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037B1 -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 Google Patents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1037B1 KR102571037B1 KR1020217012070A KR20217012070A KR102571037B1 KR 102571037 B1 KR102571037 B1 KR 102571037B1 KR 1020217012070 A KR1020217012070 A KR 1020217012070A KR 20217012070 A KR20217012070 A KR 20217012070A KR 102571037 B1 KR102571037 B1 KR 1025710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ping
- concave
- operating rod
- distal end
- conve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2—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involving special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handles and the jaws, e.g. toggle levers,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Forg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파지부의 중앙부 및 선단부에서 다양한 파지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를 제공한다.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는, 절연 조작봉(14)과 파지부(12)와 보조 절연 조작봉(24)과 파지 조작부(26)를 구비한다. 파지부(12)는, 가동 파지부(20)와 고정 파지부(22)를 구비한다. 고정 파지부(22) 및 가동 파지부(20)는, 각각, 기단부(22a), (20a)와 중앙부(22b), (20b)와 선단부(22c), (20c)를 구비한다. 중앙부(22b), (20b)는, 각각,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방향의 내측에서 파지 대상물(84)에 맞닿는 부분이며 기단부 측으로부터 선단부 측을 향해 연속하여 면(V)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22b1s), (20b1s) 및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22b1t), (20b1t)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간접 활선(indirect hot-line) 공사용 파지 공구(gripping tool)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른바 절연 펜치(insulated penchi)라고 하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는, 절연 조작봉(operation rod)의 선단에 파지부(把持部; gripping part)가 설치되어 있다. 절연 펜치의 파지부는, 고정 파지부와 가동(可動) 파지부에 의해 구성되고, 가동 파지부가 고정 파지부를 향해 회동함으로써, 파지부에서의 선단부가 협지(sandwich)하도록 하여, 파지 대상물(對象物)을 파지한다. 즉, 절연 펜치는, 파지부의 선단부에서,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절연 펜치는, 파지 대상물이 매우 대경(大徑)인 전선인 경우에는, 파지부의 선단부의 개방하는 각도가 커지고,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와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대향하지 않을 정도의 각도로 된 경우에는, 상기 파지 대상물을 파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절연 펜치는, 파지부의 중앙부에서 끼워넣도록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파지부의 선단부에서 파지할 수 없는 정도의 대경의 파지 대상물을 파지할 필요가 있을 때는, 다시 대형의 절연 펜치를 준비하거나, 파지부의 중앙부에서 끼워넣도록 파지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는 이른바 절연 퀵(insulated quick)을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파지부의 중앙부 및 선단부에서 다양한 파지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는, 전선과 인체와의 사이에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안전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절연성의 절연 조작봉과, 절연 조작봉의 축선(軸線) 방향의 선단에 설치되고, 절연 조작봉에 설치된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근접 및 이격되는 가동 파지부와 고정 파지부를 구비하는 파지부와, 선단에 접속된 파지부의 근접 및 이격 동작을 보조하는 절연성의 보조 절연 조작봉과, 절연 조작봉의 기단부(基端部) 근방에 장착되고 보조 절연 조작봉의 기단부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접속되고 지레(lever)의 작용으로 보조 절연 조작봉을 그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파지부를 조작하는 파지 조작부를 구비하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이다.
고정 파지부는, 절연 조작봉의 선단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기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을 포함하는 면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중앙부와, 중앙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선단부를 구비한다.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는, 면 방향의 내측에서 파지 대상물에 맞닿는 부분이며 기단부 측으로부터 선단부 측을 향해 연속하여 면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는 파형(波形)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 및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를 가진다. 가동 파지부는, 보조 절연 조작봉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기단부와, 기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의 볼록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면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중앙부와, 중앙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고정 파지부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 가능하도록, 기단부가 고정 파지부의 기단부에 추축(樞軸; pivot)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는, 면 방향의 내측에서 파지 대상물에 맞닿는 부분이며 기단부 측으로부터 선단부 측을 향해 연속하여 면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 및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를 가진다.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와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는,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대략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에 의하면, 전선과 인체와의 사이에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안전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절연성의 절연 조작봉과, 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 설치되고, 절연 조작봉에 설치된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근접 및 이격되는 가동 파지부와 고정 파지부를 구비하는 파지부와, 선단에 접속된 파지부의 근접 및 이격 동작을 보조하는 절연성의 보조 절연 조작봉과, 절연 조작봉의 기단부 근방에 장착되고 보조 절연 조작봉의 기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지레의 작용으로 보조 절연 조작봉을 그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파지부를 조작하는 파지 조작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와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는,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대략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향한 상태에서 비교적 소경(小徑), 판형 또는 천형(布形)의 파지 대상물을 협지하도록 파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파지부는, 절연 조작봉의 선단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기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을 포함하는 면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중앙부와, 중앙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는, 면 방향의 내측에서 파지 대상물에 맞닿는 부분이며 기단부 측으로부터 선단부 측을 향해 연속하여 면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 및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를 가진다.
그리고, 가동 파지부는, 보조 절연 조작봉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기단부와, 기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의 볼록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면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중앙부와, 중앙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고정 파지부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 가능하도록, 기단부가 고정 파지부의 기단부에 추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는, 면 방향의 내측에서 파지 대상물에 맞닿는 부분이며 기단부 측으로부터 선단부 측을 향해 연속하여 면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 및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를 가지므로,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와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와의 사이에서, 비교적 대경의 파지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가 구비하는 제1 오목부에, 파지부의 선단부에서 파지할 수 없을 정도의 대경의 파지 대상물을 인입할 수가 있고 또한,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가 구비하는 제1 볼록부에 의해, 제1 오목부에 인입된 파지 대상물이 선단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파지부의 제1 오목부에 인입된 파지 대상물은, 파지 조작부에 의한 조작에 의해 고정 파지부에 접근하는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가 구비하는 제1 오목부에 의해, 고정 파지부의 제1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안정적으로 파지되게 된다. 또한, 고정 파지부의 제1 오목부와 가동 파지부의 제1 오목부에 파지된 파지 대상물은,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가 구비하는 제1 볼록부에 의해서도, 파지 대상물이 선단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는, 또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는, 또한,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1 볼록부의 선단부 측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면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를 구비하고,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는, 또한,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1 볼록부의 선단부 측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면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를 가진다.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에 의하면,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가 구비하는 제2 오목부와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가 구비하는 제2 오목부와의 사이에서, 비교적 중경(中徑)의 파지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전선과 인체와의 사이에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안전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절연성의 절연 조작봉과, 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 설치되고, 절연 조작봉에 설치된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근접 및 이격되는 가동 파지부와 고정 파지부를 구비하는 파지부와, 선단에 접속된 파지부의 근접 및 이격 동작을 보조하는 절연성의 보조 절연 조작봉과, 절연 조작봉의 기단부 근방에 장착되고 보조 절연 조작봉의 기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지레의 작용으로 보조 절연 조작봉을 그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파지부를 조작하는 파지 조작부를 구비하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로서, 고정 파지부는, 절연 조작봉의 선단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기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을 포함하는 면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중앙부와, 중앙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가동 파지부는, 보조 절연 조작봉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기단부와, 기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의 볼록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면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중앙부와, 중앙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고정 파지부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 가능하도록, 기단부가 고정 파지부의 기단부에 추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와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는,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대략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는, 면 방향으로 굴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는, 면 방향으로 굴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의 볼록부와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오목부는,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맞물리고,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의 오목부와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볼록부는,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맞물린다.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에 의하면,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는, 면 방향으로 굴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는, 면 방향으로 굴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의 볼록부와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오목부는,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맞물리고,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의 오목부와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볼록부는,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맞물리므로,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대략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와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는, 천형의 파지 대상물을 그 양면으로부터 협지할 수 있고 또한, 맞물리는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의 볼록부 및 오목부와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천형의 파지 대상물을, 파형상으로 굴곡되는 각각의 볼록부 및 오목부에 넣어, 파지부의 선단부로부터 빠져나가 이탈되지 않도록, 보다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에 의하면, 파지부의 중앙부 및 선단부에서 다양한 파지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 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 파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고정 파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가동 파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파지부의 중앙부에 있어서 비교적 대경의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파지부의 중앙부에 있어서 비교적 중경의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파지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천형의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개방한 상태에 있는 파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 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 파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고정 파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가동 파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파지부의 중앙부에 있어서 비교적 대경의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파지부의 중앙부에 있어서 비교적 중경의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파지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천형의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개방한 상태에 있는 파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방향 또는 면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를 구성하는 절연 조작봉의 축선과 직교 내지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축선에 접근하는 방향을 내측 방향이라고 하고, 절연 조작봉의 축선과 직교 내지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외측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절연 조작봉에 있어서, 작업자의 손에 파지되는 측의 단을 기단(基端; base end)이라고 하고, 파지부가 설치되는 측의 단을 선단이라고 한다. 기단과 선단과의 위치 관계는, 파지부 내지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전체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한다. 또한, 절연 조작봉의 축선을 지나고, 기단 방향 또는 선단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을, 축선 방향 A라고 한다. 또한,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근접 및 이격되는 가동 파지부와 고정 파지부를 구비하는 파지부에 있어서, 그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을 B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을 포함하는 면(V)은, 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과, 축선 방향으로 교차하는 B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면이다.
