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147B1 -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147B1
KR102570147B1 KR1020210135042A KR20210135042A KR102570147B1 KR 102570147 B1 KR102570147 B1 KR 102570147B1 KR 1020210135042 A KR1020210135042 A KR 1020210135042A KR 20210135042 A KR20210135042 A KR 20210135042A KR 102570147 B1 KR102570147 B1 KR 102570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riker
permanent magnet
door lock
strik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1986A (ko
Inventor
우정현
Original Assignee
(주)솔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리티 filed Critical (주)솔리티
Priority to KR102021013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14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05B47/000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 E05B47/0004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said core being linearly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6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9Monitoring bolt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는 도어에 설치된 도어락의 데드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잠금홈이 서로 인접한 제1측면과 제2측면에 각각 형성된 스트라이커 본체; 및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도어락에 마련된 홀센서에 대응하여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는 도어의 개방 형태에 따라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중 어느 하나가 도어락의 데드볼트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Striker for 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라이커 본체에 도어락의 홀센서에 감지될 수 있는 영구자석을 배치하되, 상기 영구자석을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자석으로 구성하여 자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홀센서에 감지될 수 있는 자력의 유효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장소의 출입문에는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어락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락 장치에는 실외에서 출입문을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잠금 장치가 설치되는데,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열쇠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락의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기계식 도어락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도어락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비밀번호, 지문인식 또는 카드인식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해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디지털 도어락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도어락에는 도어가 닫힘에 따라 데드볼트가 자동으로 잠김상태를 이루도록 작동되는 자동 잠금장치가 채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자동 잠금장치는 도어의 내측면에 내측 조작부(20)가 설치되고, 내측 조작부(20)의 내부에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PCB 기판(24)이 설치되며, PCB 기판(24)의 일면에는 홀센서(26)가 설치된다.
또한, 문틀에는 내측 조작부(20)의 데드볼트(22)가 인입되는 스트라이커(30)가 설치된다. 이때, 스트라이커(30) 내에는 홀센서(26)와 작용하는 영구자석(34)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도어의 개방을 이룬 후 도어를 닫으면 스트라이커(30)의 영구자석(34)과 내측 조작부(20)의 홀센서(26)가 근접되어 센싱(sensing)이 이루어진다. 홀센서(26)의 전기신호를 PCB 기판(24)이 수신하여 자동으로 데드볼트(22)가 스트라이커의 잠금홈에 인입되도록 제어하여 잠금 상태를 이루도록 구동된다.
한편, 상기 스트라이커(30)는 도어의 종류에 따라 고정되는 방향이 달라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스트라이커(30)는 도 2의 (a)와 같이 고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데드볼트가 수용될 수 있는 편개용 잠금홈(31)이 정면(30a)에 형성되고, 고정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데드볼트가 수용될 수 있는 양개용 잠금홈(32)이 일측 측면(30b)에 형성된다. 여기서 편개(Single Door)는 도 2의 (b)와 같이 출입구에 도어(D)가 하나만 설치된 경우를 말하고, 양개(Double Door)는 도 2의 (c)와 같이 출입구에 도어(D1,D2)가 서로 마주보며 두개가 설치된 경우를 말한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30)는 영구자석(34)의 설치를 위한 제1수용홈(32a)과 제2수용홈(32b)이 정면(30a)과 일측 측면(30b)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스트라이커(30)의 설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수용홈(32a)과 제2수용홈(32b) 중 도어락의 홀센서와 마주하는 면에 위치하는 수용홈에 작업자가 영구자석(34)을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스트라이커(30)는 시공현장에서 작업자가 영구자석(34)의 설치 위치와 설치 방향을 직접 조절해야 하므로 작업 공수 및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홀센서(26)와 영구자석(34)의 정렬 상태가 쉽게 변경될 수 있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자동 잠금 기능의 정밀도에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0365호(2003.01.1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트라이커 본체에 도어락의 홀센서에 감지될 수 있는 영구자석을 배치하되, 상기 영구자석을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자석으로 구성하여 자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홀센서에 감지될 수 있는 자력의 유효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에 설치된 도어락의 데드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잠금홈이 형성된 스트라이커 본체; 및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도어락에 마련된 홀센서에 대응하여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에 배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자석은 서로 같은 극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단위자석 간의 접합 경계면이 상기 홀센서를 향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홈과 영구자석은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의 서로 인접한 제1측면과 제2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는 도어의 개방 형태에 따라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중 어느 하나가 도어락의 데드볼트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는 상기 제1측면의 반대측 면에 위치하고 설치대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면과 상기 영구자석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제1측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과 상기 제1영구자석의 상측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2측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홈의 개구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을 적층 상태로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의 제1측면과 제2측면의 잠금홈 중 어느 하나의 잠금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라이커 본체에 도어락의 홀센서에 감지될 수 있는 영구자석을 배치하되, 상기 영구자석을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자석으로 구성하여 자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홀센서에 감지될 수 있는 자력의 유효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가 제공된다.
