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619B1 - 지문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층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문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층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619B1
KR102571619B1 KR1020170183955A KR20170183955A KR102571619B1 KR 102571619 B1 KR102571619 B1 KR 102571619B1 KR 1020170183955 A KR1020170183955 A KR 1020170183955A KR 20170183955 A KR20170183955 A KR 20170183955A KR 102571619 B1 KR102571619 B1 KR 102571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izable
coating composition
binder resin
surfacta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423A (ko
Inventor
최승석
유현석
신규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KR102017018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6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87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5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2Synthetic film-forming sub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산업제품에서도 사용되는 지문 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바인더 수지; 비중합성-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중합성-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문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층 제조방법{Coating composition with reduced fingerprint visibility and method of making coating layer using same}
본 발명은 지문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제품 등에서 사용되는 지문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층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등 터치스크린을 통해 작동하는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 가정용 가구 및 냉장고를 비롯한 전기·전자제품, 차량용 내장재 등은 사람의 손이 자주 닿는 만큼 지문으로 더러워지는데, 지문은 쉽게 닦아지지 않아 가시성을 해치며 미관상 더러움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수 및 발유 특성을 포함하는 각종 코팅제가 개발되었고, 여러 방면에서 두루 사용되고 있다. 발수발유 코팅은 물 및 기름성분과 친화력이 약해 코팅면에 물과 기름의 접촉을 줄이는데, 이는 추후 쉽게 닦아낼 수 있어 내지문성을 위한 중요한 성능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발수발유 코팅은 이지클린(easy-clean)이 가능한 대신 코팅면에 물과 기름이 남아있는데, 쉽게 증발하는 물 성분과 달리 기름 성분은 표면에 잔존하여 코팅면의 가시성을 오히려 나쁘게 한다. 또한, 기름 성분을 지우려 닦아봐도 넓게 퍼져 오히려 더 지저분해 보여 발수발유 코팅을 대신하여 친유 특성을 갖는 코팅제가 주목을 받게 된다.
친유 코팅에 지문을 찍게 되면, 물 성분은 쉽게 증발하고 기름 성분은 표면에 흡착되어 넓게 퍼지기 때문에 발수발유 코팅과 달리 코팅면의 가시성을 좋게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중합성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바인더 수지의 기존 특성을 모두 보이는 지문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층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휴대폰 보호필름, 도료 및 각종 산업제품에서도 지문 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층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인더 수지, 비중합성-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중합성-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인더수지, 비중합성-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중합성-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한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을 기재 상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 상부에 도포된 코팅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층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제 제조방법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LED 모니터, 내/외부 광고 디스플레이 등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휴대폰 보호필름, 자동차 내·외장재, 가전제품 내·외관, 도료 및 각종 산업제품의 지문 가시성 감소용도로 응용할 수 있다.
도 1은 계면활성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바인더 수지 내에서 계면활성제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는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셀룰로오즈 수지, 에스테르 수지, 비닐 수지, 멜라민 수지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바인더 수지로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로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지환족 에폭시, 비스페놀A 또는 F형 에폭시,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나프탈렌형 에폭시, 비페닐형에폭시, 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로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아크릴기를 가지는 2 내지 12 관능성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프로폭실화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우레탄 수지, 셀룰로오즈 수지, 에스테르 수지, 비닐 수지 및 멜라닌 수지로서 시판되는 통상의 수지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수지들의 본래 물성을 해치지 않으므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하여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전체 코팅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 10 내지 70 중량%이며,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20 ㎛ 이상의 두꺼운 코팅이 어려우며 코팅시 젖음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9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 조절이 어려워 코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기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제의 조성물에 있어서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비중합성-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중합성-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비중합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가 코팅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반응하거나 또는 공중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경화된 코팅 조성물 중에서 중합되지 않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도 1은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상기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수성을 나타내는 "꼬리(tail, 20)"부분과 친수성을 나타내는 "머리(head, 10)"부분으로 나뉘는데,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소수성을 나타내는 부분인 꼬리(tail, 20)부분은 하나 이상의 선형, 가지형,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hydrocarbon) 혹은 플루오로카본 사슬(fluorocarbon chain)을 포함한다. 