그리고,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는, 절연 조작봉(14)과, 절연 조작봉(14)의 선단에 설치되는 파지부(12)와, 절연 조작봉(14)의 기단부 근방에 설치되는 파지 조작부(26)와, 파지 조작부(26)에 의한 조작을 파지부(12)에 전달하는 보조 절연 조작봉(24)을 구비한다. 파지부(12)는, 가동 파지부(20)와 고정 파지부(22)를 구비하고, 파지 조작부(26)는, 파지부(12)를 구성하는 가동 파지부(20)의 B 방향에서의 고정 파지부(22)와의 근접 및 이격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절연 조작봉(14)은,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된 원기둥형의 봉형(棒形) 부재이다.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는, 고압 배전선(配電線)의 인하선(引下線)의 절단 작업 등에 사용되는 공구이므로, 절연 조작봉(14)은, 전선과 인체와의 사이에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안전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진다.
절연 조작봉(14)에는, 연면(沿面) 방전이나 누전을 피하기 위해, 차양(16)이나 플랜지(flange)(18)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 조작봉(14)의 선단에는 파지부(12)가 설치되어 있고, 절연 조작봉(14)의 기단부 근방에는 파지 조작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연 조작봉(14)에 의해, 작업자는, 선단에 설치된 파지부(12)를 작업 위치에 위치결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파지 조작부(26)에 의해 파지부(12)의 근접 및 이격 조작을 행한다.
보조 절연 조작봉(24)은, 절연 조작봉(14)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누전, 연면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양(16)이나 플랜지(18)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선단부는, 후술하는 가동 파지부(20)의 기단부(20a)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기단부는, 후술하는 파지 조작부(26)의 작동편(26e)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조 절연 조작봉(24)은, 절연 조작봉(14)에 병설되고, 절연 조작봉(14)의 선단에 장착된 파지부(12)의 파지 조작부(26)에 의한 근접 및 이격 조작을 보조한다.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선단부에는, 가동 파지부(20)의 기단부(20a)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선단구(先端具)(25)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도 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구(25)는, 선단(25b) 측이 도중에 양다리형으로 2개로 나누어지는 대략 원기둥형체이며 기단(25a) 측이 개구되도록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단구(25)는, 기단(25a) 측의 개구 부분의 내경(內徑)이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직경과 일치하고 있고, 기단(25a) 측의 개구 부분에서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선단부를 끼워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단구(25)는, 선단(25b) 측이 선단(25b)으로부터 기단(25a)을 향하고 또한 직경 방향을 횡단하도록, 측면에서 볼 때 오목형으로 절결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구(25)는, 선단(25b)의 근방에, 리벳공(25d)이 형성되고, 리벳공(25d)은, 상기 오목형의 절결(切缺)과 직교하도록 또한 중심선을 직경 방향으로 지나도록 개구된다.
또한, 선단구(25)는, 기단(25a)의 근방에, 볼트공(25c)이 형성되고, 볼트공(25c)은, 리벳공(25d)과 평행하게 개구되는, 즉, 중심선을 직경 방향으로 지나도록 개구되어 있다.
선단구(25)는, 기단(25a) 측으로부터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선단부가 끼워져 장착되고, 볼트공(25c)으로부터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선단부를 관통하는 볼트(25e)가 삽통(揷通)되어, 보조 절연 조작봉(24)과 일체로 된다.
또한, 선단구(25)는, 리벳공(25d)과 선단구(25)의 선단(25b) 측에 위치하는 가동 파지부(20)의 기단부(20a)의 후술하는 기단측(基端側) 리벳공(20e)을 일치시키고, 리벳(42)을 리벳공(25d)과 리벳공(20e)에 삽통시키고, 가동 파지부(20)를 보조 절연 조작봉(24)에 접속된다.
파지부(12)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에 있어서, 파지 대상물(84)에 접근하여, 선단부에 있어서, 파지 대상물(84)을 협지하도록 하여 파지할 수 있고, 중앙부에 있어서, 파지 대상물(84)을 협지하여, 감싸넣도록 하여 파지하는 것이다.
파지부(12)는, 가동 파지부(20)와 고정 파지부(22)를 구비한다.
절연 조작봉(14)에 연접(連接)된 가동 파지부(20)는, 절연 조작봉(14)에 연결된 기단부(22a)로부터 보조 절연 조작봉(24) 측으로 신장되고, 또한, 절연 조작봉(14)은 반대측으로 위쪽을 향해 신장되어 있고, 한편, 보조 절연 조작봉(24)에 연접된 고정 파지부(22)는, 보조 절연 조작봉(24)에 연결된 가동 파지부의 기단부(a)로부터 절연 조작봉(14) 측으로 신장되고, 또한, 절연 조작봉(14)이 신장되는 위쪽을 향해 신장되어 있다. 가동 파지부(20)와 고정 파지부(22)는, 추축[후술하는 추축(30)]을 중심으로 하여 교차하고, U자형으로 신장되는 협지 구조를 형성한다.
고정 파지부(22)는, 파지부(12)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고정 파지부(22)는, 경질(硬質) 재료, 예를 들면,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파지부(22)는, 절연 조작봉(14)의 선단부를 끼워장착하기 위한 피팅부(fitting portion)(15)와, 피팅부(15)의 선단 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기단부(22a)와, 기단부(22a)의 선단 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중앙부(22b)와, 중앙부(22b)의 선단 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선단부(22c)을 가진다.
고정 파지부(2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형상으로서,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에 대하여 외측 방향에 대략 45°경사지고,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상에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기단부(22a)로부터 선단부(22c)에 걸쳐,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상에서 서서히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있어서,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은, 지면(紙面)과 일치한다.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고정 파지부의 기단부(22a)의 후단부에 걸쳐 넓어지는 종단면과 대략 일치하는 평면이며, 고정 파지부(22)의 폭 방향과는 직교하는 평면이다.
피팅부(1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측이 폐쇄되어 기단부(22a)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도록 형성되고, 기단(15a) 측이 대략 원통형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팅부(15)는, 기단(15a) 측의 개구 부분의 내경이 절연 조작봉(14)의 직경과 일치하고 있고, 기단(15a) 측의 개구 부분에서 절연 조작봉(14)의 선단부를 끼워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팅부(15)는, 원통면을 형성하고 있는 측면에, 중심선을 직경 방향(내외 방향)으로 지나도록 개구되는 볼트공(15c)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팅부(15)는, 기단(15a) 측으로부터 절연 조작봉(14)의 선단부를 내포하고, 절연 조작봉(14)의 선단부를 관통하는 볼트(15e)를, 볼트공(15c)으로부터 삽통시켜, 절연 조작봉(14)과 접속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파지부(22)의 기단부(22a)는, 피팅부(15)에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부(22a)는,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에 대하여 대략 45°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기단부(22a)의 도중에, 외측 방향으로 만곡되고,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에 대하여 대략 90°로 되도록 연장되는 굴곡부(22av)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부(22a)는, 가동 파지부(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볼트(30)를 통하기 위한 볼트공(22d)이 형성되고, 볼트공(22d)은, 굴곡부(22av)의 근방에 있어서,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22b)는, 기단부(22a)에 연이어 형성되고, 전체 형상이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상에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22b)는, 외측면에 있어서,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에 대하여 대략 90°경사지는 기단부(22a)에 원활하게 연속되면서도, 서서히 내측 방향으로 곡률을 바꾸어 만곡된다.
