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098B1 - 전기정, 그리고 전기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기정, 그리고 전기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098B1
KR102153098B1 KR1020190062096A KR20190062096A KR102153098B1 KR 102153098 B1 KR102153098 B1 KR 102153098B1 KR 1020190062096 A KR1020190062096 A KR 1020190062096A KR 20190062096 A KR20190062096 A KR 20190062096A KR 102153098 B1 KR102153098 B1 KR 102153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nsing member
locking
uni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윤
Original Assignee
최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윤 filed Critical 최상윤
Priority to KR102019006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05B47/000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 E05B47/0004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said core being linearly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정을 제공한다. 전기정은, 도어 프레임과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1바디와;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홈이 형성되는 제2바디와; 상기 내부 공간에 제공되며,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한 잠금 로드를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상기 도어의 열림 여부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유닛과; 상기 열림 여부 상태에 따라 상기 잠금 유닛을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제2바디에 제공되는 자성체와; 상기 제1바디에 제공되고 상기 자성체와 대향되게 제공되는 감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정, 그리고 전기정 어셈블리{Electric Locker and electric locker assembly}
본 발명은 전기정, 그리고 전기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학교, 호텔 등에서는 도어를 록킹(Locking) 또는 언록킹(Unlocking)하기 위한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 장치의 예로, 열쇠 등을 이용하여 도어를 록킹(Locking) 또는 언록킹(Unlocking)하는 수동 방식의 잠금 장치와, 전기의 공급 여부에 의해 도어를 록킹(Locking) 또는 언록킹(Unlocking)하는 전기정을 들 수 있다.
통상의 전기정의 경우에는, 전기의 공급 여부에 따라서 전기정에 제공되는 잠금 걸림쇠가 문짝틀의 홈으로 삽입되어 록킹(Locking) 상태가 되거나, 잠금 걸림쇠가 문짝틀의 홈에서 인출되어 언록킹(Unlocking) 상태가 된다. 또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확인하고, 이에 근거하여 도어를 록킹(Locking) 또는 언록킹(Unlocking)하기 위해, 센서가 도어 및 문짝틀에 설치된다. 그리고 센서는 전기정과 배선을 통해 연결된다.
그러나, 전기정과 센서가 각각 도어 및 문짝틀에 설치되는 경우, 별도의 배선 작업이 필요하여 공수가 많이 소요된다. 또한, 전기정과 센서를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배선이 손상될 위험이 발생한다. 배선이 손상되는 경우 센서가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적절히 확인하지 못하여 도어의 록킹(Locking) 또는 언록킹(Unlocking)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또한, 도어 및/또는 문짝틀의 구조에 따라, 전기정과 센서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정과 센서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어의 형상을 가공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안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공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전기정, 그리고 전기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정과 센서를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배선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기정, 그리고 전기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정을 제공한다. 전기정은, 도어 프레임과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1바디와;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홈이 형성되는 제2바디와; 상기 내부 공간에 제공되며,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한 잠금 로드를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상기 도어의 열림 여부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유닛과; 상기 열림 여부 상태에 따라 상기 잠금 유닛을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제2바디에 제공되는 자성체와; 상기 제1바디에 제공되고 상기 자성체와 대향되게 제공되는 감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부재가 상기 자성체의 자성을 감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열림 여부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열림 여부 상태의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잠금 로드를 둘러싸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로드는,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상기 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부재가 상기 자성을 감지하여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감지 부재가 상기 자성을 감지하지 못하여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전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감지 유닛과 상기 잠금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체는 네오디움 자석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전력을 설정 시간 동안 차단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정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전기정 어셈블리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자성체와 상기 감지 부재가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플레이트들은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자성체와 상기 감지 부재가 서로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들 중 선택된 개수의 플레이트들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기정의 설치가 용이하고, 전기정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공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기정과 센서를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배선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바디를 A-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바디 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1바디 내부를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2바디를 B-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정이 도어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정 어셈블리의 구성인 플레이트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정 어셈블리가 도어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정(100)은 제1바디(110), 그리고 제2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10), 그리고 제2바디(120)는 전기정(1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바디(110), 그리고 제2바디(120) 각각은 복수의 커버 플레이트들이 서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바디(110)는 복수의 커버 플레이트들이 서로 조합되어 내부 공간(112)을 가지는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바디(110)가 가지는 통 형상은 직사각의 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들은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커버 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의 커버 플레이트를 제1바디(1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제1바디(110)의 내부를 손쉽게 살펴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바디(110)와 유사하게 제2바디(120)도 복수의 커버 플레이트가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바디(110)를 이루는 커버 플레이트들과 제2바디(120)를 이루는 커버 플레이트들은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바디(110) 및/또는 제2바디(120)에는 잠금 유닛(140), 그리고 감지 유닛(160)이 제공될 수 있다. 잠금 유닛이 포함하는 잠금 로드(142)는 도어를 록킹(Locking) 또는 언록킹(Unlocking) 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유닛(160)은 도어의 열림 여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유닛(140), 그리고 감지 유닛(160)은 제어부(18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 유닛(160)이 감지하는 도어의 열림 여부 상태에 따라 잠금 유닛(140)을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할 있다.
