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465B1 - 안경렌즈 코팅 공정 - Google Patents

안경렌즈 코팅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465B1
KR102567465B1 KR1020190080557A KR20190080557A KR102567465B1 KR 102567465 B1 KR102567465 B1 KR 102567465B1 KR 1020190080557 A KR1020190080557 A KR 1020190080557A KR 20190080557 A KR20190080557 A KR 20190080557A KR 102567465 B1 KR102567465 B1 KR 102567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oating
space
individual
spec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313A (ko
Inventor
민준기
Original Assignee
민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준기 filed Critical 민준기
Priority to KR102019008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4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2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by surface treatment, e.g. by ir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Eyeglass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렌즈 코팅 공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클린룸에서 렌즈가 콘베어를 타고 이동하면서 코팅과 건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되 코팅된 렌즈가 개별 건조통에서 건조가 이루어진 후 다시 코팅과 개별 건조통에서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가 투입되어 코팅이 이루어진 후 배출되는 클린룸을 구비하고, 상기 클린룸의 내부에 코팅공간을 구비하는 한편 건조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코팅공간에서 코팅된 안경렌즈를 건조공간의 개별 건조통에 넣거나 개별 건조통의 안경렌즈를 코팅공간으로 이동시키는 3축 이동척을 구비하는 것으로, 클린룸으로 투입된 안경렌즈를 3축 이동척으로 잡아 코팅공간으로 이동시켜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 코팅공간에서의 코팅이 이루어진 후에는 안경렌즈를 3축 이동척으로 잡아 건조공간의 개별 건조통으로 이동시켜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 개별 건조통에서 건조가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개별 건조통의 덮개를 개방시켜 서냉이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 서냉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3축 이동척으로 잡아서 코팅공간으로 이동시켜 추가적인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 코팅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다시 3축 이동척으로 잡아 개별 건조통에 넣고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안경렌즈를 코팅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안경렌즈 코팅 공정{The process of coating optical lens}
본 발명은 안경렌즈 코팅 공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클린룸에서 렌즈가 콘베어를 타고 이동하면서 코팅과 건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되 코팅된 렌즈가 개별 건조통에서 건조가 이루어진 후 다시 코팅과 개별 건조통에서의 건조가 이루어지는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코팅과 건조가 이루어지는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 코팅영역과 개별 건조통으로 이루어진 건조영역을 안경렌즈가 이동하며 코팅과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되 3축 이동척을 이용하여 안경렌즈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안경렌즈의 표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코팅이 이루어지게 되고, 현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린룸(10)에서 안경렌즈의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되 클린룸(10)은 A 코팅 영역(21)과 B 코팅영역(22) 및 C 코팅영역(2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한편 각각의 코팅영역을 통과한 후에는 건조영역(31)(32)(33)과 서냉영역(41)(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구성되며, 안경렌즈가 어떠한 코팅영역에서 코팅이 이루어지고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느냐에 따라서 변색렌즈, 방탄렌즈, 일반렌즈, 그레이칼라 렌즈, 브라운칼라 렌즈의 코팅이 완성되는 것으로, A 코팅은 광변색 염료코팅으로 자외선과 반응하여 안경렌즈를 변색시키는 코팅이고, B 코팅은 프라이머 코팅으로 완충작용을 하는 코팅이고, C 코팅은 화이트 하드코팅으로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백색 경화코팅이고, D 코팅은 그레이칼라 하드코팅으로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회색 경화코팅이고, E 코팅은 브라운 칼라 하드코팅으로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갈색 경화코팅을 의미한다.
여기서, 변색렌즈는 A 코팅영역(21)과 B 코팅영역(22) 및 C 코팅영역(2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A+B+C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방탄렌즈는 안경렌즈가 B 코팅영역(22)과 C 코팅영역(2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B+C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렌즈는 안경렌즈가 C 코팅영역(23)을 통과하면서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그레이칼라 렌즈와 브라운칼라 렌즈는 안경렌즈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반렌즈와 같이 D 코팅영역이나 E 코팅영역을 통과하면서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그리고, 클린룸(10)에서는 다수의 셔터(51-57)를 구비하여, 투입구와 배출구를 셔터(51)(57)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코팅영역(21)(22)(23)과 건조영역(31)(32)(33) 사이를 셔터(52-56)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셔터(51-57)의 개방시 코팅영역(21)(22)(23)과 건조영역(31)(32)(33)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안경렌즈의 이동과 함께 클린룸(10) 내부의 열이동이 이루어지고, 셔터(51-57)의 폐쇄시에는 안경렌즈의 이동은 이루어지나 클린룸(10) 내부의 열이동이 차단되는 것으로, 셔터(51-57)로 막아준 상태에서는 개별적인 공간이 형성되고, 셔터(51-57)를 열었을 때는 열이동이 이루어지는 개방적인 공간이 된다.
