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346B1 -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 Google Patents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346B1
KR102567346B1 KR1020230028392A KR20230028392A KR102567346B1 KR 102567346 B1 KR102567346 B1 KR 102567346B1 KR 1020230028392 A KR1020230028392 A KR 1020230028392A KR 20230028392 A KR20230028392 A KR 20230028392A KR 102567346 B1 KR102567346 B1 KR 102567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water supply
guide plate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환
Original Assignee
(주)대명에스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에스이에스 filed Critical (주)대명에스이에스
Priority to KR1020230028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8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for tank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66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74Large container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2588/743Large container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blowing or injecting heating, cooling or other conditioning fluid inside the container
    • B65D2588/746Large container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blowing or injecting heating, cooling or other conditioning fluid inside the container with additional treatment 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탱크; 및 상기 탱크의 외부로부터 상기 탱크의 내부로 액체를 이송하고, 상기 탱크 내부로 물을 공급하며 회전하는 급수관이 구비된 급수 교반기;를 포함하는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Water tank with improved feedwater mixing}
본 발명은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에 급수시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또는 공업용수 등을 보관하기 위한 소,중,대형 물탱크의 경우 용량에 따라 약 5m에서 30m이상의 직경을 가지고 그 재질로는 두꺼운 철판이나 FRP 등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중 철판의 경우 녹이 발생하여 수질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고 FRP는 외부 충격에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을 이용하여 각종 용량의 물탱크를 제작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1 및 도2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기존의 원통형 물탱크를 도시한 것으로, 바닥판(1)과 바닥판(1)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측판(2)과 측판(2)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판(3) 중앙에는 환기구(4)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출입구(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측판(2)은 다수의 띠 모양의 측판패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각 측판패널의 연결부분은 서로 용접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이 띠 형상의 측판패널들을 서로 적층하여 측판(2)을 제조함으로써 각 용량의 물탱크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물탱크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바닥판(1)에서 일정 높이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물 공급파이프(7)가 설치되고, 측판의 외부에는 사다리(6)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물탱크의 경우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어 녹이나 부식에 강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여름철에 한낮의 기온이 급상승할 경우 물탱크 내부 온도도 상승하게 되는데 물탱크의 내부 온도가 높게 상승하면 물에 함유된 염소의 증발량이 증가하여 간혹 저장된 물에 미생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탱크 내로 물 공급시 물탱크 내부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물 공급파이프(7)를 통해 공급되는데 물 공급파이프(7)의 상단을 통해 바닥판(1)의 일정 부분에만 물이 떨어짐으로써 장기간 사용시 물이 떨어지는 바닥판(1)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탱크 내로 공급파이프(7)를 통해 급수시 한 방향으로만 공급되어 기저장된 물과의 혼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급수에 포함된 염소가 물탱크 내로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는, 탱크; 및 상기 탱크의 외부로부터 상기 탱크의 내부로 이송되는 액체의 이송경로를 이루고, 상기 탱크의 내부로 배출되는 액체에 와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급수 교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는 탱크 내부의 액체를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도1은 스테인레스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기존의 원통형 물탱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기존의 원통형 물탱크의 절단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 교반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 교반기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를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의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의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를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지지로드, 관형부재 및 혼합유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에서 혼합유도판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 교반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 교반기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를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는 탱크(100), 급수 교반기(200) 및 혼합유도판(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탱크(100)는 바닥판(260); 바닥판(260)에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의 내부를 형성하기 위한 측벽(270); 탱크(100)의 상부를 덮는 지붕(120)을 포함한다. 탱크(100)에 저장되는 액체는 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물 이외의 액체를 저장하는 데에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탱크(100)는 받침대 상에 설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 받침대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길쭉한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기초패드(201)가 이격되어 바닥에 배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받침대로서 콘크리트 기초패드(201)가 도시되었으나, 금속재질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건식패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판(260)은 탱크(100)의 바닥을 형성하는 것으로, 받침대 위에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바닥틀 상에 배치된다. 바닥틀은 격자 모양을 이루도록 잔넬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구성되고, 바닥판(260)은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 강판을 바닥틀의 단위 격자에 각각 용접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벽(270)은 탱크의 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지지형강(280) 및 수직지지형강(280)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라운드 패널(271)을 포함한다.
수직지지형강(280)은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에 결합되는 내측지지판과 이 내측지지판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외측지지판과, 내,외측지지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지지판에 두 개의 인접한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가 함께 결합된다.
라운드 패널(271)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고, 탱크(100)의 외측으로 만곡져서 형성되는 곡면부(272)와, 곡면부(272)의 양측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날개부(273)로 구성되는데, 라운드 패널(271)이 수직지지형강(280)과 결합하여 탱크(100)의 측벽(270)을 형성하게 된다. 측벽(270)의 상부에는 물탱크의 지붕(120)이 배치된다.
