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258B1 - 모공 수축과 피지조절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팩조성물 - Google Patents

모공 수축과 피지조절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258B1
KR100884258B1 KR1020070081591A KR20070081591A KR100884258B1 KR 100884258 B1 KR100884258 B1 KR 100884258B1 KR 1020070081591 A KR1020070081591 A KR 1020070081591A KR 20070081591 A KR20070081591 A KR 20070081591A KR 100884258 B1 KR100884258 B1 KR 100884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ebum
pore
pack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105A (ko
Inventor
이승창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생명공학 filed Critical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to KR1020070081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2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공 수축과 피지조절을 위한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바오밥나무 추출물, 석류나무피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적용시 모공의 개수 및 면적이 감소하여 우수한 모공 수축 및 피지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석류나무피, 율피, 바오밥나무, 팩, 모공 수축, 피지조절

Description

모공 수축과 피지조절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팩 조성물{Pack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erbal extracts for pore-minimizing and sebum-control}
본 발명은 모공 수축과 피지조절을 위한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바오밥나무 추출물, 석류나무피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적용시 모공의 개수 및 면적이 감소하여 우수한 모공 수축 및 피지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는 조직으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 층으로 이루어진다. 충격, 온열, 일광과 같은 물리적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화학적 자극이나 세균침입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등 신체를 주위의 변화에 순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의 부속기관인 피지선은 모공을 통하여 피지를 피부 최외층으로 분비하여 신체의 방어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피지선에서 분비된 피지는 각질층의 수분 증발을 막아 피부에 윤기를 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피지의 분비가 지나친 경우에는 피부가 번들거리고 피부에 염증이 잘 생기고 여드름이 호발되 며, 세균감염에 의한 모낭염이 생기기도 한다. 반면 피부 표면의 피지분비가 적은 경우 피부가 건조해지며 이로 인해 피부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피지를 분비하는 통로인 모공은 얼굴피부에 전체적으로 분포하나 특히 코와 볼 부위는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고, 모공의 양상은 성별, 유전적, 노화, 여드름, 만성 자외선 노출 등의 내인성과 외인성 요인에 의해 개인차가 있다.
여성의 경우, 모공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모공에서 분비되는 피지를 감소시켜 최대한 외모를 깔끔하게 보이게 하려는 욕구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장품 산업에서는 모공 개선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천연 식물 및 한방 생약은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이들을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의 원료로서 개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는 열대 아프리카에 분포하고 있는 봄박스과의 낙엽교목으로, 잎은 5~7개의 작은 잎으로 장상복엽이다. 꽃은 백색이며 지름 15 cm 정도로 꽃잎은 5개이다. 열매는 수세미외 처럼 생기고 길이 20~30 cm이며 털이 있고 딱딱하며 긴 과경(果梗)이 있다. 수피(樹皮)는 섬유이고, 잎과 가지는 사료로 사용하며 열매는 식용으로 쓰인다.
석류나무피는 석류나무(Punica granatum Linne)의 열매, 줄기 및 뿌리의 껍질로서, 한방과 민간에서 수피, 근피, 과피를 수검, 지사, 장출혈, 구내염, 편도선염, 유산, 피임에 약재로 사용됨이 알려져 있다(김태정, 한국의 자원식물 III,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나무껍질과 뿌리에는 이소펠레티에린(iso-pelletierine) 등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들어 있는데, 특히 촌충 제거에 효과적으로 구충제로 사용함이 알려져 있다.
