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859B1 - 애완동물 음수기,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음수기,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859B1
KR102567859B1 KR1020217001122A KR20217001122A KR102567859B1 KR 102567859 B1 KR102567859 B1 KR 102567859B1 KR 1020217001122 A KR1020217001122 A KR 1020217001122A KR 20217001122 A KR20217001122 A KR 20217001122A KR 102567859 B1 KR102567859 B1 KR 102567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tray
drinking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1372A (ko
Inventor
진 우
동카이 지
Original Assignee
베이징 키튼&퍼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835612.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633767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1194685.8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60965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337875.9U external-priority patent/CN214887973U/zh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키튼&퍼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키튼&퍼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5Wate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05Drinking bowls with anti-splash or anti-spill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6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애완동물 음수기,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에 관한 것으로, 애완동물 음수기는 물저장탱크(1), 음수 트레이(2) 및 워터 펌프(5)를 포함하되, 여기서 물저장탱크(1)의 상단에는 개구가 설치되고, 물저장탱크(1)에는 제1 지지 구조(101)가 더 설치되며; 음수 트레이(2)는 물저장탱크(1)의 개구에 커버되고, 제1 지지 구조(101)의 지지 작용을 받으며, 음수 트레이(2)에는 입수구(3)와 출수구(4)가 설치되고; 워터 펌프(5)는 물저장탱크(1) 내에 설치되며, 워터 펌프(5)의 출수 커넥터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입수구(3)와 연통되어, 물저장탱크(1) 내의 물을 워터 펌프(5)를 통해 음수 트레이(2)로 펌핑 이송하고, 음수 트레이(2) 내의 물은 출수구(4)로부터 물저장탱크(1) 내로 환류된다. 상기 애완동물 음수기는 구조가 비교적 컴팩트하여 애완동물이 물 마시기가 편리하고, 음수 트레이(2)는 애완동물에 의해 쉽게 뒤집어지지 않는다.

Description

애완동물 음수기,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물 음수 기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애완동물 음수기,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8-14914호(2018.02.01.)
선행기술문헌 2: 실용신안공보 제20-1995-0003908호(1995.05.18.)
선행기술문헌 3: 미국 특허공보 US 7281494 B1(2007.10.16.)
선행기술문헌 4: 중국 실용신안등록공보 CN 206043076 U(2017.03.29.)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부단히 향상됨에 따라 애완동물을 키우는 것이 유행으로 되고 있으며 아울러 사육자들은 애완동물의 생활 수준, 특히 애완동물의 급식, 음수 방면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기존의 애완동물 음수기는 음수 트레이와 물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음수 트레이는 물저장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면과 접촉하고, 애완동물 음수기의 전체 구조는 비교적 분산되어 컴팩트하지 못하므로 애완동물이 물을 마실 때 불편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며, 애완동물 음수기의 음수 트레이는 통상적으로 접시 또는 그릇 등 형상의 용기인데, 이러한 음수 트레이는 애완동물에 의해 쉽게 뒤집어진다.
따라서 애완동물 음수기 구조가 비교적 분산되고, 음수 트레이가 쉽게 뒤집어지는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는 당업자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기술적 과제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애완동물 음수기에 존재하는 구조가 비교적 분산되고, 음수 트레이가 애완동물에 의해 쉽게 뒤집어지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완동물 음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많은 기술적 해결수단 중 바람직한 기술적 해결수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많은 기술적 효과는 아래에서 상세히 논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단에 개구가 설치되고, 제 1 지지 구조가 설치되는 물저장탱크; 물저장탱크의 상기 개구에 커버되어, 제 1 지지 구조의 지지 작용을 받으며, 입수구와 출수구가 설치되는 음수 트레이; 물저장탱크 내에 설치되고, 출수 커넥터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입수구와 연통되어, 물저장탱크 내의 물을 음수 트레이로 펌핑 이송하되, 음수 트레이 내의 물은 출수구를 거쳐 물저장탱크 내로 환류하는 워터 펌프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음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애완동물 음수기는, 물 중의 불순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물저장탱크 내에 설치되고, 출수구의 하방에 위치되며, 출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음수 트레이 내의 물을 필터링한 후 물저장탱크 내로 환류시키는 제1 필터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애완동물 음수기는 제1 필터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 구조를 더 포함하되, 제2 지지 구조(9)는 출수구의 하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지지 구조에는 제1 필터체를 안착하기 위한 캐비티가 설치되고, 캐비티의 상벽면과 캐비티의 하벽면에는 모두 다수의 통공이 나란히 설치되며, 출수구는 음수 트레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스트립형 출수구이고, 다수의 통공은 모두 스트립형 출수구의 하방에 위치되며, 다수의 통공의 배열 방향과 스트립형 출수구의 길이 방향은 일치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지지 구조와 음수 트레이 사이는 후크 구조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음수 트레이에는 물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가 설치되고, 출수구는 오목부의 가장자리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입수구가 위치하는 수평면의 높이는 출수구가 위치하는 수평면의 높이보다 높거나 같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음수 트레이에는 물저장탱크의 개구를 오픈하도록, 사람의 손으로 파지되는 파지부가 설치되고, 파지부는 음수 트레이의 상면에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애완동물 음수기는 워터 펌프의 시동과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되, 제어장치는 상기 물저장탱크의 외저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애완동물 음수기는 워터 펌프와 연결되는 필터 장치를 더 포함하되, 필터 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설치된 제2 필터체를 포함하고, 케이스의 양단에는 각각 제1 개구와 제2 개구가 설치되는데, 제1 개구는 워터 펌프의 입수구와 연통되며, 케이스의 제1 개구는 워터 펌프의 주변에 씌움 설치되어 클램핑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케이스에는 노치가 설치되고, 제2 필터체는 노치를 통해 케이스 내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개구에는 거친 필터링을 위한 격자 구조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필터체는 스펀지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애완동물 음수기는 물저장탱크를 감싸기 위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하우징의 저부에는 미끄럼 방지 매트가 설치되고, 하우징의 측벽에는 스트립형 홀이 설치되며, 스트립형 홀에 대응되는 물저장탱크 측벽의 재질은 투명한 재료로서, 스트립형 홀을 통해 물저장탱크 내의 수위를 관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노치가 개구 설치되고, 물 중의 불순물에 대해 거친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케이스; 노치에 의해 펌프체의 수로에 안착될 수 있으며, 케이스를 통해 펌프체 내에 유입된 물 중의 불순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2 필터체; 및 케이스가 끼움 결합되고, 워터 펌프 작업챔버를 형성하는 워터 펌프 본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애완동물 음수기를 제공한다. 물저장탱크의 상단개구에 음수 트레이가 설치되고, 음수 트레이에 입수구와 출수구가 설치되며, 물저장탱크의 워터 펌프를 통해 물저장탱크의 물을 입수구로부터 음수 트레이에 유입시켜 애완동물이 마시도록 하며, 아울러 음수 트레이 내의 물이 출수구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재유입될 수 있어 순환되는 물 흐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애완동물 음수기의 구조가 간단하고 컴팩트하여 일목요연하므로 애완동물이 편리하게 물을 마실 수 있고 애완동물에 의해 음수 트레이가 뒤집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을 기술함에 있어 필요한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도록 한다. 자명한 것은, 이하 기술할 내용 중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당업자라면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 없이 이러한 도면에 따라 기타 도면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음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음수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음수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지지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펌프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의 워터 펌프 본체 부분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과 우점이 보다 더 명확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분명한 것은, 기술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없이 얻은 기타 모든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할 것이다.
