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187B1 -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187B1
KR102567187B1 KR1020220171524A KR20220171524A KR102567187B1 KR 102567187 B1 KR102567187 B1 KR 102567187B1 KR 1020220171524 A KR1020220171524 A KR 1020220171524A KR 20220171524 A KR20220171524 A KR 20220171524A KR 102567187 B1 KR102567187 B1 KR 102567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japonica
sebum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황기
김정환
김수영
유화선
이정노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22017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개선용 및/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순비기나무 추출물은 피부 유분량 및 피지량을 감소시키고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피지개선용 내지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Vitex rotundifolia extract}
본 발명은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개선용 및/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하나의 막으로 여러 가지 외부의 자극, 장해, 건조 등의 환경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해 주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여 내부 장기와 그 밖의 체내 기관을 보호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피부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의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어 신진 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광 또는 열에 반복적인 노출로 인해 피부의 외양 또는 기능이 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자유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등은 피부의 정상 기능 저하, 멜라닌 침착에 의한 기미, 주근깨 등의 생성 및 피부 노화현상을 촉진하여 피부를 손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피부노화 및 손상을 방지하여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종 동물,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어진 생리 활성 물질들을 화장품에 부가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 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피부 건강을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화장품, 피부 외용제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피부 적용시 자극, 홍반,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기 어려웠다. 따라서, 기존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보다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천연 추출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 fil)는 따뜻한 곳에서는 상록이지만 추운 곳에서는 낙엽이 지는 식물로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다. 바닷물에 닿아도 죽지 않는 내조·내염성 수목으로 우리나라 전국 해변가 어디서나 볼 수 있다. 줄기에서 뿌리를 내려 모래밭을 기어가며 자라므로 모래밭에서는 매우 멀리 뻗어 나간다. 난대성 수목이지만 내한성이 강하여 서울에서도 월동이 잘되어 정원의 지피식물이나 도로변의 사방용수로 식재할 수 있다. 꽃에는 밀원이 높아 바닷가의 밀원식물로 좋으며, 잎과 가지에는 향기가 있어 목욕탕 물에 넣어 향료로도 쓰인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1-0114245호 (2021-08-27) 는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순비기나무 추출물은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순비기나무 추출물의 피지개선 효과 내지 항산화 효과와 관련된 기재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피지개선 효과 내지 항산화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순비기나무 열매를 증류수,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및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로 추출한 순비기나무 열매 추출물이 피지개선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개선용 및/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순비기나무를 증류수,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및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순비기나무 추출물은 순비기나무의 잎, 꽃, 열매, 줄기, 뿌리 및 전초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추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순비기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 10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지개선은 피부 유분량 및 피지량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딩젤, 로션, 크림, 바디워시, 폼클렌징, 에센스, 파우더, 팩, 마스크 및 화장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다.
본 발명의 순비기나무 추출물은 피부 유분량 및 피지량을 감소시키고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피지개선용 내지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순비기나무 추출물 처리에 따른 피부 유분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평균±오차, 유의확률 *p<0.05). 순비기나무 추출물 처리 전과 비교 시 안면 부위의 피부 유분량이 유의하게 감소(개선)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순비기나무 추출물 처리에 따른 피부 피지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평균±오차, 유의확률 *p<0.05). 순비기나무 추출물 처리 전과 비교 시 안면 부위의 피부 피지량이 유의하게 감소(개선)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순비기나무 추출물 처리 직후(제품 사용 1회 직후) 효능 및 사용성에 대한 설문평가 분석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다(N=20, 응답률 %).
도 4는 순비기나무 추출물 처리 직후(제품 사용 2주 후) 효능 및 사용성에 대한 설문평가 분석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다(N=20, 응답률 %).
