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403B1 - 이동 단말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403B1
KR102569403B1 KR1020217036580A KR20217036580A KR102569403B1 KR 102569403 B1 KR102569403 B1 KR 102569403B1 KR 1020217036580 A KR1020217036580 A KR 1020217036580A KR 20217036580 A KR20217036580 A KR 20217036580A KR 102569403 B1 KR102569403 B1 KR 102569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hole
slider
disposed
soun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6408A (ko
Inventor
비쿠안 마이
준후이 첸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6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by using a single aperture of dimensions not greater than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이동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중심선 한쪽에는 수화기가 배치되고,상기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에는 사운드 출력구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 내부에는 상기 수화기의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이 배치되고, 상기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은 상기 사운드 출력구와 연통되고,상기 이동 단말의 상단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과 연통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4월 24일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출원번호가 No.201910334752.4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그 전부의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포함되었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 영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의 수화기는 이동 단말 내부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의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이동 단말의 수화기는 이동 단말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좌측 또는 우측(수화기는 이동 단말의 좌측 또는 이동 단말의 우측에 치우침)에 치우치게 배치된다. 또한, 사운드가 출력되는 좁은 슬릿이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상단 중간 위치에 있으므로 수화기와 디스플레이 상의 좁은 슬릿 사이에 연결된 사운드 출력 채널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좌측에 치우치게 배치된 수화기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수화기가 좌측으로 배치된 이동 단말을 사용하여 통화를 할 때, 사용자가 왼쪽 귓가에 대고 통화를 하면, 이동 단말과 접촉하는 왼쪽 귀의 접촉 부위는 좁은 슬릿의 제1 부분(제1 부분은 좁은 슬릿의 사운드 출력 채널과 가까운 부분임)을 가릴 수 있으므로, 수화기로부터 전달되는 사운드는 좁은 슬릿의 제2 부분(제2 부분은 좁은 슬릿의 사운드 출력 채널에서 떨어진 부분임)을 통해서만 출력될 수 있다.
수화기와 좁은 슬릿의 제2 부분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좁은 슬릿의 제2 부분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는 볼륨이 낮고, 음질이 차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의 통화 품질에 영향을 준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종래의 이동 단말에서 좁은 슬릿이 가려져 통화시 사운드 볼륨이 낮고, 음질이 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동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이동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중심선 한쪽에는 수화기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에는 사운드 출력구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 내부에는 상기 수화기의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이 배치되고, 상기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은 상기 사운드 출력구와 연통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상단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과 연통된다.
더 나아가, 상기 수화기와 상기 관통홀은 상기 중심선의 동일 측에 배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이동 단말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슬라이더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슬롯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며,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관통홀을 닫고, 상기 슬라이더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관통홀을 연다.
더 나아가, 상기 수화기와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상기 중심선의 동일 측에 배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슬라이드 슬롯 상의 슬라이더는 중력의 작용하에 자유롭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슬라이드 슬롯의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는 상기 슬라이더를 고정하기 위한 스톱퍼가 배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이동 단말의 내부에는 구동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게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더 나아가, 상기 관통홀에는 방진망이 배치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중심선의 한쪽에는 수화기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에는 사운드 출력구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 내부에는 상기 수화기의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이 배치되고, 상기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은 상기 사운드 출력구와 연통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상단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과 연통된다. 이로써,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에서 전달된 사운드는 사운드 출력구를 통해 출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통홀을 통해 출력될 수도 있으며, 통화시 이동 단말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볼륨을 증대시키고 이동 단말의 통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구성도 1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구성도 2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구성도 3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왜곡 비교 곡선도 1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왜곡 비교 곡선도 2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구성도 4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구성도 5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구성도 6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개시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단지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구성도 1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이동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중심선의 한쪽에는 수화기(1)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2)에는 사운드 출력구(3)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 내부에는 상기 수화기(1)의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4)이 배치되고, 상기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4)은 상기 사운드 출력구(3)와 연통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상단에 관통홀(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5)은 상기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4)과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사운드 출력구(3)는 좁은 슬릿 또는 마이크로 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2)는 디스플레이가 위치하는 면이고, 수화기(1)는 이동 단말의 내부에서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 단말의 중심선은 디스플레이(2)의 중심선으로 이해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중심선은 디스플레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중심선이며,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왼쪽에 치우치게 배치된 수화기(1)를 나타내고, 도 2는 오른쪽에 치우치게 배치된 수화기(1)를 나타낸다. 