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739B1 -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739B1
KR102569739B1 KR1020230037971A KR20230037971A KR102569739B1 KR 102569739 B1 KR102569739 B1 KR 102569739B1 KR 1020230037971 A KR1020230037971 A KR 1020230037971A KR 20230037971 A KR20230037971 A KR 20230037971A KR 102569739 B1 KR102569739 B1 KR 102569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ozone
outer cylind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7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헌정
조한식
Original Assignee
주헌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헌정 filed Critical 주헌정
Priority to KR1020230037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05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the liquid being ozo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making use of the reversal flow of the clean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by creating a shock wave in the clean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3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배관, 하수관, 난방배관 등의 내부에 형성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배관 내부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무기 물질에 대한 산화 및 분해력이 우수하고 각종 미생물 및 박테리아에 대한 살균력이 탁월하며 연질 스케일의 제거력이 우수한 오존수와 살균력과 탈취력 및 분해력이 우수한 산소수를 함께 사용하여 연질, 슬라임 등 각종 오염물질과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pollutants cleaning device inside the pipe}
본 발명은 급수배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급수배관, 하수관, 난방배관 등의 내부에 형성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배관 내부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무기 물질에 대한 산화 및 분해력이 우수하고 각종 미생물 및 박테리아에 대한 살균력이 탁월하며 연질 스케일의 제거력이 우수한 오존수와 살균력과 탈취력 및 분해력이 우수한 산소수를 함께 사용하여 연질, 슬라임 등 각종 오염물질과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용해탱크에서 오존과 산소가 물에 고르게 혼합되어 이들이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관은 관을 밸브, 관이음 등을 이용, 접속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모든 동력 장치나 액체, 기체의 수송, 이동에 사용되며, 그 용도나 유체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따라 가스 배관, 급수 배관, 난방 배관 등이 있다.
이러한 배관들 중 상하수도, 공업용,수도난방관,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상수도 배관은 장시간 사용할 경우 배관의 내부에 오염원 및 이물질을 쌓여 물의 흐름을 방해함에 따라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누수가 발생하고 있고, 그 누수율이 10%를 상회하는 문제가 있다.
즉, 노후된 배관은 배관내부에 스케일, 슬라임이 생성되어 통수 단면적을 감소시켜 열효율이 저감되고, 배관수명이 단축되며, 오염된 배관에 의하여 사용자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배관 내에 존재하는 스케일 및 슬라임을 세척하여 제거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특허문헌 1내지 4의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미세버블을 이용한 배관세척장치는, 에어가 공급되는 입구에 형성되며 공급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입력밸브, 에어입력밸브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을 표시하기 위한 에어압력계, 에어입력밸브 및 에어압력계가 위치하며 공급되는 에어가 이동되는 제1에어공급라인, 제1에어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제2에어공급라인과 제3에어공급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에어제공수단과 세척수가 공급되는 입구에 형성되며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세척수입력밸브와 세척수입력밸브가 위치하며 공급되는 세척수가 이동되는 세척수공급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수제공수단과 세척을 위한 배관이 연결되는 혼합공급라인에 형성되며, 미세버블이 혼합된 세척수에 세척용 세제를 제공하기 위한 세제공급탱크 및 세제공급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세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세제입력밸브로 이루어지는 제제공수단 및 에어제공수단, 세척수제공수단 및 세제제공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패널로 이루어지는 배관세척장치이고,
특허문헌 2는 오존을 이용한 관로 소독 및 세척 방법에 있어서, 오존을 이용한 관로 소독 및 세척 방법은, 원수에 오존을 투입하여 교반기 탱크 내로 공급하는 제1단계; 교반기 탱크 내에서 오존이 포함된 원수를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에 의하여 교반하는 제2단계; 교반기 탱크에 연결된 냉동기를 가동하여 교반기 탱크 내의 오존이 포함된 원수를 70% ~ 85%의 결빙상태로 제조하는 제3단계; 및 결빙된 오존이 포함된 원수를 오존수 펌프를 이용하여 관로에 펌핑하여 관로를 소독 및 세척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존을 이용한 관로 소독 및 세척 방법이고,
