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534B1 -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534B1
KR102568534B1 KR1020230072572A KR20230072572A KR102568534B1 KR 102568534 B1 KR102568534 B1 KR 102568534B1 KR 1020230072572 A KR1020230072572 A KR 1020230072572A KR 20230072572 A KR20230072572 A KR 20230072572A KR 102568534 B1 KR102568534 B1 KR 102568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asalt
ball
glaze
basalt 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국
Original Assignee
임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국 filed Critical 임상국
Priority to KR1020230072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2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vitreous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72Heat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깃돌은 유약을 처리한 현무암 원석을 일정온도 및 시간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코팅이 되어 표면이 매끄러우면서 사용감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분진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남녀노소 누구나 공깃돌로서 사용하기 아주 적합하다.

Description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jackstone using Basalt gemstone}
본 발명은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유약을 처리한 현무암 원석을 일정온도 및 시간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놀이는 5~10개의 작은 공깃돌을 사용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집고 받고 하는 놀이의 형태로, 사전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실격하지 않으면 계속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통놀이이다. 최근에는 손동작과 손 운동을 자유롭게 구사하여 두뇌의 발전과 지능개발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도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교육 기관에서도 지능발달의 전제조건으로 공깃돌놀이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고 초등학교에서는 공기놀이로 시험을 보는 학교까지 생기는 추세이다.
공기놀이에 사용되는 공깃돌은 흔히 자연석으로 이루어진 자갈이나 작은 돌 5개를 한 조로 구성하여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합성수지나 실리콘, 고무와 같은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몸체 내에 금속 편이나 각종 자연석의 무게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를 다수 개 구비하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합성수지나 실리콘, 고무와 같은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공깃돌의 경우, 개인의 손에서 전해지는 땀과 분비물 또는 세균 등으로 인하여 오염될 수 있고, 여러명이 돌려가며 사용하는 공기놀이의 특성상, 오염된 공깃돌로 인해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피부가 약한 아이들의 경우 더욱 감염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천연상태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방사가 가능하고 탈취 및 항균의 효과를 가진 제주화산석인 현무암을 사용하여 공깃돌을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주의 화산석인 현무암은 천연상태에서 92~93%의 원적외선 방사율, 97%이상의 탈취율, 99%이상의 대장균 퇴치성능을 가진 천연 세라믹 소재로서, 수맥차단, 원적외선, 음이온, 향균, 탈취 등의 다양한 성능을 나타내는 신비의 천연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화산석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인체의 혈액 흐름을 원할하게 해주고 기를 발생시켜 건강한 몸을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현무암으로 공깃돌을 제조할 경우 인조공깃돌과 대비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현무암이 가지고 있는 철분, 미네랄,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상호작용 등과 같은 효과로 공기놀이를 하면서 신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돌로 공기놀이를 하였던 과거의 향수를 불러일으켜 어른들도 더욱 즐겁고 친근감 있는 공기놀이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는 현무암을 이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공깃돌로 제조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연구하던 중 본 발명에 이르렀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2499230 호
본 발명은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약을 처리한 현무암 원석을 일정온도 및 시간에서 소성함으로써, 내구성 및 표면의 부드러움을 향상시켜 사용감이 우수한 공깃돌로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무암 원석을 가로, 세로 및 높이를 1:1:1의 비율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현무암 원석에 코팅제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 및 1000 내지 115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소성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현무암 원석을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현무암 원석을 가로, 세로 및 높이의 길이를 1 내지 2cm로 절단하고, 모서리를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팅제 유약은 투명유약 및 물을 1:0.5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단된 현무암 원석에 코팅제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절단된 현무암 원석의 기공에 석분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은 유약을 처리한 현무암 원석을 일정온도 및 시간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코팅이 되어 표면이 매끄러우면서 사용감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분진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남녀노소 누구나 공깃돌로서 사용하기 아주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공깃돌의 이미지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공깃돌의 이미지이다.
도 3은 실시예 9에 따라 제조된 공깃돌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공깃돌의 이미지이다.