수화기(1)가 상기 이동 단말의 중심선 한쪽에 배치된 경우, 수화기(1)가 편심되게 배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수화기(1)가 편심되게 배치된 경우, 이동 단말의 전면 카메라는 디스플레이(2)의 중심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중의 부호 6은 전면 카메라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의 상단은 이동 단말의 윗면으로 이해될 수 있고, 윗면은 디스플레이(2)과 인접된다. 이동 단말의 상단에 관통홀(5)이 형성되고, 관통홀(5)은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4)과 연통됨으로써,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4)에서 전달된 사운드는 사운드 출력구(3)를 통해 출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통홀(5)을 통해 출력될 수도 있으며, 통화시 이동 단말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볼륨을 증대시키고 이동 단말의 통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화기의 편심 배치에 대한 테스트에서, 이동 단말의 상단에 관통홀이 형셩된 경우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음향 세기 및 왜곡을 비교한 결과는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
수신 음향 세기(RLR) 왜곡(1020Hz) 왜곡
(저주파)
관통홀이 형성된 경우 1.91 18.22 18.62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0.17 31.98 33.67
표 1에서, 사운드 출력구가 막힌 경우에 관통홀이 형성된 경우 음향 세기가 2db 향상되고 왜곡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a는 1020Hz에서 왜곡 비교 곡선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a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은 사운드 출력구의 일부가 귓불에 막힌 경우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 단말의 왜곡 곡선이고, 도 4a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것은 사운드 출력구의 일부가 귓불에 막힌 경우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이동 단말의 왜곡 곡선이다. 도 4b는 저주파 왜곡 비교 곡선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은 사운드 출력구의 일부가 귓불에 막힌 경우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 단말의 왜곡 곡선이고, 도 4b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것은 사운드 출력구의 일부가 귓불에 막힌 경우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이동 단말의 왜곡 곡선이다. 도 4a, 도 4b에서, 이동 단말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사운드의 왜곡이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화기(1) 및 상기 관통홀(5)은 상기 중심선의 동일 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수화기(1)가 중심선의 제1 측에 위치한 경우, 상기 관통홀(5)도 중심선의 제1 측에 위치한다. 제1 측은 좌측 또는 우측이 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는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다. 수화기(1)는 중심선의 제1 측에 배치되는 것은 수화기(1)가 좌측 프레임에 가깝게 배치되거나 또는 수화기(1)가 우측 프레임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수화기(1)가 좌측 프레임에 가깝게 배치될 때, 관통홀(5)도 좌측 프레임에 가깝게 형성되고, 수화기(1)가 우측 프레임에 가깝게 배치될 때, 관통홀(5)도 우측 프레임에 가깝게 형성된다.
수화기(1)와 관통홀(5)을 중심선의 동일 측(중심선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함으로써, 수화기(1)에서 출력된 사운드가 관통홀(5)을 거쳐 출력되는 거리가 짧아 전송 거리, 사운드 볼륨, 음질에 대한 불량 영향을 줄이고, 전송 거리가 큼으로 인해 사운드 볼륨이 작고 음질이 차한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관통홀의 크기와 위치는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나, 사운드 전달 길이가 길어짐으로 인해 사운드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관통홀은 수화기 근처에 배치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상기 관통홀(5)과 연통되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슬라이더(7)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7)는 상기 슬라이드 슬롯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슬라이더(7)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7)는 상기 관통홀(5)을 닫고, 상기 슬라이더(7)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7)는 상기 관통홀(5)을 연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7)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7)는 관통홀(5)을 닫고, 이 경우 관통홀(5)은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4)과 연통되지 않고, 수화기(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관통홀(5)을 통해 출력될 수 없다. 슬라이더(7)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7)는 관통홀(5)을 열고, 이때 관통홀(5)은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4)과 연통되고, 수화기(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관통홀(5)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6, 도 7은 이동 단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에서 부호 100은 이동 단말의 계면이며, 도 6은 슬라이더(7)가 제2 위치일 때 슬라이더(7)와 관통홀(5)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도 7은 슬라이더(7)가 제1 위치일 때 슬라이더(7)와 관통홀(5)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슬라이더(7)의 형상은 관통홀(5)과 일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관통홀(5)의 단면이 원형이면 슬라이더(7)도 원형일 수 있고, 관통홀(5)의 단면이 직사각형이면 슬라이더(7)도 직사각형일 수 있다. 슬라이더(7)이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슬라이더(7)가 관통홀(5)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슬라이더(7)의 크기는 관통홀(5)의 단면보다 조금 더 커야 된다.
슬라이더(7)가 제1 위치일 때, 슬라이더(7)는 관통홀(5)을 닫고, 수화기(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관통홀(5)을 통해 출력될 수 없으므로, 사운드 누출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7)가 제2 위치일 때, 슬라이더(7)는 관통홀(5)을 열고, 수화기(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관통홀(5)을 통해 출력될 수 있으므로, 통화시 이동 단말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볼륨을 증대시키고 이동 단말의 통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슬라이더(7)가 제1 위치에서 관통홀(5)을 닫고, 슬라이더(7)가 제2 위치에서 관통홀(5)(즉 관통홀(5)에 대해 아무런 가림이 없음)을 완전히 열고, 슬라이더(7)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 있을 때 관통홀(5)을 부분적으로 가리게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관통홀(5)에 먼지가 유입되어 관통홀(5)이 막힘으로 인해 사운드 출력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5) 내에는 방진망이 배치된다.
