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993B1 -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993B1
KR102571993B1 KR1020210162966A KR20210162966A KR102571993B1 KR 102571993 B1 KR102571993 B1 KR 102571993B1 KR 1020210162966 A KR1020210162966 A KR 1020210162966A KR 20210162966 A KR20210162966 A KR 20210162966A KR 102571993 B1 KR102571993 B1 KR 102571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ri
plasma
smartphone
image
colo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6228A (ko
KR102571993B9 (ko
Inventor
강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톤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톤넷
Priority to KR102021016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993B1/ko
Publication of KR20230076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993B1/ko
Publication of KR10257199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993B9/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트리 필름에 배양된 콜로니를 영상인식에 의해 카운트하는 장치와 일체화되고, 평상시에는 플라즈마에 의해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살균함과 아울러 필요시에는 영상인식에 의해 콜로니를 카운트하기 위한 플레이트에 올려진 페트리 필름에 플라즈마를 집중하여 살균함으로써 청결한 실험실의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실내공기 중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살균하도록 프리라디칼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 플라즈마 발생부에서 발생된 프리라디칼에 의해 오염물질이 살균된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로 구성된 몸체를 갖는 살균장치로서, 상기 몸체에는 페트리 필름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상기 페트리 필름의 저면부위에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프리라디칼을 분사하는 하부분사구가 형성된 페트리 플레이트; 상기 페트리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여 스마트폰을 장착시키면서,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상기 페트리 플레이트를 촬영할 수 있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마트폰 고정부; 상기 페트리 필름의 상부면을 향하여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프리라디칼을 분사하는 상부분사구;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Apparatus for sterilizing by using the plasma combined with the colony image counter}
본 발명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트리 필름에 배양된 콜로니를 영상인식에 의해 카운트하는 장치와 일체화되고, 평상시에는 플라즈마에 의해 실내의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살균함과 아울러 필요시에는 영상인식에 의해 콜로니를 카운트하기 위한 플레이트에 올려진 페트리 필름에 플라즈마를 집중하여 살균함으로써 청결한 실험실의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공기중에는 인체에 유해한 많은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세균과 바이러스는 건강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 19에 의한 팬데믹으로 인하여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실내 공기 오염을 차단하고 제거하는데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고 사멸시키기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필터방식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경우에는 크기가 매우 작은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가 필터를 통과하게 되어 그리 효용성을 가지지 못하게 되므로, 근래에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방법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플라즈마(Plasma)란 물질의 세가지 형태인 고체-액체-기체 이후 제4의 물질 상태로 불리우며, 이러한 상태의 물질을 플라즈마하고, 각종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와 반응하여 세포막을 파괴하여 수증기로 변화시킴으로써 사멸시키게 되고, 의료, 바이오 분야에서는 제균, 멸균, 상처치료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플라즈마의 제균과정으로는 세라믹전극(+전극), 침상전극(-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플라즈마 방전계를 형성하여 공기중의 물분자를 이온 분리후, 화학반응을 통해 페록시 래디컬(HOO-)이 발생하여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유해물질을 포위하여 흡착한 후, 유해물질의 표면 구조를 파괴하여 수증기로 변화시킴으로써 제균 및 중화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공기를 살균하는 장치의 한 예로서, 등록특허 제10-2327934호(UVC 플라즈마 공기 살균기)에서는,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컨트롤러;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공기 중의 부유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프리라디칼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 플라즈마 발생부에서 발생된 프리라디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로 구성된 플라즈마 공기 살균기를 제안하였다.