도 5는 비교예 7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공깃돌의 분진발생정도를 비교한 이미지이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무암 원석을 가로, 세로 및 높이를 1:1:1의 비율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현무암 원석에 코팅제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 및 1000 내지 115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소성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현무암 원석은 수 많은 크고 작은 기공(숨구멍 이라고도 함)들로 형성되어 있어 고열에도 깨지거나 금가는 현상이 매우 낮은 제주 현무암 화산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합하게는 무공질의 현무암 원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현무암 원석을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현무암 원석을 가로, 세로 및 높이의 길이를 1 내지 2cm로 절단하고, 모서리를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현무암 원석을 절단하는 단계는 가로, 세로 및 높이가 1:1:1의 비율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1 내지 2cm, 1.1 내지 1.8cm, 1.3 내지 1.6cm로 절단할 수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공기놀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가장 적합하게는 1.4cm의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로, 세로 및 높이의 비율인 1:1:1을 벗어나는 경우 또는 1 내지 2cm 의 길이를 벗어나는 경우 공기놀이를 함에 있어 사용감에 불편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1cm미만의 길이로 절단할 경우 현저하게 작은 크기의 공깃돌로 제조됨에 따라 안정감 있는 크기와 무게가 제공되지 못하여 공기놀이에 사용시 공깃돌들이 제자리에 안착되지 못하고 작은 충격에도 굴러가는 문제점이 발생 할 수 있고, 성인들의 경우 손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작은 크기의 공깃돌로 인하여 공기놀이를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2cm를 초과한 길이로 절단할 경우 현저하게 큰 크기의 공깃돌로 제조됨에 따라 무게가 증가하게 되어 공깃돌들을 움직여 놀이하는 공기놀이로 사용하기에 무거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크기 및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어린아이들의 경우 공기놀이를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손의 크기가 작거나 노인과 같이 힘이 부족한 어른들의 경우에도 공기놀이를 즐기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목적하는 크기로 절단된 현무암 원석에서 각각의 꼭지점은 2.5~3.5mm로, 각각의 모서리는 1.5~2.5mm씩 제거 및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정육면체이되 각지지 않고 완만한 곡선을 가지는 공깃돌로 제조할 수 있음으로 공기놀이를 수행함에 있어 피부에 상처 또는 불편함을 주지 않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깃돌을 굴릴 때 사용자의 힘에 따라 적정하게 굴러갈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현무암 원석을 절단하는 단계에서 절단하는 방법 및 모서리를 연마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공깃돌로서 제조할 수 있다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또는 기구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팅제 유약은 투명유약 및 물을 1:0.5 내지 1.5, 1:0.6 내지 1.4, 1:0.7 내지 1.3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고, 현무암 원석의 기공에 도포되어 내구성을 강화하는 측면에서 적합하게는 1:0.8 내지 1.2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코팅제 유약으로는 글레이즈, 미네랄 유약, 유리유약, 에나멜 유약 및 셀러도니 유약과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약을 사용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저온 투명유로서 현무암 원석의 기공을 덮기 위한 것이라면 제한은 없으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천연석인 현무암 원석을 사용하기 때문에 각각 기공의 크기 및 모양이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으로, 사용되는 현무암 원석에 따라 투명유약 및 물의 혼합 비율을 다르게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단된 현무암 원석에 코팅제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절단된 현무암 원석의 기공에 석분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공이 많은 원석의 경우 유약 시유 과정만 거칠 경우 기공으로 유약만 흡수됨에 따라, 매끄럽게 코팅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석분과 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먼저 기공도포를 완료하여 완전이 말린 다음 코팅제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석분은 현무암 원석을 절단 가공하면서 발생하는 석분을 채취한 것을 사용하여 원석과 일체감을 조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무암 원석을 절단 가공하면서 발생하는 석분을 "체"를 사용하여 걸러 0.01 내지 2mm의 미세한 석분 분말로 제조한 다음 물과 1:0.8~1.2의 비율로 혼합하여 석분 혼합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체"를 사용할 수 있고, 0.01 내지 2mm의 미세한 석분 분말로 거르기 위한 것이라면 이에 제한은 없다.