상기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인더 수지와 반응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바인더 수지의 경화 시 표면으로 밀려 올라가며, 이 때, 소수성을 나타내는 꼬리 부분이 바인더 수지의 표면에 배열하여 지문에 있는 기름성분을 퍼트려 지문 가시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친수성을 나타내는 머리(head, 10)부분은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상기 비중합성-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사차암모늄(quaternary ammonium)염, 설폭소늄(sulfoxonium)염, 설포늄(sulfonium)염, 포스포늄(phosphonium)염, 요오드화합물, 비소 화합물(arsonium salt)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암모늄염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odecyltrimethylammonium chloride),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etyl trimethylammonium bromide),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Cet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황산염(sulfate), 설폰산염(sulfonate), 인산에스테르염(phosphate ester), 카르복시산염(carboxylate), 아미노산염(amino acid salt)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설페이트(sulfate) 또는 설포네이트(sulfonate) "머리(Head, 10)"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암모늄도데실 설페이트(Ammonium dodecyl sulfate), 마그네슘라우레스 설페이트(Magnesium laureth sulfate), 포타슘도데실 설페이트(Potassium dodecyl sulfate), 소듐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소듐라우레스 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소듐미레스 설페이트(Sodium myreth sulfate), 소듐파레스 설페이트(Sodium pareth sulf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비중합성-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아미노산계, 베타인계, 이미다졸린계, 아미노산계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베타인계, 아미노산계를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미노프로피온산(Amino propionic acid), 이미노프로피온산(Imido propionic acid), 라우릴다이메틸베타인(Lauryl dimethyl betaine),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5 중량부,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중량부이며, 상기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005 중량부 미만이면, 지문 가시성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인더 수지의 경화 거동에 관여해 본래의 코팅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도 2는 바인더 수지 내에서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바인더 수지(30)의 표면에 친유성을 나타내는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꼬리(tail, 20)"부분이 위치하여 코팅면의 표면에서 친유성을 나타내고, 이로 인해 내지문 특성을 갖는 친유코팅이 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와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상기 바인더로 사용되는 수지와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형태인 1차결합을 형성하지 않는 계면활성제인 즉,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친유성 표면을 만들면서 바인더로 사용되는 수지의 특징을 모두 보이는 지문 가시성을 감소시키는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제의 조성물에 있어서, 용매는 용해성이 있으며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코팅 후 빠른 증발이 가능한 용매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알콜,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등을 포함하는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에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등을 포함하는 케톤류, 에틸렌 글리콜 등을 포함하는 글리콜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포함하는 퓨란계, 헥산, 톨루엔, 자일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용매의 함량은 바인더 수지 및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바인더 수지 함량 및 계면활성제 함량이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제의 조성물은 기재와 상기 코팅 조성물의 가교시 필요에 따라 광 또는 열 경화제(개시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경화제는 트리클로로 아세토페논(trichloro acetophenone), 디에톡시 아세토페논(diethoxy acetophenone), 1-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1-phenyl- 2-hydroxyl-2-methylpropane-1-one),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 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methyl-1-(4-methyl thiophenyl) -2-morpholinopropane-1-one), 2,4,6-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trimethyl benzoyl diphenylphosphine oxide), 캠퍼 퀴논(camphor quinine),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 부틸레이트),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p-메톡시벤조페논, 2,2-디에톡시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1,2-디페닐 에탄-1-온 등의 광 래디컬 개시제, t-부틸파옥시 말레인산,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1,1-디(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N-부틸-4,4’-디(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등의 열 라디칼 개시제 및 이들의 다양한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양이온 개시제로는 트리페닐술포늄, 디페닐-4-(페닐티오)페닐술포늄 등의 술포늄계, 디페닐요오드늄이나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 등의 요오드늄, 페닐디아조늄 등의 디아조늄, 1-벤질-2-시아노피리니늄이나 1-(나프틸메틸)-2-시아노프리디늄 등의 암모늄, (4-메틸페닐)[4-(2-메틸프로필)페닐]-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요오드늄, 비스(4-t-부틸페닐)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요오드늄, 디페닐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요오드늄, 디페닐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요오드늄, 트리페닐술포늄 테트라풀루오로보레이트, 트리-p-토일술포늄 헥사풀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p-토일술포늄 트리풀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및 (2,4-시클로펜타디엔-1-일)[(1-메틸에틸)벤젠]-Fe 등의 Fe 양이온들과 BF4 -, PF6 -, SbF6 - 등의 [BQ4]- 오늄염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이며,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바인더 수지의 경화도가 떨어져 경화 막 표면의 지문가시효과 또한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부 초과면 광경화에 의한 황변 및 가사시간이 짧아져 공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제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표면평탄화, 기포생성방지 등을 위한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현재 시판되고 있는 상품으로 BYK-307, BYJ-320, BYK-331, BYK-333, BYK-378, BYK-3500, BYK-350, BYK-361N, BYK-388, BYK-399, BYK-055, BYK-063, BYK-071, BYK-085, BYK-390, BYK-014, BYK-020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중량부이며,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제에 의한 효과가 코팅 물성에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부 초과면 경화 물성을 저해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바인더수지,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한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팅 조성물을 기재 상부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기재 상부에 도포된 코팅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층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지문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통상의 혼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와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용매가 든 플라스크에 투입 후 교반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지문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 도포 방법은 바코팅, 슬롯다이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스크린 프린팅, 그라비아 코팅 등의 방법으로 도포 가능하며 특별히 코팅 방법에 제약을 두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하기 실시예에 따른 실험항목에 대한 설명이다.
