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873B1 -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873B1
KR102567873B1 KR1020210016173A KR20210016173A KR102567873B1 KR 102567873 B1 KR102567873 B1 KR 102567873B1 KR 1020210016173 A KR1020210016173 A KR 1020210016173A KR 20210016173 A KR20210016173 A KR 20210016173A KR 102567873 B1 KR102567873 B1 KR 102567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electrode
electrode layer
separator
layer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2896A (ko
Inventor
김태구
이원종
박종철
여두연
우동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Priority to KR102021001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87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는 복수의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전극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접합되는 분리막 시트를 구비하는 전극층 복수 개가 상기 전극들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적층된 상태로 이송하는 전극층 적층물에 있어서 상기 전극 둘레의 분리막 시트들 사이를 가압하여 접합하되, 상기 전극층 적층물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전극 둘레의 분리막시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전극층 적층물의 타면을 상기 지지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sticking device of secondary battery separator}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차전지의 제조과정에서 전극셀의 분리막 사이가 접합되도록 하는 이차전지용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반복적인 충방전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구비하여 모바일기기나 전기자동차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전극조립체는 전극셀을 통해 구성되고, 전극셀은 제1전극과 제2전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차전지의 제조과정에서는 제1전극과 제2전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되는 전극셀을 제조하게 된다.
전극셀은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복수의 전극을 분리막을 형성하기 위한 분리막시트에 접합하여 전극층을 형성하고, 전극층 복수개를 적층한 적층물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전극층 적층물의 전극층 사이는 접합되고, 이때 전극층 사이는 전극과 분리막시트 사이와, 분리막시트 사이가 접합된다.
적극층 사이가 접합된 적층물은 분리막 시트 사이를 절단함에 따라 다수의 전극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적층물의 전극층 사이를 접합하는 과정에서는 전극의 두께로 인해 전극에 인접하는 전극 둘레의 분리막 시트 사이가 제대로 접합되지 않고 들뜨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적층물을 통해 형성되는 전극셀은 분리막 사이의 접합불량으로 인해 쇼트를 발생시킬 우려를 가지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4811호(2017.10.16. 공개)
본 실시 예는 이차전지의 제조과정에서 전극셀의 분리막 사이를 효과적으로 접합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전극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접합되는 분리막 시트를 구비하는 전극층 복수 개가 상기 전극들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적층된 상태로 이송하는 전극층 적층물에 있어서 상기 전극 둘레의 분리막 시트들 사이를 가압하여 접합하되, 상기 전극층 적층물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전극 둘레의 분리막시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전극층 적층물의 타면을 상기 지지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전극층 적층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전극들 사이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전극층 적층물을 상기 지지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구간; 상기 전극층 적층물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극들의 양 단부 바깥쪽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전극층 적층물을 상기 지지롤러 쪽으로 가압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압부간 양쪽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가압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는,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구간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 둘레에 결합하는 축결합부; 상기 전극층 적층물을 가압하도록 상기 축결합부 둘레 일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결합하고, 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제1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축결합부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는 상기 적층물을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축방향 길이가 다른 것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축결합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는 상기 적층물을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물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적어도 상기 가압부가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는,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가압구간은, 상기 적층물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탄성을 구비하는 중공의 원통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과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 둘레에 결합하는 제2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는 회전축 상에서 축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는 이차전지의 제조과정에서 전극셀의 분리막 사이를 효과적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를 통해 분리막 시트 사이가 접합되는 전극층 적층물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가 채용되는 전극셀 제조설비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3을 절취선 B-B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의 평면도로, 전극층 적층물의 분리막 사이를 접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의 요부 단면도로, 가압롤러의 제1가압부재와 지지롤러 사이에서 전극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는 분리막 시트 사이가 가압되어 접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의 요부 단면도로, 가압롤러의 제2가압부재와 지지롤러 사이에서 전극의 단부 바깥쪽의 위치에 대응하는 분리막 시트 사이가 가압되어 접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100)는 이차전지의 제조과정에서 전극셀의 분리막 사이를 접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재사용이 가하도록 반복적으로 충방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전극조립체와, 내부에 전극조립체와 함께 전해질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전극조립체는 전극셀(10a)을 통해 구성되고, 전극셀(10a)은 분리막(1a)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되는 양극과 음극을 포함한다. 