또한, 상기 석분 혼합물은 사용되는 현무암 원석에 구성된 기공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다양한 횟수로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무암 원석에 구성된 5mm이상의 큰 구멍이나 깊은 구멍, S자형의 구멍 등은 상기 석분 혼합물로 잘 도포하여도 건조 후에는 내려 앉거나 틈새가 생기는 경우가 있으므로 크기 및 깊이에 따라 2회 내지 5회 도포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석분 혼합물을 도포한 현무암 원석은 7~10℃의 온도 및 35~45%의 습도를 가진 서늘한 곳에서 완전히 말린 다음 코팅제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완전히 말린'의 의미는 석분 혼합물의 묻어남 발생 없이 밀착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팅제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는 현무암 원석의 전체면적에 붓을 이용하여 1~2회 바른 다음 7~10℃의 온도 및 35~45%의 습도를 가진 서늘한 곳에서 1~2시간 말리는 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약층이 형성된 현무암 원석은 1000 내지 1150℃, 1080~1130℃ 또는 1060~1110℃의 전기가마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현무암 원석에 도포된 코팅제 유액을 융해시켜 탄탄하고 매끄럽게 코팅시키는 측면에서 가장 적합하게는 1050~1100℃의 전기가마에서 1시간30분 내지 2시간20분간 소성하여 내구성 및 표면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킨 공깃돌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0℃미만의 온도에서 소성하거나 1시간 미만으로 소성이 이루어질 경우, 도포된 코팅제 유약이 녹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깃돌의 표면이 투명하게 코팅되지 않으며 코팅제 유약이 묻어나오거나 끈적임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균일하게 코팅되지 못함에 따라 부분적 균열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1150℃를 초과한 온도에서 소성할 경우, 코팅제 유약이 부분적으로 응집되어 공깃돌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끈적거림이 발생할 수 있고, 높은 온도로 인하여 부분적 과열에 따른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코팅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약화된 내구성으로 깨짐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3시간을 초과하여 소성할 경우에는 오랜 가열시간으로 내부에 있는 수분이 증발하거나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되지 못하고 일부의 부분이 과도하게 가열될 수 있으며, 오히려 내구성이 약화됨에 따라 깨짐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표면의 매끄러움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은 자연 친화적인 현무암 원석을 이용하여 공깃돌을 만들었기 때문에 우리나라 민속놀이인 공기놀이의 전통성을 계승함은 물론, 현무암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 방사능, 탈취효과, 항균효과로 인체에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자연석인 특성에 따라 쓰레기로 버려져도 환경 공해의 원인이 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표면성 및 사용감과 관련한 관능평가와 분진발생여부는 10~70세의 남녀노소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공깃돌을 이용하여 공기놀이를 진행하도록 하여 관능평가로 확인하였으며, 표면성과 사용감에 관련한 관능평가는 5점평가(5점: 매우 좋다, 4점 : 좋다, 3점 : 보통이다, 2점 : 나쁘다, 1점 : 매우 나쁘다)법에 의거, 분진발생은 "○ 분진발생, △ 분진다소발생, X: 분진미발생"으로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내구성 테스트의 경우 5m의 높이에서 3회 떨어뜨렸을 경우 공깃돌의 깨짐현상이 발생하는지에 대하여 ○: 깨짐미발생, △: 깨짐다소발생, X: 깨짐발생"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예 1. 소성온도에 따른 실험결과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소성온도(℃) 1000~1050 1050~1100 1100~1150 900~950 950~1000 1150~1200 1200~
관능평가 4.5 4.8 4.4 1.5 2.8 3.0 2.3
분진발생 X X X X X X X
내구성 X X
상기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깃돌을 제조함에 있어 소성 온도를 다르게 하여 실험한 결과로, 무공질의 현무암 원석에 투명유약 및 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코팅제 유약을 2회씩 도포한 다음 각각의 다른 소성온도에서 1시간 30분 내지 2시간 20분간 소성하여 제조된 공깃돌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1000 내지 1150℃의 온도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표면성과 사용감에 관련된 관능평가가 우수하며 깨짐현상 및 분진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표 1 및 도 2를 참조하면 1050~1100℃의 온도에서 제조된 실시예 2의 경우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소성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 미만으로 벗어난 경우이다.
비교예 1에서는 코팅제 유약이 전체적으로 녹지 않아 묻어남이 나타난다는 평가가 있었으며 도 1을 참조하면 코팅제 유액이 녹지 않고 하얀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공깃돌이 제대로 코팅되지 못함에 따라 내구성 결과 다소 뭉친 형태로 깨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부분적으로 코팅제 유약 부분이 녹지 않아 끈적거림이 발생한다는 평가가 있었고, 내구성 테스트 결과 코팅된 부분의 유무에 따라 코팅되지 않은 곳은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비교예 3 및 4의 경우 소성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난 경우이다.
