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079B1 - Dft-s-ofdm을 위한 심볼 통합 방식 - Google Patents

Dft-s-ofdm을 위한 심볼 통합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079B1
KR102567079B1 KR1020217001850A KR20217001850A KR102567079B1 KR 102567079 B1 KR102567079 B1 KR 102567079B1 KR 1020217001850 A KR1020217001850 A KR 1020217001850A KR 20217001850 A KR20217001850 A KR 20217001850A KR 102567079 B1 KR102567079 B1 KR 102567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s
symbol
dft
block
ra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1076A (ko
Inventor
크리스티나 시오치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4Pilot insertion in the transmitter chain, e.g. pilot overlapping with data, insertion in time or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Reduction thereof by selection of pilot symb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개의 심볼(A0; …; AQ-1)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DFTsOFDM 무선 신호에 있어서 송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무선 신호는 심볼의 블록 X=(X0, …, XM - 1)에 M 사이즈 DFT 및 N 사이즈 IDFT를 적용함으로써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 심볼의 블록 내의 Q개의 위치 ni와 같이 구하는 것과, - 각 i에 대하여, 무선 신호 내의 심볼의 샘플 ai가 심볼 의 값이 인 M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블록으로의 DFTsOFDM 방식의 적용의 결과와 같은 Q개의 심볼을 무선 신호를 통해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k는 0≤k<K인 정수이고, m은 0≤m<K인 정수이다.

Description

DFT-S-OFDM을 위한 심볼 통합 방식
본 발명은 포괄적으로는 전기통신 시스템의 영역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OFDM 송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에 관한 참조 신호와 같은 심볼의 통합에 관한 것이다.
심볼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특정한 콤(comb)을 점유하도록 심볼을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표준규격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특정한 서브캐리어에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DMRS)와 같은) 참조 신호가 설정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심볼(예컨대 DMRS)은 소망하는 콤의 소망하는 서브캐리어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에 직접 통합되고,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다른 심볼은 콤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서브캐리어를 사용하여 처리된다. 그 결과, 주파수 영역의 콤을 사용한 심볼은 다른 심볼로부터 독립하여 통합되고, 따라서, DFTsOFDM 방식과 같은 방식의 싱글 캐리어 특성은 유지되지 않고, 피크 대 평균 전력 비(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PR)가 높아진다. PAPR이 높아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새로운 표준규격 NR(new radio)에서는 DMRS만이 통합되고, 다른 심볼은 0으로 설정된 채이지만, 스펙트럼 효율의 손실은 커진다.
따라서,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콤을 점유하는 심볼의 그룹을 다른 심볼과 다중화하는 것은 PAPR이 높아지고 간섭이 커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송신되는 무선 신호에 있어서 적어도 Q개의 심볼(A0; …; AQ-1)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송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무선 신호는 적어도 M개의 상이한 주파수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방사기에 의해 방사되도록 의도되고, M은 L.K와 같고, L 및 K는 엄밀하게 양의 정수이고, Q는 엄밀하게 L보다 작은 엄밀하게 양의 정수이고, 상기 무선 신호는,
- M 사이즈 DFT를 심볼의 블록 X=(X0, …, XM - 1)에 적용하고,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복소 심볼 Sk를 취득하는 것과,
- 송신 안테나에 대응하는 I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한 복소 심볼 Sk 또는 Sk의 함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취득하는 것과,
- 신호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것
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 심볼의 블록 내의 Q개의 위치 ni와 같이 구하는 것과,
- Q개의 심볼을 무선 신호를 통해 송신하는 것으로서, 각 i에 대하여, 무선 신호 내의 심볼 Ai의 샘플은 M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블록에 DFT를 적용하고 IDFT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결과와 같고, 위치 ni+mL에 있는 심볼 의 값은 각각 이고, k는 0≤k<K의 정수이고, m은 0≤m<K의 정수이고, j는 허수인 것
을 포함한다.
Q개의 심볼의 그러한 송신은 DFTsOFDM 방식의 싱글 캐리어 특성을 유지하면서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이들 심볼의 샘플이 콤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인 ni+mL과 상이한 위치에 있는) 다른 심볼이 본 발명에 따라서 동일한 DFTsOFDM 심볼에 있어서 다중화되는 경우에도 싱글 캐리어 특성이 유지된다.
DFTsOFDM 방식의 싱글 캐리어 특성이 유지되는 이유는, Q개의 심볼의 샘플을 송신하는 무선 신호는 위치 ni+mL에 있는 심볼 의 값이 각각 인 M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블록에 대하여 DFT 및 IDFT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취득되는 무선 신호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IDFT 사이즈는 일반적으로 DFT 사이즈보다 크다. 즉, 본 발명에 따라서 Q개의 심볼을 송신하는 무선 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M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블록 내에 배치된 심볼을 DFTsOFDM 방식을 통해 처리함으로써 취득되는 무선 신호와 동일하다. 따라서, DFTsOFDM 방식의 싱글 캐리어 특성이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Q개의 심볼의 샘플은 콤 구조로 배치된다. 즉, Q개의 심볼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특정한 주파수만 점유하고, 이들 특정한 주파수는 인덱스 k, k+K, k+2K, …, k+(L-1)K를 갖는 주파수이다.
게다가, 심볼의 그룹의 각 심볼 Ai의 위상 시프트된 반복은 이들 Q개의 심볼의 송신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실제, 심볼 Ai는 K회 반복되고, 각 반복 사이의 위상 시프트는 이다. 그 결과, 심볼의 블록 내의 K개의 심볼을 사용하여 각 심볼 Ai를 송신하는 것은 이들 심볼의 송신 품질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Q개의 심볼에 관하여 더 적은 송신 에러가 발생한다.
이 심볼의 위상 시프트 반복은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제, 심볼 Ai의 값이 수신기로부터 알려져 있고, 수신기가 위치 및 적용된 위상 시프트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수신기는 심볼 Ai 및 그 위상 시프트된 복사본을 수신할 때에 커넬 품질(canal quality)을 추론하는 관련 정보를 갖는다. 따라서, 심볼 Ai 및 그 위상 시프트된 모든 복사본은 참조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고속의 위상 시프트를 추적할 때, 심볼 Ai 및 그 위상이 시프트된 모든 복사본은 다른 심볼과 다중화되어 있으면서 DFTsOFDM 심볼 내에서 시간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므로 참조 신호로서 관계한다.
게다가, K 및 Q를 알맞게 선택함으로써 Q개의 심볼의 송신의 품질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 심볼의 그룹의 사이즈 Q 및 위상 시프트된 반복의 수 K는 그 그룹의 심볼에 필요하게 되는 송신의 품질에 관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K 및 Q는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정보 비트의 효과적인 부호화 속도에 직접 관련되어 있으므로, K 및 Q의 알맞은 선택은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송신의 품질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심볼의 그룹은 에러 발생이 적은 송신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는 심볼의 그룹으로부터 심볼의 송신에 대하여 발생하는 에러의 영향은 통신에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컨대, DFTsOFDM 심볼마다의 소여의 고정된 송신 전력에 대하여, K 및 Q는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의 전력과 나머지의 심볼의 전력 사이의 비에 직접 관련되어 있으므로, K 및 Q의 알맞은 선택은, 예컨대, 채널 추정 품질에 관한 목표 요건을 만족시키는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Q=M/4 및 K=2를 선택하면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반송하는 송신 전력의 2분의 1이 사용되고, 이 심볼의 그룹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서브캐리어의 2분의 1에 존재할 것이다(주파수 구조의 2분의 1을 점유하는 콤을 점유하고, 콤 1/2 주파수 구조라고 불린다)(두 서브캐리어마다 하나씩은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은 예컨대 50%의 오버헤드 및 콤 1/2 주파수 구조를 갖는 DMRS로서 알맞게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Q=M/8 및 K=2를 선택하면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반송하는 송신 전력의 4분의 1이 사용되고, 이 심볼의 그룹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서브캐리어의 2분의 1에 존재할 것이다(두 서브캐리어마다 하나씩은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은 예컨대 25%의 오버헤드 및 콤 1/2 주파수 구조를 갖는 DMRS로서 알맞게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Q=M/8 및 K=4를 선택하면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반송하는 송신 전력의 2분의 1이 사용되고, 이 심볼의 그룹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서브캐리어의 4분의 1에 존재할 것이다(네 서브캐리어마다 하나씩은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따라서, 주파수 구조의 4분의 1을 점유하는 콤을 점유하고, 콤 1/4 주파수 구조라고 불린다). 따라서,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은 예컨대 50%의 오버헤드 및 콤 1/4 주파수 구조를 갖는 DMRS로서 알맞게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Q 및 경우에 따라서 K는 목표 실효 부호화 속도가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의 송신에 대하여 달성되도록 선택될 수 있고, 소여의 수의 정보 비트를 반송하기 위해, Q를 증가시키는 것은 보다 많은 용장 비트의 수를 허용하고, K를 증가시키는 것은 반복의 수를 증가시킨다.