종래기술에 의한 구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플라즈마 발생부에서 프리라디칼을 발생시켜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살균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단순히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프라라디칼에 의해 살균하는 구조이지만,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배양하고 실험하는 실험실 환경에는 세균이나 박테리아, 그리고 바이러스에 의한 실내 오염뿐만 아니라 세균 등의 오염물질을 배양하는 페트리 필름의 외부에도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존재할 수 있어서 이를 손으로 만졌을 경우에 오염이 확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도1에서와 같이 페트리 필름(10)에 배양된 콜로니(colony)(20)의 갯수를 카운트할 때 사람이 일일이 콜로니(20) 근처에 카운트 포인트(30)를 펜으로 찍어서 표시하면서 수작업으로 카운트하게 되는데, 이때 페트리 필름(10)의 외측에도 오염물질이 묻어 있을 수 있으므로, 자칫 손을 통하여 오염이 확산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즉, 외부에 오염물질이 묻어서 오염된 페트리 필름(10)을 손으로 만져서 콜로니를 카운트한 다음 다른 물건이나 실험기구나 문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았을 때 오염이 확산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콜로니란 세균이나 다른 미생물을 배양(培養)할 때,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이들의 집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실내공기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이 묻어 있는 페트리 필름(10)도 살균하여 오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살균장치가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7934호(UVC 플라즈마 공기 살균기)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상인식에 의하여 획득된 페트리 필름의 콜로니를 카운트하기 위한 장치와 플라즈마에 의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살균하기 위한 장치를 일체화하여 평상시에는 실내의 오염물질을 살균하고, 페트리 필름이 놓여진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의해 영상이 획득되면, 페트리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플라즈마를 분사함으로써 페트리 필름의 오염물질까지 완벽하게 살균함으로써 실내와 실내의 물건들에 오염물질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실내공기 중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살균하도록 프리라디칼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 플라즈마 발생부에서 발생된 프리라디칼에 의해 오염물질이 살균된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로 구성된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에는
페트리 필름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상기 페트리 필름의 저면부위에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프리라디칼을 분사하는 하부분사구가 형성된 페트리 플레이트;
상기 페트리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여 스마트폰을 장착시키면서,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상기 페트리 플레이트를 촬영할 수 있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마트폰 고정부;
상기 페트리 필름의 상부면을 향하여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프리라디칼을 분사하는 상부분사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에는 카메라를 통해 페트리 필름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인식에 의해 콜로니의 갯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페트리 필름이 페트리 플레이트에 올려졌는지를 감지하는 페트리 감지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고, 상기 페트리 감지부에 의해 페트리가 감지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카메라로부터 영상 획득 완료에 대한 신호가 전송되면 분사팬을 구동시켜 상기 하부분사구와 상부분사구를 통해 플라즈마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프리라디칼을 분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획득된 페트리의 영상을 흑백영상으로 처리한 다음, 노이즈를 제거하고, 영상을 다수의 격자형태로 분할한 후 각 분할된 영역에 비트맵 행렬이 설정된 값 이상이면 콜로니로 판정함과 아울러 설정된 값 이하이면 노이즈로 판정하여 모델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모델 학습 데이터를 머신 러닝하여 콜로니 인식모듈이 구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플라즈만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프리라디칼에 의해 실내공기의 오염물질 즉,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살균하고, 페트리의 콜로니를 영상인식에 의해 카운트하는 경우에는 페트리에 프리라디칼을 분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오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콜로니 카운트 장치와 플라즈마 살균 장치가 일체화됨으로써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페트리 영상을 획득하고, 스마트폰에 구축된 콜로니 인식모듈에 의해 콜로니의 갯수를 카운트함으로써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콜로니 카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페트리 필름에서 배양된 콜리니의 갯수를 수작업에 의해 카운트한 상태를 보인 사진.
도2는 본 발명에 의해 플라즈마를 이용한 살균장치에 콜로니 카운트 장치가 결합된 외관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도2의 단면구조를 보인 도.
도4 내지 도7까지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콜로니 인식모듈을 구축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8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인식된 콜로니 카운트 결과를 모니터 화면에서 보인 도.
도9는 몸체와 스마트폰의 회로 블럭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해 플라즈마를 이용한 살균장치에 콜로니 카운트 장치가 결합된 외관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3은 도2의 단면구조를 보인 도이며, 도4 내지 도7까지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콜로니 인식모듈을 구축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그리고, 도8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인식된 콜로니 카운트 결과를 모니터 화면에서 보인 도이고, 도9는 몸체와 스마트폰의 회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100)는 도2에서와 같이, 상부면에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배양된 필름재질의 페트리(300)를 올려놓기 위한 페트리 플레이트(130)가 몸체(11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110)의 후방부위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연장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연장부(111)의 상측부위에는 스마트폰(200)을 고정시켜 장착하기 위한 스마트폰 고정부(14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살균장치(100)의 측단면이 흡사 'ㄷ'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40)에는 스마트폰(200)을 양측으로 탄성을 가지고 그립하여 지지하는 고정암(14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암(140)은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스마트폰 거치대 분야에서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40)에는 덮개(15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외부의 오염물질이 스마트폰 고정부(14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스마트폰(20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덮개(150)는 투명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투명한 재질인 경우에 스마트폰(200)의 동작상황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플라즈마 발생부(160)가 설치되어 프리라디칼(free radical)을 발생시키며, 몸체의 좌우측에는 각각 흡기구(120)와 배기구(121)가 형성됨으로써 배기팬(170)을 통해 실내공기를 흡기구(120)로 흡입한 다음, 프리라디칼과 오염물질을 반응시킴으로써 살균하고, 배기구(121)를 통해 실내로 다시 배기하게 되는 것이다.