비교예 3에서는 코팅제 유약이 부분적으로 응집되어 공깃돌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끈적거리면서 거친 현상이 나타난다는 평가가 있었고, 내구성 테스트 결과 부분적으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에서는 현저하게 높은 온도로 전반적으로 유약이 뭉치는 불규칙적인 현상이 나타나 유약이 뭉친곳에서는 표면이 꾸적하고,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거친감이 느껴진다는 평가가 있었다. 그리고, 내구성 테스트 결과 수분이 상실됨에 따라 내구성이 약해져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도 4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소성시간에 따른 실험결과
구분 실시예2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5 비교예6
소성시간 2시간 1시간 3시간 40분 3시간 30분
관능평가 4.8 3.9 3.8 1.2 2.4
분진발생 X X X X X
내구성 X X
상기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깃돌을 제조함에 있어 소성 시간을 다르게 하여 실험한 결과로, 소성시간을 제외한 다른 단계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된 공깃돌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1 내지 3시간에서 제조된 실시예 2 및 4 내지 5의 경우, 표면성과 사용감에 관련된 관능평가가 모두 3.8이상으로 우수하며 분진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의 경우 균열 또는 깨짐 현상의 발생 없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면서 4.8점의 관능평가로 표면성 및 사용감이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비교예 5 및 6의 경우 소성시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이다.
비교예 5는 소성시간이 본 발명의 범위 미만으로 벗어난 경우로, 현저하게 적은 소성시간으로 코팅제 유약이 전체적으로 녹지 않아 묻어남이 나타나 끈적거린다는 평가가 있었으며, 제대로 코팅되지 못함에 따라 내구성 테스트 결과 다소 뭉친 형태로 깨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6은 소성시간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는 경우로, 오랜 가열시간으로 내부에 있는 수분이 증발하거나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되지 못하고 일부의 부분이 과도하게 가열됨에 따라 코팅제 유약이 부분적으로 응집되면서 공깃돌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거친 현상이 나타난다는 평가가 있었다. 또한, 내구성 테스트 결과 가루형태로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코팅제 유약의 도포에 따른 실험결과
구분 실시예2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7 비교예8
유약처리 2회 1회 3회 0회 4회
관능평가 4.8 2.8 3.1 1.2 2.1
분진발생 X X X
내구성 X
상기 표 3는 본 발명에 따른 공깃돌을 제조함에 있어 코팅제 유약의 도포 횟수를 다르게 하여 실험한 결과로, 이를 제외한 다른 단계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된 공깃돌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코팅제 유약을 1 내지 3회 도포처리하여 제조된 실시예 2 및 6 내지 7의 경우, 균열 또는 깨짐 현상의 발생 없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6 및 비교예 7을 참조하면, 코팅제 유약의 도포횟수가 감소할수록 표면에 분진이 발생하고 내구성이 약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교예 7 및 실시예 2의 분진정도를 비교한 도 5를 참조하면, 코팅제 유약을 전혀 도포하지 않은 비교예 7의 경우 분진이 다량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내구성이 현저하게 낮음에 따라 내구성 테스트 결과 산산조각이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7 및 비교예 8을 참조하면, 코팅제 유약의 도포 횟수가 증가할수록 공깃돌의 무게가 증가하여 사용감에 영향을 준다는 평가가 있었다.
실험예 4. 기공도포처리에 따른 실험결과
구분 실시예2 실시예8 실시예9
원석 무공질원석 유공질 원석 유공질 원석
기공도포유무 X X
관능평가 4.8 4.7 1.8
분진발생 X X X
내구성
상기 표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깃돌을 제조함에 있어 원석의 종류에 따른 기공도포처리의 유무를 다르게 하여 실험한 결과로, 이를 제외한 다른 단계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된 공깃돌이다.