도 5는 순비기나무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다. 농도 의존적으로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순비기나무 추출물, 특히 순비기나무 열매 추출물을 피부에 처리하는 경우, 처리 전과 비교시 피부의 유분량 및 피지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1, 도 2). 설문평가시 모든 설문 항목에서 연구대상자들의 90~100%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연구기간동안 모든 연구대상자에게서 피부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도 3, 도 4). 또한, 순비기나무 열매 추출물은 산화물질(ABTS)을 92.5% 저해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따라서, 본 발명은 순비기나무를 증류수,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및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1,2-헥산다이올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모두 포함하는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용매는 증류수, 1,2-헥산다이올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각각 73~80%, 5~20% 및 2~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포함하는 혼합용매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순비기나무 추출물은 순비기나무의 잎, 꽃, 열매, 줄기, 뿌리 및 전초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비기나무 추출물은 순비기나무의 열매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침적추출, 감압고온추출, 열탕추출, 환류추출, 열수추출, 상온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증기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침적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순비기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 10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지개선은 피부 유분량 및 피지량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지개선은 순비기나무 추출물 처리 전보다 피부 유분량이 약 15 ~ 40% 감소하고, 피부 피지량이 약 3 ~ 15% 감소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지개선은 순비기나무 추출물 처리 전보다 피부 유분량이 약 20 ~ 35% 감소하고, 피부 피지량이 약 4 ~ 11% 감소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기초 화장품 조성물(수딩젤, 로션, 크림, 피부 보호제, 크림, 에센스, 폼클렌징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마스크, 화장수, 바디오일, 바디워시), 색조 화장품 조성물(파우더, 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 제품 조성물(샴푸, 린스, 두피 세정제, 헤어컨디셔너, 헤어젤) 및 비누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딩젤, 로션, 크림, 바디워시, 폼클렌징, 에센스, 파우더, 팩, 마스크 및 화장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피부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 세안제 및 비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세안제 및 비누 베이스에 상기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중유적형(O/W)의 크림베이스에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하지 않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순비기나무 추출물 제조
순비기나무 열매 건조 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73~80%, 부틸렌글라이콜 5~20%, 헥산다이올 2~5%) 9,900g으로 상온에서 1일 동안 침척 추출하였다. 그 후 100 Mesh, 1㎛ 및 0.22㎛의 필터로 여과하여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순비기나무 추출물의 피부 유분량 및 피지량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순비기나무 열매 추출물의 피부 유분량, 피지량 개선 및 피부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측정항목 스크리닝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1회 직후 제품 사용 2주 후
서면 동의 - - -
선정/제외기준 - - -
특성조사 - - -
사진 촬영 -
피부 유분량 -
피부 피지량 -
제품 사용 및 순응도 확인 - - -
설문평가 - -
피부 안전성 평가 - -
구체적으로, 연구 일정은 상기 [표 1] 과 같았으며, 연구대상자(20명)들이 순비기나무 열매 추출물(제품) 1ml 를 얼굴에 두드리며 흡수시켰다(제품 사용 1회). 또한, 연구대상자들에게 2주간 1일 2회(아침, 저녁) 세안 후 순비기나무 열매 추출물을 적당량 덜어 얼굴에 두드리며 흡수시켰다(제품 사용 2주 후).
사진 촬영은 순비기나무 열매 추출물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1회 직후 및 제품 사용 2주 후 시점에서 MARK·Vu® (PSI-Plus, Korea) 를 이용하여 안면 저체를 광학 및 UV 모드로 촬영하였다.
피부 유분량은 순비기나무 열매 추출물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1회 직후 및 제품 사용 2주 후 시점에서 Sebumeter® SM815 (C+K, Germany) 를 이용하여 좌측 또는 우측 이마, 코 및 뺨 부위의 유분량을 측정하고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상기 측정기기는 반투명 지질흡수 테이프(sebumeter cassette)를 피부에 약 30초간 접촉하여 단위 면적당 유분량(㎍/㎠)을 광반사원리 기반으로 측정하였다.