소여의 M에 대하여 K를 알맞게 선택하는 것은 L을 알맞게 선택하는 것과 동등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KL=M이기 때문이다. (K, L)의 알맞은 선택은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계열에 의해 사용되는 콤의 주파수 구조를 확정한다. 또한, Q의 알맞은 선택은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계열을 반송하는 것에 활용되는 전력량을 확정한다(사용되는 콤 내의 L개의 서브캐리어로의 전력 부스트 레벨, 또는 계열의 오버헤드, 또는 계열에 의해 사용되는 실효 부호화 속도의 인디케이터의 어느 하나로서 해석될 수 있다).
DFT는 이산 푸리에 변환을 의미한다.
IDFT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을 의미한다.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심볼 Xn의 샘플 및 무선 신호 내의 심볼 Xn의 샘플은 각각 DFT를 적용한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결과 및 심볼 Xn을 제외하고 심볼이 0으로 설정되는 심볼의 블록(그러한 심볼의 블록은 X(n)이라고 불린다)에 대한 DFTsOFDM 방식의 처리의 IDFT의 출력에 있어서의 결과를 의미한다. 유추하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심볼 Ai의 샘플 및 무선 신호 내의 심볼 Ai의 샘플에 의해 각각 DFT를 적용한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결과 및 심볼 Ai를 포함하는 심볼을 제외하고, 즉 인 심볼 을 제외하고 심볼이 0으로 설정되는 심볼의 블록에 대한 DFTsOFDM 방식의 처리의 IDFT의 출력에 있어서의 결과가 이해된다.
이들 정의는 DFT 및 DFTsOFDM 방식이 선형 방식이므로 관련이 있다.
게다가, 겹치는 경우가 있는 각 심볼 Xn(또는 심볼 Ai)의 샘플은 DFT에 의해 출력되는 무선 신호 및/또는 주파수 영역 신호에 기여한다. 블록 심볼 X=(X0, …, XM-1)에 대하여 방식을 적용하는 것으로부터 유래되는 무선 신호는 n이 0~M-1의 정수인 심볼 Xn의 샘플의 합과 같다. 여기서, 상이한 심볼 Xn의 샘플은, 수학적 관점으로부터, IDFT의 사이즈 N 및 송신 안테나의 개수를 차원으로서 갖는 다차원 구조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심볼의 블록의 심볼 Xn의 무선 신호 내의 샘플에 의해 Xn의 값이 ρn으로 설정된 블록 X(n)에 DFTsOFDM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무선 신호 내의 샘플이 취득될 수 있는 값 ρn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심볼 Ai의 무선 신호 내의 샘플은 위치 ni+mL에 있는 심볼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의된다. 즉, 심볼 Ai의 샘플은 인 심볼 의 샘플의 합이다. 값 ρn은 이하에서는 심볼의 블록의 심볼 Xn의 샘플의 대응하는 값(또는 심볼 Xn의 대응하는 값)이라고 불린다.
이것은 심볼 Xn 또는 심볼 Ai의 무선 신호 내의 샘플만을 정의하고 있지만 그러한 샘플이 취득될 수 있는 방법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제, 심볼 Xn 또는 심볼 Ai의 무선 신호 내의 샘플은 상이한 방법으로도 취득될 수 있다.
예컨대, 심볼의 블록 내의 위치 ni+mL에 있는 심볼 은 각각 값 로 설정되고 DFTsOFDM 방식이 이 심볼의 블록에 적용된다(DFT 이전(pre-DFT) 통합이라고 불린다).
다른 예에서는, 심볼의 블록 내의 위치 ni+mL에 있는 심볼 은 심볼의 블록 내에서 각각 0으로 설정되고, 심볼 Ai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이 DFT의 출력 또는 IDFT의 입력에 있어서 가산된다(DFT 이후(post-DFT) 통합이라고 불린다).
또 다른 예에서는, 심볼의 블록 내의 위치 ni+mL에 있는 심볼 은 심볼의 블록 내에서 각각 0으로 설정되고, 심볼 Ai의 무선 신호에 있어서의 샘플이 IDFT의 출력에 있어서 가산된다(IDFT 이후(post-IDFT) 통합이라고 불린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무선 신호 내의 샘플 및 무선 신호 그 자체는 그 심볼이 특정한 값으로 설정되는 M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블록에 대한 DFTsOFDM 방식의 적용의 결과로서 완전하게 정의된다. 심볼 Xn의 샘플의 특정한 값은 심볼 Xn의 샘플의 대응하는 값이다. 샘플 Ai의 특정한 값은 0≤m<K인 심볼 의 샘플의 대응하는 값이다.
이들 특정한 값은 Q개의 심볼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또는 IDFT의 출력에 있어서 가산될 때의 이론적인 값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정의되는 Q개의 심볼 이외의 M-Q.K개의 심볼은 자유롭게, 즉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그들의 샘플이 콤 구조로 배치되도록 그들을 구현하거나 또는 그와 같이 구현하지 않고서 사용될 수 있고, 이들 심볼은 제어 데이터, 참조 신호 또는 유저 데이터 등의 임의의 타입의 심볼로부터 획득된다.
예컨대, Q개의 심볼 Ai는 (CAZAC 계열 또는 유리하게는 Zadoff-Chu 계열로부터 유래되는) 참조 신호일 수 있고 M-Q.K개의 다른 심볼은 유저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제어 데이터 및/또는 다른 타입의 참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Q개의 심볼 Ai는 유저 데이터일 수 있고 M-Q.K개의 다른 심볼은 참조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또는 유저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심볼 의 값 이다. 따라서, 은 심볼 Ai를 반송하는 심볼의 블록의 심볼 중 하나이다. 수신기 측에서는 0≤m<K인 심볼 의 샘플로부터 심볼 Ai가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다. 심볼 Ai는 예컨대 QPSK 변조 심볼과 같은 변조 심볼, 또는 CAZAC 계열 등의 소여의 계열로부터의 심볼 또는 예컨대 제어된 PAPR을 갖는 미리 정의된 계열로부터의 심볼이다. 심볼 은 위상 시프트를 갖는 심볼 Ai이다. 심볼 이 설정되는 값은 예컨대 디지털 변조 방식의 위상 시프트된 심볼일 수도 있고, CAZAC 계열 또는 제어된 PAPR을 갖는 다른 미리 정의된 계열로부터 취하여진 위상 시프트된 심볼일 수도 있다. 심볼 Ai의 샘플은 0≤m<K인 심볼 의 샘플과 동일하다.
인덱스 k 및 정수 K는 콤을 정의한다. 실제, (k; K)에 의해 정의되는 콤(이하 콤 k라고 한다)은 주파수 인덱스 k, k+K, k+2K, …, k+(L-1)K를 갖는 서브캐리어를 점유한다. 따라서, Q개의 심볼 Ai는 콤 k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만을 점유한다.
송신 안테나는 M개의 주파수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즉, 그러한 송신 안테나에 의해 방출되는 신호는 M개의 할당된 서브캐리어마다 하나씩의, M개의 복소 심볼에 N 사이즈 IDFT를 적용함으로써 제공된다. IDFT에 선행하여, M개의 서브캐리어가 서브캐리어 매핑 모듈에 의해 보다 많은 수의 N개의 서브캐리어에 매핑될 수 있다. 이들 서브캐리어 중 N-M개는 0으로 설정되므로 할당되지 않는 서브캐리어이고, M개의 다른 서브캐리어는 M개의 복소 심볼이 매핑되는 M개의 할당된 서브캐리어이다. 이 경우 IDFT 모듈은 사이즈 N으로 이루어진다.
무선 신호는 송신 안테나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로서 이해된다.
심볼의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는 이 방식은 DFTsOFDM 방식이다. 즉, DFT 모듈, 서브캐리어 매핑 모듈 및 IDFT 모듈이 연속적으로 적용된다.
즉, M 사이즈 DFT가 심볼의 블록 X=(X0, …, XM - 1)에 적용되고,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복소 심볼 Sk가 취득된다. 송신 안테나에 대응하는 I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한 복소 심볼 Sk 또는 Sk의 함수를 나타내는 신호가 취득된다.
