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625B1 -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625B1
KR102568625B1 KR1020220097901A KR20220097901A KR102568625B1 KR 102568625 B1 KR102568625 B1 KR 102568625B1 KR 1020220097901 A KR1020220097901 A KR 1020220097901A KR 20220097901 A KR20220097901 A KR 20220097901A KR 102568625 B1 KR102568625 B1 KR 102568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cover
front cover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민석
윤남운
이남희
Original Assignee
윤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민석 filed Critical 윤민석
Priority to KR1020220097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625B1/ko
Priority to PCT/KR2023/011529 priority patent/WO202403000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05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전자장치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커버와;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된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후면커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전면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커버는, 하나 이상의 힌지라인(hinge line)에 의해 구획되어 상호 접힘(Folding)이 가능한 복수의 부분커버로 분할되어,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전면d을 선택적으로 일부 또는 전부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면커버가 힌지라인에 의해 복수의 부분커버로 분할되어 상호 접힘(Folding)이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전면커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전면커버를 후면커버 쪽으로 회전하여 휴대 전자장치를 안착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Folderble Case For Po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커버가 복수의 접힘가능한 부분커버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또는 부분 개폐가 가능함은 물론, 부분커버의 일부 또는 전부를 투명한 뷰커버로 제작하여 전면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전면커버를 배면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휴대 전자장치의 거치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의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은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기기로서, 상기 기능 이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및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전술한 휴대 전자장치는 디자인적 요소와 대형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대부분 터치스크린을 채용하고 있는 바, 터치스크린은 외부의 충격에 쉽게 손상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호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419199호의 "휴대폰용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배면이 수납되는 후면커버와, 전면의 터치스크린 전체를 덮는 전면커버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휴대 전자장치용 케이스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출력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매번 전면커버를 열어 젖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러한 개폐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휴대 전자장치를 떨어뜨리는 등 터치스크린이 파손될 우려가 상존하고, 이로 인해 고가의 휴대 전자장치를 수리하는 과정에서 많은 비용을 지불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 터치스크린이 대형화되면서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면의 터치스크린을 1번 이상 접어서 사용하는 폴더블 휴대장치가 보급되고 있는 바, 이러한 종래의 일체형 보호케이스로는 상기 폴더블 휴대 전자장치에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034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커버가 힌지라인에 의해 복수의 부분커버로 분할되어 상호 접힘(Folding)이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전면커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전면커버를 후면커버 쪽으로 회전하여 휴대 전자장치를 안착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분커버를 광투과성 재질의 뷰커버로 마련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면커버를 회전시켜 개방하는 동작없이 휴대 전자장치 화면의 출력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가하는 한편, 개방동작에서 발생하는 실수 또는 사고로 인한 기기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 전자장치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커버와;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된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후면커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전면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커버는, 하나 이상의 힌지라인(hinge line)에 의해 구획되어 상호 접힘(Folding)이 가능한 복수의 부분커버로 분할되어,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전면d을 선택적으로 일부 또는 전부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부분커버는 일부 또는 전부가 광투과성 재질의 뷰커버(view cover)로 마련되어,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폐쇄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출력내용을 외부에서 확인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부분커버 중 어느 하나 또는 일부가 상기 뷰커버(view cover)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휴대 전자장치는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폐쇄상태인 경우 이를 인식하여 상기 출력내용을 상기 뷰커버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를 고정하는 전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부분커버의 각 형상은,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배면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전자장치를 안착면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거치가 가능한 상태로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힌지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휴대 전자장치를 거치한 거치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배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커버를 상기 후면커버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커버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라인(hinge line)은 상기 부분커버와 상하부 표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전면커버는, 예를 들어, 판 형상의 복수의 부분커버와, 상기 각 부분커버 사이에 상기 힌지라인을 따라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마련된 라인부재와, 상기 복수의 부분커버 및 상기 라인부재의 상하부면에 코팅되는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에 따르면, 전면커버가 힌지라인에 의해 복수의 부분커버로 분할되어 상호 