또한, 중앙부(22b)는, 내측면에 있어서, 4개의 평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파지 대상물(84)에 맞닿기 위한 맞닿는 면(abutment surface)인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21b),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22b), 중앙부 제3 맞닿는 면(223b) 및 중앙부 제4 맞닿는 면(224b)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21b)은, 기단부(22a)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속하여,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면이다.
또한,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22b)은,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21b)의 선단 측 끝에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면서 연속되는 평면이다. 중앙부 제3 맞닿는 면(223b)은,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22b)의 선단 측 끝에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굴곡되면서 연속되는 면이다.
중앙부 제4 맞닿는 면(224b)은, 중앙부 제3 맞닿는 면(223b)의 선단 측 끝에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면서 연속되는 면이다.
또한,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21b),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22b), 중앙부 제3 맞닿는 면(223b) 및 중앙부 제4 맞닿는 면(224b)은,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방향의 내측에서 파지 대상물(84)에 맞닿는 부분이며, 기단부(22a) 측으로부터 선단부(22c) 측을 향해 연속하여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22b1s),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22b1t) 및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22b2s)를 구비한다.
고정 파지부(22)의 제1 오목부(22b1s) 및 오목한 제2 오목부(22b2s)는, 가동 파지부(20)의 후술하는 중앙부(20b)의 제1 오목부(20b1s) 및 제2 오목부(20b2s)와의 사이에서 협지하여 감싸넣도록 하여, 파지 대상물(84)을 파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세하게는, 제1 오목부(22b1s)는,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의 축선 방향 A에서의 기단측의 위치 내지 중간 부근에 있어서, 중앙부(22b)의 내측면이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것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제1 오목부(22b1s)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형으로 굴곡되는 오목부이며, 그 굴곡 각도는, 대략 134°이다. 제1 오목부(22b1s)에 의해, 중앙부(22b)의 내측면은, 외측 방향으로의 경사를 내측 방향 내지 축선 방향 A에 대한 경사로 변한다. 즉, 제1 오목부(22b1s)는,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21b)과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22b)과의 접속부이다.
제1 볼록부(22b1t)는, 제1 오목부(22b1s)로부터 내측 방향 내지 축선 방향 A 또한 선단 측을 향해 연속하는 중앙부(22b)의 내측면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함으로써 형성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제1 볼록부(22b1t)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형으로 굴곡되는 볼록부이며, 그 굴곡 각도는, 대략 114°이다. 제1 볼록부(22b1t)에 의해, 중앙부(22b)의 내측면은, 내측 방향 내지 축선 방향 A에 대한 경사를 다시 외측 방향으로의 경사로 변한다.
즉, 제1 볼록부(22b1t)는,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22b)과 중앙부 제3 맞닿는 면(223b)과의 접속부이다.
제2 오목부(22b2s)는,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의 축선 방향 A에서의 선단 측의 위치에 있어서, 중앙부(22b)의 내측면이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것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제2 오목부(22b2s)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형으로 굴곡되는 오목부이며, 그 굴곡 각도는, 대략 137°이다.
제2 오목부(22b2s)에 의해, 중앙부(22b)의 내측면은, 외측 방향으로의 경사를 그 경사각이 저하된 즉 완만한 외측 방향으로의 경사로 변한다. 즉, 제2 오목부(22b2s)는, 중앙부 제3 맞닿는 면(223b)과 중앙부 제4 맞닿는 면(224b)과의 접속부이다.
제1 오목부(22b1s), 제1 볼록부(22b1t) 및 제2 오목부(22b2s)를, 기단부(22a)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공(22d)으로부터 선단부(22c)를 향해 신장된 가상(假想) 평면(C1)과의 관계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 평면(C1)에 대하여, 제1 오목부(22b1s)는, 외측에 위치한다. 한편, 가상 평면(C1)에 대하여, 제1 볼록부(22b1t)는, 내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상 평면(C1)에 대하여, 제2 오목부(22b2s)는, 외측에 위치한다.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는, 그 내측에서 파지 대상물(84)에 맞닿고, 대향하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와의 사이에 협지하여, 파지 대상물(84)을 파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22c)는, 중앙부(22b)와 연이어 형성된다. 선단부(22c)의 외측면은, 기단측이 중앙부(22b)의 외측면에 원활하게 연속하여 연이어 형성되고, 선단 측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약간 만곡되도록 형성되고,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대략 45°경사지는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22c)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 측으로서 내측에 복수의 홈을 가지고 파지 대상물(84)에 맞닿는 면인 선단부 맞닿는 면(220c)을 구비한다. 선단부 맞닿는 면(220c)은, 가상 평면(C1)을 따라 선단부(22c)에 형성되는 면이다. 그리고, 선단부(22c)는, 그 전체 형상으로서, 가상 평면(C1)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22c)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단측으로서 내측에,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방향으로 굴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2ct)와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22cs)를 구비한다.
볼록부(22ct)는, 중앙부(22b)의 내측면에 연이어 형성되고, 중앙부(22b)의 내측면보다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오목부(22cs)는, 볼록부(22ct)의 선단 측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선단부 맞닿는 면(220c)보다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부분이다.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볼록부(22ct)와 후술하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의 오목부(20cs)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에 접촉할 때, 맞물린다. 동시에,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오목부(22cs)와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의 볼록부(20ct)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에 접촉할 때, 맞물린다.
상세하게는,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볼록부(22ct)는, 고정 파지부(22)의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3개의 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볼록부 경사면(22ct1)과 볼록부 천정면(22ct2)과 볼록부 수직면(22ct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볼록부 수직면(22ct3)은, 중앙부(22b)의 내측면의 선단 측 끝에지로부터 가상 평면(C1)과 직교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신장되는 면이며,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평면이다.
볼록부 천정면(22ct2)은, 볼록부 수직면(22ct3)의 내측단(內側端) 에지로부터 가상 평면(C1)에 평행하게 신장되는 면이며,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면이다. 볼록부 천정면(22ct2)은, 볼록부(22ct)의 천정면을 구성하는 면이다. 볼록부 천정면(22ct2)은, 가상 평면(C1)보다 내측의 위치에 있다.
볼록부 경사면(22ct1)는, 볼록부 천정면(22ct2)의 선단 측 끝에지로부터 외측 방향이자 또한 선단 방향으로 신장되는 면이며,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면이다. 볼록부 경사면(22ct1)는, 볼록부(22ct)를 선단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서서히 내측 방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면이다.
이로써, 파지부(12)의 선단 측으로부터 천형의 파지 대상물(84)을 삽입하여, 파지부(12)가 천형의 파지 대상물(84)을 파지하려고 할 때, 천형의 파지 대상물(84)의 끝에지가 볼록부(22ct)에 걸리므로, 파지부(12)의 중앙부에까지 삽입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볼록부 경사면(22ct1)의 선단 측 끝에지는, 가상 평면(C1)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오목부(22cs)는, 고정 파지부(22)의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2개의 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오목부 경사면(22cs1)과 오목부 바닥면(22cs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오목부 바닥면(22cs2)은, 볼록부 경사면(22ct1)의 선단 측 끝에지로부터 가상 평면(C1)을 따라 선단 방향으로 신장되는 면이며,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면이다. 오목부 바닥면(22cs2)은, 가상 평면(C1)보다 외측의 위치에 있다. 오목부 경사면(22cs1)은, 오목부 바닥면(22cs2)의 선단 측 끝에지로부터 내측을 향하고 또한 선단 방향으로 신장되는 면이며,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면이다. 오목부 경사면(22cs1)의 선단 측 끝에지는, 가상 평면(C1)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오목부 경사면(22cs1)의 선단 측 끝에지는, 선단부 맞닿는 면(220c)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파지부(22)에는, 긴 구멍(22g)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22g)은, 볼트(30)가 신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을 따라 신장되고, 기단부(22a)로부터 중앙부(22b)의 선단 측에 걸쳐 연속되고, 또한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도록 개방되어 있는 구멍이다.
