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179B1 - 낙하물 방호장치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179B1
KR102570179B1 KR1020210105791A KR20210105791A KR102570179B1 KR 102570179 B1 KR102570179 B1 KR 102570179B1 KR 1020210105791 A KR1020210105791 A KR 1020210105791A KR 20210105791 A KR20210105791 A KR 20210105791A KR 102570179 B1 KR102570179 B1 KR 102570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ield
shield body
deploymen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3921A (ko
Inventor
김현창
Original Assignee
(주)프라임렌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라임렌탈 filed Critical (주)프라임렌탈
Priority to KR1020210105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17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물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낙하물로부터 방호를 위해 임의의 크기를 갖춘 쉴드바디부; 쉴드바디부를 지지하는 서포트프레임부; 서포트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암부; 지지암부를 지지하는 마운트부; 쉴드바디부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전개쉴드부; 및 전개쉴드부가 상기 쉴드바디부로부터 전개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개구동부;를 포함하므로 낙하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 및 억제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낙하물 방호장치{Protecting Apparatus against Falling Objects}
본 발명은 낙하물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현장 등에서 예기치 못한 낙하물의 낙하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예방 및 억제할 수 있는 낙하물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축조하는 공사현장이나, 굴착하는 터널공사현장 등에서는 낙하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호선반과 같은 방호시설이 축조되며, 현장 작업자는 안전을 위하여 방호복과 방호모를 착용하고 작업에 임하고 있다.
건축물 축조현장에서는 낙하하는 낙하물로부터 작업자가 다치지 않도록 건축물에 방호선반을 설치한다. 이러한 방호선반은 지지해줄 건축물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방호선반을 설치하는데 시간이 적지 않게 소요되고 적지않은 수고로움이 뒤따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굴착을 하는 터널공사현장과 같이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방호선반을 설치할 만한 여건이 되지 않는 경우 또는 임시적으로 시급히 방호물의 설치가 요구되는 경우도 많으며 이러한 경우에 방호선반을 이용한 방호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방호선반이 설치되기 어려운 공사현장 등의 환경 속에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낙하물의 낙하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예방 및 억제할 수 있는 낙하물 방호에 대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125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호선반의 구축이 곤란한 공사현장 등에서 예기치 못한 낙하물의 낙하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 및 억제할 수 있는 낙하물 방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는 상측에서 낙하하는 낙하물로부터 방호되는 방호유효공간을 하측에서 확보될 수 있도록 임의의 크기를 갖춘 쉴드바디부; 상기 쉴드바디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쉴드바디부를 지지하는 서포트프레임부;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의 후측에 위치하고, 상기 쉴드바디부 또는 상기 서포트프레임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전측이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암부; 상기 지지암부의 후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암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암부를 지지하는 마운트부; 임의의 크기를 갖추고 상기 쉴드바디부에 결합되며, 상기 방호유효공간이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쉴드바디부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전개쉴드부; 및 상기 전개쉴드부 및 상기 쉴드바디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개쉴드부가 상기 쉴드바디부로부터 전개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개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쉴드바디부를 중심으로 상기 전개쉴드부가 전개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와 상기 지지암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쉴드바디부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와 상기 지지암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레벨링구동력을 제공하는 레벨링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와 상기 지지암부 사이의 결합은 힌지결합이고, 상기 레벨링구동부는, 일측단이 상기 쉴드바디부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지지암부에 결합되며, 일측단과 타측단이 선택적으로 신장(伸長) 또는 수축될 수 있는 유압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개쉴드부는, 상기 쉴드바디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쉴드바디부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1 전개쉴드 및 상기 쉴드바디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쉴드바디부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2 전개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개쉴드 또는 상기 제2 전개쉴드는 상기 쉴드바디부와 슬라이딩결합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쉴드바디부가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의 상측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쉴드바디부와 상기 서포트프레임부 사이의 결합은 회전결합이고, 상기 낙하물 방호장치는, 상기 쉴드바디부와 상기 서포트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에 대하여 상기 쉴드바디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주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에는, 일부분이 지면에 접하면서 상기 서포트프레임부가 지면상에 안착될 수 있는 착지레그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는 즉각적으로 낙하물의 낙하로부터 보호되는 방호유효공간을 확보하여 주므로 방호선반이 설치되기 어려운 환경에서 작업자가 낙하물로 인하여 다치게 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 또는 억제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의 상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의 우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의 좌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여 설명하고 이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의 상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의 우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의 좌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10)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동굴이나 굴착 중인 터널에서, 발파작업을 위해 장약을 삽입시킬 장약홀을 드릴 등으로 뚫는 작업을 한다. 이 때 장약홀을 형성시키면서 발생되는 진동 등으로 인하여 터널의 천정(C)과 같은 상측으로부터 돌과 같은 낙하물의 낙하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낙하물의 낙하로 인해 작업자가 다치지 않도록 작업자의 상측을 가려주어 낙하물의 낙하로 인한 충격을 예방하여 준다.