통상의 탱크는 흔히 직각의 모서리를 가져 모서리부에 수압에 의하여 탱크에 가해지는 응력이 집중되므로 구조적으로 파손에 취약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100)의 측벽(270)은 라운드 패널(271)에 의하여 구성되는 바 응력이 집중되는 모서리를 가지지 않으므로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즉, 탱크(100)의 측벽(270)은 라운드 패널(271)에 의하여 구성되는 바 수압집중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고 수압지지력이 향상되며,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탱크(100)는 도 5과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탱크(100)는 내부에 액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급수 교반기(200)는 탱크(100)의 외부로부터 탱크(100)의 내부로 이송되는 액체의 이송경로를 이루고, 탱크(1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며 회전하는 급수관(231,23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 교반기(200)는 급수관(231,232), 고정부(240), 회동부(250) 및 회전기구(251,252)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급수 교반기(200)는 탱크(100)의 바닥면(110)에 설치될 수 있으나, 급수 교반기(200)의 설치위치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화살표 A1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급수관(231)에서 배출된 액체의 유동경로를, 화살표 A2는 제2급수관(232)에서 배출된 액체의 유동경로를 나타낸다. 급수 교반기(200)의 급수관(231,232)을 통하여 탱크(100)의 내부로 액체가 배출되며, 급수관(231,232)은 탱크(100)의 내부로 배출되는 액체에 와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급수관(231,232)에 의하여 탱크(100)의 내부에 와류가 형성되므로, 액체가 탱크(100) 내부에서 신속하게 혼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급수 교반기(200)는 급수관(231,232)의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와류판(233)을 포함한다. 와류판(233)은 급수관(231,232)의 내주면으로부터 나선형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도 와류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내부에 원통형 축을 가지는 스크류가 삽입되었을 때보다도 급수관(231,232)의 관로가 넓어 탱크(100)의 내부로 배출되는 액체의 유량을 늘릴 수 있다. 와류판(233)과 급수관(231,23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와류판(233)과 급수관(231,232)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 이들을 주조방식 등에 의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와류판(233)의 형상은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와류판은 원통형 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원통형 축이 급수관의 내부에 삽입되면, 급수관(231,232)에서 배출되는 액체에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급수관(231,232)은 적어도 일부구간에서 내경이 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급수관(231,232)에 의하면 유동방향을 따라 더욱 큰 규모의 와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써 탱크(100) 내부의 액체가 더욱 신속하게 혼합될 수 있다.
고정부(240)는 탱크(100)의 내부에, 예를 들면 탱크(100)의 바닥면(110)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회동부(250)는 고정부(24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부(250)는 고정부(240)에 복수의 볼 스크류(245)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급수관(231,232)은 회동부(250)에 설치되어 회동부(2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이로써 탱크(100)의 내부 여러 지점에 골고루 액체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회동부(250) 자체가 회동범위 내의 액체를 밀어내며 회전하므로 이에 따라 액체가 교반될 수 있다.
두 개의 급수관(231,232)이 회동부(250)의 양측에 회전축을 기준으로 18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급수관(231,232)의 개수는 두 개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는 두 개 이상의 급수관(231,232)을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의 급수관(231,232)은 회동부(2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각배치될 수 있다. 급수관(231,232)에서 액체가 배출될 때 급수 교반기(200)에 액체의 배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반작용힘이 작용하는데, 복수 개의 급수관(231,232)이 등각배치되는 경우 각 급수관(231,232)에 의해 발생하는 반작용힘들이 상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급수 교반기(200)의 변형이 방지된다.
회전기구(251,252)는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액체가 배출되는 추진관(251,252)을 포함할 수 있다. 추진관(251,252)에 의하여 액체가 배출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추진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추진력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부(250)를 회전시키는 돌림힘으로 작용한다. 회전기구(251,252)는 두 개 이상의 추진관(251,2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추진관(251,252)이 회동부(250)에 작용하는 돌림힘이 상호 회동부(25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추진관(251,252)이 배치될 수 있다. 추진관(251,252)은 급수관(231,232)에 연통될 수 있으며, 액체는 추진관(251,252)과 급수관(231,232)으로 나뉘어 배출될 수 있다. 급수관(231,232)이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추진관(251,252)은 급수관(231,23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급수 교반기(200)는 제1급수관(231), 제2급수관(232), 제1추진관(251) 및 제2추진관(252)을 포함한다. 제1급수관(231)과 제2급수관(232)은 상호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제1추진관(251)은 제1급수관(231)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통되며, 제2추진관(252)은 제2급수관(232)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통된다. B1 또는 B2는 순차적으로 각각 제1추진관(251) 및 제2추진관(252)에서 배출된 액체의 유동경로를 나타낸다. 액체의 일부는 제1추진관(251)으로 배출되어 회동부(2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킨다(화살표 B1 참조). 마찬가지로, 제2급수관(232) 측으로 내보내진 액체의 일부는 제2추진관(252)으로 배출되어 회동부(2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킨다(화살표 B2 참조). 다시 말해, 제1추진관(251) 및 제2추진관(252)으로 액체가 배출됨에 따라 회동부(25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화살표 R 참조).
