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312B1 -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312B1
KR101197312B1 KR1020110032701A KR20110032701A KR101197312B1 KR 101197312 B1 KR101197312 B1 KR 101197312B1 KR 1020110032701 A KR1020110032701 A KR 1020110032701A KR 20110032701 A KR20110032701 A KR 20110032701A KR 101197312 B1 KR101197312 B1 KR 101197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ocher
weight
dyeing
d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881A (ko
Inventor
이구연
Original Assignee
이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연 filed Critical 이구연
Priority to KR1020110032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31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더 상세하게는 수용성 우레탄 바인더 10~25중량%, 0.01~10㎛의 솔비톨을 함유하는 황토 분말 7~15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10중량%, 첼리도닌(chelidonine) 1~5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구성된 염액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염액으로 섬유의 일면을 연속패딩 염색법으로 염색 및 열처리한 후, 그 염색 및 열처리된 섬유를 수세 및 후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의 염색되지 않은 다른 면에 날염 또는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초미립자의 황토 및 첼리도닌 성분을 피부 친화적인 바인더를 사용하여 섬유의 일 면에 패딩 방법으로 염색하여 세균번식예방, 항균, 소취, 고 흡수성, 및 항알러지 등과 같은 피부 친화적인 효과와 함께 균일하게 염색될 뿐만 아니라 충분한 견뢰도를 갖도록 섬유를 염색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a functional yellow soil-fiber}
본 발명은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더 상세하게는 섬유의 내면에 초미립자 황토를 흡착, 고착시켜 높은 견뢰성을 갖도록 하고, 외면은 다양한 인쇄를 통하여 시각적 효과를 갖도록 한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는 인체의 중요한 뼈, 머리카락, 발톱, 손톱을 성장하게 하는 필수물질인 이산화규소(SiO2)와 과산화질소(NO2)를 희석시켜 주는 효소인 카탈라아제(Catalase) 성분으로 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의 60~70%인 점토에서는 산성화된 물질을 알칼리성으로 바꿔주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배출된다.
황토는 태양 에너지를 오래 받은 규소성 광물로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활성 효모작용으로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고, 노화방지와 성인병 예방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황토는 가는 모래로 조성되어 있어 다량의 탄산칼슘(CaCO3)을 함유하며 쉬게 부서지지 않고, 점력이 높으며, 물로 반죽하면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고, 황토 한 스푼에는 약 2억 마리의 미생물이 살고 있어 다양한 효소들이 순환작용을 일으키고 있어, 예로부터 황토는 살아있는 생명체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황토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며 유익한 성분 효소로는 카탈라아제, 디페놀 옥시디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가 있는데, 이는 독소제거, 분해력, 비료요소, 흙 정화작용을 한다. 황토속의 미생물에 의해 분비되는 카탈라아제라는 인체대사 작용과정에서 과산화지질이라는 독소가 생기면 노화현상이 오는데 이를 중화 희석시켜 피부 노화방지의 작용이 있다. 프로테아제의 성분은 단백질 속의 질소가 무기화할 때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하여 암, 종기, 기타 부패한 세포를 분해 파괴시키며 곪은 상처, 체내의 독소를 해독시켜주는 효소이다.
이와 같이, 황토의 효능에 대해 최근 과학적으로 이를 입증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패방지 및 탈취기능 외에도 원적외선 및 음이온방출, 습기조절, 유해전자파차단 등의 효능에 대해서 새롭게 밝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황토에 대한 인식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생활에 황토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황토 관련제품들이 개발 및 상품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황토를 섬유의 염재로 이용한 선행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 등이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은 주로 숯 분말을 사용하여 충분한 견뢰도를 갖으면서 균일하게 직, 편물을 염색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염색 후 날염 또는 인쇄 등의 과정에 대한 언급이 없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굵은 입자의 황토 및 피부 친화적인 다른 기능성 성분(바인더 등)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어느 정도의 견뢰도를 나타낼 수는 있지만, 낮은 시각적 효과, 상대적으로 낮은 견뢰도 및 피부 친화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2001-0028621호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 제10-0428853호
