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444B1 -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444B1
KR102568444B1 KR1020160097960A KR20160097960A KR102568444B1 KR 102568444 B1 KR102568444 B1 KR 102568444B1 KR 1020160097960 A KR1020160097960 A KR 1020160097960A KR 20160097960 A KR20160097960 A KR 20160097960A KR 102568444 B1 KR102568444 B1 KR 102568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meta data
metadata
imag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524A (ko
Inventor
목승준
김계원
Original Assignee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비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4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201Image watermarking whereby only tamper or origin are detected and no embedding takes place

Abstract

본 발명은 앱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앱으로 촬영한 영상에 해당하는 메타 데이터 및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가 위변조되지 않은 영상이라고 판단한 상기 수신된 영상 및 상기 수신된 영상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감시자로 하여금 제보 영상을 전부 관찰할 필요 없이 잘못된 제보 내용을 걸러내거나 필요한 정보만 손쉽게 얻어낼 수 있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Video report filt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제보받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해 필터링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감시 또는 제보 시스템에 있어서는 사고나 범죄 상황이 발생할 때 경찰청, 119 안전신고 센터 및 소방방재청등 관련 기관에서 도처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감시 시스템 또는 주기적으로 순찰업무를 수행하는 관리요원을 통해 그 사실을 파악하는 경우가 아니면 NVR에 연결된 카메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거나 알람이 울려야 파악을 할 수 있었고, 그 외의 경우라면 시민들의 자발적인 신고를 받아 그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신고는 종래에는 신고자가 직접 관공서에 방문하거나 전화를 통해 수행할 수 밖에 없었지만,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핸드폰이나 스마트폰의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기능이나 디지털 카메라를 통한 사진 및 동영상 촬영 기능을 통해 불법 행위나 법규 위반 사례에 대한 증거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여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게 되었고, 유관 행정관청은 그에 따른 보상금을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의 법규 준수 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감시 또는 제보 시스템의 경우에는 행정관청에서 사진이나 동영상을 근거로 신고를 받는다고 하여도, 담당자가 해당 사진과 동영상이 편집되거나 조작되지 않았는지를 직접 재차 검증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누군가 악의를 가지고 조작한 영상을 제보하거나 호기심에 장난으로 제보를 한 경우, 또는 단순 실수로 제보를 하게 된 경우를 유의미한 제보 영상과 분리하여 1차적으로 걸러낼 방법이 없어서 제보를 위해 전송된 모든 영상을 검사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2318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작되어 제보된 영상이나 실수나 장난으로 제보된 영상을 필터링하는 영상 제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앱으로 촬영한 영상에 해당하는 메타 데이터 및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는 상기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가 위변조되지 않은 영상이라고 판단한 상기 수신된 영상 및 상기 수신된 영상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영상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복호화부가 복호화한 상기 수신된 영상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메타 데이터 중 해시값 이외의 메타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가 상기 해시값 이외에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메타 데이터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메타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가 존재할 때, 상기 수신된 영상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해시값과 상기 수신된 해시값을 비교함으로써 영상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하는 위변조 검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보자는 단말기의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제보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감시자는 제보 영상을 전부 관찰할 필요 없이 잘못된 제보 내용을 걸러내거나 필요한 정보만 손쉽게 얻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및 알림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의 영상 필터링과정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의 메타 데이터 검사 과정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가 차량을 촬영한 영상에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가 사건현장을 촬영한 영상에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의 메타 