도 1은 편개용 스트라이커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양개용 스트라이커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제1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에 따른 영구자석의 자력선을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제1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제2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제2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제1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에 따른 영구자석의 자력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는 스트라이커 본체(110), 영구자석, 고정부(130) 및 커버(140)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는 도어에 설치된 도어락(M)의 데드볼트(M1)가 삽입될 수 있는 잠금홈이 서로 인접한 제1측면(110a)과 제2측면(110b)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110a)의 반대측 면에는 설치대상면(도어프레임 또는 타측 도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면(110c)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면(110c)에는 영구자석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3)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면(110c)의 상단과 하단에는 스트라이커 본체(110)를 설치대상면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루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13)과 접하는 격벽(114)에는 고정부(130)의 고정을 위한 고정공(115)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트라이커 본체(110)는 도어의 개방 형태에 따라 상기 제1측면(110a)과 제2측면(110b) 중 어느 하나가 도어락(M)의 데드볼트(M1)와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므로, 스트라이커의 도어 형태에 대한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와 커버(140)는 상기 제1영구자석(120a) 및 제2영구자석(120b)에서 발생하는 자력이 스트라이커 본체(110)를 경유하면서 스트라이커 본체(110)에 포함되는 철성분에 의해 저하되지 않도록 비철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구자석은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상기 도어락(M)에 마련된 홀센서(M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홈(113) 내에서 상기 제1측면(110a)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120a)과 상기 수용홈(113) 내에서 상기 제1영구자석(120a)의 상측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2측면(110b)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영구자석(120b)을 포함하며, 상기 제1영구자석(120a)과 제2영구자석(120b)은 에폭시 수지 등에 의해 상호 고정되어 단일 모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구자석(120a)과 제2영구자석(120b)은 각각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단위자석은 서로 같은 극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단위자석 간의 접합 경계면이 상기 홀센서(M2)를 향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복수의 단위자석은 S극과 S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N극과 N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에폭시 수지 등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단위자석들이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하도록 배열되는 경우, 동일한 극성 간에 강한 반발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반반력에 의해 자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와 같이 영구자석을 제1두께(t1)를 가지는 단일자석으로 구성하는 경우 N극과 S극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기력선이 타원의 형상을 이루게 되고, 홀센서에 감지될 수 있는 자력의 유효영역은 제1길이(d1)를 갖는다. 반면, 도 7의 (b)와 같이 영구자석을 상기 제1두께(t1)와 동일한 제2두께(t2)로 구성하되 두 개의 단위자석으로 구성하면서 단위자석의 S극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일측 단위자석의 S극과 타측 단위자석의 S극 사이의 반발력에 의해 홀센서에 감지될 수 있는 자력의 유효영역이 상기 제1길이(d1)보다 연장된 제2길이(d2)를 갖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기존의 단일 영구자석에 비해 홀센서(M2)에 감지될 수 있는 자력의 유효영역을 확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홀센서(M2)의 감지 영역이 증가하여 홀센서(M2)와 영구자석의 정렬 불량에 따른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제1영구자석(120a)과 제2영구자석(120b)을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고정공(115)에 체결되는 스크루 형태의 체결부(131)와 상기 체결부(131)의 후단에 형성되는 헤드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32)는 상기 체결부(131)가 고정공(115)에 체결된 상태에 상기 영구자석의 후단부를 지지함에 따라 수용홈(113) 내에 수용된 영구자석이 임의로 이동하거나 수용홈(113)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140)는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고정면(110c)을 제외한 나머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제1결함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개구홈(141)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설치 상태에 따라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제1측면(110a)이 도어락(M)의 데드볼트(M1)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제2측면(110b)의 제2잠금홈(112)을 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40)는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외측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커버(140)를 관통하고 스트라이커 본체(110)에 체결되는 