잠금 유닛(140), 그리고 감지 유닛(160)은 제1바디(110) 및/또는 제2바디(120)에 제공되므로 이하에서 잠금 유닛(140), 그리고 감지 유닛(160)이 가지는 구성들은 제1바디(110), 그리고 제2바디(120)의 구성을 살피면서 함께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1바디를 A-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제1바디 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제1바디 내부를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바디(110)는 내부 공간(112)을 가진다. 제1바디(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커버 플레이트들은 서로 조합되어 내부 공간(11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바디(110)에는 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14)는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114)는 잠금 유닛의 잠금 로드(142)가 후술하는 제2바디(120)의 홈(122)에 삽입 또는 인출될 때 잠금 로드(142)의 이동이 가능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바디(110)의 내부 공간(112)에는 잠금 유닛(140)이 제공될 수 있다. 잠금 유닛(140)은 잠금 로드(142), 그리고 솔레노이드 코일(144)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로드(142)는 일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잠금 로드(142)가 이동하는 경로의 중심축은 개구(114)의 중심을 지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잠금 로드(142)는 후술하는 제2바디(120)의 홈(122)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잠금 로드(142)의 구동에 따라 잠금 로드(142)는 제1바디(11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제1바디(110)의 내부로 감춰질 수 있다. 잠금 로드(142)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잠금 로드(142)는 원형의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잠금 로드(142)는 개구(114)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144)은 잠금 로드(142)를 둘러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144)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흐르는 전류는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전류가 흘러 형성되는 자기장은 잠금 로드(14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144)에는 전원(170)이 연결될 수 있다. 전원(170)은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인가된 전력은 솔레노이드 코일(144)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자기장은 잠금 로드(14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잠금 로드(142)는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전력이 인가되면 후술하는 제2바디(120)의 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잠금 로드(142)는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전력이 차단되면 제2바디(120)의 홈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제1바디(110)의 일측에는 감지 유닛(160)이 포함하는 감지 부재(162)가 제공될 수 있다. 감지 부재(162)는 자성을 감지하는 기재일 수 있다. 감지 부재(162)는 개구(114)와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감지 부재(162)는 제1바디(110)에 제공되며, 후술하는 자성체(164)와 대향되게 제공될 수 있다. 감지 부재(162)는 비접점 방식으로 자성체(164)의 자성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 유닛(160) 및/또는 잠금 유닛(1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 유닛(160) 및/또는 잠금 유닛(140)을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감지 부재(162)가 자성체(164)의 자성을 감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도어의 열림 여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어의 열림 여부 상태의 판단에 근거하여 잠금 유닛(140)을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감지 부재(162)의 자성 감지 여부에 따라, 전원(170)의 전력 인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 부재(162)의 자성 감지 여부에 따라 전력의 인가 또는 차단을 통해 잠금 로드(14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제2바디를 B-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바디(120)에는 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2)에는 잠금 유닛의 잠금 로드(142)가 삽입될 수 있다. 홈(122)은 잠금 로드(142)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홈(122)은 사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홈(122)은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Round)진 사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바디(120)에는 감지 유닛(160)의 자성체(164)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164)는 홈(122)과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자성체(164)는 제1바디(110)에 제공되는 감지 부재(162)와 대향되게 제공될 수 있다. 자성체(164)는 자기를 띄는 물질일 수 있다. 자성체(164)는 네오디움 자석일 수 있다. 