상기 수화기(1) 및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상기 중심선의 동일 측에 배치된다. 수화기(1) 및 상기 관통홀(5)은 중심선의 동일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관통홀과 연통된 슬라이드 슬롯의 길이가 비교적 짧아 슬라이드 슬롯 제작 원가가 절약될 수 있고 슬라이드 슬롯이 차지하는 공간도 줄일 수 있다.
슬라이더(7)가 슬라이드 슬롯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은 두 가지 방식에 의해 구현된다. 첫 번째 구현 방식에서, 슬라이더(7)는 슬라이드 슬롯에서 중력의 작용하에 자유로이 슬라이딩된다. 두 번째 구현 방식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내부에는 구동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슬라이더(7)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슬라이더(7)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첫 번째 구현 방식인 경우, 슬라이더(7)은 슬라이드 슬롯에서 중력의 작용하에 자유로이 슬라이딩된다. 이로써, 슬라이더(7)는 중력의 작용하에 자유로이 슬라이딩되면서 관통홀(5)을 닫아 사운드의 누출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거나, 또는 관통홀(5)을 열어 통화시 이동 단말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볼륨을 증대시키고 이동 단말의 통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통화 상태에서, 슬라이더(7)가 이동 단말의 각도 변화에 따라 중력의 작용하에 슬라이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슬롯의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상기 슬라이더(7)를 고정하는 스톱퍼를 배치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이 통화 상태인 경우, 스톱퍼와 슬라이더(7) 사이에는 고정이 해제되고, 슬라이더(7)는 중력의 작용하에 슬라이드 슬롯에서 자유로이 슬라이딩되어 관통홀(5)을 닫거나 열수 있다.
두 번째 구현 방식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의 내부에는 구동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슬라이더(7)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7)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한다. 구동 기구는 이동 단말의 제어 칩과 연결될 수 있고, 제어 칩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근거하여 구동 기구가 슬라이더(7)의 슬라이딩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이런 경우에, 사용자는 실제 수요에 근거하여 슬라이더(7)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관통홀(5)의 열림 또는 관통홀(5)의 닫힘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은 수화기(1)가 좌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수화기(1)가 좌측에 치우치게 배치되고, 슬라이드 슬롯이 관통홀(5)의 좌측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왼쪽 귓가에 대고 통화할 때, 이동 단말의 상단 좌측 위치는 이동 단말의 상단 우측 위치의 하방에 위치되며, 슬라이더(7)는 중력의 작용하에 제2 위치로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슬라이더(7)는 구동 기구의 구동하에 제2 위치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관통홀(5)은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4)과 연통되고, 수화기(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관통홀(5)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수화기(1)가 좌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왼쪽 귓가에 대고 통화할 때, 사운드 출력구(3)의 제1 부분(제1 부분은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4)에 가까운 사운드 출력구(3)의 부분임)이 가려져 사운드 출력구(3)의 제2 부분(제1 부분은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4)에서 떨어진 사운드 출력구(3)의 부분임)으로만 출력되는 사운드는 볼륨이 낮고 음질이 차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구현 방식에 기초하여, 수화기(1)에서 방출되는 사운드가 관통홀(5)을 통해 출력되므로 통화시 이동 단말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볼륨을 증대시키고 이동 단말의 통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이동 단말의 사운드 볼륨이 낮고 음질이 차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수화기(1)가 좌측에 치우치게 배치되고, 슬라이드 슬롯이 관통홀(5)의 좌측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오른쪽 귓가에 대고 통화를 할 때, 이동 단말의 상단 우측 위치는 이동 단말의 상단 좌측 위치의 하방에 위치되며, 슬라이더(7)는 중력의 작용하에 제1 위치로 슬라이딩되건, 또는 슬라이더(7)는 구동 기구의 구동하에 제1 위치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관통홀(5)은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4)과 연통되지 않고, 수화기(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관통홀(5)을 통해 출력될 수 없다. 수화기(1)가 좌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오른쪽 귓가에 대고 통화할 때, 사운드 출력구(3)의 제1 부분(제1 부분은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4)에 가까운 사운드 출력구(3)의 부분임)이 가려지지 않아 사운드 출력구(3)에 의해 출력된 사운드에 대해 영향을 주지 않으며, 이때 이동 단말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는 정상인 것으로, 사용자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관통홀(5)을 통한 사운드 보조 출력이 필요없다. 이런 경우에, 슬라이더(7)는 관통홀(5)을 닫고, 수화기(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관통홀(5)을 통해 출력될 수 없으므로, 사운드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은 핸드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등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일 뿐이며, 본 개시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개시한 기술 범위에서 본 개시에 대해 다양한 수정 또는 대체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8)

  1.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중심선 한쪽에는 수화기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에는 사운드 출력구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 내부에는 상기 수화기의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이 배치되고, 상기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은 상기 사운드 출력구와 연통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상단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 채널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기 및 상기 관통홀은 상기 중심선의 동일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슬라이더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슬롯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며,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관통홀을 닫고, 상기 슬라이더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관통홀을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기 및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상기 중심선의 동일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슬롯의 슬라이더는 중력의 작용하에 자유롭게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슬롯의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는 상기 슬라이더를 고정하는 스톱퍼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내부에는 구동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게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내부에 방진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KR1020217036580A 2019-04-24 2020-03-30 이동 단말 KR102569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334752.4 2019-04-24