긴 구멍(22g)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파지부(22) 내에 가동 파지부(20)의 후술하는 기단부(20a)가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기 위한 구멍이다.
가동 파지부(20)는, 파지부(12)를 구성하는 부재이며, 고정 파지부(22)에 대하여, 도 1에 나타낸 B 방향으로, 절연 조작봉(14)에 설치된 파지 조작부(26)의 조작에 의해 근접 및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동 파지부(20)는, 경질 재료, 예를 들면,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파지부(20)는, 기단부(20a)와, 기단부(20a)의 선단 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중앙부(20b)와, 중앙부(20b)의 선단 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선단부(20c)를 가진다.
가동 파지부(20)는, 전체 형상으로서,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상에서 고정 파지부(22)의 전체 형상의 볼록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상에서 서서히, 기단부(20a)로부터 선단부(20c)에 걸쳐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있어서,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은, 지면과 일치한다.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파지부(20)의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20C)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가동 파지부의 기단부(20a)의 후단부에 걸쳐 넓어지는 종단면과 대략 일치하는 평면이며, 가동 파지부(20)의 폭 방향과는 직교하는 평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파지부(20)의 기단부(20a)는,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선단에 접속되어 있다. 명확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기단부(20a)는, 그 기단(20f)이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선단구(25)의 선단(25b)에 형성된 오목형의 절결부에 끼워넣어져 있다. 그리고, 기단부(20a)는, 가동 파지부(20)의 기단(20f)의 근방에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기단측 리벳공(20e)과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선단구(25)에 개방된 리벳공(25d)에 삽통되는 리벳(42)에 의해, 보조 절연 조작봉(24)에 연결되어 있다. 즉, 기단부(20a)는,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다.
또한, 기단부(20a)는, 기단(20f)의 근방에 있어서,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방향인 폭 방향 즉 리벳(42)이 삽통되는 방향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부(20a)는,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상에서, 상기 축선 방향 A의 선단 방향으로, 기단(20f)으로부터 C자형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부(20a)는, 중앙 부근에 있어서,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볼트공(20d)이 개방되어 있고, 볼트공(20d)은, 가동 파지부(20)를 고정 파지부(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볼트(30)를 통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20b)는, 기단부(20a)에 접속되고,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상에서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의 볼록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20b)는, 외측면에 있어서, 기단부(20a)에 원활한 원호를 그리도록 접속되고,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의 선단 방향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다시 C자형으로 만곡된다.
또한, 중앙부(20b)는, 내측면에 있어서, 파지 대상물(84)에 맞닿기 위한 맞닿는 면인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01b) 및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02b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20b)는,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방향인 폭 방향으로 얇게 형성된 기단부(20a)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의 두께와 같은 두께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01b)은, 기단부(20a)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속되고, 중앙부의 외측면보다 곡률을 크게 하여 내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면이다.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02b)은,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01b)에 연이어 형성하지만,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01b)의 선단 측 끝에지에 대하여 약간 외측 방향 내지 축선 방향 A로 굴곡 또는 만곡되어 연이어 형성하는 면이다.
그리고,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02b)은,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01b)보다 곡률을 작게 하여 내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면이다. 또한,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01b) 및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02b)은,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방향의 내측에서 파지 대상물(84)에 맞닿는 부분이며, 기단부(22a) 측으로부터 선단부(22c) 측을 향해 연속하여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20b1s),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20b1t) 및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20b2s)를 구비한다.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의 제1 오목부(20b1s) 및 제2 오목부(20b2s)는, 대향하는 고정 파지부(22)의 제1 오목부(22b1s) 및 제2 오목부(22b2s)와의 사이에 끼워넣도록 하여, 파지 대상물(84)을 파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세하게는, 제1 오목부(20b1s)는,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의 축선 방향 A에서의 기단측의 위치 내지 중간 부근에 있어서, 중앙부(20b)의 내측면이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것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제1 오목부(20b1s)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형으로 만곡되는 오목부이며, 그 곡률 반경은 대략 46㎜이며, 그 곡률 반경에 의해 원호가 형성되는 각도는, 대략 136°이다.
제1 오목부(20b1s)에 의해, 중앙부(20b)의 내측면은, 외측 방향으로의 경사가 내측 방향 내지 축선 방향 A에 대한 경사로 변한다. 즉, 제1 오목부(20b1s)는,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01b)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이다.
제1 볼록부(20b1t)는, 제1 오목부(20b1s)로부터 내측 방향 내지 축선 방향 A 또한 선단 측을 향해 연속되어 있고, 중앙부(20b)의 내측면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함으로써 형성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제1 볼록부(20b1t)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형으로 만곡되는 볼록부이다.
제1 볼록부(20b1t)에 의해, 중앙부(20b)의 내측면은, 내측 방향 내지 축선 방향 A에 대한 경사가 다시 외측 방향으로의 경사로 변한다. 즉, 제1 볼록부(20b1t)는,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01b)과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02b)과의 접속부이다.
제2 오목부(20b2s)는,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의 축선 방향 A에서의 선단 측의 위치에 있어서, 중앙부(20b)의 내측면이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것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제2 오목부(20b2s)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형으로 만곡되는 오목부이며, 그 곡률 반경은 대략 50㎜이며, 그 곡률 반경에 의해 원호가 형성되는 각도는 대략 38°이다.
제2 오목부(20b2s)에 의해, 중앙부(20b)의 내측면은, 외측 방향으로의 경사를 내측 방향 내지 축선 방향 A에 대한 경사로 변한다. 즉, 제2 오목부(20b2s)는,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02b)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이다.
제1 오목부(20b1s), 제1 볼록부(20b1t) 및 제2 오목부(20b2s)를, 기단부(20a)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공(20d)으로부터 선단부(20c)를 향해 신장된 가상 평면(C2)과의 관계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 평면(C2)에 대하여, 제1 오목부(20b1s), 제1 볼록부(20b1t) 및 제2 오목부(20b2s)는, 모두 외측에 위치한다.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는, 그 내측에서 파지 대상물(84)에 맞닿고, 대향하는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와의 사이에 협지하여, 파지 대상물(84)을 파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20c)는, 중앙부(20b)에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20c)의 외측면은, 기단측이 중앙부(20b)의 외측면에 원활하게 연속하여 연이어 형성되고, 선단 측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약간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20c)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 측으로서 내측에 복수의 홈을 가지고 파지 대상물(84)에 맞닿는 면인 선단부 맞닿는 면(200c)을 구비한다. 선단부 맞닿는 면(200c)은, 가상 평면(C2)을 따라 선단부(20c)에 형성되는 면이다. 그리고, 선단부(20c)는, 그 전체 형상으로서, 가상 평면(C2)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20c)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단측으로서 내측에,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방향으로 굴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20cs)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0ct)를 구비한다. 오목부(20cs)는, 중앙부(20b)의 내측면 예를 들면,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02b)에 연이어 형성되고, 중앙부(20b)의 내측면 및 선단부 맞닿는 면(200c)보다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부분이다.
볼록부(20ct)는, 오목부(20cs)의 선단 측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선단부 맞닿는 면(200c)보다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의 오목부(20cs)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볼록부(22ct)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에 접촉할 때, 맞물린다. 동시에,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의 볼록부(20ct)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오목부(22cs)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에 접촉할 때, 맞물린다.