(1) 접촉각은 DSA-100 (KRUSS社)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용매의 도우징(dosing)양은 3μl이며, 샘플 당 5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재하였다.
(1-1) DI 접촉각은 코팅면과 탈이온수(Deionized water)의 접촉각으로써, 즉 물의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DI접촉각이 90°이하는 친수성이며, 90°이상은 발수성으로 표기한다.
(1-2) DIM 접촉각은 코팅면과 요오드화메틸렌(Diiodomethane, DIM)의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DIM 접촉각이 90°이하는 친유성이며, 90°이상은 발유성으로 표기하며, DIM 접촉각이 낮을수록 친유성이 강한 것을 포함한다. 이는, DIM 접촉각이 낮을수록 지문내의 기름성분이 잘 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2) 표면에너지는 코팅면 표면에 결합 가능한 에너지로써, 일반적으로 표면에너지가 클수록 부착력이 좋다. 하기 Owens-Wendt 식(equation)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식 1]
σ는 표면에너지(mN/m), θ는 코팅면과 측정 액체가 이루는 접촉각(°), 아래첨자 s, l은 각각 기재와 측정 용매부분, 윗첨자 D와 P는 각각 무극성, 극성 상호작용 기여도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측정 용매인 DI의 σD, σP의 값은 각각 21.80 mN/m, 51.00 mN/m이며, DIM의 σD, σP의 값은 각각 50.80 mN/m, 0.00 m N/m이다.
그러므로, 접촉각을 알면 기재의 표면에너지의 무극성(σD) 및 극성(σP) 부분을 알 수 있고, σ = σD + σP 이므로 기재의 표면에너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3) 표면경도는 코팅면 표면의 단단함을 나타내는 수치로, JIS 5600-5-4에 의거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때 하중은 더 가혹조건인 1kgf하중으로 측정하였다. 연필은 Mitsubishi社 제품을 사용하고 한 연필 경도당 5회 실시하여 2개 이상 스크래치가 발생하면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4) 투과율 및 헤이즈(Haze)는 코팅의 불투명한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써, ISO 14782에 의거하여, COH-400 (Nippon Denshoku社)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샘플 당 5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재하였다.
