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042B1 - 2'-푸코실락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및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2'-푸코실락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및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042B1
KR102567042B1 KR1020220177364A KR20220177364A KR102567042B1 KR 102567042 B1 KR102567042 B1 KR 102567042B1 KR 1020220177364 A KR1020220177364 A KR 1020220177364A KR 20220177364 A KR20220177364 A KR 20220177364A KR 102567042 B1 KR102567042 B1 KR 102567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rowth
hair loss
fucosyllactos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수
윤종원
전선민
김보미
방정수
장철호
최은영
Original Assignee
(주)에이피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피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에이피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20177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2Lact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푸코실락토오스(2'-fucosyllactose, 2'-F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및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2'-푸코실락토오스를 함께 처리하여 테스토스테론의 단독처리시와 비교하여 모발윤기 증가, 모발 길이 증가, 탈모면적 감소, 모발 큐티클 개선, 모낭의 개수 및 크기 증가, 모발증식 및 성장 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발현 증가를 통해 모발성장 촉진,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식품 및 약학 조성물의 소재로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2'-푸코실락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및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comprising 2'-fucosyllactos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2'-푸코실락토오스(2'-fucosyllactose, 2'-F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및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푸코실락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모발성장을 유의적으로 촉진하는 효과와 모발의 큐티클층을 회복시켜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의 주기(모주기)는 모발을 성장시키는 성장기(anagen), 성장을 종료하고 모구부가 축소하는 퇴화기(catagen), 모유두가 활동을 멈추고 모발을 두피에 머무르게 하는 휴지기(telogen) 및 모유두가 활동을 시작하거나 새로운 모발을 발생시켜 오래된 모발을 탈모시키는 활동기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모주기는 사람마다, 성별마다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전체 모발의 약 15%에 해당하는 모발이 퇴화기와 휴지기에 해당하여 탈락하고 재생산된다. 이에 휴지기의 모발이 20% 이상이 되면 모발이 많이 빠지는 상태라 할 수 있으며, 하루 평균 50~100개 정도 빠질 때는 휴지기 탈모라고 말하는데, 이는 생리적으로 정상적인 탈모 현상이지만 탈모 수치가 이를 넘어서면 남성형 탈모증이나 원형탈모증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탈모의 원인은 다양하며, 탈모 질환에는 빈도가 높은 대머리(남성형 탈모)형 남성형 탈모증(안드로겐 탈모증), 여성형 탈모증, 원형 탈모증, 휴지기 탈모증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남성형 탈모증의 발생에는 유전적 원인과 남성호르몬이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고, 일부 여성형 탈모에서도 남성형 탈모와 같은 경로로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탈모증은 생명에 지장을 주는 질환은 아니지만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데, 탈모증 환자들은 탈모로 인한 외부적인 변화로 인해 심한 사회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으며, 특히 현대사회에서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욕구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탈모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미녹시딜(minoxidil) 등의 바르는 탈모치료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두타스테라이드(dutasteride) 등의 먹는 탈모치료제가 있으나 이는 약을 복용할 때만 효과가 있어 일시적이라는 한계와, 인체에 또다른 부작용(가려움증, 민감반응, 성기능 감퇴 등)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또다른 치료법으로 두피 성형이나, 모발이식 등의 외과적 수술도 있으나, 이또한 부작용과 함께 수술비용 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으면서 모발성장 촉진 및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97302호 (2020.03.31.)에는, 식물 유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라벤다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유자씨 오일 혼합물을 이용하여 모발성장인자 및 항산화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탈모세포 모델에서 모발성장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존 탈모 치료요법에 대한 대안으로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탈모 치료 소재로서 2'-푸코실락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모발성장 촉진용 및 탈모개선용 식품 조성물, 모발성장 촉진용 및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2'-푸코실락토오스 (2'-fucosyllacto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또는 탈모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탈모는, 바람직하게 남성형 탈모증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푸코실락토오스 (2'-fucosyllactose)를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또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탈모는, 바람직하게 남성형 탈모증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2'-푸코실락토오스를 처리하여 테스토스테론의 단독처리군과 비교시 모발윤기 증가, 모발 길이 증가, 탈모면적 감소, 모발 큐티클 개선, 모낭 개수 및 크기 증가, 모발증식 및 성장 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발현 증가를 통해 모발성장 촉진,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식품 및 약학 조성물의 소재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2'-푸코실락토오스 처리에 따른 마우스 모델의 모발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2'-푸코실락토오스 처리에 따른 마우스모델의 모발 길이 변화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2'-푸코실락토오스 처리에 따른 마우스모델의 탈모면적 값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2'-푸코실락토오스 처리에 따른 마우스모델의 모발 큐티클층을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2'-푸코실락토오스 처리에 따른 마우스모델의 모발굵기를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2'-푸코실락토오스 처리에 따른 마우스모델의 조직 무게를 분석한 결과(체중, 간, 전립선 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2'-푸코실락토오스 처리에 따른 마우스모델의 피부조직 측면(A) 및 정면(B) H&E 염색 결과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2'-푸코실락토오스 처리에 따른 마우스모델의 피부조직 모낭 크기를 측정한 사진 및 결과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2'-푸코실락토오스 처리에 따른 마우스모델의 피부조직 내 모발증식 관련 단백질 베타-카테닌(β-catenin)의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2'-푸코실락토오스 처리에 따른 마우스모델의 피부조직 내 모발성장 관련 유전자(IGF, VEGF, FGF)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이다.
