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342B1 -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 - Google Patents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342B1
KR102570342B1 KR1020220012058A KR20220012058A KR102570342B1 KR 102570342 B1 KR102570342 B1 KR 102570342B1 KR 1020220012058 A KR1020220012058 A KR 1020220012058A KR 20220012058 A KR20220012058 A KR 20220012058A KR 102570342 B1 KR102570342 B1 KR 10257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sulfide
weight
catalyst
oxidation
reduction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5492A (ko
Inventor
김신동
신재철
이재명
김가휘
Original Assignee
(주)이앤켐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앤켐솔루션 filed Critical (주)이앤켐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12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342B1/ko
Priority to KR1020230029903A priority patent/KR20230115939A/ko
Publication of KR20230115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45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03Removing sulfur compounds
    • B01D53/8612Hydrogen sulf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02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s or beryll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atalyst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제2철의 재생이 가능하고, 산소와 황화수소를 동시 공급되면 황화철의 생성을 방지하면서 황화수소의 산화/환원반응이 촉진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산화제2철(Fe2O3)을 포함한 철화합물 30~50중량%, 포졸란 반응제 4~10중량%, 단섬유 1~2중량%, 나머지 중량의 물을 포함하며 산화제2철(Fe2O3)은 산화철화합물 중에서 50중량% 이상 함유되고, 비드 형태 또는 펠릿 형태를 갖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Catalyst for hydrogen sulfide removal using oxidation/reduction reaction}
본 발명은 산화제2철의 재생이 가능하고, 산소와 황화수소를 동시 공급되면 황화철의 생성을 방지하면서 황화수소의 산화/환원반응이 촉진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 등 거주지역과 축산 등의 농촌지역, 제철공정, 화성공정 등 산업지역에서 다양한 악취가 발생됨에 따라, 최근 우리 사회에서 악취는 미세먼지 등과 함께 심각한 환경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황화수소의 경우, 암모니아와 함께 대표적인 악취 유발 물질로 이슈화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제거기술의 효율이 낮아 효과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황화수소 제거를 위해서는 한국등록특허 제1386612호와 같이 스코리아,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등이 이용되어 왔으나, 유사한 물질이 사용되더라도, 활성화 정도 및 구성에 따라서, 황화수소의 제거율과 내구성이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기존의 황화수소 제거제는 황화수소의 제거율 향상을 위한 흡착제의 사용량이 많아 경제성이 낮으며 특히, 흡착제의 내구성이 낮아 반복 사용시 악취 제거의 효율이 현격히 저하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에 의해 고농도의 황화수소 제거시에는 상기와 같은 흡착제를 사용하는 공정과 함께 추가 제거 공정이 복합적으로 진행되고 흡착제의 활성 저하 및 내구성 저하에 의해 수시로 흡착제의 투입 및 교환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산화제2철의 재생이 가능하고, 산소와 황화수소를 동시 공급되면 황화철의 생성을 방지하면서 황화수소의 산화/환원반응이 촉진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산화제2철(Fe2O3)을 포함한 철화합물 30~50중량%, 포졸란 반응제 4~10중량%, 단섬유 1~2중량%, 나머지 중량의 물을 포함하며 산화제2철(Fe2O3)은 산화철화합물 중에서 50중량% 이상 함유되고, 비드 형태 또는 펠릿 형태를 갖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포졸란 반응제는 입자 크기가 45㎛ 이하인 산화칼슘 분말이고, 단섬유는 천연 및 합섬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산화제2철의 재생이 가능하고, 산소와 황화수소를 동시 공급되면 FeS와 Fe2S3와 같은 황화철의 생성을 방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황화수소의 산화/환원반응이 촉진되어 촉매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 초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산화철 표면에 OH-와 H+를 생성시킴으로서 황화수소의 산화/환원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촉매를 이용한 실험예1의 황화수소 제거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촉매를 이용한 실험예2의 황화수소 제거율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는 산화제2철(Fe2O3)을 포함한 철화합물, 포졸란 반응제, 단섬유, 물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산화철화합물은 