따라서, Q개의 심볼을 DFT 이전 방법 또는 IDFT 이후 방법으로 통합할 때, 이 방식은,
- M 사이즈 DFT를 심볼의 블록 X=(X0, …, XM - 1)에 적용하고,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복소 심볼 Sk를 취득하는 것과,
- 송신 안테나에 대응하는 I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한 복소 심볼 Sk를 나타내는 신호를 취득하는 것
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게다가, Q개의 심볼을 DFT 이후 방법으로 통합할 때, 이 방식은,
- M 사이즈 DFT를 심볼의 블록 X=(X0, …, XM - 1)에 적용하고,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복소 심볼 Sk를 취득하는 것과,
- 송신 안테나에 대응하는 I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하여, Q개의 심볼의 k번째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이 가산된 복소 심볼 Sk를 나타내는 신호를 취득하는 것
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Q개의 심볼을 송신하는 것은, 각 i 및 각 m에 대하여, 심볼 을 값 로 설정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Q개의 심볼은 DFT 이전 레벨에 있어서 심볼의 블록에 통합된다. 그러한 구현은 임의의 표준적인 방사기에 있어서 용이하게 적응될 수 있고, 그 결과, 모든 송신기에 있어서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Q개의 심볼의 샘플의 IDFT 이후 처리 또는 메모리 기억 등의 추가의 조작은 필요 없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방법은 DFT를 적용하기 전에 인 심볼 의 값을 0으로 설정하는 것과, I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 후속의 신호를 취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각 i 및 각 m에 대하여, Q개의 심볼을 송신하는 것은 I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의 상기 후속의 신호에 샘플을 가산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것은 Q개의 심볼 이외의 심볼의 블록의 M-Q.K개의 심볼만을 DFTsOFDM과 비슷한 방식을 통해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Q개의 심볼은 심볼의 블록의 다른 심볼과 상이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Q개의 심볼의 샘플을 단 한 번만으로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예컨대 Q개의 심볼의 샘플 및/또는 다른 심볼의 샘플에 대하여 적용되는 특정한 처리에 의해 Q개의 심볼의 샘플과 다른 심볼의 샘플의 간섭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Q개의 심볼의 샘플은 다른 심볼과는 별개로 계산되어, Q개의 심볼을 샘플 의 대응하는 값으로 DFT 이전에 설정함으로써, 즉 인 심볼 의 값을 상기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취득된 것과 동일한 또는 적어도 동등한(즉, 고전력 샘플과 관련하여 동일한) 샘플을 취득한다. 이 Q개의 심볼의 샘플은 의 대응하는 값(즉, )으로 설정된 인 심볼 의 값을 갖는 심볼의 블록에 대하여 특정한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된 샘플일 수 있고, 심볼의 블록의 다른 심볼의 값은 0으로 설정된다.
후속의 신호는 IDFT의 출력에 있어서 DFTsOFDM과 비슷한 방식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이고, 이 신호는 이 경우에 심볼 의 값이 의 적어도 몇몇의 쌍에 대하여, 유리하게는 모두에 대하여 0으로 설정되는 심볼의 블록에 이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취득된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방법은 DFT를 적용하기 전에 인 심볼 의 값을 0으로 설정하는 것과, 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 후속의 신호를 취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각 i 및 각 m에 대하여, Q개의 심볼을 송신하는 것은 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의 상기 후속의 신호에 샘플을 가산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것은 Q개의 심볼 이외의 심볼의 블록의 M-Q.K개의 심볼만을 DFT를 통해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Q개의 심볼은 심볼의 블록의 다른 심볼과 상이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Q개의 심볼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을 단 한 번만으로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예컨대 특정한 처리(예컨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의 필터링)에 의해 Q개의 심볼의 샘플과 다른 심볼의 샘플의 간섭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Q개의 심볼의 샘플은 DFT에 관하여 다른 심볼과는 별개로 계산되어, Q개의 심볼을 샘플 의 대응하는 값으로 DFT 이전에 설정함으로써, 즉 인 심볼 의 값을 상기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취득된 것과 동일한 또는 적어도 동등한(즉, 고전력 샘플과 관련하여 동일한) 샘플을 취득한다. 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 가산된 Q개의 심볼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은 의 대응하는 값(즉 )으로 설정된 인 심볼 의 값을 갖는 심볼의 블록에 대하여 DFT를 적용함으로써 계산된 샘플일 수 있고, 심볼의 블록의 다른 심볼의 값은 0으로 설정된다.
후속의 신호는 DFT의 출력에 있어서 DFTsOFDM과 비슷한 방식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이고, 이 신호는 이 경우에 심볼 의 값이 의 적어도 몇몇의 쌍에 대하여, 유리하게는 모두에 대하여 0으로 설정되는 심볼의 블록에 DFT를 적용함으로써 취득된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Qp개의 심볼 (; …, )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K'개의 그룹이 무선 신호에 있어서 송신되고, Qp는 엄밀하게 양의 정수이고, 이고, K'≤K이고, 상기 방법은 각 p에 대하여,
- 정수 kp와 심볼의 블록 내의 Qp개의 위치 및 0≤kp<K, 와 같이 구하는 것과,
- Qp개의 심볼을 무선 신호를 통해 송신하는 것으로서, 각 i에 대하여, 무선 신호 내의 심볼의 샘플 는 M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블록에 DFT를 적용하고 IDFT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결과와 같고, 위치 에 있는 심볼 의 값은 각각 이고, 인 것
을 포함한다.
이것은 DFTsOFDM 방식의 싱글 캐리어 특성을 유지하면서 각 그룹의 심볼의 샘플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콤 구조로 배치되도록 몇몇의 심볼의 그룹을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 콤은 그 인덱스 kp 및 K에 의해 정의된다. 실제, (kp; K)에 의해 정의되는 콤(이하 콤 kp라고 한다)은 주파수 인덱스 kp, kp+K, kp+2K, …, kp+(L-1)K를 갖는 서브캐리어를 점유한다. 따라서, 각 콤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상이한 주파수를 점유하고, 다른 콤과 겹치지 않는다. 따라서, Qp개의 심볼 로 이루어지는 각 그룹은 다른 그룹과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직교하도록 처리되고, 이것은 수신기 측에 있어서 Qp개의 심볼 로 이루어지는 각 그룹을 무선 신호로부터 용이하게 회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직교하는 것은 수신기 측에 있어서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서로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수신기에 있어서의 주파수 영역 처리를 단순화한다.
각 심볼의 그룹은 특정한 타입의 심볼 예컨대 참조 신호 또는 다른 제어 데이터 또는 유저 데이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그룹의 모든 심볼은 수신기 측에 있어서 상이한 타입의 심볼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특정한 타입의 심볼일 수 있고, 이것은, 상이한 타입의 심볼을 서로 독립하여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복수의 타입의 심볼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수신기 측에 있어서 상이한 타입의 처리를 필요로 하는 심볼의 그룹이 하나의 DFTsOFDM 심볼 내에서 다중화될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에 있어서의 그러한 처리는 참조 신호를 추출하여 무선 신호를 변경한 채널 섭동(위상 시프트, 진폭 등)을 평가하고 이들 섭동을 보상하도록 복호화 모듈을 적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것은, 무선 신호의 복호화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 심볼의 그룹의 사이즈 Qp는 그 그룹의 심볼에 필요하게 되는 송신의 품질에 관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심볼의 그룹은 에러 발생이 적은 송신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심볼의 그룹으로부터 심볼의 송신에 대하여 발생하는 에러의 영향은 통신에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 이고 인 경우에는, 심볼 Xn의 값은 DFT를 적용하기 전에 0으로 설정된다.
이것은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K'개의 그룹의 심볼의 송신을 강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 Qp개의 심볼 로 이루어지는 각 그룹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직교하고 있고, 심볼의 블록의 다른 심볼은 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들 다른 심볼로부터의 간섭이 발생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K'<K이다.
이것은 콤을 사용되지 않은 채로 남기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사이즈 L의 최대 K개의 콤이 사용될 수 있고, K'<K로 설정하면 K'개의 콤만이 사용되고 K-K'개의 콤은 사용되지 않은 채로 남겨진다. 이들 사용되지 않은 콤은, 다른 사용되는 콤과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직교하고 있고, 다른 방사기에 의해 구현되는 송신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기지국과 통신하는 2개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이한 콤을 사용하여 업링크 송신을 구현할 수 있고, 그 결과, 기지국에서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각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K'=K이다.