플라즈마에 의해 실내의 오염물질인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에서도 언급되었고, 이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페트리 플레이트(130)에는 페트리(200)를 올려놓는 부위에 망 또는 격자 형태의 하부분사구(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부연장부(111)의 내측면 부위 즉, 전방으로 노출된 부위에는 페트리(300)의 상부면을 향하여 상부분사구(12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분사구(122)의 상측에 올려진 페트리(3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향하여 플라즈마 발생부(160)로부터 발생된 프리라디칼이 분사되는데, 분사팬(190)에 의해 프라라디칼이 하부분사구(122)와 상부분사구(123)로 공급되어 페트리(300)의 외측면에 존재하는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오염물질을 살균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플라즈마 발생부(160), 배기팬(170), 분사팬(190)의 동작은 몸체(110)의 내측에 구비된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하부분사구(122)의 위치에는 페트리 감지센서(420)가 구비되어 페트리(300)가 올려졌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페트리 감지센서(420)는 광센서, 정전용량센서 등 다양한 감지센서가 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상기 페트리 감지센서(420)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따라 분사팬(190)을 구동시키 프리라디칼을 페트리(300)의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분사하게 되는데, 평상시 동작 중에는 실내공기를 흡압하여 살균시키도록 배기판(170)을 구동시키게 되지만, 페트리(300)가 감지되면 분사팬(190)도 구동시켜 페트리(300)의 표면에 묻은 오염물질을 살균하는 것이다.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40)에는 바닥부위에 노출공(142)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마트폰(200)이 카메라(210)가 하측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암(141)에 고정되었을 때 노출공(142)을 통해 페트리(300)를 촬영할 수 있게 되고, 고정암(141)의 그립위치와 회전상태를 조절함으로써 페트리(300)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200)이 스마트폰 고정부(140)에 한번 고정되면, 다수의 페트리(300)를 촬영하는 동안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150)를 닫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마트폰(200)은 페트리(300)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21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카메라(210)는 현재 수천만 ~ 1억 이상의 화소를 가짐으로써 그 선명도가 매우 높으며, 또한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카메라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매우 저렴하게 장치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마트폰(200)의 내부에는 페트리(300)에 배양된 콜로니를 영상인식에 의해 카운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저장부(230)에 저장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콜로니 인식모듈이 구축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콜로니 인식모듈의 구축 과정을 도4 내지 도7까지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4에서와 같이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컬러영상을 CPU(220)에서 획득한 다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흑백영상으로 변환시키게 되며, 이러한 변환에 의해 흰색은 0, 검은색은 255를 갖는 이진화값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5에서와 같이 흑백으로 변환된 영상은 영상 Thresholding 과정을 거쳐서 노이즈를 제거하게 되는데, 배경색의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흰색과 검은색으로 명확하게 이루어진 결과를 출력하기 위함이다.
즉, 영상인식을 위한 모델링 작업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임계값을 기준으로 흰색과 검정색을 명확히 분리함으로써 검은색으로 된 콜로니를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노이즈가 제거된 영상은 콜로니에 해당하는 검은색의 경계가 뚜렷하게 됨으로써 모델링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된다.