피부 피지량은 순비기나무 열매 추출물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1회 직후 및 제품 사용 2주 후 시점에서 촬영된 좌측 또는 우측 UV 이미지를 MARK·Vu® (PSI-Plus, Korea) 자체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이마, 코 및 뺨 부위의 피지 spot 면적을 백분율(%)로 수치화한 값의 평균값 적용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에 의한 설문평가로서, 순비기나무 열매 추출물의 효능 및 사용성에 관한 설문은 순비기나무 열매 추출물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1회 직후 및 제품 사용 2주 후 시점에서 연구대상자들이 5점 척도(1점: '매우 그렇다', '매우 만족' / 5점: '매우 그렇지 않다', '매우 불만족', '절대 아니다') 로 자가평가하였고, 이 중 1점~3점에 대한 답변을 긍정적 응답률(%)로 채택하였다.
피부 안전성 평가는 각 평가시점에서 연구자가 연구대상자의 시험부위를 관찰하고 연구대상자와의 질의응답을 통해 시험 부위 상태를 확인하고 기록하여 평가하였다. 제품으로 인한 이상반응 발생 시 이상반응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험 제품과의 관련성은 연구책임자가 판단하였다.
통계분석은 산출된 모든 데이터는 SPSS Package Program (IBM, USA)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데이터의 정규성은 Shapiro-Wilk test 와 첨도 및 왜도(Kurtosis&skewness)를 통해 검증하였다. 모든 평가 결과에 대한 시점 별 전후 비교는 모수일 경우 RM-ANOVA (Reapeat Measured-Analysis of Variance, RM-ANOVA)를 이용하였다(p<0.05). 변화율은 하기 [수학식 1] 로 산출하였다.
[수학식 1]
변화율(%)=(제품 사용 전 - 제품 사용 후) / 제품 사용 전 X 100
그 결과, 제품 사용 전과 비교시, 사용 1회 직후 및 사용 2주 후 시점에서 안면 부위의 피부 유분량이 유의하게 감소(개선)하였고(p<0.05), 변화율은 각각 20.54% 및 34.42% 이었다(표 2). 또한, 안면 부위의 피부 피지량 역시 제품 사용 전과 비교시, 사용 1회 직후 및 사용 2주 후 시점에서 유의하게 감소(개선)하였고(p<0.05), 변화율은 각각 4.92% 및 10.66% 이었다(표 3).
평가 시점
(Time point)
평균
(Mean, ㎍/㎠)
표준오차
(SEM)
표준편차
(SD)
유의확률
(p-value)
변화율(%)
제품 사용 전 71.32 3.89 17.40 - -
제품 사용 1회 직후 56.67 3.72 16.66 0.000 20.54▼
제품 사용 2주 후 46.77 3.79 16.93 0.000 34.42▼
평가 시점
(Time point)
평균
(Mean, ㎍/㎠)
표준오차
(SEM)
표준편차
(SD)
유의확률
(p-value)
변화율(%)
제품 사용 전 18.30 1.24 5.54 - -
제품 사용 1회 직후 17.40 1.22 5.44 0.000 4.92▼
제품 사용 2주 후 16.35 1.21 5.39 0.000 10.66▼
또한, 제품 효능 및 사용성에 관한 설문평가 결과, 제품 사용 1회 직후 및 제품사용 2주 후 시점에서 모든 항목에 대한 연구대상자의 90 ~ 100% 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도 3, 도 4).