특허문헌 3: 한국 공개특허 제2009-0128669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주 염재로 사용하는 황토는 섬유와 직접적인 친화력이 없으므로, 상기 황토 분말과 물만을 혼합하여 제조된 염액으로 섬유를 염색하는 경우에는 염색후 수세시 섬유에 물리적으로 부착되어 있던 황토 입자가 탈리되고, 그 입자 탈리 정도의 차이에 따라 섬유의 각 부위별 불균염이 발생되고 이에 따른 부위별 이색(異色) 현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염색 견뢰도도 아주 나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황토를 이용하여 직물을 염색하는 경우, 사용되는 황토의 입자크기 및 농도에 따라 균염성 및 염색 견뢰도가 영향을 받게 되고, 염색시 피부 친화적인 적절한 바인더를 선택할 경우 균염 및 염색견뢰도가 크게 개선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연구를 계속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의 일 측면은 우수한 견뢰도 및 피부 친화적인 기능성을 가지며, 섬유의 다른 측면은 인쇄를 통하여 시각적 효과를 갖도록 한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은 수용성 우레탄 바인더 10~25중량%, 0.01~10㎛의 솔비톨을 함유하는 황토 분말 7~15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10중량%, 첼리도닌(chelidonine) 1~5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구성된 염액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염액으로 섬유의 일면을 연속패딩 염색법으로 염색 및 열처리한 후, 그 염색 및 열처리된 섬유를 수세 및 후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의 염색되지 않은 다른 면에 날염 또는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황토는 점토 60~70중량% 및 마사토 30~40중량%로 구성된 황토와 물의 중량비를 1 : 5~5.5로 혼합한 후 바닥에 가라않은 마사토를 버린 후 나머지 혼합물을 20~24시간 침전시킨 후, 가라앉은 점토를 해풍이 불어오는 해변에서 4~5일간 자연건조시킨 후, 건조된 점토를 분쇄하여 얻은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당도가 있는 과일, 야채로부터 추출된 천연 솔비톨 분말을 600~700mesh로 분쇄하고 나서, 3~5℃로 냉각시킨 후 체로 걸러서 얻은 솔비톨 분말 0.1~10중량부를 혼합하는 얻은 혼합물을 0.01~10㎛의 초미립자로 분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염색은 염액을 염색하고자 하는 섬유의 일면에 스프레이 코팅 또는 붓으로 코팅하여 원단 표면에 염액이 충분히 흡착되도록 한 후, 1~2㎏/㎠의 압력으로 회전하는 로울러 사이에 연속적으로 통과(패딩)시킨 다음, 실린더의 온도 130~150℃에서 1차 건조하고, 155~170℃에서 원적외선 건조방식으로 2차 고착시켜 황토 입자를 섬유에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초미립자의 황토 및 첼리도닌 성분을 피부 친화적인 바인더를 사용하여 섬유의 일 면에 패딩 방법으로 염색하여 세균번식예방, 항균, 소취, 고 흡수성, 및 항알러지 등과 같은 피부 친화적인 효과와 함께 균일하게 염색될 뿐만 아니라 충분한 견뢰도를 갖도록 섬유를 염색할 수 있다.
또한, 섬유의 외면은 다양한 형태로 날염 또는 인쇄를 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능성 섬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주 염재로 사용하는 황토는 유구한 세월동안 자연 숙성된 청정지역에서 엄선되며, 마사토의 비율이 높은 황토의 상층부인 70~80㎝까지는 걷어내며, 채취된 황토 : 물의 중량비를 1 : 5~5.5로 혼합한 후 바닥에 가라 않은 마사토를 버린 후 나머지 혼합물을 20~24시간 침전시킨다.
이때 상부에 생성된 상등액은 지장수로서 이를 별도로 보관하여 신생아 및 민감한 피부의 사람들의 입욕, 머리가려운 사람들의 머리감는 용도,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사람들의 속옷을 삶는 용도, 과일 헹굼 용도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장수인 상등액을 제하고 가라앉은 점토를 해풍이 불어오는 해변에서 4~5일간 자연건조시킨 후, 건조된 점토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황토분말을 얻는다.
특히, 우수한 견뢰도를 나타내는 염색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상기 황토분말의 입자크기는 초미립자, 즉, 0.01~10㎛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분말은, 상기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포도당 100%의 솔비톨 분말 0.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얻는데, 상기 솔비톨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솔비톨은 사과, 배, 당근 등의 당도가 있는 과일이나 야채류에 분포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과, 배, 당근으로부터, 특히 바람직하게는 사과에서 추출된 천연 100%의 포도당이다. 초가을 일조량이 풍부하고 당도가 높은 사과를 엄선하여 가마솥에 사과를 넣고 가열한다.
이때, 온도는 100℃로 유지시키면서 3~4시간 끓여주면 사과 자체의 포도당과 수분이 섞인 엑기스가 생성된다. 이 후에, 사과찌꺼기는 버리고, 엑기스를 건조기에 옮긴다. 건조시의 온도는 80℃를 유지시키면서 18~20시간 건조시키면 수분이 증발되고, 남는 것이 솔비톨, 즉 포도당이며, 이 때의 입자굵기는 30~50mesh가 된다.