이후 도6에서와 같이, 촬영된 영상을 격자형태를 갖는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게 되는데, 이러한 영상 분할은 분할밀도가 높을수록 영상의 처리용량이 높아지지만 정밀도 측면에서는 매우 유리하며, 요즘 출시되는 스마트폰은 그 처리속도와 처리용량이 매우 크므로, 크게 무리없이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분할된 각 영역은 픽셀단위의 bitmap 행렬에 의해 콜로니와 노이즈를 구분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225로 설정된 값이 15개 이상으로 연속하여 bitmap 행렬을 이룬다면 이는 콜로니로 판단하고, 반대로 225의 설정된 값이 15개 이하로 bitmap 행렬을 이룬다면 이는 노이즈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7에서와 같이 추출된 콜로니를 중심으로 하여 그 외측으로 붉은색의 원형 표시를 함으로써 콜로니 인식결과를 가시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인식된 콜로니를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여 주며, 상기의 과정을 거친 영상을 머신 러닝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콜로니 인식모듈이 어플리케이션 저장부(230)에 구축된다.
그러므로, 현재 촬영되는 페트리(300) 영상은 콜로니 인식모듈로 입력되어 영상인식에 의해 카운트되어 그 결과가 스마트폰(200)의 화면에 표시되거나 또는 통신부(240)를 통해 컴퓨터로 전송되어 도8과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8의 경우에는 1. 샘플명, 2, 페트리 종류, 3. 희석배수, 4. 콜로니 갯수, 5. 구작업 계수에 의한 콜로니 갯수 수정하는 버튼, 6. 디스플레이되는 콜로니 카운트 영상을 보면서 추가적으로 콜로니를 수작업으로 표시할 수 있는 버튼, 7. 최종적인 이미지 저장버튼이 모니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보여준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예를 든 콜로니 카운트를 위한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 언급한 기술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일예로 등록특허 제10-1078557호(생물학적 성장 플레이트 상의 생물학적 물질의 계수 방법) 등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와 스마트폰(200)이 서로 연동하여 페트리(300)의 영상 촬영, 페트리(300)의 살균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상기 스마트폰(200)과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부(430)가 구비되어 있으며, 페트리 플레이트(130)에 페트리(300)가 올려지게 되면, 페트리 감지센서(420)가 페트리(300)를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결과에 의해 프로세서(410)는 통신부(430)를 통해 감지신호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200)의 CPU(220)는 통신부(240)를 통해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카메라(210)를 구동시켜 페트리(300)의 영상을 획득하게 되고, 어플리케이션 저장부(2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콜로니를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거나 컴퓨터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스마트폰(200)은 영상획득완료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하게 되면, 프로세서(410)는 통신부(430)를 통해 입력받은 다음 분사팬(190)를 구동시켜 프리라디칼을 하부분사구(122)와 상부분사구(123)를 통해 페트리(300)로 분사하여 살균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살균장치
110 : 몸체
111 : 상부연장부
120 : 흡기구
122 : 하부분사구
123 : 상부분사구
121 : 배기구
130 : 페트리 플레이트
140 : 스마트폰 고정부
141 : 고정암
142 : 노출공
150 : 덮개
160 : 플라즈마 발생부
170 : 배기팬
190 : 분사팬
200 : 스마트폰
210 : 카메라
220 : CPU
230 :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240 : 통신부
300 : 페트리
400 : 제어부
410 : 프로세서
420 : 페트리 감지센서
430 : 통신부

Claims (4)

  1.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실내공기 중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살균하도록 프리라디칼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 플라즈마 발생부에서 발생된 프리라디칼에 의해 오염물질이 살균된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로 구성된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에는
    페트리 필름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상기 페트리 필름의 저면부위에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프리라디칼을 분사하는 하부분사구가 형성된 페트리 플레이트;
    상기 페트리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여 스마트폰을 장착시키면서,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상기 페트리 플레이트를 촬영할 수 있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마트폰 고정부;
    상기 페트리 필름의 상부면을 향하여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프리라디칼을 분사하는 상부분사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는 카메라를 통해 페트리 필름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인식에 의해 콜로니의 갯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페트리 필름이 페트리 플레이트에 올려졌는지를 감지하는 페트리 감지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고, 상기 페트리 감지부에 의해 페트리가 감지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카메라로부터 영상 획득 완료에 대한 신호가 전송되면 분사팬을 구동시켜 상기 하부분사구와 상부분사구를 통해 플라즈마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프리라디칼을 분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획득된 페트리의 영상을 흑백영상으로 처리한 다음, 노이즈를 제거하고, 영상을 다수의 격자형태로 분할한 후 각 분할된 영역에 비트맵 행렬이 설정된 값 이상이면 콜로니로 판정함과 아울러 설정된 값 이하이면 노이즈로 판정하여 모델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모델 학습 데이터를 머신 러닝하여 콜로니 인식모듈이 구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