스크루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140)가 제1잠금홈(111)에 대응하는 제1개구홈(141)이 형성되어 제2잠금홈(112)을 은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잠금홈(112)에 대응하는 제2개구홈이 형성된 커버(140)(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여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제2측면(110b)이 도어락(M)의 데드볼트(M1)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제1잠금홈(111)을 은폐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제1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제1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사용상태는 양개형 도어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양개형 도어는 출입구에 설치된 두 개의 도어(10a,10b)가 전,후방으로 회동하면서 출입구를 개폐하는 구조이므로, 일측 도어(D1)에는 도어락(M)을 설치하고, 타측 도어(D2)에는 스트라이커 본체(110)를 설치해야 한다. 이때, 상기 도어가 양개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고정 방향이 도어락(M)의 데드볼트(M1)의 수용 방향과 직각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는 제2측면(110b)이 도어락(M)과 마주하고 고정면(110c)이 타측 도어(D2)과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2측면(110b)에 형성된 제2잠금홈(112)이 상기 데드볼트(M1)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한 상태에서,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를 타측 도어(D2)에 고정한다.
한편,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외측면은 커버(14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데,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제2측면(110b)에 형성된 제2잠금홈(112)은 커버(140)의 제1개구홈(141)을 통해 노출되므로 도어락(M)의 데드볼트(M1)가 제2잠금홈(112)으로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제1측면(110a)에 형성된 제1잠금홈(111)은 커버(140)에 의해 은폐되므로 제1잠금홈(111)이 불필요하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개형 도어의 일측 도어(D1)와 타측 도어(D2)에 도어락(M)과 스트라이커 본체(110)가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도어(D1)와 타측 도어(D2)가 각각 닫힌 상태, 즉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가 되면 도어락(M)에 마련된 홀센서(M2)와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제2측면(110b)의 내벽에 배치된 제2영구자석(120b)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가 되므로, 도어락(M)의 홀센서(M2)가 제2영구자석(120b)의 자력을 감지하여 도어(10a,10b)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홀센서(M2)가 제2영구자석(120b)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도어락(M)의 제어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M1)를 전진 구동시켜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제2잠금홈(112)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첨부도면 중, 도 10은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제2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의 제2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사용상태는 편개형 도어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편개형 도어는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D)가 출입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출입구를 개폐하는 구조이므로, 도어(D)에는 도어락(M)을 설치하고, 도어프레임(DF)에는 스트라이커 본체(110)를 설치해야 한다. 이때, 상기 도어(D)가 편개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고정 방향이 도어락(M)의 데드볼트(M1)의 수용 방향과 나란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는 제1측면(110a)이 도어락(M)과 마주하고 고정면(110c)이 도어프레임(DF)과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1측면(110a)에 형성된 제1잠금홈(111)이 상기 데드볼트(M1)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한 상태에서,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110)를 도어프레임(DF)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편개형 도어의 도어(D)와 도어프레임(DF)에 도어락(M)과 스트라이커 본체(110)가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가 각각 닫힌 상태, 즉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가 되면 도어락(M)에 마련된 홀센서(M2)와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제1측면(110a)의 내벽에 배치된 제1영구자석(120a)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가 되므로, 도어락(M)의 홀센서(M2)가 제1영구자석(120a)의 자력을 감지하여 도어(D)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홀센서(M2)가 제1영구자석(120a)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도어락(M)의 제어부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M1)를 전진 구동시켜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제1잠금홈(111)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라이커 본체(110)의 제1측면(110a)과 제2측면(110b)에 각각 데드볼트(M1)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잠금홈(111)과 제2잠금홈(112)을 형성하여 편개용 도어와 양개용 도어에 각각 적용할 수 있으며, 제1측면(110a)과 제2측면(110b)에 각각 영구자석을 배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시공현장에서 작업자가 별도로 영구자석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탈착해야 하는 문제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작업 공수 및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균일한 시공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영구자석(120a)과 제2영구자석(120b)을 각각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자석으로 구성하여 자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홀센서(M2)에 감지될 수 있는 자력의 유효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홀센서(M2)와 제1영구자석(120a) 또는 제2영구자석(120b)의 정렬 불량에 따른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스트라이커 본체, 110a:제1측면, 111:제1잠금홈,