이것은 송신에 있어서 모든 콤을 사용하는 것, 즉, 송신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모든 서브캐리어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심볼의 블록의 심볼 사이의 간섭을 줄이고 송신 용량을 높인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p에 대하여, L=Qpc이고, c는 양의 정수이고, 이다.
이 경우에는, Qp개의 심볼을 반송하는 심볼의 블록 내의 심볼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콤에 배치된다. 심볼의 블록에 대하여 DFT를 적용할 때에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Qp개의 심볼의 샘플은 콤 kp에 있다. 게다가,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콤 구조에 기인하여, 서브캐리어 kp를 점유하는 Qp개의 심볼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은 서브캐리어 kp+KQp, kp+2KQp, …, kp+(c-1)KQp를 점유하는 샘플과 동일하다.
서브캐리어 kp+K를 점유하는 Qp개의 심볼의 심볼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은 서브캐리어 kp+K(Qp+1), kp+K(2Qp+1), …, kp+K((c-1)Qp+1)을 점유하는 샘플과 동일하다.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KQp의 스텝을 갖는 이 반복 패턴은 kp+2K, …, kp+(Qp-1)K를 점유하는 Qp개의 심볼의 샘플과 함께 발생한다.
그 결과,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Qp개의 심볼의 샘플은 반복 구조를 갖는다. 이 반복 구조는 심볼을 회수하는 계산의 복잡함을 줄인다. 실제, 수신기는 동일한 복소 심볼을 상이한 서브캐리어에서 여러 번 수신할 것이고, 이것은,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 동안의 이들 복소 심볼의 열화의 영향 및 간섭의 영향을 줄인다.
게다가, 이 반복 구조는 특히 심볼이 DFT 이전 방법으로 통합되어 있지 않을 때에 Qp개의 심볼을 처리하는 계산의 복잡함을 줄인다. 실제, 그 경우에는, 콤 kp의 최초의 Qp개의 서브캐리어 상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 즉 kp, kp+K, kp+2K, …, kp+(Qp-1)K에 의해 인덱싱되는 콤 kp의 서브캐리어 상의 샘플만이 계산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심볼의 위상 시프트의 반복은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고속의 위상 시프트를 추적하기 위해, Qp개의 심볼을 반송하는 심볼의 블록 내의 심볼이 시간 영역에 있어서 콤에 배치되어 있을 때가 유리하고, 이것은, 그 경우에, DFTsOFDM 심볼에 있어서 심볼 Ai 및 그 위상 시프트된 모든 복사본이 시간적으로 분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심볼 Ai 및 그들의 위상 시프트된 복사본도 시간적으로 분산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Qp개의 심볼을 반송하는 심볼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c의 스텝을 갖는 콤에 배치된다. 그 결과, 이 구조는 참조 신호의 통합에 특히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p에 대하여, 이다.
이 경우에는 Qp개의 심볼을 반송하는 심볼의 블록 내의 심볼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국재화된 방법으로 배치된다. 즉, 0~K-1의 각 m에 대하여, 심볼 , , …, 은 심볼의 블록 내에서 인접한 심볼이다.
따라서, 수신기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Qp개의 심볼을 다른 심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실제, 심볼의 블록 내의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인접한 심볼은 DFTsOFDM 방식이 적용되면 무선 신호 내에서 인접한 샘플을 생성한다. 따라서, 수신기는 무선 신호 내의 이들 인접한 샘플을 (예컨대 시간 창을 사용하여) 그들 샘플이 DFTsOFDM 심볼에 있어서 분산되어 있는 경우(K.L개의 시간 창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보다 덜 복잡한 방법(많아도 K개의 시간 창이 필요하게 된다)으로 추출할 수 있다.
게다가, 심볼의 블록 내의 M-Qp개의 다른 심볼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Qp개의 심볼에 덜 간섭한다. 실제, Qp개의 심볼은 시간적으로 인접한 심볼의 A0(, , , 등)을 반송하는 최초의 심볼과 (, , , 등)을 반송하는 최후의 심볼에 의해 다른 심볼로부터의 간섭으로부터 보호된다.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콤 구조에 기인하여, Qp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의 추출된 부분에 대한 간섭을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국재화된 구조에 기인하여,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Qp개의 심볼의 샘플은 Qp개의 심볼 (A0, …, )에 대하여 적용되는 Qp 사이즈 DFT의 결과의 오버샘플링이다. CAZAC 계열, 보다 구체적으로는 Zadoff-Chu 계열에 대하여 적용되는 그러한 Qp 사이즈 DFT의 결과도, 각각 CAZAC 계열, Zadoff-Chu 계열이다. 이 결과의 오버샘플링은 이들 Q개의 심볼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CAZAC 계열 또는 Zadoff-Chu 계열로부터 생성된다)이다. 이 오버샘플링은 낮은 포락선 변동, 즉, 낮은 PAPR을 갖고, 약간의 직교 다중화 용량을 갖는다. 게다가, 그러한 오버샘플링은 Qp개의 심볼의 샘플을 낮은 계산 복잡함으로 주파수 영역에 직접 가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방법을 실행하는 코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적어도 Q개의 심볼(A0; …; AQ-1)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 신호에 있어서 송신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상기 무선 신호는 적어도 M개의 상이한 주파수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방사기에 의해 방사되도록 의도되고, M은 L.K와 같고, L 및 K는 엄밀하게 양의 정수이고, Q는 엄밀하게 L보다 작은 엄밀하게 양의 정수이고, 상기 무선 신호는,
- M 사이즈 DFT 모듈을 심볼의 블록 X=(X0, …, XM - 1)에 적용하고,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복소 심볼 Sk를 취득하는 것과,
- 송신 안테나에 대응하는 I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한 복소 심볼 Sk를 나타내는 신호를 취득하는 것과,
- 신호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것
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 심볼의 블록 내의 Q개의 위치 ni와 같이 구하는 것과,
- Q개의 심볼을 무선 신호를 통해 송신하는 것
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각 i에 대하여, 무선 신호 내의 심볼의 샘플 ai는 M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블록에 DFT를 적용하고 IDFT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결과와 같고, 위치 ni+mL에 있는 심볼 의 값은 각각 이고, k는 0≤k<K의 정수이고, m은 0≤m<K의 정수이고, j는 허수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의 그림에, 한정으로서가 아닌 예로서 나타내어지고,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비슷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참조한다.
도 1은 DFTsOFDM 타입의 송신기 및 수신기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DFTsOFDM 송신기의 블록도를 도식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볼의 블록 내의 Q개의 심볼의 국재화의 일례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Q개의 심볼의 DFT 이전 통합의 블록도를 도식화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Q개의 심볼의 DFT 이후 통합의 블록도를 도식화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Q개의 심볼의 IDFT 이후 통합의 블록도를 도식화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심볼의 DFT 이전 통합의 스텝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심볼의 DFT 이후 통합의 스텝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심볼의 IDFT 이후 통합의 스텝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신호를 수신기(1.2)에 송신하는 송신기(1.1)가 나타나 있다. 수신기(1.2)는 송신기(1.1)의 셀 내에 존재한다. 이 송신은 OFDM 베이스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DFTsOFDM 베이스의 송신이다. 이 예에서는 송신기(1.1)는 고정국이고 수신기(1.2)는 모바일 단말이고, LTE에 있어서는 그들은 기지국 및 유저 기기라고 불릴 것이다. 송신기(1.1)는 모바일 단말일 수도 있고 수신기(1.2)는 고정국일 수도 있다.
송신기(1.1)는 하나의 통신 모듈(COM_trans)(1.3)과, 하나의 처리 모듈(PROC_trans)(1.4)과, 메모리 유닛(MEMO_trans)(1.5)을 구비한다. MEMO_trans(1.5)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회수하는 비휘발성 유닛과 심볼 통합 파라미터를 회수하는 휘발성 유닛을 구비한다. PROC_trans(1.4)는 본 발명에 따른 Q개의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COM_trans(1.3)는 수신기(1.2)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신 모듈(1.3), 처리 모듈(1.4) 및 메모리 유닛(1.5)은, 전술한 바와 같이, Q개의 심볼을 송신하는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수신기(1.2)는 하나의 통신 모듈(COM_recei)(1.6)과, 하나의 처리 모듈(PROC_recei)(1.7)과, 메모리 유닛(MEMO_recei)(1.8)을 구비한다. MEMO_recei(1.8)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회수하는 비휘발성 유닛을 구비한다. PROC_recei(1.7)는 무선 신호로부터 Q개의 심볼을 회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COM_recei(1.6)는 송신기(1.1)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DFTsOFDM 송신기(1.1)의 블록도가 나타나 있다. 그러한 DFTsOFDM 송신기는 심볼의 블록(X0, …, XM - 1)에 대하여 DFTsOFDM 방식을 적용하여 무선 신호를 취득한다. 그러한 DFTsOFDM 방식은, DFT의 입력에 존재하는 심볼의 블록의 PAPR에 따라, 낮은 피크 대 평균 전력 비(PAPR)를 보증하는 싱글 캐리어 특성을 갖는다. 도 2의 예에서는 DFTsOFDM 송신기는 하나의 송신 안테나 Tx(2.0)에 있어서 방사함으로써 무선 신호를 방사하고, 이것은 한정적이지 않고, DFTsOFDM 송신기는 몇몇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M 사이즈 DFT(이산 푸리에 변환) 모듈(2.1)이 심볼의 블록 X=(X0, …, XM - 1)에 적용된다. 심볼의 블록의 심볼은 QPSK 디지털 변조 방식 또는 QAM과 같은 다른 임의의 디지털 변조 방식에 의해 취득될 수도 있고, 제어된 PAPR을 갖는 계열(예컨대, CAZAC 계열)의 심볼일 수도 있다.