양극과 음극 중 어느 하나는 제1전극을 이루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제2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전극조립체는 이차전지의 타입이나, 이차전지의 요구되는 용량에 따라 알맞은 전극의 숫자를 확보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전극셀(10a)을 적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전극셀(10a)을 형성하는 전극(2)과 분리막(1a)의 재료는 이차전지의 수명, 충방전용량, 온도 특성 및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의 재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전극셀(10a)은 전극층 적층물(10)을 절단하여 마련되고, 전극층 전측물(10)은 복수의 전극(2)을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분리막 시트(1)에 접합시켜 형성되는 전극층(11) 복수개를 적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전극(2)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마련되어 길이방향의 양 단부를 형성하는 단변(2a)이 분리막 시트(1)의 폭방향을 향하고, 단변(2a) 사이의 장변(2b)이 분리막 시트(1)의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분리막 시트(1)에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에는 전극탭(3)이 마련되고, 전극층 적층물(10)에서 상호 적층되는 전극층(11)에 있어서, 전극탭(3)의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될 수 있다. 전극탭(3)은 분리막시트(1)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극층 적층물(10)은 복수의 전극층(11)을 전극(2)들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적층하고, 전극층(11) 사이를 접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극층(11) 사이는 전극(2)과 분리막 시트(1) 사이와, 분리막 시트(1) 사이가 접합될 수 있다. 이렇게 마련된 전극층 적층물(10)은 절단되어 복수의 개별 전극셀(10a)을 형성할 수 있다. 개별 전극셀(10a)은 하나의 분리막(1a)에 적층된 하나의 전극(2) 위에 다른 전극(2)이 적층된 다른 분리막(1a)이 적층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참고로 도 1은 전극셀(10a)이 분리된 상태를 가정하여 전극층 적층물(10)의 일단에 전극셀(10a)의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층 적층물(10)의 전극층(11) 사이는 전극층 적층물(10)의 이송과정에서 접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 중인 전극층 적층물(10)은 한 쌍의 라미네이팅 롤러(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접합되고, 이 상태로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2차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전극층 적층물(10)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이송롤러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라미네이팅 롤러(20)는 소정의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전극층 적층물(10)을 가압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전극층 적층물(10)의 전극층(11) 사이를 1차적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전극층 적층물(10)의 전극층(11) 사이에는 전극(2)이나 전극탭(3)의 두께로 인해 그 주변의 분리막 시트(1) 사이가 제대로 접합되지 않기 쉽다. 즉 전극층(11) 사이에 있어서 전극(2)과 분리막 시트(1) 사이는 상호 평평하여 접합이 원활한 반면, 전극(2) 주변의 분리막 시트(1) 사이는 제대로 접합되지 않고 들뜨게 되기 쉽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100)는 전극층 적층물(10)에 있어서 전극(2) 둘레의 분리막 시트(1) 사이를 가압하여 접합시킴으로써, 전극층 적층물(10)을 통해 제조되는 전극셀(10a)의 분리막(1a) 사이가 보다 효과적으로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100)는 전극층 적층물(10)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200)와, 전극(2) 둘레의 분리막시트(1)의 위치에 대응하는 전극층 적층물(10)의 타면을 지지롤러(200)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층 적층물(10)은 가압롤러(300)와 지지롤러(200)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극(2) 둘레의 분리막 시트(1) 사이가 집중적으로 가압됨에 따라 들뜸이 억제된 상태가 되도록 효과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극층 적층물(10)을 통해 제조되는 전극셀(10a)은 분리막(1a) 사이가 고르게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쇼트 발생률이 낮아질 수 있다.
가압롤러(300)는 전극층 적층물(10)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극(2)들 사이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전극층 적층물(10)을 지지롤러(200) 쪽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구간(310)과, 전극층 적층물(10)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극(2)들의 양 단부 바깥쪽에 대응하는 위치의 전극층 적층물(10)을 지지롤러(200) 쪽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구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압구간(310)은 축방향을 따라 가압롤러(300)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지지롤러(200)와의 사이에서 전극(2)들 사이의 분리막 시트(1) 사이를 접합시키고, 제2가압구간(320)은 축방향을 따라 제1가압구간(310)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지지롤러(200)와의 사이에서 전극(2)의 양 단부 바깥 쪽의 분리막 시트(1) 사이를 접합시킬 수 있다.
즉 제1가압구간(310)은 전극(2)들의 장변(2b)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분리막시트(1)를 가압하여 접합시키고, 제2가압구간(320)은 전극(2)들의 단변(2a) 바깥 쪽에 대응하는 위치의 분리막시트(1)를 가압하여 접합시키게 된다.
가압롤러(300)와 지지롤러(200)는 각각 그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301,201)을 구비하고, 각각의 회전축(301,201)에는 가압롤러(300)와 지지롤러(200)의 회전 구동을 위한 모터(302,202)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구간(310)은 회전축(301)과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축(301) 둘레에 결합하는 축결합부(311)와, 전극층 적층물(10)을 가압하도록 축결합부(311)에 결합하는 제1가압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압부재(312)는 축결합부(311)의 둘레 일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결합하고, 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압부재(312)는 복수개가 축결합부(311)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가압롤러(300)의 회전시 각각의 제1가압부재(312)는 이송하는 전극응 적층물(10)의 전극(2)들의 장변 사이를 연속적으로 가압하면서 전극(2) 사이의 분리막 시트(1) 사이를 접합시킬 수 있다.