[실시예 1] 지문 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제 제조
바인더 수지로 동진 에폭시계 하드코팅제 DJCG-3-TP (T.S. 50 wt%) 10g에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소듐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 0.005g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를 혼합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SKC社 제품, 250μm 두게의 베이스 필름) 기재 위에 바코팅 및 UV 경화 후, 85℃ 오븐에서 24시간 후 경화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지문 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제 제조
바인더 수지로 동진 에폭시계 하드코팅제 DJCG-3-TP (T.S. 50wt.%) 10g에 비중합성-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odecyltrimethylammonium chloride, DTAB) 0.005g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중량부)을 혼합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PET(SKC社 250μm) 기재 위에 바코팅 및 UV 경화 후, 85℃ 오븐에서 24시간 후경화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지문 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제 제조
바인더 수지로 동진 에폭시계 하드코팅제 DJCG-3-TP (T.S. 50wt.%) 10g에 비중합성-양쪽성 계면활성제 라우릴다이메틸 베타인(Lauryl dimethyl betaine) 0.005g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중량부)을 혼합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PET(SKC社 250μm) 기재 위에 바코팅 및 UV 경화 후, 85℃ 오븐에서 24시간 후경화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지문 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제 제조
바인더 수지로 동진 에폭시계 하드코팅제 DJCG-3-TP (T.S. 50wt.%) 100g에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듐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 0.001g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002 중량부)을 혼합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PET(SKC社 250μm) 기재 위에 바코팅 및 UV 경화 후, 85℃ 오븐에서 24시간 후경화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지문 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제 제조
바인더 수지로 동진 에폭시계 하드코팅제 DJCG-3-TP (T.S. 50wt.%) 10g에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듐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 0.35g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7.0 중량부)을 혼합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PET(SKC社 250μm) 기재 위에 바코팅 및 UV 경화 후, 85℃ 오븐에서 24시간 후경화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지문 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제 제조
바인더 수지로 동진 아크릴계 하드코팅제 RDEX-B (T.S. 50wt.%) 10g에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듐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 0.05g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을 혼합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PET(SKC社 250μm) 기재 위에 바코팅 및 UV 경화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지문 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제 제조
바인더 수지로 동진 아크릴계 하드코팅제 RDEX-B (T.S. 50wt.%) 10g에 비중합성-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odecyltrimethyl ammonium chloride, DTAB) 0.005g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을 혼합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PET(SKC社 250μm) 기재 위에 바코팅 및 UV 경화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지문 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제 제조
바인더 수지로 동진 아크릴계 하드코팅제 RDEX-B (T.S. 50wt.%) 10g에 비중합성-양쪽성 계면활성제 라우릴다이메틸 베타인(Lauryl dimethyl betaine) 0.005g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중량부)을 혼합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PET(SKC社 250μm) 기재 위에 바코팅 및 UV 경화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코팅제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에서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으로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코팅제 제조
바인더 수지로 동진 에폭시계 하드코팅제 DJCG-3-TP (T.S. 50wt.%) 10g에 비중합성-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글리세롤 모노스티레이트(Glycerol monostearate) 0.005g (바인더 수지 대비 0.1 중량부)을 혼합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PET(SKC社 250μm) 기재 위에 바코팅 및 UV 경화하였다. 상기 비교예에 따른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코팅제 제조
바인더 수지로 동진 에폭시계 하드코팅제 DJCG-3-TP (T.S. 50wt.%) 10g에 비중합성-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글리세롤 모노스티레이트(Glycerol monostearate) 0.05g (바인더 수지 대비 1.0 중량부)을 혼합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PET(SKC社 250μm) 기재 위에 바코팅 및 UV 경화하였다. 상기 비교예에 따른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코팅제 제조
