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095B1 - 이물질 유입 방지용 관막음 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 방지용 관막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095B1
KR102572095B1 KR1020210050321A KR20210050321A KR102572095B1 KR 102572095 B1 KR102572095 B1 KR 102572095B1 KR 1020210050321 A KR1020210050321 A KR 1020210050321A KR 20210050321 A KR20210050321 A KR 20210050321A KR 102572095 B1 KR102572095 B1 KR 10257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flow prevention
compression fixing
fixing means
preven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089A (ko
Inventor
고영준
윤지수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0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0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 방지용 관막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 정비 작업을 위해 분리된 배관 내부의 관막음을 용이하게 하고, 관막음 여부 시인성을 높여 확실하게 회수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유입 방지용 관막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개방된 배관의 내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배관의 내경에 비해 작은 외경으로 수축될 수 있는 탄력을 갖도록 마련된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도록 마련된 표시바;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의 외부를 감쌀 수 있도록 제공되되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방지수단을 상기 배관의 내경에 비해 작은 크기의 외경으로 수축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압축 고정수단; 및 상기 압축 고정수단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압축 고정수단을 인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관막음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유입 방지용 관막음 장치{A pipe inner space block device for preventing foreign object inflow}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 방지용 관막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계통 정비를 위해 분리된 배관 내부를 용이하게 막고, 배관으로부터 용이하게 회수시킬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유입 방지용 관막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체, 예를 들면, 물, 증기, 기름, 공기 및 붕산소 등의 유체를 사용하는 원자력 발전소 등에는 배관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예를 들면, 체크밸브(check valve), 컨트롤 밸브(Control Valve), 글로브 밸브(Globe valve)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밸브들은 원자력 발전소에 필요로 하는 붕산수(boric acid solution) 등과 같은 유체의 유량 및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배관들에 설치되고 있다.
특히 발전소에 적용되고 있는 체크밸브는 배관계통에 직렬로 연결되어 배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밸브로써, 개폐변(디스크)이 수압에 의해 직선 운동되는 리프트 형(lift type)과, 디스크가 수압에 의해 회전 운동되는 스윙형(swing type)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특히 리프트 체크 밸브의 경우, 밸브 몸체로부터 보닛(bonnet)을 분해하거나 결합하여 조임 시 보닛의 상부에 형성된 레이팅 플레이트에 공구를 끼워 분해/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배관에 설치된 상기 체크 밸브를 비롯한 각종 밸브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배관으로부터 밸브를 분리하여 진행하고 있다. 이때, 배관으로부터 밸브가 분리된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0) 양측의 배관(20) 일측은 개방된 상태가 되는데, 밸브(10) 정비가 이루어지는 동안 배관(20)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배관(20)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배관(20)으로부터 밸브(10)를 분리시킨 후, 배관(20)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관막음 수단(미도시)을 삽입하여 차폐시킨다. 이때, 관막음 수단의 예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신축이 뛰어난 스펀지가 있다. 즉, 작업자는 밸브(10)가 분리된 배관(20)의 개구된 부위에 스펀지를 삽입하여 위치시킴으로써, 배관(2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스펀지를 관막음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배관(20)의 내경과 스펀지의 크기 차이가 과도할 경우, 배관(20) 내부에서의 스펀지 기밀력이 떨어지거나, 배관(20) 내부로 스펀지를 삽입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둘째, 밸브(10) 정비 완료 후, 작업자가 배관(20) 내부에 삽입된 스펀지 회수를 인지하지 못하여 배관(20) 계통에 오류가 발생함으로써 발전소 운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45441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정비 작업시 개방된 배관의 관막음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관막음 여부에 대한 시인성을 높여 회수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관막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방된 배관의 내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배관의 내경에 비해 작은 외경으로 수축될 수 있는 탄력을 갖도록 마련된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도록 마련된 표시바;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의 외부를 감쌀 수 있도록 제공되되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방지수단을 상기 배관의 내경에 비해 작은 크기의 외경으로 수축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압축 고정수단; 및 상기 압축 고정수단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압축 고정수단을 인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관막음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압축 고정수단은 양측이 관통된 중공(中空)의 관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압축 고정수단을 표시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제공되어, 상기 압축 고정수단이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수단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분리될 수 있게 제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관막음 장치는 작업자가 신축력이 높은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을 강제로 압축시킨 상태에서 배관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을 압축하고 있는 압축력을 