기존의 애완동물 음수기는 전체 구조가 비교적 분산되어 컴팩트하지 못하고, 음수 트레이가 애완동물에 의해 쉽게 뒤집어지는 문제외에도 물저장탱크 내의 물이 시간이 길어지면 더러워져 수질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형태는, 선행기술에서 애완동물 음수기에 존재하는 구조가 비교적 분산되고, 음수 트레이가 애완동물에 의해 뒤집어지며, 시간이 길어지면 수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애완동물 음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밖에, 이하에서 제시된 실시예는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어떠한 한정 작용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아래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의 전체 내용은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애완동물 음수기는 물저장탱크(1), 음수 트레이(2) 및 워터 펌프(5)를 포함하되, 물저장탱크(1)의 상단에는 개구가 설치되고, 물저장탱크(1)에는 제1 지지 구조(101)가 더 설치되며, 음수 트레이(2)는 물저장탱크(1)의 개구에 커버되는 바, 이는 제1 지지 구조(101)에 설치되는 것에 해당되고, 제1 지지 구조(101)의 지지 작용을 받으며, 음수 트레이(2)는 애완동물이 마시는 물을 담기 위한 것이고, 제1 지지 구조(101)는 음수 트레이(2)를 지지하는 작용을 하며, 제1 지지 구조(101)는 물저장탱크(1)의 상단 가장자리 자체로 이루어질 수 있되, 즉 음수 트레이(2)는 물저장탱크(1)의 상단에 직접 커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구조(101)는 물저장탱크(1) 내벽에 설치된 돌기이고, 음수 트레이(2)는 돌기 상단에 설치됨으로써, 음수 트레이(2)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애완동물은 음수 트레이(2)에서 물을 마시며, 음수 트레이(2)에는 입수구(3)와 출수구(4)가 설치된다. 워터 펌프(5)는 물저장탱크(1) 내에 설치되고, 워터 펌프(5)의 출수 커넥터는 파이프라인(20)을 통해 입수구(3)와 연통되어, 물저장탱크(1) 내의 물을 워터 펌프(5)를 통해 음수 트레이(2)로 펌핑 이송한다. 음수 트레이(2) 내의 물은 출수구(4)로부터 음수 트레이(2)로 유출되어 물저장탱크(1)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애완동물 음수기를 제공하는 바, 물저장탱크의 상단개구에 음수 트레이가 설치되고, 음수 트레이에 입수구와 출수구가 설치되며, 물저장탱크의 워터 펌프를 통해 물저장탱크의 물을 입수구로부터 음수 트레이에 유입시켜 애완동물이 마시도록 하며, 아울러 음수 트레이 내의 물이 출수구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재유입될 수 있어 순환되는 물 흐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애완동물 음수기의 구조가 간단하고 컴팩트하여 일목요연하므로 애완동물이 편리하게 물을 마실 수 있고 애완동물에 의해 음수 트레이가 뒤집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완동물 음수기는 물 중의 불순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물저장탱크(1)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출수구(4)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1 필터체(6)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출수구(4)로부터 유출되는 음수 트레이(2) 내의 물은 모두 제1 필터체(6)에 의해 필터링된 후 물저장탱크(1) 내로 환류되고, 제 1 필터체(6)는 물저장탱크(1)의 측벽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음수 트레이(2)의 저부에도 연결될 수 있는데, 출수구(4) 하방에 위치되기만 하면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필터체(6)는 필터 코어이다.
