked state,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a state in which the flow path of the connector is opened;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unit and its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is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꼬장치의 급수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로서, 연결관의 유로가 차단상태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로서, 연결관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유닛 및 그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꼬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unit of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and FIG. A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flow path of the connector is opened, Figure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and its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automatic water tra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

위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꼬장치(100)는 급수유닛(110), 제어유닛(130) 및 수위감지유닛(150)으로 대별된다.According to the above drawing,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a water supply unit 110, a control unit 130 and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150.

상기 급수유닛(110)은 용수로(1)와 논(2)을 연결하는 유로를 가지면서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논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가 될 때까지 용수로 내의 물을 논으로 급수해 주는 역할을 하는 기구이다.The water supply unit 110 has a flow path connecting the irrigation channel 1 and the paddy field 2 and serves to supply water in the irrigation channel to the paddy field until the water level of the paddy field reaches the set water level while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It is an instrument that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유닛(110)은 전장박스(111)와; 상기 전장박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12)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용수로(1)의 출수구(1a)와 논(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113)과;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 설치된 채 상하방향으로 출몰 작동되는 액추에이터(114)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설치된 채, 액추에이터의 상하 동작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연결관(113)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115)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unit 110 includes an electrical box 111; a housing 112 disposed under the electrical box; a connection pipe 113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nnecting the water outlet 1a of the irrigation channel 1 and the paddy field 2; an actuator 114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2 and operating in an up and down direction; It may be composed of an on/off valve 115 that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of the connection pipe 113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actuator and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tion of the actuato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장박스(111)는 물을 차단할 수 있는 밀폐형 박스 구조로 되며, 그 내부에 전장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lectrical box 111 has a sealed box structure capable of blocking water, and electrical components may be embedded therei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관(113)은 상기 하우징(112)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용수로(1)의 출수구(1a)와 연결되는 상관(113a)과, 상기 상관과 연통되도록 상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논(2)과 연결되는 하관(11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pipe 113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12,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1a of the irrigation channel 1, and the lower part of the correla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rrelation 113a. It may be provided and composed of a lower pipe 113b connected to the paddy field 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114)는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 수직상으로 지지되는 바디(114a)와, 상기 바디로 부터 상하방향으로 출몰 작동되되 상기 하우징(112)의 바닥부(112a)를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되는 로드(114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통상의 액추에이터와 다를 바 없다. 다만, 상기 로드(114b)는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로 분할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상,하부 로드는 핀(pin)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하부 로드의 교체만으로 로드 전체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In this embodiment, the actuator 114 includes a body 114a vertically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112, and a bottom portion 112a of the housing 112 that is operat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from the body. It may be composed of a rod (114b) exposed to the bottom through through. This is no different from a normal actuator. However, the rod 114b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rod and a lower rod, and the upper and lower rods may be coupled with a pin.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total length of the rod can be set only by replacing the lower rod.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밸브(115)는 상기 액추에이터(114)의 로드(114b) 하단에 마련된 채, 액추에이터의 상하 동작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연결관(113)의 상관(113a)과 하관(113b) 사이를 개폐한다.In this embodiment, the on-off valve 115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114b of the actuator 114, while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tion of the actuator, the upper part 113a and the lower pipe 113b of the connection pipe 113 open between

여기서, 상기 상관(113a)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밸브(115)가 내장되는 밸브 하우징(120)이 설치될 수 있다. Here, a valve housing 120 in which the on-off valve 115 is built inside the correlation 113a may be installed.

상기 밸브 하우징(120)은 상기 상관(113a)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수직으로 삽입되며, 그 상단에는 상관(113a)의 상측에 마련된 결합 플랜지부(113c)에 안착된 채 나사 조임에 의해 결합되는 상대 플랜지부(121)가 마련되며, 외주면 상에는 상기 상관(113a)과 연통되는 연통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The valve housing 120 is inserted vertically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correlation 113a, and the upper end is seated on the coupling flange 113c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rrelation 113a and coupled by screwing. A flange portion 121 is provided, and a communication hole 122 communicating with the correlation 113a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120)은 내측 하부에 상기 개폐밸브(115)의 하향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23)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opper 123 for limiting a downward position of the on-off valve 115 may be formed at a lower inner portion of the valve housing 120 .

상기 제어유닛(130)은 상기 급수유닛(110)의 급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물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장박스(111) 내에 수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110 and may be housed in the electrical box 111 to prevent malfunction caused by the water.