현대사회에서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탈모를 극복하고자 하는 욕구는 더욱 커지고 있다. 탈모의 원인은 다양하며, 탈모 질환에는 빈도가 높은 대머리형 남성형 탈모증(안드로겐 탈모증), 여성형 탈모증, 원형 탈모증, 휴지기 탈모증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남성형 탈모증의 발생에는 유전적 원인과 남성 호르몬이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탈모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약물을 이용한 치료법, 두피 성형, 모발이식 등 외과적 수술 등의 방법이 있으나, 이들은 일시적이거나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키고 높은 비용 부담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천연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모발성장 촉진 및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2'-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또는 탈모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2'-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또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2'-푸코실락토오스는 모유에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모유올리고당(Human Milk Oligosaccharide, HMO)의 하나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모발성장 촉진용 또는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있음을 in vivo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때, 상기 탈모는, 바람직하게 남성형 탈모증인 것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남성형 탈모증은 혈중 남성호르몬 즉, 안드로겐의 농도가 많이 생성됨에 따라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중에서도 테스토스테론이 5α-환원효소에 의해 더욱 강력한 안드로겐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변환되는데 이것이 탈모를 유발하는 안드로겐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테스토스테론을 임의적으로 과도하게 처리한 마우스모델에 2'-FL을 농도별로(저농도, 고농도) 투여하고 이에 따른 모발의 변화(외부 표현형 관찰, 길이, 모발 손실면적 측정, 큐티클층 분석)를 분석하고, 피부조직 분석(염색 관찰, 피부조직 내 모발증식 관련 마커 단백질 및 모발성장 관련 인자 유전자발현 양상 확인)을 통해 2'-FL의 처리가 모발성장 촉진과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 예로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초콜렛, 빵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 2'-푸코실락토오스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 대상의 상태, 구체적인 병증의 종류, 진행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식품의 전체 함량으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마우스모델을 대상으로 할 때 대조군의 함량에 따른 150~300 mg/kg mouse/100 ㎕로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식품 첨가물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치료 및 예방제가 약제인 경우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 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I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유효성분인 2'-푸코실락토오스를 기준 (건조중량)으로 하였을 때 0.01 내지 500 mg/kg(체중)으로 1회 이상 투여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 mg/kg(체중)으로 1회 이상 투여 가능하다. 다만, 상기의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복용자의 상태와 의사의 처방에 의해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주별 또는 월별로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탈모를 억제하거나 탈모의 발생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탈모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한편, 하기 실험에 의하면, 2'-FL을 처리한 마우스모델 실험(in vivo)을 수행한 결과, 테스토스테론 투여군과 비교 시 모발의 성장과 길이가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탈모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테스토스테론 투여에 의해 손상되었던 큐티클층도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와 함께 마우스모델의 체중, 간, 전립선 무게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에 따라 정상적인 성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마우스 피부조직을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테스토스테론을 투여한 군과 비교 시, 모낭의 개수 및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모발의 증식과 관련한 베타-카테닌의 단백질발현과 모발의 성장과 관련된 성장인자의 유전자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2'-푸코실락토오스를 처리함으로써 모발성장 촉진과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실제적으로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진보적이며, 다양한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로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2'-푸코실락토오스 투여에 따른 모발 효능 평가]
본 실시예에서는 2'-푸코실락토오스를 투여함에 따른 모발 효능 평가를 in vivo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1) 동물 모델 설정
수컷 생쥐(B6CBAF1/j, 6주령)를 그룹당 각 8마리씩 나누고, 식이는 모든 군에 chow diet를 급여하였다. 각각의 군에 주 5회 피하주사 및 경구투여하여 24주간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 군은 다음과 같았다: 정상대조군은 비이클(vehicle) 100 ㎕ 피하주사(1% carboxy methylcelulose) 및 경구투여(PBS)하였고, 음성대조군은 테스토스테론 0.5 mg/day 피하주사 및 비이클(vehicle) 100 ㎕ 경구투여(PBS)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은 테스토스테론 0.5 mg/day 피하주사 및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5α-환원효소 억제제) 0.5 mg/kg mouse/day 경구투여하였다. 2'-FL 투여군은 2가지 농도로 각각 1) 2'-FL 저농도군: 테스토스테론 0.5 mg/day 피하주사 및 2'-FL 150 mg/kg mouse/100 ㎕ 경구투여하였고, 2) 2'-FL 고농도군: 테스토스테론 0.5 mg/day 피하주사 및 2'-FL 300 mg/kg mouse/100 ㎕ 경구투여하였다.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설정한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모발 효능과 관련한 여러 실험을 수행하였다.