이때 기공도포처리는 석분혼합물을 사용하였으며 0.01 내지 2mm의 미세한 석분 분말을 물과 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는 무공질 원석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표면성과 사용감에 관련된 관능평가가 가장 우수하며 깨짐 현상 및 분진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8 및 9는 유공질 원석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실시예 8은 석분 혼합물을 이용한 기공도포과정을 포함하여 제조함에 따라, 우수한 표면성과 사용감에 관련된 관능평가 결과와 깨짐 현상 및 분진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실시예 2와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는 석분 혼합물을 이용한 기공도포과정을 포함하지 않고 제조함에 따라, 공깃돌의 표면이 아주 거칠다는 평가와 함께 표면성과 사용감에 관련된 관능평가 결과 실시예 2 및 8과 대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에 대하여 도 3을 통해 실시예 9의 표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에 따라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을 제조하는 경우,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코팅이 되어 표면이 매끄러우면서 사용감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깨짐 현상 또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며 분진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공깃돌로서 사용하기 아주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현무암 원석을 가로, 세로 및 높이를 1:1:1의 비율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현무암 원석에 투명유약 및 물을 1:0.5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한 코팅제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 및
    1050 내지 115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소성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무암 원석을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현무암 원석을 가로, 세로 및 높이의 길이를 1 내지 2cm로 절단하고, 모서리를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현무암 원석에 코팅제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절단된 현무암 원석의 기공에 석분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
  4. 제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

  5. 삭제
KR1020230072572A 2023-06-07 2023-06-07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 KR102568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572A KR102568534B1 (ko) 2023-06-07 2023-06-07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572A KR102568534B1 (ko) 2023-06-07 2023-06-07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534B1 true KR102568534B1 (ko) 2023-08-18

Family

ID=8780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572A KR102568534B1 (ko) 2023-06-07 2023-06-07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5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674A (ko) * 2007-05-28 2007-07-10 양민우 기능성 공깃 돌
JP2015054103A (ja) * 2013-09-12 2015-03-23 千洋 小川 立体配列ゲ−ム盤
KR102219286B1 (ko) * 2020-07-28 2021-02-23 최진우 염화물을 이용한 현무암 판석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7441B1 (ko) * 2020-02-03 2021-04-30 이창호 동을 이용한 석재의 상감 방법
KR102499230B1 (ko) 2021-06-07 2023-02-14 임상순 사진틀이 일체화된 현무암 원석 사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674A (ko) * 2007-05-28 2007-07-10 양민우 기능성 공깃 돌
JP2015054103A (ja) * 2013-09-12 2015-03-23 千洋 小川 立体配列ゲ−ム盤
KR102247441B1 (ko) * 2020-02-03 2021-04-30 이창호 동을 이용한 석재의 상감 방법
KR102219286B1 (ko) * 2020-07-28 2021-02-23 최진우 염화물을 이용한 현무암 판석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9230B1 (ko) 2021-06-07 2023-02-14 임상순 사진틀이 일체화된 현무암 원석 사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801B1 (ko) 현무암을 이용한 마그마 찜질 및 건조기용 판재의 제조방법
CN104496418A (zh) 负氧离子远红外线睡枕填充陶瓷球
KR102568534B1 (ko) 현무암 원석을 이용한 공깃돌의 제조방법
KR100938215B1 (ko) 숯 베개
KR102003245B1 (ko) 시래기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1211B1 (ko) 도자 괄사판 제조방법
KR102314418B1 (ko) 토마토 줄기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9990078691A (ko) 건강증진용 혼합물 제조방법 및 그 혼합물이 부착된 침구커버
KR100602522B1 (ko) 원적외선 황토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5407B1 (ko) 음이온 방출 및 해독효과가 우수한 마사지용 대나무 스톤 및 그 제조방법
KR100563558B1 (ko) 자기질 옥 타일 제조방법 및 자기질 옥 타일
KR20000003905A (ko) 기능성 흙벽돌
KR101301842B1 (ko) 음이온 방사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34769B1 (ko) 호랑이콩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38884B1 (ko) 필터부재에 코팅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 및 이로부터기능성 친환경 필터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필터부재
KR101924101B1 (ko) 전이 원소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출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31095A (ko) 고려 백자 재현성을 가진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126530A (zh) 一种艺术土球的制作方法
KR100629992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특성을 구비한 분청 성형물 및이의 제조방법
KR102604872B1 (ko) 피부 밀착력을 높인 저자극 마스크
KR100678584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0596026B1 (ko) 탄소성형체의 제조방법
KR101197312B1 (ko)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
KR200358013Y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특성을 구비한 분청 성형물
CN106827261A (zh) 原石器皿的制作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原石器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