해제시킬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배관 내부의 관막음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으로부터 돌출된 표시바를 마련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정비 작업에 대한 일련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 회수를 위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밸브 정비를 위해 배관으로 부터 밸브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분해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관막음 장치를 나타낸 분해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관막음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관막음 장치를 배관 내부에 삽입하여 관막을 실행하기 전,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관막음 장치(이하, '관막음 장치'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관막음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0) 정비를 위해 배관(20)으로부터 밸브(10)가 분리되었을 때, 개구된 배관(20)을 막아 이물질이 배관(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설치 편의성을 높이고 시인성을 높여 회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관막음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과, 표시바(200)와, 압축 고정수단(300)과, 해제수단(400)을 포함한다.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은 배관(20)의 내부에 기밀하게 위치되어 배관(2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은 신축성이 좋은 재질로 제공되며, 배관(20)의 내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의 외경이 배관(20)의 내경에 비해 크게 제공됨으로써, 배관(20)의 내부에 압입되면서 배관(20) 내부의 기밀 유지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의 탄력은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이 수축되었을 때 배관(20)의 내경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는 크기임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은 외경이 배관(20)의 내경에 비해 크더라도 재질 특성상 수축될 수 있으므로 배관(20)의 내부에 무리없이 위치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이때,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의 선단부는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의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의 선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압축 고정수단(300)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표시바(200)는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이 배관(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시켜주는 역할과 더불어, 작업자의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 파지를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표시바(200)는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으로부터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직선의 바(bar)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표시바(200)는 시인성이 높은 색상으로 도색되어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작업 주변 조명에 제한 받지 않도록 야광 또는 형광물질로 도색될 수 있다. 또한, 표시바(200)에는 설치날짜, 설치자 등 정비 관련정보가 병기될 수 있도록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압축 고정수단(300)은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을 압축시켜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의 외경을 축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의 외경은 배관(20)의 내경에 비해 크기 때문에 작업자는 압축 고정수단(300)으로 하여금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의 외경을 축소시켜 배관(20)의 내부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압축 고정수단(300)은 양측이 관통된 중공(中空)의 관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압축 고정수단(300)의 길이는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의 길이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해제 수단(400)은 압축 고정수단(300)을 통해 수축된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을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며, 압축 고정수단(300)에 설치된다. 해제 수단(400)은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으로부터 압축 고정수단(300)을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고정수단(300)에 설치된다. 이때, 해제 수단(400)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압축 고정수단(300)을 당길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해제 수단(400)은 막대, 끈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압축 고정수단(300)을 용이하게 잡아 당길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할 것이다. 해제 수단(400)은 압축 고정수단(300)에 고리를 통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관막음 장치 사용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작업자는 표시바(200)를 잡고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을 압축 고정수단(300)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이때,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은 압축 고정수단(3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수축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고정수단(300)에 삽입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이 수축된 관막음 장치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0)가 분리된 배관(20)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이때, 관막음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압축 고정수단(300)의 외경은 배관(20)의 내경에 비해 작기 때문에 배관(20)내 관막음 장치의 삽입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해제 수단(400)을 파지하여 압축 고정수단(300)을 표시바(200) 측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수축되어 있던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은 압축이 해제됨에 따라 복원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20)의 내주면에 압착이 된다. 