바인더 수지로 동진 에폭시계 하드코팅제 DJCG-3-TP (T.S. 50wt.%) 10g에 비중합성-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글리세롤 모노스티레이트(Glycerol monostearate) 0.25g (바인더 수지 대비 5.0 중량부)을 혼합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PET(SKC社 250μm) 기재 위에 바코팅 및 UV 경화하였다. 상기 비교예에 따른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코팅제 제조
바인더 수지로 동진 아크릴계 하드코팅제 RDEX-B (T.S. 50wt.%) 10g에 라디칼 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 에스테르염[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주) 제품, 상품명 「아쿠아론HS-20」0.05g (바인더 수지 대비 0.1 중량부)을 혼합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PET(SKC社 250μm) 기재 위에 바코팅 및 UV 경화하였다. 상기 비교예에 따른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코팅제 제조
바인더 수지로 동진 아크릴계 하드코팅제 RDEX-B (T.S. 50wt.%) 10g에 라디칼 중합성-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 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주) 제품, 상품명 「아쿠아론 RN-10」0.05g (바인더 수지 대비 0.1중량부)을 혼합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PET(SKC社 250μm) 기재 위에 바코팅 및 UV 경화하였다. 상기 비교예에 따른 물성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바인더
수지
계면
활성제
계면
활성제 함량
코팅
두께
(㎛)
표면
경도
(1kgf)
투과율
(%)
헤이즈
(Haze,
%)
DI
접촉각
(°)
DIM
접촉각
(°)
표면
에너지
(mN/m)
베이스
필름
- - - - < 10B 89.93 1.03 51.1 45.2 55.62
실시예1 에폭시계 비중합성-
음이온성
0.1
중량부
40 5H 91.96 1.03 54.1 21.8 60.14
실시예2 에폭시계 비중합성-양이온성 0.1
중량부
40 5H 91.88 1.07 61.2 30.3 54.41
실시예3 에폭시계 비중합성-양쪽성 0.1
중량부
40 5H 91.83 1.05 61.9 31.5 53.71
실시예4 에폭시계 비중합성-음이온성 0.02
중량부
40 5H 91.96 1.03 81.4 60.4 34
실시예5 에폭시계 비중합성-음이온성 7
중량부
40 4H 85.78 5.47 60.2 34.7 53.62
실시예6 아크릴계 비중합성-음이온성 0.1
중량부
40 4H 91.86 1.04 61.8 31.6 53.72
실시예7 아크릴계 비중합성-양이온성 0.1
중량부
40 4H 91.53 1.08 62.6 32.5 53.15
실시예8 아크릴계 비중합성-양쪽성 0.1
중량부
40 4H 91.29 1.11 63.5 32.9 52.69
비교예1 에폭시계 - - 40 4H 91.86 1.05 83.6 61.1 32.82
비교예2 에폭시계 비중합성-비이온성 0.1
중량부
40 4H 90.48 1.03 84.1 63.5 31.63
비교예3 에폭시계 비중합성-비이온성 1
중량부
40 4H 88.21 2.87 83.8 63.7 31.67
비교예4 에폭시계 비중합성-비이온성 5
중량부
40 4H 85.78 5.47 82.5 61.7 33.01
비교예5 아크릴계 중합성-
음이온성
0.1
중량부
40 4H 90.15 1.25 73.05 37.29 63.5
비교예6 아크릴계 중합성-
비이온성
0.1
중량부
40 4H 89.01 1.4 84.1 46.67 31.63
상기 표 1로부터,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 또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에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8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비중합성-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2 내지 4, 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5, 중합성-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6을 비교하면, 표면경도, 투과율, 헤이즈 값은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필름 표면의 친유성 정도를 나타내는 DIM 접촉각이 확연히 낮아, 지문내의 기름 성분이 잘 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면에너지가 비교예보다 크므로,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필름의 부착력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와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실험데이터의 값이 친유성이 가장 가하게 나타나 지문내의 기름성분이 잘 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실시예 2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을 비교하면, 코팅두께, 표면경도, 투과율, 헤이즈는 비교예 1과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도 코팅필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DIM 접촉각을 보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실시예 2의 실험값이 비교예 1보다 확연히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친유성이 강한 것을 의미하며, 지문내의 기름성분이 잘 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면에너지가 비교예 1보다 크므로, 부착력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실시예 3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을 비교하면, 코팅두께, 표면경도, 투과율, 헤이즈는 비교예 1과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도 코팅필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DIM 접촉각을 보면,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실시예 3의 실험값이 비교예 1보다 확연히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친유성이 강한 것을 의미하며, 지문내의 기름성분이 잘 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면에너지가 비교예 1보다 크므로, 부착력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달리한 실시예를 보면, 계면활성제가 7.0% 첨가된 실시예 5에서 표면경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투과율 또한 실시예 1 및 4와 비교하였을 때, 값이 낮으며 헤이즈 값도 다른 실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측정된 것을 알 수 있다. DIM 접촉각을 비교해 보면, 실시예 4의 실험값이 다른 실시예보다 확연히 큰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친유성이 낮은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지문 내의 기름성분이 잘 퍼지는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의 표면에너지 값이 다른 실시예보다 작으므로, 부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0.1% 포함한 실시예 1이 보다 우수하다.