상세하게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의 오목부(20cs)는, 가동 파지부(20)의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2개의 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오목부 경사면(20cs2)과 오목부 바닥면(20cs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오목부 경사면(20cs2)은, 중앙부(20b)의 내측면 예를 들면,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02b)의 선단 측 끝에지로부터 선단 방향이자 또한 외측 방향으로 신장되는 면이며,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면이다.
오목부 바닥면(20cs1)은, 오목부 경사면(20cs2)의 외측단(外側端) 에지로부터 가상 평면(C2)에 평행하게 신장되는 면이며,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면이다.
오목부 바닥면(20cs1)은, 가상 평면(C2)보다 외측의 위치에 있다.
또한,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의 볼록부(20ct)는, 가동 파지부(20)의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3개의 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볼록부 수직면(20ct3)과 볼록부 천정면(20ct2)과 볼록부 경사면(20ct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볼록부 수직면(20ct3)은, 오목부 바닥면(20cs1)의 선단 측 끝에지로부터 가상 평면(C2)과 직교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신장되는 면이며,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평면이다. 볼록부 천정면(20ct2)은, 볼록부 수직면(20ct3)의 내측단 에지로부터 가상 평면(C2)에 평행하게 신장되는 면이며,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면이다. 볼록부 천정면(20ct2)은, 볼록부(20ct)의 천정면을 구성하는 면이다. 볼록부 천정면(20ct2)은, 가상 평면(C2)보다 내측의 위치에 있다.
볼록부 경사면(20ct1)은, 볼록부 천정면(20ct2)의 선단 측 끝에지로부터 외측 방향이자 또한 선단 방향으로 신장되는 면이며,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면이다. 볼록부 경사면(20ct1)은, 볼록부(20ct)를 선단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서서히 내측 방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면이다.
이로써, 파지부(12)의 선단 측으로부터 천형의 파지 대상물(84)을 삽입하여, 파지부(12)가 천형의 파지 대상물(84)을 파지하려고 할 때, 천형의 파지 대상물(84)의 끝에지가 볼록부(20ct)에 걸리고, 파지부(12)의 중앙부에까지 삽입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볼록부 경사면(20ct1)의 선단 측 끝에지는, 가상 평면(C2)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볼록부 경사면(20ct1)의 선단 측 끝에지는, 선단부 맞닿는 면(200c)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파지부(20)에는, 볼트(30)의 신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을 따라 신장되는 긴 구멍(20g)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20g)은, 중앙부(20b)의 기단측으로부터 선단 측에 걸쳐 연속되고, 또한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도록 개방되어 있는 구멍이다. 긴 구멍(20g)은, 가동 파지부(20) 나아가서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의 중량을 경량화하기 위한 구멍이다.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에 긴 구멍(22g)이 형성되고, 또한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에 긴 구멍(20g)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와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는, 폭 방향 즉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의 내측면인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21b),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22b), 중앙부 제3 맞닿는 면(223b) 및 중앙부 제4 맞닿는 면(224b)과,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의 내측면인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01b) 및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02b)은, 각각 대향하고 있고, 또한 파지 대상물(84)을 파지할 정도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
가동 파지부(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12)에 있어서, 고정 파지부(22)의 긴 구멍(22g)에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고, 가동 파지부(20)의 기단(20f)으로부터 삽입되어, 가동 파지부(20)의 볼트공(20d)과 고정 파지부(22)의 볼트공(22d)을 절연 조작봉(14)의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상에서 중첩되어, 고정 파지부(22)에 배치된다.
그리고, 가동 파지부(20)는, 중첩된 볼트공(20d)과 볼트공(22d)을 삽통하는 볼트(30)와 너트(부호 없음)를 이용하여, 도 1의 B 방향으로, 고정 파지부(2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면서 근접 및 이격 가능하도록, 고정 파지부(22)에 연결된다.
이 때, 볼트(30)는, 가동 파지부(20)의 고정 파지부(22)에 대한 회동 시에서의 추축으로서 기능한다. 즉, 가동 파지부(20)가 파지 조작부(26)의 조작에 의해 고정 파지부(22)에 대하여 B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면서 근접 및 이격 가능하도록, 기단부(20a)는, 고정 파지부(22)의 기단부(22a)에 추축인 볼트(30)를 통해 연결된다.
파지 조작부(2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조작봉(14)의 기단부 근방에 설치되고, 조작 레버(26a)와, 지지 금속 부재(26b)와, 해제 레버(26c)와, 조작용 회동축(回動軸)(26d)과, 작동편(26e)을 가진다.
지지 금속 부재(26b)에는, 조작 레버(26a)가 조작용 회동축(26d)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26a)와 동일 측으로 돌출된 작동편(26e)은, 보조 절연 조작봉(24)의 기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작 레버(26a)를 잡는 조작을 행하면, 지레의 작용으로 보조 절연 조작봉(24)이 하방향으로 인장되고, 볼트(30)를 중심으로 하여 가동 파지부(20)가 고정 파지부(22)를 향해 폐쇄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지지 금속 부재(26b)와 조작 레버(26a)의 사이에는, 조작 레버(26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8)이 장착되어 있고, 작업자가 조작 레버(26a)를 조작하고 있지 않을 때는, 조작 레버(26a)가 개방 상태로 되고, 그에 따라, 가동 파지부(20)도 고정 파지부(22)에 대하여 이격된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지지 금속 부재(26b)에는 록 기구(機構)가 구비되어 있고, 이 록 기구는, 주지의 것이므로, 이하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록 기구는, 조작 레버(26a)의 지레의 지점(支点) 위치에 장착된 롤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는 베어링형의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ch)(도시하지 않음)와, 이 원웨이 클러치를 축지지하는 조작용 회동축(26d)과, 이 조작용 회동축(26d)의 회동을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개방하는 복수의 걸림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림 기구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조작용 회동축(26d)에 고정시킨 걸림 기어와, 걸림 기어가 걸리는 걸림핀과, 걸림핀을 걸림 기어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걸림 스프링과, 걸림핀의 핀을 밀어올려 걸림핀의 걸림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26c)와, 해제 레버(26c)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지지축과, 해제 레버(26c)를 걸림 해제 위치에 유지 또는 개방하는 걸림 해제 손잡이와, 걸림 해제 손잡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손잡이 지지축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걸림 기구를 개방 위치에 세팅하여 록 기구를 개방한 경우에는, 조작용 회동축(26d)이 자유롭게 회동 가능해지고, 원웨이 클러치의 작용이 조작 레버(26a)의 조작과 무관계로 되어 조작 레버(26a)가 자유롭게 회동하고, 조작 레버(26a)의 개폐 조작이 보조 절연 조작봉(24)에 전해져, 가동 파지부(20)가 조작 레버(26a)의 개폐 조작에 따라 개폐한다.
한편, 걸림 기구를 걸림 위치에 세팅하여 록 기구가 작용하도록 한 경우에는, 조작용 회동축(26d)이 걸려져, 원웨이 클러치의 작용에 의해 조작 레버(26a)가 폐쇄하는 방향, 즉 보조 절연 조작봉(24)을 하방향으로 인장시키는 것처럼 밖에 회동하지 않고, 또한 무단계로 임의의 위치로 조작 레버(26a)가 록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작 레버(26a)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조작 레버(26a)는, 작업자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조작한 위치에 정지하고, 가동 파지부(20)는, 보조 절연 조작봉(24)을 통해 조작 레버(26a)의 폐쇄 위치에 따른 위치에서 록 되는 상태로 된다.
이 때, 파지 대상물(84)의 크기의 여하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파지 대상물(84)을 작업에 적절한 힘으로 파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한 시점에서 조작 레버(26a)로부터 손을 떼어 놓으면, 그 상태에서, 그대로 조작 레버(26a)를 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조작부(26)의 조작에 의해,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는, 볼트(30)를 중심으로 하여 도 1의 B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에 접촉한다.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의 선단부 맞닿는 면(200c)은, 가상 평면(C2) 상에 위치하고, 가상 평면(C2)과 평행이다.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선단부 맞닿는 면(220c)은, 가상 평면(C1) 상에 위치하고, 가상 평면(C1)과 평행이다.