이와 같은 설치는, 워터 펌프(5)가 시동되면, 물저장탱크(1) 내의 물이 워터 펌프(5)의 출수 커넥터로부터 파이프라인에 의하여 입수구(3)를 경유하여 음수 트레이(2) 내에 진입됨으로써, 애완동물이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음수 트레이(2) 내의 물은 음수 트레이(2)의 출수구(4)로부터 유출되어, 제 1 필터체(6)에 의해 필터링된 후 재차 물저장탱크(1)에 진입하여 순환을 이루고, 제 1 필터체(6)는 물 중의 불순물을 필터링할 수 있으므로, 음수 트레이(2)와 물저장탱크(1) 내 물의 품질을 확보하여, 수질 악화를 지연시키고, 애완동물이 물을 마실 때의 식감을 개선하며, 또한 음수 트레이(2)는 물저장탱크(1) 상단에 설치되기 때문에, 애완동물에 의해 뒤집어지지 않아, 물 마시기가 비교적 편리하다. 전체 물 순환 시스템 구조는 간단하고 컴팩트하여 일목요연하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음수 트레이(2)에는 물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7)가 설치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4)는 오목부(7)의 가장자리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오목부(7)에 물이 가득 채워진 후, 넘쳐 흘려나오는 물은 출수구(4)를 통해 물저장탱크(1) 내에 유입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오목부(7)의 표면은 호면이다. 기타 실시예에서, 출수구(4)는 오목부(7)의 저부, 즉 오목부(7)의 최저위치에 설치되되, 출수구(4)에는 물의 흐름 여부를 제어하는 밸브가 설치되며, 애완동물이 물을 마실 경우, 출수구(4)의 밸브를 잠궈, 오목부(7)에 물이 담기도록 하며; 애완동물이 물을 마시는 과정이 완료되거나 물을 마시지 않을 경우, 출수구(4)의 밸브를 열어, 오목부(7) 내의 물이 출수구(4)를 통해 물저장탱크(1) 내에 유입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음수 트레이(2)와 마주하는 양단은, 일단의 높이가 타단의 높이보다 높으며, 즉 음수 트레이(2)는 경사진 상태를 이룬다.
애완동물은 물을 마실 때, 애완동물의 머리 부위를 음수 트레이(2)의 비교적 낮은 일단으로 넣어 물을 마시는데, 음수 트레이(2)가 수평 상태를 이루는 것과 비교하면, 이와 같은 설치는, 애완동물이 물을 마시는 자세에 더 적합하여, 애완동물이 물 마시기가 보다 편리하며, 또한 애완동물 입 주변의 털이 음수 트레이(2) 내의 물에 닿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입수구(3)가 위치하는 수평면의 높이는 출수구(4)가 위치하는 수평면의 높이보다 높거나 같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도 1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수 트레이(2)에는 파지부(8)가 설치되는데, 물저장탱크(1)의 개구를 오픈하도록, 사람의 손으로 파지부(8)를 파지해야 하며, 파지부(8)는 음수 트레이(2)의 상면에 돌출되는 바, 즉 파지부(8)는 돌기구조이며, 파지부(8)는 여러가지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파지부(8)는 입수구(3) 부근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설치는, 물저장탱크(1)에 물을 넣어야 할 경우, 사람의 손으로 파지부(8)를 파지하여, 음수 트레이(2)를 들어올릴 수 있어 음수 트레이(2)가 물저장탱크(1)의 상단을 이탈함에 따라, 물저장탱크(1)의 개구가 오픈되며, 물저장탱크(1)의 개구를 통해 물을 넣음으로써, 물 넣는 과정이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진행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애완동물 음수기는 제 1 필터체(6)를 지지하기 위한 제 2 지지 구조(9)를 더 포함하되, 제 2 지지 구조(9)는 음수 트레이(2)의 아래쪽에 연결될 수 있고, 물저장탱크(1)의 측벽에도 연결될 수 있는데, 요컨대 제 2 지지 구조(9)는 출수구(4)의 하방에 위치되며, 이에 이해 지지되는 제 1 필터체(6)도 출수구(4)의 하방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지지 구조(9)는 필터 코어 팰릿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지지 구조(9)에는 제 1 필터체(6)를 안착하기 위한 캐비티가 설치되는데, 캐비티의 상벽면과 캐비티의 하벽면에는 모두 다수의 통공(10)이 나란히 설치되며, 출수구(4)는 음수 트레이(2)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스트립형 출수구이고, 각각의 통공(10)은 모두 스트립형 출수구의 하방에 위치되며, 통공(10)의 배열 방향과 스트립형 출수구의 길이 방향은 일치하다. 출수구(4)로부터 유출되는 물은 순차적으로 캐비티의 상벽면의 통공(10)을 경유한 후, 제 1 필터체(6)에 의해 필터링된 뒤, 캐비티의 하벽면의 통공(10)을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물저장탱크(1) 내에 유입된다.
이와 같은 설치는, 제 2 지지 구조(9)를 통해 제 1 필터체(6)에 완전한 수납공간을 제공하여, 제 1 필터체(6)가 수평 설치되도록 하며, 위치가 변화되지 않아, 물이 출수구(4)로부터 유출될 때마다 모두 제 1 필터체(6)의 필터링을 거치게 되도록 확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지지 구조(9)와 음수 트레이(2) 사이는 후크 구조를 통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 2 지지 구조(9)의 측벽에는 돌기가 설치되고, 음수 트레이(2)의 바닥면에는 수직 플레이트가 연결되며, 수직 플레이트의 측벽에는 돌기 크기 및 구조와 동일한 요홈이 설치되는데, 돌기를 요홈 내에 넣을 경우, 제 2 지지 구조(9)와 음수 트레이(2) 사이는 연결 상태를 이루고; 돌기가 요홈을 이탈할 경우, 제 2 지지 구조(9)와 음수 트레이(2)는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 구조(101)는 물저장탱크(1) 내벽에 설치된 경사진 지지 리브 슬래브이고, 제 2 지지 구조(9) 즉 팰릿은 지지 리브 슬래브에 설치되며, 팰릿과 음수 트레이(2)의 사이는 후크 구조를 통해 연결되고, 즉 음수 트레이(2)는 간접적으로 팰릿을 통해 지지 리브 슬래브에 설치되며, 음수 트레이(2)도 마찬가지로 지지 리브 슬래브의 지지 작용에 의해 물저장탱크(1)의 개구에 커버된다.