상기 제어유닛(130)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논(2)의 수위가 설정되면, 수위 설정값을 전송하는 수위 설정부(131)와, 상기 수위감지유닛(150)으로부터 현재의 수위값을 수신하는 수신부(132)와, 상기 수위 설정부(131)와 수신부(132)로부터 수위 설정값과 현재의 수위값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수위 설정값과 수위값을 비교하여 상기 액추에이터(11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when the water level of the paddy field 2 is set,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the water level set value, and the current water level value from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50. The receiving unit 132 receives the water level setting value and the current water level value from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131 and the receiving unit 132, and compares the received water level setting value with the water level value to obtain the actuator 114 It may be composed of a control unit 133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여기서, 상기 수위 설정부(131)는 상기 전장박스(11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터치형 조작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이 터치형 조작패널은 사용자의 손으로 터치하여 수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단말기 등과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근거리에서도 설정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Here,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131 may be applied with a touch type operation panel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al box 111 . This touch-type control panel can be touched by a user's hand to set the water level, and unlike this, it can be connected to a terminal or the like via Bluetooth so that it can be set at a short distance.

상기 수위감지유닛(150)은 상기 논(2)에 설치된 채, 논의 수위 감지값을 상기 제어유닛(130)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유닛(130)의 급수여부를 판단케 하는 것이다.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50, while installed in the paddy field 2, transmits a water level detection value to the control unit 130 so that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o supply wat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감지유닛(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2)에 기립 설치되는 센서홀더(151)와, 상기 센서홀더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수위감지센서(152)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50 includes a sensor holder 151 installed upright in the paddy field 2, and a plurality of sensor holde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ensor holder. It may be composed of a water level sensor 15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감지센서(152)는 벼의 생육에 맞도록 하위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상향으로 각각 3cm 간격을 두고 중위 수위감지센서와 상위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level sensor 152 may include a middle water level sensor and an upper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at a distance of 3 cm upward from the lower water level sensor to match the growth of r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전장박스(111)의 외부에 설치된 채,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140)과, 상기 전장박스(111)의 내부에 설치된 채, 상기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며,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액추에이터(114)로 공급하는 축전부(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야외에서도 전원공급없이 자체의 축전동력에 의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electric box 111, the solar module 140 for converting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and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electric box 111, in the solar module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torage unit 141 that stores the generated electrical energy and supplies the stored electrical energy to the actuator 114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perate by its own storage power without supplying power even outdoor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용수로 2 : 논
100 : 자동 물꼬장치 110 : 급수유닛
111 : 전장박스 112 : 하우징
113 : 연결관 114 : 액추에이터
115 : 개폐밸브 120 : 밸브 하우징
121 : 상대 플랜지부 122 : 연통홀
123 : 스토퍼 130 : 제어유닛
131 : 수위 설정부 132 : 수신부
133 : 제어부 140 : 태양광 모듈
141 : 축전부 150 : 수위감지유닛
151 : 센서홀더 152 : 수위감지센서
1: irrigation canal 2: rice field
100: automatic watering device 110: water supply unit
111: electrical box 112: housing
113: connector 114: actuator
115: on-off valve 120: valve housing
121: counter flange portion 122: communication hole
123: stopper 130: control unit
131: water level setting unit 132: receiving unit
133: control unit 140: solar module
141: power storage unit 150: water level detection unit
151: sensor holder 152: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Claims (3)