기존 방식의 변색렌즈 코팅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투입구의 셔터(51)를 개방하여 안경렌즈를 클린룸(10)으로 투입한 후 셔터(51)를 닫고 A 코팅영역(21)에서 4분 동안 20oC의 온도로 A 코팅이 이루어진 후 셔터(52)를 열고 A 콘베어의 건조영역(31)으로 이동시킨 후 셔터(52)를 닫고 20분 동안 80oC의 온도로 건조를 시킨 다음 셔터(53)를 열고 서냉 영역(41)으로 이동시킨 후 셔터(53)를 닫고 3분 동안 20oC의 온도로 서냉시킴으로써 안경렌즈에 A코팅이 이루어지게 한다.
A코팅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B코팅영역(22)에서 2분 동안 20oC의 온도로 B코팅이 이루어진 다음 셔터(54)를 열고 B 콘베어 건조영역(32)으로 이동시킨 후 셔터(54)를 닫고 10분 동안 80oC의 온도로 건조를 시킨 다음 셔터(55)를 열고 서냉 영역(42)으로 이동시킨 후 셔터(55)를 닫고 3분 동안 20oC의 온도로 서냉시킴으로써 안경렌즈에 B코팅이 이루어지게 한다.
B코팅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C코팅영역(23)에서 3분 동안 20oC의 온도로 C코팅이 이루어진 다음 셔터(56)를 열고 C 콘베어 건조영역(33)으로 이동시킨 후 셔터(56)를 닫고 15분 동안 80oC의 온도로 건조를 시킨 다음 셔터(57)를 열고 클린룸(10)의 배출구로 배출시키면서 서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변색렌즈의 코팅을 완료시키게 된다.
상기 된 변색렌즈와는 달리 코팅 과정이 상이한 방탄렌즈는 A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고, B와 C 코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클린룸(10)으로 투입된 안경렌즈는 A코팅영역(21)에서 코팅을 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킨 후 A 콘베어 건조영역(31)을 통과한 다음 B코팅 영역(22)에서 B 코팅이 이루어지는 공정부터 코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A코팅영역(21)에서 A코팅이 이루어지지 않게 제어할 수는 있으나, A 콘베어 건조영역(31)을 20분 동안 통과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게 되고, 또한 일반렌즈는 C 코팅만 이루어지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A 콘베어 건조영역(31)과 B 콘베어 건조영역(32)을 통과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D코팅이나 E코팅이 필요한 경우는 필요한 코팅 과정을 추가하거나 별도의 설비를 제작하여야 한다.
이같이 클린룸(10)에서 일체로 콘베어를 타고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일체형 방식은 클린룸이 커져서 시설비가 많이 드는 한편 설비가 길고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고, 일련의 과정이 이어지는 관계로 중간에 불량이 발생할 때 빠른 대처가 어렵고, 건조시간이 오래 걸려 콘베어의 길이가 길어짐은 물론 유지비가 많이 든다.
그리고, 코팅영역(21)(22)(23)에서 20oC의 온도를 유지할 때 콘베어 건조영역(31)(32)(33)은 80oC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각 공정별로 개폐되는 셔터(51-57)의 사용이 필수적이고, 이러한 셔터(51-57)는 코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개폐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셔터(51-57) 개폐에 따라서 코팅영역(21)(22)(23)의 온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노출된다.