도시된 작동모습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회동부(25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회동부(250)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251,252)는 추진관(251,252)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회전기구(251,252)는 예를 들면 액체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회동부(250)를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모터를 가지고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동부(25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탱크(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 급수 교반기(200) 및 복수의 혼합유도판(10)이 설치된다. 혼합유도판(10)은 그의 적어도 일부분이 탱크(100)의 내부에 급수관(231,232)으로부터 배출된 액체의 유동경로에 가로질러 배치된다. 혼합유도판(10)에 의하여 액체의 유동경로가 분기되는 등으로 난류가 발생하여 액체가 더욱 신속하게 혼합될 수 있다.
혼합유도판(10)은 적어도 일부분이 급수 교반기(200)의 회전중심축의 반경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액체의 유동경로가 더욱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체가 더욱 신속하게 혼합될 수 있다. 혼합유도판(10)의 횡단면은 일정한 곡률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혼합유도판(10)의 횡단면은 반원형태이거나, 1/3원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혼합유도판(10)은 원형관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쉽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혼합유도판(10)을 평판을 구부려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의 내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혼합유도판(10)이 탱크(100)의 지붕(120)을 직접 지탱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혼합유도판(10)은 액체의 혼합을 촉진하는 효과와 아울러 탱크(100)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직육면체 형상의 탱크(100)에 복수의 혼합유도판(10)이 설치되는 경우, 탱크(100)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대칭되게 각각의 혼합유도판(10)이 설치될 수 있다.
직육면체 형상의 탱크(100)에서 탱크(100)의 중심으로부터 급수 교반기(200)가 혼합유도판(10)보다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측벽이 지붕(120)을 지지하는 탱크(100) 외곽부보다 탱크(100) 중심부가 변형되기 쉬운데 급수 교반기(200)의 작동공간에는 혼합유도판(10)이 설치될 수 없으므로, 급수 교반기(200)를 탱크(100) 외곽에 배치하고 혼합유도판(10)을 탱크(100) 중심부에 배치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는 탱크(300), 급수 교반기(400) 및 혼합유도판(20)을 가진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구성 및 배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은 생략한다. 탱크(300)는 원기둥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급수 교반기(400)는 탱크(300) 바닥면(31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 교반기(400)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경로를 따라 복수의 혼합유도판(20)이 등각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및 배치에 의하여 복수의 혼합유도판(20)들이 탱크(300)의 지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액체가 탱크(300)의 내부에서 신속하게 혼합될 수 있다. 혼합유도판(20)의 횡단면은 'V'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혼합유도판(20)은 두개의 판형부재를 마찰교반용접 등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쉽게 제작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를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지지로드, 관형부재 및 혼합유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 혼합성에서 혼합유도판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에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은 제1 실시예의 해당 구성과 도면부호를 통일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는 일단이 탱크(100)의 천장면(120)에 고정되고 타단이 탱크(100)의 바닥(110)에 고정되는 지지로드(11)를 더 포함하고 혼합유도판(10)은 지지로드(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예에서 지지로드(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로드(11)에 끼워지고 외주면에 혼합유도판(10)이 결합되는 관형부재(12)에 의하여 혼합유도판(10)이 지지로드(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관형부재(12)와 혼합유도판(10)은 예를 들어 교반용접에 의하여 상호 고정결합될 수 있으나, 이들의 결합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혼합유도판(10)과 관형부재(12)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이들 간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혼합유도판(10)의 오목한 면에 관형부재(12)의 외주면이 결합될 수 있다. 두 개의 관형부재(12)가 혼합유도판(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나, 관형부재(12)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혼합유도판(10)은 평단면이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혼합유도판(1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관형부재(1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지지로드(11)의 외주면에 반경외측으로 돌출되어 관형부재(12)의 저면을 받치는 받침 플랜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관형부재(12)와 혼합유도판(10)은 지지로드(11)에 대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관형부재(12)는 지지로드(11)를 관형부재(12)에 대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원이 구비되지 않고 관형부재(12)가 급수 교반기(200)에서 방출된 액체의 유동에 의하여 지지로드(11)가 회전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관형부재(12)를 지지로드(11)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별도의 동력원을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에서 지지로드(11) 및 관형부재(12)에 의하여 혼합유도판(1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혼합유도판(10)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때보다도 탱크 내의 액체의 유동이 더욱 불규칙하고 복잡하게 형성되어 액체의 혼합이 촉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혼합유도판