용수로와 논을 연결하는 유로를 가지면서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논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가 될 때까지 용수로 내의 물을 논으로 급수해 주는 급수유닛;
상기 급수유닛의 급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상기 논에 설치된 채, 논의 수위 감지값을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유닛의 급수여부를 판단케 하는 수위감지유닛;를 포함하되,
상기 급수유닛은, 전장박스; 상기 전장박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용수로의 출수구와 연결되는 상관, 상기 상관과 연통되도록 상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논과 연결되는 하관으로 이루어진 연결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상으로 지지되는 바디, 상기 바디로 부터 상하방향으로 출몰 작동되되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되는 로드로 이루어진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 하단에 마련된 채, 액추에이터의 상하 동작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연결관의 상관과 하관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전장박스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논의 수위가 설정되면, 수위 설정값을 전송하는 수위 설정부; 상기 수위감지유닛으로부터 현재의 수위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위 설정부와 수신부로부터 수위 설정값과 현재의 수위값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수위 설정값과 수위값을 비교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부 로드와 하부로드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 로드는 핀에 의해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관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밸브가 내장되는 밸브 하우징이 설치되되,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상관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수직으로 삽입되며, 그 상단에는 상관의 상측에 마련된 결합 플랜지부에 안착된 채 나사 조임에 의해 결합되는 상대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외주면 상에는 상기 상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는 상기 개폐밸브의 하향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위 설정부는 상기 전장박스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터치형 조작패널이 적용되어, 수위를 임의 설정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위감지유닛은 논에 기립 설치되는 센서홀더와, 상기 센서홀더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수위감지센서로 구성되되,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벼의 생육에 맞도록 하위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상향으로 각각 3cm 간격을 두고 중위 수위감지센서와 상위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자동 물꼬장치.
A water supply unit having a flow path connecting the irrigation line and the rice field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to supply water in the water line to the paddy field until the water level of the rice field reaches the set water level;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paddy field and transmitting a water level detection value of the paddy field to the control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rol unit is watering or not;
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n electrical box; a housing disposed under the electrical box; A connection pipe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made of a lower pipe connected to the irrigation water outlet, a lower pip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row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row, and connected to the paddy field; an actuator composed of a body vertically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and a rod driven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body and exposed downward through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an on-off valv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of the actuator and opening and clos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ipes of the connecting pipe while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tion of the actuator;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the electrical box, and includes a water level setting unit that transmits a water level setting valu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ice field is set;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urrent water level value from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water level setting value and a current water level value from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and compare the received water level setting value with the water level valu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The rod is divided into an upper rod and a lower rod, and the upper and lower rods further include those coupled by pins,
A valve housing in which the on-off valve is embedded is installed inside the correlation, the valve housing is inserted vertically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correlation, and the top is screwed while being seated on the coupling flange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rrelation. A mating flange portion coupled by is provide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rrela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topper for limiting the downward position of the on-off valve is formed on the inner lower part,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further includes a touch type operation panel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box to arbitrarily set the water level,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is composed of a sensor holder installed upright in the paddy field and a plurality of water level detection senso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ensor holder.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iddle water level sensor and an upper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at intervals of 3 cm upward from the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장박스의 외부에 설치된 채,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 및
상기 전장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채, 상기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며,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액추에이터로 공급하는 축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hotovoltaic module installed outside the electrical box and converting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 automatic water trap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ower storage unit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al box, storing electric energy produced by the solar module, and supplying the stored electric energy to the actuator.
삭제delete
KR1020220146709A 2022-11-07 2022-11-07 Automatic paddy drainage gate KR1025721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709A KR102572122B1 (en) 2022-11-07 2022-11-07 Automatic paddy drainage g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709A KR102572122B1 (en) 2022-11-07 2022-11-07 Automatic paddy drainage g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122B1 true KR102572122B1 (en) 2023-08-30

Family

ID=8784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709A KR102572122B1 (en) 2022-11-07 2022-11-07 Automatic paddy drainage g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12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091A (en) * 1995-06-20 1997-01-21 Reinforcement plate structure of car hood striker
KR970003585A (en) * 1995-06-30 1997-01-28 김주용 Wafer back cleaning method
KR0130741Y1 (en) * 1996-05-03 1998-12-01 원백희 Device for regulating of water level
KR101136380B1 (en) 2011-09-06 2012-04-18 김용원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level of water in a rice field
KR20180122864A (en) 2017-05-04 2018-11-14 주식회사 씨타로드산업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luice equipped with water leveling func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091A (en) * 1995-06-20 1997-01-21 Reinforcement plate structure of car hood striker
KR970003585A (en) * 1995-06-30 1997-01-28 김주용 Wafer back cleaning method
KR0130741Y1 (en) * 1996-05-03 1998-12-01 원백희 Device for regulating of water level
KR101136380B1 (en) 2011-09-06 2012-04-18 김용원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level of water in a rice field
KR20180122864A (en) 2017-05-04 2018-11-14 주식회사 씨타로드산업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luice equipped with water leveling func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934B1 (en) Smart Soil Moisture Control Method for Multipurpose farmland
KR101882933B1 (en) Smart Soil Moisture Control Device for Multipurpose farmland
CN107750708A (en) Intelligent agricultural greenhouse and greenhouse gardening method
US10039242B1 (en) Automated irrigation gate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water in an irrigation channel and conserving water in an agricultural region
CN103982700B (en) A kind of passive type field irrigation automaton
KR100424757B1 (en) Slope Index Water Management System
KR100947487B1 (en) An afforestation system for face of wall
KR102572122B1 (en) Automatic paddy drainage gate
KR20180122864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luice equipped with water leveling functions
KR102092357B1 (en) Automatic plant cultivation apparatus
JPH0837950A (en) Paddy field irrigation system
CN107771569A (en) A kind of intelligent flowerpot
KR102268575B1 (en) Water-level control system of paddy field
KR100759262B1 (en) Automatic drainage device for control outflow from the paddy
CN109122223A (en) A kind of vertical planting intelligent water-saving irrigation system
WO2016117779A1 (en) Aquaculture apparatus
KR200454774Y1 (en) Multifunctional flowerpot
KR102542607B1 (en) Wall Garden Management Device
CN211793510U (en) Automatic adding device for hydroponic strawberry nutrient solution
KR102070500B1 (en) Irrig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pressure control of water tank
KR101905846B1 (en) Automatic water supply system for trees
KR100450908B1 (en) Automatic water supply system for irrigation ditch
KR20180068456A (en) Water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510160B1 (en) Agricultural water level remote control system
CN218499753U (en) Automatic watering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