그리고,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에 접촉할 때, 가상 평면(C1)과 가상 평면(C2)은, 중첩된다. 그리고, 선단부 맞닿는 면(220c)과 선단부 맞닿는 면(200c)은, 중첩된 가상 평면(C1)과 가상 평면(C2)과, 평행하게 된다. 즉,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에 접촉할 때, 대략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상 평면(C1)은, 고정 파지부(22)의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이다.
가상 평면(C2)은, 가동 파지부(20)의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이다.
(사용 상태 및 작용 효과)
다음에,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가 파지 대상물(84)을 파지하는 사용 상태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파지부의 중앙부에 있어서 비교적 대경의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파지부의 중앙부에 있어서 비교적 중경의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의 파지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천형의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가, 비교적 대경의 파지 대상물(84), 예를 들면, 직경이 큰 전선(84)을 파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동 파지부(20)는, 고정 파지부(22)로부터 비교적 이격된 배치로 된다. 이 때,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는,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와의 사이에서, 대략 폐쇄된 영역 T1을 형성하고, 이 대략 폐쇄된 영역 T1에 파지 대상물(84)을 폐입(閉入)하여, 파지 대상물(84)을 파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세하게는,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의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01b)이 형성하는 오목 곡면과,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의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21b) 및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22b)이 대향한 위치로 된다.
그리고, 비교적 대경의 파지 대상물(84)의 단면(斷面)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측면에,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01b)과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21b)과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22b)이 접촉하여, 비교적 대경의 파지 대상물(84)은, 안정적으로 파지된 상태로 된다.
이 때,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01b)과 중앙부 제1 맞닿는 면(221b)과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22b)은, 파지부(12)의 내측에 있어서, 대략 폐쇄된 영역 T1을 형성하고, 이 대략 폐쇄된 영역 T1에, 파지 대상물(84)을 폐입하고 있는 태양으로 된다.
상기한 작용을 환언하면,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가 구비하는 제1 오목부(22b1s)에, 파지부(12)의 선단부에서 파지할 수 없을 정도의 대경의 파지 대상물(84)을 인입할 수가 있고 또한,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가 구비하는 제1 볼록부(22b1t)에 의해, 제1 오목부(22b1s)에 인입된 파지 대상물(84)이 선단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파지부(22)의 제1 오목부(22b1s)에 인입된 파지 대상물(84)은, 파지 조작부(26)에 의한 조작에 의해 고정 파지부(22)에 접근하는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가 구비하는 제1 오목부(20b1s)에 의해, 고정 파지부(22)의 제1 오목부(22b1s)에 끼워지도록, 안정적으로 파지되게 된다.
또한, 고정 파지부(22)의 제1 오목부(22b1s)와 가동 파지부(20)의 제1 오목부(20b1s)에 파지된 파지 대상물(84)은,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가 구비하는 제1 볼록부(20b1t)에 의해서도, 파지 대상물(84)이 선단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가, 비교적 중경의 파지 대상물(84), 예를 들면, 중간 정도 직경의 전선(84)을 파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동 파지부(20)는, 고정 파지부(22)로부터 약간 이격된 배치로 된다.
이 때,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는,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와의 사이에서, 대략 폐쇄된 영역 T2를 형성하고, 이 대략 폐쇄된 영역 T2에 파지 대상물(84)을 폐입하여, 파지 대상물(84)을 파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세하게는,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의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02b)이 형성하는 오목 곡면과,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의 중앙부 제3 맞닿는 면(223b) 및 중앙부 제4 맞닿는 면(224b)이 대향한 위치로 된다.
그리고, 비교적 중경의 파지 대상물(84)의 단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측면에,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02b)과 중앙부 제3 맞닿는 면(223b)과 중앙부 제4 맞닿는 면(224b)이 접촉하여, 비교적 중경의 파지 대상물(84)은, 안정적으로 파지된 상태로 된다.
이 때, 중앙부 제2 맞닿는 면(202b)과 중앙부 제3 맞닿는 면(223b)과 중앙부 제4 맞닿는 면(224b)은, 파지부(12)의 내측에 있어서, 대략 폐쇄된 영역 T2를 형성하고, 이 대략 폐쇄된 영역 T2에, 파지 대상물(84)을 폐입하고 있는 태양으로 된다.
상기한 작용을 환언하면,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가 구비하는 제2 오목부(22b2s)에, 비교적 중경의 파지 대상물(84)을 인입할 수가 있고 또한,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가 구비하는 볼록부(22ct)에 의해, 제2 오목부(22b2s)에 인입된 파지 대상물(84)이 선단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파지부(22)의 제2 오목부(22b2s)에 인입된 파지 대상물(84)은, 파지 조작부(26)에 의한 조작에 의해 고정 파지부(22)에 접근하는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가 구비하는 제2 오목부(20b2s)에 의해, 고정 파지부(22)의 제2 오목부(22b2s)에 끼워지도록, 안정적으로 파지되게 된다.
또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가, 비교적 소경, 판형 또는 천형의 파지 대상물(84),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커버(84)를 파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동 파지부(20)는, 고정 파지부(22)에 근접 또는 접촉된 배치로 된다. 이 때,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는,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와의 사이에서, 협지하도록 하여, 파지 대상물(84)을 파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세하게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가 시트·커버(84)를 파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의 선단부 맞닿는 면(200c)과,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선단부 맞닿는 면(220c)이 근접하고 또한, 서로의 면을 평행하게 하여 대향한 위치로 된다.
그리고, 시트·커버(84)의 양면에, 선단부 맞닿는 면(200c)과 선단부 맞닿는 면(220c)이 맞닿아, 시트·커버(84)는, 파지부(12)의 선단부에 협지된다.
또한, 맞물리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의 볼록부(20ct)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오목부(22cs)와, 맞물리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의 오목부(20cs)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볼록부(22ct)에, 시트·커버(84)는, 들어간 태양으로 된다.
그리고,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의 오목부(20cs) 및 볼록부(20ct)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볼록부(22ct) 및 오목부(22cs)가, 각각 면 방향으로 굴곡되는 파형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들어간 시트·커버(84)는, 그 파형으로 따르도록 굴곡된다.