11: 지지로드
12: 관형부재
100, 300: 탱크
200, 400: 급수 교반기
231,232: 급수관
240: 고정부
250: 회동부
251,252: 회전기구(추진관)

Claims (15)

  1. 탱크; 및
    상기 탱크의 내부에 고정설치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의 외부로부터 상기 탱크의 내부로 이송되는 액체의 이송경로를 이루는 급수 교반기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부는, 회전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급수관, 각각의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상기 회전중심축 및 상기 급수관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기된 추진관, 및 상기 급수관의 내주면으로부터 나선형으로 돌출된 와류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급수관 및 상기 회전중심축은 모두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급수관의 내경 및 외경은 적어도 일부구간에서 상기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상기 급수관의 원위단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된, 급수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급수 교반기로부터 배출된 액체의 유동경로에 가로질러 배치된 혼합유도판을 더 포함하는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유도판은 상기 탱크의 지붕을 지탱하도록 설치된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유도판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급수 교반기의 회전중심축의 반경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유도판의 횡단면은 일정한 곡률로 절곡된 형상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유도판의 횡단면은 'V'자 형상인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5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탱크의 천장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탱크의 바닥에 고정되는 지지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유도판은 상기 지지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지지로드에 끼워지고 외주면에 상기 혼합유도판이 결합되는 관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KR1020230028392A 2023-03-03 2023-03-03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KR102567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392A KR102567346B1 (ko) 2023-03-03 2023-03-03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392A KR102567346B1 (ko) 2023-03-03 2023-03-03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346B1 true KR102567346B1 (ko) 2023-08-16

Family

ID=8784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392A KR102567346B1 (ko) 2023-03-03 2023-03-03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3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131B1 (ko) * 2010-04-27 2011-01-28 주식회사 제이엠 오염방지 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483266B1 (ko) * 2014-10-24 2015-01-19 성일기계공업 (주) 보온재가 구비된 노출타입의 와류형 물탱크
JP2016508759A (ja) * 2012-12-27 2016-03-24 サロング ソシエタ ペル アツィオニ 飲料用カプセル
KR101650028B1 (ko) * 2016-06-15 2016-08-22 계룡환경주식회사 와류 발생 노즐과 이를 포함한 정체수 없는 물탱크
KR20210155683A (ko) * 2020-06-16 2021-12-23 한삼코라(주) 다수 원형 연접 구조의 웨이브 물탱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131B1 (ko) * 2010-04-27 2011-01-28 주식회사 제이엠 오염방지 기능을 갖는 물탱크
JP2016508759A (ja) * 2012-12-27 2016-03-24 サロング ソシエタ ペル アツィオニ 飲料用カプセル
KR101483266B1 (ko) * 2014-10-24 2015-01-19 성일기계공업 (주) 보온재가 구비된 노출타입의 와류형 물탱크
KR101650028B1 (ko) * 2016-06-15 2016-08-22 계룡환경주식회사 와류 발생 노즐과 이를 포함한 정체수 없는 물탱크
KR20210155683A (ko) * 2020-06-16 2021-12-23 한삼코라(주) 다수 원형 연접 구조의 웨이브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031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жекции жидкости и способ эжек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5177337B2 (ja) 1つまたは複数の整流装置を備えた容器
US4264215A (en) Separable blade impeller
WO2017185431A1 (zh) 一种装配扇环型凹面叶片的气液分散搅拌器装置
CN110699508B (zh) 铁水脱硫用喷吹式螺旋搅拌器
PT87075B (pt) Aparelho misturador e processo para o fabrico do mesmo
KR102567346B1 (ko) 급수 혼합성이 향상되는 물탱크
US20010015226A1 (en) Tank and a method for storing an easily polymerizable compound
JPH11235522A (ja) 液体噴出装置および液体噴出方法
EP4080151A1 (en) Heat exchanger
US5762417A (en) High solidity counterflow impeller system
CN108714388A (zh) 一种搅拌槽
JP6813234B1 (ja) フローリアクター
US20230011329A1 (en) Flow reactor
KR101833440B1 (ko) 향상된 저장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사각 물탱크
JPH0220883B2 (ko)
JP7357744B1 (ja) 清掃用リング
JP5798676B1 (ja) 建物用煙突
US20190152692A1 (en) Floating Roof for Storage Tanks
CN207941260U (zh) 一种半球形滤网装置
JP6813233B1 (ja) 熱交換器
CN210874142U (zh) 一种夹片式组装的浓缩塔
CN1241458C (zh) 由冷却液体驱动的固体转动靶
RU2196002C2 (ru) Барабан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материалов природного шельфа
JPS62155928A (ja) 粉粒体混合液の撹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