특허문헌 3은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배관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배관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공급부와, 배관 내부로 고압질소를 공급하기 위한 고압질소공급부와, 세척수공급부, 고압질소공급부 및 배관이 각각 연결되어 세척수 및 고압질소를 배관으로 전달하는 메인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메인작동부는 작동몸체와, 작동몸체 내부에 형성되고 고압질소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유로와, 작동몸체 내부에 형성되고 세척수공급부와 연결되는 제2유로와, 작동몸체 내부에 형성되고 제1유로 및 제2유로가 합류하며 배관과 연결되는 연결유로와, 제1유로에 설치되어 고압질소가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와류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관세척시스템이며,
특허문헌 4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양측면 하부영역에 물 주입구와 물 배출구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 상부영역에 공기 주입구과 구비된 하우징과 하우징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탈결착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며, 사용 상태를 표시되는 계기판과 하우징 배면 상부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계기판을 덮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본체 및 본체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물 주입구와 연통되는 물 주입관, 제1밸브, 물 흐름관, 제2밸브 및 물 배출관 순서로 연결되고, 물 배출관은 물 배출구와 연결설치되며, 물 주입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펌프가 구비되고, 공기 주입구와 연통되는 공기 공급관, 공기 공급 펌프 및 공기 배출관이 포함되되 공기 배출관은 물 배출관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배관세척장치와 배관세척장치와 세척되는 상수도 배관에 설치되는 고정모듈이 더 포함하는 물과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수도 배관 내 스케일과 슬라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휴대용 배관세척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배관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술들은 대부분 급수배관에 방청제를 소량 첨가하여 부식속도를 줄이는 방청제를 이용한 방법,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부에 전류를 흘러 자기장을 형성시키고 물속의 금속이온을 자화시켜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는 자기장치을 이용한 방법, 배관 벽면에 금속이온 부착을 방지하는 전자장장치를 이용한 방법, 자외선과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한 광공학장치 및 코로나방전장치를 이용한 방법, 오염된 배관을 세척하는 방법으로는 고압의 유체로 배관 내부를 세척하는 Polly-Pig 공법, 규사를 배관내부로 고속 분사시키는 샌드블라스트 공법, 초음파 및 공기로 배관 내부에 충격을 주는 초음파 세척 방법, 공기 충격파 세척 방법, 및 약품을 이용하는 약품세척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관의 오염방지 기술은 최초 실시에 드는 비용과 유지비용이 많이 들고, 종래 지어진 건물들에 설치된 대부분의 상수도 배관들은 오염방지 기술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며, 그 배관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오염방지기술의 적용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오존수를 제조하는 오존용해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러한 오존용해장치는 구성이 복잡할 뿐 오존이 고르게 세척수에 용해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131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59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08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69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급수배관, 하수관, 난방배관 등의 내부에 형성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배관 내부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무기 물질에 대한 산화 및 분해력이 우수하고 각종 미생물 및 박테리아에 대한 살균력이 탁월하며 연질 스케일의 제거력이 우수한 오존수와 살균력과 탈취력 및 분해력이 우수한 산소수를 함께 사용하여 연질, 슬라임 등 각종 오염물질과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용해탱크에서 오존과 산소가 물에 고르게 혼합되어 이들이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는 배관 내부에 쌓인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하기 위한 세척 장치에 있어서, 살균을 위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상수로부터 급수된 물에 용해시키는 용해탱크; 상기 용해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용해탱크에 공급된 물을 순환시켜 오존이 물에 용해되게 하는 순환펌프; 로 이루어지고, 상기 순환 및 세척라인은 상기 펌프와 상기 용해탱크의 상부면의 측벽과 인접되게 부분 사이에 연결된 입수관과, 용해탱크의 하단 측벽에 연결된 출수관과, 상기 출수관과 펌프 사이에 연결된 순환관로 이루어진 순환라인과; 상기 출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 대상 배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세척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해탱크는 물이 저장되는 외통; 상기 외통의 내부에 중앙에 설치되어 급수되는 물을 외통의 바닥으로 유도하는 급수관; 및 상기 외통과 급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관에 의해 공급된 물이 외통의 바닥에 부딛힌 후 상부로 역류하여 외통 내벽 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류유도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순환 및 세척라인을 구성하는 입수관은 상기 외통과 역류유도관 사이의 공간으로 순환하는 물이 공급되게 외통 상부면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수관에는 산소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인젝터가 더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젝터와 산소공급라인 사이에는 역류방지밸브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젝터의 양단에는 각각 압력계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는 오존과 