추출된 포도당은 입자 굵기가 섬유 염색용에 맞지 않으므로 이를 분쇄기에 넣어 600~700mesh로 분쇄한다. 이 분쇄과정 중의 마찰로 인해 온도가 올라가서 서로 엉키고 달라붙기 때문에 분쇄기 뚜껑을 열기 전에 3~5℃로 냉각시킨 후 부드러운 체로 걸러서 분말을 얻는다. 이렇게 얻은 솔비톨 분말 0.1~10중량부를 황토 100중량부에 혼합한 다음, 이를 다시 0.01~10㎛의 초미립자로 분쇄하여 본 발명의 솔비톨을 함유하는 황토분말을 얻는다.
상기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솔비톨 분말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면 얻고자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솔비톨 분말의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염색 후에 솔비톨의 양이 많아 얼룩과 덩어리가 질 수 있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솔비톨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다른 화학성분을 첨가하지 않고도, 황토의 점토력을 강화시키기 때문에 피부와 접촉하면, 부드러운 마찰력을 가지고, 노폐물, 피부 진드기, 피부 각질을 흡착 및 분해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분말에는 꿀이나 다른 보습성분을 가진 물질을 따로 첨가하지 않아도 충분한 보습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황토 특유의 지혈, 응고, 항균, 해독력으로 도심지의 각종 공해와 화학 건축자재로 인해 산성화되어 가는 피부를 알칼리성으로 바꿔주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주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피부를 맑고 건강하게 해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염색시, 황토 분말은 그 입자가 작을수록 섬유 사이에 침투하기 용이함으로 그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바람직하지만, 특히, 본 발명에서는 황토분말을 이용하여 섬유의 일 면만을 염색한 다음, 후속 공정에서 다른 면은 날염 또는 인쇄를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황토 분말의 입자크기는 0.01~10㎛의 초미립자이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황토 분말의 입자크기가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황토 분말이 섬유에 흡착되어도 후속하는 날염 또는 인쇄 공정에서 탈리 또는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염액은 수용성 우레탄 바인더 10~25중량%, 입자크기가 0.01~10㎛인 솔비톨을 함유하는 황토 분말 7~15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10중량%, 첼리도닌(chelidonine) 1~5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구성된다.
상기 우레탄 바인더는 수용성이라 다른 바인더와 비교하여 친환경적이며 피부 친화적이다. 상기 바인더는 시판되는 제품들 중에서 적합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10~25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섬유로부터 황토 분말이 탈리될 수 있고, 패딩(padding) 공정 전반부와 후반부에 심한 색상차가 발생되며, 25중량%를 초과하면 결합력은 우수하나, 불균염이 발생되고 다른 성분의 분산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아울러, 상기 황토 분말의 사용량이 7중량% 미만이면 황토의 첨가효과가 떨어지고, 15중량%를 초과하면 섬유에 코팅된 황토 분말이 탈리될 수 있다. 아울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염액내의 각 성분의 혼합성 및 분산성을 위해 1~10중량%의 범위로 첨가된다.
또한, 첼리도닌은 애기똥물의 추출물로써, 항암성분으로 작용하며, 피부 친화적인 성분이다. 이를 황토와 함께 사용시 더욱 피부 친화적이어서 그 효과를 지속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다. 상기 첼리도닌을 1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첨가효과가 거의 없고, 5중량%를 초과하면 피부에는 바람직하나, 첨가량에 따른 비례적인 효과의 상승이 없다.
본 발명에서는 염액을 상기한 바와 같이 준비하는 한편, 전처리된 피염물인 섬유("생지원단 또는 원단"이라고도 함)를 준비한다. 섬유의 전처리는 직물을 염색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으로 통상의 조건에 따라 직물의 정련, 표백 및 필요한 경우 머서화처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염액을 제조하고, 전처리된 섬유의 일 면을 염색한다. 일반적으로 섬유의 황토 염색은 황토분말, 바인더 및 물로 구성된 황토 염액에 섬유를 함침시켜 섬유의 양면을 염색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섬유의 일 면만을 날염 방식으로 염색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사용 가능한 섬유는 제직 및 편직물을 포함하며, 이들 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의류 등의 제품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색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속패딩 염색법으로 섬유를 염액으로 염색한 후 열처리(건조 및 경화)한다. 연속패딩 염색법으로 염색시, 상기 염액을 염색하고자 하는 섬유의 일면에 스프레이 코팅 또는 붓으로 코팅하여 원단 표면에 염액이 충분히 흡착되도록 한 후, 1~2㎏/㎠의 압력으로 회전하는 로울러 사이에 연속적으로 통과(패딩)시킨 다음, 실린더의 온도 130~150℃에서 1차 건조하고, 155~170℃에서 원적외선 건조방식으로 2차 고착시켜 황토 입자를 섬유에 고착시킨다.