접힘(Folding)이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전면커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전면커버를 후면커버 쪽으로 회전하여 휴대 전자장치를 안착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분커버를 광투과성 재질의 뷰커버로 마련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면커버를 회전시켜 개방하는 동작없이 휴대 전자장치 화면의 출력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가하는 한편, 개방동작에서 발생하는 실수 또는 사고로 인한 기기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부분커버 중 어느 하나 또는 일부가 뷰커버로 마련하는 경우, 휴대 전자장치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출력내용을 뷰커버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어 사용성 및 기능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커버를 형성할 때 필름층이 복수의 부분커버와 라인부재의 상하부면에 코팅됨으로써, 서로 다른 2개의 재질을 사용했을 때에 보일수 있는 경계선을 최소화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터치시 굴곡을 제거하여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커버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커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의 거치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의 거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장점과 특징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제외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제외에 대하여 예외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한 이들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표현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되지 되지 않는 한,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해석되어야 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한편,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본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후술되는 각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용어의 명확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우선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은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휴대 전자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전자기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태블릿 PC, 휴대폰, 스마트폰 등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자판)이 분리되어 있는 것은 물론,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어 표시부와 입력부가 일체화된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이 불가능한 판 형태는 물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이 접힘 가능한 폴더블 폰 또는 플립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1)는, 휴대 전자장치(100)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커버(10)와, 디스플레이부(110)가 마련된 휴대 전자장치(10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후면커버(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전면커버(20)를 포함하되, 전면커버(20)는 하나 이상의 힌지라인(23)(hinge line)에 의해 구획되어 상호 접힘(Folding)이 가능한 복수의 부분커버(21)로 분할되어, 휴대 전자장치(10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일부 또는 전부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커버(20)는 힌지라인(23)에 의해 복수의 부분커버(21)로 분할되어 상호 접힘(Folding)이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휴대 전자장치(100)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과, 후면커버(10) 쪽으로 회전했을 때 휴대 전자장치(100)를 안착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전자의 경우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면커버(20)는 판 형상의 복수의 부분커버(21)와 각 부분커버(21) 사이에 마련된 힌지라인(23)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면커버(20)는, 판 형상의 복수의 부분커버(21)와, 라인부재(231)와, 필름층(27)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면커버(20)는 복수의 부분커버(21)로 분할되며 마련되는 데, 여기서, 상기 '분할'의 의미는 각 부분커버(21)가 힌지라인(23)에 의해 상호간에 접힘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부분커버(21)는 복수 개로 필요한 수에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21a, 21b, 21c)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부분커버(21)의 형상 또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크기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부분커버(21)의 배치 또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배치될 수도 있고,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는 등 제한 없이 마련될 수 있다.
부분커버(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Plate) 형상으로 마련되며,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P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서는 연질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라인부재(231)는 각 부분커버(21) 사이에 힌지라인(23)을 따라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며, 예를 들어, PVC, EVA, 우레탄 또는 엘라스토머와 같은 열가소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도 3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라인부재(231))를 중심으로 양측의 부분커버(21)가 상하로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부분커버(21)와 라인부재(231)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개의 사출금형에서 복수의 부분커버(21)와 라인부재(231)를 이중사출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도 있다. 이 경우,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필름층(2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부분커버(21) 및 라인부재(231)의 상하부면에 걸쳐 코팅된다.(편의상 도 3의 각 구성은 이격된 것으로 도시됨). 필름층(27)은 복수의 부분커버(21)와 라인부재(231)를 상하에서 서로 고정한다. 또한, 필름층(27)은 서로 다른 2개의 재질(부분커버와 라인부재)을 사용했을 때에 보일 수 있는 경계선을 최소화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터치시 굴곡을 제거 또는 최소화(상하부 표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하여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면커버(20)가 후술할 뷰커버(22)로 마련되는 경우 휴대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서 투과되는 이미지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한편, 뷰커버(22) 상부로 터치(또는 드래그, 손글씨 등)가 이루어지는 경우 단차가 없거나 이를 최소화하여 사용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전면커버(20)의 측면 외곽 둘레를 따라 각 부분커버(21)와 힌지라인(23)을 고정하며 외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커버마감재(24)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층(27)은 전면커버(20)의 상면 및 하부에 걸쳐 마련되고, 커버마감재(24)는 전면커버(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된다.