황화수소의 흡착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재료로서, 본 발명에서도 이들 재료를 활용하되, 보다 향상된 흡착성능을 발휘 및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배합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산화제2철(Fe2O3)은 산화철화합물 중에서 50%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산화철화합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50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철화합물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황화수소의 산화/환원반응을 위한 촉매 활성점의 숫자가 감소하여 촉매 반응이 감소되어 촉매 활성이 낮아질 수 있고, 50 중량% 초과인 경우 촉매의 활성점이 과다하여 황화수소가 원소 황이나 황산으로 전환된 후에 활성점에 필요 이상으로 뭉침으로서 활성이 또한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포졸란 반응제의 양이 감소하여 촉매의 내수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포졸란 반응제는 산화철화합물 성형체를 구성하여 성형 후에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게 하기 위하여 포졸란 반응을 적용하였고, 내수성을 향상시킨다. 포졸란 반응제는 산화칼슘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산화칼슘 분말은 철성분과 반응하여 포졸란 반응을 형성 촉매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산화칼슘 분말은 고르게 혼합되도록 입자 크기가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포졸란 반응제는 4~10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칼슘 분말의 함량이 4중량% 미만이면 포졸란 반응의 유도가 어렵고, 10 중량% 초과인 경우 뭉침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단섬유는 성형 후에 일정한 비표면적으로 확보하여 촉매의 반응성을 극대화시키며 촉매의 응집력과 기계적 강도를 증대시키고, 내수성을 향상시킨다. 더불어 황화수소가 성형체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한다. 이러한 단섬유에 의해서 촉매의 기공이 극대화되어 황화수소가 성형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철성분의 산화/환원반응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단섬유는 천연 및 합섬 섬유를 소정의 길이로 짧게 절단한 것을 사용한다. 단섬유는 1~2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섬유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응집력과 기계적 강도의 기대가 유도가 어렵고, 10 중량% 초과인 경우 뭉침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충전밀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소수성을 증대시킴으로서 수분에 의한 촉매의 반죽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생성된 반죽은 적용 요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압출 방식을 통하여 펠릿 또는 그 외의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하고, 자연건조, 열풍건조 등의 건조 방식을 통하여 펠릿 형태의 유지와 강도 구현이 충족된 촉매 성형체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비드형 또는 펠릿형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는 높은 비표면적을 갖기 때문에 황화수소, 산소 및 수분의 이동이 원활하여 촉매 활성점에서 황화수소의 산화/환원반이 용이하여 황화수소 제거가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를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방법은 황화수소를 포함하는 바이오가스를 포화상태의 수분을 유지하면서 산소와 함께 도입하는 것이 바라직한다. 이때, 이때, 산소는 황화수소 농도의 4~6배의 비율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탈황촉매는 산화제2철(Fe2O3)에 황화수소(H2S), 산소를 동시에 공급시켜 아래의 화학식 1, 2, 3이 발생되면서 산화제2철의 재생이 가능하고, FeS와 Fe2S3와 같은 황화철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초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산화철 표면에 OH-와 H+를 생성시킴으로서 황화수소의 산화/환원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Fe3+---O2-로 이루어진 산화제2철에 황화수소(H2S)가 접근하여 SH-와 H+로 이종해리되면서 결합한다.
Fe3+---O2-로 이루어진 산화제2철에 SH-와 H+가 분리되면서 O2-와 치환하고, 치환된 O2-는 두 개의 H+를 제공받아 HOH가 된다.
Fe3+---O2-로 이루어진 산화제2철에 S2-가 전자 두 개를 2Fe3+에 제공하고, 원소 황(S)으로 전환되고, 물은 탈착되며, 2Fe2+는 다시 산소와 반응하여 2Fe3+로 산화되어 Fe3+---O2-이 된다.
이와 같이 황화수소는 화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하여 촉매인 철산화물(Fe2O3)존재 하에서 산소와 반응하여 원소황과 황산으로 전환된다. 산소는 철과 황과의 불안정한 반응에 직접 참여하여 황을 산화시키면서 SO2 또는 SO3를 생성함과 동시에 원소황을 생성시킨다. 이때 생성된 SO3는 반응물에 포함된 수분(H2O)과 반응하여 황산을 생성하여 촉매 표면에 누적되거나 더 많은 수분의 유입으로 흘러내린다. 반면에 철과 황이 약하게 결합되어 있을 때 산소와 수분에 의해서 황이온은 전자를 잃고 산화되어 원소 황으로 전환되어 안정화된다. 산화철을 이루는 철은 황과의 약한 결합과정에서 환원(reduction)되었다가 산화되는 순환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촉매 역할을 한다.