네오디움 자석은 강한 자성을 가지므로, 자성체(164)와 감지 부재(162)가 다소 이격되어 있더라도 감지 부재(162)는 자성체(164)의 자성을 감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정이 도어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내지 9를 참조하면, 전기정(100)의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도어(2100)와 도어 프레임(22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중 어느 하나는 도어(2100)에 설치되고,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중 다른 하나는 도어 프레임(2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의 예에서는 제1바디(110)가 도어 프레임(2200)에 설치되고, 제2바디(120)가 도어(210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바디(110)가 도어(2100)에 설치되고, 제2바디(120)가 도어 프레임(22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어(2100)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도어(2100)와 도어 프레임(2200)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2100)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자성체(164)와 감지 부재(162) 사이의 거리는 인근 거리이다. 자성체(164)와 감지 부재(162) 사이의 거리가 인근 거리인 것은 감지 부재(162)가 자성체(164)의 자성을 감지할 수 있는 거리로 정의된다. 자성체(164)와 감지 부재(162) 사이의 거리가 인근 거리인 경우, 자성체(164)의 자성을 감지 부재(162)가 감지할 수 있다. 감지 부재(162)가 자성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도어(2100)의 상태를 닫힌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도어(2100)의 열림 여부 상태를 닫힌 상태로 판단하면, 제어부(180)는 전원(170)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전원(170)이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전력을 인가하여 잠금 로드(142)가 홈(122)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도어(2100)는 록킹(Locking)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7은 도어(2100)가 록킹(Locking)상태에서 언록킹(Unlocking) 상태로 변경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2100)를 열기 위해서는 록킹(Locking) 상태의 도어(2100)를 언록킹(Unlocking) 상태로 변경해야 한다. 도어(2100)를 언록킹(Unlocking)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는 스위치(190)를 누를 수 있다. 제어부(180)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190)는 제어부(18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스위치(190)를 누르는 경우, 제어부(180)는 감지 부재(162)가 자성체(164)의 자성을 감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전원(170)이 인가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스위치(190)를 누르는 경우 도어(2100)는 록킹(Locking) 상태에서 언록킹(Unlocking) 상태가 될 수 있다. 언록킹(Unlocking) 상태는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190)를 누르는 경우, 감지 부재(162)가 자성체(164)의 자성을 감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인가하는 전력을 설정 시간 동안 차단할 수 있다. 설정 시간은 설치되는 장소 또는 사용자의 설정 값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도어(2100)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 도어(2100)와 도어 프레임(2200)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어(2100)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 자성체(164)와 감지 부재(162) 사이의 거리는 이격 거리이다. 자성체(164)와 감지 부재(162) 사이의 거리가 이격 거리인 것은, 감지 부재(162)가 자성체(164)의 자성을 감지할 수 없는 거리로 정의된다. 자성체(164)와 감지 부재(162) 사이의 거리가 이격 거리인 경우, 자성체(164)의 자성을 감지 부재(162)가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감지 부재(162)가 자성을 감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80)는 도어(2100)의 상태를 열린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도어(2100)의 열림 여부 상태를 열린 상태로 판단하면, 제어부(180)는 전원(170)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전원(170)이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전력을 차단하여 잠금 로드(142)가 홈(122)에 인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도어(2100)는 언록킹(Unlocking)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어(2100)가 언록킹(Unlocking)상태에서 록킹(Locking) 상태로 변경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어(2100)의 열림 여부 상태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자성체(164)는 감지 부재(162) 사이의 거리는 인근 거리가 된다. 이에, 자성체(164)의 자성을 감지 부재(162)가 감지할 수 있다. 감지 부재(162)가 자성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도어(2100)의 상태를 닫힌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도어(2100)의 열림 여부 상태를 닫힌 상태로 판단하면, 제어부(180)는 전원(170)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전원(170)이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전력을 인가하여 잠금 로드(142)가 홈(122)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도어(2100)의 상태는 언록킹(Unlocking) 상태에서 록킹(Lockin)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감지 부재(162)가 자성을 감지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이 지난 이후 잠금 로드(142)가 홈(122)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정 어셈블리가 포함하는 플레이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정 어셈블리는 전기정(100)과, 그리고 플레이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정 어셈블리는 복수의 플레이트(5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정 어셈블리의 구성인 