즉 이때는 이송하는 전극층 적층물(10)의 전극(2)과 전극(2)의 사이가 회전하는 복수의 제1가압부재(312)에 의해 순차적으로 가압되도록 전극층 적층물(10)의 이송 속도와 모터(301)의 회전 속도를 동기화시킴으로써, 전극(2)들의 장변(2b)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는 분리막시트(1) 사이가 가압롤러(300)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가압부재(312)를 통해 연속적으로 가압되어 접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제1가압부재(312) 사이의 간격은 전극층 적층물(10)의 이송방향으로 전극(2)의 폭 길이(L1)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가압롤러(300)의 회전방향으로 제1가압부재(312)의 끝단의 두께는 전극(2) 사이의 간격(L2)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압부재(312)의 숫자나 간격이 전술한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가압부재(312)는 그 위치나 숫자에 관계없이 모터(302)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에 따라 전극 사이의 전극층 적층물(10)을 알맞은 타이밍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제1가압부재(312)의 숫자나 간격은 자유롭게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제1가압부재(312)는 축결합부(311)에 결합하는 결합부(312a)와, 전극층 적층물(10)을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하도록 결합부(312a)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부(31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가압부재(312)는 가압부(312b)의 축방향 길이가 다양한 복수의 타입으로 준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2)의 장변(2b) 길이 조건이 달라질 경우, 제1가압부재(312)는 가압부(312b)의 축방향 길이가 전극(2)의 장변(2b) 길이에 맞는 것으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축결합부(311)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가압부재(312)는 결합부(312a)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13)를 통해 축결합부(311)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312b) 양측의 결합부(312a)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축결합부(311) 외면에는 체결부재(313)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압부재(312)가 축결합부(311) 둘레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축결합부(311) 외면에는 결합부(311)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미도시)이 더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압부재(312)는 가압부(312b)의 길이에 상관 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축결합부(311)에 착탈 될 수 있도록 타입이 다른 경우에도 결합부(312a)의 길이나 구조는 서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제1가압부재(312)보다 가압부(312b)의 축방향 길이가 더 긴 타입의 제1가압부재(312′)가 적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재(312)는 가압부(312b)를 통해 전극층 적층물(10)을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전극(2)의 장변(2b)에 인접한 부위까지 분리막 시트(1) 사이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가압부재(312)는 적어도 가압부(312b)가 탄성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압구간(310)은 제1가압부재(312)가 전체적으로 탄성을 발휘하도록 고무나 고무성분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되고, 축결합부(311)는 제1가압부재(312)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금속재질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압구간(320)은 제2가압부재(322)를 구비하여 전극층 적층물(10)을 가압할 수 있다.
제2가압부재(322)는 이송하는 전극층 적층물(10)을 접촉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가압하도록 중공의 원통 모양으로 마련되고, 회전축(301)과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301) 둘레에 결합할 수 있다. 제2가압부재(322)의 내주 둘레에는 회전축(30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베어링(323)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압부재(322)는 전극층 적층물(10)의 전극(2) 사이를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312)의 가압 타이밍에 상관없이 회전축(301)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서 주행하는 전극층 적층물(10)의 전극(2) 외측을 연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압부재(322)는 전극층 적층물(10)을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전극(2)의 단변(2a)에 인접한 부위까지 분리막 시트(1) 사이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가압부재(322)는 탄성을 구비하는 중공의 원통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압부재(322)는 탄성을 발휘하도록 고무나 고무성분을 포함하는 재질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전극(2)의 장변(2b) 길이 조건이 달라질 경우, 제2가압부재(322)에 의해 가압되는 전극(2)의 단변(2a) 바깥쪽 분리막 시트(1)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므로, 제2가압부재(322)는 회전축(301) 상에서 축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롤러(300)는 제2가압부재(322)를 지지하는 지지구(324)를 구비하고, 지지구(324)는 제1가압부재(322)의 축방향 외측으로 회전축(3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지지구(324)에는 회전축(301) 상에서 지지구(324)의 슬라이딩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도록 조임부재(325)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구(324)에는 회전축(301) 외면과 통하도록 고정홀(324a)에 형성되고, 조임부재(325)는 고정홀(324a)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구(324)는 조임부재(325)의 회전방향이나 회전정도가 조절됨에 따라 회전축(301) 상에서 슬라이딩이 허용되거나 차단되고, 제2가압부재(322)는 지지구(324)의 슬라이딩이 허용됨에 따라 회전축(301) 상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위치가 조절된 제2가압부재(322)는 지지구(312)의 슬라이딩이 다시 차단되고, 슬라이딩이 차단된 상태의 지지구(324)에 지지됨에 따라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회전축(301)에 고정될 수 있다.