한편, 부분커버(21)는 일부 또는 전부가 광투과성 재질의 뷰커버(22)(View Cover)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뷰커버'라는 용어는, 기본적으로 부분커버(21)가 광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전제로, 광투과가 되는 부분커버(=뷰커버)와 그렇지 않은 부분커버를 구분하여 지칭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하, 각 도면에서 구분상의 편의를 위해 각 개별 부분커버(21)는 참조부호 21a, 21b, 21c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시각적으로는 불투명 부분커버(21)는 빗금으로 표시한다. 또한, 부분커버(21) 중 광투과성 뷰커버(22)는 편의상 빗금 없이 22a, 22b, 22c 등으로 표시한다. 이에 도 1과 같이 각 부분커버(21)가 모두 뷰커버(22)로 마련되는 경우 2개의 참조부호가 병기하여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a)와 같이, 2 이상의 부분커버(21a 내지 21c)d에 걸쳐있거나 또는 뷰커버(22)인 부분커버(21c, 도 2의 (b) 참조)와 같이 뷰커버 영역(22)을 포괄하여 표시하는 경우에도 점선과 함께 참조부호 22로 표시한다.
광투과성의 정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조도에 따라 광투과성이 변경되는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에, 뷰커버(22)는 전면커버(20)가 휴대 전자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폐쇄상태)에서, 전면커버(20) 또는 일부 부분커버(21)를 열어 젖히지 않고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출력내용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커버(20)를 회전시켜 개방하는 동작없이 휴대 전자장치 화면의 출력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가하는 한편, 개방동작에서 발생하는 실수 또는 사고로 인한 기기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뷰커버(22)는, 전면커버(20)가 디스플레이부(110)를 덮은 상태에서 정보가 노출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커버(22)는 어느 하나의 부분커버(21) 전체가 뷰커버(22)로 마련될 수도 있고(도 2의 (b), (d) 참조), 2 이상의 부분커버(21)에 걸쳐 마련될 수도 있는 등(도 2의 (a), (c) 참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장치(100)가 상하 또는 좌우로 접히는 폴더블(또는 플립) 폰인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전면커버(20)는 힌지라인(23)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를 덮힌 상태에서도 휴대 전자장치(100)를 접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분커버(21)의 일부(도 7의 상부 부분커버(21))를 뷰커버(22)로 하는 경우, 전면커버(20)를 열어 젖힐 필요없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부분커버(21) 및 뷰커버(22)가 형성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면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이 가능하고, 조작이 필요한 경우 화살표 방향으로 뷰커버(22)을 열어젖힌 후에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복수의 부분커버(21) 중 어느 하나 또는 일부가 뷰커버(22)로 마련되는 경우, 휴대 전자장치(100)는 전면커버(20)가 상기 폐쇄상태인 경우 이를 인식하여 상기 출력내용을 뷰커버(22)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와 접촉되는 전면커버(20)의 내측면 일측에 마련되는 태그(40)와 이를 감지하는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태그(40)와 상기 센서는 전면커버(20)가 휴대 전자장치(100)의 전면을 덮은 상태(폐쇄상태)인지 여부를 인지하기 위한 것으로, 인지 여부에 따라 휴대 전자장치(100)의 제어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부(110) 전체로의 출력을 기 설정된 뷰커버(22)로 한정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태그(40)와 센서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센서는 휴대 전자장치(100)의 전면에 마련된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부(110)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태그(40)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시 이를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이 압전식인 경우에는 압력을 줄수 있는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용량식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태그(40)는 영구자석으로 마련되고, 센서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을 인지할 수 있는 자력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태그(40)의 형상 및 위치, 그리고 화면전환시 뷰커버(22)의 형상정보에 대한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휴대 전자장치(100)의 제어부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휴대 전자장치(100)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으로 마련되는 경우, 휴대 전자장치(100)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 되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플 케이스(1)와 함께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휴대 전자장치에 설치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태그(40) 및 센서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전면커버(20) 전체 또는 일부가 뷰커버(22)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뷰커버(22)는 터치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전면커버(20)가 덮힌 상태에서 뷰커버(2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뷰커버(22)의 터치를 통하여 휴대 전자장치(100)를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면고정부(25)는, 전면커버(20)가 휴대 전자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를 고정한다.