따라서,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는, 시트·커버(84)를 그 양면으로부터 협지할 수 있고 또한, 맞물리는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볼록부(22ct) 및 오목부(22cs)와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의 오목부(20cs) 및 볼록부(20ct)가, 시트·커버(84)를, 파형상으로 굴곡되는 각각의 볼록부 및 오목부에 넣어, 파지부(12)의 선단부로부터 빠져나가 이탈되지 않도록, 보다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는, 비교적 소경 또는 판형의 파지 대상물(84)를, 파지부(12)의 선단부 즉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선단부 맞닿는 면(220c)과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2c)의 선단부 맞닿는 면(200c)과의 사이에서, 협지하도록 하여,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에 의하면, 파지부(12)의 중앙부 및 선단부에서 다양한 파지 대상물(84)을 파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작용 효과는,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와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가 교차할 수 없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이른바 절연 펜치에 있어서, 특히 현저한 효과로 된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절연 조작봉(14)의 중간에서 차양(16) 및 플랜지(18)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차양(16) 및 플랜지(18)는 연면 방전이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의 절연 조작봉(14)에 있어서 차양(16) 및 플랜지(18)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가동 파지부(20)와 보조 절연 조작봉(24)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인 리벳(42)은, 용이하게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A)에 대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파지부(12)에 있어서, 고정 파지부(22)의 중앙부(22b)는,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방향의 내측에서 파지 대상물(84)에 맞닿는 부분이며 기단부 측으로부터 선단부 측을 향해 연속하여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방향으로 만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22ab1s),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22ab1t) 및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22ab2s)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가동 파지부(20)의 중앙부(20b)는,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방향의 내측에서 파지 대상물(84)에 맞닿는 부분이며 기단부 측으로부터 선단부 측을 향해 연속하여 축선 방향 A를 포함하는 면(V) 방향으로 굴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20ab1s),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20ab1t) 및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20ab2s)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는, 중앙부(22b)의 선단 측에 접속하는 오목부(22acs)와, 오목부(22acs)의 선단 측에 접속하는 볼록부(22act)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는, 중앙부(20b)의 선단 측에 접속하는 볼록부(20act)와, 볼록부(20act)의 선단 측에 접속하는 오목부(20acs)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고정 파지부(22)의 선단부(22c)의 오목부(22acs)는, 오목부 경사면(22acs2)와 오목부 바닥면(22acs1)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볼록부(22act)는, 볼록부 수직면(22act3)과 볼록부 천정면(22act2)와 볼록부 경사면(22act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동 파지부(20)의 선단부(20c)의 볼록부(20act)는, 볼록부 수직면(20act3)과 볼록부 천정면(20act2)와 볼록부 경사면(20act1)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오목부(20acs)는, 오목부 바닥면(20acs2)와 오목부 경사면(20acs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A)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인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10)와 상대적으로 같은 작용 효과에 의해, 파지부(12)의 중앙부 및 선단부에서 다양한 파지 대상물(84)을 파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기재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으로 하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대해, 메카니즘, 형상, 재질, 수량, 위치 또는 배열 등에 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10, 10A: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12: 파지부
14: 절연 조작봉
15: 고정 파지부의 피팅부
15a: 피팅부의 기단
15c: 피팅부의 볼트공
15e: 피팅부의 볼트
16: 차양
18: 플랜지
20: 가동 파지부
20a: 가동 파지부의 기단부
20b: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
20b1s: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1 오목부
20b1t: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1 볼록부
20b2s: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2 오목부
201b: 중앙부 제1 맞닿는 면
202b: 중앙부 제2 맞닿는 면
20c: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
20ct: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볼록부
20ct1: 볼록부 경사면
20ct2: 볼록부 천정면
20ct3: 볼록부 수직면
20cs: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오목부
20cs1: 오목부 바닥면
20cs2: 오목부 경사면
200c: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 맞닿는 면
20d: 가동 파지부의 볼트공
20e: 가동 파지부의 기단측 리벳공
20f: 가동 파지부의 기단
20g: 가동 파지부의 긴 구멍
22: 고정 파지부
22a: 고정 파지부의 기단부
22av: 고정 파지부의 기단부의 굴곡부
22b: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
22b1s: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1 오목부
22b1t: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1 볼록부
22b2s: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2 오목부
221b: 중앙부 제1 맞닿는 면
222b: 중앙부 제2 맞닿는 면
223b: 중앙부 제3 맞닿는 면
224b: 중앙부 제4 맞닿는 면
22c: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
22cs: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의 오목부
22cs1: 오목부 경사면
22cs2: 오목부 바닥면
22ct: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의 볼록부
22ct1: 볼록부 경사면
22ct2: 볼록부 천정면
22ct3: 볼록부 수직면
220c: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 맞닿는 면
22d: 고정 파지부의 볼트공
22g: 고정 파지부의 긴 구멍
24: 보조 절연 조작봉
25: 보조 절연 조작봉의 선단구
25a: 선단구의 기단
25b: 선단구의 선단
25c: 선단구의 볼트공
25d: 선단구의 리벳공
25e: 선단구의 볼트
26: 파지 조작부
26a: 조작 레버
26b: 지지 금속 부재
26c: 해제 레버
26d: 조작용 회동축
26e: 작동편
28: 스프링
30: 추축(고정 파지부와 가동 파지부와의 연결용 볼트)
42: 리벳(가동 파지부와 보조 절연 조작봉과의와의 체결용 리벳)
84: 파지 대상물(비교적 대경의 전선, 비교적 중경의 전선, 비교적 소경의 전선, 시트·커버 등)
A: 축선 방향(절연 조작봉의 축선을 지나고 기단 방향 또는 선단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
B: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근접 및 이격되는 가동 파지부와 고정 파지부를 구비하는 파지부에 있어서, 그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가동 파지부의 추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 방향)
V: 가상 평면(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을 포함하는 면)
C1: 가상 평면(고정 파지부의 볼트공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신장된 평면)
C2: 가상 평면(가동 파지부의 볼트공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신장된 평면)
T1: 제1 대략 폐쇄된 영역
T2: 제2 대략 폐쇄된 영역
12: 파지부
14: 절연 조작봉
15: 고정 파지부의 피팅부
15a: 피팅부의 기단
15c: 피팅부의 볼트공
15e: 피팅부의 볼트
16: 차양
18: 플랜지
20: 가동 파지부
20a: 가동 파지부의 기단부
20b: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
20b1s: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1 오목부
20b1t: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1 볼록부
20b2s: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2 오목부
201b: 중앙부 제1 맞닿는 면
202b: 중앙부 제2 맞닿는 면
20c: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
20ct: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볼록부
20ct1: 볼록부 경사면
20ct2: 볼록부 천정면
20ct3: 볼록부 수직면
20cs: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오목부
20cs1: 오목부 바닥면
20cs2: 오목부 경사면
200c: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 맞닿는 면
20d: 가동 파지부의 볼트공
20e: 가동 파지부의 기단측 리벳공
20f: 가동 파지부의 기단
20g: 가동 파지부의 긴 구멍
22: 고정 파지부
22a: 고정 파지부의 기단부
22av: 고정 파지부의 기단부의 굴곡부
22b: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
22b1s: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1 오목부
22b1t: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1 볼록부
22b2s: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2 오목부
221b: 중앙부 제1 맞닿는 면
222b: 중앙부 제2 맞닿는 면
223b: 중앙부 제3 맞닿는 면
224b: 중앙부 제4 맞닿는 면
22c: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
22cs: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의 오목부
22cs1: 오목부 경사면
22cs2: 오목부 바닥면
22ct: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의 볼록부
22ct1: 볼록부 경사면
22ct2: 볼록부 천정면
22ct3: 볼록부 수직면
220c: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 맞닿는 면
22d: 고정 파지부의 볼트공
22g: 고정 파지부의 긴 구멍
24: 보조 절연 조작봉
25: 보조 절연 조작봉의 선단구
25a: 선단구의 기단
25b: 선단구의 선단
25c: 선단구의 볼트공
25d: 선단구의 리벳공
25e: 선단구의 볼트
26: 파지 조작부
26a: 조작 레버
26b: 지지 금속 부재
26c: 해제 레버
26d: 조작용 회동축
26e: 작동편
28: 스프링
30: 추축(고정 파지부와 가동 파지부와의 연결용 볼트)
42: 리벳(가동 파지부와 보조 절연 조작봉과의와의 체결용 리벳)
84: 파지 대상물(비교적 대경의 전선, 비교적 중경의 전선, 비교적 소경의 전선, 시트·커버 등)
A: 축선 방향(절연 조작봉의 축선을 지나고 기단 방향 또는 선단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
B: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근접 및 이격되는 가동 파지부와 고정 파지부를 구비하는 파지부에 있어서, 그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가동 파지부의 추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 방향)
V: 가상 평면(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을 포함하는 면)
C1: 가상 평면(고정 파지부의 볼트공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신장된 평면)
C2: 가상 평면(가동 파지부의 볼트공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신장된 평면)
T1: 제1 대략 폐쇄된 영역
T2: 제2 대략 폐쇄된 영역
Claims (4)
- 전선과 인체 사이에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안전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절연성의 절연 조작봉(insulated operation rod);
상기 절연 조작봉의 축선(軸線) 방향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절연 조작봉에 설치된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근접 및 이격되는 가동(可動) 파지부(把持部; gripping part)와 고정 파지부를 구비하는 파지부;