이와 같은 설치는, 후크 구조를 통해 제 2 지지 구조(9)와 음수 트레이(2) 사이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연결하기 편리하고; 또한, 물저장탱크(1) 내에 물을 넣을 경우, 제 2 지지 구조(9)와 음수 트레이(2)가 함께 연결되기 때문에, 음수 트레이(2)를 들어올릴 때 음수 트레이(2)에 의해 제 2 지지 구조(9)가 함께 이동함으로써, 제 2 지지 구조(9)가 언제나 출수구(4)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하여 제 2 지지 구조(9)가 출수구(4)의 하방 위치를 이탈하여 출수구(4)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필터링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 음수기는 제어장치(11)를 더 포함하되, 제어장치(11)는 워터 펌프(5)의 시동과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제어장치(11)는 물저장탱크(1)의 외저부에 설치되며, 즉 제어장치(11)는 물저장탱크(1)의 외벽에서 아래쪽에 접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설치는, 제어장치(11)가 물저장탱크(1)의 외부에 설계되어, 물저장탱크(1)의 내부공간을 점용하지 않으므로, 물저장탱크(1)에 가능한 더 많은 물을 담도록 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 음수기는 워터 펌프(5)와 연결되는 필터 장치를 더 포함하되, 필터 장치는 워터 펌프(5)의 외면에 걸릴 수 있고, 워터 펌프(5)에 접착될 수도 있다. 필터 장치는 케이스(12)와 케이스(12) 내에 설치되는 제 2 필터체(13)를 포함하는데, 케이스(12)의 양단에는 각각 제 1 개구와 제 2개구가 설치되고, 케이스(12)의 제 1 개구는 워터 펌프(5)의 입수구(3)와 연통되며, 물저장탱크(1) 내의 물이 순차적으로 케이스(12)의 제 2 개구와 제 1 개구를 경유하여 워터 펌프(5) 내에 진입됨으로써, 물저장탱크(1) 내의 물은 케이스(12) 내에 진입 시, 제 2 필터체(13)에 의해 필터링된다.
이와 같은 설치는, 필터 장치 내의 제 2 필터체(13)는 물 중의 불순물을 필터링할 수 있어, 워터 펌프(5)에 진입되는 물을 추가로 필터링하는 작용을 하여, 워터 펌프(5) 내에 진입되는 물을 보다 깨끗하게 함으로써, 음수 트레이(2)에 펌핑 이송되는 물도 보다 깨끗하게 되며; 또한, 필터 장치는 물 중의 불순물을 필터링하기 때문에, 불순물이 워터 펌프(5)에 막혀 워터 펌프(5)의 작동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12)의 제 1 개구는 워터 펌프(5)의 주변에 씌움 설치되어 클램핑된다.
이와 같은 설치는, 케이스(12)와 워터 펌프(5) 사이의 연결과 착탈이 비교적 간단하고 편리하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케이스(12)에는 노치(14)가 설치되며, 제 2 필터체(13)는 노치(14)를 통해 케이스(12) 내에 삽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노치(14)의 형상은 U형 홈이고, 제 2 필터체(13)의 외면은 U형 홈의 가장자리와 결합되는데, 즉 제 2 필터체(13)는 노치(14)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 2 필터체(13)와 노치(14)는 보다 적절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설치는, 케이스(12) 내를 통과하는 물이면 모두 제 2 필터체에 의해 필터링되어,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킨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제 2 개구에는 거친 필터링을 하기 위한 격자 구조(1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설치는, 격자 구조(15)를 통해 필터 장치에 진입되는 물을 먼저 거칠게 필터링함으로써, 부피가 비교적 큰 불순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필터체는 스펀지이다.
스펀지의 구멍은 비교적 작은데, 이와 같은 설치는, 부피가 작은 불순물을 필터링할 수 있어, 물 중의 불순물을 보다 많이 필터링하는 동시에 스펀지가 비교적 좋은 물투과성을 가져, 물은 쉽게 스펀지를 통과하여 워터 펌프(5) 내에 진입된다.
기타 실시예에서, 필터 장치의 길이가 비교적 길 경우, 제 1 개구의 가장자리에 아크형 구조를 이루는 갭이 개구되도록 해야 하며, 갭은 워터 펌프(5) 본체의 출수 커넥터의 외면과 결합되어, 필터 장치 길이가 비교적 길 경우 제 1 개구가 출수 커넥터에 의해 막혀 필터 장치와 워터 펌프(5)가 연결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도 1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 음수기는 물저장탱크(1)를 감싸기 위한 하우징(16)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설치는, 하우징(16)이 물저장탱크(1)를 일정하게 보호하여, 외부의 파손력에 의해 물저장탱크(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의 저부에는 미끄럼 방지 매트(17)가 설치되고, 하우징(16)의 측벽에는 스트립형 홀(18)이 설치되는데, 스트립형 홀(18)은 수직 설치되며, 스트립형 홀(18)에 대응되는 물저장탱크(1) 측벽의 재질이 투명한 재료이거나, 전체 물저장탱크(1)의 재질이 투명한 재료로서, 스트립형 홀(18)을 통해 물저장탱크(1) 내의 수위를 