DFT 모듈(2.1)의 출력에 있어서, M개의 복소 심볼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취득되고, 이들 심볼은 이다. 즉, M개의 할당된 서브캐리어 중 l번째 서브캐리어마다 하나의 복소 심볼이 취득된다. 이들 복소 심볼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매핑 모듈(2.2)을 이용하여, N 사이즈 IDFT 모듈(2.3)의 N개의 입력 중 M개의 입력에 매핑된다. 이 서브캐리어 매핑에 관하여, 복소 심볼의 벡터 S=이 서브캐리어 매핑 모듈(2.2)을 통해서 N개의 존재하는 서브캐리어 중 M개의 할당된 서브캐리어에 매핑된다. 이 서브캐리어 매핑은 예컨대 국재화될 수 있다. 즉, 벡터 S의 M개의 요소는 N개의 존재하는 서브캐리어 중 M개의 연속한 서브캐리어에 매핑된다. 서브캐리어 매핑은 예컨대 분산될 수 있다. 즉, 벡터 S의 M개의 요소는 대역폭 전체에 걸쳐 등거리로 매핑되고, 사용되지 않는 서브캐리어를 0이 점유한다.
다음으로, N 사이즈 역 DFT 모듈(2.3)이 서브캐리어 매핑 모듈(2.2)의 결과 벡터 에 적용되고, 그 결과, 송신 안테나(2.0)를 통해서 송신되는 DFTsOFDM 심볼이 생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IDFT 모듈(2.3)의 출력에 있어서, 신호 이 취득된다. 이 신호는, DFTsOFDM 심볼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 동안, N개의 존재하는 서브캐리어 중 M개의 할당된 서브캐리어를 점유한다. 이 신호 는, 이 시간 간격 동안, 그 주파수 영역 표현이 l=0~M-1인 각 l번째 점유된 서브캐리어의 복소 심볼 Sl인 시간 영역 신호이다. 이 시간 영역 신호 는 DFTsOFDM 심볼에 대응한다. 따라서, 신호 내의 샘플은 DFTsOFDM 심볼 내의 샘플을 가리킨다.
IDFT 이후에 임의 선택으로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부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심볼의 블록 내의 Q개의 심볼의 국재화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Q개의 심볼은 콤 구조로 배치된 이들 Q개로부터 유래하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을 취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심볼의 블록 X=(X0, …, XM -1) 내의 특정한 위치에 위치된다.
각 심볼 Ai에 대하여, 위상 시프트된 반복이 심볼의 블록의 심볼 에 있어서 조작된다. 즉, 위치 ni+mL에 있어서의 심볼 로 각각 설정된다. 따라서, m이 1~K-1인 심볼 로 설정되는 로부터의 위상 시프트된 반복이다. 따라서, 심볼 , , …, 은 심볼 Ai의 시프트된 반복이다.
그러한 심볼의 블록에 대하여 M 사이즈 DFT 모듈(2.1)을 적용하면, Q개의 심볼, 즉, 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래하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복소 심볼만이 k번째 콤을 점유하는 복소 심볼이다. 이들 복소 심볼은 Sk, Sk +K, …, Sk + (L-1)K이다. 따라서,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Q개의 심볼의 샘플은 k번째 콤의 서브캐리어만을 점유한다. k번째 콤 또는 콤 k는 m이 0~K-1인 인덱스 k+m.K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서브캐리어 콤이다.
간략화하기 위해, 도 3에 있어서, Sk + qK는 Q개의 심볼만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즉, Sk + qK=A'(q)이고, A'(q)는 인 Ai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ni+m.L과 상이한 위치에 있는 심볼이 0이 아닌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이들 심볼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은 k번째 콤의 서브캐리어를 점유할 수 있다. 이들 샘플은 Q개의 심볼에 관하여 간섭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DFT는 Q개의 심볼이 사전에 통합되어 있는 심볼의 블록에 대하여 적용된다. 그러한 실시형태는 Q개의 심볼의 DFT 이전 통합이라고 불린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Q개의 심볼의 통합이 DFT 이전 통합인 DFTsOFDM 송신기의 블록도이다.
적용되는 DFTsOFDM 방식은 도 2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M 사이즈 DFT 모듈, 서브캐리어 매핑 모듈 및 N 사이즈 IDFT 모듈이 심볼의 블록 X=(X0, …, XM - 1)에 연속적으로 적용되어 Tx에 의해 방사되는 무선 신호가 취득된다. Q개의 심볼의 DFT 이전 통합에 있어서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심볼 의 값은 로 설정된다.
변조기 모듈(4.0)은 심볼의 블록 내의 인 위치 ni+mL과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 변조 심볼을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통합기 모듈(4.1)은 로 설정된 심볼 을 심볼의 블록에 가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합기 모듈(4.1)은 심볼의 블록 내의 인 위치 ni+mL과 충돌하지 않는 위치로의 변조 심볼의 삽입을 회피하도록 변조기 모듈(4.0)에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변조기 모듈(4.0)을 그와 같이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Q개의 심볼의 통합에 선행하여, 통합기 모듈(4.1)은 와 같은 심볼의 블록 내의 Q개의 위치 ni를 구한다.
통합기 모듈(4.1)은 인 위치 ni를 사전에 구성함으로써 정적인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의 구성도 사전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예컨대, 수 Q마다 하나의 구성, 또는 수 Q마다 한정된 수의 구성이 사전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구성은 암묵적인 방법으로(예컨대 송신기에 의해 알려져 있는 다른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행하여질 수도 있고, 명시적인 방법으로(예컨대, 제어 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에 의해 주어지는 예컨대 명령에 근거하여) 행하여질 수도 있고, 그들 2개의 조합으로 행하여질 수도 있다.
도 3에 설명된 사례에서는, Q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그룹만이 본 발명에 따라서 심볼의 블록으로 통합된다. 그렇지만, 각 그룹이 상이한 콤에 관계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몇몇의 심볼의 그룹이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합될 수 있다.
Qp개의 심볼 (; …; )로 이루어지는 K'개의 그룹이 심볼의 블록에 통합되는 경우에는, 통합기 모듈(4.1)은, 1~K'의 각 p에 대하여, 및 0≤kp<K, 와 같이 정수 kp 및 심볼의 블록 내의 Qp개의 위치 를 구한다.
통합기 모듈(4.1)은, 다음으로, 로 설정된 심볼 을 심볼의 블록 내의 위치 에 가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조기 모듈(4.0)은 그것에 따라 구성된다. 심볼의 Qp개의 그룹의 각각은, 그 결과, 하나의 심볼의 그룹만이 본 발명에 따라서 통합되는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통합된다.
게다가, DFT가 적용된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각 그룹으로부터 유래되는 복소 심볼은, 상이한 콤의 서브캐리어에 있다. 따라서,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은 kp번째 콤에 있는 한편,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은 kp'번째 콤에 있다. 이와 같이, 상이한 그룹의 심볼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은 중첩하지 않고,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직교하고 있다.
각 심볼의 그룹의 주파수 영역 직교성으로 인해, 각 그룹으로부터의 심볼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Q개의 심볼(하나의 심볼의 그룹만이 통합되어 있는 경우) 또는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K'개의 그룹의 심볼이 완전한 심볼의 블록을 점유하지 않는 경우, 그 심볼의 블록의 다른 심볼을 0으로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심볼의 블록의 다른 심볼로부터의 간섭이 통합된 심볼에 대하여 발생하는 것을 회피한다. 변조기 모듈(4.0)은, 다음으로, 심볼이 통합기 모듈(4.1)에 의해 통합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 있어서의 심볼을 0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변조기 모듈(4.0)의 출력에 있어서의 심볼의 블록은 0으로만 구성된다.