순비기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순비기나무 열매 추출물의 ABTS+ 라디칼(radical) 소거능(Scavenging effect)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물질은 먼저 증류수에 용해시켰으며, 증류수에 용해되지 않는 시험물질은 에탄올(ethanol)에 1:1.5 비율로(w/w) 희석하여 vortex 한 후, 초음파파쇄기를 이용하여 30분간 용해시켰으며, 순비기나무 열매 추출물은 원심분리(13500 rpm, 10 min.)하여 상등액을 취한 후, 시린지 필터(0.45 μm) 를 이용하여 sample stock을 제조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Re & Pellegrin 등의 방법을 응용하였고 시험물질의 최종 농도(w/v)는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는 범위에서 진행하였다. 반응 시간은 25 ℃ 암실에서 20 분간 반응시켰고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기 위해 하기 [수학식 2] 로 계산하였다(A: 700 nm에서 ABTS+ 라디칼 용액의 흡광도, B: 700 nm에서 시료와 ABTS+ 라디칼 용액의 반응 흡광도, C: 700 nm에서 시료의 흡광도). 모든 자료는 평균값±표준편차(SD)로 나타내었다.
[수학식 2]
소거능(%)=(1-(B-C)/A)X100
농도(%) 소거능(%) SD
3.1 9.4 1.1
6.3 16.8 0.8
12.5 30.9 0.7
25.0 58.7 0.8
50.0 92.5 0.2
그 결과, 상기 [표 4] 및 [도 5] 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순비기나무 열매최종 추출물은 농도 3.1%부터 50.0%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순비기나무를 증류수 73~80 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2~5 중량% 및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5~20 중량% 로 혼합한 용매로 추출한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개선용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피지개선은 피부 유분량 및 피지량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비기나무 추출물은 순비기나무의 잎, 꽃, 열매, 줄기, 뿌리 및 전초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비기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 10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딩젤, 로션, 크림, 바디워시, 폼클렌징, 에센스, 파우더, 팩, 마스크 및 화장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71524A 2022-03-31 2022-12-09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7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524A KR102567187B1 (ko) 2022-03-31 2022-12-09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380 2022-03-31
KR1020220171524A KR102567187B1 (ko) 2022-03-31 2022-12-09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380 Division 2022-03-31 2022-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187B1 true KR102567187B1 (ko) 2023-08-16

Family

ID=8784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524A KR102567187B1 (ko) 2022-03-31 2022-12-09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1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745A (ko) * 2007-04-06 2008-10-09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효과를 갖는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2401A (ko) * 2014-11-25 2016-06-02 (주)컬러핑크알앤디 밀싹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2960A (ko) * 2016-07-28 2018-02-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20502172A (ja) * 2016-12-15 2020-01-23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745A (ko) * 2007-04-06 2008-10-09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효과를 갖는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2401A (ko) * 2014-11-25 2016-06-02 (주)컬러핑크알앤디 밀싹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2960A (ko) * 2016-07-28 2018-02-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20502172A (ja) * 2016-12-15 2020-01-23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성일. 순비기나무의 고부가 가치화를 위한 건강증진 효능 검증. 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608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4983624A (zh) 一种修复护肤滋养面膜浸渍液及其制备方法
KR102307509B1 (ko)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KR101662545B1 (ko) 발모효과 및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발세정제
KR102042960B1 (ko) 피부보습 및 피부톤 개선용 스킨 에센스
KR101870854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1183B1 (ko) 한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04274357A (zh) 一种含有植物酊剂的头皮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0241762A (ja) 化粧料
CN105287272A (zh) 含有肉苁蓉提取物苯乙醇总苷作为活性成分的化妆品组合物
KR102567187B1 (ko)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4041A (ko) 두피재생촉진 모발처리제 조성물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KR101677546B1 (ko) Msm 및 달팽이 점액여과물을 포함하는 도포 타입의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757157B2 (ja) 皮膚外用剤
JPH07277920A (ja) レモングラスの水蒸気蒸留水又は/及び抽出物含有化粧 料
KR100887649B1 (ko) 블랙헤드 제거 및 피지 조절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팩 조성물
KR100884258B1 (ko) 모공 수축과 피지조절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팩조성물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2601B1 (ko) 천연 화이트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컬러테라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31820B1 (ko) 당유자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94261B1 (ko) 혈압상승이 없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세정 조성물
JP4577596B2 (ja) 育毛剤又は発毛剤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