관찰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하우징(16)에는 제어장치(11) 위치와 대응되게 연결된 버튼이 설치되는데, 버튼으로 제어장치를 제어하여, 간접적으로 워터 펌프(5)의 시동과 정지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설치는, 하우징(16) 아래쪽에 미끄럼 방지 매트(17)를 설치하여, 미끄럼 방지 작용을 할 수 있고; 사용자는 스트립형 홀(18)을 통해 물저장탱크(1) 내의 수위를 관찰하여, 물저장탱크(1) 내의 물의 잔여량을 알 수 있으며, 물의 잔여량에 따라 물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각각의 실시예를 종합하여 본 발명의 애완동물 음수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본 실시예에서, 애완동물 음수기는 물저장탱크(1), 음수 트레이(2), 워터 펌프(5), 필터 코어와 팰릿을 포함하되, 여기서 물저장탱크(1)의 상단에는 개구가 설치되고, 물저장탱크(1)에는 제 1 지지 구조(101)가 더 설치되며, 음수 트레이(2)는 물저장탱크(1)의 개구에 커버되어, 제 1 지지 구조(101)의 지지 작용을 받으며; 음수 트레이(2)는 물저장탱크(1)의 개구에 커버되고, 음수 트레이(2)에는 입수구(3)와 물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7)가 설치되는데, 오목부(7)의 가장자리 위치에는 출수구(4)가 설치되며; 워터 펌프(5)는 물저장탱크(1) 내에 설치되고, 워터 펌프(5)의 출수 커넥터는 파이프라인에 의해 입수구(3)와 연통되어, 물저장탱크(1) 내의 물을 워터 펌프(5)를 통해 음수 트레이(2)로 펌핑 이송하며; 필터 코어는 물저장탱크(1) 내에 설치되고 출수구(4)의 하방에 위치되어, 출수구(4)로부터 유출되는 음수 트레이(2) 내의 물은 필터 코어에 의해 필터링된 후 물저장탱크(1) 내에 진입되며; 팰릿은 출수구(4)의 하방에 위치되는데, 팰릿에는 필터 코어를 안착하기 위한 캐비티가 설치되고, 캐비티의 상벽면과 캐비티의 하벽면에는 모두 다수의 통공(10)이 나란히 설치되며, 출수구(4)는 음수 트레이(2)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스트립형 출수구이고, 각각의 통공(10)은 모두 스트립형 출수구의 하방에 위치되며, 통공(10)의 배열 방향과 스트립형 출수구의 길이 방향은 일치하고, 팰릿은 제 1 지지 구조(101)에 배치되며, 팰릿과 음수 트레이(2) 사이는 후크 구조를 통해 연결된다. 음수 트레이(2)와 마주하는 양단은, 일단의 높이가 타단의 높이보다 높고; 음수 트레이(2)에는 물저장탱크(1)의 개구를 오픈하도록, 사람의 손으로 파지되는 파지부(8)가 설치되는데, 파지부(8)는 음수 트레이(2)의 상면에 돌출된다. 애완동물 음수기는 워터 펌프(5)의 시동과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1)를 더 포함하되, 제어장치(11)는 물저장탱크(1)의 외저부에 설치된다. 애완동물 음수기는 워터 펌프(5)와 연결되는 필터 장치를 더 포함하되, 필터 장치는 케이스(12)와 케이스(12) 내에 설치되는 스펀지를 포함하고, 케이스(12)에는 노치(14)가 설치되며, 스펀지는 노치(14)를 통해 케이스(12) 내에 삽입되고, 케이스(12)의 양단에는 각각 제 1 개구와 제 2 개구가 설치되며, 제 1 개구는 워터 펌프(5)의 입수구(3)와 연통되고, 제 1 개구는 워터 펌프(5)의 주변에 씌움 설치되어 클램핑되며, 제 2 개구에는 거친 필터링을 하기 위한 격자 구조(15)가 설치된다. 애완동물 음수기는 물저장탱크(1)를 감싸기 위한 하우징(16)을 더 포함하되, 하우징(16)의 저부에는 미끄럼 방지 매트(17)가 설치되고, 하우징(16)의 측벽에는 스트립형 홀(18)이 설치되며, 스트립형 홀(18)에 대응되는 물저장탱크(1) 측벽의 재질은 투명한 재료로서,스트립형 홀(18)을 통해 물저장탱크(1) 내의 수위를 관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설치는, 필터 코어와 필터 장치는 물 중의 불순물을 필터링할 수 있어, 음수 트레이(2)와 물저장탱크(1) 내 물의 품질을 확보하여, 수질 악화를 지연시키고, 애완동물이 물을 마실 때의 식감을 개선하며, 음수 트레이(2)는 물저장탱크(1) 상단에 설치되기 때문에, 애완동물에 의해 뒤집어지지 않는다. 전체 물 순환 시스템 구조는 간단하고 컴팩트하여 일목요연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애완동물 음수기는 물저장탱크(1), 음수 트레이(2), 필터 코어(6), 필터 코어 팰릿(9), 워터 펌프(5), 펌프수 파이프라인(20) 및 제어장치(11)를 포함하고; 음수 트레이(2)의 상면은 오목형으로 형성되며, 음수 트레이(2)에는 입수구(3)가 설치되고, 음수 트레이(2) 상면의 오목하지 않은 위치에는 출수구(4)가 설치되며; 필터 코어 팰릿(9)은 음수 트레이(2)의 하방에 설치되어 출수구(4)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음수 트레이(2)와 필터 코어 팰릿(9)은 캐비티 구조를 형성하며, 필터 코어(6)는 음수 트레이(2)와 필터 코어 팰릿(9)을 형성된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필터 코어 팰릿(9)에는 출수홀이 설치되며; 펌프수 파이프라인(20)의 하부 포트는 물저장탱크(1)의 내저부에 위치하고, 펌프수 파이프라인(20)의 상부 포트는 음수 트레이(2)의 입수구(3)에 밀봉 연결되며; 워터 펌프(5)의 출수구는 펌프수 파이프라인(20)의 입수구에 직접 연결되고, 워터 펌프(5)는 펌프수 파이프라인(2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제어장치(11)는 물저장탱크(1)의 외저부에 설치된다.