율피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밤나무(Castanea crenata S. et Z., Castanea mollissima Bl., Castanea bulgaris) 또는 약밤나무(Castanea Bungeana Bl)의 과실을 싸고 있는 짙은 갈색의 속껍질로서 밤 과실로부터 분리하여 햇볕에 말린 것으로, 주성분으로 탄닌 등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율피는 가래를 삭혀주며, 태운 재로는 헐어버린 입안ㅇ옻·나병·타박상 등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세 가지 천연 식물 및 생약에 대한 공개특허로, 국내특허등록 제512330호에서는 바오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국내특허등록 제562077호에서는 항균활성 및 수렴효과를 나타내는 석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국내특허등록 376136호는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렴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석류피 추출물만을 사용하는 경우는 수렴효과가 미흡하고, 율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모공 수축 효과를 나타내지만 동시에 피부가 까칠해지고 윤기가 없어지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해주는 성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우수한 모공수축 및 피지제거와 동시에 피부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화장료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온 여러 가지 천연 식물 및 생약을 배 합하여 우수한 모공수축 및 피지분비 조절효과를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조합을 찾는 연구를 수행한 결과, 바오밥나무, 석류나무피 및 율피 추출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팩 조성물이 우수한 모공 수축 및 피지분비조절과 동시에 피부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오밥나무 추출물, 석류나무피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공 수축과 피지분비조절을 위한 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공 수축과 피지분비조절을 위한 바오밥나무 추출물, 석류나무피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팩 조성물에서 바오밥나무 추출물은 건조중량으로 0.05~5.0중량%, 석류나무피 추출물은 건조중량으로 0.05~5.0 중량% 및 율피 추출물은 건조중량으로 0.05~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팩 조성물이 모공 수축 및 피지량 감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시 모공의 개수 및 면적이 감소하여 모공 수축 효과가 우수하며, 피지분비조절로 피지량 감소에 우수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공 수축 및 피지량 감소용 팩 화장료 조성물로 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바오밥나무 추출물, 석류나무피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적용시 모공의 개수 및 면적이 감소하여 우수한 모공 수축 효과 및 피지분비조절로 인한 피지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바오밥나무 추출물은 바오밥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말하며, 팩에 함유되어 모공 수축 및 피부를 부드럽게 해주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함유하는 석류나무피 추출물은 석류나무 줄기의 껍질의 추출물을 말하며, 이는 팩에 함유되어 모공 속의 피지를 제거해주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함유하는 율피 추출물은 밤의 속껍질의 추출물을 말하며, 팩에 함유되어 모공 수축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바오밥나무, 석류나무피 또는 율피 추출물은 통상적인 건조 방법에 따라 식물 자체를 건조시켜 건조물 상태 또는 상기 건조물을 세절 또는 분말 형태로 하여,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 예를 들면 열수 추출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로 만든다.
본 발명의 팩 조성물에 사용하는 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건조한 식 물을 세절한 후, 식물 무게의 약 2배 내지 20배의 물, C1 내지 C4의 탄소수를 갖는 저급 알콜,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 또는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실온 내지 100 ℃의 추출온도에서 약 2시간 내지 10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에 의하여 1회 내지 5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 또는 분사건조하여 제조된다.
상기 제조된 본 발명의 바오밥나무 추출물은 건조중량으로 0.05~5.0 중량%, 석류나무피 추출물은 건조중량으로 0.05~5.0 중량% 및 율피 추출물은 건조중량으로 0.05~5.0 중량% 로 팩 조성물에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율피 추출물만 함유하는 경우 모공수축력은 좋으나 피부가 까칠하고 윤기 없게 되고, 석류나무피 추출물 또는 바오밥나무 추출물만 함유하는 경우는 모공수축력이 미흡한 것에 비하여, 이렇게 세 추출물을 혼합하여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경우보다 우수한 모공축소 및 피지 제거 효과를 나타내면서 동시에 팩 사용으로 자극받은 피부를 보호하고 부드럽게 해주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각 추출물 간 바람직하게는 1: 1~2 : 1.5~3의 중량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1: 1.5 : 2 중량비로 함유되는 경우 모공수축, 피지제거 및 피부 보호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이외에도 통상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가능한 것으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등록된 화장품 원료 리스트 및 ICID(국제화장품 원료집)에 등재되어 있는 성분을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점증제, 보습제, pH 조절제, 유화제, 색소, 향료, 방부제, 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