선단에 접속된 상기 파지부의 근접 및 이격 동작을 보조하는 절연성의 보조 절연 조작봉; 및
상기 절연 조작봉의 기단부(基端部) 근방에 장착되고 상기 보조 절연 조작봉의 기단부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접속되고 지레(lever)의 작용으로 상기 보조 절연 조작봉을 그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파지부를 조작하는 파지 조작부;
를 포함하는, 간접 활선(indirect hot-line) 공사용 파지 공구(gripping tool)로서,
상기 고정 파지부는,
상기 절연 조작봉의 선단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을 포함하는 면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형성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파지부의 상기 중앙부는, 상기 면 방향의 내측에서 파지 대상물(對象物)에 맞닿는 부분이며 상기 기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선단부 측을 향해 연속하여 상기 면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는 파형(波形)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 및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파지부는,
상기 보조 절연 조작봉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의 볼록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상기 면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형성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 파지부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 가능하도록, 상기 기단부가 상기 고정 파지부의 기단부에 추축(樞軸; pivot)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동 파지부의 상기 중앙부는, 상기 면 방향의 내측에서 파지 대상물에 맞닿는 부분이며 상기 기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선단부 측을 향해 연속하여 상기 면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 및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와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는,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는, 또한, 상기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1 볼록부의 선단부 측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면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는, 또한, 상기 가동 파지부의 중앙부의 제1 볼록부의 선단부 측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면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를 구비하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 전선과 인체 사이에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안전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절연성의 절연 조작봉;
상기 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절연 조작봉에 설치된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근접 및 이격되는 가동 파지부와 고정 파지부를 구비하는 파지부;
선단에 접속된 상기 파지부의 근접 및 이격 동작을 보조하는 절연성의 보조 절연 조작봉; 및
상기 절연 조작봉의 기단부 근방에 장착되고 상기 보조 절연 조작봉의 기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지레의 작용으로 상기 보조 절연 조작봉을 그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파지부를 조작하는 파지 조작부;
를 포함하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로서,
상기 고정 파지부는,
상기 절연 조작봉의 선단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절연 조작봉의 축선 방향을 포함하는 면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형성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파지부는,
상기 보조 절연 조작봉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파지부의 중앙부의 볼록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상기 면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형성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 파지부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 가능하도록, 상기 기단부가 상기 고정 파지부의 기단부에 추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와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는,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선단부는, 파지 대상물과 맞닿는 면인 선단부 맞닿는 면을 가지고,
한쪽의 볼록부는, 중앙부의 내측면에 연이어 형성하여, 중앙부의 내측면 및 선단부 맞닿는 면보다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한쪽의 오목부는 상기 한쪽의 볼록부의 선단측에 연이어 형성하여, 선단부 맞닿는 면보다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쪽의 오목부는, 중앙부의 내측면에 연이어 형성하여, 중앙부의 내측면 및 선단부 맞닿는 면보다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쪽의 볼록부는 상기 다른 쪽의 오목부의 선단 측에 연이어 형성하여, 선단부 맞닿는 면보다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의 볼록부와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오목부는,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맞물리고,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의 오목부와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볼록부는,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맞물리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는, 상기 면 방향으로 굴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는, 상기 면 방향으로 굴곡되는 파형을 형성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의 볼록부와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오목부는,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맞물리고,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의 오목부와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의 볼록부는, 상기 가동 파지부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 파지부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 맞물리는,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178864 | 2018-09-25 | ||
JP2018178864 | 2018-09-25 | ||
PCT/JP2019/036173 WO2020066706A1 (ja) | 2018-09-25 | 2019-09-13 | 間接活線工事用把持工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9945A KR20210049945A (ko) | 2021-05-06 |
KR102571037B1 true KR102571037B1 (ko) | 2023-08-24 |
Family
ID=6995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12070A KR102571037B1 (ko) | 2018-09-25 | 2019-09-13 |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7071780B2 (ko) |
KR (1) | KR102571037B1 (ko) |
CN (1) | CN112771741B (ko) |
TW (1) | TWI821395B (ko) |
WO (1) | WO202006670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1171B1 (ko) * | 2022-07-20 | 2024-06-03 | 한국전력공사 | 간접활선용 멀티스틱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84648A (ja) * | 2007-05-17 | 2008-11-27 | San'eisha Mfg Co Ltd | 万能把持スティック |
JP2013110866A (ja) | 2011-11-21 | 2013-06-06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間接活線用把持工具 |
JP2014107920A (ja) | 2012-11-27 | 2014-06-09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間接活線把持工具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93197A (en) * | 1994-02-10 | 1997-01-14 | Mac Tools, Inc. | Spark plug wire puller |
JP3435212B2 (ja) * | 1994-04-27 | 2003-08-11 | 中部電力株式会社 | ホットハンド |
US7293812B2 (en) * | 2003-05-29 | 2007-11-13 | Yakov Kushnir | Power driven gripping device with various cross-sections |
TW200836888A (en) * | 2006-03-03 | 2008-09-16 | Seamus Duffy | Hand operated gripping tool |
TWM296771U (en) * | 2006-03-17 | 2006-09-01 | Jin-Yi Huang | Improved structure of pliers |
FR2937430B1 (fr) * | 2008-10-16 | 2010-12-31 |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 Pince brucelles a elements de prehension montes a pivotement sur des branches. |
KR20160004445U (ko) * | 2016-05-12 | 2016-12-26 |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
KR20160004465U (ko) * | 2016-05-30 | 2016-12-27 |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
CN207183932U (zh) * | 2017-09-21 | 2018-04-03 |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曲靖供电局 | 绝缘毯毯夹用工具以及电网维修辅助设备 |
JP7090244B2 (ja) | 2018-05-21 | 2022-06-24 | 株式会社トーエネック | 間接活線把持工具 |
-
2019
- 2019-09-12 TW TW108133021A patent/TWI821395B/zh active
- 2019-09-13 JP JP2020548472A patent/JP7071780B2/ja active Active
- 2019-09-13 KR KR1020217012070A patent/KR1025710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9-13 WO PCT/JP2019/036173 patent/WO202006670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9-13 CN CN201980062846.9A patent/CN112771741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84648A (ja) * | 2007-05-17 | 2008-11-27 | San'eisha Mfg Co Ltd | 万能把持スティック |
JP2013110866A (ja) | 2011-11-21 | 2013-06-06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間接活線用把持工具 |
JP2014107920A (ja) | 2012-11-27 | 2014-06-09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間接活線把持工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066706A1 (ja) | 2020-04-02 |
CN112771741B (zh) | 2023-02-21 |
CN112771741A (zh) | 2021-05-07 |
JPWO2020066706A1 (ja) | 2021-09-24 |
KR20210049945A (ko) | 2021-05-06 |
TWI821395B (zh) | 2023-11-11 |
JP7071780B2 (ja) | 2022-05-19 |
TW202027928A (zh) | 2020-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734784B (zh) | 間接活線工事用把持工具 | |
US6626070B2 (en) | Compound toggle link retention mechanism | |
JP6205075B1 (ja) | 掴線器 | |
KR19990028958A (ko) | 락킹 그립 | |
JP6317769B2 (ja) | 掴線器 | |
JP6205076B1 (ja) | 掴線器 | |
US6349621B1 (en) | Wrench | |
KR102571037B1 (ko) |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 |
JP5755692B2 (ja) | 間接活線工法用クリップ | |
JP4990025B2 (ja) | 万能把持スティック | |
JP2019205219A (ja) | 間接活線把持工具 | |
JP5844323B2 (ja) | 絶縁操作棒 | |
CN112352361B (zh) | 间接带电线路作业用握持工具 | |
JP4977559B2 (ja) | 遠隔操作用ヤットコ | |
JP5461675B1 (ja) |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 | |
EP0748598B1 (en) | Eyelash curler | |
US5484135A (en) | Fish tape puller | |
JP4696027B2 (ja) | 被覆電線用ストリッパ | |
KR102521585B1 (ko) | 절단 도구의 보조 장치 | |
JP5903083B2 (ja) | 開閉工具 | |
JP5878194B2 (ja) | 間接活線工法用クリップ | |
JP2008161496A (ja) | ハサ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