산소가 용해된 세척수를 공급하여 유기물 및 무기 물질을 산화 및 분해력하여 각종 미생물 및 박테리아에 대한 살균력을 높일 수 있고, 연질 스케일을 제거하여 각종 오염물질과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세척수에 오존과 산소를 용해하는 용해탱크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이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에 오존과 산소가 고르게 용해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의 일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의 일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를 구성하는 용해탱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를 구성하는 인젝터의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오존이 물에 고르게 용해되어 배관 세척시 배관 전체를 고르게 세척 및 살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물"과 "세척수"를 혼용하여 설명하지만 이들은 배관을 세척 및 살균하기 위한 세척수로 동일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해탱크에 저장된 물에 오존을 용해시키고, 이 오존이 용해된 세척수를 세척펌프로 세척 대상 배관의 내부에 공급하여 배관 내부의 오염 물질을 세척하고 배관 내부의 유해균을 살균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세척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세척수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요지가 되는 기술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세척 장치에서 물에 오존을 용해시켜 세척수를 만드는 장치에 있으며, 이러한 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세척 장치는 배관 내부에 쌓인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하기 위한 세척 장치로, 살균을 위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10);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상수로부터 급수된 물에 용해시키는 용해탱크(20); 상기 용해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용해탱크에 공급된 물을 순환시켜 오존이 물에 용해되게 하는 순환펌프(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존발생기(10)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존발생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오존발생기(10)에서 발생된 오존은 상기 용해탱크(20)로 공급된다.
상기 용해탱크(20)는 상수도로부터 공급된 물에 오존을 용해시켜 세척수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 상수도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22)이 연결되고, 일측에는 상기 오존발생기에 연결된 오존공급호스(11)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용해탱크(20)의 바람직한 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 저장되는 외통(21); 상기 외통의 내부에 중앙에 설치되어 급수되는 물을 외통의 바닥으로 유도하는 급수관(22); 및 상기 외통과 급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관에 의해 공급된 물이 외통의 바닥에 부딛힌 후 상부로 역류하여 외통 내벽 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류유도관(23)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용해탱크(20)는 상기 급수관(2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이 역류하고, 역류하는 물에 오존을 공급함에 따라 오존이 모다 고르게 물에 용해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급수관(22)은 역류유도관(23)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고 하단으로 물이 공급되어 역류유도관의 바닥으로 물이 배출되어 역류유도관의 상단으로 물이 흘러 넘치게 하였고, 상기 오존공급호스(11)는 상기 외통(21)과 역류유도관 사이의 혼합공간(20m)으로 오존을 공급할 수 있게 외통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오존공급라인(11)에는 역류방지밸브(11v)를 설치하여 용해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는 오존이 오존발생기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상기 용해탱크(20)의 물을 순환시킴에 의해 공급되는 오존이 물에 고르게 용해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를 위해 상기 순환펌프(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순환펌프(30)를 이용하여 물을 순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순환 및 세척라인(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순환 및 세척라인(40)은 물에 오존을 용해시킬 때에는 세척수가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되게 하고, 오존이 세척수에 충분히 용해된 후에는 세척대상 배관으로 세척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하였으며, 이를 위해 상기 펌프와 상기 용해탱크의 상부면의 측벽과 인접되게 부분 사이에 연결된 입수관(41i)과, 용해탱크의 하단 측벽에 연결된 출수관(41o)과, 상기 출수관과 펌프 사이에 연결된 순환관(41c)로 이루어진 순환라인(41)과; 상기 출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 대상 배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세척라인(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존이 세척수에 고르게 용해되게 하기 위해서는 펌핑되는 세척수가 역류되는 물을 향하여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순환라인(41)을 구성하는 입수관(41i)은 상기 외통과 역류유도관 사이의 공간으로 순환하는 물이 공급되게 외통 상부면에 연결된다.
또한 순환라인(41)을 따라 순환하여 오존이 충분히 용해된 세척수를 더 이상 순환시키지 않고 세척 대상 배관으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순환라인(41)에 순환단속밸브(41v)를 설치하여 세척수의 순환을 중단시키고, 세척수를 배수라인으로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출수관에 연결된 세척라인(42)에는 세척수단속밸브(42v)를 구비하고 있다.