연속패딩에 의한 염색시, 1차 건조에서는 원하는 색상을 얻을 때까지 두 로울러 사이를 통과시켜 압착 및 건조를 반복함으로써 균일한 염색은 물론 일반 염색제품에 상응하는 염색 견뢰도를 갖도록 섬유를 염색할 수 있다.
아울러, 2차 건조인 상기 원적외선 건조는 우레탄 바인더를 섬유에 최적으로 고착시키면서, 섬유에는 변형이 가지 않도록 155~170℃의 온도범위 내에서 수행하며, 상기 원적외선 건조 방식은 한국 등록특허 제10-0467195호에 개시된 원적외선 염착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염색을 마친 섬유는 통상적인 수세과정을 거친 다음, 건조(통상적으로, 유연 테타)하고, 상기 섬유의 염색되지 않은 면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날염 또는 인쇄 가공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황토 분말을 이용하여 섬유를 염색함으로써 섬유는 균일하게 염색될 뿐만 아니라 또한 우수한 견뢰도를 갖도록 염색된다. 또한, 상기 섬유는 황토 염색된 다른 면에 날염 또는 인쇄 가공이 가능함으로 시각적으로도 패션감각이 우수한 의류를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섬유제품은 피부 친화적인 기능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시에 견뢰도 및 균염성도 우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품은 피부병 또는 아토피 등을 가진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매우 유용할 수 있다.
하기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 예 1
황토 상층부 80㎝를 걷어내고 중층부 황토를 채취한 후, 채취한 황토 1,000g에 물 5,000ℓ를 희석시킨 후, 바닥에 가라앉은 마사토는 버리고, 나머지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침전시킨 다음 상등액은 지장수로서 활용하도록 분리한다. 가라앉은 점토를 해풍이 불어오는 해변에서 5일간 자연건조시켰다. 건조된 점토를 분쇄기에 넣어서 1,300mesh로 분쇄하여 황토분말을 얻었다.
제조 예 2
초가을 일조량이 풍부하고 당도가 높은 사과를 엄선하여 가마솥에 사과를 넣고 100℃로 유지시키면서 3시간 끓여주어 사과 자체의 포도당과 수분이 섞인 엑기스를 생성하였다. 사과찌꺼기는 버리고, 엑기스를 건조기에 옮긴 후, 건조시의 온도는 80℃를 유지시키면서 20시간 건조시켜 수분을 증발시켰다. 이때 얻어진 입자를 분쇄기에 넣어 600mesh로 분쇄하였다. 분쇄기 뚜껑을 열기 전에 5℃로 냉각시킨 후 부드러운 체로 걸러서 분말을 얻었다.
제조 예 3
제조 예 1에서 얻은 황토분말 1000g 및 제조 예 2에서 얻은 솔비톨 분말 250g을 혼합한 다음, 이를 초미립자 분쇄기로 분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황토분말을 얻었다. 혼합하는 단계에서, 혼합이 용이하였다.
실시 예 1
친환경 수용성 우레탄 바인더(이탈리아, Ambert사, LSB/N) 15중량%, 우레탄 바인더(한국, 원플러스, K110) 5중량%, 0.01~10㎛의 입자크기를 갖는 제조 예 3의 솔비톨을 함유하는 황토 분말 10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한국, 유일화공, G-7) 5중량%, 첼리도닌(애기똥풀 추출물) 3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구성된 염액을 면 섬유(통상의 방법으로 전처리됨)의 일면에 스프레이 코팅한 다음, 약 2㎏/㎠의 압력으로 회전하는 로울러 사이에 연속적으로 통과(패딩)시킨 다음, 실린더의 온도 약 140℃에서 1분간 건조하고, 원적외선 염착 장치를 이용하여 약 160℃에서 고착시켰다. 그 다음, 상기 섬유를 수세한 다음 건조하고, 상기 섬유의 염색되지 않은 면에 날염 가공하였다.