특히 본 발명의 팩 조성물에서 상기 점증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공지의 무기물 또는 곡물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실리카, 카올린, 탈크, 황토, 일라이트, 벤토나이트, 세리사이트, 토르마린, 맥반석, 칼슘 카보네이트, 쌀겨, 보리, 밀, 메밀, 현미, 콩, 팥, 녹두 및 옥수수의 분말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이중 벤토나이트, 세리사이트, 토르마린 및 옥수수 전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팩 조성물에서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30 중량%로 포함하고, 이 때 세리사이트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1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모공수축 및 피지량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보습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트레할로스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및 트레할로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H 조절제도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구연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말산, 푸마르산, 말 레산, 글리콜산 등의 유기산, 염산, 황산, 인산, 질산 등의 무기산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 등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트리에탄올아민, 소듐클로라이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화제도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피이지-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이지400 및 피이지60히드로게네이티드캐스터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색소 및 향료는 통상적으로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 히단토인,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구체적으로 정제수, 에탄올, 트윈 20,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은 글리시리진산디칼륨과 같은 소염제, 토코페릴아세테이트와 같은 비타민 유도체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시 모공의 개수 및 면적이 감소하여 모공 수축효과가 뛰어난 작용효과가 있고, 피지가 제거되거나 피지분비를 조절 하여 피지량이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은 또한 천연물로부터 수득한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사용시 피부 자극이 없어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공 수축용 및 피지량 감소용 팩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의 제조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건조하여 세절한 바오밥나무 열매 1kg를 에탄올 5리터에 넣고 3~4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와트만지로 여과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감압농축하고 건조시켜 바오밥나무 건조추출물 약 0.1kg을 수득하였다.
음건하여 세절한 석류나무피 1 kg을 물 10리터에 넣고 3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와트만지로 여과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감압농축하고 건조시켜 석류나무피 건조추출물 약 0.12kg을 수득하였다.
또한, 건조한 율피 1 kg을 70% 에탄올 5리터에 넣고 3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와트만지로 여과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감압농축하고 건조 시켜 율피 건조추출물 약 0.1kg을 수득하였다.
2) 팩 조성물 1의 제조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혼합하여 암적색의 크림상 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팩 조성물 2~4의 제조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58715221-pat00001
비교예 1~6: 비교 팩 조성물 1~6의 제조
비교 팩 조성물을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58715221-pat00002
시험예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의 모공축소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병력조사 및 피부장태 진단을 통해 시험 목적에 적합한 만 18세 이상의 건강한 남성 및 여성 피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는 세안 후 입실하여 20분 동안 항온항습 조건(22± 2℃, 50± 5%)에서 안정을 취한 후 시험에 참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모공수축 팩 조성물 적당량을 취하여 코와 그 주위 피부에 펴 바른 후 10~15분간 두고, 따뜻한 물로 얼굴을 가볍게 세안하는 방식으로 4주 동안 1일 1회 적용하였다.
측정은 항온항습 조건에서 시험제품 사용 전과 사용 후 육안평가와 기기측정을 하였다. 육안평가는 피부 모공 크기 개선은 표면의 모공상태를 고려하여 평가하였고, 기기를 이용한 측정은 코 부위의 모공 크기 개선정도를 측정하고, 시험부위를 촬영하였다.
1) 육안 평가
육안 평가는 모공크기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제품 사용 전과 비교시 제품 사용 후의 변화 상태를 5점 척도법 (0:변화 없음~4:매우 좋아짐)으로 실시하였다.
표 3의 육안 평가 결과, 모공크기 수축 정도는 제품 사용 직후 1.08에서 2주 후 1.33으로, 4주 후 1.64로 증가하여 육안으로 모공크기 수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모공 청결 상태는 사용직후 1.75에서 2주 후 2.31로 4주 후 2.73으로 개선되었다.