<제조예>
<실시예1>
단섬유는 전체 배합 중량의 1중량%로 준비 후 해면작업을 진행하고, 산화철(Fe2O3) 30중량%를 해면작업의 연속작업에 투입하여 단섬유와 산화철(Fe2O3)을 혼합시켰다. 그 후 교반기를 사용하여 포졸란 반응 유도제를 전체 중량비의 4중량% 수준으로 투입 하고 수분에서 수십분 단섬유-산화철-포졸란 반응제 혼합물을 고루 섞이도록 하고 물을 65중량% 수준으로 투입 한 뒤 교반기를 작동하여 반죽상태로 제조하였다.
생성된 반죽을 압출으로 펠릿 형태를 갖도록 성형하고, 자연건조시켜 강도 구현이 충족된 촉매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1>
실시예에서 제조된 탈황촉매 2.141g을 탈황탑에 설치하고 황화수소 농도를 1,600ppm으로 공급하였다. 유입유량은 20mL/min이고, 공간속도(Space Velocity, hr-1)는 50hr-1이었다. 그리고, 흘려보내는 배관에 수증기를 사용하여 포화상태로 수분을 유지하였다. 또한 황화수소 농도의 5배 많은 산소를 공급하였다.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 또는 산소를 같은 비율로 공급하였다. 시간에 따른 황화수소의 제거율을 도 1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1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촉매탑으로 유입된 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는 흡착시간이 약 31일이 경과될 때까지 거의 모든 황화수소(H2S)의 제거율도 거의 100%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촉매 활성점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원활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2>
실시예에서 제조된 탈황촉매 2.141g을 탈황탑에 설치하고 음식물류 소화가스 처리시설에서 공급되는 혐기성 소화가스[CH4, CO2, 수분이 각각 60:35:5의 비율로 생성되며 고농도의 황화수소와 실록산을 함유하는 VOCs를 포함한다.]를 공급하였다. 황화수소의 농도는 1,600ppm, 유입유량은 50mL/min이고, 공간속도(Space Velocity, hr-1)는 120hr-1이었다. 그리고, 흘려보내는 배관에 수증기를 사용하여 포화상태로 수분을 유지하였다. 또한 황화수소 농도의 5배 많은 산소를 공급하였다.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 또는 산소를 같은 비율로 공급하였다. 시간에 따른 황화수소의 제거율을 도 2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2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촉매탑으로 유입된 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는 흡착시간이 약 25일이 경과될 때까지 거의 모든 황화수소(H2S)의 제거율도 거의 100%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촉매 활성점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원활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산화제2철(Fe2O3)을 포함한 철화합물 30~50중량%, 포졸란 반응제 4~10중량%, 단섬유 1~2중량%, 나머지 중량의 물을 포함하며
    산화제2철(Fe2O3)은 산화철화합물 중에서 50중량% 이상 함유되고,
    비드 형태 또는 펠릿 형태를 갖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포졸란 반응제는 입자 크기가 45㎛ 이하인 산화칼슘 분말이고, 단섬유는 천연 및 합섬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
  5. 삭제
  6. 삭제
KR1020220012058A 2022-01-27 2022-01-27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 KR10257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058A KR102570342B1 (ko) 2022-01-27 2022-01-27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
KR1020230029903A KR20230115939A (ko) 2022-01-27 2023-03-07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058A KR102570342B1 (ko) 2022-01-27 2022-01-27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903A Division KR20230115939A (ko) 2022-01-27 2023-03-07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492A KR20230115492A (ko) 2023-08-03
KR102570342B1 true KR102570342B1 (ko) 2023-08-25

Family

ID=875679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058A KR102570342B1 (ko) 2022-01-27 2022-01-27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
KR1020230029903A KR20230115939A (ko) 2022-01-27 2023-03-07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903A KR20230115939A (ko) 2022-01-27 2023-03-07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03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8774A1 (fr) 2001-09-28 2003-04-10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Desodorisant, procede de production et technique de desodorisation