[문헌1] 특허등록 10-1618721호(2016.04.29 등록) [문헌2] 특허등록 10-1681964호(2016.11.28 등록) [문헌3] 실용신안등록 20-0206081호(2000.09.28 등록)
본 발명은 클린룸 내부에서 콘베어를 타고 안경렌즈가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코팅이 이루어지게 함에 있어서, 코팅공간과 건조공간을 개폐되는 셔터로 구분하기 때문에 셔터의 개방에 따라 각 공간의 온도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건조실온도가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건조시간이 길어지고, 클린룸의 크기와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렌즈가 콘베어를 타고 이동하면서 다단의 코팅과 건조가 이루어지되 코팅공간과 건조공간은 개폐되는 셔터로 구분하는 일체형 방식에서, 안경렌즈를 3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코팅공간에서 코팅이 이루어진 후 다수 개의 개별 건조통으로 렌즈를 이동시켜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셔터를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클린룸의 크기를 줄이는 한편 코팅공간의 온도가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가 투입되어 코팅이 이루어진 후 배출되는 클린룸을 구비하고, 상기 클린룸의 내부에 코팅공간을 구비하는 한편 건조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코팅공간에서 코팅된 안경렌즈를 건조공간의 개별 건조통에 넣거나 개별 건조통의 안경렌즈를 코팅공간으로 이동시키는 3축 이동척을 구비하는 것으로, 클린룸으로 투입된 안경렌즈를 3축 이동척으로 잡아 코팅공간으로 이동시켜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 코팅공간에서의 코팅이 이루어진 후에는 안경렌즈를 3축 이동척으로 잡아 건조공간의 개별 건조통으로 이동시켜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 개별 건조통에서 건조가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개별 건조통의 덮개를 개방시켜 서냉이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 서냉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3축 이동척으로 잡아서 코팅공간으로 이동시켜 추가적인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 코팅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다시 3축 이동척으로 잡아 개별 건조통에 넣고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안경렌즈를 코팅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코팅공간은 A,B,C,D,E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A,B,C,D,E 코팅영역으로 이루어져 안경렌즈의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고, 건조공간은 개별 건조통을 여러 개 구비하여 코팅공간에서 코팅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를 순차적으로 채워주게 되는 것으로, 개별 건조통은 비어 있는 것을 곳을 감지하여 랜덤하게 코팅된 안경렌즈를 넣어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개별 건조통은 덮개를 열고 안경렌즈가 넣어진 후에 덮개를 닫고 내장된 히터를 가열시킴으로써 건조 온도를 맞추게 되고, 정해진 시간동안 건조가 이루어진 후에는 덮개를 개방시켜 서냉이 이루어게 한다.
본 발명에서, 3축 이동척은 안경렌즈를 잡아서 코팅공간에서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코팅된 안경렌즈를 건조공간의 개별 건조통에 넣거나, 개별 건조통의 안경렌즈를 잡아 코팅공간으로 이동하거나 클린룸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코팅공간의 개별 건조통을 여러 개 구비하는 이유는 코팅시간을 짧으나 건조시간은 길기 때문에 한 세트의 안경렌즈에 대한 건조가 이루어질 때 여러 세트의 안경렌즈를 코팅한 후 각각 건조 및 서냉시키기 위한 것으로, 개별 건조통이 비어 있는 것을 감지하여 안경렌즈를 넣게 되고,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를 빼내게 된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종류에 따라 필요 없는 공정은 생략할 수 있고, 3축 방향의 운동으로 코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비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코팅의 제어와 함께 비어있는 개별 건조통을 찾아 건조가 이루어지는 한편 건조통 내부에서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과 같은 셔터가 불필요하고, 건조기 개별 건조통의 덮개를 닫아 건조시키고, 서냉은 건조통의 덮개를 열고 서냉시키기 때문에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으며, 클린룸 내부에 코팅공간과 건조공간을 일체화시켜서 클린룸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다품종 소량의 주문 렌즈 생산에 효과적이다.