더욱 바람직한 해결수단으로서, 음수 트레이(2) 상면의 오목하지 않은위치에 설치된 출수홀은 모두 음수 트레이(2)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제어장치(11)는 워터 펌프(5)의 시동과 정지를 제어하는데, 이 부분은 공지된 선행기술에 속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워터 펌프는 물저장탱크의 내저부에있는 물을 펌프수 파이프라인을 통해 음수 트레이 내로 이송하고, 음수 트레이의 오목부로 이송된 누적수가 많아짐에 따라, 음수 트레이 내의 물은 오목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된 출수구를 통해 천천히 음수 트레이와 필터 코어 팰릿으로 구성된 캐비티 내로 유입되는데, 캐비티 내에 필터 코어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아래로 흐르는 물이 모두 필터 코어에 의해 필터링되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필터 코어에 의해 필터링된 물은 다시 필터 코어 팰릿의 출수홀을 통해 물저장탱크의 저부에 유입됨으로써 완전한 순환을 형성하고, 상기 순환은 계속 이루어져 음수 트레이 내의 물이 항상 유동 상태에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애완동물 음수기는, 필터 코어 팰릿을 음수 트레이의 하방에 설치하되, 출수구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켜 음수 트레이와 필터 코어 팰릿이 캐비티 구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렇게 일체로 설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물을 필터링하고 물을 교체할 때마다 조작이 보다 간편해진다. 또한, 워터 펌프의 출수구는 펌프수 파이프라인의 입수구에 직접 연결되고, 워터 펌프는 펌프수 파이프라인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바, 이러한 설계는 물저장탱크의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으며 제품 생산 및 조립 과정이 보다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를 더 제공하는 바, 선행기술에 따른 워터 펌프는 필터링 기술이 비교적 열악하여 워터 펌프 내부가 쉽게 막히거나 워터 펌프의 팬블레이드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워터 펌프의 작동 효율과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본 출원인은 종래 기술에 적어도 다음과 같은 기술적 문제점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선행기술에 따른 워터 펌프의 필터링 시스템은 워터 펌프 외부에 격자 구조를 구비하나, 격자 구조 사이의 간격이 크고 필터링 효과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전체 필터링 효과가 후진하여 물 중의 작은 불순물과 애완동물의 털을 필터링할 수 없으므로 수질에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불순물이 워터 펌프 내에 유입되어 워터 펌프를 막고 워터 펌프의 작동 효율을 감소시킨다.
아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는 노치(14)가 개구 설치되고, 물 중의 불순물에 대해 거친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케이스(12); 노치(14)에 의해 펌프체의 수로에 안착될 수 있으며, 케이스(12)를 통해 펌프체 내에 유입된 물 중의 불순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2 필터체(13); 및 케이스(12)가 끼움 결합되고, 워터 펌프 작업챔버를 형성하는 워터 펌프 본체(즉, 워터 펌프(5)의 본체 부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를 제공한다. 케이스와 제2 필터체를 설치하여 물이 워터 펌프로 유입되기 이전에 먼저 케이스를 통과시켜 거친 필터링을 거친 후 제2 필터체를 통과시켜 미세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물 중의 불순물이 워터 펌프 내로 유입되어 워터 펌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워터 펌프 작동 효율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필터체(13)는 노치(14) 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필터체(13)는 노치(14) 내벽에 밀착되어 물이 제2 필터체가 구비된 일면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링 효율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2)에는 워터 펌프 본체로부터멀어지는 일측에 격자 구조(1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설치는, 격자 구조(15)를 통해 막힘방지 워터 펌프에 유입된 물에 대해 먼저 거친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부피가 큰 불순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치(14)의 형상은 U형 홈이다.
구체적으로, U형 홈은 제2 필터체(13)를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어 빠르고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필터체(13)의 형상은 노치(14)의 형상과 적절히 매칭된다.
구체적으로, 노치(14)의 형상은 U형 홈이고, 제 2 필터체(13)의 외면은 U형 홈의 가장자리와 결합되는데, 즉 제 2 필터체(13)는 노치(14)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 2 필터체(13)와 노치(14)는 보다 적절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설치는, 케이스(12) 내를 통과하는 물이면 모두 제2 필터체(13)에 의해 필터링되어,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필터체(13)는 스펀지이다.
스펀지의 구멍은 비교적 작은데, 이와 같은 설치는, 부피가 작은 불순물을 필터링할 수 있어, 물 중의 불순물을 보다 많이 필터링하는 동시에 스펀지가 비교적 좋은 물투과성을 가져, 물은 쉽게 스펀지를 통과하여 워터 펌프 본체 내에 진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2)에는 워터 펌프 본체에 근접되는 일단에 갭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갭을 통해 케이스(12)는 워터 펌프 본체와 더 잘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 펌프 본체의 팬블레이드의 단부 중심에는 오염 방지 구조(19)가 설치되고, 오염 방지 구조(19)는 다수의 팬블레이드 사이의 중간 갭에 충진된다.
오염 방지 구조(19)를 워터 펌프 본체의 팬블레이드 중심에 설치함으로써, 워터 펌프 본체가 작동 중에 그 내부에 불순물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이중 막힘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염 방지 구조(19)와 팬블레이드는 일체로 성형된다.
오염 방지 구조(19)와 팬블레이드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오염 방지 구조(19)가 팬블레이드와 더 잘 결합되어 더 나은 오염 방지 효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케이스와 제2 필터체를 설치하여 물 중의 불순물을 더 잘 필터링할 수 있어 워터 펌프 본체의 막힘 방지 역할을 하고, 아울러 워터 펌프 본체의 팬블레이드 중심에 설치된 오염 방지 구조 역시 워터 펌프 본체 막힘 방지 역할을 한다.
이해가능한 것은, 상기 각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서로 참조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은 내용에 대해서는 기타 실시예 중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여러 방안은 자체의 기본 방안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서로 독립적이고 서로 한정되지 않지만, 충돌되지 않는 한 서로 결합되어, 여러 효과를 함께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교체를 쉽게 생각해낼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도 1-7에서:
1-물저장탱크, 101-제1 지지 구조, 2-음수 트레이, 3-입수구, 4-출수구, 5-워터 펌프, 6-제1 필터체, 7-오목부, 8-파지부, 9-제2 지지 구조, 10-통공, 11-제어장치, 12-케이스, 13-제2 필터체, 14-노치, 15-격자 구조, 16-하우징, 17-미끄럼 방지 매트, 18-스트립형 홀, 19-오염 방지 구조, 20-파이프라인.