CN201910334752.4A CN110166587B (zh) 2019-04-24 2019-04-24 一种移动终端
PCT/CN2020/082083 WO2020216003A1 (zh) 2019-04-24 2020-03-30 移动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408A KR20210146408A (ko) 2021-12-03
KR102569403B1 true KR102569403B1 (ko) 2023-08-22

Family

ID=6763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580A KR102569403B1 (ko) 2019-04-24 2020-03-30 이동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46121A1 (ko)
EP (1) EP3962044A4 (ko)
KR (1) KR102569403B1 (ko)
CN (1) CN110166587B (ko)
BR (1) BR112021021177A2 (ko)
WO (1) WO2020216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6587B (zh) * 2019-04-24 2021-08-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1245987A (zh) * 2020-02-03 2020-06-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CN111787145B (zh) * 2020-06-28 2021-09-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2188378B (zh) * 2020-09-28 2021-08-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发声优化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1752A (ja) * 2002-10-04 2006-01-12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移動端末の音響源を制御する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その移動端末
JP2006279260A (ja) * 2005-03-28 2006-10-12 Nec Saitama Ltd 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808A (en) * 1998-08-31 2000-08-15 Motorola,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peakerphone operation
JP2001230841A (ja) * 2000-02-18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US9785189B2 (en) * 2010-02-01 2017-10-10 Constin Gmbh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2455579A (zh) * 2010-10-18 2012-05-1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散热装置及投影机
KR101802239B1 (ko) * 2011-06-14 201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CN104580612B (zh) * 2013-10-22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通讯终端的听筒装置及包括该听筒装置的通讯终端
CN203618051U (zh) * 2013-11-26 2014-05-28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放音结构、移动终端后盖及移动终端
JP6541988B2 (ja) * 2015-02-25 2019-07-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6302875B (zh) * 2016-08-04 2019-03-15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7172533B (zh) * 2017-06-01 2019-09-13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选择出音方向的方法和设备以及移动终端
CN108574919B (zh) * 2018-03-19 2020-02-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8769311B (zh) * 2018-05-29 2020-10-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10166587B (zh) * 2019-04-24 2021-08-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1752A (ja) * 2002-10-04 2006-01-12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移動端末の音響源を制御する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その移動端末
JP2006279260A (ja) * 2005-03-28 2006-10-12 Nec Saitama Ltd 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62044A4 (en) 2022-06-08
CN110166587B (zh) 2021-08-03
CN110166587A (zh) 2019-08-23
BR112021021177A2 (pt) 2021-12-14
US20220046121A1 (en) 2022-02-10
WO2020216003A1 (zh) 2020-10-29
EP3962044A1 (en) 2022-03-02
KR20210146408A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9403B1 (ko) 이동 단말
US7408514B2 (en) Speaker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esonance space
US8155718B2 (en)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JP3718137B2 (ja) スライドモジュールを用いるスライドタイプ携帯電話
FI85776C (fi) Transportabel personlig arbetsstation.
US11483650B2 (en) Microphone system for notebook computer
KR100703317B1 (ko)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40021366A (ko) 확장 데이터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
KR20040067278A (ko) 휴대용 통신 장치
JP2000184023A (ja) 携帯用通信端末機及びその情報表示構造
US7761124B2 (en) Sliding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0097659A (ko) 휴대폰용 카메라렌즈 커버장치
KR20060036189A (ko) 휴대 통신 장치
KR100658207B1 (ko) 개인휴대단말기
US774700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acoustic usability
KR100719002B1 (ko) 양방향 멀티슬라이드 휴대단말기
US7930005B2 (en) Housing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0605817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381140B1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양방향 키패드 어셈블리
KR100393806B1 (ko) 카메라 보호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영상 단말기
KR100442659B1 (ko)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50021818A (ko) 스테레오 사운드를 위한 양방향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단말기
KR100608799B1 (ko) 틸트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드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48638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29076B1 (ko) 액정표시장치를 중심에 위치시키는 슬라이딩/회전 타입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