도 1은 기존 안경렌즈의 코팅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안경렌즈의 코팅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정도
본 발명은 안경렌즈가 투입되어 코팅이 이루어진 후 배출되는 클린룸을 구비하되 상기 클린룸의 내부에는 코팅이 이루어지는 코팅공간과,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공간과, 안경렌즈를 잡아서 3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3축 이동척을 구비하게 되는 것으로, 안경렌즈는 클린룸으로 투입되어 코팅과 건조가 이루어진 후 배출될 때까지 3축 이동척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코팅공간에는 다양한 방식의 코팅이 이루어지고, 건조공간에는 덮개와 가열히터를 구비한 수 개의 개별 건조통을 구비하되 코팅이 완료된 안경렌즈를 비어있는 개별 건조통을 찾아서 넣은 후 덮개를 닫고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클린룸으로 투입된 안경렌즈를 3축 이동척으로 잡아 코팅공간으로 이동시켜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코팅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코팅단계에서 코팅이 이루어진 후에는 안경렌즈를 3축 이동척으로 잡아 비어있는 개별 건조통 의 덮개를 열고 넣어준 후 덮개를 닫고 히터를 가열시켜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건조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가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덮개를 열어 서냉이 이루어지게 하는 서냉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서냉단계를 통하여 서냉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3축 이동척으로 잡아서 코팅공간으로 이동시켜 다음 단계의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추가 코팅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추가 코팅단계를 수행한 안경렌즈는 3축 이동척으로 잡아 전술된 바와 같이 개별 건조통에 넣고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지게 하는 건조와 서냉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건조와 서냉 단계에서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3축 이동척으로 잡아서 클린룸에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가 클린룸 내부에서 3축 이동척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편 코팅공간에서의 코팅과 건조공간의 개별 건조통에서는 건조와 서냉 단계를 수행하여 안경렌즈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되 코팅 종류에 따라 코팅공간과 개별 건조통을 선택적으로 거치도록 하며, 특히, 본 발명은 개별 건조통이 비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코팅이 완료된 안경렌즈의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클린룸의 내부에 코팅이 이루어지는 코팅공간과 개별 건조통을 이용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공간을 동시에 설치하되 3축 이동척을 이용하여 안경렌즈를 코팅공간과 건조공간을 넘나들며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안경렌즈의 코팅시간에 비하여 건조시간이 길기 때문에 여러 개의 개별 건조통을 이용하여 코팅이 이루어진 안경렌즈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되 건조가 완료된 안경렌즈는 배출시키거나 다시 코팅공간으로 이동시켜 코팅이 이루어진 후 비어 있는 개별 건조통을 이용하여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를 클린룸(400)에 투입하여 코팅이 이루어진 후 배출되게 하되 클린룸(400)의 내부에서 X,Y,Z축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3축 이동척(300)을 이용하여 안경렌즈의 투입과 배출 그리고 코팅공간(100)과 건조공간(200)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상기 3축 이동척(300)의 이동과 건조공간(200)의 비어 있는 개별 건조통(201-244)의 감지와 히터의 작동은 도시되지 아니한 콘트롤러의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클린룸(400)에는 A,B,C,D,E 코팅이 이루어지는 코팅영역(21-25)을 구비한 코팅공간(100)을 구비하는 한편 덮개가 구비된 여러 개의 개별 건조통(201-244)으로 건조공간(200)을 구비하되 상기 개별 건조통(201-244)은 덮개 개폐와 히터를 이용한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며, 개별 건조통(201-244)을 여러 개 구비하는 이유는 코팅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짧고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지는 시간은 길기 때문에 하나의 안경렌즈에 대한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질 때 여러 개의 안경렌즈에 대한 코팅이 이루어진 후 비어 있는 개별 건조통(201-244)에 넣어주기 위함이다.
이러한 클린룸(400)을 이용하는 본 발명은 클린룸(400)으로 투입된 안경렌즈를 3축 이동척(300)으로 잡아 코팅공간(100)으로 이동시켜 정해진 시간동안 A,B,C,D,E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코팅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코팅단계에서 코팅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3축 이동척(300)으로 잡아서 비어있는 개별 건조통(201-244)의 덮개를 열고 넣어준 후 덮개를 닫고 내장된 히터를 가열시켜 코팅에 따른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건조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가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개별 건조통(201-244)의 덮개를 열어 3분의 서냉이 이루어지게 하는 서냉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서냉단계를 거친 안경렌즈는 3축 이동척(300)으로 잡아서 코팅공간(100)으로 이동시킨 후 다음 단계의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추가 코팅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추가 코팅단계를 수행한 안경렌즈는 3축 이동척(300)으로 잡아 전술된 바와 같이 개별 건조통(201-244)에 넣고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지게 하는 건조와 서냉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건조와 서냉 단계에서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3축 이동척(300)으로 잡아서 클린룸(400)에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A,B,C,D,E 코팅영역(21-25)의 코팅시간은 2-4분 정도 소요되고, 건조과정은 15-20분이 소요되는 한편 서냉은 3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한 세트의 안경렌즈를 코팅한 후 건조과정을 거치는 동안 여러 개의 안경렌즈 세트를 코팅하여 순차적으로 개별 건조통(201-244)에서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고, 개별 건조통(201-244)에서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진 후에는 새로운 안경렌즈 세트를 코팅하지 않고, 3축 이동축(300)으로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진 안경렌즈 세트를 잡아서 코팅공간(100)에서 다음 단계의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수 코팅이 완료된 안경렌즈를 클린룸(400)에서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변색렌즈는 A 코팅 후 건조와 서냉과정을 거친 다음 B 코팅과 건조 및 서냉 과정을 거치고, 다시 C 코팅과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고, 방탄렌즈는 B 코팅후 건조와 서냉과정을 거친 다음 C 코팅과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며, 일반렌즈는 C 코팅과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고, 그레이칼라 렌즈와 브라운칼라 렌즈는 D 코팅과 E 코팅 후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코팅공간(100)에서는 코팅하고자 하는 안경렌즈에 따라 A,B,C,D,E 코팅영역(21-25)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게 된다.