즉 낙하물의 낙하로부터 방호되는 방호유효공간(PS)을 확보하여 줌으로써 방호유효공간(PS) 내에 있는 작업자가 낙하물의 낙하로 인한 가격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여 주는 것이다.
이러한 낙하물 방호장치(10)에 대하여 좀 더 설명하자면, 도 2 내지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쉴드바디부(300), 서포트프레임부(100), 지지암부(200), 마운트부(미도시), 전개쉴드부(400) 및 전개구동부(500)를 포함하며, 여기에 회전구동부(700), 레벨링구동부(600),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쉴드바디부(300)는 상측에서 낙하하는 낙하물로부터 방호되는 방호유효공간(PS)을 하측에서 확보될 수 있도록 임의의 크기를 갖춘다. 쉴드바디부(300)는 낙하하는 낙하물이 충돌하여 쉴드바디부(300)의 하측으로 낙하물이 낙하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므로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측면이 평평한 평면형태로 된 6면체와 같은 형태를 갖춘 것을 바람직한 일 예로서 나타내었다.
쉴드바디부(300)의 상측 부분에는 커버플레이트가 있으며, 낙하물이 커버플레이트에 충돌하게 된다. 쉴드바디부(300)의 하측에는 쉴드바디부(300)의 상측 부분에 낙하물이 충돌하므로 쉴드바디부(300)의 하측공간으로는 낙하물이 낙하될 수가 없다. 따라서 쉴드바디부(300)의 하측에는 낙하물로부터 방호되는 방호유효공간(PS)이 확보된다. 즉, 방호유효공간(PS)은 쉴드바디부(300)에 의해 낙하물의 연직 낙하가 이루어지지 않는 안전한 공간을 말한다.
이러한 쉴드바디부(300)의 내측에는 후술할 전개쉴드부(400)가 내재되어 있다. 즉, 쉴드바디부(300)의 내측에는 전개쉴드부(400)가 내재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전개쉴드부(400)가 쉴드바디부(300)의 내측에 수납 또는 수용되어 있다.
쉴드바디부(300)의 하측으로는 쉴드바디부(300)를 받쳐주는 형태로 지지하는 서포트프레임부(100)가 위치하고 있다. 쉴드바디부(300)와 서포트프레임부(100)는 서포트프레임부(100)를 기준으로 쉴드바디부(3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쉴드바디부(300)와 서포트프레임부(100) 사이의 결합부위(310)는 회전가능한 결합형태인 회전결합의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서포트프레임부(100)는 쉴드바디부(3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쉴드바디부(300)를 지지한다. 서포트프레임부(100)의 상측에는 쉴드바디부(300)가 위치하고 있으며, 후측에는 지지암의 전측단과 힌지결합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서포트프레임부(100)는 서포트플레이트(110) 및 착지레그(120)를 포함한다.