전면고정부(25)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면커버(20)의 일측 및 이와 접촉되는 후면커버(10)에 타측에 마련된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전면커버(20)가 휴대 전자장치(100)의 전면을 덮은 상태(폐쇄상태)를 유지하여 휴대 전자장치(10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면고정부(25)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력을 통한 고정 또는 벨크로 등 기계적 고정 방법 등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1)는 후면커버(10)의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휴대 전자장치(100)를 안착면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거치가 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부분커버(21)는 휴대 전자장치(100)를 안착면(미도시)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거치가 가능한 상태로 접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힌지라인(23)이 형성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면커버(20)의 구성을 기준으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편의상 후면커버(10)와 전면커버(20)는 이격되어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 및 도 5의 (a)는 전면고정부(25)가 부분커버(21a))에 고정되면서 지지하는 실시예이고, 도 5의 (b)는 전면고정부(25)가 후면커버(10)에 고정되는 실시예이며, 도 5의 (c)는 부분커버(21c) 및 전면고정부(25)가 후면커버(10)에 접하면서 고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부분커버(21)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면서 고정할 수 있어 다양한 각도로 휴대 전자장치(100)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 부분커버(21)의 일부를 개방하는 것과는 별도로, 전면커버(20)가 휴대 전자장치(100)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부분커버(21)의 갯수 및 형상이 동일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부분커버(21)의 갯수 및 형상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 개방 및 거치(도 4 및 5 참조)가 모두 가능한 형태이나, 도 6 및 도 7의 경우에는 거치기능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커버탈착부(30)를 이용하여 전면커버(20)로부터 후면커버(10)를 분리한 후, 전면커버(20)를 거치형상으로 전환한 후에 휴대 전자장치(100)를 거치할 수도 있다.
커버탈착부(3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 또는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20) 일측에 마련된 후크(33)와, 이에 대응하여 후면커버(10) 타측에 마련되어 후크(33)가 착탈되는 후크홈(31)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20)가 디스플레이부(110) 상부로 덮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커버탈착부(30)는 전면커버(2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한, 전술한 기계적 착탈방식 이외에도 자력을 이용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배면고정부(미도시)는 전면커버(20)가 휴대 전자장치를 거치한 거치상태를 고정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배면고정부는 전면고정부(25)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전면고정부(25)가 상기 배면고정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배면고정부가 전면고정부(25)와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배면고정부는 기계적 고정(후크, 벨크로 등)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고, 자력 기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후면커버(10)는 휴대 전자장치(100)의 측면 및 배면이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후면커버(10)는 휴대 전자장치(100)의 측면 및 배면의 형상과 대응하여 마련되며, 합성수지 재질, 금속 기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수납부(11)는 휴대 전자장치(100)를 향하는 후면커버(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마련되어, 종이 또는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1)에 메모 등의 목적으로 용지를 수납하는 경우 별도의 종이 수납을 위한 가방이나 파우치 등이 불필요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납부(11)는 수납되는 종이(A4 용지 등) 또는 카드(신용카드 등)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10 : 후면커버 11 : 수납부
20 : 전면커버 21(21a, 21b, 21c) : 부분커버
22(22a, 22b, 22c) : 뷰커버
23 : 힌지라인 231 : 라인부재
24 : 커버마감재 25 : 전면고정부
27 : 필름층
30 : 커버탈착부 31 : 후크홈
33 : 후크 40 : 태그
100 : 휴대 전자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1)

  1. 휴대 전자장치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커버와;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된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후면커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전면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커버는, 하나 이상의 힌지라인(hinge line)에 의해 구획되어 상호 접힘(Folding)이 가능한 복수의 부분커버로 분할되어,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일부 또는 전부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부분커버는 일부 또는 전부가 광투과성 재질의 뷰커버(view cover)로 마련되어,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폐쇄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출력내용을 외부에서 확인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전면커버는, 판 형상의 복수의 부분커버와, 각 상기 부분커버 사이에 상기 힌지라인을 따라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마련된 라인부재와, 상기 