즉, 세척수를 용해탱크 내부로 순환시킬 때에는 세척수단속밸브(42v)를 폐쇄하고, 순환단속밸브(41v)를 개방하여 세척수가 용해탱크와 순환펌프를 순환할 수 있게 하고, 세척수를 세척 대상 배관으로 보낼 때에는 세척수단속밸브(42v)를 개방하고, 순환단속밸브(41v)를 폐쇄하여 세척수가 세척라인으로만 흐르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는 세척수에 산소를 더 용해시켜 세척수 중에 산소 기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상기 입수관(41i)에는 산소공급라인(51)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인젝터(50)가 더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순환하는 세척수에 산소를 공급함에 의해 세척수 중에는 사소의 기포가 혼합되고, 이 산소 기포가 세척 대상 배관의 내벽에 붙어있는 오염물에 접촉되과 동시에 터져 오염물을 내괸 내벽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인젝터(50)는 산소를 세척수에 용해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가 흐르는 반향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는 압력강하부(50r), 일정한 내경을 갖는 목부(50d), 및 목부를 통과한 세척수가 확산되도록 세척수의 흐름방향으로 점차 내경이 넓어지는 확산부(50d)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산소공급라인(51)은 상기; 목부에 연결되어 목부에서 확산부로 이동하는 세척수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산소가 세척수에 공급되어 산소 기포가 세척수 중에 녹아 들어가게 하였다.
상기 산소공급라인(51)에는 역류방지밸브(43)가 더 설치되어 공급되는 상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상기 인젝터의 양단에는 각각 압력계(44, 45)가 설치되었다.
상기 압력계(44, 45)는 인젝터 양단의 수압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산소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인젝터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압력차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여 두 압력게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함에 의해 산소가 보다 고르게 세척수에 분포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세척 장치는 각 배관들 또는 장치들 사이의 분해조립을 용이하게 함에 의해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구성요소를 쉽게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위해 각 밸브와 배관들에 형성된 플앤지에 클램프(60)를 설치하여 서로 연결하였으며, 클램프는 두 개 이상의 호형 클램핑 판을 힌지 결합하여 서 회동되게 하고, 그 단부에 조임볼트를 설치하여 개방된 클램핑 판의 단부의 간격을 조절함에 의해 클램핑 판이 두 플랜지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였고, 두 플랜지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끼워지는 누수방지턱이 형성된 패킹(51)을 플랜지 사이에 설치하여 누수를 방지하였다.
10: 오존발생기
11: 오존공급호스 11c: 역류방지밸브
20: 용해탱크
20i: 급수공간 20r: 역류공간
20m: 혼합공간
21: 외통 22: 급수관
23: 역류유도관
30: 순환펌프
40: 순환 및 세척라인
41: 순환라인
41i: 입수관 41o: 출수관
41c: 순환관 41v: 순환단속밸브
42: 세척라인 42v: 세척수단속밸브
43: 역류방지밸브
44, 45: 압력계
50: 인젝터
50r: 압력강하부 50t: 목부
50d: 확산부
51: 산소공급라인
60: 클램프
61: 패킹

Claims (5)

  1. 배관 내부에 쌓인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하기 위한 세척 장치에 있어서,
    살균을 위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10);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상수로부터 급수된 물에 용해시키는 용해탱크(20);
    상기 용해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용해탱크에 공급된 물을 순환시켜 오존이 물에 용해되게 하는 순환펌프(30); 로 이루어지고,
    상기 순환 및 세척라인(40)은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용해탱크의 상부면의 측벽과 인접되게 부분 사이에 연결된 입수관(41i)과, 용해탱크의 하단 측벽에 연결된 출수관(41o)과, 상기 출수관과 순환펌프 사이에 연결된 순환관(41c)로 이루어진 순환라인(41)과; 상기 출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 대상 배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세척라인(42)으로 이루어진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해탱크(20)는 물이 저장되는 외통(21); 상기 외통의 내부에 중앙에 설치되어 급수되는 물을 외통의 바닥으로 유도하는 급수관(22); 및 상기 외통과 급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관에 의해 공급된 물이 외통의 바닥에 부딛힌 후 상부로 역류하여 외통 내벽 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류유도관(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순환 및 세척라인(40)을 구성하는 입수관(41i)은 상기 외통과 역류유도관 사이의 공간으로 순환하는 물이 공급되게 외통 상부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41i)에는 산소공급라인(51)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인젝터(50)가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와 산소공급라인 사이에는 역류방지밸브(43)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의 양단에는 각각 압력계(44, 4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