서포트프레임부(100)의 서포트플레이트(11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서포트프레임부(100)의 상측에 배치된 플레이트로서 서포트플레이트(110)의 상측에 배치된 쉴드바디부(300)를 받쳐준다.
그리고 서포트프레임부(100)에는 일부분이 지면에 접하면서 상기 서포트프레임부(100)가 지면상에 안착될 수 있는 착지레그(120)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암이 서포트프레임부(100) 및 쉴드바디부(300)를 지면 상에 놓을 때 착지레그(120)가 지면에 접하면서 안정적으로 서포트프레임부(100) 및 쉴드바디부(300)가 안착되도록 서포트프레임부(100)와 쉴드바디부(300)를 받쳐주게 된다.
착지레그(120)는 임의의 높이를 갖추고 있으므로 착지레그(120)와 서포트플레이트(1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 레벨링구동부(600)가 지면에 닿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쉴드바디부(300)가 상기 서포트프레임부(100)의 상측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쉴드바디부(300)와 상기 서포트프레임부(100) 사이의 결합(310)은 회전결합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쉴드바디부(300)가 서포트프레임부(100)에 대하여 회전시켜주는 구동력을 회전구동부(700)가 제공한다.
즉, 회전구동부(700)는 쉴드바디부(300)와 상기 서포트프레임부(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부(100)에 대하여 상기 쉴드바디부(30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주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회전구동부(700)는 일측단과 타측단이 선택적으로 신장(伸長) 또는 수축될 수 있는 유압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유압구동장치의 예로서 유압모터, 유압실린더 또는 유압펌프 등을 들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구동부(700)인 유압구동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유압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이 도시되었다. 실린더의 일측단이 서포트프레임부(100)의 상판에 결합되고, 피스톤의 일측단이 쉴드바디부(300)의 하측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의 신장 또는 수축되는 힘에 의해 쉴드바디부(300)는 서포트프레임부(100)와 회전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구동부(700)의 작동은 후술할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지지암부(200)는 서포트프레임부(100)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암부(200)는 임의의 길이를 갖추고 있으며 전측단이 서포트프레임부(100)의 후측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쉴드바디부(300) 또는 서포트프레임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암부(200)의 전측이 상기 서포트프레임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부(100)를 지지한다. 지지암부(200)의 후측단은 마운트부와 결합되어 마운트부의 지지를 받는다. 마운트부와의 지지암부(200) 후측단 사이의 결합은 힌지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벨링구동부(600)는 서포트프레임부(100)와 상기 지지암부(2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쉴드바디부(300)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부(100)와 상기 지지암부(2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레벨링구동력을 제공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프레임부(100)와 상기 지지암부(200) 사이의 결합은 힌지결합으로 되어 있다.
상기 레벨링구동부(600)는, 일측단이 상기 쉴드바디부(300)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지지암부(200)에 결합되며, 일측단과 타측단이 선택적으로 신장(伸長) 또는 수축될 수 있는 유압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유압구동장치의 예로서 유압모터, 유압실린더 또는 유압펌프 등을 들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레벨링구동부(600)인 유압구동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유압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이 도시되었다.
실린더의 일측단이 지지암의 전측단에 결합되고, 피스톤의 일측단이 서포트프레임부(100)의 후측 또는 하측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의 신장 또는 수축되는 힘에 의해 서포트프레임부(100)와 쉴드바디부(300)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상태가 되도록 지지암과 서포트프레임부(100)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벨링구동부(600)의 작동은 후술할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마운트부는 지지암부(200)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암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암부(200)를 지지한다.