JP2013185209A (ja) 2012-03-08 2013-09-19 Jfe Steel Corp 脱硫スラグからの硫黄の除去方法
JP2015205267A (ja) * 2014-04-11 2015-11-19 株式会社シリカライム 化学物質を吸着・吸収する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22954B1 (ko) 2016-09-02 2017-04-05 김민영 황화수소 제거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882B1 (ko) * 2004-06-08 2006-07-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황화수소와 이산화황의 동시 처리를 위한 탈황 방법
KR101733666B1 (ko) * 2014-04-17 2017-05-10 에이티이 주식회사 탈황제 조성물
KR20170087582A (ko) * 2016-01-20 2017-07-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실리카 및 CaO 함유 분말을 성형한 CaO 함유 성형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8774A1 (fr) 2001-09-28 2003-04-10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Desodorisant, procede de production et technique de desodorisation
JP2013185209A (ja) 2012-03-08 2013-09-19 Jfe Steel Corp 脱硫スラグからの硫黄の除去方法
JP2015205267A (ja) * 2014-04-11 2015-11-19 株式会社シリカライム 化学物質を吸着・吸収する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22954B1 (ko) 2016-09-02 2017-04-05 김민영 황화수소 제거제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Huang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γ-Fe2O3 for H2S Removal at Low Temperature, Ind. Eng. Chem. Res. 54 (34), 8469~8478쪽, S1~S6쪽, 2015.8.6.발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939A (ko) 2023-08-03
KR20230115492A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3966B2 (ja) 水銀吸着材およびその吸着材を用いた排煙処理方法
CN104759277B (zh) 一种CeOx‑MnOx/石墨烯低温SCR烟气脱硝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09603459A (zh) 一种低温干法烟气脱硫剂及其制法和应用
CN105233687B (zh) 一种脱除燃煤烟气中元素态汞的方法
CN106714938A (zh) 用于使硫化氢氧化至三氧化硫并随后去除三氧化硫的方法和用于实施所述方法的装置
Suchecki et al. Kinetic study of ambient-temperature reduction of FeIIIedta by Na2S2O4
CN102489150B (zh) 一种常温负载型铁基硫化氢脱除剂的制备方法
KR102570342B1 (ko)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촉매
CN1944273B (zh) 一种水合铁的制备方法及利用该物质制成的脱硫剂
CN114307615A (zh) 一种高强度耐粉化脱硫剂的制备方法及其产品
KR100653046B1 (ko) 화학반응 촉매에 의한 황화수소 제거방법
CN103301742B (zh) 一种脱硫剂及其制备方法
CN110201540A (zh) 一种脱除二氧化碳气体中甲硫醇的工艺
Wang et al. Efficient removal of HCN through catalytic hydrolysis and oxidation on Cu/CoSPc/Ce metal-modified activated carbon under low oxygen conditions
Li et al. Simultaneous removal of SO 2 and NO by low cost sorbent-catalysts prepared by lime, fly ash and industrial waste materials
CN101433829A (zh) 一种用于臭氧氧化的微孔陶基催化剂及其制备方法
JP4523741B2 (ja) 亜硫酸ガスの除去方法
CN106563508A (zh) 一种用于脱除有机硫的铁铈基多孔催化剂的制备方法
CN117399078B (zh) 一种高效催化脱硫剂颗粒及其制备方法
TWI436825B (zh) Carbon catalyst for exhaust gas desulfuriz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use for removing mercury in exhaust gas
KR20240010837A (ko) 폐탈황제를 재활용한 탈황촉매
CN1375355A (zh) 可再生金属氧化物脱硫剂及其制备工艺
CN109482134A (zh) 一种微纳米级脱硫吸附剂的制备方法
CN108176375A (zh) 一种空气净化材料及其应用
CN210786880U (zh) 一种干法脱除焦炉烟气中so2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50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307

Effective date: 20230712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