바인더 수지를 달리한 실시예 1 및 6을 비교하면,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를 사용한 실시예 6이 실시예 1에 비해 표면경도가 약하다. DIM 접촉각을 비교하면,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를 사용한 실시예 1의 값이 실시예 6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며, 이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코팅한 필름의 친유성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표면에너지 또한, 실시예 6보다 실시예 1의 값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부착력이 더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달리한 비교예 2 내지 4를 보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비교예 모두 표면경도가 약하고, DIM 접촉각에서도 모두 90°이하로 친유성을 나타내긴 하지만, DIM 접촉각의 값이 낮을수록 친유성이 강한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비교예들의 친유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과 특히 비교예 2에서 헤이즈 값이 상대적으로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표면에너지는 상기 비교예 모두 작은 값으로 부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을 알 수 있다.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에서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실시예 6)에 비해 중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비교예 5)의 DIM 접촉각을 비교하면,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사용한 실시예 6의 값이 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비교예 5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며, 이는 실시예 6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코팅한 필름의 친유성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표면에너지 또한, 비교예 5보다 실시예 6의 값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부착력이 더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에서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실시예 6)에 비해 중합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비교예 6)의 DIM 접촉각을 비교하면,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사용한 실시예 6의 값이 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비교예 6 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며, 이는 실시예 6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코팅한 필름의 친유성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표면에너지 또한, 비교예 6보다 실시예 6의 값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부착력이 더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바인더 수지;
    비중합성-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중합성-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 중량부인 것인,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합성-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암모늄도데실 설페이트, 마그네슘라우레스 설페이트, 포타슘도데실 설페이트, 소듐도데실 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 설페이트, 소듐미레스 설페이트, 소듐파레스 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지문 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비중합성-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아미노프로피온산, 이미노프로피온산, 라우릴다이메틸베타인,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지문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셀룰로오즈 수지, 에스테르 수지, 비닐 수지 및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지문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광 또는 열 경화형 라디컬 및 양이온 개시제들로부터 선택되는 경화제를 더욱 포함하며, 바인더 수지 질량대비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인, 지문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에폭시 수지이고, 상기 비중합성-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비중합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지문가시성이 감소된 코팅 조성물.
KR1020170183955A 2017-12-29 2017-12-29 지문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층 제조방법 KR102571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955A KR102571619B1 (ko) 2017-12-29 2017-12-29 지문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층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955A KR102571619B1 (ko) 2017-12-29 2017-12-29 지문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층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423A KR20190081423A (ko) 2019-07-09
KR102571619B1 true KR102571619B1 (ko) 2023-08-28

Family

ID=6726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955A KR102571619B1 (ko) 2017-12-29 2017-12-29 지문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층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6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0604A2 (de) * 2000-11-20 2002-05-23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Anti-fingerabdruck-beschichtung von metalloberflächen und dazu geeignete zubereitungen
KR101726095B1 (ko) 2015-12-24 2017-04-12 주식회사 포스코 내식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크롬프리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크롬프리 코팅 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크롬프리 코팅 강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4929A2 (en) * 2010-09-30 2012-04-05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Structured acrylate copolymer for use in multi-phase systems
RU2016141382A (ru) * 2014-03-31 2018-05-10 Акцо Нобель Коатингс Интернэшнл Б.В.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крытия, не оставляющего отпечатков пальцев, изделия из него, способ ее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0604A2 (de) * 2000-11-20 2002-05-23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Anti-fingerabdruck-beschichtung von metalloberflächen und dazu geeignete zubereitungen
KR101726095B1 (ko) 2015-12-24 2017-04-12 주식회사 포스코 내식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크롬프리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크롬프리 코팅 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크롬프리 코팅 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423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9976B2 (ja) ディスプレイ用貼着フィルム
CN104903755B (zh) 耐指纹性防反射膜
JP4906283B2 (ja) 赤外線吸収フィルム
JP2010208035A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655660B2 (ja)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近赤外線遮蔽体
JP6369187B2 (ja) インサート成型用耐指紋性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樹脂成型品
JP7268006B2 (ja) 反射防止板
JP2011065966A (ja) 導電性微粒子分散液、導電性微粒子含有光硬化性組成物、及び導電性微粒子含有硬化膜
KR20110060811A (ko) 반사 방지용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경화성 조성물
TWI321142B (ko)
KR102571619B1 (ko) 지문가시성이 감소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층 제조방법
JP5709706B2 (ja) 透明被膜形成用塗料および透明被膜付基材
JP2020034416A (ja) 耐指紋性の評価方法、光学部材の生産方法および光学部材
JP5837292B2 (ja) 透明導電膜形成用組成物、透明導電膜、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
KR20100074024A (ko) 반사 방지 필름
JP7153114B2 (ja) 透明被膜形成用の塗布液及び透明被膜付基材
CN111902044A (zh) 抗菌性组合物、抗菌膜、带抗菌膜的基材
JP2008233371A (ja) 反射防止フィルム
KR101184995B1 (ko) 반사 방지용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경화성 조성물
JP4820838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を用いた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並びに反射防止フィルム
KR101084474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하드 코팅 필름 및 반사 방지 필름
KR20210131483A (ko)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제
JP4831377B2 (ja) 反射防止用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硬化性組成物
JP2020059262A (ja) ホワイトボードシート
KR20180032175A (ko) 폴리머막을 채용한 광학 부재, 편광 부재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