이에 따라, 배관(20)의 내부는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100)에 의해 차폐되므로, 본 발명은 밸브(10) 정비시 배관(2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일련의 밸브 정비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배관(20)으로부터 돌출된 표시바(200)를 통해 정비 작업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밸브(10) 정비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배관(20) 내부의 관막음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표시바(200)를 잡고 배관(20)으로부터 관막음 장치를 당겨 배관으로부터 쉽게 회수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밸브(10)를 배관(20)에 원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관막음 장치를 이용한 밸브 정비 작업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용 관막음 장치는 밸브 정비 작업시 배관 내부의 관막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표시바를 통해 배관 내부의 관막음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바를 통해 관막음 장치를 배관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밸브 20 : 배관
100 :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 200 : 표시바
300 : 압축 고정수단 400 : 해제 수단

Claims (3)

  1. 개방된 배관의 내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배관의 내경에 비해 작은 외경으로 수축될 수 있는 탄력을 갖도록 마련된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도록 마련된 표시바;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의 외부를 감쌀 수 있도록 제공되되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방지수단을 상기 배관의 내경에 비해 작은 크기의 외경으로 수축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압축 고정수단; 및
    상기 압축 고정수단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이물질 유입 방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압축 고정수단을 인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해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 고정수단은 양측이 관통된 중공(中空)의 관체이며,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압축 고정수단에 고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해제수단은 압축 고정수단의 양 단 중에서 표시바 측 단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압축 고정수단을 표시바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제공되어, 상기 압축 고정수단이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수단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분리될 수 있게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관막음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50321A 2021-04-19 2021-04-19 이물질 유입 방지용 관막음 장치 KR10257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321A KR102572095B1 (ko) 2021-04-19 2021-04-19 이물질 유입 방지용 관막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321A KR102572095B1 (ko) 2021-04-19 2021-04-19 이물질 유입 방지용 관막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089A KR20220144089A (ko) 2022-10-26
KR102572095B1 true KR102572095B1 (ko) 2023-08-30

Family

ID=8378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321A KR102572095B1 (ko) 2021-04-19 2021-04-19 이물질 유입 방지용 관막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0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708A (ja) 1998-08-03 2000-02-15 Able:Kk プラントの開口部の異物混入防止ストッパ
JP2005256976A (ja) * 2004-03-12 2005-09-22 Sanki Eng Co Ltd 止水治具及び該止水治具を用いた弁体の接続方法
JP2006084435A (ja) 2004-09-17 2006-03-30 Mitsubishi Heavy Ind Ltd 原子力容器貫通管台の異物混入防止栓およびその取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6258B2 (ja) * 1994-11-15 1999-01-13 児玉化工株式会社 管路用気密栓
KR100454419B1 (ko) 2001-12-31 2004-10-26 한전기공주식회사 배관 관막음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708A (ja) 1998-08-03 2000-02-15 Able:Kk プラントの開口部の異物混入防止ストッパ
JP2005256976A (ja) * 2004-03-12 2005-09-22 Sanki Eng Co Ltd 止水治具及び該止水治具を用いた弁体の接続方法
JP2006084435A (ja) 2004-09-17 2006-03-30 Mitsubishi Heavy Ind Ltd 原子力容器貫通管台の異物混入防止栓およびその取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089A (ko)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2428B (zh) 流体流动控制装置
JP2009525442A (ja) 導管用マルチコネクタ
US10677365B2 (en) Pressure relief valve assembly and methods
US20190284900A1 (en) Valve device and method
KR20110085993A (ko) 개선된 이중차단 및 유출 플러그
US201002366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Pressurized Gas Pipeline
US7766047B1 (en) Telescoping double blocking pipe plug
DK178887B1 (en) A junk catcher and a method of operation of same
SE517258C2 (sv) Förfarande vid ventil, ventil, samt anordning för linkärnborrning innefattande dylik ventil
US6050613A (en) Combined plastic pipe coupler and end plug
KR102572095B1 (ko) 이물질 유입 방지용 관막음 장치
US5967191A (en) Method for servicing a live pipeline
JP2010019412A (ja) 流体パイプに流監視装置を挿入するツールセットおよびその設置方法
GB2387631A (en) An undersea hydraulic coupling with a poppet valve arrangement
US6474359B1 (en) Undersea hydraulic coupling member
JPH02217676A (ja) 破壊ピン弁システム
CN110226062A (zh) 止回阀和形成止回阀的方法
US3669139A (en) Service tool for gas mains
US11767724B2 (en) Valve element for drilling elements, drilling element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valve element to drilling elements
US9857016B2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ealing a conduit
US8082781B1 (en) Apparatus for pressure testing a pressure foot
US20130312851A1 (en) Low profile valves
AU5185901A (en) Undersea hydraulic coupling member
JP2005291328A (ja) 弁脱着用治具
CN108274432A (zh) 用于引鞋装配的推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