몇몇의 심볼의 그룹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K'개의 상이한 콤을 사용하여 통합되어 있는 경우, 콤의 수 K'는 엄밀하게 K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콤 k1, …, kK '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모든 서브캐리어를 점유하지 않고, 적어도 다른 콤을 형성하는 서브캐리어의 그룹이 사용되지 않은 채로 남져진다. 따라서, 송신기(1.1)와 같은 몇몇의 송신기가 가까이에 있고 서로의 신호에 간섭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을 때, 하나의 송신기는 콤 k1, …, kK '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심볼을 방사할 수 있고, 다른 송신기는 상이한 콤, 즉, m이 0~L-1이고 k가 k1, …, kK'와 상이한 인덱스 k+mK를 갖는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콤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에 의해 방사되는 무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직교하고 있고, 따라서, 그들 무선 신호는 서로에 대한 간섭을 유발하지 않고, 수신기에서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것은 송신기가 기지국의 동일한 셀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이고, 따라서, 통합이 업링크 송신에 있어서 구현될 때에 특히 관련이 있다. 이것은, 송신기가, 예컨대, 도시부의 상황에 있어서 서로 가까운 기지국일 때에도 관련이 있다.
송신기(1.1)가 모든 서브캐리어를 점유하지 않는 콤을 사용하는 실시형태의 대체 형태로서, 송신기(1.1)는 모든 서브캐리어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라서 심볼의 K'개의 그룹을 통합한다. 즉, K'=K이다. 따라서, 서브캐리어의 각각은 하나의 콤 k1~kK '에 관계된 인덱스를 갖는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에 모든 콤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즉,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K'개의 그룹의 심볼을 송신하기 위해 송신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모든 서브캐리어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최대 서브캐리어가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K'개의 그룹의 심볼의 송신에 사용되는 것에 의해 간섭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다른 실시형태와 조합하여,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의 심볼은 심볼의 블록 내의 콤, 즉, 시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쌍 마다, 2개의 심볼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의 심볼을 반송한다)이 심볼의 블록 내의 c-1개의 위치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즉, 심볼의 블록 내의 Qp개의 위치 와 같이 구하여진다. 단, L=Qpc이고, c는 양의 정수이다. 따라서, 통합기 모듈(4.1)은 이들 구하여진 위치에 따라서 심볼의 블록 내의 위치에 로 설정된 심볼 을 가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서브캐리어 kp를 점유하는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의 심볼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이 서브캐리어 kp+KQp, kp+2KQp, …, kp+(c-1)KQp를 점유하는 샘플과 동일한 것을 수반한다. 심볼의 블록 내의 다른 심볼이 0이거나 또는 다른 심볼도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콤을 점유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 즉, 다른 심볼로부터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소 심볼 , , , …, 는 동일하다.
서브캐리어 kp+K를 점유하는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의 심볼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은 서브캐리어 kp+K(Qp+1), kp+K(2Qp+1), …, kp+K((c-1)Qp+1)을 점유하는 샘플과 동일하다. 심볼의 블록 내의 다른 심볼이 0이거나 또는 다른 심볼도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콤을 점유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 즉, 다른 심볼로부터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소 심볼 , , , …, 은 동일하다.
kp+2K, …, kp+(Qp-1)K를 점유하는 샘플도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된다.
그 결과,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의 심볼의 샘플은 반복 구조를 갖는다. 이 반복 구조는 심볼을 회수하는 계산의 복잡함을 줄인다. 실제, 수신기는 동일한 복소 심볼을 상이한 서브캐리어에서 여러 차례 수신할 것이고, 이것은 이들 복소 심볼의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 동안의 열화의 영향 및 간섭의 영향을 줄인다.
대안적으로 또는 다른 실시형태와 조합하여,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의 심볼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심볼의 블록 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각 쌍 에 대하여, 2개의 심볼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그룹의 심볼을 반송한다)은 심볼의 블록 내의 인접한 위치에 있다. 즉, 이다. 따라서, 통합기 모듈(4.1)은 심볼의 블록 내의 이들 구하여진 위치에 따라서 로 설정된 심볼 을 가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Q(또는 Qp)개의 심볼은 제어 데이터, 참조 신호 또는 유저 데이터 등의 임의의 타입의 심볼의 심볼일 수 있다. Q개의 심볼이 참조 신호 심볼일 때, 유리하게는, Q개의 심볼이 CAZAC 계열로서 선택될 수 있고, 유리하게는, Q개의 심볼이 Zadoff-Chu 계열로서 선택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Q개의 심볼의 DFT 이후 통합의 블록도가 나타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K'개의 그룹의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심볼의 블록에서의 Q개의 심볼의 통합은 행하여지지 않는다(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볼의 블록의 심볼의 값을 직접 설정함으로써 행하여지지 않는다). 통합은 DFT 이후에 행하여진다.
적용되는 방식은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고, 따라서, 상이한 모듈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이용하여 참조될 것이다.
변조기 모듈(5.0)은 DFT 모듈(2.1)을 적용하기 전에 인 심볼 의 값을 0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조기 모듈(5.0)은 위치 구성을 송신할 수 있는 통합기 모듈(5.1)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심볼의 블록의 다른 심볼은 변조기 모듈(5.0)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불완전한 심볼의 블록 XZero에 대하여, DFT 모듈(2.1)이 적용된다. DFT 모듈(2.1)의 출력에 있어서, M개의 복소 심볼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취득되고, 이들 복소 심볼은 이다. 이들 M개의 복소 심볼은 DFT 모듈(2.1)의 출력에 있어서 후속의 신호를 형성한다.
통합기 모듈(5.1)은 DFT 모듈(2.1)의 출력에 있어서 이 후속의 신호 SZero에 신호 SIncor을 가산한다. 신호 SIncor은 예컨대 인 심볼 의 사전에 계산된 샘플이다. 즉, 심볼의 블록 내의 인 심볼 의 값을 설정하는 대신에, 예컨대 이들 심볼의 값이 전술한 바와 같이 DFT 이전에 (심볼의 블록에서 직접) 설정된 경우에, DFT의 출력에 있어서, 취득된 샘플과 동일한 또는 적어도 동등한 샘플을 취득하도록 Q개의 심볼의 샘플이 계산된다. 예컨대, SIncor인 심볼 의 값이 각각 값 로 설정되는 심볼의 블록에 DFT를 적용함으로써 취득될 수 있다.
다음으로, SIncor 및 SZero의 합으로부터 얻어진 복소 심볼이, 도 2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캐리어 매핑 모듈(2.2)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N 사이즈 IDFT 모듈(2.3)의 N개의 입력 중 M개에 매핑된다. 다음으로, N 사이즈 역 DFT 모듈(2.3)이 서브캐리어 매핑 모듈(2.2)의 결과 벡터 에 적용되고, 그 결과, 송신 안테나(2.0)를 통해서 송신되는 DFTsOFDM 심볼이 생성된다.
신호 SIncor 및 SZero를 가산하기 전에, 값이 0으로 설정된 인 심볼 의 신호 SZero 내의 샘플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도 엄밀하게 0과 같은 것을 확보하기 위해 신호 SZero를 필터링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이것은 신호 SIncor에 대한 신호 SZero의 간섭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Q개의 심볼이 DFT 모듈(2.1)의 출력(DFT 이후)에 있어서 통합되는 도 5의 실시형태에서는, 가산기의 출력에 있어서 취득되는 신호 S는 Q개의 심볼이 DFT 이전에 통합될 때의 DFT 모듈(2.1)의 출력에 있어서의 신호와 동일(또는 적어도 동등)하다. 게다가, 가산기의 출력에 있어서 취득되는 신호 S는, 통합되어 있지 않은 심볼을 제외하고, 값이 0으로 설정되는 심볼의 블록 내의 심볼과, 인 심볼 의 샘플의 대응하는 값에 의해 완전하게 정의된다.