KR1020210162966A 2021-11-24 2021-11-24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 KR102571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966A KR102571993B1 (ko) 2021-11-24 2021-11-24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966A KR102571993B1 (ko) 2021-11-24 2021-11-24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228A KR20230076228A (ko) 2023-05-31
KR102571993B1 true KR102571993B1 (ko) 2023-08-29
KR102571993B9 KR102571993B9 (ko) 2023-12-08

Family

ID=8654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966A KR102571993B1 (ko) 2021-11-24 2021-11-24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9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130B1 (ko) 2007-06-04 2013-07-10 가부시키가이샤 엔테크 콜로니 계수 방법
JP5910417B2 (ja) 2012-08-23 2016-04-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培地情報登録システム、コロニー検出装置、プログラム及び衛生管理システム
JP2019208377A (ja) 2018-05-31 2019-12-12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コロニー検出装置、コロニー検出方法、及びコロニー検出プログラム
KR102327934B1 (ko) 2021-10-12 2021-11-18 주식회사 자연공간산업 Uvc 플라즈마 공기 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417B2 (ja) * 1976-05-31 1984-03-0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粒状鉄鉱石の還元粉化試験装置
KR102315435B1 (ko) * 2019-07-05 2021-10-21 주식회사 더웨이브톡 미생물 콜로니 검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130B1 (ko) 2007-06-04 2013-07-10 가부시키가이샤 엔테크 콜로니 계수 방법
JP5910417B2 (ja) 2012-08-23 2016-04-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培地情報登録システム、コロニー検出装置、プログラム及び衛生管理システム
JP2019208377A (ja) 2018-05-31 2019-12-12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コロニー検出装置、コロニー検出方法、及びコロニー検出プログラム
KR102327934B1 (ko) 2021-10-12 2021-11-18 주식회사 자연공간산업 Uvc 플라즈마 공기 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228A (ko) 2023-05-31
KR102571993B9 (ko)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3133C (en) Cleaning particulate matter and chemical contaminants from hands and elastomeric articles
US10232363B2 (en) Safety cabinet
KR20160051392A (ko) 스마트 무균살균 시스템
JP2009172607A (ja) 手及びエラストマー物品から粒状物及び化学的汚染物質を洗浄する装置
JP2016534830A (ja) 湿潤二酸化塩素ガスを利用した滅菌装置及び滅菌方法
CN103028128A (zh) 灭菌装置及灭菌方法
Burr et al. Corynebacterium bovis: epizootiologic features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an enzootically infected rodent room
EP2654807A1 (en) Clean room device with movable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
KR102241673B1 (ko) 실내공기 소독장치
JP2018191774A (ja) 気流制御システム及び気流制御方法
KR102571993B1 (ko)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및 이와 결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하는 장치
KR102464282B1 (ko) 스마트 음압 선별 진료소 살균 및 소독 시스템
KR101694895B1 (ko) 충돌법에 의한 세균 및 바이러스 동시 채취 및 검출방법
CN217697370U (zh) 一种医疗器械消毒质量检测装置
CN108285864A (zh) 一种细菌培养检测箱及方法
CN115944326A (zh) 一种咽拭子自动采样机器人和采样方法
KR102283278B1 (ko) 검체 채취 장치
Mandler et al. Disinfection of dental equipment—inactivation of Enterococcus mundtii on stainless steel and dental handpieces using surface micro-discharge plasma
CN113218030B (zh) 壁挂式循环风空气消毒机
CN208883621U (zh) 生化仪废液消毒容纳装置
KR102426937B1 (ko) 계수 정밀도가 개선된 콜로니 이미지 카운터
KR102378473B1 (ko) 스캔형 이물질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물질 분석 방법
JP2011139682A (ja) 浮遊感染性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の不活化効果計測装置及び方法
Julich et al. Reprocessing of thermosensitive materials—efficacy against bacterial spores and viruses
KR102458388B1 (ko) 이동형 검체 채취용 다기능 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