시점 N 모공크기 모공상태
사용직후 12 1.08 1.75
사용2주후 12 1.33 2.31
사용 4주후 12 1.64 2.73
2) 피지량 측정
Sebumeter SM 810 (C+K, Germany)을 이용하여 코 측면 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시점은 시험 제품 사용전과 사용 후 각각 측정하여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표 4의 분석 결과, 제품 사용 후의 피지량은 제품 사용 전과 비교시, 제품 사용 직후 및 사용 4주 후 유의한 감소효과를 보였다.
시점 site N 평균 SD p-value
사용전 Nasolabial fold 12 67.83 42.18 -
사용직후 " 12 14.00 9.89 0.000*
사용2주후 " 12 28.94 17.88 0.025
사용 4주후 " 12 26.83 15.44 0.008
*p<0.05
3) Facial stage image에 의한 모공 및 피지 spot 분석
모공 및 피지 spot의 분석은 이를 수치화 해주는 Facial stage DM3(Moritex,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시점은 시험 제품 도포 전과 도포 후 각각 측정하여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평과결과는 측정부위인 코 부위(width:180, height:100 pixel) 영역을 FL 촬영 사진의 노란색 spot와, UV 촬영 사진의 빨간색 spot(피지) 개수를 분석하였다(도 1 및 도 2).
하기 표 5의 분석결과, 모공 spot의 개수는 제품 사용 전과 비교시, 사용직후 감소하였고, 표 6의 분석결과, 피지 spot의 개수도 또한 제품 사용 전과 비교시 사용직후 및 사용 4주후 감소하였다.
시점 site N 평균 SD p-value
사용전 nose 12 772.64 190.24
사용직후 " 12 706.91 248.41 0.025
사용2주후 " 12 720.81 194.76 0.021
사용 4주후 " 12 689.51 152.76 0.011
*p<0.05
시점 site N 평균 SD p-value
사용전 nose 12 669.17 426.69 -
사용직후 " 12 509.83 343.18 0.003
사용2주후 " 12 495.50 332.82 0.047
사용 4주후 " 12 485.42 301.18 0.035
*p<0.05
4) 모공 확대 촬영
Charmview (Moritex, Japan)를 이용하여 모공의 상태 변화를 30배로 확대하여 제품 사용 전과 사용 직후 변화를 촬영하였다.
도 3은 상기 기기로 빛을 쪼여 같은 부위의 사진을 찍은 것으로, 1) 위 사진은 빛이 막혀 빠져나가지 않은 형광이미지이며, 2) 아래의 사진은 반사되는 빛을 필터링한 편광이미지이다.
모공확대관찰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팩 조성물 사용 전에 비하여 사용 2주 후 및 4주 후에 모공의 크기가 축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비교예 1 내지 6의 팩 조성물을 시험한 결과, 본 발명의 팩 조성물에 비하여 모공 수축, 피지 제거 또는 피부 보호 효과에서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의 경우 바오밥나무 추출물만 함유하는 팩으로 모공 수축 효과도 좋고, 피부도 부드러워진 느낌을 주나, 세 추출물을 혼합한 팩 보다 모공 수축 효과가 우수하지 않았고, 피지제거효과도 미흡하였다. 비교예 2의 경우 석류나무피 추출물만 함유하는 팩으로 피지제거에는 효과가 있으나 모공의 수축에는 효과가 미흡하였다. 비교예 3의 경우 율피 추출물만 함유하는 팩으로 모공 수축에는 효과가 우수하나 피부의 윤기가 감소하여 피부가 까칠하고 건조한 느낌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비교예 4의 경우 석류나무피+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으로 세 추출물을 혼합한 팩 보다 모공 수축 효과가 우수하지 않았고, 피부 보효효과도 낮았다.
비교예 5의 경우 바오밥나무+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으로 세 추출물을 혼합한 팩 보다 피지제거효과가 우수하지 않았고, 비교예 6의 경우 석류나무피+바오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으로 세 추출물을 혼합한 팩 보다 모공 수축 효과 및 피지제거효과도 우수하지 않았다.