따라서, DFT 이전 통합(도 4)에 대하여 나타낸 모든 특징이 DFT 이후 통합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각 그룹의 통합은 DFT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통합기 모듈(5.1)은 인 위치 ni를 사전에 구성함으로써 정적인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의 구성도 사전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예컨대 수 Q마다 하나의 구성, 또는 수 Q마다 한정된 수의 구성이 사전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구성은 암묵적인 방법으로(예컨대 송신기에 의해 알려져 있는 다른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행하여질 수도 있고, 명시적인 방법으로(예컨대, 제어 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에 의해 주어지는 예컨대 명령에 근거하여) 행하여질 수도 있고, 그들 2개의 조합으로 행하여질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Q개의 심볼의 IDFT 이후 통합의 블록도가 나타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K'개의 그룹의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심볼의 블록에서의 Q개의 심볼의 통합도 행하여지지 않고(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볼의 블록의 심볼의 값을 직접 설정함으로써 행하여지지 않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파수 영역에서의 Q개의 심볼의 통합도 행하여지지 않는다. 통합은 IDFT 이후에 행하여진다.
적용되는 방식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고, 따라서, 상이한 모듈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이용하여 참조될 것이다.
변조기 모듈(6.0)은 DFT 모듈(2.1)을 적용하기 전에 인 심볼 의 값을 0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조기 모듈(6.0)은 위치 구성을 송신할 수 있는 통합기 모듈(6.1)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심볼의 블록의 다른 심볼은 변조기 모듈(6.0)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불완전한 심볼의 블록 XZero에 대하여, DFT 모듈(2.1)이 적용된다. DFT 모듈(2.1)의 출력에 있어서, M개의 복소 심볼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취득되고, 이들 복소 심볼은 이다.
이들 복소 심볼은, 도 2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매핑 모듈(2.2)을 이용하여, N 사이즈 IDFT 모듈(2.3)의 N개의 입력 중 M개에 매핑된다.
다음으로, N 사이즈 역 DFT 모듈(2.3)이 서브캐리어 매핑 모듈(2.2)의 결과 벡터 에 적용된다. IDFT 모듈(2.3)의 출력에 있어서, 신호 가 취득된다. 이 신호 는 그 주파수 영역 표현이 l=0~M-1인 각 l번째 점유된 서브캐리어의 복소 심볼 Sl,Zero인 시간 영역 신호이다.
이들 M개의 복소 심볼은 IDFT 모듈(2.3)의 출력에 있어서 후속의 신호를 형성한다.
통합기 모듈(5.1)은 IDFT 모듈(2.3)의 출력에 있어서 이 후속의 신호 에 신호 을 가산한다. 신호 인 심볼 의 사전에 계산된 샘플이다. 즉, 심볼의 블록 내의 인 심볼 의 값을 설정하는 대신에, 이들 심볼의 값이 전술한 바와 같이 DFT 이전에 (심볼의 블록에 직접) 설정된 경우에 IDFT 모듈(2.3)의 출력에 있어서, 취득된 샘플과 동일한 또는 적어도 동등한 샘플을 취득하도록 Q개의 심볼의 샘플이 계산된다. 예컨대, SIncor인 심볼 의 값이 각각 값 로 설정되고 다른 심볼의 값이 0으로 설정되는 심볼의 블록에 DFTsOFDM 방식(DFT 모듈(2.1), 서브캐리어 매핑 모듈(2.2) 및 IDFT 모듈(2.3))을 적용함으로써 취득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 합으로부터 얻어지는 시간 영역 신호 에 대응하는 DFTsOFDM 심볼이 송신 안테나(2.0)를 통해서 송신된다.
IDFT 이후 임의 선택으로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부가될 수 있다.
신호 를 가산하기 전에, 값이 0으로 설정된 인 심볼 의 신호 내의 샘플도 0과 같은 것을 확보하기 위해 신호 를 필터링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이것은 신호 에 대한 신호 의 간섭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Q개의 심볼이 IDFT 모듈(2.3)의 출력(IDFT 이후)에 있어서 통합되는 도 6의 실시형태에서는, 가산기의 출력에 있어서 취득되는 신호 는 Q개의 심볼이 DFT 이전에 통합될 때의 IDFT 모듈(2.3)의 출력에 있어서의 신호와 동일(또는 적어도 동등)하다. 게다가, 가산기의 출력에 있어서 취득되는 신호 는, 통합되어 있지 않은 심볼을 제외하고, 값이 0으로 설정되는 심볼의 블록 내의 심볼과, 인 심볼 의 샘플의 대응하는 값에 의해 완전하게 정의된다.
따라서, DFT 이전 통합(도 4)에 대하여 나타낸 모든 특징이 IDFT 이후 통합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Qp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각 그룹의 통합은 IDFT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통합기 모듈(6.1)은 인 위치 ni를 사전에 구성함으로써 정적인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의 구성도 사전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예컨대 수 Q마다 하나의 구성, 또는 수 Q마다 한정된 수의 구성이 사전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구성은 암묵적인 방법으로(예컨대 송신기에 의해 알려져 있는 다른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행하여질 수도 있고, 명시적인 방법으로(예컨대, 제어 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에 의해 주어지는 예컨대 명령에 근거하여) 행하여질 수도 있고, 그들 2개를 조합으로 행하여질 수도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심볼의 DFT 이전 통합의 스텝을 나타내는 플로차트가 나타나 있다.
스텝 S11에 있어서, 통합 모듈(4.1)은 정적인 방법으로 또는 동적으로(즉 통합 모듈(4.1)이 제어 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에 의해 주어지는 예컨대 명령에 따라서 재구성된다), 또는 이들 2개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동적인 구성의 경우, 통합 모듈(4.1)은 MEMO_trans(1.5)에 보존된 명령에 근거하여 다른 구성을 선택할 수 있다. 실제, 몇몇의 구성은 통합 모듈(4.1)에 사전에 파라미터화될 수 있고, 그들 구성은 구성에 의해 통합되는 심볼의 수 Q에 따라서 순서화될 수 있다. 구성은 Q개의 심볼 Ai를 반송하는 심볼 의 심볼의 블록 X 내의 위치 ni에 의한 수치 Q, M 및/또는 L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통합 모듈(4.1)은 선택된 구성을 변조기 모듈(4.0)에 통지할 수 있다. 변조기 모듈(4.0)이 심볼의 블록 내의 인 위치 ni+mL과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 변조 심볼을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통합 모듈(4.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 위치 ni+mL에 있는 심볼 Xn의 각 값을 각각 값 로 설정함으로써 Q개의 심볼을 통합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DFTsOFDM 방식을 심볼의 블록에 적용함으로써 처리된다.
스텝 S14에 있어서, 신호는 Tx(2.0)에 의해 방사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심볼의 DFT 이후 통합의 스텝을 나타내는 플로차트가 나타나 있다.
스텝 S21에 있어서, 통합 모듈(5.1)은 정적인 방법으로 또는 동적으로 또는 이들 2개의 조합에 의해 도 7(a)와 같이 구성된다.
통합 모듈(5.1)은 선택된 구성을 변조기 모듈(5.0)에 통지할 수 있다.
스텝 S22에 있어서, 통합 모듈(5.1)의 구성에 근거하여, 변조기 모듈(5.0)은, 도 5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고 인 심볼 의 값을 0으로 설정한다.
스텝 S23에 있어서, DFT 모듈(2.1)이, 도 5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불완전한 심볼 XZero의 블록에 대하여 적용된다.
스텝 S24에 있어서, 통합 모듈(5.1)은 도 5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SZero에 신호 SIncor을 가산한다.
스텝 S25에 있어서, 나머지 DFTsOFDM 방식(서브캐리어 매핑 모듈(2.2), IDFT 모듈(2.3))이 SZero 및 SIncor의 합으로부터 얻어진 신호 S에 대하여 적용된다.
스텝 S26에 있어서, 신호는 Tx(2.0)에 의해 방사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심볼의 IDFT 이후 통합의 스텝을 나타내는 플로차트가 나타나 있다.
스텝 S31에 있어서, 통합 모듈(6.1)은 정적인 방법으로 또는 동적으로 또는 이들 2개의 조합에 의해 도 7(a)와 같이 구성된다.
통합 모듈(6.1)은 선택된 구성을 변조기 모듈(6.0)에 통지할 수 있다.
스텝 S32에 있어서, 구성에 근거하여, 변조기 모듈(6.0)은, 도 6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고 인 심볼 의 값을 0으로 설정한다.
스텝 S33에 있어서, 신호는 처리된다. 즉, 심볼 (Xn)Zero의 블록에 대하여 DFTsOFDM 방식(DFT 모듈(2.1), 서브캐리어 매핑 모듈(2.2), IDFT 모듈(2.3))이 적용된다.
스텝 S34에 있어서, 통합 모듈(6.1)은 IDFT 모듈(2.3)의 출력 신호 에 신호 을 가산한다. 신호 은 도 6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스텝 S35에 있어서, 신호는 Tx(2.0)에 의해 방사된다.