Claims (15)

  1. 상단에 개구가 설치되고, 제 1 지지 구조(101)가 설치되는 물저장탱크(1);
    상기 물저장탱크(1)의 상기 개구에 커버되어, 상기 제 1 지지 구조(101)의 지지 작용을 받으며, 입수구(3)와 출수구(4)가 설치되는 음수 트레이(2);
    상기 물저장탱크(1) 내에 설치되고, 출수 커넥터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상기 입수구(3)와 연통되어, 상기 물저장탱크(1) 내의 물을 상기 음수 트레이(2)로 펌핑 이송하되, 상기 음수 트레이(2) 내의 물은 상기 출수구(4)를 거쳐 상기 물저장탱크(1) 내로 환류하는 워터 펌프(5)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펌프(5)와 연결되는 필터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필터 장치는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제2 필터체(13)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2)의 양단에는 각각 제1 개구와 제2 개구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워터 펌프(5)의 입수구와 연통되며, 상기 케이스(12)의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워터 펌프(5)의 주변에 씌움 설치되어 클램핑하고,
    상기 제2 개구에는 거친 필터링(coarse filtering)을 위한 격자 구조(1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음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물 중의 불순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물저장탱크(1)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출수구(4)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출수구(4)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음수 트레이(2) 내의 물을 필터링한 후 상기 물저장탱크(1) 내로 환류시키는 제1 필터체(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음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체(6)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 구조(9)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지 구조(9)는 상기 출수구(4)의 하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음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구조(9)에는 상기 제1 필터체(6)를 안착하기 위한 캐비티가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의 상벽면과 상기 캐비티의 하벽면에는 모두 다수의 통공(10)이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출수구(4)는 상기 음수 트레이(2)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스트립형 출수구이고, 상기 다수의 통공(10)은 모두 상기 스트립형 출수구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의 통공(10)의 배열 방향과 상기 스트립형 출수구의 길이 방향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음수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구조(9)와 상기 음수 트레이(2) 사이는 후크 구조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음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수 트레이(2)에는 물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7)가 설치되고, 상기 출수구(4)는 상기 오목부(7)의 가장자리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음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3)가 위치하는 수평면의 높이는 상기 출수구(4)가 위치하는 수평면의 높이보다 높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음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수 트레이(2)에는 상기 물저장탱크(1)의 상기 개구를 오픈하도록, 사람의 손으로 파지되는 파지부(8)가 설치되고, 상기 파지부(8)는 상기 음수 트레이(2)의 상면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음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펌프(5)의 시동과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11)는 상기 물저장탱크(1)의 외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음수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2)에는 노치(14)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필터체(13)는 상기 노치(14)를 통해 상기 케이스(12)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음수기.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체(13)는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음수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탱크(1)를 감싸기 위한 하우징(16)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6)의 저부에는 미끄럼 방지 매트(17)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6)의 측벽에는 스트립형 홀(18)이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형 홀(18)에 대응되는 상기 물저장탱크(1) 측벽의 재질은 투명한 재료로서, 상기 스트립형 홀(18)을 통해 상기 물저장탱크(1) 내의 수위를 관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음수기.
  15.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에 있어서,
    제1항의 애완동물 음수기에 사용되고,
    노치(14)가 개구 설치되고, 물 중의 불순물을 거친 필터링하기 위한 케이스(12);
    상기 노치(14)에 의해 펌프체의 수로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2)를 통해 펌프체 내에 유입된 물 중의 불순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2 필터체(13); 및
    상기 케이스(12)가 끼움 결합되고, 워터 펌프 작업챔버를 형성하는 워터 펌프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
KR1020217001122A 2018-07-26 2019-07-26 애완동물 음수기,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 KR102567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835612.0 2018-07-26
CN201821194685.8 2018-07-26
CN201810835612.0A CN108633767A (zh) 2018-07-26 2018-07-26 宠物饮水器
CN201821194685.8U CN208609656U (zh) 2018-07-26 2018-07-26 宠物饮水器
CN201920337875.9 2019-03-15
CN201920337875.9U CN214887973U (zh) 2019-03-15 2019-03-15 一种宠物水箱的防堵水泵
PCT/CN2019/097995 WO2020020369A1 (zh) 2018-07-26 2019-07-26 宠物饮水器、用于宠物饮水器的防堵水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372A KR20210021372A (ko) 2021-02-25
KR102567859B1 true KR102567859B1 (ko) 2023-08-18

Family

ID=691808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818A KR102319536B1 (ko) 2018-07-26 2019-06-14 애완동물용 음수기
KR1020217001122A KR102567859B1 (ko) 2018-07-26 2019-07-26 애완동물 음수기,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818A KR102319536B1 (ko) 2018-07-26 2019-06-14 애완동물용 음수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176958A1 (ko)
EP (1) EP3808174A4 (ko)