그리고 마운트부와 지지암부(200) 사이에는 힌지결합이 되어 지지암부(200)가 마운트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형태로 움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운트부와 지지암부(200) 사이의 결합형태는 지지암부(200)와 서포트프레임부(100)의 결합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암부(200)를 움직일 수 있는 지지암구동부(미도시)가 마운트부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지면과 지지암부(200) 사이의 각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움직임으로 지면으로부터 쉴드바디부(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마운트부는 이동가능하도록 하측에 바퀴가 마련된 형태도 가능하며, 차량에 고정 탑재된 형태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여 전개쉴드부(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을 더 참조하면, 전개쉴드부(400)는 임의의 크기를 갖추고 상기 쉴드바디부(300)에 결합된다. 그리고 방호유효공간(PS)이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쉴드바디부(300)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쉴드바디부(300)을 중심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방호유효공간(PS)이 축소되도록 전개쉴드부(400)가 쉴드바디부(30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전개쉴드부(40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 전개쉴드(410) 및 제2 전개쉴드(420)를 포함한다.
제1 전개쉴드(410)는 쉴드바디부(300)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쉴드바디부(300)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개쉴드(420)는 쉴드바디부(300)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쉴드바디부(300)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개쉴드(410) 또는 상기 제2 전개쉴드(420)는 쉴드바디부(300)와 슬라이딩결합되어 있다. 제1 전개쉴드(410) 또는 제2 전개쉴드(420)가 쉴드바디부(300)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쉴드바디부(300)에는 제1 전개쉴드(410)의 슬라이딩 이동이 되도록 회전 가능한 휠(3410)이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쉴드바디부(300)에는 제2 전개쉴드(420)의 슬라이딩 이동이 되도록 회전 가능한 휠(342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휠(3410, 3420)은 쉴드바디부(300)에 제1 전개쉴드(410) 또는 제2 전개쉴드(420)가 안정적으로 받쳐주어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처럼 제1 전개쉴드(410)와 제2 전개쉴드(420)가 쉴드바디부(300)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쉴드바디부(300)의 크기 또는 쉴드바디부(300)의 상측 표면적 만큼 하측으로 방호유효공간(PS)이 확보되지만, 제1 전개쉴드(410) 또는 제2 전개쉴드(420)가 쉴드바디부(3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전개되면 제1 전개쉴드(410) 또는 제2 전개쉴드(420)의 하측 공간부분도 방호유효공간(PS)이 되어 전체적으로 방호유효공간(PS)이 확장된다.
이러한 제1 전개쉴드(410)와 제2 전개쉴드(420)는 작업현장에서의 필요에 따라 필요한 만큼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전개쉴드(410) 또는 제2 전개쉴드(420)가 쉴드바디부(300)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이동되어 방호유효공간(PS)의 축소 또한 가능하다.
전개구동부(500)는 전개쉴드부(400) 및 쉴드바디부(300) 사이에 배치되며, 전개쉴드부(400)가 쉴드바디부(300)로부터 전개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개구동부(500)는, 일측단이 쉴드바디부(300)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전개쉴드부(400)의 제1 전개쉴드(410) 또는 제2 전개쉴드(420)에 결합되며, 일측단과 타측단이 선택적으로 신장(伸長) 또는 수축될 수 있는 유압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전개구동부(500)는 제1 전개구동장치(510)와 제2 전개구동장치(520)을 포함한다. 제1 전개구동장치(510)는 일측단이 쉴드바디부(300)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전개쉴드부(400)의 제1 전개쉴드(410)에 결합된다.
제2 전개구동장치(520)는 일측단이 쉴드바디부(300)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전개쉴드부(400)의 제2 전개쉴드(420)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 전개구동장치(510)와 제2 전개구동장치(520)는 일측단이 선택적으로 신장(伸長) 또는 수축될 수 있는 유압구동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압구동장치의 예로서 유압모터, 유압실린더 또는 유압펌프 등을 들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전개구동부(500)인 유압구동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유압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이 도시되었다. 실린더의 일측단이 쉴드바디부(300)에 결합되고, 피스톤의 일측단이 제1 전개쉴드(410) 또는 제2 전개쉴드(420)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의 신장 또는 수축되는 힘에 의해 전개쉴드부(400)의 제1 전개쉴드(410)와 제2 전개쉴드(420)는 쉴드바디부(3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나오면서 전개될 수 있다.