즉, 변색렌즈 코팅시에는 A,B,C 코팅 과정과 함께 건조와 서냉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되는 것으로, 코팅시간이 건조시간보다 짧기 때문에 건조시간 동안 여러 개의 안경렌즈를 코팅한 후 비어 있는 개별 건조통(201-244)에 넣어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를 꺼내어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방탄렌즈와 일반렌즈 및 그레이칼라 렌즈와 브라운칼라 렌즈는 코팅 과정에서 어떠한 코팅이 이루어지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 코팅 후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지게 하는 과정은 동일하며,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코팅이 기존과 같이 콘베어를 타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코팅공간과 건조공간을 분리시킨 후 안경렌즈를 3축 이동척으로 잡아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클린룸의 크기를 줄이는 한편 셔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셔터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덮개와 가열히터가 구비된 개별 건조통을 이용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한 동시에 개별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특히, 덮개를 닫고 가열히터를 이용하여 건조조건에 맞는 온도로의 건조가 가능하고, 덮개를 개방한 후 자연스럽게 서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냉 공간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지는 개별 건조통(201-244)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클린룸(400)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지 않음은 물론 개별 건조통(201-244)의 덮개를 열었을 때에도 이미 건조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서냉으로 진행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클린룸(40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코팅공간(100)에서 온도 변화 없이 코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셔터를 개폐하지 않고도 클린룸(400)의 코팅공간(100)에 대한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품종 소량 생산과 주문 생산에 유리하며, 적은 크기의 클린룸(400)을 이용하기 때문에 유지비용과 구조가 간단해지는 것이다.
10,400 : 클린룸 21,-25 : 코팅영역
31-33 : 콘베어 건조영역 51-57 : 셔터
100 : 코팅공간 200 : 건조공간
210-244 : 개별 건조통 300 : 3축 이동척

Claims (4)

  1. 안경렌즈가 투입되어 코팅이 이루어진 후 배출되는 클린룸(400)에는 A,B,C,D,E 코팅이 이루어지는 코팅영역(21-25)이 구비된 코팅공간(100)과, 수 개의 개별 건조통(201-244)에서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지는 건조공간(200)과, 안경렌즈를 잡아서 코팅공간(100)이나 건조공간(200)으로 이동시키며 3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3축 이동척(300)을 구비함에 있어서,
    클린룸(400)으로 투입된 안경렌즈를 3축 이동척(300)으로 잡아 코팅공간(100)으로 이동시켜 선택된 A,B,C,D,E 코팅이 이루어지는 코팅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코팅단계에서 코팅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를 3축 이동척(300)으로 잡아서 비어있는 개별 건조통(201-244)의 덮개를 열고 넣어준 후 덮개를 닫고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건조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가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개별 건조통(201-244)의 덮개를 열어 서냉시키는 서냉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서냉단계를 거친 안경렌즈는 3축 이동척(300)으로 잡아서 코팅공간(100)으로 이동시킨 후 다음 단계의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추가 코팅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추가 코팅단계를 수행한 안경렌즈는 3축 이동척(300)으로 잡아 개별 건조통(201-244)에 넣고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지게 하는 건조와 서냉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건조와 서냉 단계에서 건조와 서냉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3축 이동척(300)으로 잡아서 클린룸(400)에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코팅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개별 건조통(201-244)은 덮개를 구비하는 한편 가열히터를 내장시키게 되고, 코팅 공정에서 20oC의 온도로 2-4분 동안 코팅이 이루어진 안경렌즈는 3축 이동척(300)에 의해 개별 건조통(201-244)으로 이동한 후 덮개를 닫고 80oC의 온도에서 10-20분 동안 건조되게 하고, 건조가 이루어진 후에는 개별 건조통(201-244)의 덮개를 열고 3분 동안 서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코팅 공정.