데이터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의 위변조 검사부의 위변조 검사 과정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는 수신부(11), 복호화부(12), 메타 데이터 추출부(13), 필터부(14), 알림부(15), 저장부(16)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터부(14)는 메타 데이터 검사부(141)와 위변조 검사부(142)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는 신고를 하는 단말기(2)와 연결이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영상 제보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수신부(11)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2)로부터 유무선의 형태로 영상 또는 사진과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수신부(11)가 수신하는 내용은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를 통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클립, 원본 파일 형식을 유지하면서 전송된 동영상 및 텍스트 파일, 암호화된 독자규격의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가 수신하는 영상은 이미 촬영 후 저장된 영상일 수도 있지만 실시간으로 촬영중인 영상일 수도 있다. 수신부(11)는 무선 통신을 위해 3G 모뎀 또는 LTE 모뎀으로 구성될 수 있고, 기타 지그비(ZigBee), 무선랜(WLAN),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유선 통신을 위한 랜 카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메타 데이터는, 영상 또는 사진의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영상 또는 사진 내의 관심 객체의 크기, 관심 객체가 사람인 경우 피부 색, 성별, 모자 또는 안경 착용 여부, 관심 객체가 사물인 경우 사물의 종류, 관심 객체가 차량인 경우 차량 번호와 차종, 영상 또는 사진이 촬영된 장소 및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고, 영상의 무결성 검사를 위해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계산한 해시값을 포함한다. 다만 메타 데이터의 종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보에 유의미한 데이터라면 메타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6)는 수신부(11)가 수신한 영상 또는 사진과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16)로는 클라우드 저장소나 NVR(Network Video Recorde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는 저장부(16)에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해두고 필터링 등의 연산을 거쳐서 해당 데이터를 저장부(16)에 계속 저장해둘 지 아닐지를 결정한다.
복호화부(12)는 수신부(11)가 수신한 데이터를 수신부(11)로부터 전달받아 그 중 암호화된 파일을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연산을 위한 프로세서가 복호화부(12)로 사용된다. 복호화부(12)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 하는 알고리즘은 최초 데이터가 암호화된 방식이 무엇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최초 시스템을 설계할 때, 단말기(2)에 제공되는 앱이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방식과, 복호화부(12)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 하는 방식을 대응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암호화 방식과 복호화 방식은 대칭 키 알고리즘인 DES(Data Encryption Standard), 3-DES, AES(Advanded Encryption Standard), SEED, ARIA, MASK 일 수도 있고, 비대칭 키 알고리즘인 RSA(Rivest Shamir Adleman), DSS(Digital Signature Standard), Diffle-Hellman 키 교환, ElGamal 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타 데이터 추출부(13)는 수신부(11)가 수신한 영상 또는 사진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2)에 의해 충분한 메타 데이터가 추출되지 않았을 경우, 추가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미지 또는 사진으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거나 사물의 부분, 얼굴 등을 인식해서 그로부터 알아낼 수 있는 정보를 메타 데이터화 해서 메타 데이터로 저장한다. 수신한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라면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부(12)를 통해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이미지 또는 사진으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거나 사물의 부분, 얼굴 등을 인식해서 그로부터 알아낼 수 있는 정보를 메타 데이터화 해서 메타 데이터로 저장한다.
필터부(14)는 수신부(11)가 수신한 영상 또는 사진 데이터가 제보 영상으로서 위변조가 이루어졌거나 관련 정보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그렇다면 제보 영상으로 사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걸러내서 가비지 리스트로 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만약 수신부(11)가 수신한 데이터가 암호화 된 데이터라면 복호화부(12)를 통해 복호화 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필터링을 수행한다. 필터부(14)는 메타 데이터 추출부(13)를 통해 가능한 정도까지 메타 데이터를 얻은 후의 영상 및 메타 데이터에 대해서 필터링을 수행한다.
필터부(14)는 수신부(11)가 수신한 메타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 추출부(13)가 추출한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통해 해당 영상이 제보로서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는지, 실수로 보낸 영상이 아닌지를 판단하므로 메타 데이터 검사부(141)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부(11)가 수신한 영상 또는 사진에 대해 위변조 여부를 검사해서 위변조된 영상은 올바른 제보 영상이 아니라고 판단할 것이므로, 필터부(14)는 위변조 검사부(142)를 포함한다.