5) 제품의 안정성평가
제품 사용 후 시험자의 육안 관찰과 질의응답을 통한 제품의 피부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피부 안전성 평가는 제품 사용 후 시험자의 관찰에 의해 주관적 자극감과 객관적 자극을 평가하였다.
본 시험 기간 동안 12명의 피험자에게서 육안으로 관찰되는 홍반 등의 피부자극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피부에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2명의 피험자가 주관적 자극감으로 당김과 뻣뻣함을 호소하였으나 바로 소멸되었다.
Figure 112007058715221-pat00003
도 1은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을 사용한 피험자의 (a) 사용 전 및 (b) 사용 직후 코 주변 모공 spot 개수의 변화를 찍은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을 사용한 피험자의 (a) 사용 전 및 (b) 사용 직후 코 주변 피지 spot 개수의 변화를 찍은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을 사용한 피험자의 모공상태 변화를 사용전, 사용직후, 사용 2주 후 및 사용 4주 후에 chamview(× 30) 기기로 찍은 사진이다.

Claims (4)

  1. 바오밥나무 추출물, 석류나무피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공수축 및 피지량 감소용 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오밥나무 추출물을 건조중량으로 0.05~5.0중량%, 석류나무피 추출물을 건조중량으로 0.05~5.0 중량% 및 율피 추출물을 건조중량으로 0.05~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공수축 및 피지량 감소용 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오밥나무 추출물, 석류나무피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의 혼합비는 1 : 1~2 : 1.5~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공수축 및 피지량 감소용 팩 조성물.
  4. 삭제
KR1020070081591A 2007-08-14 2007-08-14 모공 수축과 피지조절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팩조성물 KR100884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591A KR100884258B1 (ko) 2007-08-14 2007-08-14 모공 수축과 피지조절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591A KR100884258B1 (ko) 2007-08-14 2007-08-14 모공 수축과 피지조절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팩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105A KR20090017105A (ko) 2009-02-18
KR100884258B1 true KR100884258B1 (ko) 2009-02-25

Family

ID=4068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591A KR100884258B1 (ko) 2007-08-14 2007-08-14 모공 수축과 피지조절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2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940B1 (ko) * 2017-12-26 2019-12-13 조현주 팥을 이용한 팩 조성물
KR101960438B1 (ko) * 2018-01-17 2019-03-20 조현주 팥을 포함하는 한지 마스크 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779A (ko) * 1998-08-13 2000-03-06 유상옥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료 조성물
KR20040015586A (ko) * 2002-08-13 2004-02-19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바오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20050029442A (ko) * 2003-09-22 2005-03-28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항균특성을 가지는 석류피 또는 석류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석류피 또는 석류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조성물
KR20050041259A (ko) * 2003-10-30 2005-05-04 윤성용 천연 화장품 개발을 위한 캘러스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779A (ko) * 1998-08-13 2000-03-06 유상옥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료 조성물
KR20040015586A (ko) * 2002-08-13 2004-02-19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바오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20050029442A (ko) * 2003-09-22 2005-03-28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항균특성을 가지는 석류피 또는 석류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석류피 또는 석류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조성물
KR20050041259A (ko) * 2003-10-30 2005-05-04 윤성용 천연 화장품 개발을 위한 캘러스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105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958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30021B1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6362B1 (ko)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3808B1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3763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이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326796B1 (ko)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1738A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7030B1 (ko) 피토실리카(Phytosilica)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2343166B1 (ko)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962344B1 (ko) 블랙헤드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4258B1 (ko) 모공 수축과 피지조절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팩조성물
KR20080111249A (ko) 치아시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KR20200129888A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9045A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87649B1 (ko) 블랙헤드 제거 및 피지 조절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팩 조성물
KR101002797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의 추출물과 피탄트리올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8930A (ko) 담죽엽, 율초 및 구맥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67732A (ko) 블랙헤드 및 피지제거 효과를 갖는 피부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