복수의 부분커버 및 상기 라인부재의 상하부면에 코팅되는 필름층을 포함하여, 상기 힌지라인(hinge line)은 상기 부분커버와 상하부 표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커버 중 어느 하나 또는 일부가 상기 뷰커버(view cover)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휴대 전자장치는 상기 전면커버가 폐쇄상태인 경우 이를 인식하여 상기 출력내용을 상기 뷰커버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전면을 향하는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 일측에 마련되는 태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어,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태그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출력내용을 상기 뷰커버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를 고정하는 전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커버의 각 형상은,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휴대 전자장치의 배면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전자장치를 안착면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거치가 가능한 상태로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힌지라인이 형성되는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휴대 전자장치를 거치한 거치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배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를 상기 후면커버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커버탈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장치를 향하는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종이 또는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더 마련되는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20097901A 2022-08-05 2022-08-05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KR102568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901A KR102568625B1 (ko) 2022-08-05 2022-08-05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PCT/KR2023/011529 WO2024030001A1 (ko) 2022-08-05 2023-08-04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901A KR102568625B1 (ko) 2022-08-05 2022-08-05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625B1 true KR102568625B1 (ko) 2023-08-18

Family

ID=8780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901A KR102568625B1 (ko) 2022-08-05 2022-08-05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8625B1 (ko)
WO (1) WO202403000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957A (ko) * 2012-06-18 2013-12-27 현민지 휴대폰 케이스
KR20140040344A (ko) 2012-09-25 2014-04-03 김용준 휴대폰 케이스의 가공방법 및 휴대폰 케이스
KR20150001594U (ko) * 2013-10-1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커버
KR200477277Y1 (ko) * 2014-01-02 2015-05-26 주식회사 뉴빛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50137472A (ko) * 2014-05-29 201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504A (ko) * 2011-06-21 2012-12-31 (주)금오전자 태블릿pc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957A (ko) * 2012-06-18 2013-12-27 현민지 휴대폰 케이스
KR20140040344A (ko) 2012-09-25 2014-04-03 김용준 휴대폰 케이스의 가공방법 및 휴대폰 케이스
KR20150001594U (ko) * 2013-10-1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커버
KR200477277Y1 (ko) * 2014-01-02 2015-05-26 주식회사 뉴빛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50137472A (ko) * 2014-05-29 201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0001A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169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protective cas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521221B2 (en) Touch screen cover
CN103259886B (zh) 移动装置
US9768818B2 (en) Functional flip cover protective case with physical keypad for smart phone devices
JP5975273B2 (ja) カバー
FR3025328B1 (fr) Terminal mobile et procede de commande de celui-ci
US20140104761A1 (en) Protective sheath
CN104427129B (zh) 移动终端和控制移动终端的方法
JP5676131B2 (ja) 携帯電子機器
KR101663517B1 (ko) 이동 단말기
KR101196608B1 (ko) 휴대폰 케이스
CN106850918A (zh) 移动终端
CN107967031A (zh) 移动终端
JP5896149B2 (ja) カバー
US20150018045A1 (en) Cover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206962883U (zh) 电子设备
US20150207907A1 (en) Housing
KR20110006035U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KR20160077752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케이스
KR10177145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KR102568625B1 (ko) 휴대 전자장치용 폴더블 케이스
CN106263411A (zh) 一种智能设备套件及其智能设备保护套
CN203786738U (zh) 移动装置保护壳
US9426911B2 (en) Protective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KR101255559B1 (ko)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