알림부(15)는 필터부(14)에서 제보 영상 또는 사진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한 영상 또는 사진을 전달받아 감시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알림부(15)가 감시자에게 제보 영상 또는 사진을 알리는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팝업, 알람의 울림, 사건 관리 시스템 상의 새로운 작업 생성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하,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가 제보를 받고, 수신한 내용에 대해서 필터링하고 감시자에게 알리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및 알림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감시자는 앱스토어, 어플리케이션 마켓 등의 공중에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수 있는 매체에 본 장치로 제보가 가능한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제보자는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2)에 다운받고 설치한다. 여기서 단말기(2)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고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3G, LTE 등의 무선 모뎀이 설치되어 있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영상 또는 이미지의 촬영이 가능한 핸드폰, 스마트폰 등의 장치이거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고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WLAN, Wibro 등을 이용해 AP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이 가능함과 동시에 영상 또는 이미지의 촬영이 가능한 태블릿 피씨,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가능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보자가 도 1과 같이 사고 현장 또는 범죄 현장을 목격한 경우, 단말기(2)를 이용하여 현장을 촬영한다. 이 때 제보자는 단말기(2)에 설치된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현장을 촬영한다(S10). 따라서 감시자가 제공하는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2)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해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가 영상을 필터링 하기 위해서는 영상으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추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이 촬영한 영상에 대해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해야 하는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2)의 하드웨어 사양 또는 구성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은 설치된 단말기(2)가 영상을 분석하여 메타 데이터를 추출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S11)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 메타 데이터를 추출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은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된 영상에 대해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다(S12). 추출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지 않는다.
메타 데이터 추출 여부와 무관하게, 어플리케이션은 촬영한 영상에 대해서 해시값을 계산하고 메타 데이터에 추가한다. 여기서 영상에 대해 해시값을 구하는 것은 무결성 검사를 통한 위변조 여부 판단을 위한 것으로, 단방향 암호화 방식인 CRC(Cyclic Redundancy Check), MD5(Message-Digest algorithm 5), 체크섬 검사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2)로부터 영상을 촬영한 위치정보, 시각, 제보자의 신상정보를 받아 메타 데이터에 추가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와 촬영된 영상을 암호화한다(S13). 암호화 방법은 상기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복호화부(12)에 대해서 상술한 내용과 같다.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촬영된 영상을 제보하기 위해서는 본인 인증 단계(S14)를 거친다. 제보자의 신원을 보다 확실하게 확인해서 허위 신고를 신고 전 단계에서 차단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인 인증을 위해서는 공인인증서, i-pin, 휴대폰 인증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인 인증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제보를 할 수 없다. 따라서 최초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
본인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암호화된 영상과 메타 데이터가 단말기(2)의 무선 모뎀 또는 WLAN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해 전송된다(S15). 이 때, 가장 가까운 관공서나 공공기관의 수신부(11)로 영상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지역 경찰청의 112 종합상황실의 수신부(11)로 영상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상과 단말기(2)의 전송 역시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2)의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야 한다.
수신부(11)는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한 영상 및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부(16)는 수신된 영상 및 메타 데이터를 저장한다(S16). 우선적으로 수신한 영상 및 메타 데이터를 저장 장치에 저장해 두고, 필터링을 거쳐서 제보용으로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복호화부(12)는 수신한 영상 및 메타 데이터가 암호화가 되어있다면 이를 복호화한다(S17). 복호화부(12)가 사용하는 복호화 알고리즘은 상기 단말기(2)의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되는 것이어야 한다.
복호화가 끝나면, 수신된 영상 및 데이터는 메타 데이터 추출부(13)를 통과하게 된다. 메타 데이터 추출부(13)는 우선적으로 수신한 메타 데이터의 유무를 판단하고(S18), 만약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메타 데이터 추출부(13)가 메타 데이터를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추가로 추출한다(S19). 메타 데이터 추출부(13)가 추출하는 메타 데이터와 유무를 판단하는 메타 데이터는 영상 내 관심 객체의 크기, 관심 객체가 인물인 경우 얼굴이나 착용하고 있는 악세서리 등의 데이터이고, 해시값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해시값은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최초 촬영시 계산되어야 하는 것이고, 이 값과 후술할 위변조 검사부(142)에서 계산된 해시값을 비교할 것이기 때문이다.