110b:제2측면, 112:제2잠금홈, 110c:고정면,
113:수용홈, 114:격벽, 115:고정공,
120a:제1영구자석, 120b:제2영구자석, 130:고정부,
131:체결부, 132:헤드부, 140:커버,
141:제1개구홈, D:도어, DF:도어프레임,
D1:일측 도어, D2:타측 도어, M:도어락,
M1:데드볼트, M2:홀센서

Claims (6)

  1. 도어에 설치된 도어락의 데드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잠금홈이 형성된 스트라이커 본체; 및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도어락에 마련된 홀센서에 대응하여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에 배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자석은 자력의 유효영역 확장을 위해 서로 같은 극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단위자석 간의 접합 경계면이 상기 홀센서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홈과 영구자석은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의 서로 인접한 제1측면과 제2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는 도어의 개방 형태에 따라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중 어느 하나가 도어락의 데드볼트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는 상기 제1측면의 반대측 면에 위치하고 설치대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면과 상기 영구자석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제1측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과 상기 제1영구자석의 상측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2측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개구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을 적층 상태로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의 제1측면과 제2측면의 잠금홈 중 어느 하나의 잠금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라이커 본체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KR1020210135042A 2021-10-12 2021-10-12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KR102570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042A KR102570147B1 (ko) 2021-10-12 2021-10-12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042A KR102570147B1 (ko) 2021-10-12 2021-10-12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986A KR20230051986A (ko) 2023-04-19
KR102570147B1 true KR102570147B1 (ko) 2023-08-25

Family

ID=8614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042A KR102570147B1 (ko) 2021-10-12 2021-10-12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1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7771A (ja) * 2007-06-26 2009-01-15 Murata Mach Ltd ドアスイッチシステム
KR101986613B1 (ko) * 2018-06-07 2019-09-30 주식회사 에픽시스템즈 슬라이딩 도어용 도어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5Y1 (ko) 2002-10-21 2003-01-14 (주)아거스 개폐감지용 도어록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7771A (ja) * 2007-06-26 2009-01-15 Murata Mach Ltd ドアスイッチシステム
KR101986613B1 (ko) * 2018-06-07 2019-09-30 주식회사 에픽시스템즈 슬라이딩 도어용 도어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986A (ko)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5917B2 (en) Door lock with integrated door position sensor
US8922370B2 (en) Locking device with embedded circuit board
US4635399A (en) Door jamb support
US5836628A (en) Doorjamb reinforcing device
US9033378B2 (en) Security door lock device
US20170306688A1 (en) Electrical Mullion Receptacle
US6837527B1 (en) Strike plate assembly for a dead bolt
KR100784450B1 (ko) 전자석 도어록
KR102570147B1 (ko)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US5129693A (en) Doorjamb anti-separation device
KR102146409B1 (ko) 전자석 도어록
US4656691A (en) Door hinge with pin member for engaging wall structure
US3665737A (en) Burglar proof method and means
KR102547132B1 (ko) 스트라이킹 플레이트 조립체
KR101849307B1 (ko) 경보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구조
CN104929444A (zh) 一种电子门锁
KR200353558Y1 (ko)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JP7280598B2 (ja) 電子錠
KR102153098B1 (ko) 전기정, 그리고 전기정 어셈블리
KR200231773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자동 도어잠금장치
CA1223617A (en) Security device for doors and jambs
JP4443427B2 (ja) 施錠装置
JP3955348B2 (ja) 外壁設備機器取付具、外壁設備機器取付具を使用した建築用パネル及び外壁設備機器取付構造
KR200340874Y1 (ko) 출입문용 유리문의 잠금부재
JP3198498U (ja) 防犯補助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