플레이트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플레이트(500)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500)는 설정 두께(T)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500)에는 제1체결홀(501), 제2체결홀(502), 그리고 돌출부(50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홀(501)은 장 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체결홀(501)은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체결홀(501)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제1체결홀(501)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체결홀(501)들은 그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홀(502)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체결홀(502)은 제1체결홀(501)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체결홀(502)은 제1체결홀(501)의 길이 방향 말단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체결홀(502)이 형성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돌출부(503)는 플레이트(5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03)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500)가 서로 적층되는 경우, 플레이트(500)가 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플레이트(500)의 하면에는 돌출부(503)와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만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플레이트(500)가 서로 적층되는 경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인 플레이트(500)의 돌출부(503)는 인접한 플레이트(500)의 하면에 형성된 만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플레이트(500)가 서로 적층되는 경우, 플레이트(500)가 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정 어셈블리가 도어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도어(2100)와 도어 프레임(2200) 각각에 제2바디(120)와 제1바디(110)를 설치하는 경우, 도어(2100)와 도어 프레임(2200)의 형상에 따라 감지 부재(162)와 자성체(164)가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도어(2100)와 도어 프레임(2200)의 형상에 따라 잠금 로드(142)가 홈(122)의 위치에 대향되게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플레이트(500)는 전기정(100)의 제1바디(110) 또는 제2바디(120)에 결합되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부재(162)와 자성체(164)가 일정 거리(D) 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된 플레이트(500)들의 두께가 일정 거리(D)에 해당하도록, 복수의 플레이트(500)들 중 선택된 개수의 플레이트(500)들이 제1바디(110) 또는 제2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거리(D)가 플레이트(500)의 설정 두께(T)에 2 배에 해당하는 두께인 경우, 2 개의 플레이트(500)를 제2바디(120)에 결합하여 자성체(164)와 감지 부재(162)가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정과 센서가 각각 도어 및 문짝틀에 설치되는 경우, 별도의 배선 작업이 필요하여 공수가 많이 소요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정(100)은 잠금 기능과 감지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센서 설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전기정(100)의 제1바디(110), 그리고 제2바디(120)에 잠금 유닛, 그리고 감지 유닛이 제공되어 작업자에게 별도의 배선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잠금 유닛과 감지 유닛을 잇는 배선들이 제1바디(110)의 내부 공간(112)에 제공될 것이므로,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발생하는 문제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전력이 인가되면 잠금 로드(142)가 제2바디(120)의 홈(122)에 삽입되고,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전력이 차단되면 잠금 로드(142)가 제2바디(120)의 홈(122)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전력이 인가되면 잠금 로드(142)가 제2바디(120)의 홈(122)으로부터 인출되고, 솔레노이드 코일(144)에 전력이 차단되면 잠금 로드(142)가 제2바디(120)의 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전기정 어셈블리 : 1000
전기정 : 100
제1바디 : 110
내부 공간 : 112
개구 : 114
제2바디 : 120
홈 : 122
잠금 유닛 : 140
잠금로드 : 142
솔레노이드 코일 : 144
감지 유닛 : 160
감지 부재 : 162
자성체 : 164
전원 : 170
제어부 : 180
스위치 : 190
플레이트 : 500
제1체결홀 : 501
제2체결홀 : 502
돌출부 : 503
도어 : 2100
도어 프레임 : 2200

Claims (8)

  1. 도어 프레임과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1바디와;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홈이 형성되는 제2바디와;
    상기 내부 공간에 제공되며,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한 잠금 로드를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상기 도어의 열림 여부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유닛과;
    상기 열림 여부 상태에 따라 상기 잠금 유닛을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제2바디에 제공되는 자성체와;