메타 데이터 추출부(13)를 통과한 수신된 영상과 메타 데이터는 필터부(14)의 필터링을 통과하게 된다(S20). 필터부(14)는 수신부(11)가 수신한 영상 또는 사진 데이터가 제보 영상으로서 위변조가 이루어졌거나 관련 정보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곳이므로, 필터링을 통과하지 못한 경우 가비지 리스트에 해당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기록한다(S21).
가비지 리스트에 기록하는 단계(S21)는 제보 영상으로 가치가 없는 영상을 필터링하고 난 나머지를 기록하는 단계로, 해당 리스트에 기록된 영상과 메타 데이터에 해당하는 내용은 저장부(16)에서 삭제된다.
필터링을 통과한 영상 및 메타 데이터는 알림부(15)를 통해 감시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S22). 영상 위에 감시자에게 필요한 메타 데이터가 같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별도로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알림부(15)는 기타 알림 수단을 이용해서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도 있다. 해당하는 영상 및 메타 데이터는 저장부(16)에 계속 남게 되고, 이를 알림부(15)로 확인한 감시자는 제보 영상을 확인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필터부(14)의 영상 필터링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의 영상 필터링과정(S20)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의 메타 데이터 검사 과정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영상 필터링을 위한 필터부(14)는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메타 데이터 검사부(141)와 위변조 검사부(142)로 구분된다.
메타 데이터 검사부(141)는 수신되거나 상기 메타 데이터 추출부(13)에서 추출된 메타 데이터를 확인하고, 메타 데이터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판단 내용을 기록한다(S201). 수신부(11)가 수신한 메타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 추출부(13)가 추출한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통해 해당 영상이 제보용으로서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는지, 단순 실수 혹은 장난으로 제보된 영상이 아닌지를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여기서 판단하는 메타 데이터는 해시값을 제외 할 수 있다. 해시값은 위변조 검사부(142)에서 필터링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신한 메타 데이터 및 추출한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지를 판단한다(S2011).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상의 경우 해당 영상에 대해서 유의미한 정보를 거의 얻을 수 없다는 의미이므로, 감시자가 육안으로 모니터링 하더라도 마찬가지의 결과를 얻을 것이다. 따라서 해당 영상은 가비지 리스트에 기록한다(S21). 만일 유의미한 메타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해당 메타 데이터 중 사람에 관한 메타 데이터와 사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분류한다(S2012). 어떠한 종류의 제보인지, 제보 영상에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를 개략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분류된 메타 데이터의 내용은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한다(S2013).
위변조 검사부(142)는 메타 데이터 검사부(141)를 통과한 영상에 대해서 해당하는 해시값을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계산한 해시값과 비교해 위변조 여부를 검사하고(S202), 만일 일치하지 않는다면 가비지 리스트에 해당 영상 및 메타 데이터를 기록한다(S21). 위변조 검사부(142)의 위변조 검사 과정에 대해서는 도 8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 모습을 예시와 함께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가 차량을 촬영한 영상에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차량의 뒷모습을 제보자가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한 영상의 한 장면을 표현한 것이다. 관심 객체가 차량인 경우, 관심 객체에 대한 관심 영역(30)이 지정된다. 제보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의 메타 데이터 추출부(13)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30)내 차량의 번호판에 적힌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번호판 정보(32), 차량의 제조사 정보(31) 및 차종, 차량의 색상, 영상 내 차량의 위치 등의 차량 정보(33)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판단된 차량 정보(33)를 텍스트화 해서 메타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촬영된 영상과 함께 저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특징적인 차량 정보(33)를 추출해서 제공하므로, 육안으로 식별하기 곤란한 정보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일일이 감시자가 영상을 확인하지 않아도 사건 영상에서 얻어야 하는 필요한 차량 정보(33)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가 사건현장을 촬영한 영상에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인물이 연관된 사건 현장을 제보자가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한 영상의 한 장면을 표현한 것이다. 관심 객체가 사람인 경우, 관심 객체에 대한 관심 영역(40)이 지정된다. 제보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의 메타 데이터 추출부(13)는 상기 영상의 관심 영역(40)으로부터 얼굴 인식 기술, 사물 인식 기술 등을 통해 해당 인물의 얼굴이나 신장, 성별, 착용하고 있는 의류 의 색상 등의 인물 정보(41)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판단된 인물 정보(41)를 텍스트화 해서 메타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촬영된 영상과 함께 저장하는 것이다.