KR1020230037971A 2023-03-23 2023-03-23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 KR102569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7971A KR102569739B1 (ko) 2023-03-23 2023-03-23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7971A KR102569739B1 (ko) 2023-03-23 2023-03-23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739B1 true KR102569739B1 (ko) 2023-08-22

Family

ID=8779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7971A KR102569739B1 (ko) 2023-03-23 2023-03-23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7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16B1 (ko) 2012-11-06 2013-05-10 이주형 미세버블을 이용한 배관세척장치 및 배관세척방법
JP2014087722A (ja) * 2012-10-29 2014-05-15 Hitachi Ltd 配管の洗浄方法及び配管の洗浄システム
KR101465995B1 (ko) 2013-07-01 2014-11-27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오존를 이용한 관로 소독 시스템 및 세척 방법
KR101520876B1 (ko) 2014-01-14 2015-06-15 전연자 배관세척시스템
KR102026930B1 (ko) 2019-03-26 2019-11-15 주식회사 파이프닥터 물과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수도 배관 내 스케일과 슬라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휴대용 배관세척장치
KR102133461B1 (ko) * 2020-02-18 2020-07-13 주헌정 급수배관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살균처리 할 수 있는 오염물질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7722A (ja) * 2012-10-29 2014-05-15 Hitachi Ltd 配管の洗浄方法及び配管の洗浄システム
KR101261316B1 (ko) 2012-11-06 2013-05-10 이주형 미세버블을 이용한 배관세척장치 및 배관세척방법
KR101465995B1 (ko) 2013-07-01 2014-11-27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오존를 이용한 관로 소독 시스템 및 세척 방법
KR101520876B1 (ko) 2014-01-14 2015-06-15 전연자 배관세척시스템
KR102026930B1 (ko) 2019-03-26 2019-11-15 주식회사 파이프닥터 물과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수도 배관 내 스케일과 슬라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휴대용 배관세척장치
KR102133461B1 (ko) * 2020-02-18 2020-07-13 주헌정 급수배관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살균처리 할 수 있는 오염물질 세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602B1 (ko) 오존수를 이용한 배관세정장치
JP2007075328A (ja) 超純水製造装置の殺菌方法および超純水製造装置の殺菌装置
KR100588047B1 (ko) 상수 관로 세척 방법 및 장치
CN110841989A (zh) 一种具有臭氧清洗、消毒功能的气水脉冲管道清洗装置
KR102569739B1 (ko)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 세척 장치
KR102133461B1 (ko) 급수배관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살균처리 할 수 있는 오염물질 세척방법
JP7093564B2 (ja) 感染性廃棄物の処理装置
KR101809373B1 (ko)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KR200389135Y1 (ko) 오존수와 공기방울을 이용한 배관 세척장치
KR200171311Y1 (ko) 기포 발생기를 이용한 회전와류식 수처리장치
JP2017013038A (ja) 空撃およびナノバブルによる洗浄装置
KR101819059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
KR100615455B1 (ko) 오존수를 이용한 배관의 고압세척 장치
CN214571004U (zh) 一种生化反应池污泥转运系统
KR101827915B1 (ko) 악취제거장치
KR100403652B1 (ko) 오존용해장치
RU2165891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RU231061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сточных вод
CN211367229U (zh) 一种油井采油污水处理装置
CN211330597U (zh) 一种具有臭氧清洗、消毒功能的气水脉冲管道清洗装置
KR102432336B1 (ko) 기존 고농도 폐수처리장에 개보수시 사용되는 막힘 없는 산기통
KR101579557B1 (ko) 산소 용해장치
JP2019058856A (ja)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102494191B1 (ko)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공법
KR102226744B1 (ko) 오존을 이용한 급수배관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