이러한 전개구동부(500)의 작동은 후술할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쉴드바디부(300)를 중심으로 상기 전개쉴드부(400)가 전개되는 것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에는 작업자가 낙하물 방호장치(10)의 움직임을 조종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에는 전개구동부(500), 회전구동부(700) 및 레벨링구동부(6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작동레버 또는 작동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컨트롤패널은 작업자의 조작의 편의를 위해 마운트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특정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는 전개쉴드부(400) 또는 쉴드바디부(300)에 센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에는 근접센서가 포함된다. 센서부의 근접센서는 전개쉴드부(400) 또는 쉴드바디부(300)가 작업현장에서 장애물이 전개쉴드부(400) 또는 쉴드바디부(300)에 근접하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로 전달한다. 제어부는 센서부의 근접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스피커 또는 경고등을 통해 근접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 또는 경고등은 앞서 언급한 컨트롤패널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개쉴드부(400)와 쉴드바디부(300)를 조작하는 작업자는 제어부의 근접알람을 참고하여 전개쉴드부(400)와 쉴드바디부(300)가 장애물에 부딪히지 않도록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에는 충격감지센서도 포함될 수 있다. 충격감지센서는 쉴드바디부(300)의 상측면, 제1 전개쉴드(410)의 상측면 또는 제2 전개쉴드(420)의 상측면 상에 낙하물이 낙하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한다. 이러한 충격감지센서는 쉴드바디부(300)의 상측면, 제1 전개쉴드(410)의 상측면 또는 제2 전개쉴드(420)의 상측면 상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도록 쉴드바디부(300), 제1 전개쉴드(410) 또는 제2 전개쉴드(420)에 장착될 수 있다.
충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된다. 제어부는 센서부의 충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스피커 또는 경고등을 통해 충격감지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낙하물 낙하 발생여부를 파악하고 작업현장에서 안전한 상황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는 굴착중인 터널 내부와 같이 방호선반의 구축이 곤란한 공사현장 등에서 즉각적으로 낙하물의 낙하로부터 보호되는 방호유효공간을 확보하여 준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전개쉴드부의 제1 전개쉴드와 제2 전개쉴드를 전개시켜서 방호유효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방호장치는 방호선반이 구축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방호유효공간을 즉각적으로 확보하여 줄 수 있으며 작업자가 낙하물로 인하여 다치게 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 또는 억제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낙하물 방호장치 100 : 서포트프레임부
110 : 서포트플레이트 120 : 착지레그
200 : 지지암부 300 : 쉴드바디부
3410, 3420 : 휠 400 : 전개쉴드부
410 : 제1 전개쉴드 420 : 제2 전개쉴드
500 : 전개구동부 600 : 레벨링구동부
700 : 회전구동부

Claims (7)

  1. 낙하하는 낙하물로부터 방호되는 방호유효공간을 하측에서 확보될 수 있도록 임의의 크기를 갖춘 쉴드바디부;
    상기 쉴드바디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쉴드바디부를 지지하는 서포트프레임부;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의 후측에 위치하고, 상기 쉴드바디부 또는 상기 서포트프레임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암부;
    상기 지지암부의 후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암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암부를 지지하는 마운트부;
    임의의 크기를 갖추고 상기 쉴드바디부에 결합되며, 상기 방호유효공간이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쉴드바디부를 중심으로 전개될 수 있는 전개쉴드부; 및
    상기 전개쉴드부 및 상기 쉴드바디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개쉴드부가 상기 쉴드바디부로부터 전개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개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쉴드바디부가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의 상측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쉴드바디부와 상기 서포트프레임부 사이의 결합은 회전결합이고,
    상기 쉴드바디부와 상기 서포트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에 대하여 상기 쉴드바디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주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바디부를 중심으로 상기 전개쉴드부가 전개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바디부와 상기 지지암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쉴드바디부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와 상기 지지암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레벨링구동력을 제공하는 레벨링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와 상기 지지암부 사이의 결합은 힌지결합이고,
    상기 레벨링구동부는,
    일측단이 상기 쉴드바디부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지지암부에 결합되며, 일측단과 타측단이 선택적으로 신장(伸長) 또는 수축될 수 있는 유압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쉴드부는,
    상기 쉴드바디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쉴드바디부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1 전개쉴드 및
    상기 쉴드바디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쉴드바디부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2 전개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개쉴드 또는 상기 제2 전개쉴드는 상기 쉴드바디부와 슬라이딩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프레임부에는,
    일부분이 지면에 접하면서 상기 서포트프레임부가 지면상에 안착될 수 있는 착지레그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방호장치.