제보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의 메타 데이터 추출부(13)가 사용할 수 있는 얼굴 인식 방법으로는 Eigenfaces, Fisherfaces,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방법 등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물 인식 방법은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이 존재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특징적인 인물 정보(41)를 추출해서 제공하므로, 일일이 감시자가 영상을 확인하지 않아도 사건 영상에서 얻어야 하는 필요한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촬영시 단말기(2)로부터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영상이 촬영된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42) 역시 메타 데이터로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주소만을 메타 데이터로 추가할 수도 있고, 대응하는 지도 정보를 외부 서비스 또는 본 발명의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가 가지고 있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요청해 지도 이미지(43)를 메타 데이터로 추가할 수도 있다. 해당 주소를 전달받은 경우 알림부(15)에서 외부 서비스 또는 본 발명의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가 가지고 있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지도 정보를 요청해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한 영상과 함께 지도 이미지(43)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메타 데이터의 프로토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의 메타 데이터 프로토콜(5)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메타 데이터는 헤더(Header)(51)와 바디(Body)(52)로 구분된다. 헤더(51)는 메타 데이터의 개략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파트로, 메타 데이터 프로토콜의 버전(version)과 전달되는 메타 데이터의 총 개수(count),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time)가 포함된다. 바디(52)는 추출한 메타 데이터가 담기는 파트로, 추출한 메타 데이터의 타입과 길이, 시간과 함께 메타 데이터가 세트를 이루어 저장된다.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의 메타 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불필요한 정보는 제거하거나 더 필요한 정보를 추가해서 메타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등 프로토콜 구조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도 8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의 위변조 검사부(142)의 위변조 검사 과정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단계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1)의 위변조 검사부(142)의 위변조 검사 과정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수신부(11)가 수신한 영상 또는 사진이 위변조되었다면 이는 올바른 제보 영상이 아니라고 판단해야 하므로, 필터부(14)는 위변조 검사부(142)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위변조 검사부(142)는 해시값을 이용한다.
위변조 검사부(142)는 수신한 영상에 대해서 해시값을 계산한다(S2021). 해시값을 추출하는 방식은 상기 제보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촬영한 영상에 대해서 해시값을 추출한 방식과 동일하다.
위변조 검사부(142)는 계산된 해시값과 수신된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해시값을 비교한다(S2022). 위변조 검사부(142)에서 계산된 해시값은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것이고, 수신된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해시값은 촬영 당시 촬영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것이다. 따라서 만약 두 해시값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촬영 이후 어떠한 전송상의 문제가 있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영상 촬영 이후 인위적 조작에 의해서 영상이 조작되거나 바꿔치기한 영상이 전송될 경우에도 두 해시값이 일치하지 않을 것이므로, 두 해시값을 비교하는 방식이 유효하게 영상의 위변조 검사뿐 아니라 무결성 검사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해시값을 비교하여 만약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가비지 리스트에 기록한다(S21). 일치하는 경우 해당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한다(S2023).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2 : 단말기
5 : 메타 데이터 프로토콜 11 : 수신부
12 : 복호화부 13 : 메타 데이터 추출부
14 : 필터부 15 : 알림부
16 : 저장부 30, 40 : 관심 영역
31 : 제조사 정보 32 : 번호판 정보
33 : 차량 정보 41 : 인물 정보
42 : 위치 정보 43 : 지도 이미지
51 : 헤더 52 : 바디
141 : 메타 데이터 검사부 142 : 위변조 검사부

Claims (6)

  1. 앱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앱으로 촬영한 영상에 해당하는 메타 데이터 및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메타 데이터에 영상 제보를 위한 관심 객체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에서 관심 객체 정보를 추출하는 메타 데이터 추출부;