2) 모발, 체중, 간 및 전립선 조직 무게 분석
2-1) 모발 분석(모발 상태, 길이, 탈모면적 및 큐티클 분석)
상기 마우스의 모발 분석을 위해 주 1회 실험동물 군별로 모발 사진 촬영을 통해 모발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테스토스테론만을 주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2'-FL 투여군 모발의 윤기가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4주차 실험종료 후, 부검을 통해 해부에서 얻은 모발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여 모발의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개체별로 모발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길이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모발의 길이가 정상대조군(Vehicle)과 테스토스테론만을 주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발의 길이가 2'-FL 투여군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마우스의 탈모면적을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도 3과 같이 테스토스테론만을 주사한 대조군에 비해 2'-FL 투여군의 탈모면적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2'-FL 고농도군은 양성대조군(테스토스테론+피나스테라이드)보다 탈모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검을 통해 해부에서 얻은 모발을 전자주사현미경(SEM) 현미경을 통해 모발 큐티클의 손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테스토스테론만을 주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특히 2'-FL 고농도군의 모발 큐티클이 정상대조군만큼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도 1의 2'-FL 투여군의 모발윤기 증가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도 5와 같이 마우스 모발굵기를 분석한 결과 테스토스테론만을 주사한 대조군에 비해 2'-FL 고농도군의 모발굵기가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24주차 실험종료 후, 체중, 간 및 전립선 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도 6 같이 대조군들과 비교 시, 2'-FL을 투여에 따른 체중 변화가 없고, 간(liver)이나 전립선(prostate) 조직 크기나 무게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2'-FL은 탈모와 관련된 주요 대사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3) 피부조직 분석 및 피부조직 내 모발증식 및 성장 관련 마커 단백질 및 유전자발현 확인
24주차 실험 종료 후, 부검을 통해 적출한 피부조직 분석을 위해 H&E 염색(hematoxylin-eosin staining)을 진행하였으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밀랍을 제거한 후(dewaxing), 탈수(dehydration)하고, 헤마톡실린(hematoxylin)을 처리하고 분화(differentiation)시켜 푸른빛으로 염색시키고(blueing), 에오신(eosin)을 처리하고 탈수(dehydration)한 후, 제거하고 커버슬라이드로 조직을 덮어주었다(cover-slipping). 이와같이 H&E 염색 후, 피부조직을 분석한 결과, 도 7(A:측면, B:정면) 및 도 8과 같이 테스토스테론을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2'-FL 투여군에서 성장기 모발이 증가하였으며, 모낭의 개수 및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피부조직 내 모발증식 관련 마커 단백질발현을 분석하였다. Wnt/베타-카테닌(β-catenin) 신호체제는 모발성장 조절과정 중 매우 중요한 기전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유전적 탈모개선 효능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인자 중 하나로 이용된다. 이를 위해 RIPA lysis buffer (Thermo 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하고, 4℃, 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BCA protein assay를 통해 정량하였으며(Thermo Scientific, USA), SDS-polyacrylamide gel로 전기영동하고 gel을 PVDF membrane으로 트랜스퍼(transfer)하였다(Trans-Blot, BioRad Laboratories). 트랜스퍼하여 얻은 막(membrane)을 5% skim milk로 블로킹(blocking)하였다. 1차 항체(Primary antibody)를 붙이고 4℃에서 overnight하고, 1X TBST로 세척(wash)하였다. 이후, 2차 항체(secondary antibody)를 붙이고 상온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incubation)하여 디텍션(detection)하고, 1X TBST로 세척한 후, ECL solution 넣고 디텍션(detection)하였다.