  3. 제1항에 있어서, 코팅공간(100)에서의 코팅시간보다 건조공간(200)에서의 건조시간이 길기 때문에 건조가 이루어지는 기간 동안 여러 개의 안경렌즈 코팅이 이루어지는 한편 코팅된 안경렌즈는 개별 건조통(201-244)에서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코팅 공정.
  4. 제1항에 있어서, 3축 이동척(300)은 코팅공간(100)에서 건조공간(200)으로의 이동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에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A,B,C,D,E 코팅영역(21-25)으로의 이동이나 개발 건조통(201-244)으로의 이동에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코팅공간(100)과 개별 건조통(201-244)에서 안경렌즈를 잡거나 놓을 때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코팅 공정.
KR1020190080557A 2019-07-04 2019-07-04 안경렌즈 코팅 공정 KR102567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57A KR102567465B1 (ko) 2019-07-04 2019-07-04 안경렌즈 코팅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57A KR102567465B1 (ko) 2019-07-04 2019-07-04 안경렌즈 코팅 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313A KR20210004313A (ko) 2021-01-13
KR102567465B1 true KR102567465B1 (ko) 2023-08-14

Family

ID=7414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557A KR102567465B1 (ko) 2019-07-04 2019-07-04 안경렌즈 코팅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4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56763C3 (de) * 1973-11-14 1983-01-05 Krupp-Koppers Gmbh, 4300 Essen Auflagevorrichtung für die Ausmauerung der Kuppel eines Winderhitzers und/oder eines nebenstehenden Brennschachtes
KR100357745B1 (ko) 2000-06-09 2002-10-25 대명광학 주식회사 안경 렌즈용 하드코팅장치
KR101164899B1 (ko) * 2003-05-13 2012-07-19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렌즈 코팅 경화 방법
US20100316481A1 (en) * 2008-03-25 2010-12-16 Shuhei Yamamoto Device for centering circular members and coa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618721B1 (ko) 2014-12-16 2016-05-09 (주) 한일진공 안경 렌즈 코팅 방법 및 그 안경 렌즈
KR101681964B1 (ko) 2015-02-03 2016-12-02 주식회사 고려광학 습식 저반사코팅 안경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안경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313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7711B (zh) 使用有機溶劑前處理及光致變色塗層製備光致變色光學物件的方法
CN101354446B (zh) 可编程润湿控制器
WO2017077359A1 (en) Optical article cutting blue light
KR102567465B1 (ko) 안경렌즈 코팅 공정
CN104460040A (zh) 一种变色镜片的染色方法
CN109114890B (zh) 基于时间和目标的热泵烘干房排湿控制系统及排湿方法
KR100755429B1 (ko) 가열로의 셔터
US10201944B2 (en) Method for dyeing a transparent article made of a polymeric substrate with gradient tint
DE60317980T2 (de) Verfahren zum Färben von Kunstofflinsen sowie Färbevorrichtung
JPH04370208A (ja) 繭の製糸方法
SE446274B (sv) Sett att glodga ett flertal individuella kiselstalsbeskickningar i en tunnelugn
CN107096703A (zh) 镜片防雾薄膜制造方法及镜片防雾薄膜的光硬化装置
US20060284326A1 (en) In-line lens manufacturing
US20040222540A1 (en) In-line lens manufacturing
KR20220033691A (ko) 셔터 장치 및 이를 갖는 기판 처리 장치
EP3345684B1 (en) Spin coating system and method
KR102172646B1 (ko) 안경렌즈용 하드코팅장치
KR10069478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
RU2763651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сушки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JP6903315B2 (ja) 眼鏡フレーム
KR20080083443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건조장치
RU2052545C1 (ru) Способ а.н.алексеева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количества отсасываемого воздуха в бортовых отсосах гальванических ванн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6087366B (zh) 衣物快速干燥装置
JP3645729B2 (ja) 感光体ドラムの製造工程における乾燥設備
SU1733512A1 (ru) Автомат дл нанесени гальванических покрыт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