Claims (12)

  1. 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송신되는 무선 신호에 있어서 적어도 Q개의 심볼(A0; …; AQ-1)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신호는 적어도 M개의 상이한 주파수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방사기에 의해 방사되도록 의도되고, M은 L.K와 같고, L 및 K는 엄밀하게 양의 정수이고, Q는 엄밀하게 L보다 작은 엄밀하게 양의 정수이고, 상기 무선 신호는,
    - M 사이즈 DFT를 심볼의 블록 X=(X0, …, XM-1)에 적용하고,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복소 심볼 Sk를 취득하는 것과,
    - 송신 안테나에 대응하는 I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한 복소 심볼 Sk 또는 Sk의 함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취득하는 것과,
    -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것
    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심볼의 블록 내의 Q개의 위치 ni와 같이 구하는 것과,
    - 상기 Q개의 심볼을 상기 무선 신호를 통해 송신하는 것으로서, 각 i에 대하여, 상기 무선 신호 내의 심볼 Ai의 샘플은 M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블록에 상기 DFT를 적용하고 상기 IDFT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결과와 같고, 위치 ni+mL에 있는 심볼 의 값은 각각 이고, k는 0≤k<K의 정수이고, m은 0≤m<K의 정수이고, j는 허수인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Q개의 심볼을 송신하는 것은, 각 i 및 각 m에 대하여, 상기 심볼 을 값 로 설정함으로써 행하여지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DFT를 적용하기 전에 인 상기 심볼 의 값을 0으로 설정하는 것과, 상기 I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 후속의 신호를 취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각 i 및 각 m에 대하여, 상기 Q개의 심볼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I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의 상기 후속의 신호에 상기 샘플을 가산함으로써 행하여지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DFT를 적용하기 전에 인 상기 심볼 의 값을 0으로 설정하는 것과, 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 후속의 신호를 취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각 i 및 각 m에 대하여, 상기 Q개의 심볼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의 상기 후속의 신호에 상기 샘플을 가산함으로써 행하여지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Qp개의 심볼 (; …, )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K'개의 그룹이 상기 무선 신호에 있어서 송신되고, 상기 Qp는 엄밀하게 양의 정수이고, 이고, K'≤K이고, 상기 방법은 각 p에 대하여,
    - 정수 kp와 상기 심볼의 블록 내의 Qp개의 위치 및 0≤kp<K, 와 같이 구하는 것과,
    - 상기 Qp개의 심볼을 상기 무선 신호를 통해 송신하는 것으로서, 각 i에 대하여, 상기 무선 신호 내의 상기 심볼의 샘플 는 M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블록에 상기 DFT를 적용하고 상기 IDFT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결과와 같고, 위치 에 있는 심볼 의 값은 각각 이고, 인 것
    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 이고 인 경우에는, 상기 심볼 Xn의 값은 상기 DFT를 적용하기 전에 0으로 설정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K'<K인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K'=K인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p에 대하여, L=Qpc이고, c는 양의 정수이고, 인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p에 대하여, 인 방법.
  11. 코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적어도 Q개의 심볼(A0; …; AQ-1)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 신호에 있어서 송신하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신호는 적어도 M개의 상이한 주파수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방사기에 의해 방사되도록 의도되고, M은 L.K와 같고, L 및 K는 엄밀하게 양의 정수이고, Q는 엄밀하게 L보다 작은 엄밀하게 양의 정수이고, 상기 무선 신호는,
    - M 사이즈 DFT 모듈을 심볼의 블록 X=(X0, …, XM-1)에 적용하고,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복소 심볼 Sk를 취득하는 것과,
    - 송신 안테나에 대응하는 IDFT 모듈의 출력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k=0~M-1인 각 k번째 주파수에 대한 복소 심볼 Sk 또는 Sk의 함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취득하는 것과,
    -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것
    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 상기 심볼의 블록 내의 Q개의 위치 ni와 같이 구하는 것과,
    - 상기 Q개의 심볼을 상기 무선 신호를 통해 송신하는 것
    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각 i에 대하여, 상기 무선 신호 내의 심볼 Ai의 샘플은 M개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블록에 상기 DFT를 적용하고 상기 IDFT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결과와 같고, 위치 ni+mL에 있는 심볼 의 값은 각각 이고, k는 0≤k<K의 정수이고, m은 0≤m<K의 정수이고, j는 허수인
    디바이스.
KR1020217001850A 2018-07-26 2019-06-24 Dft-s-ofdm을 위한 심볼 통합 방식 KR102567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306014.4A EP3599748B1 (en) 2018-07-26 2018-07-26 Symbols incorporation scheme for dft-s-ofdm
EP18306014.4 2018-07-26
PCT/JP2019/025997 WO2020021971A1 (en) 2018-07-26 2019-06-24 Symbols incorporation scheme for dft-s-ofd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076A KR20210021076A (ko) 2021-02-24
KR102567079B1 true KR102567079B1 (ko) 2023-08-14

Family

ID=6314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850A KR102567079B1 (ko) 2018-07-26 2019-06-24 Dft-s-ofdm을 위한 심볼 통합 방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21901B2 (ko)
EP (1) EP3599748B1 (ko)
JP (1) JP7109660B2 (ko)
KR (1) KR102567079B1 (ko)
CN (1) CN112514342B (ko)
WO (1) WO20200219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6959B (en) * 2004-07-30 2009-06-17 Kyocera Corp Communications systems
KR100981552B1 (ko) * 2005-06-21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파일롯의 송수신장치 및 방법
TWI427985B (zh) 2005-12-06 2014-02-21 Lg Electronics Inc 使用複數載波來傳輸資料之設備及方法
JP5096208B2 (ja) * 2008-03-26 2012-1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Sc−fdma送信装置及びsc−fdma送信信号形成方法
US8509324B2 (en) * 2008-07-08 2013-08-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PAPR of an OFDM signal
KR101430050B1 (ko) * 2009-06-22 2014-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향링크 복조용 레퍼런스 신호 전송 방법
EP3041159B1 (en) * 2010-01-11 2020-10-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832276B1 (ko) * 2010-03-31 201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셀 tdd 통신 시스템에서의 응답 신호의 송신에 대한 리소스 인덱싱
CN104081704A (zh) * 2011-11-10 2014-10-0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在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上传送控制信息的网络节点、用户设备及其中的方法
JP5947261B2 (ja) 2013-07-22 2016-07-06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JP2017022056A (ja) 2015-07-14 2017-01-26 日本放送協会 基板処理方法及びパッケージの気密封止方法
EP3185496B1 (en) * 2015-12-21 2018-08-29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A method and a device for forming a dft-spread ofdm symbol comprising data and pilot
WO2017189316A1 (en) * 2016-04-25 2017-11-02 Idac Holding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non-systematic complex coded 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EP3435609B1 (en) * 2017-07-25 2022-12-07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Pre-dft reference signal insertion for sc-sfbc
CN110830224B (zh) * 2018-02-13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过程中获知资源单元数量的方法和相关装置
EP3544203B1 (en) * 2018-03-22 2021-01-27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Specific ss-stbc pre-coder
EP3723332A1 (en) * 2019-04-08 2020-10-14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Circular pilot sequences for joint channel and phase noise esti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14342A (zh) 2021-03-16
WO2020021971A1 (en) 2020-01-30
US11121901B2 (en) 2021-09-14
JP2021525049A (ja) 2021-09-16
EP3599748A1 (en) 2020-01-29
JP7109660B2 (ja) 2022-07-29
KR20210021076A (ko) 2021-02-24
EP3599748B1 (en) 2020-12-16
CN112514342B (zh) 2024-04-02
US20210211345A1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49493C (en)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2224719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对参考信号和数据的高效复用
EP3890233A1 (e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P3249824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0103687A1 (zh)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
CN108781097B (zh) 参考信号发送方法、参考信号接收方法、装置及系统
KR102660271B1 (ko) 채널 및 위상 잡음의 공동 추정을 위한 순회 파일럿 시퀀스
EP4030713A1 (en) Symbo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314254B1 (ko) Sc-sfbc를 위한 참조 신호의 dft 이전 삽입
CN111869120B (zh) 用于发送符号的发送器及方法
US11362780B2 (en) DMRS sequence transmitt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2187690B (zh) 符号处理的方法与装置
KR102567079B1 (ko) Dft-s-ofdm을 위한 심볼 통합 방식
CN113824667A (zh) 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AU2019472104B2 (en) Symbo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1041769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154581A (ko) 통신 시스템에서 거의 일정한 포락선을 가지는 신호 생성을 위한 스펙트럼 성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송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