JP (1) JP7119205B2 (ko)
KR (2) KR102319536B1 (ko)
AU (1) AU2019310820A1 (ko)
CA (1) CA3106383A1 (ko)
RU (1) RU2769766C1 (ko)
TW (1) TWM587900U (ko)
WO (1) WO2020020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536B1 (ko) * 2018-07-26 2021-11-01 베이징 키튼&퍼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애완동물용 음수기
KR102597873B1 (ko) 2021-01-29 2023-11-03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용 스마트 돌봄장치
CN113475418A (zh) * 2021-06-18 2021-10-08 内江职业技术学院 一种特殊方法增加宠物饮水量的宠物饮水器
CN116407890B (zh) * 2023-06-08 2023-08-15 山西新鸿顺能源有限公司 一种废矿物油再利用处理设备
USD1012226S1 (en) * 2023-08-25 2024-01-23 Shenzhen Uah Technology Co., Ltd Water filter cartrid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1223A1 (en) 2013-03-06 2014-09-11 Radio Systems Corp. Animal Watering Fountain Offering Multi-Dimensional Fluid Circulation
CN206043076U (zh) * 2016-08-31 2017-03-29 胡从伟 宠物自动饮水机
JP2017148018A (ja) 2016-02-26 2017-08-31 株式会社マルカン ペット用飲料供給装置
JP2018014914A (ja) * 2016-07-27 2018-02-01 株式会社リッチェル ペット用循環式給水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635937A1 (ru) * 1974-05-05 1978-12-0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Комплексной Автоматизации Мелиоративных Систем Группова автопоилка
KR960009413Y1 (ko) * 1993-07-24 1996-10-21 주식회사 삼우내외산업 경량 칸막이 판넬의 상부 고정장치
GB2365313B (en) * 2000-08-08 2004-03-03 Christopher Melvin Hinchcliffe The all weather pet feeding bottle
US7281494B1 (en) * 2006-03-10 2007-10-16 Connerley Jason A Pet water supply system
US8117991B1 (en) * 2008-03-21 2012-02-21 Sandra Civitillo Refrigerated pet water dispensing and bowl cleaning system
US7762211B1 (en) * 2008-08-11 2010-07-27 Mcdaniel Kevin M Pet feeding and watering apparatus
US8899182B2 (en) * 2009-09-21 2014-12-02 Pioneer Pet Products, Llc Pet fountain assembly
US8381685B2 (en) * 2009-05-29 2013-02-26 Pioneer Pet Products, Llc Pet fountain
US8470303B2 (en) * 2010-02-02 2013-06-25 James C. Richards Automated method and system for introducing molecular iodine into drinking water
US8770147B2 (en) * 2011-02-25 2014-07-08 Radio Systems Corporation Animal watering device
JP2013106558A (ja) * 2011-11-21 2013-06-06 Doggy Man H A Co Ltd ペット用水飲み器
CA2861156C (en) * 2012-02-01 2019-12-24 Novartis Ag System for providing a liquid-substance mixture attractive to an animal
KR20130005334U (ko) 2012-03-02 2013-09-11 이정희 애완동물용 자동 급수및 사료급식기
EP3449722B1 (en) * 2012-08-01 2021-09-29 Pioneer Pet Products, LLC Filter for submersible pump
US20140102374A1 (en) * 2012-10-16 2014-04-17 Pioneer Pet Products, Llc Pump Anchored Fountain Cover And Pet Fountain Assembly
JP5819277B2 (ja) * 2012-11-14 2015-11-24 ジェックス株式会社 ペット用循環型自動給水器
US9258979B2 (en) * 2014-01-06 2016-02-16 James Alexander Pet watering device
JP2016042795A (ja) * 2014-08-20 2016-04-04 ジェックス株式会社 ペット用給水器
CN205546913U (zh) * 2016-04-06 2016-09-07 吴莉锋 一种自动循环宠物饮水器
CN206699091U (zh) * 2017-03-20 2017-12-05 浙江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宠物喂水器
CN207100086U (zh) * 2017-07-05 2018-03-16 中山市凯恩德宠物用品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宠物饮水机
CN206949207U (zh) * 2017-07-19 2018-02-02 深圳市海司恩科技有限公司 宠物饮水器
CN107801650B (zh) * 2017-10-12 2020-04-14 蔡镇海 一种草原牧场养殖用饮用水装置
CN207383235U (zh) * 2017-10-27 2018-05-22 苏州工艺美术职业技术学院 一种全自动智能宠物喂食器
CN208354308U (zh) * 2018-03-20 2019-01-11 黄君舟 宠物饮水装置
KR102319536B1 (ko) * 2018-07-26 2021-11-01 베이징 키튼&퍼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애완동물용 음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1223A1 (en) 2013-03-06 2014-09-11 Radio Systems Corp. Animal Watering Fountain Offering Multi-Dimensional Fluid Circulation
JP2017148018A (ja) 2016-02-26 2017-08-31 株式会社マルカン ペット用飲料供給装置
JP2018014914A (ja) * 2016-07-27 2018-02-01 株式会社リッチェル ペット用循環式給水器
CN206043076U (zh) * 2016-08-31 2017-03-29 胡从伟 宠物自动饮水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76958A1 (en) 2021-06-17
JP7119205B2 (ja) 2022-08-16
EP3808174A4 (en) 2022-04-20
EP3808174A1 (en) 2021-04-21
KR20210021372A (ko) 2021-02-25
AU2019310820A1 (en) 2021-02-11
KR20200012720A (ko) 2020-02-05
CA3106383A1 (en) 2020-01-30
WO2020020369A1 (zh) 2020-01-30
JP2021531010A (ja) 2021-11-18
RU2769766C1 (ru) 2022-04-05
KR102319536B1 (ko) 2021-11-01
TWM587900U (zh) 2019-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7859B1 (ko) 애완동물 음수기, 애완동물 음수기용 막힘방지 워터 펌프
US10834895B2 (en) Automatically drinking device for pets
US5830350A (en) Pool skimmer basket
EP3824723A2 (en) Two-layer pet waterer
US9510561B2 (en) Pet fountain
US8763557B2 (en) Pet fountain assembly
JP5584714B2 (ja) エアー駆動式フィルタ装置
US7021198B1 (en) Brew basket for coffee filter pack
WO2008074252A1 (fr) Vivier
KR200472503Y1 (ko) 배수트랩
US20220295742A1 (en) Water filtering pet bowl assembly
KR101271141B1 (ko) 휴대용 어항 청소기
CN216018465U (zh) 一种循环净水宠物饮水器
CN209283990U (zh) 一种带有水循环过滤的宠物饮水机
CN215836478U (zh) 出水结构、供水装置及其宠物饮水机
US10167648B1 (en) Pool skimmer
CN220606940U (zh) 宠物饮水机
JPH04222532A (ja) 沈澱ゴミ排除機能を具えた魚介飼育水槽
CN220274563U (zh) 一种宠物饮水机
CN213819370U (zh) 一种宠物自动饮水器
CN220859173U (zh) 一种宠物饮水器
CN214853547U (zh) 动物饮水器
CN218681322U (zh) 宠物盆
CN218389284U (zh) 饮水机水路和宠物饮水机
CN214508847U (zh) 一种高效洁净鱼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