    상기 수신된 영상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가 위변조되지 않은 영상이라고 판단한 상기 수신된 영상 및 상기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었거나 상기 메타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관심 객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메타 데이터 및 상기 메타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메타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참조하여 상기 영상이 제보로서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영상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복호화부가 복호화한 상기 수신된 영상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하는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메타 데이터 중 해시값 이외의 메타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가 상기 해시값 이외에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관심 객체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메타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가 존재할 때, 상기 수신된 영상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하는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해시값과 상기 수신된 해시값을 비교함으로써 영상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하는 위변조 검사부를 포함하는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KR1020160097960A 2016-08-01 2016-08-01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KR102568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60A KR102568444B1 (ko) 2016-08-01 2016-08-01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60A KR102568444B1 (ko) 2016-08-01 2016-08-01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524A KR20180014524A (ko) 2018-02-09
KR102568444B1 true KR102568444B1 (ko) 2023-08-18

Family

ID=6119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960A KR102568444B1 (ko) 2016-08-01 2016-08-01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5272B (zh) * 2021-04-23 2024-03-29 深圳前海微众银行股份有限公司 活体检测方法、设备、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628B1 (ko) * 2014-08-29 2016-03-04 정유철 교통사고영상 제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182A (ja) 2001-10-12 2003-04-25 Casio Comput Co Ltd 駐車違反取締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0748676B1 (ko) * 2003-02-27 2007-08-10 (주)아이에스엘지 비교에 의한 신분증 위변조 검증 방법
KR101496632B1 (ko) * 2010-11-04 2015-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심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60011302A (ko) * 2014-07-21 2016-02-01 넥시스 주식회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영상 또는 이미지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20160029156A (ko) * 2014-09-03 2016-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의 이동 경로 추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628B1 (ko) * 2014-08-29 2016-03-04 정유철 교통사고영상 제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524A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2054B2 (en) Document tracking on distributed ledger
US10019773B2 (en)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of smartphone imagery
Gipp et al. Securing video integrity using decentralized trusted timestamping on the bitcoin blockchain
CN109690538A (zh) 用于识别匹配内容的系统和方法
CN107124281B (zh) 一种数据保全方法和相关系统
KR101522311B1 (ko) 미리보기 기능을 갖춘 감시카메라 영상 반출 시스템
US201700393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fferentiated privacy protection
EP3665600B1 (fr) Procédé de signature électronique d'un document par une pluralité de signataires
KR102042129B1 (ko) 본인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CN104680078B (zh) 一种拍摄照片的方法、查看图片的方法、系统和终端
KR102213839B1 (ko) 영상 위변조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ES2729578T3 (es) Método implementado por ordenador para captación de información audiovisual y/o multimedia probatoria y programa de ordenador
Winkler et al. User-centric privacy awareness in video surveillance
CN111737346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无人酒店管理方法及设备、介质
CN111353434A (zh) 信息识别方法及装置、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568444B1 (ko) 영상 제보 필터링 장치
KR102323650B1 (ko) 영상/음성의 생성 이력과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원본 영상/음성 파일 또는 딥페이크 변조 파일을 생성하는 영상/음성획득 또는 편집 장치, 원본 영상/음성 파일 또는 딥페이크 변조 파일 관련 해시값을 수신 및 저장하는 해시뱅크 서버, 원본 영상/음성 파일 또는 딥페이크 변조 파일을 수신 및 처리하는 서버 및 방법
EP3210158B1 (en) Secure transmission
JP6671627B2 (ja) プライバシ保護を可能とするカメラシステム
WO2022201411A1 (ja) 準同型暗号を用いた顔認証のアプリケーション
FR2944400A1 (fr) Procede d'authentification aupres d'un serveur par un utilisateur d'un appareil mobile
CN116756750A (zh) 医疗敏感数据采集脱敏方法
US11159323B1 (en) Pseudonymous video data capture and query system
KR100973327B1 (ko) 영상 보호 장치
CN108694388B (zh) 基于智能摄像头的校园监控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