이렇게 가공된 섬유의 원적외선, 세탁 내구성, 포름알데히드 검출 및 외관 등을 평가한 다음,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항목 단위 대조군 결과 평가방법
원적외선 방출 방사율 5~20㎛ - 0.9 이상 FT-IR
방사에너지 W/㎡㎛×37℃ - 3.40×102 이상
세탁 내구성
(세탁 20회 후)
한균성 % 90% 이하 99.9% KSK0693
소취성 % 60% 이하 80% 가스 검지관법
포름알데히드 검출 ppm 5~2 0.8 이하 UV-VIS
외관 평가 - 단일색 다양한 무늬 자체 시각 평가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염색된 섬유는 우수한 소취성, 항균성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피부 친화적인 기능성 옷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늬가 인쇄되어 시각적 효과도 우수하다.

Claims (3)

  1. 수용성 우레탄 바인더 10~25중량%, 0.01~10㎛의 솔비톨을 함유하는 황토 분말 7~15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10중량%, 첼리도닌(chelidonine) 1~5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구성된 염액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염액으로 섬유의 일면을 연속패딩 염색법으로 염색 및 열처리한 후, 그 염색 및 열처리된 섬유를 수세 및 후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의 염색되지 않은 다른 면에 날염 또는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토는 점토 60~70중량% 및 마사토 30~40중량%로 구성된 황토와 물의 중량비를 1 : 5~5.5로 혼합한 후 바닥에 가라않은 마사토를 버린 후 나머지 혼합물을 20~24시간 침전시킨 후, 가라앉은 점토를 해풍이 불어오는 해변에서 4~5일간 자연건조시킨 후, 건조된 점토를 분쇄하여 얻은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당도가 있는 과일, 야채로부터 추출된 천연 솔비톨 분말을 600~700mesh로 분쇄하고 나서, 3~5℃로 냉각시킨 후 체로 걸러서 얻은 솔비톨 분말 0.1~10중량부를 혼합하는 얻은 혼합물을 0.01~10㎛의 초미립자로 분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색은 염액을 염색하고자 하는 섬유의 일면에 스프레이 코팅 또는 붓으로 코팅하여 원단 표면에 염액이 충분히 흡착되도록 한 후, 1~2㎏/㎠의 압력으로 회전하는 로울러 사이에 연속적으로 통과(패딩)시킨 다음, 실린더의 온도 130~150℃에서 1차 건조하고, 155~170℃에서 원적외선 건조방식으로 2차 고착시켜 황토 입자를 섬유에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
KR1020110032701A 2011-04-08 2011-04-08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 KR101197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701A KR101197312B1 (ko) 2011-04-08 2011-04-08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701A KR101197312B1 (ko) 2011-04-08 2011-04-08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881A KR20120114881A (ko) 2012-10-17
KR101197312B1 true KR101197312B1 (ko) 2012-11-05

Family

ID=4728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701A KR101197312B1 (ko) 2011-04-08 2011-04-08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3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135Y1 (ko) 2003-12-03 2004-02-25 정의명 일회용 천연염색 부직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135Y1 (ko) 2003-12-03 2004-02-25 정의명 일회용 천연염색 부직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881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02833B (zh) 负离子粉
CN102702834B (zh) 负离子健康涂料
CN102697351A (zh) 负离子健康紫砂壶
KR102057673B1 (ko) 천연 침지액 및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직물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직물
KR101265292B1 (ko) 원적외선 방사 용액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물품
KR102034249B1 (ko) 복합조성물을 함유한 기능성 침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20554A (ko) 피부노폐물과 유분 흡착용 마사지 볼과 그 제조방법
EP4335961A1 (en) Fiber coating method
KR101197312B1 (ko)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
KR20130123927A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KR102191656B1 (ko) 다양한 용도가 부여된 건강에 유익한 성형체 조성물
CN1047639C (zh) 远红外保温保健防臭织物及其制备方法
KR100433380B1 (ko) 솔림욕 이미용제(황솔팩)와 입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88524B1 (ko) 기능성 파우더를 이용하여 우수한 혈액 순환 특성을 갖는가죽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TWI837042B (zh) 纖維塗佈方法
CN109692169B (zh) 一种具有抗菌效果及保健作用的肌内效贴及其制作方法
KR100496498B1 (ko) 대나무 숯을 이용한 염료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KR20040094209A (ko)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사되게 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496044B1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타월의 제조방법
KR100729406B1 (ko) 지장수를 이용한 황토 홍삼의 제조 방법
KR100449917B1 (ko) 참숯을 함유하는 기능성 폴리에스터 원사와 그 제조방법
KR100389506B1 (ko) 표면에 천연안료분말이 도트처리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2260288B1 (ko) 나노분산 수용화 옥 추출물 제조 방법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058695B1 (ko) 게르마늄 이온이 함유된 섬유원단으로 제작된 물품 및 게르마늄 이온이 함유된 물품
KR101895556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발생 기능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