이와 같이 모발증식과 관련된 단백질발현을 확인한 결과, 도 9와 같이 모발증식과 관련한 베타-카테닌의 단백질발현이 테스토스테론만 처리한 음성대조군과 비교할 때, 2'-FL을 투여한 군에서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고용량군에서 유의적으로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에서 얻은 피부조직 내 모발성장 관련 마커 유전자발현을 분석하였다. 모발성장과 관련된 성장인자는 EGF (epidermal growth factor), TGF-α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β1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K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1), HGF (hepatocyte growth factor),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및 FGF (fibroblast growth factor) family 등이 있다. 이들 중 IGF-1, VFGF 및 FGF 유전자발현 분석을 위해 피부조직을 MP 기기를 이용하여 분쇄하고, RNeasy mini kit (Qiagen, USA)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cDNA 합성은 ReverTra AceTM qPCR RT Kit (Toyobo, Japan)를 사용하였고, SYBR Green master mix (Toyobo, Japan)를 사용하여 RT-qPCR을 진행하였다.
모발성장에 관련된 성장인자에 대한 유전자발현 분석 결과, 도 10과 같이 2'-FL 투여에 의해 유전자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gf1, Fgf7 유전자발현이 2'-FL 투여군에서 모두 테스토스테론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Fgf10 유전자발현은 2'-FL 고농도군, Fgf21는 저농도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Claims (4)

  1. 2'-푸코실락토오스 (2'-fucosyllacto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및 안드로겐성 남성형 탈모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2'-푸코실락토오스 (2'-fucosyllactose)를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및 안드로겐성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삭제
KR1020220177364A 2022-12-16 2022-12-16 2'-푸코실락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및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7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364A KR102567042B1 (ko) 2022-12-16 2022-12-16 2'-푸코실락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및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364A KR102567042B1 (ko) 2022-12-16 2022-12-16 2'-푸코실락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및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042B1 true KR102567042B1 (ko) 2023-08-16

Family

ID=8784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364A KR102567042B1 (ko) 2022-12-16 2022-12-16 2'-푸코실락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및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0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688A (ko) * 2016-11-07 2018-05-17 (주)에이피테크놀로지 2-푸코실락토오스 또는 3-푸코실락토오스를 함유하는 화장품 관련 조성물
KR20180102431A (ko) * 2017-03-07 2018-09-17 코스맥스 주식회사 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7302B1 (ko) 2018-04-30 2020-04-06 주식회사 하이솔 식물 유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성장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688A (ko) * 2016-11-07 2018-05-17 (주)에이피테크놀로지 2-푸코실락토오스 또는 3-푸코실락토오스를 함유하는 화장품 관련 조성물
KR20180102431A (ko) * 2017-03-07 2018-09-17 코스맥스 주식회사 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7302B1 (ko) 2018-04-30 2020-04-06 주식회사 하이솔 식물 유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성장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u et al. Dihydrotestosterone-induced hair regrowth inhibition by activating androgen receptor in C57BL6 mice simulates androgenetic alopecia
KR102440809B1 (ko) Mpc 저해제를 사용하여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조성물 및 방법
TWI830748B (zh) 防脫髮或毛髮生長促進用組合物
WO2018004252A1 (ko) 로즈마리 잎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WO201803961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moting hair growth with mpc1 inhibitors
KR20140146133A (ko) 모발 성장을 조절하는 방법 및 조성물
WO2018070706A1 (ko) 데칸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567042B1 (ko) 2'-푸코실락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및 탈모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10330725A1 (en) Garcinia mangostana extract for promoting hair growth
JP2015529669A (ja) 脱毛症及び/又は毛髪色素脱失を治療するためのpedf由来のポリペプチドの使用
KR101114307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7609A (ko) 니코틴산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인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제
WO2017116092A1 (ko) 디오스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438332B1 (ko) 포시티아사이드-에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TWI554521B (zh) 色素上皮衍生因子衍生之多胜肽於治療禿髮和/或毛髮脫色之用途
KR102013803B1 (ko) 밤송이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용 조성물
KR101501806B1 (ko) 쥐손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6522063B2 (ja) 脱毛症及び/又は毛髪色素脱失を治療するためのpedf由来のポリペプチドの使用
JP2021532150A (ja) ヘアケアの分野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レスペデザ・カピタータ抽出物
JP7236755B2 (ja) 育毛用組成物、遺伝子の発現促進用組成物
KR102489423B1 (ko)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4140490A1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on,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comprising catechin 7-o-?-d-apiofuranoside as active ingredient
KR102569240B1 (ko)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새치 및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74314B1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230130405A (ko) 독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