100: 이차전지의 분리막 접합장치 200: 지지롤러
300: 가압롤러 310: 제1가압구간
311: 축결합부 312: 제1가압부재
312a: 결합부 132b: 가압부
313: 체결부재 320: 제2가압구간
322: 제2가압부재 324: 지지구
325: 조임부재

Claims (5)

  1. 복수의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전극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접합되는 분리막 시트를 구비하는 전극층 복수 개가 상기 전극들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적층되는 전극층 적층물을 이송과정에서 가압하여 상기 각 전극층의 분리막 시트 사이를 접합시키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 적층물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전극 주변의 분리막시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전극층 적층물의 타면을 상기 지지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전극층 적층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전극들 사이의 분리막 시트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전극층 적층물을 상기 지지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구간;
    상기 전극층 적층물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극들의 양 단부 바깥쪽의 분리막시트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전극층 적층물을 상기 지지롤러 쪽으로 가압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압구간 양쪽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가압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구간과 제2가압구간은 상기 전극층 적층물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는,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구간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 둘레에 결합하는 축결합부;
    상기 전극층 적층물을 가압하도록 상기 축결합부 둘레 일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결합하고, 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제1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축결합부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재는 상기 적층물을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축방향 길이가 다른 것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축결합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
KR1020210016173A 2021-02-04 2021-02-04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 KR102567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173A KR102567873B1 (ko) 2021-02-04 2021-02-04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173A KR102567873B1 (ko) 2021-02-04 2021-02-04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896A KR20220112896A (ko) 2022-08-12
KR102567873B1 true KR102567873B1 (ko) 2023-08-21

Family

ID=8280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173A KR102567873B1 (ko) 2021-02-04 2021-02-04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8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848A (ja) * 1999-07-28 2001-02-16 Sony Corp ポリマーバッテリーの製造方法および剥離装置
JP2009129614A (ja) * 2007-11-21 2009-06-11 Toshiba Fuel Cell Power Systems Corp 触媒層−高分子電解質膜接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9029324A (ja) * 2017-08-04 2019-02-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11B1 (ko) 2016-04-04 2020-05-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조 공정성이 향상된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EP3553842A4 (en) * 2016-12-09 2019-11-20 Envision AESC Japan Ltd. MANUFACTURE OF FILM-COATED BATTERY AND FILM-COATED BATT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848A (ja) * 1999-07-28 2001-02-16 Sony Corp ポリマーバッテリーの製造方法および剥離装置
JP2009129614A (ja) * 2007-11-21 2009-06-11 Toshiba Fuel Cell Power Systems Corp 触媒層−高分子電解質膜接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9029324A (ja) * 2017-08-04 2019-02-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896A (ko)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602B1 (ko) 전사코팅법을 이용한 연속 이차전지 제조방법
US20220393143A1 (e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step of simultaneously applying heat and pressure
KR101707357B1 (ko) 전기 디바이스, 전기 디바이스의 세퍼레이터 접합 장치 및 그 접합 방법
KR102026126B1 (ko) 노칭 롤러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 제조 장치
KR101806939B1 (ko) 이차전지의 스택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KR20150037089A (ko) 전극 가이드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KR101605665B1 (ko) 전기 디바이스의 세퍼레이터 반송 장치 및 그 반송 방법
KR101543057B1 (ko) 전극 조립체의 권취 장치
KR102291131B1 (ko) 이차전지의 전극 탭 구조
US20230126211A1 (en) Separator Sheet Adhesion Apparatus
KR102567873B1 (ko) 이차전지용 분리막 접합장치
KR102236453B1 (ko) 각형 이차전지 셀 제조 장비에서 분리막의 접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85417B1 (ko) 전지용 포케팅 양극 제조 장치
KR102300705B1 (ko) 이차전지용 전극 커팅장치
CN108028351B (zh) 包括电极混合物层形成模具的二次电池电极制造装置
KR102476548B1 (ko) 전지셀 제조장치용 컨베이어
KR20220025500A (ko) 이차전지 제조 장치
KR20210078380A (ko) 전극의 교대 공급에 의한 단위셀의 제조방법
JP2000164241A (ja) 二次電池の電極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224196U (zh) 一种用于加工电池单元的加工系统和预热装置
KR102409314B1 (ko) 이송롤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팅 장치
EP3603820B1 (en) Gravure coating device
KR102497814B1 (ko) 이차전지의 전극체 제조 장치
US202303874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Unit Cell
KR20230009593A (ko) 셀 제조장치 및 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