    상기 제1바디에 제공되고 상기 자성체와 대향되게 제공되는 감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정을 포함하는 전기정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자성체와 상기 감지 부재가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돌출 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 부와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만입 부가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가 서로 적층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돌출 부가 인접한 복수의 상기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의 만입 부에 삽입될 수 있게 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장 홀 형상의 체결 홀이 형성되는 전기정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부재가 상기 자성체의 자성을 감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열림 여부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열림 여부 상태의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정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잠금 로드를 둘러싸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로드는,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상기 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되는 전기정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부재가 상기 자성을 감지하여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감지 부재가 상기 자성을 감지하지 못하여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전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감지 유닛과 상기 잠금 유닛을 제어하는 전기정 어셈블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네오디움 자석인 전기정 어셈블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을 설정 시간 동안 차단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기정 어셈블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플레이트들은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자성체와 상기 감지 부재가 서로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들 중 선택된 개수의 플레이트들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전기정 어셈블리.

KR1020190062096A 2019-05-27 2019-05-27 전기정, 그리고 전기정 어셈블리 KR102153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96A KR102153098B1 (ko) 2019-05-27 2019-05-27 전기정, 그리고 전기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96A KR102153098B1 (ko) 2019-05-27 2019-05-27 전기정, 그리고 전기정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098B1 true KR102153098B1 (ko) 2020-09-09

Family

ID=7245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096A KR102153098B1 (ko) 2019-05-27 2019-05-27 전기정, 그리고 전기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0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456A (ja) * 1994-12-16 1996-07-02 Goal Co Ltd 扉錠用受座における施錠杆との係合間隔調節装置
KR200314613Y1 (ko) * 2003-02-15 2003-05-27 전한병 디지털 오토 도어록 장치
KR100749638B1 (ko) * 2006-09-26 2007-08-14 청 장 데드볼트식 전자석 도어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456A (ja) * 1994-12-16 1996-07-02 Goal Co Ltd 扉錠用受座における施錠杆との係合間隔調節装置
KR200314613Y1 (ko) * 2003-02-15 2003-05-27 전한병 디지털 오토 도어록 장치
KR100749638B1 (ko) * 2006-09-26 2007-08-14 청 장 데드볼트식 전자석 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684B2 (en) Vehicle stowage assembly having electromagnetic closure
US9657501B2 (en) Electric strike and combination with improved lock assembly
KR101594823B1 (ko) 통합 도어 위치센서가 구비된 도어 록
US10184279B2 (en) Magnetic latch for safety applications with adjustable holding force
US20210017789A1 (en) Door position sensor for an electromagnetic door lock
US5996831A (en) Closure device
US20040026933A1 (en) Electromechanical locking method and device
US9580933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opening and closing of door
EP2997212B1 (en) Latch arrangement
EP2049753B1 (en) Magnetic lock means with auxiliary mechanical locking or resistance means
US20140175814A1 (en) Security door block
KR102153098B1 (ko) 전기정, 그리고 전기정 어셈블리
KR100784450B1 (ko) 전자석 도어록
WO2016172164A1 (en) Self-locking lock for merchandise security
CN211974661U (zh) 一种监室门监系统及电子锁
EP0692594B1 (de) Safe mit mehreren Schliessfächern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s Betriebszustandes jeweils eines Schliessfaches
JP2006164958A (ja) 防犯センサ
KR102570147B1 (ko)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US20140327249A1 (en) Internal Locking Mechanism for an Externally Locked Door
CN209891883U (zh) 一种柜门上的电子锁
AU2012100210B4 (en) Improved electric strike and combination with improved lock assembly
JP2017106238A (ja) 開閉部材の状態検出装置
KR101540468B1 (ko)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EP3734000A1 (en) Electric lock device, electronic lock system, access member and access member system
KR200231773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자동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