KR1020210105791A 2021-08-11 2021-08-11 낙하물 방호장치 KR102570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91A KR102570179B1 (ko) 2021-08-11 2021-08-11 낙하물 방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91A KR102570179B1 (ko) 2021-08-11 2021-08-11 낙하물 방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21A KR20230023921A (ko) 2023-02-20
KR102570179B1 true KR102570179B1 (ko) 2023-08-25

Family

ID=8532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791A KR102570179B1 (ko) 2021-08-11 2021-08-11 낙하물 방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1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773B1 (ko) * 2011-05-06 2011-09-08 (주)대우건설 운영중 터널확대를 위한 터널단면 대응형 프로텍터
KR200474927Y1 (ko) * 2013-06-24 2014-10-22 서진용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KR101951604B1 (ko) * 2018-10-25 2019-05-21 황인성 고소 작업용 작업대
CN210440035U (zh) * 2019-05-22 2020-05-01 山西忻州神达金山煤业有限公司 一种悬臂式机载临时支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257B1 (ko) 2020-05-27 2020-09-02 김한기 낙하물방지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773B1 (ko) * 2011-05-06 2011-09-08 (주)대우건설 운영중 터널확대를 위한 터널단면 대응형 프로텍터
KR200474927Y1 (ko) * 2013-06-24 2014-10-22 서진용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KR101951604B1 (ko) * 2018-10-25 2019-05-21 황인성 고소 작업용 작업대
CN210440035U (zh) * 2019-05-22 2020-05-01 山西忻州神达金山煤业有限公司 一种悬臂式机载临时支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21A (ko)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29516B (zh) 用于空中作业平台的障碍检测系统
US7048467B2 (en) Security barrier
KR101817316B1 (ko) 터널 굴착 작업자 보호 장치(가이드루프)
KR20180106801A (ko) 전자 감지 타입의 보호 장치를 구비한 공중 워크 플랫폼
AU2014334503B2 (en) Swing type access system for an earth mover
US4022026A (en) Safety shield attachment
KR102570179B1 (ko) 낙하물 방호장치
US9045881B1 (en) Deployable safety apparatus
EP2952671B1 (en) Safety system for excavation equipment
GB2584792A (en) Vehicle safety
EP2274193B1 (en) Control cab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ining vehicle
US20210268983A1 (en) Vehicle Safety
AU2016256687B2 (en) Control system for ladder and machine using the same
JPS62153098A (ja) 高所作業車の安全機構
US20220134987A1 (en) Mechanisms for moving a pod out of a vehicle
WO2018020309A1 (en) An aerial platform with a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collisions
KR101876301B1 (ko) 이동식 차량 충돌 이동 방지 시스템
JP6106326B1 (ja) 落石ガード装置
KR102525105B1 (ko) 협착 방지 장치
KR101947428B1 (ko) 건축물 지하주차장 기둥 보호 구조
KR102418346B1 (ko) 지반 안착 인식구조를 가지는 범퍼 아우트리거 장치
JPH02282199A (ja) 高所作業車における作業床の安全装置
WO2023191672A1 (en) A cover system, an electronics equipment operating system and a mining machine
AU2021357178A1 (en) Machine for making foundations equipped with sensors to protect person from dangerous areas of the machine
JPS5930111B2 (ja) 落下事故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